KR101977600B1 -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00B1
KR101977600B1 KR1020180168842A KR20180168842A KR101977600B1 KR 101977600 B1 KR101977600 B1 KR 101977600B1 KR 1020180168842 A KR1020180168842 A KR 1020180168842A KR 20180168842 A KR20180168842 A KR 20180168842A KR 101977600 B1 KR101977600 B1 KR 10197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information
uni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김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수 filed Critical 김길수
Priority to KR102018016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600B1/ko
Priority to PCT/KR2019/005517 priority patent/WO20200911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00B1/ko
Priority to US17/079,766 priority patent/US202100407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6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by sensing the presence of a person, e.g. body heat sensor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광고용 도어락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광고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어락을 이용하여 광고정보를 출력하고, 잠금화면을 제공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DOOR LOCK FOR ADVERTISING, MANAGEMENT SERVER OF THE DOOR LOCK,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에 광고를 노출시킨 후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디지털 도어락의 편리함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지역 광고에는 아직도 전단지를 신문에 넣어 배포하거나 일일이 방문하여 배포하고 있다. 많은 광고 전단지들이 출입문에 붙여지지만 대부분의 광고 전단지들은 그냥 버려진다. 이는 광고 효과도 미약할 뿐 아니라 폐지 발생과 많은 인쇄비와 이를 배포하기 위한 인건비 소모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9164호(2009년 12월 16일 공개)는 광고용 디스플레이장치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와 이를인터넷에 연결하여 광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에 출입문 외부에 광고용 디스플레이 및 출입문 내부에 주문용 디스플레이 기능을 첨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도어락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광고를 노출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광고를 노출시킨다는 점에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락을 이용하여 광고정보를 출력하고, 잠금화면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광고정보를 시청한 사용자에게 일정한 보상수단을 지급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광고정보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주에게 광고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광고용 도어락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광고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동작감지센서, 지문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제어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식별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잠금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여 인증되면 상기 도어락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락의 위치에 따라 상기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표시부에 보상수단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정보 관리부와, 상기 도어락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광고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부와,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정보의 제공횟수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지급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정보가 종료되고 상기 잠금화면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정보 관리부는, 상기 도어락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되,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요청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추가정보에 대한 유알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에게 상기 광고정보의 노출횟수 및 노출위치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정보 관리부와, 상기 도어락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광고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부와,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어락을 이용하여 광고정보를 출력하고, 잠금화면을 제공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광고정보를 시청한 사용자에게 일정한 보상수단을 지급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광고정보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주에게 광고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에서 광고정보 및 잠금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에서 도어락과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광고용 도어락(100) 및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를 포함한다.
광고용 도어락(100)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킨다. 광고용 도어락(100)은 전자식으로 데드볼트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킨다. 도어락(100)에는 표시부(120)가 형성되어 광고정보가 출력된다. 광고용 도어락(100)은 동작감지센서, 지문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광고용 도어락(100)은 사람이 접근하면 사전에 설정된 광고정보를 출력한다. 광고용 도어락(100)은 광고정보가 출력된 이후에는 잠금화면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잠금화면을 해제시키는 경우 광고용 도어락(100)이 해제된다. 광고용 도어락(100)은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어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광고용 도어락(100)과 통신하여 광고용 도어락(100)으로부터 감지정보를 회득하여 광고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외부의 인터넷서버, 금융서버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정보를 입력받거나, 광고용 도어락(100)의 관리자로부터 광고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광고용 도어락(100)의 사용자 계정으로 광고정보의 노출횟수나 노출기간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한다.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광고용 도어락(100)과 통신하여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보상수단을 지급한다.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이나 광고용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광고용 도어락(100) 및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도어락(100)에 출력되는 광고정보를 보고 그에 대한 보상수단을 지급받을 수 잇다. 사용자 단말(300)은 복수의 사용자 계정으로 형성되어 도어락(100)이나 제어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도어락(100)에 표시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300)은 원격에서 제어서버(200)로 광고정보를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100)은 감지부(110), 표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도어락(100)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동작감지센서, 지문센서, 접촉센서, 소리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110)는 실시간으로 사람이 도어락(100) 근처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람이 접근하면 도어락(100)의 표시부(120)를 온시키게 된다. 이는 표시부(120)를 통해 광고정보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10)는 감지정보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LCD, OLED와 같은 액정으로 형성되어 기호, 문자, 도형, 이미지 등을 출력한다. 이 경우, 표시부(120)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20)에는 기 설정된 광고정보가 출력된다. 광고정보는 광고주가 설정한 것으로,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외부의 제어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받을 수 있다. 표시부(120)에는 잠금화면이 출력된다. 잠금화면을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해 번호키, 패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잠금화면은 광고정보와 함께 출력되거나, 광고정보 이후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표시부(120)에 광고정보를 출력한다. 이 경우, 광고정보는 도어락(100)의 위치에 근접한 광고주의 광고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고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출력되는 시간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광고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도어락(100)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표시부(120)에 잠금화면을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잠금화면을 통해 잠금해제가 이뤄지면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100)은 통신부(140)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외부의 제어서버와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40)는 도어락(100)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 등을 전송하고, 제어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도어락(1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감지정보를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도어락(100)이 설치된 홈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40)는 외부의 이동통신서버, 인터넷서버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형 단말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에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도센서, 지문센서, 위치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제어서버와 접속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서버와 사용자 단말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의 계정으로 포인트, 쿠폰, 현금과 같은 보상수단이 지급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어서버로부터 식별코드를 제공받아 잠금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바코드, QR코드, AR코드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이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정보와 함께 제어서버로 전송하여 인증되면 도어락(100)을 잠금해제한다. 이는 사용자가 도어락(100)을 접촉하지 않고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잠금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도어락(100)의 비밀번호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100)은 위치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제공부(150)는 GPS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도어락(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위치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에 기 등록된 지역정보를 통신부(140)로부터 전달받아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제공부(150)는 도어락(100)의 위치정보에 따른 광고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를 업데이트한다. 이는 사용자가 이사하면서 전에 사용하던 도어락(100)을 다시 설치한 경우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도어락(100)의 위치에 따라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각 광고정보에 대한 보상으로 표시부(120)에 보상수단을 출력한다. 보상수단은 현금,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부(120)에 보상수단을 노출시켜 사용자 단말로 이를 획득하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100)은 위치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60)는 사용자 단말을 인증한다. 사용자 단말이 도어락(100)에 접근시 표시부(120)로 식별코드나 음파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1차적으로 식별코드를 획득하고, 2차적으로 음파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외부의 제어서버로 출력하게 된다. 인증부(160)는 제어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식별코드 및 음파정보가 인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인증부(160)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번호와 식별코드 및 음파정보를 매칭한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100)의 잠금을 해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100)은 결제처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170)는 외부의 결제서버와 연결되어 광고정보에 포함된 상품을 결제처리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170)는 플라스틱 카드리더기, RF 리더기, 모바일 결제 방식 등으로 결제를 처리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결제처리부(170)로부터 결제처리가 완료되면 잠금화면이 도어락에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인편의점, 무인카페, 무인자동판매기와 같은 공간에 설치된 도어락을 통해 상품광고를 미리 확인하고 결제수단을 입력시킨 후, 도어락을 해제하여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사용자는 내부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상품바코드를 사용자 단말로 획득하여 인식하고, 결제처리부(170)를 통해 2차 결제를 처리하면 최종 결제가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결제처리부(170)는 사용자가 광고정보에 포함된 상품을 결제처리하는 경우 해당 도어락의 위치정보로 배송되도록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주문정보, 배송정보를 제어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에서 광고정보 및 잠금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도어락(100)에 사람이 감지된 경우 광고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광고주의 광고정보가 일정시간 이상 실행된다. 광고정보는 도어락(100)이 잠금해제 되는 경우 이를 카운팅하여 다음 광고로 전환되도록 설정된다. (b)는 도어락(100)에 잠금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잠금화면은 핀번호 입력, 패턴입력 외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화면에 사용자의 패턴이 입력되면 도어락(100)이 잠금해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통신부(210), 감지정보 관리부(220), 광고정보 관리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과 통신한다. 통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해 도어락과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210)는 도어락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 등을 수신하고, 도어락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210)는 도어락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감지정보를 도어락으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한 제어신호를 도어락으로 전송한다. 통신부(210)는 도어락이 설치된 홈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이동통신서버, 인터넷서버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형 단말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에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도센서, 지문센서, 위치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제어서버(200)와 접속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도어락 및 사용자 단말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의 계정으로 포인트, 쿠폰, 현금과 같은 보상수단이 지급된다.
감지정보 관리부(220)는 도어락으로부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도어락에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감지센서, 지문센서, 접촉센서 등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감지정보 관리부(220)는 실시간으로 사람이 도어락 근처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는 사람이 접근하면 도어락의 표시부로 광고정보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감지정보 관리부(220)는 감지정보를 획득하면 제어부(240)로 감지정보를 출력한다.
광고정보 관리부(230)는 도어락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광고정보를 관리한다. 광고정보는 광고주가 업로드한 영상, 음성,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이다. 광고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랜덤하게 출력되거나, 도어락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맞춤형으로 출력될 수 있다. 광고정보 관리부(230)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고 도어락이 잠금해제되면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광고정보 관리부(230)는 도어락이 설치된 위치, 시간, 사용자 등에 따라 광고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고정보 관리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광고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요청시 사용자 단말로 추가정보에 대한 유알엘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어락을 통해 광고정보가 출력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광고정보에는 추가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이를 클릭하면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계정으로 SMS, LMS, SNS 등을 통해 추가정보의 유알엘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알엘 링크를 통해 추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표시부에 기 설정된 광고정보가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광고정보는 도어락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매칭된다. 제어부(240)는 해당 도어락이 속한 네트워크 가입망의 위치정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된 주소값을 기반으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어락의 위치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세주소정보는 입력받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도어락의 위치정보에 따라 인근의 광고주를 매칭하고 해당 광고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도어락에 위치정보와 매칭된 광고정보를 자도응로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선호정보를 기반으로 광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경우 학원광고가 표시되는 등 교육관련 광고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도어락의 제1 위치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제1 위치정보를 기초로 광고정보를 매칭한다. 제어부(240)는 제1 위치정보와 제2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위치정보를 기초로 광고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경우 보다 정확하게 도어락의 위치정보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기록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선호도에 따라 광고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기록, 통화기록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과 연관된 광고를 매칭하여 도어락에 광고정보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어락에 형성된 터치센서, 접촉센서 등을 이용하여 잠근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화면은 광고정보가 종료된 이후에 자동으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화면은 번호키 입력, 터치패턴 입력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잠금화면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거나, 홍채를 인식하거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40)는 잠금화면에 식별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식별코드는 바코드, QR코드, AR코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이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정보와 함께 전송하면 이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실행한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식별코드 및 인증정보가 유효하면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번호, 이동통신번호, 지문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락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어 숄더서핑의 위험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도어락의 광고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연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어락의 광고정보가 종료되고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접근한 사용자 단말로 광고정보를 출력된다. 이는 1분의 광고의 경우 5초 이후 잠금해제가 가능한 경우 나머지 55초의 광고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여 이어보기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락에 광고를 단시간 노출하고도 사용자 단말로 연속하여 광고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보상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250)는 광고정보의 제공횟수에 따라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지급한다. 여기서, 보상수단은 현금,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 등 금전으로 활용가능한 어떠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보상부(250)는 광고주의 광고정보가 해당 도어락에서 출력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보상수단을 차등하여 지급한다. 예를 들어, 광고정보의 출력횟수가 증가할 수 있는 보상수단의 지급량도 증가한다. 이 경우, 보상부(250)는 외부의 금융서버, 인터넷서버 등과 연결된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광고정보가 종료되고 잠금화면이 해제되면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해당 도어락에서 광고정보가 유효하게 출력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효성 검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정보가 출력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어락이 잠금해제 되는 경우 보상수단의 지급을 취소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도어락의 광고만 출력되도록 하고 실제로 광고를 시청하지 않는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광고정보의 출력시간에 따라 보상수단을 차등하여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의 광고의 경우 5초 이후 잠금해제가 가능한 경우 5초 이내인 경우 포인트는 10점, 6~30초는 20점, 31~60초는 30점과 같이 포인트를 차등하여 지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광고정보 중 일부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여 이어보기가 가능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서 해당 광고정보가 연속하여 출력되는 경우 추가 보상수단을 지급할 수 있다. 이는 도어락에서는 짧게 광고가 노출되었으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추가로 광고를 시청한 경우 보상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분석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60)는 광고주에게 자신의 광고정보의 노출횟수 및 노출위치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석부(260)는 전자지도를 생성하여 위치별 광고정보의 노출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부(260)는 도어락이 설치된 위치와 광고주의 광고상품의 주문정보를 매칭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피자집의 경우 B 아파트단지에서 광고노출건수는 1일 50회이고, 주문량이 광고 전에는 1일 10회, 광고 후에는 1일 20회와 같은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정보가 실질적으로 매출의 증가로 이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200)는 게임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임부(270)는 잠금화면에 게임정보를 출력하여 잠금해제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정보는 시사상식, 영어문제, 수학문제, 퀴즈, 숨은그림찾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게임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 중 대표관리자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정보가 출력된 이후에 잠금화면에 게임정보가 출력되고, 미션을 완료하면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된다. 예를 들어, "결혼기념일은? 00월 00일"이라는 퀴즈 형태의 게임정보가 출력되면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날짜를 맞추면 잠금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면서 사용자의 흥미를 일으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에서 도어락과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락에는 식별코드(501)가 출력되고, 음파정보(502)가 출력될 수 있다. 식별코드(501)는 바코드, QR코드, AR코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음파정보(502)는 초음파와 같은 기 설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사용자 단말은 식별코드(501)를 카메라로 획득하고, 음파정보(502)를 녹음하여 제어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식별코드(501)와 음파정보(502)는 랜덤하게 변경된다. 제어서버에서는 입력된 식별코드(501) 및 음파정보(502)와 사용자 단말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면 진정한 사용자로 판단하고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출입이 제한된 보안구역에 설치된 도어락의 경우 사용자의 인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광고용 도어락
110 : 감지부
120 : 표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위치제공부
160 : 인증부
170 : 결제처리부
200 :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210 : 통신부
220 : 감지정보 관리부
230 : 광고정보 관리부
240 : 제어부
250 : 보상부
260 : 분석부
270 : 게임부
300 : 사용자 단말
501 : 식별코드
502 : 음파정보
1000 :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Claims (9)

  1.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에 있어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
    광고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외부의 제어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에 자동으로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식별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잠금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여 인증되면 상기 도어락을 잠금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용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동작감지센서, 지문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광고정보가 계속 중에 상기 도어락이 잠금해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광고정보가 연속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광고용 도어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락의 위치에 따라 상기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표시부에 포인트, 쿠폰 및 가상화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상수단을 출력하는 광고용 도어락.
  5.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정보 관리부;
    상기 도어락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광고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잠금화면에 출력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코드와 함께 전송하여 인증되면 상기 도어락을 잠금해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의 제공횟수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포인트, 쿠폰 및 가상화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상수단을 지급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정보가 종료되고 상기 잠금화면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락의 사용자 계정으로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도록 하는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 관리부는,
    상기 도어락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정보를 업데이트하되,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요청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추가정보에 대한 유알엘을 제공하는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8. 제5항에 있어서,
    광고주에게 상기 광고정보의 노출횟수 및 노출위치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9.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사용자 단말;
    상기 도어락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정보 관리부와, 상기 도어락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광고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정보 관리부와,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사람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광고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시도시 상기 표시부에 잠금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잠금화면에 출력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코드와 함께 전송하여 인증되면 상기 도어락을 잠금해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KR1020180168842A 2018-11-02 2018-12-25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KR10197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42A KR101977600B1 (ko) 2018-12-25 2018-12-25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PCT/KR2019/005517 WO2020091169A1 (ko) 2018-11-02 2019-05-08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서버 및 도어락 시스템
US17/079,766 US20210040772A1 (en) 2018-11-02 2020-10-26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42A KR101977600B1 (ko) 2018-12-25 2018-12-25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600B1 true KR101977600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842A KR101977600B1 (ko) 2018-11-02 2018-12-25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51B1 (ko) * 2019-09-11 2021-01-07 류재완 홈화면 전환으로 팝업출력 및 캐시적립을 이용한 캐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EP3819876A1 (en) * 2019-11-06 2021-05-12 Industrilås I Nässjö AB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793A (ko) * 2012-07-26 2014-02-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JP2018005692A (ja) * 2016-07-05 2018-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877978B1 (ko) * 2016-05-31 2018-07-12 강재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도어락 및 이러한 도어락이 설치된 유리문
KR20180093721A (ko) * 2017-02-14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법 및 광고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793A (ko) * 2012-07-26 2014-02-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877978B1 (ko) * 2016-05-31 2018-07-12 강재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도어락 및 이러한 도어락이 설치된 유리문
JP2018005692A (ja) * 2016-07-05 2018-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80093721A (ko) * 2017-02-14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법 및 광고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51B1 (ko) * 2019-09-11 2021-01-07 류재완 홈화면 전환으로 팝업출력 및 캐시적립을 이용한 캐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EP3819876A1 (en) * 2019-11-06 2021-05-12 Industrilås I Nässjö AB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WO2021089696A1 (en) * 2019-11-06 2021-05-14 Industrilås I Nässjö Aktiebolag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CN114868160A (zh) * 2019-11-06 2022-08-05 奈舍工业有限公司 具有用户身份验证的把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656B2 (e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US10943471B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proximity and secure information on a user device
US201501424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ticket validation using proximity detection
US201502621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anti-ticket fraud system for mobile tickets
US20110213709A1 (en) Customer and purchase identification based upon a scanned biometric of a customer
AU2021218189A1 (en) Automated vending machine with customer an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US10902400B2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6635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account integration and electronic authentication
US20180308101A1 (en) A system for proximate and/or remote electronic transaction authoriz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nd/or biometric identification
EP3149626B1 (en) Personal area network
KR101977600B1 (ko) 광고용 도어락, 광고용 도어락 제어서버 및 광고용 도어락 시스템
US8620039B2 (en) Card device security using biometrics
US20210040772A1 (en)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KR20190143255A (ko) 아이디어 시제품화 플랫폼서버
WO2022123779A1 (ja) 不正検知システム、不正検知装置、不正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09377A (ko) 신용카드의 도용방지방법
KR20010112172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400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secured communications and transactions between devices
KR20180095404A (ko) 무인 숙박시설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300754B1 (ko) 오프라인 거래에 수반하는 생활 관련 정보의 관리방법, 오프라인 거래에 수반하는 생활 관련 정보의 관리를 위한 정보 전송 장치, 오프라인 거래의 정당성 인증 방법, 및 오프라인 거래의 정당성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 전송 장치
JP2023039033A (ja) 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AU2006281965B2 (en) Improving card device security using biometrics
CN102822855A (zh) 用于有效交易的用户简述和地理位置标识
KR20180046504A (ko) 금융기기, 금융기기 제어 방법 및 금융기기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WO201512495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biometric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