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20B1 -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120B1
KR102578120B1 KR1020230046560A KR20230046560A KR102578120B1 KR 102578120 B1 KR102578120 B1 KR 102578120B1 KR 1020230046560 A KR1020230046560 A KR 1020230046560A KR 20230046560 A KR20230046560 A KR 20230046560A KR 102578120 B1 KR102578120 B1 KR 10257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yar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혜
Original Assignee
(주)렉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시아 filed Critical (주)렉시아
Priority to KR102023004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20B1/ko
Priority to KR1020230119499A priority patent/KR102609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9/00Uniforms; Parts or accessories of uni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woven fabric layer
    • B32B5/26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7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woven fabric layer next to a non-woven fabr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친환경 유니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Eco-friendly uniform using recycled polyester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년 수백만 톤에서 수 천만 톤의 폐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되고 있으며 바다 1 ㎢ 당 100만개가 넘는 플라스틱 조각이 있다고 하며 플라스틱 조각은 아주 다양한 바다동물의 몸속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바다 생물과 생태계, 사람의 건강 등에 끼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오염으로 인하여 사회경제적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소각과 매립 방식을 병행하고 있는데 주민들의 반대로 더 이상의 소각시설을 짓는 것은 불가능하며 세계 최대 규모인 수도권 매립지 또한 2025년 사용이 중단될 운명에 처해 있다. 또한, 세계 재활용 쓰레기의 절반 정도를 수입해 처리하던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환경 보호와 보건위생 개선을 위해 플라스틱 쓰레기와 전자제품 폐기물의 수입 제한 조처를 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쓰레기 대란’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플라스틱 제품의 재생 비율은 20~40%로 타제품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특히, 우리나라는 플라스틱의 높은 회수율에도 불구하고 고순도 재활용 플라스틱 제조기술 부족 및 고부가가치 제품화 기술 부족으로 재활용률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통해 생산되는 리사이클 플라스틱은 성분 및 Grade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나 현재까지는 낮은 기술력을 요하는 플라스틱 사출품, 건축보강재, 포장용 밴드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하는 섬유화 및 제품적용은 미비한 상태이다.
국내의 경우 대기업 및 중견기업(효성, 휴비스 등)을 중심으로 고순도 PET flake를 이용한 의류용 용도의 Recycle PET 섬유가 생산되고 있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토목용 및 자동차용 부직포 용도가 생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15383호는 보틀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폴리에스테르 그래뉼의 순도를 확보하고, 용융 및 압출성형 함으로써 양호한 품질의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생산하는데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재생칩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폴리에스터를 적용하여 환경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으며 부드럽게 내구성이 우수한 원단과 이를 적용한 친환경 유니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생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친환경 유니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친환경 유니폼은 직물층; 상기 직물층 상부에 형성된 탄성층; 상기 탄성층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형성된 면층;을 포함하는 복합 원단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직물층은,
생활용품 폐기물로부터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선별 및 분류하는 단계;
선별 및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비중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폐플라스틱을 용융하여 펠렛 형태의 제품으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의 제품 52-56 중량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16-20 중량부, 탄소나노섬유 3-7 중량부, 방충 조성물 2-6 중량부, 구리분말 2-6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0.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1-2 중량부 및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제1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구리섬유를 연신하여 구리극세사로 제조하고, 상기 구리극세사 2-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사를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46-50 중량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46-50 중량부, 에폭시계 가교결합제 1 중량부 및 입자크기가 30-50 nm인 구리분말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방사하여 제조되는 일반사와 1:5-9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원사 및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방충 조성물은,
폴리부타디엔, 퍼메트린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반응성 촉매를 투입하고 70-90℃의 온도에서 60-120분 동안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며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시킨 반응물을 메탄올에 침지하여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하여 방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 68-72 중량부, 상기 방충 추출물 27-31 중량부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0.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탄성층은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71-75 중량부, 로진산 칼륨염 1-5 중량부, 무기항균제 1-5 중량부, 기능성 조성물 1-5 중량부, 항균조성물 1-5 중량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5-4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0.5-4 중량부, 유기주석 촉매 0.1-2 중량부 및 탄소섬유 분산액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토르말린분말, 일라이트분말, 각섬석분말 및 흑운모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에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담지시킨 탈취제이고,
상기 항균조성물은 초피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은행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고,
상기 탄소섬유 분산액은 탄소섬유 33-37 중량부 및 토르말린 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각섬석 추출물 및 흑운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증류수 63-6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층은,
후박나무 펄프 섬유, 붉나무 펄프 섬유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2:3:5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도록 방적하여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방사를 후박나무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에 38-42℃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침지된 혼방사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25℃에서의 점도가 200,000-250,000 mPaㆍs이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규소-결합된 알케닐기를 갖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33-37 중량부, 25℃에서의 점도가 500-1,000 mPaㆍs이고, 분자 내에 적어도 3개의 규소-결합된 수소 원자를 갖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8-12 중량부, 25℃에서의 점도가 800,000-1,000,000 mPaㆍs인 폴리오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 8-12 중량부, 실란 표면처리된 삼산화 안티모니(Sb2O3) 13-17 중량부, 알루미늄하이드레이트 13-17 중량부,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8-12 중량부, 소듐디헥실술포숙시네이트 2-6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00-5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실리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실리카섬유에 상기 실리콘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실리카섬유를 160-200℃의 온도에서 건조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 원사 및 제4 원사를 합사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사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원단은 상기 부직포층 및 상기 면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 35-39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10,000-20,000인 폴리락트산(PLA) 26-30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3,000-4,000인 락트산 올리고머 11-15 중량부, 송진 용해액 4-8 중량부,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co-아디페이트)(poly butylene succinate-co-adipate, PBSA) 3-7 중량부, 미네랄오일 6-10 중량부 및 식물 추출물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htyleneglycol; 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IPDI)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 EDA)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aacrylate; MMA)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송진 용해액은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송진 98-102 중량부를 혼합 및 교반한 후, 여과하여 송진 여과액을 제조하고, 상기 송진 여과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28-32 중량부, 아이소소바이드디올 8-12 중량부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4-8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닥나무 추출물, 싸리나무 추출물 및 처진뽕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니폼은 재생 폴리에스터의 이점을 살려서 환경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매우 친환경적이고, 신축성 및 형태 유지력이 뛰어나며 항균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재생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친환경 유니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니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니폼은 재생 폴리에스터의 이점을 살려서 환경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매우 친환경적이고, 신축성 및 형태 유지력이 뛰어나며 항균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니폼은 직물층; 상기 직물층 상부에 형성된 탄성층; 상기 탄성층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형성된 면층;을 포함하는 복합 원단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층은,
생활용품 폐기물로부터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선별 및 분류하는 단계;
선별 및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비중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폐플라스틱을 용융하여 펠렛 형태의 제품으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의 제품 52-56 중량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16-20 중량부, 탄소나노섬유 3-7 중량부, 방충 조성물 2-6 중량부, 구리분말 2-6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0.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1-2 중량부 및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제1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구리섬유를 연신하여 구리극세사로 제조하고, 상기 구리극세사 2-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사를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46-50 중량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46-50 중량부, 에폭시계 가교결합제 1 중량부 및 입자크기가 30-50 nm인 구리분말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방사하여 제조되는 일반사와 1:5-9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원사 및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직물층은 제1 원사 및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제조되는 제1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원사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는 재생 폴리에스터 원사를 사용한다.
상기 제1 원사는, 먼저, 생활용품 폐기물로부터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선별 및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생활용품 폐기물이 입고되고,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각 생활용품 폐기물로부터 폐플라스틱을 선별하고 분류한다. 선별 및 분류되는 폐플라스틱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열가소성 수지, ABS 등이 있다. 이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를 선별 및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선별 및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파쇄한다. 바람직하게는 5-15 mm 크기로 파쇄한다.
다음,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비중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습식 방법으로 선별하고, 상기 습식 방법은 폐플라스틱을 기설정된 복수의 타겟 비중에 따라 수중에서 선별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처리조에서 수행된다. 상기 복수 개의 처리조는 각각 복수의 비중별 염도 값 중 선택된 하나의 염도 값으로 조절된 염수가 채워지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파쇄된 폐플라스틱이 타겟 비중보다 높아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하 폐플라스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조를 통해 폐플라스틱을 비중에 따라 선별하고, 이후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한다.
다음, 건조한 폐플라스틱을 용융하여 펠렛 형태의 제품으로 배출한다. 종류가 다른 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용융하여 혼합하는 종류가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펠렛 형태의 제품 52-56 중량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16-20 중량부, 탄소나노섬유 3-7 중량부, 방충 조성물 2-6 중량부, 구리분말 2-6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0.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1-2 중량부 및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으로 가공한다.
상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수지를 적용하여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원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적용하여 내구성, 방염성, 내열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방충 조성물을 적용하여 항균 및 방충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충 조성물은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방충 추출물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충 조성물은 살충기능과 방충기능을 가진 퍼메트린을 미리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에 결합시켜 형성되는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와,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방충 추출물 및 계면활성제로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적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방충 조성물은 상기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 68-72 중량부, 상기 방충 추출물 27-31 중량부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 69-71 중량부, 상기 방충 추출물 28-30 중량부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0.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충 조성물은,
폴리부타디엔, 퍼메트린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반응성 촉매를 투입하고 70-90℃의 온도에서 60-120분 동안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며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시킨 반응물을 메탄올에 침지하여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하여 방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 68-72 중량부, 상기 방충 추출물 27-31 중량부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0.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분말은 충전제로서 사용되어 직물층의 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탄산칼슘은 충전제로서 사용되어 직물층의 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은 산화방지제로 사용된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기계적/열적 안정제로 사용된다.
상기 힌더드 아민은 자외선 안정제로 사용된다.
상기 펠렛을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용융기를 이용하여 용융한 후 펠렛 형태로 가공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분자 수지와 그외 첨가제들을 혼합하되 서로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하고, 이후 펠렛 형태로 가공 배출함으로써 용이하게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혼합하는 종류가 서로 다른 용융기를 이용하여 1차 용융 후 2차 용융한 뒤 2차 용융되어 펠렛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용융은 180-2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원사는 구리섬유를 통해 제조된 구리사 및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계 가교결합제 및 구리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일반사를 합사하여 제조된 것으로, 이를 제3 원사와 함께 적용하여 원단 자체에서 항균이나 살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은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71-75 중량부, 로진산 칼륨염 1-5 중량부, 무기항균제 1-5 중량부, 기능성 조성물 1-5 중량부, 항균조성물 1-5 중량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5-4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0.5-4 중량부, 유기주석 촉매 0.1-2 중량부 및 탄소섬유 분산액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72-74 중량부, 로진산 칼륨염 2-4 중량부, 무기항균제 2-4 중량부, 기능성 조성물 2-4 중량부, 항균조성물 2-4 중량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1-3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1-3 중량부, 유기주석 촉매 0.5-1.5 중량부 및 탄소섬유 분산액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aacrylate)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로진산 칼륨염을 포함하고, 상기 로진산 칼륨염은 조성물의 엉김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레탄계 고분자와 항균 조성물의 혼화성을 높여준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무기항균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토르말린분말, 일라이트분말, 각섬석분말 및 흑운모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무기항균제를 통해 우수한 항균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에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담지시킨 탈취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취제는 다공성 실리카에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담지시킨 것으로, 소취효과를 갖는 육상식물로는 건조생약, 스파이스 또는 채취 후 음건한 식물을 분쇄한 것으로 자소과, 도금양과 등이 높은 활성을 갖는데, 그 중에서도 소취효과가 높은 로즈마리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리카 자체에도 항균, 살균, 소취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담체로 이용하여 다공성 실리카에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담지시켜 적용함으로써 항균, 살균, 소취 또는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탈취 성분을 포함하여 항균, 살균, 탈취 활성으로 피부트러블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항균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조성물은 초피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은행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피나무, 황벽나무 및 은행나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추출물로 상기 항균조성물은 항균기능 및 방충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및 유기주석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탄소섬유 분산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소섬유 분산액은 탄소섬유 33-37 중량부 및 토르말린 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각섬석 추출물 및 흑운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증류수 63-6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섬유 34-36 중량부 및 토르말린 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각섬석 추출물 및 흑운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증류수 64-6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섬유 분산액을 용매로서 적용하여 탄성층의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다.
상기 부직포층은,
후박나무 펄프 섬유, 붉나무 펄프 섬유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2:3:5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도록 방적하여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방사를 후박나무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에 38-42℃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침지된 혼방사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25℃에서의 점도가 200,000-250,000 mPaㆍs이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규소-결합된 알케닐기를 갖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33-37 중량부, 25℃에서의 점도가 500-1,000 mPaㆍs이고, 분자 내에 적어도 3개의 규소-결합된 수소 원자를 갖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8-12 중량부, 25℃에서의 점도가 800,000-1,000,000 mPaㆍs인 폴리오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 8-12 중량부, 실란 표면처리된 삼산화 안티모니(Sb2O3) 13-17 중량부, 알루미늄하이드레이트 13-17 중량부,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8-12 중량부, 소듐디헥실술포숙시네이트 2-6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00-5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실리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실리카섬유에 상기 실리콘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실리카섬유를 160-200℃의 온도에서 건조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 원사 및 제4 원사를 합사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사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먼저, 후박나무 펄프 섬유, 붉나무 펄프 섬유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2:3:5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도록 방적하여 혼방사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후박나무, 붉나무 및 대나무 우드칩 또는 펄프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혼합 펄프 섬유를 준비한 후, 혼타면 공정, 소면 공정, 합사 공정, 정소면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및 권사 공정을 통해 혼방사를 제조한다. 후박나무 펄프 섬유, 붉나무 펄프 섬유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2:3:5의 중량비율로 포함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상기 혼방사를 후박나무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에 38-42℃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침지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후박나무잎, 붉나무잎 및 대나무잎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에탄올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초음파공정으로 38-4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혼합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혼방사를 침지함으로써 항균 및 탈취 성능이 우수하다.
다음, 침지된 혼방사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한다.
상기 부직포는 상기 실리카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실리카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중간층에 도입하는 경우 높은 난연성 및 방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원단은 상기 부직포층 및 상기 면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 35-39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10,000-20,000인 폴리락트산(PLA) 26-30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3,000-4,000인 락트산 올리고머 11-15 중량부, 송진 용해액 4-8 중량부,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co-아디페이트)(poly butylene succinate-co-adipate, PBSA) 3-7 중량부, 미네랄오일 6-10 중량부 및 식물 추출물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 36-38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10,000-20,000인 폴리락트산(PLA) 27-29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 3,000-4,000인 락트산 올리고머 12-14 중량부, 송진 용해액 5-7 중량부,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co-아디페이트)(poly butylene succinate-co-adipate, PBSA) 4-6 중량부, 미네랄오일 7-9 중량부 및 식물 추출물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htyleneglycol; 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IPDI)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 EDA)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aacrylate; MMA)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락트산과 함께 적용되어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성을 더욱 높이고 추후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들과의 접착력을 높여준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락트산은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지와 함께 적용되는 접착층 주성분 중 하나로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18,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환경 성분으로서 적용된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락트산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상기 락트산 올리고머는 점착성 및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중량평균분자량 3,300-3,8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환경 성분으로서 적용된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송진 용해액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고순도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재로부터 추출된 송진 98-102 중량부를 혼합 및 교반하면, 상기 목재로부터 추출된 송진의 일부는 고순도 에탄올에 용해되고, 일부는 고체송진으로 남게된다. 이후 여과하면 순수한 송진 여과액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송진 여과액에 송진 여과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28-32 중량부, 아이소소바이드디올 8-12 중량부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 4-8 중량부를 혼합하여 송진 용해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은 접착성, 방습성, 침투성 및 친환경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수평균분자량이 500-1,000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수평균 분자량이 5,000-8,000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을 1: 0.1 내지 0.5 중량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이소소바이드디올은 접착성, 내충격성, 방습성 및 항균, 방충 효과를 매우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은 유기 항균제로 적용되어 항균기능 및 항균지속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PBSA를 포함하며, PBSA는 가소성, 인장강도 및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한 성분으로 적용된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미네랄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닥나무 추출물, 싸리나무 추출물 및 처진뽕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다. 상기 닥나무 추출물, 싸리나무 추출물 및 처진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적용하여 항균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는 뽕나무과에 속하며, 전통적으로 한지의 생산, 염증/감염성 질환의 경감 및 치료에 사용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3603호). 최근 미백소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싸리나무는 산과 들에서 2~3m의 높이로 흔히 자라고 7~8월에 꽃이 피는 콩과의 낙엽관목으로써, 특유의 약리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싸리나무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페스티딘 성분,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B1, 아미노산, 당질, 철, 비타민 B,C,K, 탄닌엽록소가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처진뽕나무(Morus alba for pendula)는, 쌍떡잎 식물에 속하며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속 나무이다. 학명은 Morus alba for. pendula Dippel 이며, 잎은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수꽃이 삭은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화서에 달리고 장타원형이며 암꽃이삭은 길이 5-10mm이고 광타원형이고 꽃은 4개이며 화주(花柱)는 짧다. 자방은 털이 없다. 산뽕나무에 비해 화주가 짧다. 열매는 액질(液質)이며 6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과실 이삭은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5cm이다. 수피는 회갈색이다. 소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밑으로 처졌다. 분포는 수직적으로 표고 100~1,100m, 수평적으로 거의 전국에 식재한다.
상기 복합 원단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항균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닥나무, 싸리나무 및 처진뽕나무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닥나무분말, 싸리나무분말 및 처진뽕나무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닥나무분말, 싸리나무분말 및 처진뽕나무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BMIm][TFSI](1-Butyl-3-methylimidazolium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를 1-2 g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0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3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3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2차 혼합추출물 및 3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실험예> 물성 분석 및 항균 실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친환경 유니폼을 위한 복합 원단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물층을 준비하고, 상기 직물층 상에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탄성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층 상에 부직포층을 위치시키고, 상기 부직포층 상에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 상에 면층을 위치시키고 압착하여 결합하여 복합 원단을 제조하였다.
1. 물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원단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신축성 및 신축 회복성
신축성은 KSK 0352 5.2.2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신축회복성은 KSK 0541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KSK 0520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신축성(%) 신축회복성(%) 인장강도(kgf)
실시예 1 36 96 9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원단은 신축성, 신축회복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항균 실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원단의 항균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KS K 0693: 2016 시험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되는 균주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이고, 시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료구분 초기 농도
(CFU/ml)
18시간 후 농도
(CFU/ml)
정균감소율
(%)
포도상규균에 의한 항균시험 대조군 1.8×104 3.0×107 -
시트 2.0×103 99.9
폐렴균에 의한
항균시험
대조군 1.9×104 2.3×107 -
시트 1.3×103 99.9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니폼을 제조하기 위한 복합 원단의 항균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재생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친환경 유니폼으로,
    상기 친환경 유니폼은 직물층; 상기 직물층 상부에 형성된 탄성층; 상기 탄성층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형성된 면층;을 포함하는 복합 원단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직물층은,
    생활용품 폐기물로부터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선별 및 분류하는 단계;
    선별 및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비중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폐플라스틱을 용융하여 펠렛 형태의 제품으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펠렛 형태의 제품 52-56 중량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16-20 중량부, 탄소나노섬유 3-7 중량부, 방충 조성물 2-6 중량부, 구리분말 2-6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0.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1-2 중량부 및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펠렛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제1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구리섬유를 연신하여 구리극세사로 제조하고, 상기 구리극세사 2-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사를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46-50 중량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46-50 중량부, 에폭시계 가교결합제 1 중량부 및 입자크기가 30-50 nm인 구리분말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방사하여 제조되는 일반사와 1:5-9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원사 및 제2 원사를 합사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방충 조성물은,
    폴리부타디엔, 퍼메트린 및 톨루엔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반응성 촉매를 투입하고 70-90℃의 온도에서 60-120분 동안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며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시킨 반응물을 메탄올에 침지하여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계피나무껍질, 밤나무껍질, 백리향, 정향 및 페퍼민트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하여 방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퍼메트린이 그라프트된 폴리부타디엔 고분자 수지 68-72 중량부, 상기 방충 추출물 27-31 중량부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0.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탄성층은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71-75 중량부, 로진산 칼륨염 1-5 중량부, 무기항균제 1-5 중량부, 기능성 조성물 1-5 중량부, 항균조성물 1-5 중량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5-4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0.5-4 중량부, 유기주석 촉매 0.1-2 중량부 및 탄소섬유 분산액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토르말린분말, 일라이트분말, 각섬석분말 및 흑운모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에 로즈마리잎 추출물을 담지시킨 탈취제이고,
    상기 항균조성물은 초피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및 은행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고,
    상기 탄소섬유 분산액은 탄소섬유 33-37 중량부 및 토르말린 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각섬석 추출물 및 흑운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증류수 63-6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층은,
    후박나무 펄프 섬유, 붉나무 펄프 섬유 및 대나무 펄프 섬유를 2:3:5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도록 방적하여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방사를 후박나무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에 38-42℃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및 침지된 혼방사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25℃에서의 점도가 200,000-250,000 mPaㆍs이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규소-결합된 알케닐기를 갖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33-37 중량부, 25℃에서의 점도가 500-1,000 mPaㆍs이고, 분자 내에 적어도 3개의 규소-결합된 수소 원자를 갖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8-12 중량부, 25℃에서의 점도가 800,000-1,000,000 mPaㆍs인 폴리오가노하이드로겐실록산 8-12 중량부, 실란 표면처리된 삼산화 안티모니(Sb2O3) 13-17 중량부, 알루미늄하이드레이트 13-17 중량부,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8-12 중량부, 소듐디헥실술포숙시네이트 2-6 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00-5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실리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실리카섬유에 상기 실리콘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실리카섬유를 160-200℃의 온도에서 건조 및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 원사 및 제4 원사를 합사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사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니폼.
  2. 삭제
  3. 삭제
KR1020230046560A 2023-04-10 2023-04-10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60A KR102578120B1 (ko) 2023-04-10 2023-04-10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0119499A KR102609179B1 (ko) 2023-04-10 2023-09-08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60A KR102578120B1 (ko) 2023-04-10 2023-04-10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9499A Division KR102609179B1 (ko) 2023-04-10 2023-09-08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120B1 true KR102578120B1 (ko) 2023-09-15

Family

ID=88017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560A KR102578120B1 (ko) 2023-04-10 2023-04-10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0119499A KR102609179B1 (ko) 2023-04-10 2023-09-08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9499A KR102609179B1 (ko) 2023-04-10 2023-09-08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8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179B1 (ko) * 2023-04-10 2023-12-05 (주)렉시아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51B1 (ko) * 2014-01-13 2015-04-24 (주)다오코리아 기능성 도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7161B2 (ja) * 2002-05-08 2007-03-22 東洋紡績株式会社 着用快適性及び防透性に優れた回収ポリエステルを含んで構成された無塵衣の製造方法
KR20220134985A (ko) * 2021-03-29 2022-10-06 이승연 친환경 기능성 원단
KR102618990B1 (ko) * 2021-09-30 2023-12-28 (주)서원테크 친환경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사, 직물
KR102508956B1 (ko) * 2022-11-15 2023-03-13 (주)라보니아이앤씨 페트병을 재활용한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KR102523900B1 (ko) * 2022-12-05 2023-04-20 (주)210컴퍼니 친환경 기능성 원단
KR102554347B1 (ko) * 2022-12-23 2023-07-11 신유나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원단
KR102572060B1 (ko) * 2023-02-28 2023-08-29 (주)오더스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102578120B1 (ko) * 2023-04-10 2023-09-15 (주)렉시아 재생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한 친환경 유니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51B1 (ko) * 2014-01-13 2015-04-24 (주)다오코리아 기능성 도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179B1 (ko) * 2023-04-10 2023-12-05 (주)렉시아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179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179B1 (ko) 친환경 복합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유니폼
Bismarck et al. Plant fibers as reinforcement for green composites
KR102523900B1 (ko) 친환경 기능성 원단
Leão et al. The use of pineapple leaf fibers (PALFs) as reinforcements in composites
DE10007794A1 (de) Polymer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CN103361804B (zh) 聚乳酸纤维、羊绒和涤纶混纺面料
JPH09509456A (ja) 生分解性フィブリルを製造するために気体流を用いるスプレー方法、生分解性フィブリルからなる不織布、及びこのような不織布からなる物品
CN101990521A (zh) 在水溶性氟化添加剂存在下硫酸银微粒的制备
Salit et al. Tropical natural fibres and their properties
KR102508956B1 (ko) 페트병을 재활용한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CN103214695B (zh) 谷壳类淀粉完全生物降解环保材料
US20210172091A1 (en) Hemp-based char or oils and polymers formed as fibers or films having enhanced properties
CN101792939B (zh) 功能纤维
CN104031366A (zh) 纤维素偶合纳米金属氧化物增强聚乳酸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540068A (zh) 一种pva基复合包装材料的生产工艺
KR20170133075A (ko) 전선피복을 혼합한 농작용 지주목의 제조방법
CN107002305A (zh) 包含生物降解性树脂的牙刷毛的制造方法及利用其的牙刷
KR102624464B1 (ko) 항균 기능성을 가지는 유아용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Nayak et al. Traditional fibres for fashion and textiles: Associated problems and future sustainable fibres
KR102554347B1 (ko)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원단
KR20190111171A (ko) 천연섬유를 함유한 벽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278267B (zh) 仿木完全可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zam et al. Sustainable Raw Materials
KR101610348B1 (ko) 항균 및 항취성이 우수한 베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2267B1 (ko) 패턴이 인쇄된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