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007B1 -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07B1
KR102578007B1 KR1020160173788A KR20160173788A KR102578007B1 KR 102578007 B1 KR102578007 B1 KR 102578007B1 KR 1020160173788 A KR1020160173788 A KR 1020160173788A KR 20160173788 A KR20160173788 A KR 20160173788A KR 102578007 B1 KR102578007 B1 KR 10257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s
pad
data
area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051A (ko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이형 표시장치는, 다수의 서브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다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전압과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베젤 영역과, 베젤 영역의 일측에 형성되며 액티브 영역의 각 데이터라인과 연결된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데이터 전압을 다수의 데이터라인으로 제공하며 패드 영역의 각 패드에 결합되는 패드부가 형성된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패드 영역의 각 패드 중 적어도 일부에는 패드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 측에 패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도전층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 데이터라인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비율이 균일해지므로, 휘도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Driver Intergrated Circuit and Differentiat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배치되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정의되는 서브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데이터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이형 표시장치는, 복수의 서브픽셀들이 배치되는 액티브 영역(A/A: Active Area)과,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을 따라 다수의 패드들로 구성된 패드영역(PA: Pad Area)과, 신호라인들이 배치된 영역으로 구성된 베젤영역(BA: Bazel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이 사각형이 아니라,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이형으로 형성되고, 이 경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각 데이터라인의 길이가 액티브 영역의 부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의 중앙영역에서는 데이터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고, 액티브 영역의 양측부 영역에서는 데이터라인의 길이가 짧아진다.
이렇게 액티브 영역의 부위에 따라 데이터라인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면, 데이터라인의 길이에 따라 데이터라인에 걸리는 로드(Load)가 달라지게 된다. 즉, 짧은 데이터라인에는 상대적으로 로드가 적게 걸리는 반면, 상대적으로 긴 데이터라인에는 상대적으로 로드가 크게 걸리게 된다. 로드가 적게 걸리는 데이터라인에는 스캔신호가 턴온되는 동안 빠르게 원하는 데이터전압에 도달하지만, 로드가 많이 걸리는 데이터라인에는 스캔신호가 턴온되는 동안 원하는 데이터전압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데이터라인 간의 로드의 상이함에 따라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라인 간의 로드의 상이함에 따라 발생하는 휘도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는, 이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다수의 서브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전압과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베젤 영역과, 상기 베젤 영역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의 각 데이터라인과 연결된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시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으로 제공하며 상기 패드 영역의 각 패드에 결합되는 패드부가 형성된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제시한다. 상기 패드 영역의 각 패드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패드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 측에 상기 패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도전층을 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제공한다.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과의 결합을 위해 이중의 층을 이루도록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신호선들이 형성되며, 동일한 층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선들간의 간격이 상기 신호선의 위치에 따라 상호 상이하게 배치된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다수의 서브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전압과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으로 제공하며, 필름과, 상기 필름과의 결합을 위해 이중의 층을 이루도록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신호선들이 형성되고 동일한 층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선들간의 간격이 상기 신호선의 위치에 따라 상호 상이하게 배치된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을 갖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각 데이터라인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비율이 균일해지므로, 휘도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에 베젤 영역에 커패시터를 형성함에 따라 커패시터를 구현할 수 있는 별도의 영역을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젤 영역에 커패시터를 구현함에 따라, 금속 이물 발생 가능성이 높고 다른 회로배선과 쇼트가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서브픽셀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영역을 제2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영역에서 상이한 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정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a, b,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의 a, b, c 영역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a, b, c 영역 중 하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서브픽셀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1방향(예: 열 방향)으로 다수의 데이터라인(DL #1, DL #2...DL #4M, M은 1 이상의 자연수)이 배치되고, 제2방향(예: 행 방향)으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1, GL #2...GL #N,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 배치되며 다수의 서브픽셀(SP)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 #1, DL #2...DL #4M)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1, GL #2...GL #N)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30)와,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T-CON, 140)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1, DL #2...DL #4M)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라인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1, GL #2...GL #N)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1, GL #2...GL #N)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1, GL #2...GL #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1, GL #2...GL #N)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DL #1, DL #2...DL #4M)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라인(DL #1, DL #2...DL #4M)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DL #1, DL #2...DL #4M)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DE 신호, 클럭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의 일례로 도시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각 서브픽셀(SP)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서브픽셀(SP)은 1개의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1개의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하나의 스캔신호(SCAN) 만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각 서브픽셀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고, 구동 트랜지스터(DT: Driving Transistor),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각 서브픽셀은 3개의 트랜지스터(DT, T1, T2)와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서브픽셀은 3T(Transistor) 1C(Capacitor) 구조를 갖는다고 한다.
각 서브픽셀 내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구동전압 라인(DVL: Driving Voltage Line)에서 공급되는 구동전압(EVDD)을 인가받고, 제2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인가된 게이트 노드(N2)의 전압(데이터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이다. 도면에 도시된 EVSS는 기저전압이다.
이러한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1노드(N1), 제2노드(N2), 제3노드(N3)를 가지고 있으며, 제1노드(N1)로는 제1 트랜지스터(T1)와 연결되고, 제2노드(N2)로는 제2 트랜지스터(T2)와 연결되며, 제3노드(N3)로는 구동전압(EVDD)을 공급받는다.
또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표시장치(420)는, 원형 구조 또는 타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110)은 사각형 형태를 갖지만, 시계와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할 경우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형 표시패널(31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표시패널(310)은 둘레를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표시패널(310)은 액티브 영역(A/A)의 중심으로부터 곡선형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둘레가 동일한 길이로 구현되는 원형 표시패널(310), 장방향과 단반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타원형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표시패널(310)의 액티브 영역(A/A: Active Area)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픽셀들이 배치되고,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을 따라 다수의 패드들로 구성된 패드영역(PA: Pad Area)과 신호라인들이 배치된 영역으로 구성된 베젤영역(BA: Bazel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A)이 원형인 경우, 베젤영역(PA)에 배치된 신호라인들은 액티브 영역(A/A)을 감싸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라인들로는 각 서브픽셀에 구동전압(E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DVL), 각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기저전압(EVSS)을 공급하는 기저전압라인(SVL), 게이트 드라이버(GIP), 기준전압(VREF)를 제공하는 기준전압라인(RVL), 데이터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라인(DL)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젤영역(BA)에는 먹스부 및 오토 프루브 검사를 위한 스위칭부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제1방향, 예를 들면 행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라인(미도시)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게이트라인들은 액티브 영역(A/A)의 제2방향, 예를 들면, 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게이트라인들은 게이트 드라이버(130)에 연결되어 게이트 드라이버(130)로부터 제공된 스캔신호를 각 서브픽셀(SP)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액티브 영역(A/A)에는 제2방향, 예를 들면, 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다수의 데이터라인(DL)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데이터라인(DL)들은 액티브 영역(A/A)의 제1방향, 예를 들면, 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데이터라인(DL)들은 베젤영역(BA)으로부터 연장되고, 데이터 전압을 제공받아 각 서브픽셀(SP)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DL)들이 상호 교차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각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에 서브픽셀(SP)이 형성된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상 데이터라인(DL)들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패널(310)은 액티브 영역(A/A)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데이터라인(DL)의 길이가 액티브 영역(A/A)의 부위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데이터라인(DL)의 길이에 따라 데이터라인(DL)에 걸리는 로드(Load)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 데이터라인(DL)에서 원하는 데이터전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이해진다. 이러한 시간차에 의해 데이터라인(DL)에 따라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데이터라인(DL)에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각 커패시터의 용량을 달리 구성함으로써, 각 데이터라인(DL)으로 제공되는 각 데이터 전압이 동일한 시간에 설정된 전압레벨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 데이터라인(DL)에 걸리는 로드의 차이에 따른 휘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각 데이터라인(DL)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패드영역(PA)에는 금속으로 형성된 다수의 패드(35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패드(350)들은 액티브 영역(A/A)을 향해 길게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액티브 영역(A/A)의 둘레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영역(PA)에는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 구동전압, 기저전압 등을 제공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가 접속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일단은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단은 패드영역(PA)에 본딩된다.
COF 방식으로 구현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는, 필름(220)에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250)이 실장되고, 필름(220)의 양단에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부(230)와 제2패드부(210)가 각각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패드부(230)와 제2패드부(210)는 각각 소정의 피치와 폭을 갖는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제1패드부(230)에 형성된 금속 스트립의 피치와 폭이 제2패드부(210)에 형성된 금속 스트립의 피치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가 결합되는 패드영역(PA)의 패드(350)들은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제1패드부(230)에 형성된 각 패드(350)와 매칭되는 크기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영역(PA)을 제2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패드영역(PA)에는 각 패드(350) 중 적어도 일부에 각 패드(350a, 350b)와 소정 간격을 두고 도전층(360a, 360b)이 형성되어 있다. 패드영역(PA)의 각 패드(350)의 양면을 제1면과 제2면이라 하면, 각 패드(350)의 제1면에는 소스 드라이버 구동회로(200)가 본딩 결합되고, 각 패드(350a, 350b)의 제2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도전층(360a, 36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일부 패드(350)에는 도전층(360a, 360b)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각 패드(350a, 350b)의 제2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도전층(360a, 360b)은, 각 패드(350a, 350b)와 함께 커패시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전층(360a, 360b)은 패드영역(PA)의 각 패드(350a, 350b)에 연결된 각 데이터라인(DL)의 길이, 즉 각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따라 커패시터의 용량이 달라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라인(DL)의 길이가 길어지면,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커지며, 이때 도전층(360a)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즉,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커지면 커패시터의 용량이 작게 형성된다. 반대로, 데이터라인(DL)의 길이가 짧아지면,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작아지며, 이때 도전층(360b)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작아지면 커패시터의 용량이 크게 형성된다.
이렇게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따라 커패시터의 용량이 달라지도록 도전층(360a, 360b)을 형성하면, 커패시터에 의해 로드가 적은 데이터라인(DL)과, 로드가 큰 데이터라인(DL)에 원하는 데이터전압에 도달하는 시간이 동일해지므로, 데이터라인(DL)에 따른 휘도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영역(A/A)의 중앙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들의 경우, 데이터라인(DL)들의 길이가 커서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크다. 따라서, 액티브 영역(A/A)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의 경우에는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별도의 로드를 더 부가할 필요가 없다. 즉, 액티브 영역(A/A)의 중앙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패드(350)에는 다른 패드(350a, 350b)와는 달리 도전층(360a, 360b)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A)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된 패드(350)는 도전층(360a, 360b)이 형성되지 아니하였으며, 액티브 영역(A/A)의 중앙영역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도전층(360a, 360b)의 크기가 커지도록 구성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은 길이가 길고 로드가 크므로 해당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패드(350)에는 도전층(360a, 360b)을 형성하지 아니한다. 반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양 단부로 갈수록 데이터라인(DL)의 길이가 짧아지고 로드가 작아지므로 도전층(360a, 360b)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모든 데이터라인(DL)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이 일정 수준까지 상승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동일해지도록 한다.
한편, 각 도전층(360a, 360b)은 각 패드(350)와 함께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해, 그라운드(Ground)층 또는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전층(360a, 360b)은 게이트 드라이버가 형성된 층 또는 그 밖의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전층(360a, 360b)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도전층(360a, 360b)의 형성에 따라 표시장치의 부피나 면적이 커질 염려가 없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영역에서 상이한 두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표시패널의 패드영역(PA)에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제1패드부(23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6은 용량이 적은 커패시터가 형성된 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용량이 큰 커패시터가 형성된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드(350a)의 제1면 상에는 각 패드(350a)를 절연하기 위한 제1절연층(355)이 형성되어 있고, 각 패드(350a)의 제1면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제1패드부(2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절연층(355)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절연층(355)이 제거된 영역에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제1패드부(230)와의 결합을 위한 본딩볼(356)이 도포되어 있다. 본딩볼(356)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각 제1패드부(230)가 각 패드(350a)의 제1면에 결합될 때 열에 의해 용융되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200)의 각 제1패드부(230)가 각 패드(350a)의 제1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각 패드(350a)의 제2면에는 도전층(360a)과의 사이에 제2절연층(365)이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도전층(360a)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패드(350a)에는 용량이 작은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이렇게 용량이 작은 커패시터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라인(DL) 중 로드가 큰 데이터라인(DL)에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도 7의 패드(350b)에 형성된 도전층(360b)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의 패드(350b)에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이렇게 용량이 큰 커패시터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라인(DL) 중 로드가 작은 데이터라인(DL)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각 데이터라인(DL)에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각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따라 도전층(360a, 360b)의 크기에 따라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게 되면, 각 데이터라인(DL)에 로드가 동일하게 걸리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스캔신호에 의해 각 데이터라인(DL)에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때, 동일한 시간동안 동일한 비율로 데이터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각 데이터라인(DL)에 따라 휘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정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a, b,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700)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750)과 필름(720)을 연결하는 신호선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있다.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750)은,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에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된 다수의 신호선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의 신호선들은 필름(720) 상에 형성된 금속 스트립들을 통해 제1패드부(730)로 연결되고, 타측 모서리의 신호선들은 필름(720) 상에 형성된 금속 스트립들을 통해 제2패드부(710)로 연결된다.
이러한 신호선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750)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중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홀수번째 신호선들이 짝수번째 신호선들 보다 상부에 배치되거나, 짝수번째 신호선들이 홀수번째 신호선들 보다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신호선들이 교번적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이중의 층을 형성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부에 배치된 신호선들을 제1신호선(760)들이라 하고, 하부에 배치된 신호선들을 제2신호선(770)들이라 한다.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하부에 배치된 제2신호선(770)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신호선(760)들 간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신호선(770)들 간에도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의 단부에는 필름(720)과의 본딩 결합을 위한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신호선(760)들에 연결된 패드를 제1칩패드부(765)라 하고, 제2신호선(770)들에 연결된 패드를 제2칩패드부(775)라 한다.
제1신호선(760)들은 제2신호선(770)들보다 소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신호선(760)들의 제1칩패드부(765)들은 제2신호선(770)들의 제2칩패드부(775)들 보다 소스 드라이버 칩에서 이격되어 있다. 이때, 제1신호선(760)들이 제2신호선(770)들 보다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제1칩패드부(765)도 제2칩패드부(775) 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720)에는 제1칩패드부(765)와 제2칩패드부(775)에 각각 본딩 결합되는 제1필름 패드부(725a)와 제2필름 패드부(725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칩패드부(765)가 제2칩패드부(775) 보다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제1필름 패드부(725a)가 형성되는 필름(720) 영역은 제2필름 패드부(725b)가 형성되는 필름(720) 영역보다 소정의 단차를 두고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750)의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이웃하는 제1신호선(760)과 제2신호선(770) 사이에서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의 용량은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 즉,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이 제1신호선(760)의 폭보다 크고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이 제2신호선(770)의 폭보다 큰 경우,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이 모두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이 상호 중첩되지 아니하면, 이웃하는 제1신호선(760)과 제2신호선(770) 간의 간격이 커지므로,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이 거의 제1신호선(760)이나 제2신호선(770)의 폭과 동일하거나 소정 폭만큼 작은 경우,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상하방향으로 거의 중첩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도 9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이 없고, 거의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면, 도 10a에 도시된 상태보다는 이웃하는 제1신호선(760)과 제2신호선(770) 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커패시터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이 제1신호선(760)이나 제2신호선(770)의 폭보다 일정 이상 작은 경우,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상하방향으로 일정 폭이상 중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제2신호선(770)들의 일부 영역이 제1신호선(760)들에 가려져 보이게 된다. 이렇게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이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증가하면, 이웃하는 제1신호선(760)과 제2신호선(770) 간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각 제1신호선(760)과 제2신호선(770)이 연결되는 데이터라인(DL)의 길이에 따라 적합한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를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700)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짧은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커패시터의 용량이 커지도록 상호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긴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은 커패시터의 용량이 작아지도록 상호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의 중앙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들의 경우, 데이터라인(DL)들의 길이가 길어서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크므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을 비교적 넓게 배치하여 용량이 작은 커패시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액티브 영역(A/A)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들의 경우에는 데이터라인(DL)들이 길이가 짧아서 데이터라인(DL)의 로드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을 비교적 좁게 배치하여 용량이 큰 커패시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따라, 제1신호선(760)들 간의 간격과 제2신호선(77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모든 데이터라인(DL)에 동일한 시간에 원하는 데이터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패시터의 용량을 3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였으나, 커패시터의 용량은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커패시터의 용량이 선형적으로 변화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700)가 결합되는 패드영역(PA)의 각 패드에 대응되는 도전층(360a, 360b)의 크기를 조절하여 커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각 데이터라인(DL)에 대해 각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반비례하는 용량의 커패시터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700) 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750)과 필름(720)을 연결하는 이중 금속 스트립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1신호선(760)들과 제2신호선(770)들 간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크기가 데이터라인(DL)의 로드에 반비례하도록 조절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데이터라인(DL)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비율이 균일해지므로, 휘도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베젤 영역에 커패시터를 형성함에 따라 커패시터를 구현할 수 있는 별도의 영역을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베젤 영역에 커패시터를 구현함에 따라, 금속 이물 발생 가능성이 높고 다른 회로배선과 쇼트가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소스 드라이버 구동회로
220, 720 : 필름
230 : 제1패드부
250, 750 :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
310 : 표시패널
350 : 패드
360 : 도전층
760 : 제1신호선
765 : 제1칩패드부
770 : 제2신호선
775 : 제2칩패드부

Claims (10)

  1. 다수의 서브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전압과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베젤 영역과, 상기 베젤 영역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의 각 데이터라인과 연결된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으로 제공하며 상기 패드 영역의 각 패드에 결합되는 패드부가 형성된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영역의 각 패드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패드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 측에 상기 패드와 소정 간격을 두고 도전층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로드가 큰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패드에는 상기 도전층이 형성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로드가 작은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패드에는 상기 도전층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이형 표시장치.
  2. 삭제
  3. 필름; 및
    상기 필름과의 결합을 위해 이중의 층을 이루도록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신호선들이 형성되며, 동일한 층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선들간의 간격이 상기 신호선의 위치에 따라 상호 상이하게 배치된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의 층 중 상층과 하층에 각각 배치된 상기 신호선들을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이라 하면, 상기 제1신호선과 상기 제2신호선은 표시패널에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라인의 로드가 커질수록 상기 제1신호선들 간의 간격과 상기 제2신호선들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5. 다수의 서브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에 데이터전압과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으로 제공하며, 필름과, 상기 필름과의 결합을 위해 이중의 층을 이루도록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신호선들이 형성되고 동일한 층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선들간의 간격이 상기 신호선의 위치에 따라 상호 상이하게 배치된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을 갖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의 층 중 상층과 하층에 각각 배치된 상기 신호선들을 제1신호선과 제2신호선이라 하면, 상기 제1신호선과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라인의 로드가 커질수록 상기 제1신호선들 간의 간격과 상기 제2신호선들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이형 표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는 제1칩패드부와 제2칩패드부에 각각 본딩 결합되는 제1필름 패드부와 제2필름 패드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 패드부가 형성되는 필름영역은 상기 제2필름 패드부가 형성되는 필름영역보다 소정의 단차를 두고 높게 형성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는 제1칩패드부와 제2칩패드부에 각각 본딩 결합되는 제1필름 패드부와 제2필름 패드부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 패드부가 형성되는 필름영역은 상기 제2필름 패드부가 형성되는 필름영역보다 소정의 단차를 두고 높게 형성되는 이형 표시장치.
KR1020160173788A 2016-12-19 2016-12-19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KR10257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88A KR102578007B1 (ko) 2016-12-19 2016-12-19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88A KR102578007B1 (ko) 2016-12-19 2016-12-19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51A KR20180071051A (ko) 2018-06-27
KR102578007B1 true KR102578007B1 (ko) 2023-09-18

Family

ID=6278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788A KR102578007B1 (ko) 2016-12-19 2016-12-19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0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368B1 (ko) * 2012-07-11 2019-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0263B1 (ko) * 2014-10-14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72214B1 (ko) * 2015-01-14 2021-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51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5932B2 (en) Display device
KR1024853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909934B2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9607581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oblique line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48468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4843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15494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11048024B (zh) 显示设备和显示面板
US10535317B2 (en)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285862B (zh) 显示装置
KR102645930B1 (ko) 표시장치
KR20160040338A (ko) 패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622833B (zh)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KR102223125B1 (ko)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90044948A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US11730023B2 (en) Display apparatus for minimizing width of bezel
KR102122531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613421B1 (ko) 칩온필름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JP2005189614A (ja) 液晶表示装置
US9711538B2 (en) Display device
KR102578007B1 (ko)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표시장치
KR20190013395A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974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67881B1 (ko) Oled 표시패널
KR20200060941A (ko) Oled 표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