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673B1 -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673B1
KR102577673B1 KR1020230018815A KR20230018815A KR102577673B1 KR 102577673 B1 KR102577673 B1 KR 102577673B1 KR 1020230018815 A KR1020230018815 A KR 1020230018815A KR 20230018815 A KR20230018815 A KR 20230018815A KR 102577673 B1 KR102577673 B1 KR 10257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modem
construction sit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넷
Priority to KR102023001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등을 통해 보다 적합한 감시카메라의 구축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장치는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서로 전력선 통신을 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마스터 모뎀에서 측정된 해당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수신하고,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근거로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에 상응하는 조정사항을 생성한다.

Description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urveillance camera in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공사현장에 보다 적합한 감시카메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현장에는 다수의 현장 작업자가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건설 공사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기인한 위험성 및 투입된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한 안전 사고도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장 작업자에 대한 안전 관리가 매우 중요하나 많은 현장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매우 한정되어 있으므로, 관리자가 건설 공사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에는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건설 공사현장 곳곳에 CCTV와 같은 감시카메라를 설치한 후, 이를 통해 관리자가 관리실에서 원격으로 작업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2449호(2021.11.01)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9738호(2016.06.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등을 통해 보다 적합한 감시카메라의 구축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는,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전력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뎀에서 측정된 해당 마스터 모뎀과 상기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수신하고,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근거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에 상응하는 조정사항을 생성한다.
상기 조정사항은, 상기 감시카메라의 해상도 또는 초당 프레임의 변경을 요구하는 제 1 조정사항, 상기 감시카메라의 교체를 요구하는 제 2 조정사항, 및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전력선 거리의 조정을 요구하는 제 3 조정사항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1 조정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2 조정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3 조정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공사현장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카메라의 변경된 설치위치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끊기고 나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재개되면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과 수신이 재개된 영상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에 포함된 제 1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1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이 재개된 영상에 포함된 제 2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2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 1 객체와 제 2 객체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변경된 설치위치의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감시카메라의 변경된 설치위치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은,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전력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통신가능한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스터 모뎀에서 측정된 해당 마스터 모뎀과 상기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근거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상응하는 조정사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현장의 노드별 통신속도(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영상장치의 통신량 등을 통해 공사현장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여 보다 적합한 감시카메라를 구축할 수 있는 조정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사현장에 설치된 영상장치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해당 영상장치의 설치위치 이동(변경) 여부를 파악하고, 변경된 설치위치의 입력 요청을 함으로써 수신한 변경된 설치위치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상장치의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 사고 또는 터널 붕괴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영상장치의 영상을 통해 어느 장소 또는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공사현장에 설치된 장비와 원격지의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공사현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가 채용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공사현장에 설치된 장비와 원격지의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공사현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작업 관리자는 기간망(20)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는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작업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필요로 하는 공사현장에 대한 정보를 서버(30)에게 요청하고, 서버(30)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업무 프로그램(업무 지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작업 관리자의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업무 프로그램(업무 지시)은 기간망(20) 및 네트워크 장비(40)를 통해 해당 공사현장의 마스터 모뎀(50)에게로 인가되고, 마스터 모뎀(50)은 수신한 업무 프로그램을 슬레이브 모뎀(62 또는 64)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단말(80)에게로 전송한다.
작업 관리자의 단말(10)은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 컴퓨팅 장치로서, 이동형 장치이거나 또는 고정형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작업 관리자의 단말(10)은 컴퓨터,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또는 태블릿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 관리자의 단말(10)은 무선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에 따라 서버(3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에 따라 서버(3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서버(30)는 다수의 공사현장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에 따라, 서버(30)는 작업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해당 작업 관리자의 단말(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서버(30)는 작업 관리자 이외로 해당 서버(3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해당 서버(30)의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30)는 기간망(20) 및 소정의 네트워크 장비(40)를 통해 원격지의 공사현장의 마스터 모뎀(5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네트워크 장비(40)로는 라우터, 공유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공사현장별로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뎀(50)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1층(1F)에 설치될 수 있다.
기간망(20)과 서버(30)와 네트워크 장비(40) 및 마스터 모뎀(50)은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사현장내의 마스터 모뎀(50)에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뎀(60, 62, 64)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0, 62, 64)은 예를 들어 1Gbps 통신 지원이 가능한 전력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0, 62, 64) 간에는 원활한 전력선 통신(PLC)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슬레이브 모뎀을 3개로 하여 마스터 모뎀(50)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조정가능하다.
한편으로,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모뎀(도 2의 경우 60, 62)은 지하층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지하 1층(B1F)에 설치된 슬레이브 모뎀(62)은 다른 지하층(예컨대, B2F)으로 이동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하층에 설치된 슬레이브 모뎀(60, 62)은 서로 전력선(5)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마스터 모뎀(50)과도 전력선(5)으로 연결된다. 물론, 지하 1층(B1F)에 설치된 슬레이브 모뎀(62)을 지하 2층(B2F)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 모뎀(62)에 연결된 영상장치(92) 및 센서(90)를 함께 이동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통신 서비스가 열악한 공사현장에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블 모뎀(60, 62, 64)을 무선으로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통신 서비스가 제대로 지원되지 못하여 통신 음영지역 해소가 어렵다. 한편, 통신 서비스가 열악한 공사현장에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블 모뎀(60, 62, 64)을 유선(예컨대, 광케이블)으로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시키기 위한 비용이 과다하고 통신 라인 구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Gbps 통신 지원이 가능한 전력선(5)을 통해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0, 62, 64)을 서로 연결시킨다.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0, 62, 64)은 기가(Giga)급 칩(예컨대, QCA7500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중 PLC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한다. 즉, 공사현장에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0, 62)을 전력선(5)으로 서로 연결한 PLC 네트워크#1(100), 및 슬레이브 모뎀(60)과 슬레이브 모뎀(64)을 전력선으로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2(1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중 PLC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통신거리를 확장할 수 있고 통신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에는 센서(90) 및 영상장치(92)가 이더넷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슬레이브 모뎀(60)에 센서(90)가 이더넷 케이블(7)로 연결된 것으로 하였고, 도 2에서는 슬레이브 모뎀(60, 62)에 센서(90) 및 영상장치(92)가 이더넷 케이블(7)로 연결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여기서, 센서(90)는 공사현장에서의 환경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합 가스 농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먼지 센서, 소음 센서, 진동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물론, 센서(90)는 상기 예시한 센서들 이외에도 전력량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량계를 통해서는 해당 공사현장의 월별 또는 분기별 전체 전력사용량 및 해당 공사현장내의 주요 장비의 월별 또는 분기별 전력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장치(92)는 CCTV와 같이 공사현장내에서 작업자들 및 작업 환경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센서(90) 및 영상장치(92)는 공사현장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슬레이브 모뎀(60, 62)과 센서(90)가 이더넷 케이블(7)로 연결된 것으로 하였으나, 무선 통신 모듈을 갖춘다면 무선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모뎀은 무선으로 현장 작업자의 단말(80)과 통신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슬레이브 모뎀(64)이 아토셀과 같은 LTE기반의 소형 기지국(70)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단말(80)과 통신할 수 있다. 현장 작업자의 단말(80)은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 컴퓨팅 장치로서, 이동형 장치이거나 또는 고정형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작업자의 단말(80)은 컴퓨터,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또는 태블릿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슬레이브 모뎀(62)은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현장 작업자의 단말(80)에게 업무 프로그램(업무 지시)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마스터 모뎀(50) 및 슬레이브 모뎀(60, 62, 64)은 각각 PLC 모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PLC 모뎀은 PLC 칩과, PLC 통신의 설정 값이 저장되는 PLC메모리와, PLC 신호를 전력신호와 결합 및 분리하는 커플링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LC 통신은 다른 통신방식 내지는 다른 기기와의 주파수 간섭 문제를 차단하기 위하여 금지대역(이하, Notch 대역) 주파수가 존재한다. Notch 대역 주파수는 각 나라의 상황이나 해당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이러한 Notch 대역 주파수 설정 값을 포함한 PLC 통신의 설정 값은 PLC 메모리에 저장되고, PLC 칩은 부팅과정에서 PLC 메모리에 저장된 Notch 대역 주파수 설정 값을 읽어온다. PLC 모뎀은 Notch 대역 주파수 설정 값에 따라, 해당 Notch 대역 주파수가 배제된 2MHz ~ 30MHz 대역에서 고주파 PLC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황에 따라 Notch 대역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공사현장에서의 각종의 현장 정보가 작업 관리자에게 전달가능하고, 작업 관리자로부터의 현장 업무 관리 지침이 현장 작업자에게로 전달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가 채용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의 시스템은, 서버(30), 마스터 모뎀(50), 슬레이브 모뎀(62), 현장 작업자 단말(80), 영상장치(92), 및 데이터베이스(120; DB)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장치(92)는 공사현장의 곳곳에 설치되는 CCTV와 같은 감시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장치(92)는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일 수 있다.
물론, 영상장치(92)는 제 1 설치위치에서 제 2 설치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1층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지하 1층에 설치되었던 영상장치(92)를 떼어내서 다른 공사현장(예컨대, 지하 2층)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영상장치(92)는 현재 설치위치에서 다른 설치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동일층이라고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영상장치(9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영상장치(92)는 공사현장내의 작업 환경 및 공사현장내에서 소정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작업자들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장치(92)는 설치위치별 또는 소정 구획별로 서로 다른 내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1층의 내부 구조 및 작업 내용 등과 지하 2층의 내부 구조 및 작업 내용 등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층별로 설치된 영상장치(92)는 서로 다른 내용의 영상을 촬영할 것이다.
영상장치(92)는 촬영한 영상을 슬레이브 모뎀(62)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영상장치(92)가 촬영한 영상은 해당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화각(시야각) 내의 각종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영상장치(92)는 이더넷 케이블 등으로 슬레이브 모뎀(92)에 연결될 수 있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외부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슬레이브 모뎀(62)과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공사현장의 영상장치(92)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장치(92)의 정보는 공사현장내의 슬레이브 모뎀(62)과 연결된 영상장치(92)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해당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해상도, FPS(Frames Per Second; 초당 프레임), 제조사, 모델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중에서 영상장치(92)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현장 작업자가 자신의 단말(80)로 영상장치(92)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영상장치(92)의 정보 중에서 해상도 및 FPS를 변경가능하다. 즉, 현장 작업자는 단말(80)에서의 키입력을 통해 영상장치(92)의 현재의 해상도 및/또는 FPS를 변경(설정)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서버(30)로부터의 조정사항에 근거하여 영상장치(92)의 현재의 해상도(예컨대, HD(High Definition))를 다른 해상도(예컨대, SD(Standard Definition))로 변경하거나, 영상장치(92)의 현재의 FPS(예컨대, 초당 30프레임)를 다른 FPS(예컨대, 초당 10프레임)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로부터의 조정사항은 현재의 해상도를 다른 해상도로 변경하라는 것이거나, 현재의 초당 프레임을 다른 초당 프레임으로 변경하라는 것일 수 있다.
물론,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중에서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현장 작업자가 자신의 단말(80)로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노드간 거리(즉,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거리)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모뎀(62)이 공사현장에 여러 개 있다면 각각의 슬레이브 모뎀(62)과 단일의 마스터 모뎀(50) 간의 거리가 노드간 거리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노드간 거리는 예를 들어 공사현장별로 제 1 슬레이브 모뎀과 마스터 모뎀(50) 간의 거리, 제 2 슬레이브 모뎀과 마스터 모뎀(50) 간의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간의 거리는 전력선 통신(PLC)이 가능한 전력선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이 꼬여 있을 수 있다. 꼬여 있는 전력선을 잘 풀어서 짧게 하면 슬레이브 모뎀(62)과 마스터 모뎀(50)간의 전력선 통신이 보다 잘 될 수 있으므로, 서버(30)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짧게 하라는 조정사항을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스터 모뎀(50) 및 슬레이브 모뎀(62)을 거친 조정사항은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된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수신한 조정사항을 화면표시하므로, 해당 현장 작업자는 화면표시된 조정사항에 따라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현장 작업자는 단말(80)에서 조정(변경)된 전력선 거리(즉,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키입력한다.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조정된 전력선 거리를 슬레이브 모뎀(62)에게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노드간의 거리는 추후에 서버(30)에서 조정사항을 생성할 때 필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물론,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중에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간의 거리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현장 작업자가 자신의 단말(80)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참조부호 80을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즉, 현장 작업자 단말)인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현장 작업자 대신에 현장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슬레이브 모뎀(62)은 공사현장내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62)의 수는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건물의 층수에 일치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층별로 하나씩의 슬레이브 모뎀(62)이 설치될 수 있다. 동일층이라고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다수의 슬레이브 모뎀(62)이 설치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62)은 예를 들어 1Gbps 통신 지원이 가능한 전력선을 통해 단일의 마스터 모뎀(50)과 연결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62)은 무선(예컨대, LTE, WiFi 등)으로 현장 작업자 단말(80)과 통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62)은 영상장치(92)에서 촬영된 공사현장의 영상을 수신하여 마스터 모뎀(5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62)은 영상장치(92)로부터의 공사현장의 영상을 마스터 모뎀(50)에게로 전달만 할 뿐, 전달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
슬레이브 모뎀(62)에서 마스터 모뎀(50)에게로 전력선을 매개로 영상을 전달할 때, 대략 2Mbps 정도의 속도로 전달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슬레이브 모뎀(62)은 HD급 영상의 전달이 가능하다.
한편, 슬레이브 모뎀(62)은 서버(30)로부터의 소정의 조정사항을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수신하여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62)은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의 영상장치(92)의 정보를 마스터 모뎀(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슬레이브 모뎀(62)은 공사현장의 영상 및 영상장치(92)의 정보를 마스터 모뎀(50)에게로 전달할 때, 자신의 식별자 정보를 함께 보낼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공사현장에 단일로 설치될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각각의 슬레이브 모뎀(62)으로부터의 공사현장의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공사현장의 영상들을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모뎀(50)은 자신의 식별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각각의 슬레이브 모뎀(62)으로부터의 노드간 거리를 수신하고, 수신한 노드간 거리를 서버(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간 거리는 현장 작업자 단말(80)에서 입력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간의 전력선 통신(PLC)이 가능한 전력선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스터 모뎀(50)은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를 수신하므로, 수신된 해상도 및 FPS를 근거로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예컨대, 단위; bps)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예컨대, 단위; byte/sec)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마스터 모뎀(50)은 해상도 및 FPS에 상응하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이 미리 매칭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 등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으로, 마스터 모뎀(50)은 슬라이브 모뎀(62)을 통해 영상장치(92)의 영상 데이터(즉, 공사현장의 영상)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통신량(예컨대, 단위; byte/sec)을 실시간으로 측정(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모뎀(50)은 영상장치(92)가 현재 어느 정도의 통신량(예컨대, byte/sec)으로 영상 데이터를 보내고 있는지를 측정(계산)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50)은 이때의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예컨대, bps)를 측정(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모뎀(62)이 공사현장에 여러 개 있다면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는 예를 들어 공사현장별로 제 1 슬레이브 모뎀과 마스터 모뎀(50) 간의 통신속도, 제 2 슬레이브 모뎀과 마스터 모뎀(50) 간의 통신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은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결과가 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모뎀(50)은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의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를 근거로 영상장치(92)가 어느 정도의 통신 속도 및 통신량 등으로 영상 데이터를 보냈는지를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스터 모뎀(50)은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에 기인한 통신 속도 및 통신량을 영상장치(92)의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측정한 통신 속도와 통신량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정상적인 영상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뎀(50)은 측정된 통신 속도와 통신량이 현장 작업자 단말(80)에서 입력된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에 기인한 통신 속도와 통신량의 소정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정상적인 영상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만약, 마스터 모뎀(50)은 측정된 통신 속도와 통신량이 현장 작업자 단말(80)에서 입력된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에 기인한 통신 속도와 통신량의 소정의 오차 범위를 벗어난다면 통신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으로, 마스터 모뎀(50)은 동작중이던 영상장치(92)로부터의 영상이 소정 시간이상 계속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면 통신 실패로 간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스터 모뎀(50)은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 성공율을 파악할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측정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통신량을 서버(3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서버(30)는 공사현장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영상장치(92)로부터의 공사현장 영상을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는 수신한 공사현장 영상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사현장은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서버(30)는 공사현장 영상을 공사현장별로 구분되게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것이다. 한편, 영상장치(92)는 공사현장의 층별 또는 소정 구획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서버(30)는 공사현장 영상을 해당 공사현장의 층별 또는 소정 구획별로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마스터 모뎀(50)으로부터의 노드별 통신속도(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영상장치(92)의 통신량, 영상장치(92)의 정보(예컨대, 해상도, FPS, 제조사, 모델명 등), 노드간 거리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는 수신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시킨 각각의 공사현장의 노드별 통신속도와 영상장치(92)의 정보, 영상장치(92)의 통신량,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 노드간 거리 등을 통신 네트워크 분석용 AI알고리즘의 입력 데이터로 하여 각각의 공사현장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정보들중에서 마스터 모뎀(50)에서 측정된 공사현장의 노드별 통신속도와 영상장치(92)의 통신량 만으로도 서버(30)는 해당 공사현장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30)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보다 적합한 감시카메라를 구축할 수 있는 조정사항을 도출하여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시킨 영상장치(92)의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장치(92)의 위치 이동(변경)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30)는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현재의 위치를 입력해 달라는 요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상술한 서버(3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영상장치(92)로부터의 영상(즉, 공사현장 영상)을 저장하되, 각각의 공사현장의 층별 또는 소정 구획 등의 단위로 공사현장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각각의 공사현장의 노드별 통신속도(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영상장치(92)의 통신량, 영상장치(92)의 정보(예컨대, 해상도, FPS, 제조사, 모델명 등), 노드간 거리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에서는 서버(3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서로 독립되게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120)가 서버(3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버(30)의 내부 구성도이다.
서버(30)는 통신부(32), 메모리(34), 및 프로세서(3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는 외부장치(예컨대, 마스터 모뎀(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2)는 각각의 공사현장의 마스터 모뎀(50)과 통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는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한 영상장치(92)의 공사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는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한 영상장치(92)의 정보(예컨대, 해상도, FPS, 제조사, 모델명 등)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는 마스터 모뎀(50)에서 측정된 노드별 통신속도(즉,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는 공사현장내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소정의 조정사항을 현장 작업자 단말(80)측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사항은 영상장치(92)의 해상도를 낮춰주세요, 영상장치(92)의 해상도를 높여주세요, 영상장치(92)의 FPS를 낮춰주세요, 영상장치(92)의 FPS를 높여주세요,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를 교체해주세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짧게 해주세요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는 설치위치가 이동된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현장 작업자 단말(80)측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2)는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의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4)는 프로세서(3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메모리(34)는 서버(30)로 입력되거나 서버(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는 서버(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서버(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는 메모리(3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서버(30)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34)는 프로세서(36)에 의해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36)는 서버(3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버(3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통신부(32)에 수신되는 영상장치(92)의 정보(예컨대, 해상도, FPS, 제조사, 모델명 등), 노드별 통신속도(즉,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영상장치(92)의 통신량,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즉, 설치위치가 이동된 현재의 위치 정보), 노드간 거리(즉, 미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공사현장별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노드별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을 마스터 모뎀(50)에서 측정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30)내의 프로세서(36)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노드별 통신속도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이므로, 마스터 모뎀(50)에서 노드별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을 측정하는 것이 프로세서(36)에서 측정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통신 네트워크 분석용 AI알고리즘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6)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시킨 각각의 공사현장의 노드별 통신속도와 영상장치(92)의 정보, 영상장치(92)의 통신량,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 노드간 거리 등을 통신 네트워크 분석용 AI알고리즘의 입력 데이터로 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으로, 프로세서(36)는 키입력된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에 상응하는 노드별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을 룩업테이블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룩업테이블에 대해서 별도의 도면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룩업테이블은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과 노드간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입력된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가 제 1 값이라면 제 1 값에 매칭되는 노드별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이 룩업테이블에 존재한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36)는 룩업테이블을 통해 파악된 해당 노드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이 마스터 모뎀(50)에서 측정된 해당 노드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과 상당한 차이(즉, 기준 범위 이상의 차이)가 있다면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이 비정상적(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안 좋은 경우)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차이가 별로 없다면(즉, 기준 범위 이내의 차이가 있다면)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이 비정상적(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의 이유를, 전력선 통신의 문제, 영상장치의 성능 문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의 문제 등에서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에 따라 다양한 조정사항 중에서 어느 한 조정사항을 도출(생성)하여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조정사항은 마스터 모뎀(50) 및 슬레이브 모뎀(62)을 통해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될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36)는 영상장치(92)의 해상도를 낮추세요 또는 영상장치(92)의 FPS를 낮추세요 등의 제 1 조정사항을 도출(생성)하여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해상도 또는 FPS 조정(변경) 요구에 따라 해당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또는 FPS가 조정(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서(36)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6)는 해당 영상장치(92)를 성능이 보다 좋은 것으로 교체하라는 제 2 조정사항을 도출(생성)하여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영상장치(92) 교체 요구에 따라 해당 영상장치(92)가 신규의 영상장치(92)로 교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서(36)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6)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보다 짧게 하라는 제 3 조정사항을 도출(생성)하여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이 꼬여 있어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길이)가 길게 된다면 전력선 거리(길이)가 짧은 것에 비해 통신이 제대로 안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술한 조정사항을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좋지 않으면 프로세서(36)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보다 짧게 하라는 조정사항을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선 거리를 보다 짧게 하라는 조정사항은 영상장치(92) 자체는 충분히 괜찮은데도 불구하고 전력선 통신이 안 좋을 때에 도출(생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다르게,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또는 FPS가 조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되면 프로세서(36)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보다 짧게 하라는 조정사항을 도출(생성)하여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보다 짧게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되면 프로세서(36)는 해당 영상장치(92)를 성능이 보다 좋은 것으로 교체하라는 조정사항을 도출(생성)하여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현장 작업자는 자신의 단말(8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술한 조정사항을 확인한 후에 그에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하고 나서 대응조치 내역을 서버(30)에게로 보낸다.
프로세서(36)는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내역을 통신부(32)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수신된 대응조치 내역을 통해 대응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면 재차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고, 이전의 성능보다 개선(향상)되었다면 개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해당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성능보다 개선(향상)되지 않았으면 프로세서(36)는 개선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해당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영상장치(92)의 영상(즉, 공사현장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장치(92)의 위치 이동(변경)이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영상장치(92)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36)는 변경된 현재의 위치를 입력해 달라는 요청을 마스터 모뎀(50) 및 슬레이브 모뎀(62)을 통해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낼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의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즉, 변경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120)내의 해당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지하 2층의 공사현장에서 작업하던 현장 작업자는 작업이 종료된 저녁 시간대가 되면 지하 2층에 설치시켜 둔 영상장치(92)를 오프(off)시키고 퇴근할 것이다. 그리고, 다음날 출근하여 지하 2층의 영상장치(92)를 다시 온(on)시킨다. 그러면, 지하 2층의 영상장치(92)는 화각(시야각) 내의 모든 피사체(즉, 공사현장 영상)를 촬영하여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에게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서버(30)는 어제 지하 2층의 영상장치(92)에서 촬영된 영상과 오늘 지하 2층의 영상장치(92)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분석한다. 이 경우는 동일층에서의 어제와 오늘의 영상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므로, 서버(30)는 어제의 영상의 공사현장(즉, 지하 2층)의 내부 환경 등이 오늘의 영상의 공사현장(즉, 지하 2층)의 내부 환경 등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에 따라, 서버(30)는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의 이동(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동일층에 대한 어제의 영상 및 오늘의 영상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객체들(예컨대, 벽, 기둥, 보, 계단 등과 같이 고정된 객체들)의 종류, 형태, 위치 등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으므로, 서버(30)는 영상장치(92)가 설치위치의 변경(이동)없이 그대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지하 2층에 설치된 영상장치(92)를 떼어서 지하 3층에 설치한 경우 해당 영상장치(92)는 이전까지는 지하 2층의 공사현장 영상을 서버(30)에게로 전송하였겠지만, 지하 3층으로 이동하여 설치된 이후에는 지하 3층의 영상(즉, 공사현장 영상)을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에게로 보내게 된다. 이 경우는 설치위치 변경전의 해당 영상장치(92)로부터의 영상과 설치위치 변경후의 해당 영상장치(92)로부터의 영상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므로, 서버(30)는 설치위치 변경전의 공사현장(지하 2층)의 내부 환경 등이 설치위치 변경후의 공사현장(지하 3층)의 내부 환경 등과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에 따라, 서버(30)는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이동(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설치위치 변경전의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들(예컨대, 벽, 기둥, 보, 계단 등과 같이 고정된 객체들)의 종류, 형태, 위치 등이 설치위치 변경후의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들의 종류, 형태, 위치 등과는 차이가 많이 나므로, 서버(30)는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이동(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실시간으로 영상장치(92)의 영상을 분석할 필요없이, 영상장치(92)의 영상의 수신이 끊기고 나서 소정 시간 이후에 해당 영상장치(92)의 영상의 수신을 재개하게 되면 끊기기 전의 영상과 재개된 영상을 비교분석함이 바람직하다. 즉, 영상장치(92)의 영상의 수신이 끊기고 나서 소정 시간 이후에 해당 영상장치(92)의 영상의 수신이 재개되었을 때가 해당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이동(변경)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프로세서(36)는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끊기고 소정 시간 이후에 재차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재개되면,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에 포함된 제 1 객체(예컨대, 벽, 기둥, 보, 계단 등과 같이 고정된 객체)를 추출하고, 제 1 객체를 식별하고, 수신이 재개된 영상에 포함된 제 2 객체(예컨대, 벽, 기둥, 보, 계단 등과 같이 고정된 객체)를 추출하고, 제 2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 1 객체와 제 2 객체가 서로 상이하면(즉, 제 1 객체와 제 2 객체의 종류, 형태, 위치 등이 상이하면) 해당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프로세서(36)는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의 위치 a에 계단 A가 있는데 반해, 수신이 재개된 영상의 위치 a에 계단 A가 없거나 계단 이외의 다른 객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36)는 해당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36)는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현재의 설치위치를 입력해 달라는 요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내게 된다. 여기서, 프로세서(36)는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 영상장치(92)의 변경된 설치위치의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변경된 현재의 설치위치를 입력해 달라는 요청을 주기적으로 보낼 수 있다.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가 중요한 이유는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터널이 붕괴되었을 때 정확한 사고 지점(위치)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변경되었음에 불구하고 해당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가 갱신되지 않았다면 사고 지점을 변경전의 위치로 잘못 파악할 수 있다.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현재 위치가 제대로 입력되어 있다면 각각의 영상장치(92)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므로, 화재 사고 또는 터널 붕괴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영상장치(92)의 영상을 통해 어느 장소 또는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장치(92)의 설치 위치가 변경(이동)되었다면 즉각적으로 해당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프로세서(36)는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마다 위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는 자신의 단말(80)을 통해 공사현장내의 영상장치(92)의 정보(예컨대, 해상도, FPS, 제조사, 모델명 등) 및 노드간 거리(즉, 미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키입력한다(S10). 그에 따라, 키입력된 영상장치(92)의 정보 및 노드간 거리는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에게로 전송된다.
그리고, 공사현장의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즉, 해당 영상장치(92)의 화각 내의 각종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은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에게로 전송된다(S12).
실시예들에 따라, 무조건 상술한 S10이 먼저 행해진 후에 S12가 이루어져야 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 S10 및 S12는 거의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고, S10과 S12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어, 마스터 모뎀(50)은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및 FPS를 수신하므로, 수신된 해상도 및 FPS를 근거로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예컨대, 단위; bps)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예컨대, 단위; byte/sec)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뎀(50)은 해상도 및 FPS에 상응하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이 미리 매칭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 등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마스터 모뎀(50)은 슬라이브 모뎀(62)을 통해 영상장치(92)의 영상 데이터(즉, 공사현장의 영상)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통신량(예컨대, 단위; byte/sec)을 실시간으로 측정(계산)한다(S14). 이 경우, 마스터 모뎀(50)은 영상장치(92)가 현재 어느 정도의 통신량(예컨대, byte/sec)으로 영상 데이터를 보내고 있는지를 측정(계산)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50)은 이때의 해당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예컨대, bps)를 측정(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모뎀(50)은 측정한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서버(30)에게로 전송한다(S16).
서버(30)는 수신되는 영상장치(92)의 정보, 노드간 거리,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및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S18). 여기서, 상기에서 열거한 정보(데이터)들 중에서 영상장치(92)에서 촬영되는 영상,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은 계속적으로 수신될 것이므로, 서버(30)는 영상장치(92)에서 촬영되는 영상,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통신속도, 영상장치(92)의 통신량을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것이다.
이후,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시킨 각각의 공사현장의 노드별 통신속도와 영상장치(92)의 정보, 영상장치(92)의 통신량,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 노드간 거리 등을 통신 네트워크 분석용 AI알고리즘의 입력 데이터로 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한다(S20).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어느 한 조정사항이 도출되었다면(S22에서 "Yes") 서버(30)는 도출된 조정사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한다(S24). 이때, 조정사항은 마스터 모뎀(50) 및 슬레이브 모뎀(62)을 통해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된다.
현장 작업자는 자신의 단말(8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술한 조정사항을 확인한 후에 그에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수행한다(S26).
그리고 나서, 현장 작업자는 자신의 단말(80)을 이용하여 대응조치 내역을 키입력하고, 키입력된 대응조치 내역을 서버(30)에게로 보낸다(S28). 그에 따라, 서버(30)는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의 대응조치 내역을 수신하고, 조정사항에 상응하는 대응조치가 수행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의 서버(30)에서 출력되는 조정사항은 다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된 경우, 먼저 영상장치(92)의 해상도를 낮추세요 또는 영상장치(92)의 FPS를 낮추세요 등의 제 1 조정사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영상장치(92; 감시카메라)의 해상도 또는 FPS 조정(변경) 요구에 따라 해당 영상장치(92)의 해상도 또는 FPS가 조정(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차 서버(30)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는 해당 영상장치(92)를 성능이 보다 좋은 것으로 교체하라는 제 2 조정사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영상장치(92) 교체 요구에 따라 해당 영상장치(92)를 신규의 영상장치(92)로 교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재차 서버(30)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현재 전력선 통신이 잘 안되고 있는 것(즉,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는 마스터 모뎀(50)과 슬레이브 모뎀(62) 간의 전력선 거리를 보다 짧게 하라는 제 3 조정사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30)는 제 1 조정 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에도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이면 제 3 조정사항을 전송하고, 제 3 조정 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에도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이면 제 2 조정사항을 최종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30)는 영상장치(92)의 위치 이동(변경)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영상장치(92)의 영상을 분석한다(S30).
예를 들어, 지하 2층에 설치된 영상장치(92)를 떼어서 지하 3층에 설치하게 되면 이전까지는 지하 2층의 공사현장 영상을 서버(30)에게로 전송하였겠지만, 지하 3층으로 이동하여 설치된 이후에는 해당 영상장치(92)는 지하 3층의 영상을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에게로 보내게 된다. 이 경우, 서버(30)는 이전의 영상(즉, 지하 2층에서의 촬영 영상)과 현재의 영상(즉, 지하 3층에서의 촬영 영상)을 비교분석하여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지하 2층의 객체들(예컨대, 벽, 기둥, 보, 계단 등과 같이 고정된 객체들)과 지하 3층의 객체들은 서로 다르므로, 서버(30)는 이전의 영상과 현재의 영상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서버(30)는 영상장치(92)의 영상 분석을 통해 현재의 영상 내용이 이전의 영상 내용과 상당히 차이난다면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S32에서 "Yes").
서버(30)는 변경된 현재의 위치를 입력해 달라는 요청을 해당 공사현장의 현장 작업자 단말(80)에게로 보내게 된다(S34). 여기서, 서버(30)는 현장 작업자 단말(80)로부터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변경된 현재의 위치를 입력해 달라는 요청을 주기적으로 보낼 수 있다.
이후, 현장 작업자는 자신의 단말(8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 입력 요청을 근거하여 위치변경된 해당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키입력한다.
그에 따라, 현장 작업자 단말(80)은 위치변경된 해당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모뎀(62) 및 마스터 모뎀(50)을 통해 서버(30)에게로 전송하고, 서버(30)는 수신한 위치변경된 해당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영상장치(92)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상술한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여 조정사항을 생성(도출)하는 과정 이후에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 변경(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반대로 영상장치(92)의 설치위치 변경(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 서버 32 : 통신부
34 : 메모리 36 : 프로세서
50 : 마스터 모뎀 62 : 슬레이브 모뎀
80 : 현장 작업자 단말 92 : 영상장치
12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전력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마스터 모뎀에서 측정된 해당 마스터 모뎀과 상기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수신하고,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근거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에 상응하는 조정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조정사항은,
    상기 감시카메라의 해상도 또는 초당 프레임의 변경을 요구하는 제 1 조정사항, 상기 감시카메라의 교체를 요구하는 제 2 조정사항, 및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전력선 거리의 조정을 요구하는 제 3 조정사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1 조정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3 조정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제 3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2 조정사항을 생성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전력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공사현장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설치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카메라의 이동된 설치위치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끊기고 나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재개되면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과 수신이 재개된 영상을 비교분석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에 포함된 제 1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1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이 재개된 영상에 포함된 제 2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 2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 1 객체와 제 2 객체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이동된 설치위치의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감시카메라의 이동된 설치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10.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전력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통신가능한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스터 모뎀에서 측정된 해당 마스터 모뎀과 상기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통신속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통신량을 근거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의 결과에 상응하는 조정사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사항은,
    상기 감시카메라의 해상도 또는 초당 프레임의 변경을 요구하는 제 1 조정사항, 상기 감시카메라의 교체를 요구하는 제 2 조정사항, 및 상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 간의 전력선 거리의 조정을 요구하는 제 3 조정사항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사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1 조정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3 조정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제 3 조정사항에 따른 대응조치 이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결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 2 조정사항을 생성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전력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설치된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와 통신가능한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공사현장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설치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카메라의 이동된 설치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설치위치가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끊기고 나서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공사현장의 영상의 수신이 재개되면 수신이 끊기기 전의 영상과 수신이 재개된 영상을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KR1020230018815A 2023-02-13 2023-02-13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7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815A KR102577673B1 (ko) 2023-02-13 2023-02-13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815A KR102577673B1 (ko) 2023-02-13 2023-02-13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673B1 true KR102577673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815A KR102577673B1 (ko) 2023-02-13 2023-02-13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720A (ko) * 2014-01-20 2015-07-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프로파일 설정 방법 및 영상 수신 장치
KR101629738B1 (ko) 2014-04-16 2016-06-1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쇄 회로 티비 감시 시스템의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JP2017204825A (ja) * 2016-05-13 2017-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KR20200085244A (ko) * 2013-04-29 2020-07-14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22449B1 (ko) 2020-04-10 2021-11-05 (주)오픈웍스 장비전원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244A (ko) * 2013-04-29 2020-07-14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50086720A (ko) * 2014-01-20 2015-07-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프로파일 설정 방법 및 영상 수신 장치
KR101629738B1 (ko) 2014-04-16 2016-06-1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쇄 회로 티비 감시 시스템의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JP2017204825A (ja) * 2016-05-13 2017-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KR102322449B1 (ko) 2020-04-10 2021-11-05 (주)오픈웍스 장비전원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2512A1 (en)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learning system, information transfer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1924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lap detection in surveillance camera network
KR102271613B1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US20200302777A1 (en) Fire control panel configuration
US202001833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rom industrial equipment
KR101974278B1 (ko) 반도체장비의 원격제어시스템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77673B1 (ko) 공사현장의 감시카메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06832B1 (ko) 설비 관리 통합관제시스템
JP2000032437A (ja) 画像伝送システム
KR10036491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1247B1 (ko) 엣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의 재난을 감지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CN114553725B (zh) 一种机房监控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81400B1 (ko)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US202301002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autonomous robots for blind spot coverage
KR20100054028A (ko) 센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3150968C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onitoring civil air defense equipment maintenance
KR20190048191A (ko) 빌딩 통합제어 및 3d 구현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KR20050090111A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무인 원격감시 보안시스템
KR20030004770A (ko) 공간정보관리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터널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118339A (ko) 지능형 무인 감시 서비스 방법
KR20180000559A (ko) ARP Spoofing을 이용한 무인항공기의 지상통제 장비 점검 시스템
KR20210051641A (ko)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02931B1 (en) Remote control solution server that integrates and manages IoT device and 5G/LTE wireless ro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