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898B1 -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898B1
KR102576898B1 KR1020220128456A KR20220128456A KR102576898B1 KR 102576898 B1 KR102576898 B1 KR 102576898B1 KR 1020220128456 A KR1020220128456 A KR 1020220128456A KR 20220128456 A KR20220128456 A KR 20220128456A KR 102576898 B1 KR102576898 B1 KR 10257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cash flow
value
new drug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규
배지원
김휘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약의 개발 단계에서 위험조정 요인을 적절히 반영하여 신약의 기술가치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방법은 신약개발 단계에서 rNPV(risk-adjusted NPV, 위험조정 NPV)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발 중인 신약에 대한 현금흐름 추정기간,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현금흐름, 할인율,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신약 승인확률, 기술기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금흐름에 할인율에 따른 현가계수를 적용하여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며,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합산한 후 기술기여도를 곱해 기술가치를 산정하되, 상기 위험조정지수는 (i)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산정되고, (ii)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에 반비례하여 1보다 크게 조정된 값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technology value evaluation specialized for technology in the new drug development stage}
본 발명은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약의 개발 단계에서 위험조정 요인을 적절히 반영하여 신약의 기술가치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술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나 개발 진행 중인 기술의 가치가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기술의 가치를 기술성과 시장성, 사업성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금액이나 등급, 의견 등으로 표현하는 것을 기술평가라고 하는데, 이러한 기술평가의 하나의 유형으로 기술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가치평가 원칙과 방법론에 근거해 사업화하려는 기술이나 사업화된 기술에 의해 창출될 경제적 가치 평가를 통해 금액으로써 계수화하는 기술가치평가가 있다. 이러한 기술가치평가는 용도와 목적 등에 따라 시장접근법, 수익접근법, 비용접근법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수익접근법이란 대상기술의 경제적 수명 동안 기술 사업화로 인해 창출되는 미래의 경제적 이익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값을 도출하는 기술요소법 기반의 가치산정 방법이며, 시장접근법은 관련 시장에 대상 기술과 같거나 유사한 기술이 얼마에 거래되었는지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상대적인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고, 비용접근법은 대체의 경제원리에 기초해 대상 기술을 개발하는 것에 들어간 비용을 같은 경제적 이익을 가지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구매하는데 드는 원가를 추정해 기술의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그 중에서 수익접근법은 현금흐름할인(discounted cash flow, DCF) 방법을 기업가치평가에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을 가중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이라는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present vlaue, PV)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가치평가는 바이오·제약 산업에서 기술사업화를 진행하기에 앞서 경제적 이익을 예측하는데 이용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제약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고, 약 15년의 긴 개발 기간과 더불어 2-3조원에 이르는 개발 비용이 드는 고위험이지만, 그만큼 신약 개발이 성공할 때 약물의 특허 만료 시까지 시장을 독점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또한, 바이오·제약 산업의 신약 개발은 타 산업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신약 개발에는 긴 시간 및 비용과 더불어 이전 단계를 통과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실패 시 매출액이 존재하지 않아 비용만 발생하는 특징과 성공확률이라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이라는 특징을 가진 신약 개발은 새로운 약물의 표적을 발굴하기 위한 초기 투자 비용이 증가하고, 인체 안전성에 관한 규정이 강화됨에 따라 임상시험 실패확률이 갈수록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신약 개발에 필요한 연구 개발 비용 및 시간은 늘어나는 반면 신약의 숫자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이 분야의 성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신약 개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적은 비용으로 상당 기간 독점권을 확보할 수 있는 개량신약이라는 선택지가 신약 개발에 있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인공지능을 이용해 기존 신약 개발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하는 신약 개발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제약사들은 갈수록 커지는 신약 개발 시간과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임상이나 임상1상 또는 임상2상까지 진행한 후 빅파마(Big Pharma)에게 기술을 이전하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개발단계에 있는 신약의 기술이전을 위해서는 개발단계 신약의 기술을 평가하여 가치를 매기는 기술가치평가 과정이 필요하다.
기술가치 평가 방법 중, NPV(net present value, 순현재가치) 방법은 현금흐름할인 방법에 기반한 평가 방법으로, 미래에 발생할 현금유입의 현재가치에서 미래에 발생할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차감하는 경제성 평가 방법이다. 이러한 NPV의 경우 바이오·제약 산업의 특징인 위험을 기술가치평가에 있어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이오·제약의 경우 기술가치평가에 있어 바이오·제약 산업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rNPV(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위험조정 순현재가치)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rNPV는 eNPV(expected net present value, 기대 순현재가치)라고도 불리며 신약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산정하기 위해 매출액, 개발 비용 및 소요 시간 등과 추가적인 위험 요소를 반영하여 산정한다. 여기서 위험(risk)이란, 일반적으로 손해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rNPV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는 미래현금흐름에 현재가치화를 진행한 후 바이오·제약 산업의 특징인 각 개발단계에 대한 성공확률, 경쟁 신약의 출시 가능성 등의 불확실성을 가진 위험 요소와 기술기여도를 반영한 순현재가치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험을 반영하는 위험조정(risk adjustment, RA)은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위험조정의 의미를 추정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 부채로써 다루고 있다(금융위원회, 2018). 여기서 경제학적으로 불확실성(uncertainty)은 미래에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확률이 어떠한지를 전혀 모르는 경우이고, 위험(risk)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객관적 확률을 아는 상태를 의미한다.
rNPV 있어 위험조정은 현재가치화한 미래현금흐름에 신약 승인확률이라는 위험조정지수를 반영한 것인데, 신약 개발에 있어 신약 승인확률이라는 위험조정지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험이 감소하는 형태가 아닌 누적 승인확률로 반영하기 때문에 rNPV에서 누적 신약 승인확률은 임상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위험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위험조정을 반영한 결과가 추가 부채로써 나타나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존 rNPV 기술가치평가 방법에서는 위험반영이 추가 부채로 나타나 조정된 가치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는 결과들을 보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8483호 (2019.01.24. 공개)
본 발명은 종래 rNPV 기술가치 평가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제약 산업의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rNPV 기술가치 평가에 있어 위험조정 요인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신약의 기술가치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방법은 신약개발 단계에서 rNPV(risk-adjusted NPV, 위험조정 NPV)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발 중인 신약에 대한 현금흐름 추정기간,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현금흐름, 할인율,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신약 승인확률, 기술기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금흐름에 할인율에 따른 현가계수를 적용하여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며,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합산한 후 기술기여도를 곱해 기술가치를 산정하되, 상기 위험조정지수는 (i)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산정되고, (ii)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에 반비례하여 1보다 크게 조정된 값으로 산정된다.
상기 (ii)에 있어서, 상기 위험조정지수는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2에서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을 뺀 값 또는 1에 해당 연도의 신약 실패확률을 더한 값)으로 산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술가치는 다음 수학식을 통해 산정된다.
또한,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은 신약 승인 이전의 사업화 준비기간과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합산하여 산정되고,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임상시험 실패시 신약 개발이 종결되는 경우,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은 위험조정지수가 반영되지 않은 해당 연도의 현금흐름 현재가치로 산출된다.
여기서, 상기 기술가치는 다음 수학식을 통해 산정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는 신약개발 단계에서 rNPV(risk-adjusted NPV, 위험조정 NPV)방법을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개발 중인 신약에 대한 현금흐름 추정기간,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현금흐름, 할인율,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신약 승인확률, 기술기여도를 산출하는 평가 데이터 산출부와; 산출된 현금흐름에 할인율에 따른 현가계수를 적용하여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며,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합산한 후 기술기여도를 곱해 기술가치를 산정하는 기술가치 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는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로 산정된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상기 위험조절 순현금흐름을 산출하고,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에 반비례하여 1보다 크게 조정된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상기 위험조절 순현금흐름을 산출한다.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는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2에서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을 뺀 값 또는 1에 해당 연도의 신약 실패확률을 더한 값)으로 산출된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상기 위험조절 순현금흐름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는 다음 수학식을 통해 기술가치를 산정한다.
또한, 상기 평가 데이터 산출부는 신약 승인 이전의 사업화 준비기간과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합산하여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을 추정하고,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는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임상시험 실패시 신약 개발이 종결되는 경우,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위험조정지수가 반영되지 않은 해당 연도의 현금흐름 현재가치로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는 다음 수학식을 통해 기술가치를 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제약 산업 분야에서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rNPV 기술가치 평가에 있어, 위험이 증가하면 위험 조정된 가치는 감소하거나 고정되도록 위험조정 요인을 반영하고 위험조정 현금흐름은 감소하도록 위험조정 요인을 반영하는 새로운 rNPV 기술가치평가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신약의 기술가치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rNPV 방법에 의한 기술가치평가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장치의 네트워크 연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먼저 종래 rNPV 기술가치 평가 방법의 문제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rNPV 기술가치 평가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Jeffrey J. S. et al.(2001)는 생명공학기술의 가치평가에 있어 기존 NPV(net present value; 순현재가치) 방법의 경우 여러 위험요인이 존재하기에 기술가치가 과대평가가 될 수 있는 문제를 NPV 방법에 위험을 반영한 가치평가 방법인 rNPV(risk-adjusted NPV, 위험조정 NPV)를 제시하였다. rNPV는 연도별 미래현금흐름을 할인율을 통해 현재가치로 환산하고 신약 승인확률을 위험조정 지수로써 반영하고 있다.
도 1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간하는 2021년도 기술평가 실무가이드에 제시된 rNPV 방법에 의한 기술가치평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PV 방법에서 주요 평가 요소는 기술의 경제적 수명(현금흐름 추정기간), 현금흐름(매출액, 매출원가 및 판매관리비, 예상 자본적지출, 감가상각비, 순운전자본), 할인율, 신약 승인확률, 기술기여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2021년도 기술평가 실무가이드에서는 rNPV 산식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음 수학식 1은 일반 rNPV 산식을 나타낸 것이다.
2021년도 기술평가 실무가이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Non-NME 관련 임상 성공확률 및 신약 승인확률(누적 성공확률)은 다음 표 1과 같다.
상기 표 1의 신약 승인확률에 따라, 위험이 조정된 현금흐름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신약 승인확률을 곱한 값으로 다음 표 2와 같이 계산된다.
상기 표 2에서와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이 계산되면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를 구할 수 있고, 이를 수학식 1에서와 같이 기술기여도에 곱해 최종적으로 기술가치를 산정한다.
한편, 위험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투자안으로부터 얻어지게 될 결과에 대해 불확실성이 존재함으로써 발생하는 변동성으로 정의되며, 경제학적 의미로는 통계 등의 수량적인 지식에 근거해 예상이 어느 정도 적중하는가를 거의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상태에서의 위험(risk)과, 예상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지에 대한 예측이 아예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불확실성이라는 위험(uncertainty)으로 나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rNPV 방법에 있어 위험이 통계적인 근거에 의해 일부 확률을 알 수 있으므로, 위험을 'risk'의 의미로 판단하고 설명한다.
위험은 일반적으로 손해의 가능성 혹은 가치를 잃을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신약 승인확률은 확률에 있어 위험의 정도를 차감한 위험조정지수이므로, 진정한 위험은 100%의 확률에서 신약승인 확률을 차감한 값이며, 이는 신약 개발의 임상 단계가 진행됨에 따른 신약 승인확률의 감소가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위험성이 높은 현금흐름의 경우 위험성이 낮은 현금흐름보다 가치가 작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위험조정지수를 반영하는 과정을 rNPV에 있어 위험조정이라고 하며, K-IFRS17(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르면 위험조정은 비금융위험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금액과 시기의 불확실성을 감수하기 위한 보험자가 요구하는 보상으로 보고 있다. 또한, 보험부채 측정 일반모형에서 추정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 부채라고 보고 있다. 즉, 임상 시험단계에 있어 위험이 증가하면 그만큼의 부채가 증가함으로써 가치가 하락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표 2를 포함하는 다수의 사례에서 위험조정 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음수의 값을 가지거나 비용만 발생하는 경우, 수학식 1에 기재된 기존 rNPV 산식에 따르면 위험이 커지면 오히려 가치가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표 2의 경우, 3∼6년차의 경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음을 값을 띠고 있는데, 3∼6년차의 누적 신약 승인확률이 100% 보다 작기 때문에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보다 더 작은 값을 나타내야 함에도 오히려 더 커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는 음의 값을 갖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100 %보다 작은, 즉 1 보다 작은 누적 신약 승인확률을 직접 곱해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였기 때문에,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절댓값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의 절댓값보다 작지만, 음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실제 값은 더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의 문헌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Boris B. and Ralph V. (2010)에서는 rNPV 사례를 통한 계산에서 개발 비용에 따른 순현금흐름이 -50만 달러이고 성공확률은 50%이나 rNPV 값은 -25만으로 가치가 증가하였다. Oscar Carrascosa (2017)에서는 총 평가표에 있어 2018년 3분기부터의 신약 승인확률이 46%, 43%로 감소하여 리스크가 증가했으나 비용은 오히려 감소하는 값을 보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rNPV 기술가치 평가에 있어 위험조정 요인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신약의 기술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rNPV 기술가치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rNPV 기술가치 평가 모델이 적용되는 기술가치 평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후 현금흐름 산정에 있어 수학식 1의 rNPV 방법과 같이 일반적인 현금흐름(cash flow, CF)으로 산정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인 현금을 기업이 사업으로 벌어들인 현금 중 영업비용, 설비투자액, 세금 등을 제외하고 남은 현금을 뜻하는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으로 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현금흐름'이란 용어는 일반적인 현금흐름(CF)과 잉여현금흐름(FCF)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내용에 근거하여 신약 승인확률이 감소하는 위험 증가에 따라 조정비용이 증가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신약 승인확률이라는 가능성(probability)을 현금흐름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와 0보다 작은 경우로 나누어 위험조정지수를 다르게 반영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rNPV 모델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상기 수학식 2에 따르면, 현금흐름(Ct)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지면 기존 수학식 1과 같이 위험조정지수(P)를 신약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적용하며,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기존 수학식 1과 다르게 위험조정지수(P)를 (2-신약승인확률) 또는 (1+신약실패확률)로 적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 2에서 기존 신약승인확률을 빼거나 1에서 기존 신약실패확률을 더하여 새로운 위험조정지수(P)를 구하는 것은,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경우 신약승인확률이 감소하는 위험 증가에 따라 조정비용(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손해가 증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것이 단순 음수의 개념이 아니라 손해 혹은 투자의 개념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임상시험 단계에서 매출액은 없고 비용으로만 산출한 경우의 비용에도 실패확률을 가산하여 산정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수학식 2에서와 같이, 현금흐름(Ct)에 할인율(r)에 따른 현가계수(1/(1+r)t)를 곱하면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산출되는데, 이렇게 산출된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P)를 곱하면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이 산출된다.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표 1의 신약 승인확률이 적용되는 경우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은 다음 표 3와 같다.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1차년도∼6차년도에서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현금흐름×현가계수)에 조정된 위험조정지수(P)인 '2-신약승인확률'이 곱해져 구해지고,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크거나 같은 7차년도∼13차년도에서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P)인 '신약승인확률'이 곱해져 구해진다.
이렇게 구해진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표 2와 비교해보면,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으면서 신약 승인확률이 감소해 위험이 증가한 3~6차년도에 차이를 보이는데, 표 2에서 3차년도 -1,137 백만 원, 4차년도 -1,153 백만 원, 5차년도 -484 백만 원, 6차년도 -82 백만 원 이었던 반면, 표 3에서는 3차년도 -2,107 백만 원, 4차년도 -5,654 백만 원, 5차년도 -3,385 백만 원, 6차년도 -642 백만 원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표 2에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가 3,194 백만 원 이었던 반면, 표 3에서는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가 -5,738 백만 원으로 산출되었다.
이렇게 산출되는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에 기술기여도를 곱하면 기술가치가 산정되는데, 기술기여도는 산업기술요소와 기술의 비중 및 개별기술강도의 곱을 통하여 산출된다. 만약, 기술이 속한 산업에 대한 산업기술요소 85.28%, 기술의 비중 70%, 개별기술강도 70%가 적용되면 기술기여도가 41.79%(85.28%×70%×70%)로 산정되는데,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에 기술기여도(41.79%)를 반영했을 때, 기술가치는 다음 표 4 같이 산정된다.
상기 수학식 1인 기존 rNPV 방법의 경우 기술가치가 1,335 백만 원으로 산정되었으나, 수학식 2인 본 발명의 위험조정의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rNPV 방법을 이용한 경우 -2,398백만 원으로 산정되어, 최종적으로 기술가치 금액 간 3,733 백만 원의 차액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표 3에서처럼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가 음수인 경우, 기술기여도를 반영하였을 때 손해가 기술기여도 비율만큼 작아지게 된다.
신약 개발에 있어 임상시험에 드는 비용은 기업별, 적응증별 등으로 어느 정도 정량화가 되어 있다. 기존의 경우, 정량화된 고정적인 비용임에도 불구하고 임상시험에 실패할 때 재임상시험을 진행할 가능성 또한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위험을 반영했다고 할 수 있는데, 수학식 2를 포함하여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평가방법은 이러한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신약개발과정에서는 임상시험 실패 시 재임상시험을 진행하지 않고 그 단계에서 신약 개발 자체가 종결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경우,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은 위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지 않는 고정된 비용이므로 위험을 반영하지 않는 방식으로 가치평가를 하는 것이 신약의 기술가치를 더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임상시험 단계의 비용에 대해 위험조정을 하지 않는 또 다른 평가방법인 새로운 rNPV 모델을 제시한다. 이 평가 방법은 다음 수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 따르면, 신약 승인 이전의 사업화 준비기간(j)과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합산하여 현금흐름 추정기간(n)을 산출하고,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j)에서는 위험조정지수(P)가 적용되지 않고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에만 위험조정지수(P)를 적용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하게 된다. 이때,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에 적용되는 위험조정지수(P)는 수학식 2에서와 같이, 현금흐름(Ct)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지면 위험조정지수(P)를 신약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적용하며,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위험조정지수(P)를 (2-신약승인확률) 또는 (1+신약실패확률)로 적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임상 시험에 실패할 경우 재임상 시험을 진행할지, 임상 시험을 종결할 지에 따라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은 2가지 모형의 rNPV 모델을 제시하였다. 평가자는 2가지 모델 중 적절하게 선택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평가자는 평가 대상 신약 기술에 따라 상기 2가지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대상 신약 기술의 임상 단계에 따라 2가지 모델을 혼합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2가지 rNPV 모델이 적용된 기술가치 평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장치의 네트워크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 및 외부 장치(30)와 통신이 연결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를 통해 기술가치 평가장치(10)에 연결되어, 기술가치 평가장치(10)에 기술가치 평가를 요청하고, 기술가치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제공받는 사용자 컴퓨터이다. 이러한 사용자 컴퓨터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PC,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의 컴퓨터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기술가치 평가장치(10)와 연결되어, 기술가치 평가장치(10)의 요청에 따라 기술가치 평가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이다. 이 외부 장치(30)는 기술가치 평가장치(10)의 요청에 따라 기술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성, 권리성, 시장성 및 사업타당성 등의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거나, 경제적 수명 추정, 매출액 추정, 개발(임상) 단계별 특성 정보, 현금흐름 추정, 할인율 추정, 기술기여도 산출 등을 위한 정보를 기술가치 평가장치(1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기술가치 평가장치(10)는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되어 기술가치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서버 컴퓨터로서, 이 기술가치 평가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이나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기술가치를 산정하여 사용자 단말(20)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기술가치 평가장치(10)는 기술평가 위해 사용자 단말(20) 또는 외부 장치(30)에 기술평가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이를 분석하여 상술한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을 통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하여 평가 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장치(10)에는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대한 기술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가치 평가부(100)와, 기술가치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술가치 평가장치(10)에는 데이터의 입력, 처리,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컴퓨터 구성이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통신장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램이나 롬 등의 기억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구성을 따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술가치 평가부(100)에는 기술가치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와, 상기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를 통하여 산출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하는 기술가치 산정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는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의 rNPV 모델의 기술가치 산정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현금흐름 추정기간 산출모듈(111), 현금흐름 산출모듈(112), 할인율 산출모듈(113), 신약승인확률 산출모듈(114), 기술기여도 산출모듈(115)이 구비된다.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 산출모듈(111)은 개발 중인 신약의 수익기간을 추정하여 경제적 수명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현금흐름 추정기간(사업화 준비기간, 사업화 이후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상기 현금흐름 산출모듈(112)은 경제적 수명기간 동안의 매출액을 추정하고 개발 소요비용 및 임상 소요기간을 결정하여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법인세비용, 자본적지출, 감가상각비, 운전자본증감, 투자액 회수 등을 추정하여 현금흐름을 산출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상기 할인율 산출모듈(113)은 할인율을 산정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신약승인확률 산출모듈(114)은 질환군, 신약 유형 등에 따른 개발단계별 성공확률을 결정하여 개발단계별 성공확률을 반영한 연도별 신약승인확률(누적 성공확률)을 산출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며, 기술기여도 산출모듈(115)은 산업기술요소, 기술의 비중, 개별기술강도를 통하여 기술기여도를 산출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상기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를 통하여 산출되는 기술가치 평가를 위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다.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120)는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를 통하여 산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기술의 가치를 산정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기술가치 산정부(120)에는 평가모델 선택모듈(121)과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 및 2(1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평가모델 선택모듈(121)은 수학식 2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 또는 수학식 3에 따른 기술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가치 평가모델 2(123)를 선택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평가모델 선택모듈(121)은 개발 중인 신약의 임상 시험이 실패하여 재임상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을 선택하고, 임상 시험이 실패하여 임상 시험을 종결하는 경우 기술가치 평가모델 2(123)를 선택하여, 선택된 모델에 따라 기술가치 평가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은 상술한 수학식 2에 따라 개발 중인 신약의 기술가치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은 현금흐름(Ct)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위험조정지수(P)를 신약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산정하고,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으며 위험조정지수(P)를 (2-신약승인확률) 또는 (1+신약실패확률)로 산정한다. 위험조정지수(P)가 산출되면, 현금흐름(Ct)에 할인율(r)에 따른 현가계수(1/(1+r)t)를 곱하여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P)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한다. 이후,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를 계산한 후,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의 합계에 기술기여도를 곱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하게 된다.
상기 기술가치 평가모델 2(123)는 상술한 수학식 3에 따라 개발 중인 신약의 기술가치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이 기술가치 평가모델 2(123) 또한,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과 동일하게 위험조정지수(P)를 산정한다. 즉, 현금흐름(Ct)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위험조정지수(P)를 신약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산정하고,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으며 위험조정지수(P)를 (2-신약승인확률) 또는 (1+신약실패확률)로 산정한다)
그리고 현금흐름 추정기간(n) 중 신약 승인 이전의 사업화 준비기간(j)과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구분하여, 사업화 준비기간(j)에서는 위험조정지수(P)를 적용하지 않고 연도별 현금흐름 현재가치를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으로 산정한다.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에는 위험조정지수(P)를 적용하여, 연도별 현금흐름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P)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으로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 흐름의 합을 구한 후, 기술기여도를 곱해 최종적으로 기술가치를 산정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산출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데, 이 데이터베이스(200)에는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를 통하여 산출되는 현금흐름 추정기간, 현금흐름, 할인율, 신약승인확률, 기술기여도 정보가 등록되고, 기술가치 산정부(120)에 의해 산출되는 위험조정지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 기술가치 평가결과 등의 정보도 등록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산정된 기술가치 평가 정보는 기술가치 평가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술가치 평가모델 1(122)의 수학식 2를 통하여, 현금흐름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와 0보다 작은 경우로 나누어 위험조정지수를 다르게 적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여, 신약 승인확률이 감소하는 경우 위험조정 순현금흐름 또한 작아지게 되어 합리적인 기술가치가 평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술가치 평가모델 2(123)의 수학식 3을 통하여, 현금흐름 추정기간 중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임상시험 실패시 신약 개발이 종결되는 경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위험조정지수가 반영되지 않은 해당 연도의 현금흐름 현재가치로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업화 준비기간에서 임상 시험이 실패하는 경우 위험을 반영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객관적인 기술가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경우 위험조정지수(P)를 (2-신약승인확률) 또는 (1+신약실패확률)로 산정하였지만, 상기 위험조정지수(P)는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경우 해당 연도의 신약승인확률에 반비례하여 1보다 크게 조정된 값으로 산정될 수 있다. 즉,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은 경우 위험조정지수는 1보다 큰 수가 적용되어야 하지만, 그 크기는 신약승인확률과 반비례 또는 신약실패확률과 비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금흐름(Ct)이 0보다 작고, 신약승인확률이 25% 라면 위험조정지수는 25%의 역수인 400%(4)가 적용될 수 있고, 신약승인확률이 75%라면 위험조정지수는 75%의 역수인 133%(1.33)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기술가치 평가장치 100 : 기술가치 평가부
110 : 평가 데이터 산출부 111 : 현금흐름 추정기간 산출모듈
112 : 현금흐름 산출모듈 113 : 할인율 산출모듈
114 : 신약승인확률 산출모듈 115 : 기술기여도 산출모듈
120 : 기술가치 산정부 121 : 평가모델 선택모듈
122 : 기술가치 평가모델 1 123 : 기술가치 평가모델 2
200 : 데이터베이스 20 : 사용자 단말
30 : 외부 장치

Claims (10)

  1. 기술가치 평가장치에서 rNPV(risk-adjusted NPV, 위험조정 NPV)를 이용하여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술가치 평가장치는 개발 중인 신약에 대한 현금흐름 추정기간,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현금흐름, 할인율,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신약 승인확률, 기술기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금흐름에 할인율에 따른 현가계수를 적용하여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며,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합산한 후 기술기여도를 곱해 기술가치를 산정하되,
    상기 위험조정지수는 (i)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과 동일하게 산정되고, (ii)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2에서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을 뺀 값 또는 1에 해당 연도의 신약 실패확률을 더한 값으로 산정되어, 상기 기술가치는 수학식


    을 통해 산정되고,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은 신약 승인 이전의 사업화 준비기간과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합산하여 산정되고,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임상시험 실패시 신약 개발이 종결되는 경우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은 위험조정지수가 반영되지 않은 해당 연도의 현금흐름 현재가치로 산출되어, 상기 기술가치는 수학식


    을 통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신약개발 단계에서 rNPV(risk-adjusted NPV, 위험조정 NPV)를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개발 중인 신약에 대한 현금흐름 추정기간,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현금흐름, 할인율, 현금흐름 추정기간 동안의 연도별 신약 승인확률, 기술기여도를 산출하는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와; 산출된 현금흐름에 할인율에 따른 현가계수를 적용하여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며, 산출된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합산한 후 기술기여도를 곱해 기술가치를 산정하는 기술가치 산정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120)는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로 산정된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상기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고, 연도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0보다 작은 경우,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에 2에서 해당 연도의 신약 승인확률을 뺀 값 또는 1에 해당 연도의 신약 실패확률을 더한 값으로 산출된 위험조정지수를 곱하여 상기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산출하여, 수학식


    을 통해 기술가치를 산정하고,
    상기 평가 데이터 산출부(110)는 신약 승인 이전의 사업화 준비기간과 신약 승인 이후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합산하여 상기 현금흐름 추정기간을 추정하고, 상기 기술가치 산정부(120)는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임상시험 실패시 신약 개발이 종결되는 경우, 상기 사업화 준비기간에서의 위험조정 순현금흐름을 위험조정지수가 반영되지 않은 해당 연도의 현금흐름 현재가치로 산출하여, 수학식


    을 통해 기술가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가치 평가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28456A 2022-10-07 2022-10-07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57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56A KR102576898B1 (ko) 2022-10-07 2022-10-07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56A KR102576898B1 (ko) 2022-10-07 2022-10-07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898B1 true KR102576898B1 (ko) 2023-09-11

Family

ID=8802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456A KR102576898B1 (ko) 2022-10-07 2022-10-07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8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203A (ko) * 2016-04-05 2017-10-13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림축수산식품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KR20190008483A (ko) 2017-07-14 2019-01-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203A (ko) * 2016-04-05 2017-10-13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림축수산식품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KR20190008483A (ko) 2017-07-14 2019-01-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뉴스][히트뉴스]신약 기술가치평가에 신약 승인확률 반영(2022.03.31)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Customer concentration and corporate tax avoidance
US20220198347A1 (en) Producing extract-transform-load (etl) adapters for programmed models designed to predict performance in economic scenarios
Beaver et al. Management of the loss reserve accrual and the distribution of earnings in the property-casualty insurance industry
US611219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ercial credit analysis
US8332331B2 (en) Determining a price premium for a project
US11416779B2 (en) Processing data inputs from alternative sources using a neural network to generate a predictive panel model for user stock recommendation transactions
US20060247934A1 (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device and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program
US20160307272A1 (en) System for reducing computational costs associated with predicting demand for products
Marai et al. An overview of earnings management measurement approach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Le et al. Executive compens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Evidence from significant financial institutions
US20090037249A1 (en) Forecasted Currency Exposure Management
US20220198556A1 (en) Inventory affordability and policy distance calculator
Chancharat et al. Multiple states of financially distressed companies: Tests using a competing-risks model
O’Kane Optimising the multilateral netting of fungible OTC derivatives
KR102576898B1 (ko)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647082B1 (ko) 제약 및 바이오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JP2009003958A (ja) 金融デリバティブの価格決定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JP2002352071A (ja) 評価算定システム
McAllister Pricing short leases and break clauses using simulation methodology
JP2004185551A (ja) 経営品質管理システム、経営品質管理方法、経営品質管理プログラム及び媒体
Wier et al. Big and ‘unprofitable’
Buxbaum et al. Target price optimism, investor sentiment, and the informativeness of target prices
Kebede et al. Determinants of financial distress: evidence from insurance companies in Ethiopia
Blatt et al. Achieving IFRS off-balance-sheet treatment in trade receivables securitizations
KR20220046943A (ko) 지식재산권의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