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483A -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483A
KR20190008483A KR1020170089727A KR20170089727A KR20190008483A KR 20190008483 A KR20190008483 A KR 20190008483A KR 1020170089727 A KR1020170089727 A KR 1020170089727A KR 20170089727 A KR20170089727 A KR 20170089727A KR 20190008483 A KR20190008483 A KR 2019000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drug
valued
development
cli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보영
김용우
이성규
박성준
오현정
Original Assignee
한국보건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보건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보건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7008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8483A/ko
Publication of KR2019000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건의료분야의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 및 가치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치 평가 방법은, (a)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가치평가의 주요 변수 추정을 위한 환경분석을 하는 단계: (b)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를 측정하는 단계; (c)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의 차를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은 연도별 현금 흐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을 적용한 "위험 조정 미래 예상 현금 흐름"을 이용함으로써, 약물 개발 과정에서 단계별로 달라질 수 있는 성공 가능성과 비용, 기간을 적용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drug-related technology}
본 발명은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 및 가치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도별 현금 흐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을 적용한 '위험 조정 미래 예상 현금 흐름' 방법을 이용하여 보건의료분야의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가치 평가를 수행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가치 평가 방법 및 가치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건의료산업기술은 개발과정이 대규모 투자 위주로 이루어지고, 개발기간이 10년을 초과하는 등 다른 기술과 비교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개발이 진행 중인 기술은 가치측정이 더욱 어려운 경향이 있다.
개발 중인 약물의 가치평가 수행 시에는 약물의 개발과정과 제약산업의 특성이 약물가치에 반영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약 개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물의 개발과정은 후보물질 발굴부터 전임상 단계, 임상 1상 단계, 임상 2상 단계, 임상 3상 단계로 구성되는 복잡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임상 시험 단계를 거친 후 승인되어야만이 제품 출시가 가능하므로, 약물의 특성과 개발전략에 따라 각 단계별로 비용과 기간, 성공확률이 달라질 수 있다.
최근 제약산업은 개발기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경쟁 신약의 출시간격이 점차 좁아짐으로 인해 실패에 대한 위험을 줄이고자 개발 중인 약물의 거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약물의 시장 진출 이후 발생하는 수익은 약물이 가지는 특허가 만료되는 기간 내로 제한되며 이는 의약품이 특허로 보호받는 기간 동안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는 산업특성에 기인하게 된다.
한편,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2조에 따르면, "기술평가"는 사업화를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가액.등급 또는 점수 등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기술가치평가는 평가기술을 가지고 제품을 생산·판매하여 얻은 사업의 경제적 가치 중에서 기술이 기여한 비중을 산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Gordon V. Smith(1996)는 "기술평가"란 무형의 기술을 대상으로 그 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을 검토하여 기술의 금액, 등급, 점수, 의견 등으로 표시하는 평가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약물의 기술가치평가"는 개발 중인 약물이 시장출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제약산업은 타 산업 분야에 비해 막대한 연구개발(R&D)비용과 길고 복잡한 개발단계, 낮은 성공확률 등의 특징이 있어 기술가치평가 시에는 이러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전술한 제약산업분야에서의 기술가치평가는 표 1에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개발 중인 약물의 기술거래, M&A, 투자유치, 전략수립 등의 다양한 목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제약 분야의 의약 기술의 특성에 맞는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의약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2421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88242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래의 현금 흐름을 할인율 값으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변환하는 rNPV(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방법을 이용하여, 제약분야의 의약 기술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가치평가방법을 적용하여 구현한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보건의료분야의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은, (a)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가치평가의 주요 변수 추정을 위한 환경분석을 하는 단계: (b)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측정하는 단계; (c)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단계;
Figure pat00002
를 구비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기술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기술수명(t)을 추정하는 단계; (b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을 추정하는 단계; (b3)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을 추정하는 단계; (b4)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a)을 추정하는 단계; (b5) 상기 추정된 기술수명(t),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 임상승인가능성(rLOA)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계산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을 추정하는 단계; (c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추정하는 단계; (c3)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을 추정하는 단계; (c4)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a)을 추정하는 단계; 및 (c5) 상기 추정된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을 추정하는 단계는, 시장 점유율 및 시장규모를 이용하여 추정 매출액을 구하고, 상기 추정 매출액과 수익률을 이용하여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장규모는, 해당 질병에 대하여 기존의 처방 의약품의 매출액과 시장성장률을 이용하여 산출하거나, 상향식 접근법을 이용하여 임상시험 대상 지역의 환경적 요인들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의 기술수명(t)은 특허연장(Patent extension) 기간을 포함한 특허만료기간 및 자료독점권(Data exclusivity) 만료기간을 합하여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은, 임상 시험 자료를 이용한 평균 임상 성공 확률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 임상성공 확률들과 승인성공률을 곱하여 추정하거나, 환경 분석시에 설정된 임상 성공 기준 항목들과 각 임상 성공 기준 항목들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임상 성공 기준 충족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충족 정도에 따라 임상 시험의 성공 확률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c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추정하는 단계는, 산업 평균값을 이용하여 개발 비용을 산출하거나, 전체 단계 집행 예산을 기준으로 각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개발 비용을 산출하거나, 임상 시험 계획을 이용하여 개발 비용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c3)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을 추정하는 단계는, 각 단계에서의 진입 가능성은 각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로서, 이전 단계(i-1)의 진입 가능성과 성공확률의 곱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은,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 정보들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들 통해 입력된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분석시 사용되는 자료 정보, 처리부에 의해 추정된 주요 변수들에 대한 값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주요 변수들을 추정하고, 추정된 주요 변수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측정하는 수익 산출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측정하는 비용 산출 모듈; 및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를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기술가치 평가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익 산출 모듈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기술 수명을 산출하는 기술 수명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을 산출하는 현금 흐름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을 산출하는 임상승인가능성 산출 모듈; 및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 모듈; 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술수명(t),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 임상승인가능성(rLOA)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의약 기술에 가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용 산출 모듈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을 산출하는 개발기간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산출하는 개발비용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을 산출하는 진입가능성 산출 모듈; 및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a)을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제약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rNPV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매년 현금 흐름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값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 개발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달라질 수 있는 성공 가능성과 비용, 기간을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타 산업에 비해 막대한 R&D 비용과 길고 복잡한 개발 단계, 낮은 성공 확률등의 특징을 갖는 제약 분약의 의약 기술에 최적화된 가치 평가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약 개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각 추정 과정에서의 주요 변수들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출시 순서와 효능에 따른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출시 시기와 효능에 따른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의 가치평가방법은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rNPV는 연도별 현금 흐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을 적용한 '위험 조정 미래 예상 현금 흐름'이며, 미래의 현금 흐름을 할인값으로 할인하여 현재 가치로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 가치 평가 방법에서 사용한 rNPV 방법은 매년 현금흐름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값을 적용할 수 있어서 약물 개발과정에서 단계별로 달라질 수 있는 성공 가능성과 비용 기간을 적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본 특허에 따른 가치평가방법은 제약산업에 포함되는 의약품 및 진단마커 중 오리지널 의약품의 가치 평가를 기준으로 하며, 진단마커의 경우 약물 가치평가 과정에서 제시하는 변수 추정 방법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특허에 따른 가치평가방법은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기에 앞서 개발 약물의 진행단계를 파악하고 대상 시장이 명확히 설정되었는지 확인해야 하며, 또한, 약물의 경쟁력 및 시장가치 분석을 위해서는 약물이 출시될 시장의 정의와 범위가 명확해야 하며, 대상 시장은 해당 약물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발생현황 혹은 해당 질환자의 규모, 질환 치료 방식 등을 통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특허에 따른 가치평가방법에 사용되는 약물의 대상 시장과 약물 경쟁력은 대부분 전임상 단계 이상에서 평가할 수 있으며 가치평가 대상 약물은 전임상 및 임상 1상 이상의 개발 단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임상 단계 이전이라도 약물개발 전략이 명확하고 해당 약물의 작용기전 및 특성 등이 문헌적 근거를 통해 규명되었을 경우 약물가치 평가가 가능 제약산업에서 출시된 약물은 특허로 강력히 보호되며 특허 보호기간 동안 시장을 독점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니기 때문에, 약물의 권리 안정성 및 권리 범위, 특허와 사업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기술 권리성 분석 중 권리 존속기간은 특허 존속기간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건의료분야의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은, 가치평가의 주요 변수 추정을 위한 환경분석을 하는 단계(단계 210): 환경분석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20); 환경분석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30);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40);를 구비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기술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기본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의 주요 변수 추정을 위한 환경분석을 한다(단계 210). 약물의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 변수 추정을 위한 환경 분석은 ① 개발 약물의 특성 파악, ② 표적 질병의 시장 분석, 및 ③ 개발 전략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약물의 표적이 되는 질병과 그 시장에 대한 정의와 범위가 명확하게 선정되어야 하며, 대상 약물의 표적 질병을 선정한 후에는 약물의 효능이나 부작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의 존재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단계 210의 환경 분석을 위한 개발 약물의 특성 파악, 표적 질병의 시장 분석 및 개발 전략의 분석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① 개발 약물의 특성 파악
먼저, 환경 분석 중 ① 개발 약물의 특성 파악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치평가방법에서의 환경 분석 중 약물특성분석시 사용되는 고려항목들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약물특성분석이란 평가대상 약물의 특징을 물질 특성, 처방 특성 등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며, 출시된 약물 또는 임상 파이프라인이 존재하는 경쟁 약물과의 임상 결과 비교를 통해 시판 승인 성공 여부를 예측하고 다음 개발 단계로 이행할 수 있는 확률을 추정한다. 이때, 임상 단계별 성공을 위한 수치적 기준의 설정은 선행 임상시험 결과와 FDA 기준을 바탕으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쟁 약물에 관한 자료는 대상 약물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조건에서 실험한 데이터나 발표 논문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그 출처가 명확하게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대상 약물의 약물특성분석결과는 Best in Class, First in Class, Addition to Class, Similar, Generic 의 등급 유형으로 구분하며, 평가대상약물이 속하는 등급에 따라 시장점유율이 결정될 수 있다.
임상승인가능성 분석은 평가대상약물이 최종적으로 임상시험을 통과하여 품목허가를 받을 가능성을 추정하는 과정으로서, 기술가치평가에서 가장 어려운 영역에 해당한다. 임상승인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하여, 평가대상 약물의 개발전략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상적 입증목표 및 목표달성 판단의 기준, 개발단계별로 입증되어야 할 약리학적 특성이 임상시험 승인 및 임상성공 판정 기준에 얼마나 더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표적 질병의 시장 분석
다음, 환경 분석 중 ② 표적 질병의 시장 분석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환경 분석 중 시장 분석은 해당 약물이 속하는 시장을 정의하고 질병, 치료범위, 환자 수, 경쟁약물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대상 약물의 시장규모, 약물에 대한 시장수요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시장 분석에서는 해당 약물의 구조와 특성, 구체적으로 특정된 질환에 대한 진료지침(혹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분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표준 질병분류표에 의한 질병 분류를 이용하거나 FDA 홈페이지 자료, WHO의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질병 세부분류에 관한 자료 이용하거나, 선행된 임상시험 자료는 임상시험 등록기관인 clinicaltrial.gov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장 분석에 있어서, 조사 및 작성과정에서 사용된 정보의 출처와 통계, 자료조사 시기, 수치가 측정된 범위는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장 분석은 시장수요, 시장 환경, 경쟁약물 분석으로 구성되며, 표 3은 각 항목들에 대하여 시장 분석시 고려사항들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4
표 3을 참조하면, 시장수요 분석은 질병의 특성 및 주요 발병원인, 현재 표준으로 적용되는 처방기준 및 처방내용, 현재 치료방법의 한계와 문제점 등을 근거로 대상이 되는 질환의 시장의 특성과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현재 출시된 의약품과 개발 중인 대상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의 구분은 통상적으로 화학적 구조나 작용기작을 기초로 하며 일반적으로는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System) 분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장 환경 분석은 해당 질환의 시장동향, 시장규모, 성장률, 규제 등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야 하며, 규제환경 조사의 경우 약물을 판매할 주요 국가의 임상, 승인, 특허에 관련한 규제나 해당 국가에서의 승인을 위한 필요조건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장 환경 분석시 주의사항으로는, ⓐ 평가대상 약물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의함으로써 해당 질환에 대한 시장을 세분화하여, 정확한 시장규모를 추정하고, ⓑ 평가대상 약물을 출시할 경우 점유할 수 있는 시장점유율의 연차별 변화율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 시장점유율 추정은 통상적으로 해당 질환에 대해 가장 최근에 출시된 약물의 시장점유율 변화 추이를 기준으로 평가 대상 약물의 임상적 특성 및 기존 약물에 대한 비교우위 등을 고려하여 가감 조정하는 것이다.
경쟁 약물 분석은 해당 질병의 치료를 위해 출시된 의약품과 평가대상 약물의 효능 및 부작용, 용법 및 용량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한 뒤 이미 출시된 약물의 시판가격과 시장점유율 등을 조사 분석하는 것으로서, 시장점유율은 해당 약물의 경쟁력, 시판되고 있는 약물의 개수, 동일 질환에 대해 현재 개발 중인 약물의 파이프라인 개수(특히 상위 개발단계에 진입한 파이프라인의 개수)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개발 전략의 분석
다음, 환경 분석 중 ③ 개발 전략의 분석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4는 약물 개발 전략 분석시 고려사항을 표시한 도표이다.
Figure pat00005
표 4를 참조하면,약물 개발전략 분석은 임상설계, 시장 포지션, 개발 성공기준 설정, 투자전략 등을 분석하여 출시 후 시장점유율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개발 규모의 예상 매출액을 추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상시험 기간 및 규모와 예상 비용은 평가대상 약물의 시장 포지션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그 구체적인 추정은 임상설계 시에 임상시험 대상 환자군을 정의한 Exclusion/Inclusion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상 BIC는 임상규모가 크고 기간이 매우 길며, FIC는 상대적으로 임상 규모가 작고 기간 역시 짧게 설계되는 경향이 있다. 평가대상 약물 개발전략 및 임상시험 등록정보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상설계의 개요를 기준으로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도출한 질환별, 개발단계별, 임상시험 대상 국가별 통계 값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요 통계자료 등 관련 자료는 논문과 시장보고서 등을 참고할 수 있다.
투자전략은 대상 약물이 라이센싱될 가능성을 타진하며 라이센싱 시기, 대상, 로열티 규모 등과 같은 라이센싱 시나리오 기획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은, 전술한 과정에 의해 수행한 환경 분석의 결과들을 이용하여,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를 위험-조정 현재 가치(rNPV total )값으로 수치화하여 제공하게 된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LOA NPV rev . 는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이며, proNPV dev . 는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에 있어서,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rNPV total 은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와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의 차로서, 순수익에 대한 rNPV 값이다.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는, 수학식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약물의 시장 출시 이후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출 총액에 시장 출시 가능성(즉, 승인 가능성)을 곱하여 현재의 시점에서 해당 매출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할인율을 적용한 값이다. 여기서, 현금 흐름(Cash Flow:CF)은 총 현금유입(즉, 수입)에서 총 현금 유출을 차감한 순 현금유입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7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는, 수학식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에 해당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 가능성을 곱하여 할인율 값으로 할인한 총합이다. 여기서, 진입가능성은 해당 개발단계로 진입할 가능성을 의미하며 이전 단계의 성공 확률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현재 약물의 개발단계가 임상2상일 경우에는 전임상 과정과 임상1상 과정이 성공했다는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임상2상의 진입가능성은 100%가 되며 임상3상의 진입가능성은 임상2상의 성공확률과 같다(100%*임상2상의 성공 가능성). 승인가능성(Likelihood Of Approval : LOA)과 각 단계에서의 진입가능성을 구분할 경우, 매년 각 단계마다 개발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가치평가를 하고자 하는 약물이 어느 개발단계에 있더라도 약물의 특성과 개발 단계별 성공 가능성을 수식에 적용가능하다. 각 단계에서의 진입 가능성(Propt)가 평가 이전 시점일 경우에는 확률 요소를 실무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pat00008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각 추정 과정에서의 주요 변수들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값 산출을 위한 주요 변수는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 승인 가능성,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할인율이다. 현금흐름을 계산하기 위한 매출액 산출 요소로는 시장규모(금액), 시장점유율(%), 수익률(%)이 있으며, 이들 추정값은 약물이 대상으로 하는 시장정보와 해당 약물의 특성에 기초한 비교우위 분석, 동일한 약물군에 대한 기업들의 평균적 수익률을 통해 추정 가능하다. 승인 가능성은 현 개발단계부터 승인까지 단계별 성공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 가능하며, 약물의 시장 진출 이후 수익은 약물이 가지는 특허가 만료되는 기간 내로 제한되며 이는 의약품이 특허로 보호받는 기간 동안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는 산업특성에 기인한다.
한편,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값 산출을 위한 주요 변수는 각 단계별 개발 비용, 기간, 성공확률, 할인율이다.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은 임상시험 비용을 의미하며 임상규모, 단계, 약물특성의 영향을 받으며,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은 약물특성 및 약물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할인율은 약물이 수익을 창출하는 기간동안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전환할 때 사용되는 환원율로서 출시 전후 모두 가치평가를 하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각 주요 변수들을 추정하는 과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
먼저, 주요 변수들 중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 추정을 위한 매출액 추정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을 추정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시장 점유율법으로 매출액을 추정하며, 시장분석 결과인 시장 점유율을 이용한 추정 방법을 이용한 매출액은 ① 시장규모, ② 시장점유율 및 ③ 수익률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따라서,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매출액은 우선적으로 대상 약물이 속한 시장규모와 약물이 출시된 이후에 차지할 시장 점유율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은, 수학식 4 및 수학식 5와 같이, 전체 추정 매출액에서 대상 약물이 속한 시장 규모에 약물이 출시된 이후에 차지할 시장 점유율과 수익율을 곱하여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① 시장규모
이하, 매출액 추정을 위한 시장 규모의 추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시장 규모의 추정은, 수학식 6를 이용하여 해당 질병에 대하여 기존의 처방 의약품의 매출액을 분석하여 산출하는 출시 의약품 매출액 이용 방법과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임상시험 대상 지역의 인구수, 환자수, 역학, 의료접근성 등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산출하는 상향식 접근법이 있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예를 들면, 대상 약물이 해당 질병에 대한 First In Class인 경우 기존의 처방 의약품 매출을 분석할 수 없으며, 이 경우에는 상향식 접근법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시장규모를 산출할 수 있다.
처방 의약품의 경우 각 제약사별 Annual report나 해당 질병별 가이드라인, 협회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의약품 매출은 Drugs.com, DrugBank, Druginfo 등의 사이트를 통하여 의약품별로 얻을 수 있음 이외에 미국제약협회(PHAMA)에서 발간하는 보고서를 통하여 질환별 시장규모 및 처방, 개발 중인 의약품에 관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향식 접근법을 이용하여 시장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약물의 투약 횟수나 가격이 산출식에 포함되기 때문에 기존의 처방 약물의 평균 가격을 사용하거나 대상 약물의 개발단계 및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투약 횟수와 가격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공식적이며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소스는 각 질환별 국제 및 국가협회가 발간하는 진료지침(Cocharane), Guidelines International Network), 우리나라의 경우 KGC)나 진료지침정보센터 KoMGI))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Pubmed 검색을 통해 추가적인 진료지침(Guideline) 목록을 찾을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진료지침 관련 검색어와 임상 주제와 관련된 검색어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장규모 추정과정은 해당 시장의 지역이나 질병의 특성을 분석하여 시장의 성장 또는 감소 정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장률을 고려하여 대상 약물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연도를 기준으로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시장성장률의 경우 최근 몇 년 동안의 해당 시장의 평균성장률(CAGR)을 사용할 수 있다.
인구수와 발병률의 경우 통계청이나 WHO의 Factsheet, Disease burden, 질환별 협회 보고서의 통계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진단 비율은 나라별 건강보험 통계를 이용하여 수치를 얻을 수 있으며, 1회 처방의 가격은 대상 약물의 제제나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1년간 약물 처방횟수는 대상 약물의 반감기와 치료기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② 시장점유율
이하, 매출액 추정을 위한 시장 점유율 추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장점유율은 대상 약물의 매출이 해당 질병에 대한 전체 시장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며 이는 질병의 세분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대상 약물의 포지션이나 질병의 특성에 따라 일관성을 가지기 힘들기 때문에 일정한 수식으로 정의할 수 없으며 경쟁우위를 증명할 수 있는 실험데이터, 참고자료를 첨부하여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5는 시장점유율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나열한 것이다. 표 5에 나열된 요소들의 개발전략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대상 약물의 시장 내 예상 포지션을 분석하여 상대적인 시장점유율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Figure pat0001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치평가방법의 일 실시형태는 2013년 발표된 Nature Review Drug Discovery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 약물의 출시 시기와 효능에 따른 시장점유율 통계를 이용하였다. 도 4는 출시 순서와 효능에 따른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질병에서 동일한 작용메커니즘 상의 약물들을 비교하였을 때 출시 순서와 치료적 우위에 따른 비율을 파악할 수 있으며, First in Class이며 Best In Class인 약물의 시장점유율을 기준값인 100%로 하여 상대적 점유율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같은 메커니즘 상의 약물 출시가 3번째이면서 기존의 출시 약물보다 치료적 우위에서 상대적으로 더 우월할 경우, 예상되는 시장 점유율은 기존의 First In Class이면서 Best In Class인 약물의 점유율의 50%로 추정된다.
한편, 도 5는 출시 시기와 효능에 따른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출시 시기와 치료적 우위에 따른 상대적 시장 점유율을 비교할 수 있으며, Best In Class 이면서 First In Class 이후 2년이내에 출시된 약물의 시장점유율을 기준값인 100%로 하여 상대적 점유율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First In Class 약물이 출시된 이후, 2년 이상 5년 이하가 되었으며 같은 메카니즘에 효능이 기존의 출시 의약품보다 상대적으로 뛰어날 경우 예상되는 점유율은 동일 메커니즘 상의 Second In Class 약물 점유율의 38%라 추정할 수 있다.
③ 수익률
이하, 매출액 추정을 위한 수익률 추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물의 가치평가시 출시 이후에는 R&D 비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비용은 제조, 판관비, 세금 비율만을 포함하며 자본하락 비율은 할인율에 포함되기 때문에 운영비용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치평가 산출시 수익률은 전체 매출액에서 제조비용, 판관비, 세금, 자본 하락 비율을 제외한 운영수익 비율이다. 개발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생산, 판매, 마케팅, 세금 등의 비용구조를 반영할 수 있으나 해당 자료를 구축하고 있지 않을 경우 기업 규모별 평균 비용구조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개발 기업의 과거 매출자료를 유사 약물 개발 기업의 매출 및 판관비와 비교 분석하여 상대적인 비율로 대상 약물 출시 이후의 수익률을 예측할 수도 있으며, 약물 출시 이후의 수익률은 약물의 생산비용, 생산방식, 판관비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표 6은 매출액 규모에 따라 기업들을 3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비용 구조를 나타낸 표이다. 표 6에 있어서, 연평균 매출 500억 달러 이상의 기업을 "Big Pharma"로, 제네릭 의약품을 생산하는 연 매출 50억 달러 이상의 기업을 "Generic"으로, 오리지널 의약품을 생산하는 바이오 벤처를 "Biotechs"로 구분하고 있다.
Figure pat00015
따라서, 기업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개발 기업의 과거 매출자료를 유사 약물 개발 기업의 매출 및 판관비와 비교 분석하여 상대적인 비율로 대상 약물 출시 이후의 수익률을 추정할 수 있으며, 약물 출시 이후의 수익률은 약물의 생산 비용, 생산 방식, 판관비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2. 승인 가능성
이하, 주요 변수들 중 승인 가능성 추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별 성공가능성(성공확률)은 대상 약물이 현재의 개발단계에서 다음 개발단계로 넘어가는 이행확률을 의미하며, 성공확률 추정 방법은 크게 ⓐ 임상시험 자료를 통한 평균 임상 성공확률 추정방법과 ⓑ 임상 성공기준 충족 정도에 따른 성공확률 추정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 임상 시험 자료를 통한 평균 임상 성공확률 추정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약물의 임상시험 단계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거나 세분화되는 경우가 있으나 가치평가시에는 성공확률 산출을 위한 분명한 단계구분이 필요하며, 본 특허에서 제시하는 임상시험 단계의 구분은 아래의 표 7과 같다.
Figure pat00016
단계별 성공확률은 미국 임상시험등록 사이트인 clinicaltrial.gov에서 세분화된 타깃 적응증에 대한 시장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얻은 선행 임상자료를 분석하여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9와 같이, i 개발 단계에서의 성공확률은 해당 질병에 대한 의약품의 평균 개발기간 동안 수행된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전체 임상시험에서 다음단계로 진행된 임상시험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7
가치값 산출과정에 있어 성공확률의 적용은 단계 진입가능성과 구분되어야 하는데, 이때 진입가능성은 해당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을 뜻하며 이전의 모든 개발단계가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수학식 10과 같이, i 개발 단계에서의 진입 가능성은 임상 i-1 단계의 진입 가능성과 임상 i-1 단계의 성공 확률의 곱으로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18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에서 적용되는 승인가능성은, 수학식 11과 같이, 현재의 개발 단계에서 승인까지의 모든 과정이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현 개발단계부터 출시까지 모든 성공확률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9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본단계에서의 성공확률은 2014년 Nature Biotechnology 에서 발표한 질병별 평균 성공확률을 사용하였다. 이는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03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질병군별로 수행된 임상시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 단계로 개발 진행된 프로젝트 수의 비율을 산출한 값들로 이루어진다.
Figure pat00020
이하, ⓑ 임상 성공기준 충족 정도에 따른 성공확률 추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임상시험의 성공확률은 환경분석 시 설정한 임상 성공기준과 이의 충족 여부에 따른 가중치 및 점수 부여 방식을 통하여 직접 추정이 가능하다. 약물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가중치를 결정하는 주요지표는 In Vitro나 동물실험에서의 Biomarker 존재 여부, 임상 Surrogate end point, End point, Target patient stratification의 수준에서 정의할 수 있으며 질병특성에 따라 세분화 될 수 있으며, 점수화를 통한 성공확률 예측과정은 분석내용을 정량화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고 평가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반영되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험 근거가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 9는 성공확률 가중치 평가지표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21
3. 개발 비용
이하, 주요 변수들 중 개발 비용 산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개발비용은 약물개발의 각 단계(전 임상 및 임상 1,2,3상)에서의 임상시험 비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개발비용은 기업에서 경험적으로 축적한 약물개발의 전반적인 단계별 비용내역이 있으면 해당 자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1) 제약 산업 평균값을 이용하여 개발비용을 산출하거나, (2)전 단계 집행예산을 기준으로 단계별 개발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개발 비용을 산출하거나, (3)임상시험 계획을 이용한 개발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1) 제약산업 평균값을 이용한 개발비용 산출방법은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 약물에 관한 재무정보 자료가 없을 때 사용하나, 글로벌 제약사의 개발 비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개발비용이 과대 추정될 위험이 있다.
표 10은 2010년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논문을 통하여 Eli Lilly사에서 조사한 제약 산업의 단계별 개발 기간과 비용을 도시한 표이다.
Figure pat00022
(2) 단계별 개발비용의 비율을 이용한 개발비용 산출 방법은 이미 사용한 약물개발 비용을 기준으로 단계별 비율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약물개발에 관한 재무자료가 있을 경우 전체 개발 비용을 추정할 수 있다.
표 11은 2011년 미국제약협회 회원 R&D 투자 비용을 기준으로 전체 프로젝트 지출비용에서 단계별 비용을 산출한 값을 도시한 표이다.
Figure pat00023
단계별 개발비용은 각 단계 비용의 총합이며 개발단계가 몇 년에 걸쳐서 진행될 경우 그 기간으로 나눈 비용을 매년 적용해야 한다.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나 이미 수행한 단계에서의 비용을 기준으로 현 단계 이후의 개발비용을 추정하고자 할 때에는 각 단계 개발비용이 전체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각 단계의 예상비용은 수학식 12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마지막으로, (3) 임상시험 계획을 이용한 개발비용 산출 방법은 임상시험 대상 국가에서의 임상규모에 적합한 개발비용을 직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임상시험 계획에 따라 임상시험 대상 국가에서의 임상규모에 적합한 개발비용을 직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제 임상시험 비용과 승인에 관련된 비용은 임상시험 대상 지역과 임상시험을 수탁하는 CRO업체(임상단계 및 허가 대행 전문기업)에 의해 다르게 책정될 수 있으며, 임상시험 기간 및 평균 환자 수는 Clinicaltrial.gov에서 세부 질병군에 따라 이전에 수행된 임상시험 자료를 분석하여 추정할 수 있다. 선행 임상자료가 많은 경우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용할 수 있음 만약 약물의 목표 포지션이 Best In Class라면 임상시험의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비교대상이 될 선행 임상시험 자료의 범위와 환자 수의 비교가 필요하며, 임상 환자수가 지정될 경우 임상비용은 환자수와 1인당 임상비용의 곱과 같으며 수학식 13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25
1인당 임상 비용은 국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데, 크게 미국, 캐나다, 서유럽 국가와 이외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표 12는 각 지역에 따른 1인당 임상 비용을 도시한 표이다.
Figure pat00026
4. 할인율
이하, 할인율 추정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할인율이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본의 가치가 달라진다는 인식을 전제로 하여 현금의 시간가치나 현금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위험 요소가 더 많은 경우에 더 높은 할인율을 책정하며 가치 값은 낮아지게 된다. DCF(NPV)법에서 사용하는 상장기업의 할인율은 화폐의 시간가치와 산업 및 기업의 위험프리미엄을 포함한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사용하며 이는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의 가중평균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위험프리미엄은 경영이나 경험치를 포함한 기업이 지니는 위험요소나 환율, 기술 시장적 위험요소, 산업적 위험요소, 국가적 위험요소, 법 제도적 위험요소, 기술 개발 성공확률 등과 관련된 모든 산업 특이적 위험요소를 포함한다. 현재까지 위험 수준이 높은 비상장기업의 할인율에 대한 지침은 제시되지 않고 있어, 본 발명에서는 약물개발 프로젝트의 단계나 기업규모에 따라 제약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할인율 값의 평균을 반영함 가치평가의 결과는 할인율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할인율의 지정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산업에서 사용하는 적정범위를 이용할 경우 가치평가 결과 역시 범위로 제시될 수 있다.
표 13은 개발 단계별 글로벌 평균 할인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출처 : Avance, Discount rates in drug development (2010))이며, 표 14는 기업 규모별 글로벌 평균 할인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출처 : Nature Biotechnology 27 : 980-983 (2009))이다.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여기서, 권장할인율=무위험이자율+시장프리미엄+규모(위험)프리미엄+국가/지역프리미엄+기술/기업 특유프리미엄+완성도프리미엄이며, 할인율은 국가/지역프리미엄과 시장 프리미엄은 추가 적산이 가능하다.
rNPV방법에서는 성공확률을 각 단계별로 적용하기 때문에 할인율에서는 개발 성공에 관련된 위험요소가 분리되어 DCF(NPV)방법에서의 할인율 값보다 낮은 수치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 기업, 산업의 위험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가중평균자본비용을 이용한 할인율을 rNPV방법에 적용할 경우, 산업적 위험요소가 중복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약물의 가치가 과소 평가될 수 있어 주의를 필요로 한다.
<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시스템 >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구현한 가치 평가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1)은, 입력부(10), 데이터베이스(20), 처리부(30), 출력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부(10)는 사용자 또는 외부의 관련 시스템으로부터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 정보들을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분석시 사용되는 자료 정보, 처리부(30)에 의해 추정된 주요 변수들에 대한 값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처리부(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환경 분석을 수행하여 가치 평가에 사용되는 주요 변수들을 추정하고, 추정된 주요 변수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여 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출력부(40)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들을 출력한다.
상기 처리부(30)는, 수익 산출 모듈(300), 비용 산출 모듈(310) 및 기술 가치 산출 모듈(320)을 구비한다.
상기 수익 산출 모듈(3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측정하여 제공한다. 상기 비용 산출 모듈(31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측정하여 제공한다. 상기 기술 가치 산출 모듈(320)은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를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1에 따라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기술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한다.
상기 수익 산출 모듈(300)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기술 수명을 산출하는 기술 수명 산출 모듈(30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을 산출하는 현금 흐름 산출 모듈(304),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을 산출하는 임상승인가능성 산출 모듈(306); 및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 모듈(308);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술수명(t),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 임상승인가능성(rLOA)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2에 따라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를 계산하여 제공한다.
상기 비용 산출 모듈(310)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을 산출하는 개발기간 산출 모듈(31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산출하는 개발비용 산출 모듈(314);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을 산출하는 진입가능성 산출 모듈(316); 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3에 따라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계산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시스템의 처리부의 각 모듈들은 전술한 가치평가방법에서의 동일한 과정을 통해 각 주요 변수들에 대한 값들을 추정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가치평가방법은 의약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 : 가치 평가 시스템
10 : 입력부
20 : 데이터베이스
30 : 처리부
40 : 출력부
300 : 수익 산출 모듈
302 : 기술 수명 산출 모듈
304 : 현금 흐름 산출 모듈
306 : 임상승인가능성 산출 모듈
308 : 할인율 산출 모듈
310 : 비용 산출 모듈
312 : 개발기간 산출 모듈
314 : 개발비용 산출 모듈
316 : 진입가능성 산출 모듈

Claims (19)

  1. 보건의료분야의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에 있어서,
    (a)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가치평가의 주요 변수 추정을 위한 환경분석을 하는 단계:
    (b)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를 측정하는 단계;
    (c)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를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단계;
    Figure pat00029

    를 구비하여, 의약 기술에 대한 기술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기술수명(t)을 추정하는 단계;
    (b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을 추정하는 단계;
    (b3)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을 추정하는 단계;
    (b4)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a)을 추정하는 단계;
    (b5) 상기 추정된 기술수명(t),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 임상승인가능성(rLOA)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계산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을 추정하는 단계;
    (c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추정하는 단계;
    (c3)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을 추정하는 단계;
    (c4)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a)을 추정하는 단계; 및
    (c5) 상기 추정된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계산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1
  6. 제2항에 있어서, (b3) 단계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을 추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시장 점유율 및 시장규모를 이용하여 추정 매출액을 구하고,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추정 매출액과 수익률을 이용하여 출시 이후의 현금 흐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규모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해당 질병에 대하여 기존의 처방 의약품의 매출액과 시장성장률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4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규모는,
    아래의 수학식들에 따라 상향식 접근법을 이용하여 임상시험 대상 지역의 환경적 요인들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의 기술수명(t)은 특허연장(Patent extension) 기간을 포함한 특허만료기간 및 자료독점권(Data exclusivity) 만료기간을 합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은, 임상 시험 자료를 이용한 평균 임상 성공 확률을 이용하여 추정하되,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각 단계별 임상성공 확률들과 승인성공률을 곱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7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별 임상성공확률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해당 단계(i 단계)에 진입한 모든 임상 시험수와 다음 단계(i+1 단계)로 진입한 임상시험 수의 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8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을 추정하는 단계는, 환경 분석시에 설정된 임상 성공 기준 항목들과 각 임상 성공 기준 항목들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임상 성공 기준 충족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충족 정도에 따라 임상 시험의 성공 확률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추정하는 단계는, 산업 평균값을 이용하여 개발 비용을 산출하거나, 전체 단계 집행 예산을 기준으로 각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개발 비용을 산출하거나, 임상 시험 계획을 이용하여 개발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추정하는 단계는, 전체 단계 집행 예산을 기준으로 각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각 단계의 개발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39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추정하는 단계는, 임상 시험 계획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개발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40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3)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을 추정하는 단계는, 각 단계에서의 진입 가능성은 각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로서,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이전 단계(i-1)의 진입 가능성과 성공확률의 곱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방법.
    Figure pat00041
  17.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 정보들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들 통해 입력된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정보 및 환경 분석시 사용되는 자료 정보, 처리부에 의해 추정된 주요 변수들에 대한 값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주요 변수들을 추정하고, 추정된 주요 변수들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를 측정하는 수익 산출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측정하는 비용 산출 모듈; 및
    상기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와 상기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를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위험-조정 현재 가치(risk-adjusted Net Present Value; rNPV total )를 측정하는 기술가치 평가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기술 가치를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산출 모듈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기술 수명을 산출하는 기술 수명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을 산출하는 현금 흐름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임상승인가능성(rLOA)을 산출하는 임상승인가능성 산출 모듈; 및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 모듈;
    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술수명(t), 출시 이후의 현금흐름(CFt), 임상승인가능성(rLOA)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한 시장 출시 이후 수익의 현재 가치( LOA NPV rev . )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산출 모듈은,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을 산출하는 개발기간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을 산출하는 개발비용 산출 모듈;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을 산출하는 진입가능성 산출 모듈; 및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의 할인율(a)을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 모듈;
    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 개발 단계별 기간(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Cpt), 각 개발단계별 진입가능성(Propt) 및 할인율(a)을 이용하여, 가치평가 대상 의약 기술에 대하여 개발과정에서 지출되는 비용의 현재 가치(proNPV dev . )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시스템.

KR1020170089727A 2017-07-14 2017-07-14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KR20190008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27A KR20190008483A (ko) 2017-07-14 2017-07-14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27A KR20190008483A (ko) 2017-07-14 2017-07-14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483A true KR20190008483A (ko) 2019-01-24

Family

ID=6527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727A KR20190008483A (ko) 2017-07-14 2017-07-14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84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23A1 (ko) * 2019-04-02 2020-10-08 주식회사 카이페리온 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지식재산권에 기반한 투자/공모 및 거래 시스템
KR102300449B1 (ko) * 2020-07-27 2021-09-09 임세웅 치과 병원 경제성 분석 관리 장치
KR20230031671A (ko) * 2021-08-27 2023-03-0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76898B1 (ko) 2022-10-07 2023-09-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647082B1 (ko) 2023-09-05 2024-03-14 김천규 제약 및 바이오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14B1 (ko) 2012-05-11 2013-11-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장치,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101488242B1 (ko) 2014-05-20 2015-02-02 신용보증기금 기업가치의 평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14B1 (ko) 2012-05-11 2013-11-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장치,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101488242B1 (ko) 2014-05-20 2015-02-02 신용보증기금 기업가치의 평가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23A1 (ko) * 2019-04-02 2020-10-08 주식회사 카이페리온 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지식재산권에 기반한 투자/공모 및 거래 시스템
KR20200116641A (ko) * 2019-04-02 2020-10-13 주식회사 카이페리온 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지식재산권에 기반한 투자/공모 및 거래 시스템
KR102300449B1 (ko) * 2020-07-27 2021-09-09 임세웅 치과 병원 경제성 분석 관리 장치
KR20230031671A (ko) * 2021-08-27 2023-03-0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76898B1 (ko) 2022-10-07 2023-09-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KR102647082B1 (ko) 2023-09-05 2024-03-14 김천규 제약 및 바이오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roiwa et al. Development of an official guideline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drugs/medical devices in Japan
KR20190008483A (ko)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Grubb Failing to choose the best price: Theory, evidence, and policy
Gelhorn et al. Patient-reported symptoms of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s
Salm Subjective mortality expectations and consumption and saving behaviours among the elderly
Danzon et al. Productivity in pharmaceutical–biotechnology R&D: the role of experience and alliances
Ostadi et al. A combined modelling of fuzzy logic and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TDABC) for hospital services costing under uncertainty
Bridge et al. Housing assistance and non-shelter outcomes
Lopatina et al. Economic evaluation of nurse practitioner and clinical nurse specialist roles: A methodological review
Sherry et al. Multitasking and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in pay-for-performance in health care: evidence from Rwanda
Omrani et al. A robust credibility DEA model with fuzzy perturbation degree: An application to hospitals performance
Huijgens et al.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 and stakeholder satisfaction on software project impact
Russell The valuation of pharmaceutical intangibles
Gomez et al. Improving maternal care through a state-wide health insurance program: a cost and cost-effectiveness study in rural Nigeria
Bucciol et al. Purchasing medical devices: The role of buyer competence and discretion
Woldemichael et al. The impact of community based health insurance schemes on out-of-pocket healthcare spending: evidence from Rwanda
Soto Lopez et al. Evaluating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hospital supply chain performance indicators: a rough-DEMATEL-based approach
García-Altés et al. Understanding public procurement within the health sector: a priority in a post-COVID-19 world
JPWO2002025526A1 (ja) 開発医薬品の採算性評価システム
Sidney et al. The well-being valuation model: A method for monetizing the nonmarket good of individual well-being
Ross et al. Veridical causal inference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with medical claims
Hayen et al. Dutch shared savings program targeted at primary care: reduced expenditures in its first year
Sheliemina Interrelationship between indexes of the population medical care quality and macroeconomic efficiency
Avdic et al. Providers, peers and patients. How do physicians’ practice environments affect patient outcomes?
Lazarashouri et al. Enhancing emergency department efficiency through simulation and fuzzy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integ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