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731B1 -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731B1
KR102576731B1 KR1020200135730A KR20200135730A KR102576731B1 KR 102576731 B1 KR102576731 B1 KR 102576731B1 KR 1020200135730 A KR1020200135730 A KR 1020200135730A KR 20200135730 A KR20200135730 A KR 20200135730A KR 102576731 B1 KR102576731 B1 KR 10257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drug
drugs
coronavirus
s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890A (ko
Inventor
김성준
김천생
신혜진
구근본
김범태
김균도
권영찬
김해수
안대균
이수민
이선희
황인수
윤건영
정지욱
김미화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7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ketorolac, phys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Non-condensed thi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약물을 FDA 승인된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크리닝 하였다. 두차례의 스크리닝을 통해서 31종을 선별할 수 있었고, 이중 2개의 약물이 동시에 선별되어서 약효를 나타내는 약물은 총 29종 이었다.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보이는 약물을 이용하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Antiviral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약 3만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진 단일가닥의 양성 RNA 게놈을 가진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 표면이 외피로 둘러 쌓여 있는 바이러스이다. 2019년 12월말에 중국 우한에서 최초로 보고된 후 전세계적으로 감염자가 폭증하고 있다 (비특허문헌1). 바이러스의 사람간 전파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전세계에 유행이 가능한 펜데믹으로 선포하고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2020년 2월 13일 기준으로 보고된 바에 의하면 확진자는 6만명 이상이고 치사율은 2.2%를 나타내고 있다 (비특허문헌 2). 일반적인 코비드-19 환자의 경우 체온상승, 기침, 그리고 가슴 통증과 같은 비교적 심하지 않은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호흡곤란 및 폐렴과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되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비특허문헌 3).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나 백신은 보고되지 않은 상황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대증 요법으로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따라서 시급하게 치료용 약물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약물 재창출 (Drug Repositioning)은 안전성과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은 FDA 승인 약물들을 이용하여 적용증이 다른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비특허문헌 4). 잘 알려진 약물성과 많은 임상시험을 거친 약물을 이용하여 빠르게 약물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DA 승인 약물들을 이용하여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을 억제하는 약물을 스크리닝 하고, 이를 통해서 신속하게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1. Emerg Microbes Infect. (2020) 9: 542-544. 2. Trop Med Int Health. (2020) 25: 278-280 3. Clin Med (Lond). (2020) 20: 124-127. 4.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4) 3: 673-6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 약 1,500 여종에 대하여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스크리닝 대상 약물을 Vero 세포에 투여하는 단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감염시키는 단계;
현미경 또는 MTS법으로 세포의 사멸을 측정하는 단계;
이중가닥 RNA에 특이적인 항체로 반응시키는 단계; 및
대조군으로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억제 약물을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선별된 약물들은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고, 안전성과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아서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증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변성 (cytopathic effect, CPE)을 억제하는 약물의 효능을 확인하는 항바이러스 활성 스크리닝 방법을 확립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항체로 염색하여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어세이법을 확립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변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현미경 관찰로 선별하고, 이들의 약효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도되는 세포변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MTS 법으로 선별하고, 이들의 약효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라 함은 질환의 원인으로부터 발생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라 함은 완전히 치유하지 않아도 증상의 진전 및/또는 악화를 억제하여 손상의 진행을 멈추거나, 또는 증상의 일부 혹은 전부를 개선하여 치유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베클라미드(Beclamide; Chloracon, Hibicon, Posedrine, Nydrane, Seclar 및 기타 이름으로 판매)는 항경련제 작용을 하는 약물이다.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는 브랜드 이름 Majeptil로 판매되는 페노티아진 그룹의 전형적인 항정신병 약제로 진정제, 구토 방지제, 진정제, 정신 분열증 및 조울증 치료에 사용된다.
아세나핀(Asenapine)은 Saphris와 Sycrest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정신 분열증 및 급성 조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이다.
빈포세틴(Vinpocetine)은 빈카 알칼로이드 빈카민의 합성 유도체이다. Voacanga africana의 씨앗이나 Vinca minor의 잎에서 추출되고, 뇌졸중 및 치매르르 포함하는 뇌혈관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사스 또는 메르스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증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성분은 화합물, 천연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공지된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산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및 액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제화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일 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약 0.1 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300 mg/kg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일반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성분은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성분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g을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성분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성분은 천연 과일 쥬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성분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크리닝 대상 약물을 Vero 세포에 투여하는 단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감염시키는 단계;
현미경 또는 MTS법으로 세포의 사멸을 측정하는 단계;
이중가닥 RNA에 특이적인 항체로 반응시키는 단계; 및
대조군으로 베클라미드(Beclamide), 티오프로페라진 디메실레이트(Thioproperazine dimesylate), 아세나핀(Asenapine) 및 빈포세틴(Vinpocet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억제 약물을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바이러스를 감염하지 않은 세포의 경우 세포 생존율을 100%로 간주하고, 감염된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약물의 용량 반응(dose-response)을 측정하기 위하여 바이러스가 감염된 경우 숙주에서 발생하는 이중가닥 RNA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이때 이중가닥 RNA는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의 스크리닝에 있어, 렘데시비르(Remdesivir) 약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약물의 효과를 비교하나, 이 분야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억제 약물로 알려져 있는 약물은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00 μM 부터 5배씩 희석한 약물을 세포에 처리하고 바이러스를 동시에 감염시키고, 감염 24시간 후에 세포를 고정시킨 후 항체로 염색한 후 오페레타 (PerkinElmer, Operetta) 장비로 세포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Harmony 소프트웨어로 감염률을 계산할 수 있다. 바이러스만 감염한 경우를 100%로, 감염하지 않은 경우는 0%로 간주하고 약물을 처리 하였을때의 감염률을 계산한다. 프리즘 소프트웨어 (GraphPad, Prism)를 통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50% 억제하는 농도 (IC50)를 계산할 수 있다. 50% 세포의 생존율을 줄이는 농도를 (CC50) 세포 독성 농도로 계산하고, Selectivity Index (SI) 는 독성에 비해서 화합물이 얼마나 우수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CC50 값을 IC50 값으로 나누어서 계산할 수 있으나,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실시예 1] 세포 기반 항바이러스 효능 평가법 확립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약물을 선별하기 위해서 항바이러스 효능 평가법을 확립하였다.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공받아서 Vero (ATCC, CCL-81) 세포에 증식하여 사용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plaqu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바이러스 효능 평가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CPE (Cytopathic effect)를 약물이 얼마나 저해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바이러스가 감염하면 세포에 변형을 일으켜 현미경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결국에는 세포를 죽게 만든다. 약물이 효과를 보이면 이렇게 세포의 사멸을 막아서 세포의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이를 MTS (Promega, G3582)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바이러스를 감염하지 않은 세포의 경우 세포 생존률을 100%로 간주하고, 감염한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도 1). 바이러스를 감염했을 때 일정하게 세포 생존률을 낮추는 조건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는데 사용하였다.
스크리닝을 통해 선별된 약물의 용량 반응 (dose-response)을 측정하기 위해서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항체로 염색하여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어세이법을 확립하였다. 바이러스가 감염되면 숙주세포에서는 관찰이 어려운 이중 가닥 RNA가 형성되고 이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English and Scientific Consulting Kft. J2)를 이용하여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염색할 수 있다. 이차항체로 녹색 형광을 나타내는 항체를 사용하여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는 녹색으로 관찰할 수 있다. 세포핵은 DAPI 염색을 통하여 파란색으로 염색하였다 (도 2). 렘데시비르 (Remdesivir) 약물을 이용하여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100 μM 부터 5배씩 희석한 약물을 세포에 처리하고 바이러스를 동시에 감염하였다. 감염 24시간 후에 세포를 고정시킨 후 항체로 염색하였다. 오페레타 (PerkinElmer, Operetta) 장비로 세포의 이미지를 확보하고, Harmony 소프트웨어로 감염률을 계산하였다. 바이러스만 감염한 경우를 100%로, 감염하지 않은 경우는 0%로 간주하고 약물을 처리 하였을 때의 감염률을 계산하였다. 프리즘 소프트웨어 (GraphPad, Prism)를 통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50% 억제하는 농도 (IC50)를 계산하였다 (도 2). 세포 독성은 바이러스 감염 없이 약물 만을 동일 농도, 동일 시간 세포에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MTS 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50% 세포의 생존율을 줄이는 농도를 (CC50) 세포 독성 농도로 계산하였다. Selectivity Index (SI) 는 독성에 비해서 화합물이 얼마나 우수한 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CC50 값을 IC50 값으로 나누어서 계산하였다.
[ 실시예 2]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 1469종 항바이러스 효능 스크리닝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스크리닝 하기 위해서,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 1469종을 한국화학연구원 화합물 은행에서 받았다. 이들을 20 μM로 96-well 플레이트에서 자란 Vero (ATCC, CCL-81) 세포에 처리하고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변 (CPE)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어세이법이 확립되기 전이어서, 현미경으로 세포병변을 확인하였다. 1469종 약물을 처리한 well 을 전부 확인한 결과 10종의 약물을 처리한 경우에만 세포병변이 억제되어 건강한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 확립한 이미지 기반 항바이러스 효능평가를 통해서 이들 10종 약물의 용량 반응 (Dose-response)를 측정하여 약효 (IC50) 를 확인하였고, 동시에 세포 독성 (CC50)을 구하였다. 이러한 두가지 값을 이용하여 Selectivity index 값도 구할 수 있었다 (도 3). 우수한 약효를 보이는 10종의 약물을 찾을 수 있었다.
[ 실시예 3] FDA 승인 약물 라이브러리 1473종 항바이러스 효능 스크리닝
세포병변 (CPE)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어세이법을 확립한 후에 1473종의 FDA 승인된 약물 라이브러리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추가로 스크리닝 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20 μM 농도의 약물들을 96-well 플레이트에서 자란 Vero (ATCC, CCL-81) 세포에 처리하고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감염 72시간 후에 MTS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고, 60% 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보이는 26개의 약물을 선별하였다. 이들의 약효 (IC50)를 이미지 기반 어세이법으로 확인하였고, 동시에 세포 독성 (CC50) 값을 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종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효과를 보이는 약물 21종을 추가로 선별하였다 (도 4).

Claims (12)

  1. 아세나핀(Asenapine)을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아세나핀(Asenapine)을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증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아세나핀(Asenapine)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증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삭제
KR1020200135730A 2020-04-17 2020-10-20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7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30A KR102576731B1 (ko) 2020-04-17 2020-10-20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496A KR102185947B1 (ko) 2020-04-17 2020-04-17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0200135730A KR102576731B1 (ko) 2020-04-17 2020-10-20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496A Division KR102185947B1 (ko) 2020-04-17 2020-04-17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90A KR20210128890A (ko) 2021-10-27
KR102576731B1 true KR102576731B1 (ko) 2023-09-07

Family

ID=737920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496A KR102185947B1 (ko) 2020-04-17 2020-04-17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0200135730A KR102576731B1 (ko) 2020-04-17 2020-10-20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496A KR102185947B1 (ko) 2020-04-17 2020-04-17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5947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PNAS, Vol. 101 (2004.07.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947B1 (ko) 2020-12-02
KR20210128890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nnad et al.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lycyrrhiza glabra on herpes simplex virus 1
KR102234745B1 (ko)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JP2022551019A (ja) ホルトノ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コロナウイルス治療剤
Hinkov et al. Nepeta nuda ssp. nuda L. water extract: Inhibition of replication of some strains of Human Alpha herpes virus (genus Simplex virus) in vitro, mode of action and NMR-based metabolomics
KR101708833B1 (ko) 커큐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576731B1 (ko)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28545B1 (ko)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96373B1 (ko)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96372B1 (ko)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US20230241144A1 (en) Antiviral ag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vid-19
KR102456295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Jimenez-Coello et al. Antitrypanosomal activity of Senna villosa in infected Balb/C mice with Trypanosoma cruzi during the sub acute phase of infection
KR102025884B1 (ko) 옻나무 목질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항균, 항기생충,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조성물
KR20210153182A (ko) 약물 재창출에 의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135106B1 (ko)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334348B1 (ko)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KR100531633B1 (ko) 국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독감 또는 감기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13197886A (zh) 双黄连制剂在抗病毒感染中的应用
KR102572694B1 (ko) 베네토클락스 및 렘데시비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코로나-19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3975268B (zh) 5,6-dehydroeurycomalactone在制备抗登革病毒药物的应用
KR102135116B1 (ko) 클로록신 또는 그 유사 화합물을 이용한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814175B1 (ko) 옻나무 목질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항균, 항기생충,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조성물
KR20220035675A (ko) 돌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