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88B1 -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 Google Patents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88B1
KR102576688B1 KR1020230001747A KR20230001747A KR102576688B1 KR 102576688 B1 KR102576688 B1 KR 102576688B1 KR 1020230001747 A KR1020230001747 A KR 1020230001747A KR 20230001747 A KR20230001747 A KR 20230001747A KR 102576688 B1 KR102576688 B1 KR 10257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guide
lava
installation
la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이치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통하여 자동으로 라바콘을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라바콘 회수시에 정상상태의 라바콘뿐만 아니라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까지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도로상에서의 수작업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라바콘의 설치 및 회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라바콘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의 라바콘을 회수하는 설치 회수 장치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와 설치 회수 장치 사이에서 라바콘을 이동시키는 픽업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nstall and retrieve the lava cone through a vehicle, and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not only the laba cone in a normal state but also the laba cone in a fallen state can be stably installed. This relates to a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that can be recovere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completely blocking manual work on the road, as well as quickly performing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of the laba con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loading unit installed on a vehicle and loading the laba cone,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to install the laba cone on the road or recover the laba cone on the road, and the load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ickup device installed at the top to move the rubber cone between the loading unit and the installation recovery device.

Figure R1020230001747
Figure R1020230001747

Description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Rubber cone installation and collection vehicle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본 발명은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통하여 자동으로 라바콘을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라바콘 회수시에 정상상태의 라바콘뿐만 아니라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까지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도로상에서의 수작업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라바콘의 설치 및 회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nstall and retrieve the lava cone through a vehicle, and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not only the laba cone in a normal state but also the laba cone in a fallen state can be stably installed. This relates to a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that can be recovere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completely blocking manual work on the road, as well as quickly performing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of the laba cone.

라바콘(Rubber cone, 칼라콘 이라고도 함)은 고속도로 및 일반 도로 등에서 행해지는 각종 공사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한 공사 경계표시로 사용되고 있다.Rubber cone (also known as colored cone) is used as a construction warning sign to alert drivers of vehicles driving during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on highways and general roads.

이러한 라바콘은 대부분 원뿔 형태의 상단부와,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지름이 커지며 확대된 후 사각형 형태의 하단부로 구성되어, 도로 포장공사, 도로변 전화공사, 도로변 전기공사, 도로 훼손영역 복구공사 등 도로면에서 행하여지는 각종 공사시 위험을 알리기 위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Most of these rubber cones are composed of a cone-shaped upper part and a square-shaped lower part after the diameter increases and expands downward from the top, and is used on road surfaces such as road paving work, roadside electrification work, roadside electric work, and road damage area restoration work. It is used as a display device to inform of risks during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라바콘의 설치 시작점에서 그 전방 영역 구간으로 도로공사가 있음을 인지하여 차선을 라바콘의 설치 위치를 안내선으로 하여 서서히 변경하여 운행하거나 서행하며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게 된다.The driver of the vehicle must be aware that there is road construction in the area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starting point of the rubber cone, and must gradually change lanes us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ubber cone as a guide line, or drive slowly and operate the vehicle while ensuring safety. do.

이와 같이 라바콘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를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는 필수적으로 인식되는 안전 표식인데, 이러한 라바콘을 이용하여 도로공사 영역을 따라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라바콘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차량에 라바콘을 탑재한 후 서행하는 작업차량에서 수작업으로 노면을 따라 배치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In this way, lava cones are a safety sign that is recognized as essential for drivers driving vehicles along highways or general roads. If it is desired to use these lava cones to place them along a road construction area, the worker must place the lava cones one by one at regular intervals or After mounting the rubber cone on a vehicle, placement work was performed along the road surface manually in a slow-moving work vehicle.

또한, 작업현장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라바콘이 설치되는 위치는 상당히 멀리 떨어진 후방의 위치에서부터 사선 형태의 영역을 따라 라바콘을 설치한 후 일정 영역을 따라 작업 하는 위치까지 직선상으로 배치되어진다.In addition, the location where the rubber cone is installed toward the rear from the work site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from a fairly far rear loca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rubber cone is installed along a diagonal area and then worked along a certain area.

즉,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안전확보를 위해 공사현장으로부터 상당한 거리의 후방측에서부터 라바콘이 사선 형태의 안내선상을 따라 설치되어진 후 직선상으로 차선을 따라 설치되어져 운전자의 서행을 안내하면서 작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drivers operating vehicles, rubber cones are installed along a diagonal guide line from the rear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ane to guide the driver's slow movement while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work site. The safety of workers is ensured.

이와 같이 사선 형태의 설치영역으로 라바콘을 설치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셋팅하여야 하고, 직선구간으로 설치되는 영역에서도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수작업 설치되는 과정에서, 특히 고속도로와 같은 경우 운전자가 작업자를 발견하지 못하여 사고로 연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In this way, the work of installing the rubber cone in a diagonal installation area requires the worker to manually set it one by one, and even in areas where it is installed in a straight section,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it manually by the worker one by one, 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ways, the driver may spot the worker. Failure to do so frequently leads to accidents.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2396150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이송차량에 다수의 라바콘을 적재하기 위한 라바콘적재부(10); 상기 라바콘적재부(10)에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되어질 라바콘을 승하강시키는 라바콘승하강부(20); 상기 라바콘승하강부(20)에 위치된 라바콘을 고정한 상태에서 하강한 후 회동하게 되는 라바콘회동부; 상기 라바콘회동부에 의해 회동된 라바콘의 파지 상태를 해지하여 도로노면상으로 눕혀진 상태의 라바콘이 이송차량의 주행에 따라 상기 라바콘의 바닥재 테두리부분이 걸려지며 수직상태로 노면에서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라바콘승하강부(20)의 하부프레임(24) 후단측으로 구비되는 라바콘입식조절부(40); 상기 라바콘입식조절부(40)에 의해 도로노면상에 눕혀진 라바콘이 세워진 상태에서, 도로노면의 설정 위치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라바콘입식조절부(40)의 후단 양측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라바콘위치이동가이더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239615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as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a lava cone loading unit for loading a plurality of lava cones on a transport vehicle. (10); A laba cone raising and lowering unit (20) that raises and lowers the laba cone that is loaded or to be loaded on the laba cone loading unit (10); A laba cone rotating part that rotates after lowering while fixing the laba cone located in the laba cone raising and lowering unit (20); The grip state of the laba cone rotated by the laba cone rotating part is canceled so that the laba cone lying down on the road surface is caught by the bottom edge of the laba cone as the transport vehicle travels, and the laba cone can be erected in a vertical position on the road surface. A rubber cone entry control unit (4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24)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20); In a state in which the Lava Cone lying on the road surface is erected by the Lava Cone positioning control unit 4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Lava Cone positioning control unit 40 so that it can be moved to a set position on the roa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ubber cone position movement guider part (50).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2396150호에 기재된 기술은 라바콘을 탑재한 이송차량의 후미에서 라바콘을 개별 인출하여 도로 노면상 원하는 위치에 설치 및 회수할 수 있어 작업자가 도로노면에서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회수시에는 세우진 상태의 라바콘은 회수할 수 있지만 넘어진 라바콘을 회수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사람의 수작업이 필요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2396150 allows the rubber cone to be individually withdrawn from the rear of the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the rubber cone and installed and recovered at a desired location on the road surface, so the worker does not have to install it directly on the road surface. Although i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afety of work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ring recovery, the upright lava cone can be recovered, but the fallen lava cone cannot be recovered, so human manual work is still required, which may result in a safety accident.

한국등록특허 제10-2396150호(2022.05.04.등록)Korean Patent No. 10-2396150 (registered on May 4, 20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라바콘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고 회수하는 설치 회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으로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ading part where the laba cone is loaded on the vehicle and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for installing and recovering the laba cone on the road, thereby automatically placing the laba cone on the road. The goal is to provide a rubber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allowing installation or recover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설치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도로상에 설치된 라바콘을 회수할 때, 정상상태의 라바콘뿐만 아니라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도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수작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라바콘을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fely recover not only the normal lava cone but also the fallen lava cone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installed on the road using the installation recovery device installed on the vehicle,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human manual work. We provide a rubber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that can be completely block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s well as quickly install and retrieve the rubber con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차량에 설치되어 라바콘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의 라바콘을 회수하는 설치 회수 장치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와 설치 회수 장치 사이에서 라바콘을 이동시키는 픽업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oading unit installed on a vehicle to load the lava cone,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to install the lava cone on the road or retrieve the lava cone on the road, and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to install and retrieve the lava con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ickup device that moves the rubber cone between devices.

여기서, 상기 설치 회수 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하는 콘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공과, 상기 콘 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와, 일측 단부는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cludes a lifting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a cone support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frame, and a first long hole-shaped member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frame. A guide hole, a pivoting brack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formed at an en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a win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and one end wound around the winch, ,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wire connected to the rotating bracket.

이때, 상기 콘 지지부재에는 라바콘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 지지부재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라바콘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판의 양측을 고정하는 콘 클램프와, 상기 콘 지지부재의 하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 클램프의 단부에 돌출되는 클램프 래버를 작동시키는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lava cone, and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cone clamp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e support member and fixes both sides of a support plat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lava c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lamp cylind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to operate a clamp lever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cone clamp.

그리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콘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 양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라바콘을 설치시에 눕혀진 라바콘을 세우고, 회수시에 세워진 라바콘을 눕히는 제1콘가이드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e guide brack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to protrude rearward, a pair of guide ba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ds of the cone guide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and a rubber cone is provided on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cone guide brack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e guide, which erects the laid down lava cone when installing and lays down the erected lava cone when recovering,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여기서, 상기 제1콘가이드의 후부에는 제2콘가이드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2콘가이드는 후단에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립바가 설치되어 라바콘의 회수시 라바콘을 세우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second cone guid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cone guide so that it can rotate, and a standing bar formed in an arc shape that slopes downward as it moves forward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e guide, so that when the Lava Cone is recovered, the Lava Cone i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ction of establishing .

이때,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정상 상태의 라바콘을 회수할 때는 상기 제1콘가이드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콘가이드의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며, 도로상에서 라바콘의 지지판이 설치 회수 장치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을 회수할 때는 상기 제1콘가이드 및 제2콘가이드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고, 도로상에서 라바콘의 지지판이 설치 회수 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을 회수할 때는 상기 제1콘가이드 및 제2콘가이드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installing the laba cone on the road or recovering the laba cone in a normal state, the end of the first cone guide is directed downward, the end of the second cone guide is directed upward, and the support plate of the laba cone is placed on the road.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that has fallen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s are directed upward, and the support plate of the Lava Cone on the road is in a state where the Lava Cone has falle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When recovering, the ends of the first cone guide and the second cone guide are directed downward.

한편,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는 폭방향으로 좌우 이동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이 상기 좌우 이동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는 상하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left and right movable rail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movable frame install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frame is install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left and right movable rail, and an end of the cone guid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bendable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픽업 장치는 상기 라바콘의 상부를 고정하여 픽업하는 픽업부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부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ckup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ickup part that fixes and picks up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cone, and a moving par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part and moves the pickup part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이때, 상기 픽업부는 라바콘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커버와, 상기 가이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와, 상기 핑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공과, 상기 통공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설치판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핑거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작동뭉치와, 상기 가이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뭉치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ickup unit includes a guide cover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cone is inserted, a pair of installation plate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guide cover, and a pair of installation plate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installation plate.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a finger, a long second guide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 guide member formed in the hol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and the installation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perating unit to which the end of the finger is hinged, and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guide cover to move the operating unit.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라바콘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고 회수하는 설치 회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으로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loading part where the laba cone is loaded and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for installing and recovering the laba cone on the road, thereby automatically installing or recovering the laba cone on the road,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설치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도로상에 설치된 라바콘을 회수할 때, 정상상태의 라바콘뿐만 아니라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도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수작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라바콘을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tably recover not only the laba cone in a normal state but also the laba cone in a fallen state when recovering the laba cone installed on the road using an installation recovery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thereby completely eliminating human manual work.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s well as quickly installing and recovering the rubber cone.

도 1은 종래의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후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설치 회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제1,2콘가이드바가 설치된 상태에서 정상 상태의 라바콘이 회수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제1,2콘가이드바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설치 회수 장치 방향으로 향하도록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이 회수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제1,2콘가이드바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설치 회수 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이 회수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가이드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설치 회수 장치를 절첩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의 픽업부의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Figure 3 is a side conceptual diagram of a laba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conceptual diagram of a laba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ear of the laba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for a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recovering the laba cone in a normal st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 bars installed in the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recovering the fallen Lava Cone with the support plate facing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 bars installed in the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recovering a fallen Lava Cone with the support plate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 bars installed in the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guide bar of the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for the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folded and moved upward.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pickup unit of the laba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은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차량(100)에 설치되어 라바콘(500)이 적재되는 적재부(200)와 상기 적재부(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라바콘(500)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의 라바콘(500)을 회수하는 설치 회수 장치(4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and as shown in FIGS. 3 to 12,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loading unit 200 installed on the vehicle 100 and loading the laba cone 500, and the loading unit 200. It consists of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400 tha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and installs the laba cone 500 on the road or recovers the laba cone 500 on the road.

여기서, 상기 적재부(200)의 라바콘(500)을 상기 설치 회수 장치(400)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설치 회수 장치(400)의 라바콘(500)을 상기 적재부(200)로 이동시키는 픽업장치(300)가 상기 적재부(200)의 상부에 더 구비된다.Here, a pickup device moves the laba cone 500 of the loading unit 200 to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400, or moves the laba cone 500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400 to the loading unit 200. (3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unit (200).

그래서, 본 발명의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은 자동으로 도로상의 설정된 위치로 라바콘(500)을 설치하거나 도로상에 설치된 라바콘(500)을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어 사람이 수작업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라바콘(500)을 설치하거나 회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install the lava cone 500 at a set location on the road or automatically retrieve the lava cone 500 installed on the road, so there is no need for a person to perform manual work,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Not only can it be preven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quickly install or retrieve the labacone 500.

그리고, 상기 설치 회수 장치(400)는 상기 적재부(20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420)과 상기 승강 프레임(420)을 따라 승하강하는 콘 지지부재(430)와 상기 승강 프레임(4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 지지부재(430)를 승하강 시키는 윈치(4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400 includes a lifting frame 420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200, a cone support member 430 that rises and lowers along the lifting frame 420, and the lifting frame 420. It includes a winch 40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420 to raise and lower the cone support member 430.

여기서, 상기 승강 프레임(420)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공(422)이 형성되고,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양측에는 회동 브라켓(432)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동 브라켓(432)의 단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공(42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434)가 형성된다.Here, long first guide holes 422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frame 420, and pivoting brackets 43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A guide protrusion 434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422 is formed at the end of 432.

이때, 상기 윈치(402)에는 와이어(404)의 일측 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43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윈치(402)와 와이어(404)에 의해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상기 승강 프레임(420)을 따라 승하강 하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wire 404 is wound around the winch 402,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racket 432, so that the cone is supported by the winch 402 and the wire 404. The member 430 goes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frame 420.

한편,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승하강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상기 승강 프레임(42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픽업장치(300)를 통하여 라바콘(500)을 공급받게 되면, 상기 윈치(402)가 회전하여 와이어(404)가 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콘 지지부재(430) 및 라바콘(5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looking at the raising and lowering process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the lava cone 500 is supplied through the pickup device 300 while the cone support member 43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frame 420. When received, the winch 402 rotates to unwind the wire 404, and accordingly, the cone support member 430 moves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and the laba cone 500.

여기서, 상기 승강 프레임(42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공(422)에 삽입된 가이드돌부(434)가 최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돌부(434)는 더이상 이동할 수 없지만 상기 콘 지지부재(430)는 상기 가이드돌부(434)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 안착된 라바콘(500)이 기울어지게 되는데, 상기 승강 프레임(420)의 하부에는 상기 회동 브라켓(432)의 하방 이동을 방지하는 하부 스토퍼(426)가 설치되어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Here, when the guide protrusion 434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422 formed in the lifting frame 420 moves to the lowest position, the guide protrusion 434 cannot move any longer, but the cone support member 430 By rotating downward based on the guide protrusion 434, the lava cone 50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is tilted, and the rotation bracket 432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420. ) A lower stopper (426) is installed to prevent downward movement, preventing it from rotating beyond a set angle.

이때, 상기 라바콘(500)의 하단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5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판(510)의 일측이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차량(100)이 전방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판(510)이 도로의 바닥과 접하게 되어 도로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라바콘(500)은 도로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At this time, a support plate 510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ava cone 500.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510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thereby supporting the vehicle 100. In the process of driving forward, the support plate 5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oad, and the rubber cone 5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ad due to frictional force with the road.

반대로,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량(100)이 후방으로 주행하게 되면, 후술할 제1콘가이드(452)에 의해 세워진 라바콘(500)의 지지판(510)이 상기 콘 지지부재(430) 방향으로 하여 넘어지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rearward with the cone support member 430 tilted rearward, the support plate 510 of the lava cone 500 erected by the first cone guide 4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t falls in the direction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여기서, 상기 차량(100)이 지속적으로 후진하게 되면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콘지지대(부호 미도시)가 상기 지지판(5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라바콘(500)이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 거치된다.Here, when the vehicle 100 continues to move backwards, a cone support (not show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510. The laba cone 5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이 상태에서 상기 윈치(402)를 작동시켜 와이어(404)를 권취하게 되면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가이드돌부(434)는 상기 제1가이드공(422)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돌부(434)가 제1가이드공(422)의 최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상기 가이드돌부(434)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inch 402 is operated to wind the wire 404, the guide protrusion 434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guide hole 422, When the guide protrusion 434 moves to the top of the first guide hole 422, the cone support member 430 rotates upward based on the guide protrusion 434.

이때, 상기 승강 프레임(420)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 브라켓(432)의 상방 회전을 방지하는 상부 스토퍼(424)가 설치되어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an upper stopper 424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frame 420 to prevent the rotation bracket 432 from rotating upward to prevent the cone support member 430 from rotat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그래서, 상기 콘 지지부재(430)가 완전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픽업장치(300)가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부에 안착된 라바콘(500)을 픽업하여 상기 적재부(200)로 이동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cone support member 430 maintains a completely horizontal state, and the pickup device 300 picks up the laba cone 500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and places it in the loading unit 200. will be moved to .

그리고, 상기 콘 지지부재(430)에는 라바콘(5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440)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장치(440)는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콘 클램프(442)와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하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 클램프(442)를 작동시키는 클램프 실린더(446)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e support member 430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440 for fixing the laba cone 500. The fixing device 440 is a cone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It consists of a clamp 442 and a clamp cylinder 446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to operate the cone clamp 442.

여기서, 상기 콘 클램프(442)는 상기 라바콘(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판(510)의 양측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콘 클램프(44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콘 지지부재(430)에 힌지 결합된다.Here, the cone clamp 442 is fixed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510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laba cone 500 from the top, and one end of the cone clamp 442 is connected to the cone support member 430. ) is hinged to.

이때, 상기 콘 클램프(442)의 힌지 결합되는 단부에는 클램프 래버(44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래버(444)에 상기 클램프 실린더(446)가 힌지 결합됨으로서, 상기 클램프 실린더(446)에 의해 상기 콘 클램프(442)가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a clamp lever 444 is formed to protrude at the hinged end of the cone clamp 442, and the clamp cylinder 446 is hinged to the clamp lever 444, so that the clamp cylinder 446 The cone clamp 442 rotates.

그래서,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 라바콘(500)이 적재될 경우에는 상기 콘 클램프(442)가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적재되도록 한 후, 다시 회전하여 지지판(510)을 고정하게 되고, 상기 라바콘(500)을 도로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라바콘(500)이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서 분리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lava cone 500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the cone clamp 442 is loaded whil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and then rotates again. The support plate 510 is fixed, and when the lava cone 500 is installed on the road, the lava cone 50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Make it possible.

따라서, 상기 콘 지지부재(430)의 상면에 라바콘(5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승하강 하거나 차량(100)이 이동하거나 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라바콘(500)이 상기 콘 지지부재(43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raising and lowering or moving the vehicle 100 while the lava cone 5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430, the lava cone 500 is supported by the cone support member ( 430), it reliably prevents arbitrary separation.

한편, 상기 승강 프레임(420)의 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콘 가이드 브라켓(450)이 설치되고,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의 단부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바(460)가 설치된다.Meanwhile, a cone guide bracket 45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420 to protrude rearward, and a pair of guide bars 460 ar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e guide bracket 450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콘가이드(452)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1콘가이드(452)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a first cone guide 452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e guide bracket 4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cone guide 452 is formed in an arc shape that slopes downward toward the rear.

이때, 상기 제1콘가이드(452)는 상기 라바콘(500)을 도로상에 설치시에 상기 콘 지지부재(430)에서 측방으로 눕혀진 상태로 도로상으로 공급된 라바콘(500)을 세우게 되고, 도로상에 설치된 라바콘(500)을 회수시에는 세워진 상태의 라바콘(500)을 눕히는 작용을 하여 상기 콘 지지부재(430)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e guide 452 erects the laba cone 500 supplied on the road in a state in which the laba cone 500 is laid sideways on the cone support member 430 when installing the laba cone 500 on the road.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500 installed on the road, the lava cone 500 in an upright state is laid down so that it can be easily seated on the cone support member 430.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콘가이드(452)의 후부에는 제2콘가이드(454)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2콘가이드(454)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호 미도시)의 후단에 상기 제1콘가이드(452)와 대칭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립바(456)가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second cone guide 454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the rear of the first cone guide 452, and the second cone guide 454 is a body formed in a bar shape. A standing bar 456 formed in an arc shape that slopes downward toward the fron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not shown) to be symmetrical to the first cone guide 452.

여기서, 상기 제2콘가이드(454)는 도로상에 설치된 다수의 라바콘(500) 중에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500)을 회수할 때, 정상 상태로 세우도록 함으로써,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500)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second cone guide 454 makes it easy to return the fallen Lava Cone 500 to its normal state when recovering the fallen Lava Cone 500 among the plurality of Lava Cones 500 installed on the road. Make sure it can be recovered easily.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2콘가이드(452,454)에는 각각 제어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제1,2콘가이드(452,454)를 차량(100)의 운전석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control cylinders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s 452 and 454,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s 452 and 454 can be rotated from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100. there is.

그리고, 상기 라바콘을 설치하거나 회수할 때의 상기 제1,2콘가이드(452,454)의 제어 상태를 살펴보면, 라바콘(500)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에 위치하는 정상 상태의 라바콘(500)을 회수할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콘가이드(452)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콘가이드(454)의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2콘가이드(454)이 라바콘(500)에 작용하지 못하도록 한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control status of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s 452 and 454 when installing or recovering the Lava Cone, the Lava Cone 500 is installed on the road or the Lava Cone 500 in a normal state located on the road is installed. When recovering, as shown in FIG. 7, the end of the first cone guide 452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e guide 454 is directed upward, so that the second cone guide ( 454) is prevented from acting on the labacon (500).

여기서, 도로상에 설치된 라바콘(500)이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넘어질 수 있는데, 넘어진 라바콘(500) 중에서 라바콘(500)의 지지판(510)이 설치 회수 장치(400)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500)을 회수할 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콘가이드(452) 및 제2콘가이드(454)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회수하도록 한다.Here, the Lava Cone 500 installed on the road may fall for various reasons. Among the fallen Lava Cone 500, the support plate 510 of the Lava Cone 500 is in a state where the Lava Cone 500 has fallen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recovery device 400. When recovering, as shown in FIG. 8, the ends of the first cone guide 452 and the second cone guide 454 are recovered with the ends facing upward.

즉, 라바콘(500)의 지지판(510)이 설치 회수 장치(400)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는 도 7에서와 같이 정상 상태의 라바콘(500)을 상기 제1콘가이드(452)에 의해 넘겨진 상태가 되므로 제1콘가이드(452)의 역할이 필요없어 지기 때문에 상기 제2콘가이드(454)와 함께 제1콘가이드(452) 역시 상방으로 회전시켜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회수를 진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 plate 510 of the Lava Cone 500 falls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400, the Lava Cone 500 in a normal state is handed over by the first cone guide 452, as shown in FIG. Since the role of the first cone guide 452 is no longer needed, the first cone guide 452 along with the second cone guide 454 is also rotated upward to prevent operation and recovery is performed.

또한, 도로상에서 다양한 이유로 넘어진 라바콘(500) 중에서 라바콘(500)의 지지판(510)이 설치 회수 장치(400)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500)을 회수할 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콘가이드(452) 및 제2콘가이드(454)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회수하도록 한다.In addition, among the Lava Cone 500 that has fallen for various reasons on the road,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500 in which the support plate 510 of the Lava Cone 500 has falle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recovery device 400, as shown in FIG. 9 , the ends of the first cone guide 452 and the second cone guide 454 are directed downward to be recovered.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콘가이드(454)는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500)을 세우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콘 지지부재(430)에 라바콘(500)을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지판(510)이 설치 회수 장치(400)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콘가이드바(452)를 통하여 회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라바콘(500)을 넘어뜨려 회수를 진행하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e guide 454 functions to erect the lapva cone 500 in a fallen state, so a support plate 510 is installed to seat the lapa cone 500 on the cone support member 430. Since it must fall in the direction of the recovery device 400, the lava cone 500 is knocked over in a direction where it can be recovered through the first cone guide bar 452 to proceed with recovery.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에 설치된 제1,2콘가이드바(452,454)를 제어하여, 라바콘(500)을 설치하거나 회수하는 과정에서 모든 상태의 라바콘(5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직접 도로에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완전하게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cone guide bars 452 and 454 installed on the cone guide bracket 450,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laba cone 500 in all states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or recovering the laba cone 50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safety accidents because people do not have to directly perform work on the road.

물론,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라바콘(500)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에서 라바콘(500)을 회수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by performing all processes automatically, the work of installing the Lava Cone 500 on the road or recovering the Lava Cone 500 from the road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그리고,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바(460)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의 단부 양측에는 가이드 실린더(464)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46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guide bar 46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e guide bracket 45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guide cylinders 464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cone guide bracket 450. This adjusts the angle of the guide bar 460.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460)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464)의 로드가 결합되는 가이드 레버(462)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실린더(464)가 용이하게 가이드바(46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Here, a guide lever 462 to which the rod of the guide cylinder 464 is couple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bar 460 to protrude laterally so that the guide cylinder 464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guide bar 460. will be adjusted.

그래서, 도로상에 라바콘(500)을 경사지도록 설치할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46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설치되는 라바콘(5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rubber cone 500 on the road at an angle, the position of the installed rubber cone 50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bar 460, as shown in FIG. 10.

한편, 상기 적재부(200)의 후단에는 폭방향으로 좌우 이동 레일(4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좌우 이동 레일(412)에는 이동 프레임(410)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좌우 이동 레일(412)에는 라이너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10)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Meanwhile, a left and right movable rail 412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200 in the width direction. A movable frame 41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movable rail 412 so that it can move left and right, and the left and right movable rail ( 412) is provided with a liner actuator (not shown) to move the moving frame 410 left and right.

여기서, 상기 이동 프레임(410)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420)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 프레임(4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lifting frame 420 is installed on the moving frame 410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Since the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lifting frame 420 is already known in the field,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460)의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프레임(410)을 통하여 승강 프레임(420)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라바콘(500)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0,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bar 460 and at the same time adjusting the width direction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420 through the moving frame 410, it is easier to control the rubber cone 500. ) can be adjusted to where it is installed.

이때,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의 단부는 상하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해당 부분에는 상하 절곡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실린더와 같은 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ne guide bracket 450 is formed to be bendable up and down, and an actuator (not shown) such as a cylinder that controls the angle of up and down bending is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part.

그래서, 라바콘(500)을 설치하거나 회수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프레임(4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을 펼친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고, 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450)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 프레임(42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차량(1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installing or recovering the lava cone 500, the lifting frame 420 is moved downward as shown in FIG. 3, the work is performed with the cone guide bracket 450 unfolded, and the work is performed. When not proceeding, the vehicle 100 can be easily moved by moving the lifting frame 420 upward with the cone guide bracket 450 folded, as shown in FIG. 11.

그리고, 상기 적재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픽업 장치(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바콘(500)의 상부를 고정하여 픽업하는 픽업부(320)와 상기 적재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부(320)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10)로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pickup device 3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unit 200 is a pickup unit 320 that fixes and picks up the upper part of the lava cone 500 and the loading unit. It consists of a moving part 310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 200 and moves the pickup part 320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부(320)는 라바콘(500)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커버(321)와 상기 가이드 커버(3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322)과 상기 설치판(322)에 형성되는 통공(323)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327)와 상기 설치판(322)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핑거(3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뭉치(326)와 상기 가이드 커버(3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뭉치(326)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29)로 이루어진다.Here, as shown in Figure 11, the pickup unit 320 includes a guide cover 321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cone 500 is inserted and a pair of installation plate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guide cover 321 ( 322) and a pair of fingers 327 that are installed to be able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323 formed in the installation plate 322 and ar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installation plate 322, so that the fingers ( It consists of an actuator 326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27) and an actuator 329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guide cover 321 to move the actuator 326.

이때, 상기 핑거(327)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공(328)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23)에는 상기 제2가이드공(328)에 삽입되어 상기 핑거(32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24)가 설치되며, 상기 핑거(327)의 내측 단부는 상기 작동뭉치(326)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다.At this time, a long second guide hole 328 is formed in the finger 327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32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328 to move the finger 327. A guide member 324 is installed to guide, and the inner end of the finger 327 is hinged to both sides of the actuating assembly 326.

그래서, 상기 액츄에이터(329)에 의해 상기 작동뭉치(326)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핑거(327)의 내측 단부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부재(324)와 이격되게 됨으로써, 상기 설치판(322)의 양측으로 돌출된 핑거(327)가 내측으로 삽입된다.Therefore, when the actuating bundle 326 moves downward by the actuator 329, the inner end of the finger 327 moves downward at the same time and become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member 324, so that the installation plate Fingers 327 protruding on both sides of 322 are inserted inward.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329)에 의해 상기 작동뭉치(326)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핑거(327)의 내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324)와 인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핑거(327)는 설치판(322)에 형성된 통공(323)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actuator 326 moves upward by the actuator 329, the inner end of the finger 327 becomes adjacent to the guide member 324, so that the finger 327 is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plate ( It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323 formed in 322).

이렇게 상기 라바콘(50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미도시)을 통하여 내부로 삽입된 상기 설치판(322)의 양측으로 상기 핑거(327)가 돌출되어 관통공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라바콘(500)을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fingers 327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plate 322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cone 500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labacone 500 can be easily picked up.

한편, 상기 픽업 장치(300)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부(310)는 상기 적재부(200)의 상부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레일(312)과 상기 전후 레일(312)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좌우 레일(314)와 상기 좌우 레일(314)에 설치되는 승강 레일(316)과 상기 승강 레일(316)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픽업 행거(318)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moving part 310 constituting the pickup device 3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and rear rails 312 and the front and rear rails 312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unit 200. It consists of left and right rails 314, a lifting rail 316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rails 314, and a pickup hanger 318 installed on the lifting rail 316 and moving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전후 레일(312), 좌우 레일(314), 승강 레일(316)에는 각각 라이너 엑츄에이터가 설치되어 각각을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픽업 행거(318)에 설치된 상기 픽업부(320)을 적재부(200)의 모든 위치 및 설치 회수 장치(400)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Here, a liner actuator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rails 312, the left and right rails 314, and the lifting rail 316, so that each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so that the pickup unit installed on the pickup hanger 318 (320) can be moved to all positions of the loading unit 200 and the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400.

물론, 전술한 모든 구동 장치에는 엔코더를 구비하여 현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하게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Of course, all of the above-mentioned driv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encoders,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and the position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통하여 자동으로 라바콘을 설치 및 회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라바콘 회수시에 정상상태의 라바콘뿐만 아니라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까지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도로상에서의 수작업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라바콘의 설치 및 회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nstall and retrieve the lava cone through a vehicle, and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not only the laba cone in a normal state but also the laba cone in a fallen state can be stably installed. This relates to a lab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that can be recovere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completely blocking manual work on the road, as well as quickly performing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of the laba cone.

100 : 차량 200 : 적재부
300 : 픽업장치 310 : 이동부
320 : 픽업부 400 : 설치 회수 장치
410 : 이동 프레임 420 : 승강 프레임
430 : 콘 지지부재 440 : 고정 장치
450 : 콘 가이드 브라켓 460 : 가이드바
500 : 라바콘 510 : 지지판
100: vehicle 200: loading unit
300: pickup device 310: moving part
320: pickup unit 400: installation recovery device
410: moving frame 420: lifting frame
430: Cone support member 440: Fixing device
450: Cone guide bracket 460: Guide bar
500: Lava cone 510: Support plate

Claims (9)

차량에 설치되어 라바콘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의 라바콘을 회수하는 설치 회수 장치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와 설치 회수 장치 사이에서 라바콘을 이동시키는 픽업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 회수 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하는 콘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공과, 상기 콘 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회동 브라켓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와, 일측 단부는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콘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 양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라바콘을 설치시에 눕혀진 라바콘을 세우고, 회수시에 세워진 라바콘을 눕히는 제1콘가이드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콘가이드의 후부에는 제2콘가이드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2콘가이드는 후단에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립바가 설치되어 라바콘의 회수시 라바콘을 세우는 작용을 하며
라바콘을 도로상에 설치하거나 정상 상태의 라바콘을 회수할 때는 상기 제1콘가이드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콘가이드의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며,
도로상에서 라바콘의 지지판이 설치 회수 장치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을 회수할 때는 상기 제1콘가이드 및 제2콘가이드의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고,
도로상에서 라바콘의 지지판이 설치 회수 장치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진 상태의 라바콘을 회수할 때는 상기 제1콘가이드 및 제2콘가이드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
A loading unit installed on a vehicle to load the lava cone,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to install the lava cone on the road or retrieve the lava cone on the road, and a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to install and retrieve the lava cone. It consists of a pickup device that moves the rubber cone between devices,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includes a lifting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a cone support member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frame, and a long first guid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frame. , a pivoting bracke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at an end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a win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one end being wound around the winch, and the other end The end is made of a wire connected to the rotating bracket,
A cone guide brack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to protrude rearward,
A pair of guide ba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e guide bracket so that they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On one side of the cone guide brack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ne guide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 setting up the lappan cone when installing the lava cone and for laying down the erect lava cone when recovering the lava cone,
A second cone guid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cone guide so that it can rotate, and a standing bar formed in an arc shape that slopes downward toward the fron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e guide to stand up the laba cone when the laba cone is recovered. It works
When installing a rubber cone on a road or recovering a normal rubber cone, the end of the first cone guide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e guide is directed upward,
When recovering a rubber cone on the road where the support plate of the rubber cone has fallen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the ends of the first cone guide and the second cone guide are directed upward,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s of the first cone guide and the second cone guide are directed downward when recovering a Lava Cone in a state in which the Lava Cone support plate has falle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on the roa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 지지부재에는 라바콘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 지지부재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라바콘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판의 양측을 고정하는 콘 클램프와,
상기 콘 지지부재의 하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 클램프의 단부에 돌출되는 클램프 래버를 작동시키는 클램프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laba cone,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cone clamp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e support member to secure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ava cone,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lamp cylind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e support member and operating a clamp lever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cone clam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후단에는 폭방향으로 좌우 이동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이 상기 좌우 이동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콘 가이드 브라켓의 단부는 상하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1,
At the rear end of the loading unit, left and right moving rails ar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A moving fram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lifting frame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left and right moving rails,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one guide bracket is formed to be bendabl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는 상기 라바콘의 상부를 고정하여 픽업하는 픽업부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부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ickup device includes a pickup unit that fixes and picks up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cone,
A lava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part and moving the pickup part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라바콘의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커버와,
상기 가이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와,
상기 핑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공과,
상기 통공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설치판 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핑거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작동뭉치와,
상기 가이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뭉치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
According to clause 8,
The pickup unit includes a guide cover in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cone is inserted,
A pair of mounting plate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guide cover,
a pair of finger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installation plate;
a second guide hole in the shape of a lo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 guide member formed in the through hol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An operating unit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installation plates, and the end of the finger is hinged,
A rubber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ctuator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guide cover to move the operation unit.
KR1020230001747A 2023-01-05 2023-01-05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KR102576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747A KR102576688B1 (en) 2023-01-05 2023-01-05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747A KR102576688B1 (en) 2023-01-05 2023-01-05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688B1 true KR102576688B1 (en) 2023-09-11

Family

ID=8802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747A KR102576688B1 (en) 2023-01-05 2023-01-05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6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607A (en) * 1983-10-26 1985-05-25 Toshiba Corp Magnetic head
KR102267321B1 (en) * 2020-12-10 2021-06-21 장영균 Apparatus for arranging and collecting the rabacon on the road
KR102396150B1 (en) 2020-10-28 2022-05-10 주식회사 기성이엔지 Ravacorn Vertical Load Type Installation and Recovery System
KR102423693B1 (en) * 2020-10-28 2022-07-22 주식회사 기성이엔지 Transport vehicle having a pivoting device for the installation and withdrawal of rabak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3607A (en) * 1983-10-26 1985-05-25 Toshiba Corp Magnetic head
KR102396150B1 (en) 2020-10-28 2022-05-10 주식회사 기성이엔지 Ravacorn Vertical Load Type Installation and Recovery System
KR102423693B1 (en) * 2020-10-28 2022-07-22 주식회사 기성이엔지 Transport vehicle having a pivoting device for the installation and withdrawal of rabakon
KR102267321B1 (en) * 2020-12-10 2021-06-21 장영균 Apparatus for arranging and collecting the rabacon on the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359B2 (en) Plow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EP1630294A1 (en) A cone collecting and laying apparatus
KR102366160B1 (en) Movable Guidance Apparatus for Road Construction
CN108660901A (en) A kind of kerbstone auxiliary installing device
KR102576688B1 (en)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JP2901754B2 (en) Bridge inspection device
KR20140095086A (en) Method-system of parking a vehicle using only front road course and placement of the rear of the vehicle in a final parking position by an auxiliary mechanism
AU2010249213A1 (en) Overhead Wiring Maintenance System
KR102345303B1 (en) Rubber cone pickup device
KR101224474B1 (en) Barricade for passing control
KR100740082B1 (en) Safety apparatus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CN113998616A (en) Shed steel beam mounting method based on lifting vehicle
JP2009190861A (en) High lift work vehicle
CN113979385A (en) Lifting vehicle
JP3214595B2 (en) Automatic trough lid laying apparatus and trough lid laying method
AU2010100896A4 (en) Overhead Wiring Maintenance System
JP2012096859A (en) High-place work vehicle
JP2001151491A (en) Jack device for working vehicle
JP2533162Y2 (en) Automatic guidance type asphalt finisher
KR102539258B1 (en) Device for moving and arranging rubber cone arranged on the road
RU195234U1 (en) Universal side blade for installation on a grader
JP3923362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platforms
KR102037178B1 (en) Snow removing grader for vehicle connection
JP3643632B2 (en) Guardrail mounting device and guardrail mounting method
JP3812393B2 (en) Aerial work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