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03B1 - Rubber cone pickup device - Google Patents

Rubber cone pickup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03B1
KR102345303B1 KR1020210055677A KR20210055677A KR102345303B1 KR 102345303 B1 KR102345303 B1 KR 102345303B1 KR 1020210055677 A KR1020210055677 A KR 1020210055677A KR 20210055677 A KR20210055677 A KR 20210055677A KR 102345303 B1 KR102345303 B1 KR 10234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ne
cone
frame
rubber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6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21005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2Loading mov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ubber cone pickup device for picking up a rubber cone used in roa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cone pickup device comprises: an installation frame mounted on a side panel of a work vehicle; a main frame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frame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a laying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to knock down a rubber cone erected on a road to a road surface as the work vehicle advances; and a lifting unit which is formed rotatably with a rotating shaft and lifts the rubber cone, which has fallen down by the laying unit, upwar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ide panel.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accident and improve work efficiency by allowing a worker to pick up the rubber cone while riding in a loading space.

Description

러버콘 수거장치 {RUBBER CONE PICKUP DEVICE}Rubber cone collection device {RUBBER CONE PICKUP DEVICE}

본 발명은 도로 공사 등에서 사용된 러버콘을 수거하기 위한 러버콘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bber cone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rubber cones used in road construction, etc.

각종 도로 공사 등에서는 안전 표시를 위해 고깔이나 원뿔 모양의 표지물이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표지물은 러버콘(rubber cone) 또는 트래픽콘(traffic cone)으로 불리고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는 이를 러버콘으로 통칭한다. 러버콘은 도로 상의 공사 지역이나 접근 제한 영역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상 러버콘은 공사 지역 등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접근을 제한하게 된다.A cone or cone-shaped sign is used for safety marking in various road construction works. Typically, such a marker is called a rubber cone or a traffic cone. For convenience, in this specification, thi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ubber cone. The rubber cone may be used to mark a construction area or restricted access area on a road. In general, a plurality of rubber cones are installe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onstruction area, etc. to restrict access by vehicles or pedestrians.

전형적인 러버콘은 하부에 대략 정사각형 형태의 서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서포트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고깔 또는 원뿔 모양의 콘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에 의해 도로면 등에 세워지면 돌출된 콘부가 운전자 등으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러버콘은 통상 주황색이나 붉은색 계열의 눈에 쉽게 띄는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러버콘은 그 명칭과 같이 일부 또는 전부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의도치 않게 도로 상에서 차량 등과 충돌될 가능성이 있고, 그 관리나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이다.A typical rubber cone has an approximately square-shaped support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cone or cone-shaped cone portion extend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When it is erected on a road surface by a support, the protruding cone part draws attention to the driver. For this purpose, the rubber cone can be produced in an easily conspicuous color, usually orange or red. Also, as the name suggests, the rubber cone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unintentional collision with a vehicle or the like on the road, and the management or storage thereof is easy.

현재 대부분의 도로 공사 등에서 러버콘의 설치나 수거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즉, 작업차량이 러버콘을 적재하고 서행하면, 작업자가 직접 적재된 러버콘을 도로 상에서 내려 설치하는 것이다. 러버콘의 수거시에도 이와 유사하게 작업자가 도로 상에 직접 내려서 이동하며 설치된 러버콘을 들어 올려 작업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을 설치나 수거하는 작업자가 도로 상의 주행 차량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다수 발생되고 있다. 특히 러버콘의 수거는 도로 공사 등이 완료된 후에 이뤄지기 때문에, 주행 차량들이 공사 지역을 적절히 인지하지 못하고 빠르게 주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대형 인명사고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Currently, in most road construction projects, the installation or collection of rubber cones is done manually by workers. That is, when the work vehicle loads the rubber cone and drives slowly, the operator directly lowers the loaded rubber cone on the road and installs it. Similarly, when the rubber cone is collected, the worker directly gets off the road and moves, lifts the installed rubber cone and loads it into the work vehicle. According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workers who install or collect rubber cones are injured by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 In particular, since rubber cones are collected after road construction is completed, driving vehicles may drive quickly without properly recognizing the construction area, which in many cases causes large-scale fatal accidents.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종래 러버콘을 설치하거나 수거하기 위한 장치 등이 일부 고안된 바 있으나, 그 취급이나 관리가 어렵고 설비 비용 또한 상당하여 현실적으로 사용이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해당 장치를 탑재한 전용 차량이 요구되어 활용도가 떨어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작동 구조나 매커니즘으로 인해 고장이나 오작동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some devices for installing or collecting conventional rubber cones have been devised, but their handling and management are difficult and the cost of equipment is also considerable, so that practical use is hardly achiev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edicated vehicle equipped with the device is required, so the utilization is reduced. Neverthel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breakdowns or malfunctions occur frequently due to a complicated operation structure or mechanism.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러버콘을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저비용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고, 그 활용도 또한 개선된 러버콘 수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that can safely collect rubber cones installed on a road, can be easily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have improved us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차량의 사이드패널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차량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차량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 및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눕힘부에 의해 쓰러진 상기 러버콘을 상기 사이드패널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ation frame mounted on a side panel of a work vehicle; a main frame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frame and disposed on a side of the work vehicle; a laying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to knock down a rubber cone erected on a road surface as the work vehicle advances; and a lifting unit which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a rotating shaft and lifts the rubber cone collapsed by the laying-down unit to an upper sid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ide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는 작업자가 적재공간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을 적절히 수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 수거시에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수거작업의 효율이나 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ubber cone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perly collect the rubber cone disposed on the road surface while the operator is riding in the loading space. Accordingly, various safety accidents that occur during rubber cone collec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efficiency and speed of collection operation can also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는 그 구조나 작동 원리 상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 및 구현이 가능하고, 작업차량 등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설비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운용 효율 또한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bber cone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in view of its structure or operating principl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ork vehic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to construct the facility, and also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fac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는 작업차량의 전진되면서 작업차량의 측부에서 수거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거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고, 도로상황이나 다른 차량 등을 좀 더 쉽게 인지해 수거작업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주시에 따라 수거해야 할 러버콘의 위치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여 작업 편의나 효율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ubber cone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while the work vehicle is advance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keep an eye on the front while performing the collection operation, and the road condition or other vehicles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thereby improving safety during the collection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rubber cone to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forward gaze, so that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가 작업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를 확대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4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ork vehicle.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side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2 .
FIG. 4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5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6 is a third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7 is a fourth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do it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가 작업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를 확대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ork vehicle.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side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2 .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러버콘 수거장치(이하, "수거장치(100)"로 지칭함)는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10)을 수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1 to 3 ,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lecting device 100 ”)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collect the rubber cones 10 disposed on the road surface.

러버콘(10)은 도로 상의 공사 지역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 공지되어 있다. 러버콘(10)은 주황색, 붉은색 등의 식별이 용이한 색상을 갖고, 일부 또는 전부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가 러버콘(10)의 색상이나 재질 등의 제한되어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수거장치(100)는 서포트(11) 및 콘부(12)를 구비한 전형적인 형태의 러버콘(10)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The rubber cone 10 is conventionally known to be used to mark a construction area on a road. The rubber cone 10 has an easy-to-identify color such as orange or red, and some or all of it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However,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not usable because of the limited color or material of the rubber cone 10 . The collection device 100 can be widely used for a rubber cone 10 of a typical type having a support 11 and a cone part 12 .

러버콘(10)은 서포트(11) 및 콘부(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rubber cone 10 may include a support 11 and a cone part 12 .

서포트(11)는 설치면(도로면)에 지지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서포트(11)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사각형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서포트(11)는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support 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road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11 is illustrated in the most commonly used square shape. However, in some cases, the support 11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ctangle, a polygon, or a circle.

서포트(11)의 중앙에는 개구부(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는 콘부(1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콘부(12)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n opening 13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upport 11 . The opening 13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e part 12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cone part 12 .

서포트(11)는 평면상 소정의 폭(14)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정사각형 형태의 서포트(11)에서 상기의 폭(14)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한 변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의 경우 상기의 폭(14)은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의 최대 폭을 의미할 수 있다.The support 11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14 in plan view. In the illustrated support 11 of the square shape, the width 14 may generall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quare.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rectangle, a polygon, a circle, etc., the width 14 may mean the maximum width of a rectangle, a polygon, a circle, etc.

콘부(12)는 서포트(11)로부터 고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11)에 접하는 콘부(12) 하단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고, 콘부(12) 내측에는 개구부(13)로부터 연장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공간은 러버콘(10)을 중첩해 보관, 이송 등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cone part 12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upport 11 in a cone or cone shape. As described above, an opening 13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e part 12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1 , and a predetermined space extending from the opening 13 may be formed inside the cone part 12 . For reference, the above space may be used for storage, transport, etc. by overlapping the rubber cone 10 .

콘부(12) 하단은 평면상 소정의 직경(15)을 가질 수 있다. 콘부(12) 하단의 직경(15)은 대체로 개구부(13)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콘부(12)가 다각뿔 등의 형태로 변형된 경우 상기의 직경(15)은 콘부(12) 하단이 형성하는 최대 폭을 의미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ne part 12 may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15 in plan view. The diameter 15 of the lower end of the cone part 12 may generall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pening 13 . When the cone part 12 is de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pyramid, the diameter 15 may mean the maximum width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cone part 12 .

상기와 같은 러버콘(10)은 도로면에 세워져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도로면에 세워진 러버콘(10)을 작업차량(20)을 이용해 다시 수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수거장치(100)는 작업자가 직접 도로 상에 내리지 않고 작업차량(20) 위에서 수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하나의 특징을 둔다.The rubber cone 10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and used by being erected on the road surface.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may be used to collect the rubber cone 10 erected on the road surface again using the work vehicle 20 .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device 100 has one feature in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collection operation on the work vehicle 20 without directly getting off the road.

이하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설치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frame 110 .

설치프레임(110)은 수거장치(100)를 작업차량(20)에 장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stallation frame 110 allows the collection device 100 to be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work vehicle 20 .

여기서 설치프레임(110)은 작업차량(2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특정 작업차량(20)에 설치되어 사용되다가 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작업차량 등으로 이동되어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고 설비 비용을 줄이는데 상당히 유용하게 기능할 수 있다.Here, the installation frame 11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ork vehicle 20 . Accordingly,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and used in a specific work vehicle 20, and then, when the work is completed, it may be moved to another work vehicle, etc. to be installed and used. This method can be very useful for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device and reducing the equipment cost.

구체적으로 설치프레임(110)은 작업차량(20)의 사이드패널(21)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소형 화물차 등에는 화물 등의 적재를 위한 적재공간(22)이 구비되고, 적재공간(22)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21)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이러한 사이드패널(21)을 이용해 작업차량(20)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패널(21)로의 설치는 수거작업의 편의나 안전 측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즉, 적재공간(22)에 위치한 작업자가 작업차량(20)의 진행방향을 주시하며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방의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 등을 적절히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수거대상인 러버콘(1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도 유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tallation frame 110 may be mounted on the side panel 21 of the work vehicle 20 . In general, a loading space 22 for loading cargo, etc. is provided in small and medium-sized trucks, and a side panel 21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22 is provided.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the work vehicle 20 using the side panel 21 . Installation with the side panel 21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collection operation. That is, the operator located in the loading space 22 can perform the collection operation while watch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20 , so that other vehicles or obstacles in front can be appropriately recognized. In addition, it may be advantageou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ubber cone 10, which is a collection target.

설치프레임(110)은 사이드패널(21)을 사이에 두고 내측설치프레임(111)과 외측설치프레임(112)이 사이드패널(21)을 클램핑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설치프레임(111) 및 외측설치프레임(112)은 소정의 가압조임수단에 의해 상호 접근되어 사이드패널(21)에 고정되거나, 반대로 상호 이격되어 사이드패널(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작업자는 내, 외측설치프레임(111, 112)의 사이에 사이드패널(21)을 걸어 수거장치(100)를 배치시킨 후 소정의 가압조임수단을 통해 내, 외측설치프레임(112)을 서로 접근시켜 사이드패널(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수거장치(100)를 작업차량(20)으로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installation frame 110 may be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inner installation frame 111 and the outer installation frame 112 clamp the side panel 21 with the side panel 21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inner installation frame 111 and the outer installation frame 112 may be mutually approached by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ightening means and fixed to the side panel 21 , or, conversely,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 panel 21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fter placing the collection device 100 by hanging the side panel 21 between the inner and outer installation frames 111 and 112, the operator approaches the inner and outer installation frames 112 with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pressure tightening means. It can be fixed to the side panel (21). In this way, the collection device 10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ork vehicle 20 .

필요에 따라 적재공간(22)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설치프레임(111) 등에는 수거장치(100)를 구동하거나 조작하는데 필요한 제어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적재공간(22)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어부(113)를 조작해 수거장치(100)를 적절히 구동 제어할 수 있게 된다.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113 necessary to drive or operate the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installation frame 111 disposed inside the loading space 22 .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properly drive and control the collection device 100 by 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113 while riding in the loading space 22 .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메인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frame 120 .

메인프레임(120)은 설치프레임(110)에 의해 장착 지지되어 사이드패널(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대체로 작업차량(20)의 측부에서 도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2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rame 110 and disposed outside the side panel 21 . The main frame 1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at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20 .

메인프레임(120)은 대체로 복수의 프레임이나 브라켓이 조합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메인프레임(120)의 외형은 아래에서 설명한 주요 기능이나 작동이 포함되는 것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외형 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ain frame 120 may be generally formed in a fram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or brackets are combined. However, the external shape of the main frame 120 may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main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below are included, and the external sha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emplified external shape.

메인프레임(120)은 대체로 수거장치(100)의 전방 부위에 배치되는 수직연장프레임(121)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연장프레임(121)은 상하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하단 부위는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도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연장프레임(121)의 상단 부위는 소정의 연결구조를 갖고 설치프레임(110)에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20 may include a vertical extension frame 121 disposed at a front portion of the collection device 100 . The vertical extension frame 121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height up and down,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with a slight gap.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extension frame 121 may have a predetermined connection structure and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rame 110 .

수직연장프레임(121)은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수직연장프레임(121) 사이에는 러버콘(10)이 지나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vertically extending frames 121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left to right. Accordingly, a predetermined space through which the rubber cone 10 can pass may b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extension frames 121 .

메인프레임(120)은 수직연장프레임(12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수평프레임(122)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수평프레임(122)은 도로면과 소정 간격을 갖고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수평프레임(122)은 도로면으로부터 약 20~30cm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20 may include a lower horizontal frame 12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extension frame 121 .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and backward. For example,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by about 20 to 30 cm.

좌우 한 쌍의 수직연장프레임(121)에 대응되게 하부수평프레임(122)은 좌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공간(123)은 러버콘(10)의 정렬 및 적재 대기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A pair of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extension frames 121 . Accordingly,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123 may b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 The separation space 123 may function as a space for aligning and loading the rubber cone 10 .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간 간격(122a)은 서포트(11)의 폭(14)을 고려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간격(122a)은 서포트(11)의 폭(14) 대비 약 1.2~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러버콘(10)이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사이에서 적절히 간섭되어 자세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간 간격(122a)이 지나치게 넓으면 러버콘(10)이 이격공간(123)을 지나며 적절히 자세 정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작으면 러버콘(10)이 걸려 이격공간(123)으로 원활히 진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The interval 122a between the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14 of the support 11 . For example, the gap 122a may be formed to be about 1.2 to 1.5 times the width 14 of the support 11 . This is to allow the rubber cone 10 to be properly interfered with and align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 If the interval 122a between the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is too wide, the rubber cone 10 may pass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123 and may not be properly aligned. There may be a case where it is not possible to smoothly enter the separation space 123 .

필요에 따라 이격공간(123)을 향한 하부수평프레임(122)의 내측면에는 보조프레임(124)이 부가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4)은 전후로 소정 길이를 갖고 하부수평프레임(122)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조프레임(124)은 하부수평프레임(122)에 일체화되거나, 하부수평프레임(122)에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작업대상인 러버콘(10)의 종류나 작업환경 등에 따라 보조프레임(124)을 부가해 이격공간(12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f necessary, an auxiliary frame 124 may be ad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facing the separation space 123 . The auxiliary frame 124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and back and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 In some cases, the auxiliary frame 124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or detachably from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 In the latter case, the spacing of the separation space 123 may be adjusted by adding the auxiliary frame 124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ubber cone 10 as the work target or the work environment.

보조프레임(124)은 좌우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122)에 대응되게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보조프레임(124)은 소정의 간격(124a)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간격(124a)은 보조프레임(124)의 폭에 따라 전술한 좌우 하부수평프레임(122) 간의 간격(122a)보다는 소정 정도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A pair of auxiliary frames 124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auxiliary frames 124 may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124a. The gap 124a may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gap 122a between the left and right lower horizontal frames 122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auxiliary frame 124 .

보조프레임(124)은 하부수평프레임(12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하부수평프레임(122)보다는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프레임(124)의 전단은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123) 내 노출 배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124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it may have a slightly shorter length tha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rame 12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rea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exposed in the spaced space 123 .

여기서 보조프레임(124)의 전단에는 경사면(124b)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24b)은 보조프레임(124)으로부터 하부수평프레임(122)을 향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24b)은 이격공간(123)에 배치된 러버콘(10)에 접촉되어 러버콘(10)이 보다 완전하게 정렬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즉, 이격공간(123)의 전방 영역에서 좌우로 소정 간격(122a)을 가지는 하부수평프레임(122)에 의해 일차적으로 러버콘(10)의 자세가 정렬될 수 있고, 이후 러버콘(10)이 경사면(124b)에 접촉되면서 좀 더 좁은 간격(124a) 사이로 진입되어 자세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10)이 좀 더 정확한 자세나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Here, an inclined surface 124b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rame 124 . The inclined surface 124b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auxiliary frame 124 toward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in a forward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124b may contact the rubber cone 10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123 to assist the rubber cone 10 to be more completely aligned. That is, the posture of the rubber cone 10 can be primarily aligned by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122a from side to side in the front region of the separation space 123 , and then the rubber cone 10 is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24b, it may be entered between the narrower intervals 124a to align the posture. Accordingly, the rubber cone 10 may be aligned in a more accurate posture or position.

필요에 따라 메인프레임(120)은 이탈방지리브(1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125)는 이격공간(123) 후단에 배치되어 하부수평프레임(122) 또는 보조프레임(124)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125)는 이격공간(123) 내 러버콘(10)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작업상황 등에 따라 러버콘(10)을 곧장 수거하기 어려울 때 러버콘(10)이 도로 상으로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이탈방지리브(125)는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122)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123) 후단의 간격을 좁히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이탈방지리브(125)는 러버콘(10)에 적절히 간섭되어 러버콘(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구조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f necessary, the main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rib 125 .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125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eparation space 123 to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or the auxiliary frame 124 .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125 may restrict the separation of the rubber cone 10 from the rear in the separation space 123 . This is to prevent the rubber cone 10 from being separated again on the road when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rubber cone 10 directly depending on the work situa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125 is exemplified in a form in which a pair is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lower horizontal frames 122 to narrow the spacing at the rear end of the separation space 123 . However,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25 may have various structures or shapes as long as it can appropriately interfere with the rubber cone 1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ubber cone 10,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러버콘유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rubber cone induction unit 130 .

러버콘유도부(130)는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전단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러버콘유도부(130)는 도로 상의 러버콘(10)이 메인프레임(120)의 이격공간(123)으로 적절히 진입될 수 있도록 러버콘(10)을 이동 안내할 수 있다.The rubber cone guide unit 130 may be mounted and disposed on the front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 The rubber cone guide unit 13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rubber cone 10 so that the rubber cone 10 on the road can properly enter the separation space 123 of the main frame 120 .

러버콘유도부(130)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유도바(131)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유도바(131)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좌우의 접촉유도바(131)는 후단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rubber cone induction unit 130 may include a pair of contact induction bars 1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eft and right. The contact guide bar 131 may be formed to extend obliquely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contact induction bars 131 may be formed to extend obliquely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toward the rear end.

좌우의 접촉유도바(131)는 사이에 유도로(132)를 형성할 수 있다. 접촉유도바(131)가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유도로(132)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로(132) 전단의 폭(132a)은 콘부(12) 하단의 직경(15) 대비 약 2~3배로 형성될 수 있고, 유도로 후단의 폭(132b)은 콘부(12) 하단의 직경(15) 대비 약 1.2~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 상의 러버콘(10)은 유도로(132)로 쉽게 유입될 수 있고, 유도로(132)를 따라 이동(상대적 이동)되면서 좌우 위치가 적절히 정렬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contact induction bars 131 may form an induction path 132 therebetween. As the contact guide bar 131 extends obliquely, the guide path 132 may be formed to have a left and right width narrow toward the rear. For example, the width 132a of the front end of the induction path 132 may be formed to be about 2 to 3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15 of the lower end of the cone unit 12, and the width 132b of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path is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ne unit 12. It can be formed at about 1.2 to 1.5 times compared to (15). Accordingly, the rubber cone 10 on the road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taxiway 132 , and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may be properly aligned while moving (relatively moving) along the taxiway 132 .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눕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ying down portion (140).

눕힘부(140)는 유도로(132)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눕힘부(140)는 유도로(132)를 거쳐 위치 정렬된 러버콘(10)에 부딪혀 러버콘(10)을 쓰러뜨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도로에 세워진 러버콘(10)은 유도로(132)를 거치며 좌우 위치가 정렬될 수 있고, 유도로(132) 후방에서 눕힘부(140)에 부딪혀 바닥에 눕혀질 수 있다.The laying-down part 1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path 132 . The laying-down part 140 may be operated to knock down the rubber cone 10 by hitting the rubber cone 10 aligned with the position through the guideway 132 . That is, the rubber cone 10 built on the road may be aligned with left and right positions through the guideway 132 , and may collide with the folding unit 140 from the rear of the guideway 132 to be laid down on the floor.

구체적으로 눕힘부(140)는 걸림바(141)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바(141)는 좌우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바(141)의 좌우 길이는 대체로 좌우 수직연장프레임(121)의 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바(141)는 도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림바(141)는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10)의 상단 부위에 접촉 간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러버콘(10)을 좀 더 쉽게 넘어뜨릴 수 있게 한다.Specifically, the laying down portion 140 may include a locking bar 141 . The locking bar 141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side to side.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locking bars 141 may be form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intervals betwee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extension frames 121 . The locking bar 14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Preferably, the locking bar 141 may be disposed so as to interfer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cone 10 disposed on the road surface. This allows the rubber cone 10 to be overturned more easily.

걸림바(141)는 양단에 힌지브라켓(142)을 구비할 수 있고, 힌지브라켓(142)은 수직연장프레임(121)에 좌우 방향으로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바(14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동작될 수 있다.The hanging bar 141 may be provided with hinge brackets 142 at both ends, and the hinge bracket 142 may be hinge-coupled to the vertical extension frame 121 to be rotatably axially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locking bar 141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눕힘부(140)는 걸림바(141)를 초기 위치로 배치시키거나, 러버콘(10)에 의해 회동된 걸림바(141)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수단(14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복원수단(143)은 인장코일스프링(143)으로 예시되고 있다. 이러한 인장코일스프링(143)은 일단부가 메인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걸림바(141)나 힌지브라켓(142)에 체결되어 걸림바(14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탄성복원수단(143)으로 인장코일스프링(143)이 사용된 경우를 가정해 설명하도록 한다.Laying down portion 14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estoring means 143 for placing the locking bar 141 to the initial position, or for returning the locking bar 141 rotated by the rubber cone 10 back to the initial position. can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restoring means 143 is exemplified by a tensile coil spring 143 . One end of the tension coil spring 143 is fixed to the main frame 120 ,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engaging bar 141 or the hinge bracket 142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engaging bar 141 . For convenie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nsion coil spring 143 is used as the elastic restoring means 143 .

다만 탄성복원수단(143)은 예시된 인장코일스프링(143) 외 다양한 방식이나 형태의 스프링 등으로 적절히 대체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인장코일스프링(14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인장코일스프링(143)은 힌지축에 구비된 토션스프링 등으로 적절히 대체될 수 있다.However, the elastic restoration means 143 may be appropriately replaced with springs of various methods or forms other than the illustrated tension coil spring 143 ,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tension coil spring 143 . For example, the tension coil spring 143 may be appropriately replaced with a torsion spring provided on the hinge shaft.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unit 150 .

센서부(150)는 걸림바(141)의 회동 여부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부(150)는 걸림바(141)가 초기 위치에서 회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해 걸림바(141)의 회동시 감지신호를 제어부(113)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는 러버콘(10)이 메인프레임(120)의 이격공간(123)으로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50 may be formed to detect whether the locking bar 141 is rotated. That is, the sensor unit 150 may detect whether the locking bar 141 is rot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provide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13 or the like when the locking bar 141 is rotate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50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rubber cone 10 has entered the separation space 123 of the main frame 120 .

센서부(150)는 걸림바(141)의 회동을 적절히 감지할 수 있는 구조나 배치를 갖는 것이면 무방하고,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50 may have a structure or arrangement capable of appropriately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locking bar 141 , and various types of known sensor means may be utilized.

바람직하게 센서부(150)는 힌지브라켓(142)의 힌지축과 인접한 위치에서 수직연장프레임(121)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힌지브라켓(142)은 인장코일스프링(143)에 의해 지지되어 초기 상태에서 센서부(150)의 감지범위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러버콘(10)에 의해 힌지브라켓(142)이 회동(도면상 시계방향)되면, 센서부(150)에 의해 힌지브라켓(142)이 감지되어 러버콘(10)의 투입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nsor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vertical extension frame 12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inge axis of the hinge bracket 142 . In addition, the hinge bracket 142 is supported by the tension coil spring 143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nsing range of the sensor unit 150 in the initial state. In this case, when the hinge bracket 142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rubber cone 10, the hinge bracket 142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50 to determine whether the rubber cone 10 is inserted. can be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리프팅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ifting unit 160 .

리프팅부(160)는 메인프레임(120)의 이격공간(123)으로 유입된 러버콘(10)을 작업차량(20) 위로 회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로 상에 내리지 않고 적재공간(22)에 탑승한 상태에서 도로면의 러버콘(10)을 회수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160 may be formed to recover the rubber cone 10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123 of the main frame 120 over the work vehicle 20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ollect the rubber cone 10 on the road surface while riding in the loading space 22 without getting off the road.

구체적으로 리프팅부(160)는 회동프레임(161)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1)은 회전축(161a)을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1)은 회전축(161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회동프레임(161)은 삽입콘(162)을 회전축(161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구조나 형상을 갖고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동프레임(161)은 길이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161a)을 갖고, 회전축(161a)으로부터 전후로 연장된 직선형 바(bar)의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이는 제작 편의나 비용을 고려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lifting unit 160 may include a rotating frame 161 . The rotating frame 161 may have a rotating shaft 161a and be rotatably formed. The rotation frame 16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shaft 161a. Alternatively, the rotation frame 161 may be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structure or shape so that the insertion cone 162 can be mounted and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161a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frame 161 has a rotation shaft 161a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straight bar extending back and forth from the rotation shaft 161a. This is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nvenience or cost.

다만 회동프레임(161)의 구조나 형상은 삽입콘(162)의 개수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된 바와 달리 3개 이상의 삽입콘(162)이 사용되는 경우 회동프레임(161)은 회전축(161a)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3개 이상의 바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However,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rotating frame 161 may be appropriat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ertion cones 162 .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insertion cones 162 are used unlike the example illustrated, the rotation frame 161 may be formed of three or more bar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rotation shaft 161a.

또한 리프팅부(160)는 하나 이상의 삽입콘(16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콘(162)은 회동프레임(161)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161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콘(16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180도 간격으로 2개의 삽입콘(162)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삽입콘(162)의 개수는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160 may include one or more insertion cones 162 . The insertion cone 162 may be mounted on an end of the rotation frame 161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16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referably, a plurality of insertion cones 162 may be provided, and in this embodiment, two insertion cones 162 are exemplified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80 degrees.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insertion cones 162 may be three or more as necessary.

삽입콘(162)은 대략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삽입콘(162)은 원뿔의 머리 부분이 소정 정도 절단된 절두 원뿔 또는 부분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의도치 않게 삽입콘(162)의 머리 부위가 도로면 등에 부딪혀 삽입콘(162)이나 도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insertion cone 162 may have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More preferably, the insertion cone 16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or a partial cone in which the head of the cone is cut to a predetermined degree. This is to prevent the insertion cone 162 or the road from being accidentally hit by the head of the insertion cone 162 on the road surface or the like.

삽입콘(162)은 회동프레임(161)에 결합된 후단의 직경(162a)이, 그 반대편인 전단의 직경(162b)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콘(162)은 원뿔 형상의 밑면이 회동프레임(16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콘(162)의 형상은 러버콘(10)의 개구부(13)로 삽입콘(162)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sertion cone 162 may be formed so that the diameter 162a of the rear end coupled to the rotation frame 16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162b of the front end opposite thereto. That is, the insertion cone 162 may have a conical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rotation frame 161 . The shape of the insertion cone 162 is so that the insertion cone 16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pening 13 of the rubber cone 10 .

경우에 따라 삽입콘(162) 후단의 직경(162a)은 러버콘(10)에 형성된 개구부(13)의 직경(15)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콘(162)이 개구부(13)로 완전히 삽입되면 삽입콘(162)과 러버콘(10)이 적절히 밀착되어, 러버콘(10)을 상측의 적재공간(22)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러버콘(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삽입콘(162)의 전단의 직경(162b)은 삽입콘(162)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개구부(13) 대비 충분히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diameter 162a of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cone 16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15 of the opening 13 formed in the rubber cone 10 . In this case, when the insertion cone 16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pening 13 , the insertion cone 162 and the rubber cone 10 are proper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rubber cone 10 into the upper loading space 22 , Separation of the rubber cone 10 can be prevented. The diameter 162b of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cone 162 may be formed to be sufficiently small compared to the opening 13 for smooth insertion of the insertion cone 162 .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삽입콘(162)의 외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부재는 삽입콘(162) 외면과 러버콘(10) 내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삽입콘(162)이 러버콘(10)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러버콘(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부재는 삽입콘(162)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된 고무 등의 탄성마찰소재, 돌기, 홈, 기타 마찰력 증대를 위한 기계적 형상이나 소재로 이뤄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friction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cone 162 if necessary. The friction member increases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cone 16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cone 10 to prevent the rubber cone 10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insert cone 162 lifts the rubber cone 10 . . The friction member may be made of an elastic friction material such as rubber disposed on a part or all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cone 162, protrusions, grooves, and other mechanical shapes or materials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삽입콘(162)은 회동프레임(161)의 회전에 따라 도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격공간(123) 내 러버콘(10)과 체결되거나, 이격공간(123)으로부터 상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적재공간(22)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1)의 길이나 회전축(161a)의 상하 위치는 이러한 삽입콘(162)의 작동을 고려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cone 16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frame 161 and is engaged with the rubber cone 10 in the separation space 123, or is rotated upward from the separation space 123 to the loading space.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22). The length of the rotation frame 161 o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161a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cone 162 .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회전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170 .

회전구동부(170)는 리프팅부(160)의 회전축(161a)에 연결되어 리프팅부(16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구동부(170)는 삽입콘(162)의 개수나 배치를 리프팅부(160)를 소정 각도로 반복적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즉,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삽입콘(162)이 마련된 경우 회전구동부(170)는 대략 180도 간격으로 리프팅부(160)를 반복적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회전구동부(170)는 적재공간(22)에 탑재된 제어부(113)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제어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61a of the lifting unit 160 to rotate the lifting unit 160 . Preferably,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may repeatedly rotate the lifting unit 160 at a predetermined angle depending on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insertion cones 162 . That is, when the two insertion cones 162 are provided as illustrated,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may repeatedly rotate the lifting unit 160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80 degrees.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may be manually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3 mounted on the loading space 22 .

이상과 같은 수거장치(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뤄질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llection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as follow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1작동도이다.FIG. 4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차량(20)이 러버콘(10)의 옆으로 서서히 주행하면, 수거대상인 러버콘(10)이 러버콘유도부(130)의 유도로(132)로 유입된다. 도로에 세워져 있던 러버콘(10)은 유도로(132)를 따라 이동되며 좌우 위치가 적절히 정렬될 수 있다. 이후 러버콘(10)은 유도로(132)를 빠져나와 걸림바(141)로 서서히 접근된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work vehicle 20 slowly travels to the side of the rubber cone 10 , the rubber cone 10 to be collected flows into the guideway 132 of the rubber cone guide unit 130 . The rubber cone 10 erected on the road is moved along the taxiway 132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may be properly aligned. Thereafter, the rubber cone 10 exits the induction path 132 and gradually approaches the stopping bar 141 .

상기에서 걸림바(141)는 인장코일스프링(143)에 의해 지지되어 초기 상태, 즉, 센서부(150)에서 감지되지 않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콘(162)은 메인프레임(120)의 후단 또는 그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진입 대기되어 있는 상태이다.In the above, the locking bar 141 is supported by the tension coil spring 143 and is disposed in an initial state, that is, a position no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50 . In addition, the insertion cone 162 is in a waiting state to enter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20 or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ear thereof.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2작동도이다.FIG. 5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차량(20)이 계속 전진되고, 러버콘(10)의 상단 부위에 걸림바(141)에 걸려 러버콘(10)이 도로면을 향해 앞으로 쓰러진다. 여기서 걸림바(141)는 러버콘(10)에 걸려 소정 정도 회전(도면상 시계방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부(150)에서 힌지브라켓(142)이 감지된다.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회전구동부(170)는 리프팅부(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리프팅부(160)의 작동은 작업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이뤄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work vehicle 20 continues to advance, and the rubber cone 10 falls forward toward the road surface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bar 141 at the upper end of the rubber cone 10 . Here, the engaging bar 141 may be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to a predetermined degree by being caught by the rubber cone 10 , and accordingly, the hinge bracket 142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50 .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rotation driving unit 170 may rotate the lifting unit 160 . In some case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160 may be performed by manual control of an operator.

한편 러버콘(10)은 서포트(11)가 후방을 향해 배치된 자세로 도로면에 쓰러질 수 있고, 작업차량(20)이 전진됨에 따라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사이에서 적절히 위치 정렬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4)은 이 과정에서 경사면(124b) 등을 통해 러버콘(10)이 좀 더 정확한 위치나 자세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ubber cone 10 can be collapsed on the road surface in a posture in which the support 11 is arranged toward the rear, and as the work vehicle 20 advances, it is properly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horizontal frames 122 on the left and the right. can The auxiliary frame 124 allows the rubber cone 10 to be aligned in a more accurate position or postur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24b or the like in this process.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4작동도이다.FIG. 6 is a third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7 is a fourth operation view of the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리프팅부(160)가 회전되어 삽입콘(162)이 러버콘(10)의 개구부(13)로 삽입 체결된다. 이후 리프팅부(160)가 계속 회전되면 삽입콘(162)에 체결된 러버콘(10)이 상측의 사이드패널(21)이나 적재공간(22)에 대응되는 높이로 이송될 수 있다. 리프팅부(160)는 기 설정된 소정 각도(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180도) 회전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이후 적재공간(22)에 탑승해 있는 작업자에 의해 러버콘(10)이 삽입콘(162)으로부터 분리되고, 적재공간(22) 내 적재되어 회수가 완료된다.6 and 7 , the lifting unit 160 is rotated so that the insertion cone 162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opening 13 of the rubber cone 10 . Afterwards, when the lifting unit 160 continues to rotate, the rubber cone 10 fastened to the insertion cone 162 may be transport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panel 21 or the loading space 22 . The lifting unit 160 may be temporarily stopped in a state as shown in FIG. 5 after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eg, 180 degre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after, the rubber cone 1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cone 162 by the operator riding in the loading space 22 , and is loaded in the loading space 22 to complete the recovery.

한편 상기의 과정은 작업차량이 러버콘(10) 옆을 서행하면서 지속적,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어느 하나의 러버콘(10)이 회수됨과 함께, 러버콘유도부(130)로는 다시 새로운 러버콘(10)이 접근 및 투입될 수 있고, 상기의 러버콘(10)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유사한 수거 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 process may b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erformed while the work vehicle moves slowly next to the rubber cone 10 . As above, while any one of the rubber cones 10 is recovered, a new rubber cone 10 can be approached and put into the rubber cone induction unit 130 again. A collection process may take place.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장치(100)는 작업자가 적재공간(22)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10)을 적절히 수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10) 수거시에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수거작업의 효율이나 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perly collect the rubber cone 10 disposed on the road surface while the operator is riding in the loading space 22 . Accordingly, various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collection of the rubber cone 1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efficiency and speed of the collection operation can also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장치(100)는 그 구조나 작동 원리 상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 및 구현이 가능하고, 작업차량(20) 등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설비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운용 효율 또한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in view of its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ork vehicle 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to construct the facility, and also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facilit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장치(100)는 작업차량(20)의 전진되면서 작업차량(20)의 측부에서 수거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거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고, 도로상황이나 다른 차량 등을 좀 더 쉽게 인지해 수거작업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주시에 따라 수거해야 할 러버콘(10)의 위치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여 작업 편의나 효율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l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lec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20 while the work vehicle 20 moves forwar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keep an eye on the front while performing the collection operation, and the road condition or other vehicles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thereby improving safety during the collection opera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rubber cone 10 to be collected can be easily grasped according to the forward gaze, so that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by addition,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러버콘 11: 서포트
12: 콘부 20: 작업차량
21: 사이드패널 22: 적재공간
100: 러버콘 수거장치 110: 설치프레임
120: 메인프레임 130: 러버콘유도부
140: 눕힘부 150: 센서부
160: 리프팅부 170: 회전구동부
10: rubber cone 11: support
12: cone 20: work vehicle
21: side panel 22: loading space
100: rubber cone collection device 110: installation frame
120: main frame 130: rubber cone induction part
140: lying down 150: sensor unit
160: lifting unit 170: rotational driving unit

Claims (8)

작업차량(20)의 사이드패널(21)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110);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10)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140); 및
회전축(161a)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눕힘부(140)에 의해 쓰러진 상기 러버콘(10)을 상기 사이드패널(21)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도로면에 나란하게 전후로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이 좌우로 이격되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123)을 형성하는 하부수평프레임(122);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이로 상기 러버콘(10)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연장프레임(121);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공간(123)은,
좌우의 간격(122a)이 상기 러버콘(10)의 서포트(11)의 폭(14)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상기 이격공간(123)을 향한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보다 소정 정도 짧은 길이를 갖고, 전단에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124b)을 구비하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123)의 후단 영역에서 상기 이격공간(123)의 좌우 간격을 소정 정도 줄이도록 형성된 보조프레임(124);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공간(123) 내 상기 러버콘(10)의 후방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리브(125);를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
an installation frame 110 mounted on the side panel 21 of the work vehicle 20;
a main frame 120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frame 110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20;
a lay-down part 140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120 to knock down the rubber cone 10 erected on the road as the work vehicle 20 advances to the road surface; and
A lifting unit 160 that is formed rotatably with a rotating shaft 161a and lifts the rubber cone 10 collapsed by the laying-down unit 140 upwar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ide panel 21;
The main frame 120 is
a lower horizontal frame 122 extending back and forth in parallel to the road surface, a pair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123 therebetween; and
A pair of vertical extension frames 121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eft and right so that the rubber cone 10 can pass therebetween;
The separation space 123 is,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122a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14 of the support 11 of the rubber cone 10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main frame 120 is
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facing the separation space 123 and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toward the front, and is shorter tha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by a predetermined amount. It has a length and has an inclined surface 124b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at the front end, and a pair of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is arranged in the rear end area of the spaced space 123 in the spaced space 123 ) auxiliary frame 124 formed to reduce the left and right spacing to a predetermined degree; and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a separation prevention rib (125)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22) to limit the rear separation of the rubber cone (10) in the separation space (123).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단에 장착되어 도로상의 러버콘(10)을 상기 메인프레임(120)으로 진입 유도하는 러버콘유도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러버콘유도부(130)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러버콘(10)이 진입되는 유도로(132)를 형성하며, 상기 러버콘(10)의 콘부(12)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러버콘(10)의 좌우 위치를 소정 정도 정렬시키는 접촉유도바(131)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로(132)는,
상기 접촉유도바(131)의 경사에 따라 전단의 폭(132a)이 후단의 폭(132b)보다 크게 형성되는 러버콘 수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120, the rubber cone inducing part 130 for guiding the entrance of the rubber cone 10 on the road to the main frame 120;
The rubber cone induction unit 130,
It extends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is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to form a guideway 132 through which the rubber cone 10 enters,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e part 12 of the rubber cone 10 and a contact guide bar 131 for align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rubber cone 10 to a predetermined degre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work vehicle 20,
The induction path 132 is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in which the width 132a of the front end is larger than the width 132b of the rear en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ontact guide bar 131 .
작업차량(20)의 사이드패널(21)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110);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10)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140); 및
회전축(161a)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눕힘부(140)에 의해 쓰러진 상기 러버콘(10)을 상기 사이드패널(21)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눕힘부(140)는,
힌지브라켓(142)에 의해 좌우 방향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단 부위에 체결되고, 상기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상기 러버콘(10)의 상부에 걸려 상기 러버콘(10)을 쓰러뜨리는 걸림바(141); 및
상기 힌지브라켓(142)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바(141)를 소정의 초기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143);을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
an installation frame 110 mounted on the side panel 21 of the work vehicle 20;
a main frame 120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frame 110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20;
a lay-down part 140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120 to knock down the rubber cone 10 erected on the road as the work vehicle 20 advances to the road surface; and
A lifting unit 160 that is formed rotatably with a rotating shaft 161a and lifts the rubber cone 10 collapsed by the laying-down unit 140 upwar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ide panel 21;
The laying down part 140 is,
It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hinge bracket 142, and is hu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cone 10 as the work vehicle 20 advances. a stopping bar 141 for knocking down the rubber cone 10; and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a tension coil spring 143 fastened to the hinge bracket 142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bar 141 to a predetermined initial posi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눕힘부(14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걸림바(141)가 상기 러버콘(10)에 접촉되어 상기 초기 위치에서 후방으로 회동되면, 이를 감지해 소정의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부(160)는,
상기 감지신호의 발생에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 구동되게 형성된 러버콘 수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150 for detect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lying unit 140;
The sensor unit 150,
When the locking bar 1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ubber cone 10 and rotates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it is formed to sense it and generate a predetermined detection signal,
The lifting unit 160 is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configured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detection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60)는,
상기 작업차량(20)의 측부에서 좌우 방향의 회전축(16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프레임(161); 및
상기 회동프레임(161)에 장착 지지되되, 복수개가 상기 회전축(161a)에 따른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삽입콘(162);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콘(162)은,
상기 러버콘(10) 하부의 개구부(13)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의 직경(162b)이 상기 개구부(13)보다 작게 형성된 원뿔 또는 부분 원뿔의 형상을 가지는 러버콘 수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160 is
a rotation frame 161 rotat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work vehicle 20 about a rotation shaft 161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Doedoe mounted on the rotation frame 161, a plurality of insertion cones 162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shaft (161a); includes;
The insert cone 162 is,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having a shape of a cone or a partial cone having a diameter (162b) of the front end smaller than the opening (13)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3) under the rubber cone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60)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삽입콘(162)이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대기되고, 소정의 감지신호 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161a)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프레임(161)이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며, 상기 회동프레임(1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콘(162)이 상기 러버콘(10)의 개구부(13)로 삽입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러버콘 수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fting unit 160 is
In the initial state, the insertion cone 16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20 and is in standby, and the rotating frame 161 is rotated around the rotating shaft 161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signal or control signal. A rubber cone collecting device that is drive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formed such that the insertion cone 162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opening 13 of the rubber cone 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frame 161 .
KR1020210055677A 2021-04-29 2021-04-29 Rubber cone pickup device KR102345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77A KR102345303B1 (en) 2021-04-29 2021-04-29 Rubber cone pick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77A KR102345303B1 (en) 2021-04-29 2021-04-29 Rubber cone pickup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03B1 true KR102345303B1 (en) 2021-12-31

Family

ID=7917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677A KR102345303B1 (en) 2021-04-29 2021-04-29 Rubber cone pickup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3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8318A (en) * 2020-08-26 2022-03-10 中日本ハイウェイ・メンテナンス名古屋株式会社 Traffic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and traffic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918A (en) * 2001-11-28 2003-06-06 Sendai Enji Kk Recovering device of road regulation member
JP3613397B2 (en) * 2000-12-13 2005-01-26 仙台エンジ株式会社 Road regulation member collection device
CN111719454A (en) * 2020-07-06 2020-09-29 广西大学 Automatic retracting device for traffic co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397B2 (en) * 2000-12-13 2005-01-26 仙台エンジ株式会社 Road regulation member collection device
JP2003160918A (en) * 2001-11-28 2003-06-06 Sendai Enji Kk Recovering device of road regulation member
CN111719454A (en) * 2020-07-06 2020-09-29 广西大学 Automatic retracting device for traffic co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8318A (en) * 2020-08-26 2022-03-10 中日本ハイウェイ・メンテナンス名古屋株式会社 Traffic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and traffic cone installation and recovery method
JP7450495B2 (en) 2020-08-26 2024-03-15 中日本ハイウェイ・メンテナンス名古屋株式会社 Traffic cone installation and collection device and traffic cone installation and colle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6868A1 (en) Fastening plate-type parking device
EP1112411B1 (en) Apparatus for retrieving conical roadway warning markers
KR102345303B1 (en) Rubber cone pickup device
CN107404839A (en) improved lifting/collision detection
TWI677604B (en) Spun yarn winding system
EP0244984A2 (en) Automatically-guided vehicle having load clamp
KR102084951B1 (en) Ground Penetrating Radar Support Device for Special Vehicles
KR101492957B1 (en) Installation and Recovery Device of Color Cone
CN109930511B (en) Automatic winding and unwinding machine for rotary cone
JP5314682B2 (en) Lifting hook
JP2005239343A (en) Yard crane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system
KR102396150B1 (en) Ravacorn Vertical Load Type Installation and Recovery System
CN109677535A (en) Method for transporting the stand-type vehicle of the electric drive of personnel and for running stand-type vehicle
CN105672168A (en) Automobile stopping system
CN209941538U (en) Rotary type cone drum automatic winding and unwinding machine
CN104294779A (en) Net and nail combined car blocking system
KR20110079954A (en) Line tracer which has the safe tripod
JP6433794B2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work at height
WO2002048010A1 (en) Road regulation member recovering device
KR102230041B1 (en) vehicle mounted type apparatus for unloading rubber cone
CN210766500U (en) Self-adaptive adjusting system for traffic road cone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 based on image identification
KR102292887B1 (en) Crosswalk pedestrian barrier recovery device
CN110965752B (en) Safety protection system for public project construction
KR102576688B1 (en) a vehicle for installation and collecting of a rubber cone
CN111119093A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