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81B1 -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81B1
KR102576681B1 KR1020220085728A KR20220085728A KR102576681B1 KR 102576681 B1 KR102576681 B1 KR 102576681B1 KR 1020220085728 A KR1020220085728 A KR 1020220085728A KR 20220085728 A KR20220085728 A KR 20220085728A KR 102576681 B1 KR102576681 B1 KR 10257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unit
solid
livestock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102022008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81B1/ko
Priority to PCT/KR2022/020075 priority patent/WO20240146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청수 및 미생물이 충진되어 상기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에서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고액분리부; 및 상기 고액분리부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을 부숙시켜 비료화하도록 구성되는 고형비료탱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고액분리 및 부숙 과정을 통해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BARN EXCRETIONS FERTILIZER SYSTEM}
본 발명은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고액분리 및 부숙 과정을 통해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탱크부의 내부로 분뇨가 유입되어 탱크부 내부에 충진된 청수 및 미생물과 화학 작용을 일으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축사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업 허가, 등록 요건 강화 등을 골자로 한 개정 축산법 시행령, 시행규칙을 2022년 6월 16일 공포, 시행한다고 밝혔다.
상기 시행령은 돼지 사육시설의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도록 밀폐형 구조로 설치되도록 하였으며, 돼지 사육 농장에는 액비순환시스템(부숙된 액상 비료와 분뇨를 섞는 장치)이나 안개분무시설 등 악취물질 발생을 줄이는 장비를 갖추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분뇨가 배출되면 토양과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한 가축의 분뇨를 유기질 비료화하여 토양에 사용함으로써,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해 산성화된 토양을 객토시켜 우수한 토질을 양성화하였다.
상기와 같이 가축의 분뇨를 비료화 하기 위해서는 먼저 톱밥에 축산분뇨를 혼합하여 두면 미생물이 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생물은 신속한 분해작용을 진행하면서 가축의 분뇨와 톱밥이 유기질 비료로 진행되게 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산소가 부족하게 됨으로써 결국미생물이 사멸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혼합물은 유기질 비료화가 되지 않고 썩게 됨으로서 불필요한 비료가 생성된다.
따라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는 과정 등을 통해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 활동을 조장함으로써 양호한 발효작용이 발생되어 양질의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25784에는 가축 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가축 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는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유실되는 질소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분뇨를 공기에 의해 부숙화시키는 퇴비 부숙조; 부숙화된 재료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 포집기; 및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산화시킬 수 있는 질산화균이 배양된 미생물 배양조를 포함하는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로서, 상기 퇴비 부숙조는 하단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주입기 및 상기 가스를 암모니아로 단일화시키기 위해 상부에 설치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포집기는 한쪽 말단이 상기한 덮개에 연결된 배기관과, 상기한 배기관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부착된 냉각기 및 상기 배기관의 다른쪽 말단이 연결된 암모니아수집조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포집기와 상기 미생물 배양조는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암모니아가스관과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암모니아수로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가축분뇨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바로 부숙시키지 못하고, 가축분뇨를 퇴비 부숙조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 또는 기술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25784(1999.07.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6378(2010.08.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고액분리 및 부숙 과정을 통해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탱크부의 내부로 분뇨가 유입되어 탱크부 내부에 충진된 청수 및 미생물과 화학 작용을 일으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축사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는,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청수 및 미생물이 충진되어 상기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에서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고액분리부; 및 상기 고액분리부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을 부숙시켜 비료화하도록 구성되는 고형비료탱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액분리부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를 부숙시켜 비료화하는 액비탱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조절, 상기 고액분리부에 의한 정화물의 고액분리 및 상기 고형비료탱크에 의한 고형물의 비료화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의 내부에서 적어도 24시간 이상 머무르면서 정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탱크부에 충진된 청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뇨가 3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게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액분리부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의 일부가 상기 축사의 배수구로 이동되어 상기 배수구에 존재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사의 배수구는 일 측에서 상기 탱크부가 위치한 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축사의 배수구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분뇨의 이동을 서포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부에는, 내부 공간을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부재, 상기 제1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1산소칸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제1메디아가 포함되는 제1반응조탱크; 및 내부 공간을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 상기 제2격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2산소칸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제2메디아가 포함되는 제2반응조탱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에는, 상기 제1격벽부재 및 제2격벽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산소칸 및 제2산소칸과 제1무산소칸 및 제2무산소칸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구; 상기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가이드격벽; 및 상기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기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일 측 경사진 방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의하면,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고액분리 및 부숙 과정을 통해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탱크부의 내부로 분뇨가 유입되어 탱크부 내부에 충진된 청수 및 미생물과 화학 작용을 일으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축사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액체를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부숙을 통해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조절, 정화물의 고액분리 및 고형물의 비료화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부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의한 분뇨의 비료화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탱크부의 내부에서 적어도 24시간 이상 머무르면서 정화된 후에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탱크부로 유입되는 축사 분뇨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탱크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탱크부에 충진된 청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뇨가 3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게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탱크부에 과도한 분뇨가 유입되어 분뇨에 대한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액분리부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의 일부가 축사의 배수구로 이동되어 흐르도록 제어하여 배수구에 존재하는 분뇨가 별도의 제어나 동력 없이 탱크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뇨의 유입과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사의 배수구가 탱크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축사의 배수구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한 분뇨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의 반응조탱크가 복수로 구성되어 탱크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복수의 반응조탱크를 경유하면서 정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반응조탱크에 설치되는 메디아의 미생물에 의한 분뇨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의 내부를 제1산소칸과 제1무산소칸으로 구획하고,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를 제2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으로 구획하여, 제1산소칸과 제2산소칸에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시키고 제1무산소칸과 제2무산소칸에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로 유입되는 분뇨에 대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에 형성되는 가이드격벽에 의해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분뇨가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반응조탱크에 설치되는 제1메디아 및 제2반응조탱크에 설치되는 제2메디아에 의한 분뇨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재가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되 일 측 경사진 방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반응조탱크 및 제2반응조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메디아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되면서 순환되어 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액비탱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축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탱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제1반응조탱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제2반응조탱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고액분리 및 부숙 과정을 통해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액비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축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내지 도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는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청수 및 미생물이 충진되어 상기 축사(10)로부터 유입되는 분뇨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100), 상기 탱크부(100)에서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고액분리부(200) 및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을 부숙시켜 비료화하도록 구성되는 고형비료탱크(300)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은,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탱크부(100)로 분뇨가 유입되어 정화된 이후 고액분리부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고형비료탱크에서 비료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악취 제거 및 고형물의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은, 상기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분뇨가 유입되어 상기 탱크부(100) 내부에 충진된 청수 및 미생물과 화학 작용을 일으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축사(10)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부(100)는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분뇨를 저장하는 탱크를 비운 후 본 발명의 탱크부(100)로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전체 시공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부(100)는 기존의 분뇨를 저장하는 탱크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탱크부(100)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유입 양에 따라 복수로 구성되어 분뇨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탱크부(100)에는 상기 축사(10)로부터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로 이동되기 전 잠시 머무르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기 전 상기 분뇨의 분자 상태를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서브탱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부(2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액분리기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부(100)에서 정화된 정화물에 대한 고액분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부(200)는 가축 분뇨의 처리와 자원화 이용에 기본적인 조치로서, 가축 분뇨 퇴비화, 액비화, 정화, 시설의 최소화, 액비 및 정화처리 해양배출 등 액상물 처리 이용을 위한 고형물 제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액분리부(200)는 분뇨 내에 존재하고 있는 액상물을 고상입자들과 크기, 무게로 분리하는 것이며, 고형입자의 모양 및 크기, 입자 표면 특성에 따라 고액분리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한 고액분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물리적 기법 및 화학적 개량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형비료탱크(300)는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을 부숙시켜 비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분리된 고형물만을 부숙시켜 비료화하여 축사(10)의 분뇨를 비료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형비료탱크(300)에서 이루어지는 부숙은, 유기물이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면 이산화탄소 및 물로 전환되는데, 유기물 중에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저항성을 갖는 물질과 분해과정 중에 새로이 합성된 물질은 부식(Humus)으로 잔류하게 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양이나 대기 중에는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 등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미생물은 통기성, 수분, 영양원 등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주어지면 유기물을 분해하여 가축의 분뇨를 비료화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은 축사의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 및 고액분리부(200)를 통해 정화되고 고액분리되면서 부숙되기 좋은 상태로 변화되어 부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는,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를 부숙시켜 비료화하는 액비탱크(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비탱크(400)에는 별도의 에어펌프가 설치되어 토착미생물과 함께 장기간 발효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를 부숙시켜 비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액비탱크(400)에서 고액분리된 액체를 부숙시켜 비료화하는 공정은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조절,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한 정화물의 고액분리 및 상기 고형비료탱크(300)에 의한 고형물의 비료화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5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뇨의 비료화에 대한 전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축사(10)의 분뇨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자동 및 수동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의한 비료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제어부에 의한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는 상기 축사(10)와 탱크부(100)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탱크부(100)와 고액분리부(200)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고액분리부(200)와 고형비료탱크(300)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고액분리부(200)와 액비탱크(400)를 연결하는 관로 및 상기 고액분리부(200)와 축사(10)를 연결하는 관로를 포함하는 관로부(60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관로부(600)에 포함된 관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밸브 및 상기 관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펌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관로들의 물리적인 규격, 상기 탱크부(100)의 물리적인 규격 및 상기 펌프의 물리적인 규격에 따라 상기 밸브 및 펌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별도의 온도센서 등을 포함하여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 및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관로들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2. 제어부에 의한 제어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제어반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반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어부(500)를 수동으로 제어하여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반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어부(500)는, 상기 관로들의 물리적인 규격, 상기 탱크부(100)의 물리적인 규격 및 상기 펌프의 물리적인 규격에 따른 제어 신호 범위의 한계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정화 효율의 저하나,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동되고 원격으로 상기 제어부(5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상기 제어부(5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현장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 휴대가 용이한 IT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단말부를 이용한 제어 신호의 전송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적어도 24시간 이상 머무르면서 정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된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머무르면서 정화되는 최소 시간을 설정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24시간 동안 갇혀서 정화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된 분뇨의 배출은 상기 탱크부(100)에서의 정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부(100)에서 정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된 분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24시간 미만으로 머무르면서 정화되고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탱크부(100)에 충진된 청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뇨가 3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게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청수와 분뇨의 양은,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이 많아지면서 청수와 분뇨의 비율이 무너지게 되어 분뇨의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탱크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부(100)에 충진된 청수에 대비하여 상기 탱크부(100)에 유입되는 분뇨의 유입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및 상기 축사(10)의 하수도(20)에 위치한 분뇨를 상기 탱크부(100)로 펌핑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프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탱크부(100)에 충진된 청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뇨가 3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축사(10)와 탱크부(100)를 연결하는 관로의 직경 및 상기 탱크부(100)의 용량에 따라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을 제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탱크부(100)에서 이루어지는 분뇨의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의 일부가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이동되어 상기 배수구(20)에 존재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에 쌓이게 되는 분뇨를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나 인력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부(100)에 분뇨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액분리부(200)에서 고액분리된 액체를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액비탱크(400)로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51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 중 일부는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이동시켜 분뇨가 탱크부(100)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액비탱크(4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는 일 측에서 상기 탱크부(100)가 위치한 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분뇨의 이동을 서포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는 상기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탱크부(100)가 설치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유입되는 가축의 분뇨가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와 함께 용이하게 탱크부(1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에는 발수코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수구(20)를 통해 이동되는 분뇨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탱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제1반응조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의 제2반응조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탱크부(100)에는, 내부 공간을 제1산소칸(110a)과 제1무산소칸(110b)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부재(111) 및 상기 제1격벽부재(111)에 의해 형성되는 제1산소칸(110a)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제1메디아(112)가 포함되는 제1반응조탱크(110) 및 내부 공간을 제2산소칸(120a)과 제2무산소칸(120b)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121) 및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제2산소칸(120a)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제2메디아(122)가 포함되는 제2반응조탱크(12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부(100)는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로 구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분뇨에 대한 정화 및 악취 저감이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유입되면서 점진적으로 정화 및 악취 저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0a)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0a)에는 후술되는 폭기부재(150)에서 폭기되는 기체가 유입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촉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무산소칸(110b)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무산소칸(120b)에는 별도의 기체 유입은 없이 혐기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혐기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촉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산소칸(110a)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산소칸(120a)에 투입되는 호기성 미생물은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만들고 유기물을 분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방선균, 사상균 및 효모균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의 제1무산소칸(110b)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제2무산소칸(120b)에 투입되는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절대 혐기성 미생물과 통성 혐기성 미생물로 분류되어 유산균 및 대장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는 내부에 담체가 설치되어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는 일반적으로 상기 담체가 설치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담체는 미생물이 부착되어 서식하며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의 형상은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를 이루는 각 면은 메쉬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의 내부로 분뇨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 내부의 분뇨가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의 내부에 구비되는 담체의 미생물이 상기 분뇨와 접촉되어 유기물을 분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에는, 상기 제1격벽부재(111) 및 제2격벽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1산소칸(110a) 및 제2산소칸(120a)과 제1무산소칸(110b) 및 제2무산소칸(120b)을 연통시키는 연통구(130),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가이드격벽(140) 및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재(1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폭기부재(150)에는 상기 탱크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블로어 및 상기 블로어에서 준사되는 기체를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폭기관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의 처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의 공급이 필요하므로, 상기 폭기관에 의해 가이드되는 기체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의 미생물 활성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기부재(15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분사되는 기체의 온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는 기체가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분사되거나 낮은 온도로 분사되어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블로어에서 분사되어 상기 탱크부(100)로 폭기되는 기체의 온도가 40도 ~ 50도의 온도로 폭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폭기부재(15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일 측 경사진 방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폭기부재(150)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되, 일 측 경사진 방향으로 폭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순환되어 정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에 따른 탱크부(100)에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화물이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제1순환탱크(160) 및 제2순환탱크(170)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순환탱크(160)는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응조탱크(120)에서 배출되는 정화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순환탱크(170)는 상기 제1순환탱크(16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순환탱크(160)에서 순환되던 정화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순환탱크(160) 및 제2순환탱크(170)의 내부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1순환탱크(160) 및 제2순환탱크(170)에 설치되는 메디아(160a, 170a)는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에 설치되는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폭기부재(150)에 의한 탱크 내부에서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순환탱크(160) 및 제2순환탱크(17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정화물에 대한 유체 순환 흐름은, 상기 제1순환탱크(160) 및 제2순환탱크(170)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디아(160a, 170a)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정화물에 대한 유체 순환 흐름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부가 축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축사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정화하고,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부숙하여 비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고액분리 및 부숙 과정을 통해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에 대한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축사 20 : 배수구
100 : 탱크부
110 : 제1반응조탱크
110a : 제1산소칸 110b : 제1무산소칸
111 : 제1격벽부재 112 : 제1메디아
120 : 제2반응조탱크
120a : 제2산소칸 120b : 제2무산소칸
121 : 제2격벽부재 122 : 제2메디아
130 : 연통구 140 : 가이드격벽
150 : 폭기부재
160 : 제1순환탱크 170 : 제2순환탱크
200 : 고액분리부 300 : 고형비료탱크
400 : 액비탱크
500 : 제어부 510 : 밸브
600 : 관로부

Claims (10)

  1. 축사(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 청수 및 미생물이 충진되어 상기 축사(10)로부터 유입되는 분뇨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탱크부(100);
    상기 탱크부(100)에서 정화된 분뇨를 고형물과 액체로 고액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고액분리부(200); 및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을 부숙시켜 비료화하도록 구성되는 고형비료탱크(300);
    가 포함되고,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를 부숙시켜 비료화하는 액비탱크(4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조절,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한 정화물의 고액분리 및 상기 고형비료탱크(300)에 의한 고형물의 비료화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5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축사(10)와 탱크부(100)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탱크부(100)와 고액분리부(200)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고액분리부(200)와 고형비료탱크(300)를 연결하는 관로, 상기 고액분리부(200)와 액비탱크(400)를 연결하는 관로 및 상기 고액분리부(200)와 축사(10)를 연결하는 관로를 포함하는 관로부(6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관로부(600)에 포함된 관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밸브 및 상기 관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펌프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50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관로들의 물리적인 규격, 상기 탱크부(100)의 물리적인 규격 및 상기 펌프의 물리적인 규격에 따라 상기 밸브 및 펌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부(100)에는,
    내부 공간을 제1산소칸(110a)과 제1무산소칸(110b)으로 구획하는 제1격벽부재(111), 상기 제1격벽부재(111)에 의해 형성되는 제1산소칸(110a)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제1메디아(112)가 포함되는 제1반응조탱크(110); 및 내부 공간을 제2산소칸(120a)과 제2무산소칸(120b)으로 구획하는 제2격벽부재(121), 상기 제2격벽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제2산소칸(120a)에 설치되어 미생물 반응을 통해 분뇨에 대한 여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는 제2메디아(122)가 포함되는 제2반응조탱크(1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에는,
    상기 제1격벽부재(111) 및 제2격벽부재(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1산소칸(110a) 및 제2산소칸(120a)과 제1무산소칸(110b) 및 제2무산소칸(120b)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구(130);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가이드격벽(140); 및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내부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폭기부재(150)가 포함되며,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는,
    하면이 각각 상기 제1무산소칸(110b) 및 제2무산소칸(120b)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폭기부재(15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반응조탱크(110) 및 제2반응조탱크(12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메디아(112) 및 제2메디아(122)의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기체를 폭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탱크부(100)로 유입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에서 적어도 24시간 이상 머무르면서 정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탱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탱크부(100)에 충진된 청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뇨가 3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게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고액분리부(200)에 의해 고액분리된 액체의 일부가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이동되어 상기 배수구(20)에 존재하는 분뇨가 상기 탱크부(1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는,
    일 측에서 상기 탱크부(100)가 위치한 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축사(10)의 배수구(20)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분뇨의 이동을 서포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85728A 2022-07-12 2022-07-12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KR10257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728A KR102576681B1 (ko) 2022-07-12 2022-07-12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PCT/KR2022/020075 WO2024014629A1 (ko) 2022-07-12 2022-12-09 고액분리부가 구비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728A KR102576681B1 (ko) 2022-07-12 2022-07-12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681B1 true KR102576681B1 (ko) 2023-09-11

Family

ID=8802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728A KR102576681B1 (ko) 2022-07-12 2022-07-12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681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784B1 (ko) 1997-10-15 1999-10-15 김강권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
KR200169191Y1 (ko) *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100698522B1 (ko) * 2005-07-25 2007-03-22 박승화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90114952A (ko) * 2008-04-30 2009-11-04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6378B1 (ko) 2010-06-07 2010-08-1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하수 및 축산 찌꺼기의 부숙토 제조용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101346594B1 (ko) * 2013-07-19 2014-01-03 (주)오앤케이테크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408918B1 (ko) * 2013-04-30 2014-06-17 (주)포레코 축산분뇨의 활용도가 우수한 고형연료화장치
KR101646895B1 (ko) * 2016-01-18 2016-08-12 왕기연 축산분뇨 및 음식물 슬러지 원형 퇴비화 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80093512A (ko) *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2098566B1 (ko) *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784B1 (ko) 1997-10-15 1999-10-15 김강권 가축분뇨의 부숙 퇴비화 장치
KR200169191Y1 (ko) *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100698522B1 (ko) * 2005-07-25 2007-03-22 박승화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90114952A (ko) * 2008-04-30 2009-11-04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6378B1 (ko) 2010-06-07 2010-08-1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하수 및 축산 찌꺼기의 부숙토 제조용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408918B1 (ko) * 2013-04-30 2014-06-17 (주)포레코 축산분뇨의 활용도가 우수한 고형연료화장치
KR101346594B1 (ko) * 2013-07-19 2014-01-03 (주)오앤케이테크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646895B1 (ko) * 2016-01-18 2016-08-12 왕기연 축산분뇨 및 음식물 슬러지 원형 퇴비화 장치
KR20180093512A (ko) *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2098566B1 (ko) *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71409B (zh) 淤浆分离和沼气生产的方案
US20060060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imal waste and wastewater
JPH07124538A (ja)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2015167912A (ja) 畜産糞尿処理システム
JP4527610B2 (ja) 生ゴミ等の肥料化方法及び肥料化装置
CA29635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bio-organic compounds
CN115385729B (zh) 自然友好型无电源有机物快速发酵方法
Day et al. Processing manur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US6375844B1 (en) Method for treatment of animal waste
CN101134681A (zh) 含有机物的废弃物和排泄物的资源化方法及其装置
JP2008189511A (ja) 低臭気の堆肥化処理方法
UA75605C2 (en)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substrates and device for realizing method
Wilkie Anaerobic digestion of flushed dairy manure
KR102576681B1 (ko)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KR102105826B1 (ko) 축산 분뇨 처리를 위한 폭기 장치
US62547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nimal waste
US2022018616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poultry litter
KR20200006300A (ko) 고온발효 악취 저감형 분뇨 처리 장치
KR102293904B1 (ko) 축사용 분뇨 처리 설비
KR20240079857A (ko) 고액분리부가 구비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CN110104898B (zh) 一种垃圾厌氧、好氧堆肥、废水净化的处理系统
CN107759017B (zh) 一种粪污处理工艺
JP3638010B2 (ja) 堆肥化施設から発生する臭気ガスの処理方法と装置
KR102576641B1 (ko) 축사 분뇨 부숙 시스템
KR20160120501A (ko) 고속 유기물 산화조를 갖는 가축분뇨 액비화 처리시스템 및 그 액비화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