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57B1 - 밀봉부 - Google Patents

밀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57B1
KR102576657B1 KR1020177029195A KR20177029195A KR102576657B1 KR 102576657 B1 KR102576657 B1 KR 102576657B1 KR 1020177029195 A KR1020177029195 A KR 1020177029195A KR 20177029195 A KR20177029195 A KR 20177029195A KR 102576657 B1 KR102576657 B1 KR 10257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fastener
opening
fastener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545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칼손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7012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체결구(1, 21, 41),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을 포함하는 밀봉부에 관한 것이다.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전방 체결구(1, 21, 41)와 후방 체결구(2, 22, 42)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는 벽(16)을 통한 도관을 위한 전이부이며, 도관은 밀봉부의 중심 관통 개구에 수용되고, 밀봉부는 벽(16)의 개구에 수용된다. 장착된 밀봉부에서,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도관에 대해 내향으로 밀봉되고, 벽(16)의 개구의 내부 표면에 대해 외향으로 밀봉된다.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축방향 연장부는 벽(16)의 개구에서 벽(16)의 두께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밀봉부
본 발명은 벽의 개구를 통해 진행하는 도관을 위한 밀봉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밀봉부는 벽의 개구를 통해 진행하는 케이블이나 파이프 같은 도관을 위한 트랜싯(transit) 또는 리드-쓰루(lead-through)이다.
이러한 밀봉부 또는 전이부는 내측에서 벽을 통해 진행하는 도관, 그리고, 외측에서 벽의 개구의 내부 표면 양쪽 모두에 대해 밀봉되어야 한다. 두 개의 체결구 사이에 탄성 밀봉 재료가 배치되는 전이부 또는 밀봉부가 기존에 알려져 있다. 체결구는 통상적으로는 스크류 배열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며, 그에 의해, 밀봉 재료는 체결구 사이에 배치된 밀봉 재료가 축방향으로 압축될 것이다. 축방향으로의 압축에 의해, 밀봉 재료는 허용되는 경우 내향 및 외향 양자 모두로 반경 방향으로 팽창된다.
종래 기술에서, 도관에 대해 내측에서 밀봉되도록 배열된 하나의 밀봉 부분과 벽의 개구의 내부 표면에 대해 외측에서 밀봉되는 하나의 밀봉 부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해결책의 일 예는 WO2004/070250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밀봉부는 캐비넷, 테크니컬 셀터, 접속함 및 기계, 그리고 또한 선박의 데크 및 벌크헤드를 위한 것 같은 다수의 상이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자동차, 텔레콤, 발전과 배전, 그리고, 해양 및 육상 같은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밀봉부는 유체, 가스, 화재, 설치류, 흰개미,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되어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설치가 비교적 쉬운 덜 복잡한 해결책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수용되는 도관의 비교적 넓은 직경 범위에 대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밀봉부는 전방 체결구, 후방 체결구 및 전방 체결구와 후방 체결구 사이에 배치된 압축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밀봉부는 벽을 통한 도관, 예컨대, 파이프 같은 도관을 위한 전이부를 형성하며, 벽의 개구에 배치된다. 도관은 밀봉부의 중심 관통 개구에 수용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밀봉부는 내측에서 도관에 대해, 그리고, 외측에서 벽의 개구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밀봉된다. 압축가능한 부분의 축방향 연장부는 벽의 개구에서 벽의 두께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밀봉부에 의해, 하나의 측부로부터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체결구를 연결하는 스크류를 조임으로써, 압축가능한 부분은 동일한 시퀀스로, 내측으로 도관, 그리고, 외측으로 벽의 개구의 내부 표면 양쪽 모두를 향해 압축될 것이다. 압축가능한 부분은 또한 벽의 개구에서 밀봉부를 체결하도록 기능한다.
벽이 압축가능한 부분과 전방 체결구 사이에 배치될 것이라는 점에서 밀봉부는 사용시 벽에 유지될 것이다.
예로서, 수용되는 도관의 치수에 의존하여, 밀봉부는 상이한 강도의 힘에 노출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도관의 직경이 더 클수록 힘이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밀봉부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소 변하는 디자인을 갖는다. 본 설명에서, 넓은 범위의 수용되는 도관의 외부 직경을 커버하는 세 개의 상이한 디자인이 예시된다.
본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후술된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그리고, 개시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이 추가로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벽의 개구에 장착되고 파이프를 수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밀봉부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밀봉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전방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후방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후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압축가능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밀봉부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밀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전방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의 후방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후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의 압축가능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밀봉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밀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예의 전방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예의 후방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후방 체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예의 압축가능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밀봉부 또는 파이프 전이부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또한, 비교적 단단한 케이블을 위한 전이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용어 "도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파이프 및 케이블 양쪽 모두를 포함하도록 해석된다. 본 설명에서 사용될 때, "축방향", "반경방향" 및 유사한 표현은 밀봉부에 수용되는 도관과 관련되어 있다. 밀봉부는 하나의 측부로부터 장착되며, 본 설명에서 사용될 때, 표현 "전방"은 밀봉부가 장착되는 측부를 지칭한다. 대응적으로, 표현 "후방"은 반대 측부를 지칭한다.
수용되는 도관의 외부 직경에 따라서, 밀봉부의 상이한 부분은 미소하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상이한 크기가 존재하며, 이는 아래에서 소형, 중형 및 대형 크기라 지칭될 것이다.
밀봉부는 그것이 소형, 중형 또는 대형 크기 중 어느 것이든 세 개의 주 부분인 전방 체결구(1, 21, 41),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전방 체결구(1, 21, 41)와 후방 체결구(2, 22, 42)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을 포함한다. 사용시 전방 체결구(1, 21, 41) 및 후방 체결구(2, 22, 42)는 다수의 스크류(15)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되며,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반경 방향으로 팽창된다.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을 위한 반경 방향으로의 팽창은 가능한 경우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양쪽 모두이다. 도 1에서, 중형 크기의 밀봉부가 벽(16)의 개구에 장착되어 도시되어 있다. 밀봉부 내측에는 파이프(17)가 수용된다. 반경방향 팽창에 의해,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압력은 벽(16)의 개구의 내부 표면과 파이프(17)에 대해 증가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부 및 그 전방 체결구(1, 21, 41),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 모두는 단면이 원형 구성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부의 외부 구성 또는 그 주 부분 중 임의의 것은 예컨대,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같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중형 크기의 밀봉부 및 그 다양한 주 부분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중형 크기의 밀봉부의 전방 체결구(1)는 전방 체결구(1)의 내부 중심 관통 개구(5)에서 내부 절첩된 에지(4)를 갖는다. 절첩된 에지(4)는 전방 체결구(1)의 인접한 부분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전방 체결구(1)로부터 돌출한다. 사용시, 절첩된 에지(4)는 후방 체결구(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내부 관통 개구(5)는 전방 체결구(1)의 절첩된 에지(4) 내측에 배치된다. 절첩된 에지(4)는 내부 관통 개구(5) 주변에서 전체적으로 진행하고, 따라서, 절첩된 에지(4)는 실제로 상기 내부 관통 개구(5)의 외부 원주를 형성한다. 전방 체결구(1)는 또한 체결 수단을 수용하도록 다수의 추가적 관통 개구(6)를 갖는다. 체결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15)일 수 있다. 전방 체결구(1)는 또한 다수의 표시 개구(7)를 갖는다. 상기 표시 개구(7)는 압축의 표시 및/또는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압축가능한 부분(3)이 전방 체결구(1)와 후방 체결구(2) 사이에서 압축될 때, 압축가능한 부분(3)은 상기 표시 개구(7) 내로 융기될 것이다. 압축가능한 부분(3)의 표시 개구(7) 내로의 상기 융기는 스크류(15)가 조여질 때 압축력의 표시를 제공할 것이다. 각 압축가능한 부분(3)에 특정 식별부를 제공함으로써, 예로서, 문제가 있는 경우에, 제조 장소, 특정 제조 배치(batch) 등을 확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런 특정 식별부는 사용시 표시 개구(7) 중 하나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개구(7)의 수는 한 개로부터 증가하면서 변할 수 있다.
후방 체결구(2)는 외부 절첩된 에지(8)를 외부 원주에 구비한다. 후방 체결구(2)의 절첩된 에지(8)는 후방 체결구(2)의 인접한 부분에 대략 수직이다. 사용시, 후방 체결구(2)의 절첩된 에지(8)는 제1 체결구(1)를 향해 지향된다. 후방 체결구(2)는 중심 관통 개구(9)를 갖는다. 후방 체결구(2)는 또한 스크류(1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개구(10)를 갖는다. 관통 개구(10)는 스크류의 나사부(15)와 협력하는 나사부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3)은 일반적으로 고무로 이루어지지만, 실제로, 임의의 압축가능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가능한 부분(3)은 중심 관통 개구(11) 및 스크류(1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개구(12)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3)은 후방 체결구(2)를 향한 단부에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13)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3)의 외부 리세스(13)는 후방 체결구(2)의 외부 절첩된 에지(8)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체결구(1)를 향하는 측부에서, 압축가능한 부분(3)은 외부 원주방향 립(14)을 갖는다. 외부 립(14)은 압축가능한 부분(3)에 수직이고, 밀봉부가 장착될 때 벽(16)과 전방 체결구(1)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가 의도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압축가능한 부분(3)의 높이는 밀봉부가 장착되는 벽(16)의 두께보다 커야 한다.
밀봉부를 조립할 때, 후방 체결구(2)는 외부 절첩된 에지(8)가 압축가능한 부분(3)의 일 단부에서 외부 리세스(13)에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전방 체결구(1)는 압축가능한 부분(3)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다. 조립을 위해, 스크류(15)를 위한, 전방 체결구(1)의 관통 개구(6)는 압축가능한 부분(3)의 관통 개구(12) 및 후방 체결구(2)의 관통 개구(10)와 일렬로 배치된다. 스크류(15)는 그후 전방 체결구(1), 압축가능한 부분(3) 및 후방 체결구(2) 각각의 상기 관통 개구(6, 12, 10)를 통해 삽입된다. 스크류(15)는 압축가능한 부분(3)의 어떠한 현저한 압축도 없는 상태로 밀봉부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길게 후방 체결구(2)의 개구(10)의 나사부 내로 나사결합된다. 조립된 밀봉부에서, 전방 체결구(1)의 중심 관통 개구(5)는 압축가능한 부분(3)의 중심 관통 개구(11) 및 후방 체결구(2)의 중심 관통 개구(9)와 일렬이 될 것이다. 조립된 밀봉부는 그에 의해, 전방 체결구(1), 압축가능한 부분(3) 및 후방 체결구(2) 각각의 상기 중심 관통 개구(5, 11, 9)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 관통 개구를 갖는다.
중형 크기의 도시된 밀봉부에 대하여, 다섯 개의 스크류(15)가 존재하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임의의 수의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부분은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 및/또는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립도 없는 디자인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부분은 직선 외부 원주를 갖는 튜브 형태를 가진다. 조립시,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도 갖지 않는 압축가능한 부분이 후방 체결구(2)의 외부 절첩된 에지(8) 내부의 영역 내로 가압된다.
대형 크기의 밀봉부 및 그 다양한 주 부분이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중형 크기의 밀봉부의 전방 체결구(21)는 전방 체결구(21)의 내부 중심 관통 개구(25)에서의 내부 절첩된 에지(24) 및 전방 체결구(21)의 외부 주연에서의 외부 절첩된 에지(25)를 갖는다. 절첩된 에지(24, 25)는 전방 체결구(21)의 인접한 부분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전방 체결구(21)로부터 돌출한다. 사용시, 절첩된 에지(24, 25)는 후방 체결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내부 관통 개구(26)는 전방 체결구(21)의 내부 절첩된 에지(24) 내측에 배치된다. 내부 절첩된 에지(24)는 내부 관통 개구(26) 주변에서 전체적으로 진행하고, 따라서, 내부 절첩된 에지(24)는 실제로 상기 내부 관통 개구(26)의 외부 원주를 형성한다. 외부 절첩된 에지(25)는 전방 체결구(21) 주변에서 전체적으로 진행한다. 전방 체결구(21)는 또한 체결 수단을 수용하도록 다수의 관통 개구(27)를 갖는다. 체결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15)일 수 있다. 전방 체결구(21)는 또한 다수의 표시 개구(28)를 갖는다. 상기 표시 개구(28)는 중형 크기의 밀봉부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의 표시 및/또는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표시 개구(28)의 수는 한 개로부터 증가하면서 변할 수 있다.
후방 체결구(22)는 외부 원주에서 외부 절첩된 에지(29)를 가지며, 외부 절첩된 에지(29)는 체결구(22)의 인접한 부분에 대략 수직이다. 사용시, 후방 체결구(22)의 외부 절첩된 에지(29)는 제1 체결구(21)를 향해 지향된다. 후방 체결구(22)는 또한 내부 절첩된 에지(30)를 가지며, 이는 후방 체결구(22)의 인접한 부분에 대략 수직이다. 사용시, 후방 체결구(22)의 내부 절첩된 에지(30)는 전방 체결구(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후방 체결구(22)는 중심 관통 개구(31)를 갖는다. 후방 체결구(22)의 내부 절첩된 에지(30)는 후방 체결구(22)의 중심 관통 개구(31) 주변에서 전체적으로 진행한다. 후방 체결구(22)는 또한 스크류(1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개구(32)를 갖는다. 관통 개구(32)는 스크류(15)의 나사부와 협력하는 나사부를 갖는다.
절첩된 내부 에지(30)의 기능은 주로 후방 체결구(22)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체결구(22)는 예로서, 여분의 강도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어떠한 내부 절첩된 에지(30)도 갖지 않는다.
압축가능한 부분(23)은 일반적으로 고무로 이루어지지만, 실제로, 임의의 압축가능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가능한 부분(23)은 중심 관통 개구(33) 및 스크류(1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개구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23)은 후방 체결구(22)를 향한 단부에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35)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23)의 외부 리세스(35)는 후방 체결구(22)의 외부 절첩된 에지(29)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체결구(21)를 향하는 측부에서, 압축가능한 부분(23)은 외부 원주방향 립(36)을 갖는다. 외부 립(36)은 압축가능한 부분(23)에 수직이고, 밀봉부가 장착될 때 벽(16)과 전방 체결구(21)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가 의도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압축가능한 부분(23)의 높이는 밀봉부가 장착되는 벽(16)의 두께보다 커야 한다.
밀봉부를 조립할 때, 후방 체결구(22)는 외부 절첩된 에지(29)가 압축가능한 부분(23)의 일 단부에서 외부 리세스(35)에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전방 체결구(21)는 압축가능한 부분(23)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다. 조립을 위해, 스크류(15)를 위한, 전방 체결구(21)의 관통 개구(27)는 압축가능한 부분(23)의 관통 개구 및 후방 체결구(22)의 관통 개구(32)와 일렬로 배치된다. 스크류(15)는 그후 전방 체결구(21), 압축가능한 부분(23) 및 후방 체결구(22) 각각의 상기 관통 개구(27, 32)를 통해 삽입된다. 스크류(15)는 압축가능한 부분(23)의 어떠한 현저한 압축도 없는 상태로 밀봉부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길게 후방 체결구(22)의 개구(32)의 나사부 내로 나사결합된다. 조립된 밀봉부에서, 전방 체결구(21)의 중심 관통 개구(26)는 압축가능한 부분(23)의 중심 관통 개구(33) 및 후방 체결구(22)의 중심 관통 개구(31)와 일렬이 될 것이다. 조립된 밀봉부는 그에 의해, 전방 체결구(21), 압축가능한 부분(23) 및 후방 체결구(22) 각각의 상기 중심 관통 개구(26, 33, 31)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 관통 개구를 갖는다.
중형 크기의 도시된 밀봉부에 대하여, 열 개의 스크류(15)가 존재하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임의의 수의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부분은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 및/또는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립도 없는 디자인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부분은 직선 외부 원주를 갖는 튜브 형태를 가진다. 조립시,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도 갖지 않는 압축가능한 부분이 후방 체결구(22)의 외부 절첩된 에지(29) 내부의 영역 내로 가압된다.
소형 크기의 밀봉부 및 그 다양한 주 부분이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소형 크기의 밀봉부의 전방 체결구(41)는 직선형이며, 다른 실시예의 전방 체결구(1, 21)에 대조적으로 어떠한 절첩된 에지도 갖지 않는다. 전방 체결구(41)는 내부 중심 관통 개구(44)를 갖는다. 전방 체결구(41)는 또한 체결 수단을 수용하도록 다수의 관통 개구(45)를 갖는다. 체결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15)일 수 있다. 전방 체결구(41)는 또한 다수의 표시 개구(46)를 갖는다. 상기 표시 개구(46)는 중형 크기의 밀봉부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의 표시 및/또는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표시 개구(46)의 수는 한 개로부터 증가하면서 변할 수 있다.
후방 체결구(42)는 외부 원주에서 외부 절첩된 에지(47)를 가지며, 외부 절첩된 에지(47)는 후방 체결구(42)의 인접한 부분에 대략 수직이다. 사용시, 후방 체결구(42)의 외부 절첩된 에지(47)는 제1 체결구(41)를 향해 지향된다. 후방 체결구(42)는 중심 관통 개구(48)를 갖는다. 후방 체결구(42)는 또한 스크류(1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개구(49)를 갖는다. 관통 개구(49)는 스크류의 나사부(15)와 협력하는 나사부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43)은 일반적으로 고무로 이루어지지만, 실제로, 임의의 압축가능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가능한 부분(43)은 중심 관통 개구(50) 및 스크류(15)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개구(51)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43)은 후방 체결구(42)를 향한 단부에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52)를 갖는다. 압축가능한 부분(43)의 외부 리세스(52)는 후방 체결구(42)의 외부 절첩된 에지(47)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체결구(41)를 향하는 측부에서, 압축가능한 부분(43)은 외부 원주방향 립(53)을 갖는다. 외부 립(53)은 압축가능한 부분(43)에 수직이고, 밀봉부가 장착될 때 벽(16)과 전방 체결구(41)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가 의도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압축가능한 부분(43)의 높이는 밀봉부가 장착되는 벽(16)의 두께보다 커야 한다.
밀봉부를 조립할 때, 후방 체결구(42)는 외부 절첩된 에지(47)가 압축가능한 부분(43)의 일 단부에서 외부 리세스(52)에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전방 체결구(41)는 압축가능한 부분(43)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다. 조립을 위해, 스크류(15)를 위한, 전방 체결구(41)의 관통 개구(45)는 압축가능한 부분(43)의 관통 개구(51) 및 후방 체결구(42)의 관통 개구(49)와 일렬로 배치된다. 스크류(15)는 그후 전방 체결구(41), 압축가능한 부분(43) 및 후방 체결구(42) 각각의 상기 관통 개구(45, 51, 49)를 통해 삽입된다. 스크류(15)는 압축가능한 부분(43)의 어떠한 현저한 압축도 없는 상태로 밀봉부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길게 후방 체결구(42)의 개구(49)의 나사부 내로 나사결합된다. 조립된 밀봉부에서, 전방 체결구(41)의 중심 관통 개구(44)는 압축가능한 부분(43)의 중심 관통 개구(50) 및 후방 체결구(42)의 중심 관통 개구(48)와 일렬이 될 것이다. 조립된 밀봉부는 그에 의해, 전방 체결구(41), 압축가능한 부분(43) 및 후방 체결구(42) 각각의 상기 중심 관통 개구(44, 50, 48)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 관통 개구를 갖는다.
중형 크기의 도시된 밀봉부에 대하여, 세 개의 스크류(15)가 존재하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임의의 수의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부분은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 및/또는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립도 없는 디자인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부분은 직선 외부 원주를 갖는 튜브 형태를 가진다. 조립시, 어떠한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도 갖지 않는 압축가능한 부분이 후방 체결구(42)의 외부 절첩된 에지(47) 내부의 영역 내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밀봉부는 벽(16)의 개구를 통해 진행하는 파이프(17) 같은 도관과 연계하여 사용된다. 사용시 밀봉부는 도관을 둘러싸는 조립된 조건에 배치되고, 그후, 벽(16)의 개구 내로 삽입된다. 밀봉부와 벽(16)의 개구 사이의 반경방향 유격은 일반적으로 1-2mm이다. 밀봉부의 내부 원주와 도관 사이의 반경방향 유격은 일반적으로 또한 1-2mm이다. 밀봉부는 먼저 후방 체결구(2, 22, 42)가 삽입되고, 전방 체결구(1, 21, 41)가 벽(16) 상에 배치될 때까지 개구 내로 추진된다. 전방 체결구(1, 21, 41)의 외부 직경은 벽(16)의 개구의 내부 직경보다 크다.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 각각의 외부 직경은 벽(16)의 개구의 내부 직경보다 다소 작다. 벽의 개구 내로 밀봉부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15)가 조여진다. 스크류(15)를 조임으로서,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전방 체결구(1, 21, 41)는 서로를 향해 이동될 것이고, 그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을 압축한다. 축방향으로의 압축에 의해,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내측에서 도관을, 그리고, 외측에서 벽(16)의 개구의 내부 표면 양자 모두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것이다.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후방 체결구(2, 22, 42)와 벽(16) 사이에 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벽(16)의 후방 측부 아래에서 외측으로 팽창될 것이다. 따라서,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일부는 벽(16)의 개구 주변에서 벽(16)의 후방 측부에 접할 것이다.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축방향으로 압축될 때, 벽(16)과 전방 체결구(1, 21, 41)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또한 다소 팽창할 것이다. 따라서, 밀봉부는 도관 및 벽(16)의 개구의 내부 표면 양자 모두에 대해 밀봉할 것이다. 밀봉부는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벽(16)의 후방 측부 상으로 팽창되어 있는 부분과 전방 체결구(1, 21, 41)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또한 어떠한 스크류(15)도 수용하지 않는, 전방 체결구(1, 21, 41)의 관통 개구(7, 28, 46) 내로 팽창할 것이다. 상기 관통 개구 내로의 이러한 팽창은 압축의 가시적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스크류(15)도 수용하지 않는 관통 개구(7, 28, 4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볼 수 있는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 상에 마킹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킹은 오기능, 불편사항 등의 경우 제조자, 생산 배치 등의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15)와의 협력을 위해 후방 체결구(2, 22, 42)의 관통 개구(10, 32, 49)에서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한 것 같은 방식으로 너트가 후방 체결구(2, 22, 42)에 고정된다.
일 예에서, 전술한 밀봉부의 세 개의 크기는 12mm 내지 222mm의 구간의 외부 직경을 갖는 도관 크기를 커버한다.

Claims (11)

  1. 밀봉부로서, 전방 체결구(1, 21, 41),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전방 체결구(1, 21, 41)와 후방 체결구(2, 22, 42) 사이에 배치된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을 포함하며, 밀봉부는 벽(16)을 통한 도관을 위한 전이부이고, 도관은 밀봉부의 중심 관통 개구에 수용되며, 밀봉부는 벽(16)의 개구에 수용되는, 밀봉부에 있어서,
    장착된 밀봉부에서,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도관에 대해 내향으로 그리고 벽(16)의 개구의 내부 표면에 대해 외향으로 밀봉되며,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축방향 연장부는 벽(16)의 개구에서 벽(16)의 두께보다 크고,
    후방 체결구(2, 22, 42)는 원주방향 외부 절첩된 에지(8, 29, 47)를 가지며, 절첩된 에지(8, 29, 47)는 후방 체결구(2, 22, 42)의 인접한 부분에 수직이고, 조립된 밀봉부에서 전방 체결구(1, 21, 41)를 향해 지향되고,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은 일 단부에서 후방 체결구(2, 22, 42)의 외부 접철된 에지(8, 29, 47)를 수용하는 외부 원주방향 리세스(13, 35, 52) 및 대향 단부에서 외부 원주방향 립(14, 36, 53)을 가지며, 립(14, 36, 53)은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에 대해 수직이고 밀봉부가 장착되었을 때 전방 체결구(1, 21, 41)와 벽(1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부는 전방 체결구(1, 21, 41)의 개구(6, 27, 45),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개구(12, 51) 및 후방 체결구(2, 22, 42)의 개구(10, 32, 49)를 통해 진행하는 스크류(15)에 의해 조립되고, 후방 체결구(2, 22, 42)의 개구(10, 32, 49)는 스크류(15) 상의 나사부와 협력하도록 나사결합되며, 스크류(15)는 스크류(15)가 조여질 때 후방 체결구(2, 22, 42) 및 전방 체결구(1, 21, 41)를 서로를 향해 밀도록 작용하는, 밀봉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밀봉부의 중심 관통 개구는 전방 체결구(1, 21, 41)의 중심 관통 개구(5, 26, 44), 압축가능한 부분(3, 23, 43)의 중심 관통 개구(11, 33, 50), 및 후방 체결구(2, 22, 42)의 중심 관통 개구(9, 31, 48)로 형성되는, 밀봉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방 체결구(1, 21, 41)는 하나 이상의 표시 개구(7, 28, 46)를 갖는, 밀봉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방 체결구(1, 21)는 전방 체결구(1, 21)의 관통 개구(9, 26)의 외부 원주에서 내부 절첩된 에지(4, 24)를 가지며, 절첩된 에지(4, 24)는 전방 체결구(1, 21)의 인접한 부분에 수직이고, 조립된 밀봉부에서 후방 체결구(2, 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되는, 밀봉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방 체결구(21)는 전방 체결구(21)의 외부 원주에서 외부 절첩된 에지(25)를 가지며, 절첩된 에지(25)는 전방 체결구(21)의 인접한 부분에 수직인, 밀봉부.
  7. 제6항에 있어서, 후방 체결구(22)는 중심 관통 개구(31)를 둘러싸는 내부 절첩된 에지(30)를 가지며, 내부 절첩된 에지(30)는 후방 체결구(22)의 인접한 부분에 수직이고, 내부 절첩된 에지(30)는 조립된 밀봉부에서 전방 체결구(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되는, 밀봉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관은 파이프(17)인, 밀봉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7029195A 2015-03-17 2016-03-11 밀봉부 KR102576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0319A SE538491C2 (en) 2015-03-17 2015-03-17 Seal
SE1550319-6 2015-03-17
PCT/SE2016/050200 WO2016148625A1 (en) 2015-03-17 2016-03-11 Se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545A KR20170127545A (ko) 2017-11-21
KR102576657B1 true KR102576657B1 (ko) 2023-09-11

Family

ID=5651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195A KR102576657B1 (ko) 2015-03-17 2016-03-11 밀봉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697565B2 (ko)
EP (1) EP3271981B1 (ko)
JP (1) JP6836309B2 (ko)
KR (1) KR102576657B1 (ko)
CN (2) CN107408802B (ko)
BR (1) BR112017019812B1 (ko)
CA (1) CA2978723C (ko)
DK (1) DK3271981T3 (ko)
ES (1) ES2935594T3 (ko)
FI (1) FI3271981T3 (ko)
RU (1) RU2697585C2 (ko)
SE (1) SE538491C2 (ko)
SG (1) SG11201707253QA (ko)
WO (1) WO2016148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3187C2 (en) * 2018-11-28 2020-10-20 Mct Brattberg Ab Extension element in a sealing system
CN110429538A (zh) * 2019-09-04 2019-11-08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冷库舱壁电缆贯通装置及制作方法
SE543692C2 (en) * 2019-10-23 2021-06-08 Roxtec Ab Compressible round seal for a lead-through maintaining the shape of a rectangular through hole when compressed
SE543754C2 (en) * 2019-11-26 2021-07-13 Roxtec Ab Seal with different compressions
CN212231033U (zh) * 2020-07-01 2020-12-25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线缆引出系统
CN113629464B (zh) * 2021-08-12 2022-04-01 浙江富特科技股份有限公司 线束组合
RU208809U1 (ru) * 2021-09-17 2022-01-14 Рене Карол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вставленных в отверстие конструкции коммуникаци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8B1 (en) * 2002-03-12 2003-01-06 Cosmo Ind Co Ltd Pipe conn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155A (en) * 1899-05-16 Pipe-coupling
US1603991A (en) * 1924-01-12 1926-10-19 Lancaster Tire And Rubber Comp Closure for conduits
US3104120A (en) * 1958-12-01 1963-09-17 Ahlport Brodie Coupling for conduits
US3408096A (en) * 1966-06-20 1968-10-29 Inglis & Macinnes Ltd Pipe coupling
US3779585A (en) * 1972-11-17 1973-12-18 Vilter Manufacturing Corp Sealing means for an aperture in a panel or the like
JPS5015419U (ko) * 1973-06-06 1975-02-18
JPS5015419A (ko) 1973-06-08 1975-02-18
JPH0267190A (ja) 1988-09-02 1990-03-07 Seiko Epson Corp 熱転写記録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36392Y2 (ja) * 1988-11-10 1994-09-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長尺体の中空壁または中空床等の貫通部の防火構造
US5117482A (en) * 1990-01-16 1992-05-26 Automated Dynamics Corporation Porous ceramic body electrical resistance fluid heater
DE29508645U1 (de) * 1995-05-24 1995-11-23 Siemens AG, 80333 München Halterung für Hohlleiter in Wanddurchführungen
US5810400A (en) * 1996-07-11 1998-09-22 Advanced Polymer Technology, Inc. Flexible entry boot
SE510210C2 (sv) * 1997-08-22 1999-05-03 Roxtec Ab Tätningsanordning vid kabel- och rörgenomföringar
US5967567A (en) * 1998-01-15 1999-10-19 Advanced Polymer Technology, Inc. Matingly engaged flexible entry boot
DE50005270D1 (de) * 2000-11-21 2004-03-18 Hauff Technik Gmbh & Co Kg Dichtungsvorrichtung für Kabel- und Rohrdurchgänge
SE518912C2 (sv) * 2001-09-21 2002-12-03 Roxtec Int Ab Tätning för en kabelgenomföring, rörgenomföring eller liknande
SE526317C2 (sv) 2003-02-05 2005-08-23 Roxtec Ab Hylsa för kabelgenomföringar, rörgenomföringar etc
JP4380366B2 (ja) * 2004-03-03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保護部材
EP1628376B1 (de) * 2004-08-19 2009-05-13 Airbus Deutschland GmbH Montageteil für eine flüssigkeitsdichte Kabeldurchführung
CN101783489A (zh) * 2009-01-19 2010-07-21 刘欣月 电缆穿隔密封组件
SE534047C2 (sv) * 2009-02-04 2011-04-12 Roxtec Ab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del som indikerar kompression
DE202011102722U1 (de) * 2011-03-05 2011-09-12 Ddl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des Ringraumes zwischen Medienrohr/Kabel und Kernbohrung/Schutzrohr
DE202012001199U1 (de) * 2012-02-07 2013-05-08 Doyma Gmbh & Co Dichtungsvorrichtung mit Dichtungskörper und Dichtungsmasse
US20140265157A1 (en) * 2013-03-14 2014-09-18 S. Bravo Systems, Inc. Sump wall penetration fitting for flexible pip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8B1 (en) * 2002-03-12 2003-01-06 Cosmo Ind Co Ltd Pipe conn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97585C2 (ru) 2019-08-15
RU2017136290A3 (ko) 2019-06-11
EP3271981B1 (en) 2022-10-26
SE1550319A1 (sv) 2016-08-02
CN107408802A (zh) 2017-11-28
CA2978723C (en) 2023-10-03
RU2017136290A (ru) 2019-04-17
ES2935594T3 (es) 2023-03-08
KR20170127545A (ko) 2017-11-21
CA2978723A1 (en) 2016-09-22
US10697565B2 (en) 2020-06-30
DK3271981T3 (da) 2023-01-09
US20180045338A1 (en) 2018-02-15
JP6836309B2 (ja) 2021-02-24
SE538491C2 (en) 2016-08-02
EP3271981A4 (en) 2018-12-12
BR112017019812A2 (pt) 2018-05-29
BR112017019812B1 (pt) 2022-12-06
CN107408802B (zh) 2021-03-09
JP2018508726A (ja) 2018-03-29
FI3271981T3 (fi) 2023-01-31
EP3271981A1 (en) 2018-01-24
CN113028153B (zh) 2023-03-28
SG11201707253QA (en) 2017-10-30
WO2016148625A1 (en) 2016-09-22
CN113028153A (zh)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657B1 (ko) 밀봉부
US8288667B2 (en) Double-packing cable and flexible conduit gland
US9236718B2 (en) Unwelded explosion-proof drain cable gland assembly
US20110226084A1 (en) Cable gland and gasket ring assembly
KR102503384B1 (ko) 밀봉형 케이블 통로
JP4276234B2 (ja) ケーブル挿入及びパイプ貫通用スリーブ
KR101931112B1 (ko) 코너 연결덕트
US11614195B2 (en) Extended range encapsulation shell
JP6406884B2 (ja) 継手接続品の検査装置
KR101540581B1 (ko) 건식 덕트용 덕트 연결수단
CN101571211B (zh) 挠性套管固定装置
KR20090048708A (ko) 플레어 너트 고정식 압력 게이지
JP2021528605A (ja) シールおよび外径エキステンダを備えるリードスルー
CN114585845B (zh) 圆形密封件
KR200402964Y1 (ko) 파이프 결합장치
JP2021032279A (ja) 弾性シール、継手本体、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管継手
EP3770477A1 (en) Resin-coated aluminum pipe connector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2024057902A (ja) フランジ
KR101221957B1 (ko) 밴드 체결식 압력용기
KR20120093484A (ko) 관이음 조립체
JP2014081078A (ja) 栓部材
KR20140073770A (ko) 클램프 걸이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