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045B1 -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 Google Patents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045B1
KR102576045B1 KR1020230016642A KR20230016642A KR102576045B1 KR 102576045 B1 KR102576045 B1 KR 102576045B1 KR 1020230016642 A KR1020230016642 A KR 1020230016642A KR 20230016642 A KR20230016642 A KR 20230016642A KR 102576045 B1 KR102576045 B1 KR 10257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eet
binding member
hous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형
Priority to KR102023001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를 구성하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을 결속부재에 탄력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등받이시트 또는 좌판시트의 초기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를 구성하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이 결속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속부재의 외부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의 외관을 미려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의자 전체의 고급스러운 미감의 제공을 통한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Seat binding member and chai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를 구성하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을 결속부재에 탄력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등받이시트 또는 좌판시트의 초기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를 구성하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이 결속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속부재의 외부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의 외관을 미려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의자 전체의 고급스러운 미감의 제공을 통한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시 의자 또는 그물망 의자는 외각프레임에 탄력있는 그물망을 씌워 제작한 것으로, 몸을 감싸는 탄력감이 우수하며 땀이 차지 아니하여 여름철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 들어서 외곽프레임에 형성되는 그물망 또는 메시를 대체하여 합성섬유 또는 인조가죽을 형성함으로써 의자의 전체적인 하중을 절감하면서도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의자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상기 합성섬유 또는 인조가죽으로 형성되는 의자는 프레임에 합성섬유 또는 인조가죽을 고정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방충망의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합성섬유 또는 인조가죽시트 의자는 방충망과 달리 사용자가 자판시트의 경우 착석에 따른 하중을 견디어야 하며 등받이 시트의 경우 기대는 하중을 견디어야 하므로, 방충망의 작용 압력과 큰 차이가 있다.
그럼으로 상기와 같이 프레임에 합성섬유 또는 인조가죽 또는 그물망과 같은 재질의 시트를 설치하여 형성되는 의자는 프레임과 합성섬유 또는 인조가죽 또는 그물망의 결합력을 매우 크게 형성하고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결속구조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413624호(등록일: 2014년 06월 24일)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이 접하는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가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졸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서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체,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제1벽체의 외각을 따라 상기 제1벽체와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벽체를 향하는 내벽면의 끝단부가 함몰된 매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졸대에는 상기 제1벽체를 향하는 일면의 끝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돌출부가 구비된 끝단부가 변형되어 상기 매립홈을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그물망 의자는 그물망의 가장자리에 졸대를 위치시키고 박음질하여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졸대를 프레임의 수용홈에 끼워 그물망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그물망에 발생되는 하중이 박음질 부분에 집중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하중에 의하여 박음질 부분이 쉽게 터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044907호(등록일: 2011년 06월 22일)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는,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에 있어서, 의자등받이의 테두리는 외측테두리와 내측테두리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그물망과 고정몰딩을 끼울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에 그물망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몰딩은 중공으로 된 중공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측부에 고정날개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그물망 체결구조 역시 1차적으로 테두리의 오목부에 탐침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고정시키고 오목부에 결합되는 고정몰딩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하며, 특히, 고정몰딩은 고정날개에 형성되는 2차적인 탐침에 의하여 고정몰딩의 이탈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그물망 체결구조 역시 기본적으로 탐침에 의한 그물망의 고정이 이루어진 후 추가적으로 고정물딩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구성으로써 그물망의 하중이 탐침부분에 집중되어 연결부분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계속하여 발생된다.
또한, 그물망의 연결을 위하여 복수 개의 탐침을 꽂아야 하는 번거로움에 의하여 탐침작업이 매우 수고스럽고 생산품질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3624호(등록일: 2014년 06월 24일)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등록특허공보 제10-1044907호(등록일: 2011년 06월 22일)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연결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단순하여 우수한 생산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와 결속부재의 연결이 탐침이나 박음질에 의한 점형태가 아니라 시트와 결속부재의 결속부분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면형태로 형성하여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조립성을 개선한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시트와 결속부재의 연결형태가 결속부재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장치의 노출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시트가 형성되는 의자 등받이 또는 좌판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좌판과 등받이의 사용자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결속부재가 만져지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결속부재에 의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의자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가 기대는 면을 형성하고,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구성되며 양측단부에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졸대가 본딩 또는 박음질되어 부착되는 시트와, 상기 졸대가 부착된 시트가 수용되는 장홈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안내공과 암나사공이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볼트안내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장홈에 수용되며 대략 "T" 형태로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면이 평활한 형태를 갖으며 이면에 상기 장홈에 끼움되어 내부에 수용된 시트를 가압하는 가압판과, 양측과 중앙부분에 나사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우징의 장홈에 졸대가 형성된 시트를 끼움하고 하우징의 양측과 중앙부분에 형성된 볼트안내공을 볼트가 관통하여 가압부재의 나사체결공에 나사체결되어 시트를 가압판이 면가압하는 형태로 1차 가압하고 2차로 시트에 형성된 졸대가 가압판에 걸림되어 빠짐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시트의 결속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결속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외측에 시트의 밀착시 시트와 하우징의 접촉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돌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에 하우징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속부재에 시트가 결속된 상태에서 시트를 뒤집어 결속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시트를 형성시 시트가 결속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감싸며 쉽게 뒤집힐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접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부에 삽입되며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조립판과, 상기 조립판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우징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연결하며 각형의 봉형태로 양측에 조립공이 하우징에 볼트로 조립되는 제2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와 결속부재의 연결이 탐침이나 박음질에 의한 점형태가 아니라 시트와 결속부재의 결속부분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면형태로 형성되어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의 연결부분의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등받이 또는 좌판의 탄성을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의 양측에 결속부재를 조립하고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탄성을 갖도록 당김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하여 등받이 또는 좌판을 조립함으로써 시트와 결속부재의 조립이 용이하여 의자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불량률 저하와 조립시 스크래치등의 발생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와 결속부재의 연결형태가 시트와 결속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시트를 뒤집어 결속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양측으로 당김하여 텐션을 부여하고 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결속부재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의자 등받이 또는 좌판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좌판과 등받이의 사용자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결속부재가 만져지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결속부재에 의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의자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등받이 시트가 분리되어 결속부재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시트가 연결된 결속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와 연결브라켓의 변형된 연결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에 시트가 결속된 상태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에 시트가 결속되어 뒤집어진 상태의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좌판시트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등받이 시트가 분리되어 결속부재가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시트가 연결된 결속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와 연결브라켓의 변형된 연결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에 시트가 결속된 상태의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결속부재에 시트가 결속되어 뒤집어진 상태의 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중 좌판시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를 구성하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을 결속부재에 탄력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등받이시트 또는 좌판시트의 초기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를 구성하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이 결속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속부재의 외부노출을 최소화 함으로써 등받이시트와 좌판시트의 외관을 미려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의자 전체의 고급스러운 미감의 제공을 통한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100)는 신체가 기대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구성되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양측에 조립되는 한 쌍의 결속부재(20) 및, 상기 결속부재(20)을 연결하여 시트(10)에 텐션을 제공하는 연결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10)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이루어진 단일시트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는 쿠션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시트가 적층되어 하나의 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10)의 양측으로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졸대(11)가 본딩이나 박음질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일면에 부착된다.
상기 결속부재(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에 시트(10)의 양측이 수용되는 장홈(21)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에 결합되어 장홈(21)을 폐쇄하는 가압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은 양측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4)의 내부에 볼트 안내공(241)과 암나사공(242)이 각각 형성되며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턱(26)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은 외측에 의자프레임(3)과 연결을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된 연결부(221)를 형성하거나 또는 돌출턱(26)의 대항되는 부분으로 돌출되는 조립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는 의자프레임(3)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의 양측 단부에는 하우징(2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형태로 하우징(22)과 가압부재(23) 사이의 형성된 공간인 시트접철부(29)를 형성하여, 결속부재(20)에 시트(10)가 결속된 상태에서 시트(10)를 뒤집어 결속부재(20)를 감싸는 형태로 시트(10)를 형성시 시트(10)가 결속부재(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감싸며 뒤집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속부재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감 없는 편안한 안락함과 등받이와 좌판의 단부까지 안정적인 텐션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가압부재(23)는 대략 "T" 형태로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면이 평활한 형태를 갖으며 이면에 상기 장홈(21)에 끼움되어 내부에 수용된 시트(10)를 가압하는 가압판(27)과, 양측에 나사체결공(28)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의 중앙부분에 볼트안내공(241)을 형성하고, 이와 대항되는 위치의 가압부재(23)에 나사체결공(28)을 형성하여 체결압력이 결속부재(20) 전체에 고르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끼움된 시트(10)에 동일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는 결속부재(20)의 연결부(221)을 이용하여 의자프레임(3)에 연결하고 상부를 봉 형태의 연결브라켓(30)을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시트(1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재(2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브라켓(30)을 조립하여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1)와 좌판(2)을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의자프레임(3)에 각각의 등받이(1)와 좌판(2)을 조립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속부재(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0)은 결속부재(20)의 후방면에 조립하여 실질적으로 전방부분에 위치되는 시트(10)와 최대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의자 사용자가 착석시 등부분이나 다리부분이 연결브라켓(3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걸림과 같은 이물감 없이 편안하게 의자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브라켓(30)은 결속부재(20)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1연결브라켓(31)과 상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브라켓(34)을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브라켓(31)은 양측에 상기 결속부재(20)의 하우징(22)에 형성된 함몰부(24)에 삽입되며 일측에 관통공(321)이 형성된 한 쌍의 조립판(32)과, 상기 조립판(32)을 연결하는 연결봉(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브라켓(34)은 각형의 봉형태를 갖으며 양측에 조립공(341)이 형성되어 하우징(22)의 돌출턱(26)과 대항되는 부분에 볼트(미도시)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에 형성된 함몰부(24)는 상부에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20)는 하나의 결속부재(20)의 구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결브라켓(30)을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의자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시트(10)와 결속부재(20)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10)의 양측단부에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졸대(11)를 본딩이나 박음질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시트(10) 양측의 졸대(11)가 형성된 부분을 대략 "U" 형태로 접고 결속부재(20)중 하우징(22)의 장홈(21)에 삽입한 후 가압부재(23)를 끼움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홈(21)에 끼워진 시트(10)를 가압부재(23)의 가압판(27)이 가압하여 면밀착 형태로 가압하고 볼트(200)를 하우징(22)의 양측 단부와 중앙부분에 형성된 볼트안내공(241)을 관통하여 가압부재(23)의 나사체결공(28)에 체결되어 시트(10)를 가압 밀착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시트(10)와 결속부재(2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시트(10)는 1차적으로 가압판(27)의 면밀착된 상태로 가압됨으로써 빠짐이 방지되고, 2차적으로 시트(10)에 형성된 졸대(11)가 가압판(27)에 걸림되는 구성에 의하여 빠짐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시트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시트(10)의 양측단부에 결속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속부재(20)를 회전시켜 결속부재(20)가 시트(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시트(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결속부재(20)를 감싸는 형태로 변형되어 결속부재(20)의 노출을 최소화한다.
즉, 시트(10)는 단부가 결속부재(20)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대략 "U" 형태로 결속부재(20)를 감싸는 형태로 끼움되며 상기와 같이 시트(10)와 결속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10)를 뒤집으면, 상단부와 하단부는 시트(10)가 시트접철부(29)의 공간에 의해서 쉽게 꺽여 뒤집히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재(20)의 하우징(22)을 감싸는 형태로 뒤집혀 결속부재(20)의 노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시트(10)가 "U" 형태로 접철되어 단부가 등받이(1) 또는 좌판(2)의 뒷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등받이(1)와 좌판(2)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형성함과 동시에 의자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10)의 양측에 결속부재(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유압프레스와 같은 당김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측의 결속부재(20)를 당겨 시트(10)가 텐션을 갖도록 단단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결속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함몰부(24)에 제1연결브라켓(31)의 조립판(32)을 끼움하여 연결하고 볼트가 관통공(321)을 관통하여 하우징(22)의 암나사공(242)에 나사체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상부에는 제2연결브라켓(34)의 조립공(341)이 하우징(22)의 일면에 형성된 구멍(미도시)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볼트로 체결하여 설치하고, 유압프레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시트(10)가 텐션을 갖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시트(10)는 결속부재(20)와 연결된 양측단부가 하우징(22)에 형성된 돌출턱(26)에 의하여 결속부재(20)와 밀착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시트(10)는 사용자가 가압시 내부에 형성된 결속부재(20)에 의하여 꺽임이 없이 하중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의자 사용자가 결속부재(20)에 의한 이물감이나 불편함 없이 편안하게 등받이(1) 전체면과 좌판(2)의 전체면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를 이용한 좌판(2)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좌판(2) 역시 앞서 설명한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속부재(20)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를 이용한 등받이(1)와 좌판(2)으로 형성된 의자(3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300)는 의자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3)과, 전술한 결속부재(20)를 이용하여 졸대(11)와 시트(10)로 시트(10)를 고정한 좌판(2) 또는 등받이(1)가 사용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좌판(2)과 등받이(1)는, 결속부재(20), 졸대(11), 시트(10)로 제작한 것이다.
한편, 본발명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는 좌판에만 사용되거나 또는 등받이에만 사용되는 등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의자의 형태에 따라 좌판 또는 등받이, 머리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에 시트 결속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는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와 결속부재의 연결이 탐침이나 박음질에 의한 점형태가 아니라 시트와 결속부재의 결속부분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면형태로 형성되어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의 연결부분의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등받이 또는 좌판의 탄성을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시트의 양측에 결속부재를 조립하고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탄성을 갖도록 당김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하여 등받이 또는 좌판을 조립함으로써 시트와 결속부재의 조립이 용이하여 의자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불량률 저하와 조립시 스크래치등의 발생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시트와 결속부재의 연결형태가 시트와 결속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시트를 뒤집어 결속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양측으로 당김하여 텐션을 부여하고 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결속부재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의자 등받이 또는 좌판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좌판과 등받이의 사용자가 밀착되는 부분으로 결속부재가 만져지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결속부재에 의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의자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시트 11 : 졸대
20 : 결속부재 21 : 장홈
22 : 하우징 23 : 가압부재
24 : 함몰부 241 : 볼트안내공
242 : 암나사공 26 : 돌출턱
27 : 가압판 28 : 나사체결공
29 : 시트접철부
30 : 연결브라켓 31 : 제1연결브라켓
321 : 관통공 32 : 조립공
33 : 연결봉 34 : 제2연결브라켓
341 : 조립공

Claims (5)

  1. 신체가 기대는 면을 형성하고, 가죽과 같은 직물이나 매쉬망으로 구성되며 양측단부에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졸대(11)가 본딩 또는 박음질되어 부착되는 시트(10)와,
    상기 졸대(11)가 부착된 시트(10)가 수용되는 장홈(21)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볼트(200)가 관통되는 볼트안내공(241)과 암나사공(242)이 형성된 함몰부(24)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볼트안내공(241)이 형성되며 외측에 시트(10)의 밀착시 시트(10)와 하우징(22)의 접촉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돌출턱(26)과 양단부에 하우징(2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속부재(20)에 시트(10)가 결속된 상태에서 시트(10)를 뒤집어 결속부재(20)를 감싸는 형태로 시트(10)를 형성시 시트(10)가 결속부재(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감싸며 쉽게 뒤집힐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접철부(29)가 형성된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의 장홈(21)에 수용되며 "T" 형태로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면이 평활한 형태를 갖으며 이면에 상기 장홈(21)에 끼움되어 내부에 수용된 시트(10)를 가압하는 가압판(27)과, 양측과 중앙부분에 나사체결공(28)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부재(23)와,
    상기 하우징(22)에 형성된 함몰부(24)에 삽입되며 일측에 관통공(321)이 형성된 한 쌍의 조립판(32)과, 상기 조립판(32)을 연결하는 연결봉(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우징(22)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브라켓(31)과, 상기 하우징(22)의 상부를 연결하며 각형의 봉형태로 양측에 조립공(341)이 하우징(22)에 볼트로 조립되는 제2연결브라켓(34)으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30)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우징(22)의 장홈(21)에 졸대(11)가 형성된 시트(10)를 끼움하고 하우징(22)의 양측과 중앙부분에 형성된 볼트안내공(241)을 볼트가 관통하여 가압부재(23)의 나사체결공(28)에 나사체결되어 시트(10)를 가압판(27)이 면가압하는 형태로 1차 가압하고 2차로 시트(10)에 형성된 졸대(11)가 가압판(27)에 걸림되어 빠짐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시트의 결속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결속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의자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항에 따른 시트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230016642A 2023-02-08 2023-02-08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KR10257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642A KR102576045B1 (ko) 2023-02-08 2023-02-08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642A KR102576045B1 (ko) 2023-02-08 2023-02-08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045B1 true KR102576045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642A KR102576045B1 (ko) 2023-02-08 2023-02-08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0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07B1 (ko) 2009-09-21 2011-06-28 김선환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KR101413624B1 (ko) 2012-10-24 2014-07-04 한의경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KR20200025322A (ko) * 2018-08-30 2020-03-10 정윤산 좌판과 등받이 구조를 개선한 의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88455B1 (ko) * 2019-06-25 2020-05-15 유대희 메쉬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의자 좌판의 결합 구조
KR102303396B1 (ko) * 2019-08-14 2021-09-24 김영덕 미용 의자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07B1 (ko) 2009-09-21 2011-06-28 김선환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KR101413624B1 (ko) 2012-10-24 2014-07-04 한의경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KR20200025322A (ko) * 2018-08-30 2020-03-10 정윤산 좌판과 등받이 구조를 개선한 의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88455B1 (ko) * 2019-06-25 2020-05-15 유대희 메쉬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의자 좌판의 결합 구조
KR102303396B1 (ko) * 2019-08-14 2021-09-24 김영덕 미용 의자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7248C (en) Padded chair construction
US7178864B2 (en) Foldable chair having a detachable fabric sheet
US11147379B2 (en) Cushion for folding chair
US8777321B2 (en) Stretching structure of chair upholstery material
US4601516A (en) Contoured chair
KR102576045B1 (ko)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JP5438316B2 (ja) 椅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9408470B2 (en) Method of improving seat comfort, seat and cushion set according to the same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JP2001137065A (ja) 座あるいは背凭れ等の椅子の構造物
US2878860A (en) Seat construction
US20060012228A1 (en) Snug fitting adjustable slipcover
JP3147986U (ja) ソファのヘッドレスト取付け構造
JP5336063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393000Y1 (ko) 망사 의자
KR102640856B1 (ko) 긴장 견인 및 고정수단이 부가된 등받이 의자용 메쉬형 좌판
JP6709310B2 (ja) 家具用クッション
JP6670069B2 (ja) 椅子
KR102576467B1 (ko) 등판의 설치가 용이한 의자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CN209846625U (zh) 一种吊篮式沙发椅
KR102140043B1 (ko) 스프링 일체형 메쉬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CN210989241U (zh) 一种扶手
KR200400879Y1 (ko) 의자용 등받이의 해드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