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624B1 -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624B1
KR101413624B1 KR20120118342A KR20120118342A KR101413624B1 KR 101413624 B1 KR101413624 B1 KR 101413624B1 KR 20120118342 A KR20120118342 A KR 20120118342A KR 20120118342 A KR20120118342 A KR 20120118342A KR 101413624 B1 KR101413624 B1 KR 10141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mesh
receiving groov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331A (ko
Inventor
한의경
Original Assignee
한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경 filed Critical 한의경
Priority to KR2012011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6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06Special adaptation of seat upholstery or fabric for attachment to tubu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망이나 가죽과 같은 직물을 탄력있게 고정하는 등받이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망 의자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이 접하는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가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졸대를 포함하는 등받이부재와 이를 이용하는 의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Device for the back of the seat and the chair having it}
본 발명은 그물망이나 가죽과 같은 직물을 탄력있게 고정하는 등받이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그물망 의자 그리고 등받이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시 의자 또는 그물망 의자는 외각프레임에 탄력있는 그물망을 씌워 제작한 것으로, 몸을 감싸는 탄력감이 우수하며 땀이 차지 아니하여 여름철에 널리 사용된다.
그물망 의자는 프레임에 그물망을 고정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방충망의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물망 의자는 방충망과 달리 사용자가 기대는 하중을 견디어야 하므로, 방충망의 작용 압력과 큰 차이가 있다. 즉, 그물망 의자는 프레임과 그물망의 결합력을 매우 크게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중 하나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0223호 (2007.11.16)에서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에 그물망을 열 융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열 융착에 의해 프레임과 그물망은 일체화되므로 결합력을 크게 얻을 수 있지만, 열 융착한 부분의 미감이 나쁘고, 열 융착 가능한 재질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도 11에는 또 다른 종래의 기술 중 하나인 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프레임(200)은 대략 사각 틀로 제시되는데, 그물망(300)의 탄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프레임(200)의 바깥 둘레를 따라 홈(210)을 형성하고, 홈(210)에 결합하는 졸대(400)가 그물망(300)을 물어 고정하는 방식이다.
프레임(200)의 바깥 둘레에 홈(210)과 졸대(400)를 구비하는 종래의 기술은 그물망(300)을 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 둘레를 따라 홈을 가지는 프레임(200)을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하의 금형(500,600) 외에도 홈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용 금형 파트(700)가 더 필요하게 된다. 부가적인 금형 파트(700)로 인하여 금형 비용이 증가하며, 생산 공정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등받이부재는 강성 재질로 만들어진 졸대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인데, 이러한 졸대는 휨에 여의치 아니하여 프레임의 일면마다 잘게 잘라 끼우는 것이다. 그에 따라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그물망의 모서리부분은 표면이 울거나 탄성이 중앙부분과 달라 사용의 불편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0223호 (2007.11.16)
본 발명은 등받이 프레임의 성형이 용이하면서도 그물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등받이부재를 제시한다. 또한 등받이에 설치되는 그물망에 초기 장력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이 접하는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가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졸대를 포함하는 등받이부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서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체 및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제1벽체의 외각을 따라 상기 제1벽체와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벽체를 향하는 내벽면의 끝단부가 함몰된 매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졸대는 상기 제1벽체를 향하여 일단부가 부푼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주변부가 변형되어 상기 매립홈을 메우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벽체의 돌출 길이보다 상기 제2벽체의 돌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졸대에는 상기 돌출부의 시작 지점을 따라 상기 돌출부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은 상기 제2벽체와 접하는 상기 졸대의 측면에 바느질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졸대와 적어도 상기 제1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졸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부와 상기 제1벽체의 연결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등받이부재를 구비하는 그물망 의자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을 사출 성형으로 제조함에 있어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복잡한 보조 금형파트가 필요치 아니하여, 경제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그물망에 고른 탄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졸대의 결합시에 그물망을 더욱 잡아 당겨주는 효과가 있어, 초기 장력을 가지는 그물망을 설치하기가 용이한 장점도 갖는다.
프레임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타카와 같은 고정부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재에 채용된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졸대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졸대와 그물망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졸대와 그물망의 결합 직전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프레임과 졸대의 결합관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그물망 등받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의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재는 그물망, 이 그물망을 고정하는 프레임 및 졸대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은 대략 사각 형상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수직한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적당히 굴곡될 수 있다.
프레임(1)의 중앙부는 빈 공간(1a)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하는 그물망에 사용자가 등을 기대면 그 하중에 의해 프레임(1)의 빈 공간(1a)으로 탄성 변형하여 쳐지게 된다.
빈 공간(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전후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된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그물망의 탄성 변형이 수용 가능한 깊이의 홀로 형성된다.
전개된 그물망이 접하는 전면 방향에는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수용홈(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S)에는 그물망의 테두리가 결합된 졸대가 삽입 고정되어, 그물망이 프레임에 장착된다.
수용홈(S)이 프레임(1)의 전방을 향하는 면에 형성됨으로써, 프레임(1)은 수용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된 상부금형과, 그에 대응하는 하부 금형만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에 비하여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금형(500,600) 외에도 별도의 스페이서용 금형 파트(700)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제시하는 프레임(1)은 대략 사각형상의 테두리의 전방 면에 수용홈(S)을 형성함으로써, 상하 한 벌의 금형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조 금형파트가 없음에 따라 생산성이 개선된다.
도 2에는 프레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졸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프레임(1) 단면의 왼쪽이 그물망이 위치하는 프레임의 중앙부이다. 프레임(1)은 기저부(11), 제1벽체(12) 및 제2벽체(13)를 포함한다.
기저부(11)는, 도면을 기준으로 프레임(1)의 바닥을 형성한다. 기저부(11)의 큰 체적은 프레임(1)의 휨 강성을 증대시키데 주요한 것이다.
제1벽체(12)와 제2벽체(13)는 기저부(11)에서 그물망이 접하는 정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1벽체(12)와 제2벽체(13) 사이의 공간은 수용홈(S)이 된다. 수용홈(S)의 함몰 길이는 적어도 졸대(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벽체(12)의 돌출 길이는 제2벽체(13)의 돌출 길이보다 짧음으로써, 제1벽체(12)의 끝단과 제2벽체(13)의 끝단은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S)의 내부를 이루는 제2벽체(13)의 내벽면(132)의 끝단부는 함몰되어 매립홈(131)을 형성하고 있다. 이 매립홈(131)은 수용홈(S)의 입구에까지 연장되어 있어, 수용홈(S)의 입구의 단면적은 수용홈(S)의 바닥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생략 가능한 구성으로 기저부(11)와 제1벽체(12)의 연결 부분에는 경사면(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21)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타카 등의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졸대(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일측면의 상단부가 부푼 형상의 돌출부(31)가 구비된다.
졸대(3)의 재질은 프레임(1)의 재질보다 연질의 것이다. 일례로, 졸대(3)는 우레탄이나 피브이시(PVC)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졸대(3)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으로 길게 사출되어 제조된다. 졸대(3)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 사용된다. 졸대(3)는 프레임(1)의 모서리와 같이 굴곡진 부분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휘어질 수 있다.
도 4에는 졸대(3)와 그물망(2)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31)가 형성된 일면과 반대의 면에 그물망(2)의 테두리가 겹쳐진다. 졸대(3)에 그물망(2)의 가장자리를 겹친 다음,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21)로 졸대(3)에 그물망(2)을 고정한다. 이와 달리 졸대의 측면과 겹쳐진 그물망은 열 융착, 접착 등의 공지된 고정 방식으로 양자를 고정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재의 제조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3)를 프레임에 형성된 수용홈의 궤적을 따라 휘면서, 그물망(2)에 졸대(3)를 박음질로 고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길게 연속 성형된 졸대(3)는 프레임의 수용홈 길이에 맞춰 잘라 사용한다. 졸대(3)의 측면에 그물망(2)을 덧댄 상태에서, 박음질하여 졸대(3)의 측면에 그물망(2)을 고정한다. 프레임(1)의 모서리 곡률에 맞추어 졸대(3)를 휘면서 그물망(2)을 졸대(3)에 결합한다. 박음질 과정의 마무리 직전의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단계를 거침으로써 그물망(2)의 가장자리에 졸대(3)가 완전히 결합되면, 졸대(3)는 그물망의 전개된 면에 대하여 세워지게 된다. 또한 졸대(3)는 원래 직선으로 성형된 것을 프레임(1)에 따라 굴곡한 상태로 그물망에 연결됨으로써, 그물망(2)을 팽팽하게 펼치는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그물망(2)의 장력 형성이 우수하게 이루어진다.
프레임의 사각 형태에 따라 그물망에는 돌기부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졸대(3)가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이격된 졸대(3)의 간격을 프레임의 간격보다 다소 좁게함으로써,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그물망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물망에 장력을 부가한 상태로 그물망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좌우 측에 각기 결합되는 졸대 구간의 이격 간격을 프레임의 좌우에 형성된 수용홈의 이격 간격보다 다소 좁게 한다. 이후, 졸대를 당겨 그물망을 팽팽하게 한 상태에서 수용홈에 졸대를 결합함으로써 그물망이 어느 정도 당겨진 상태에서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그물망(2)에 결합된 졸대(3)를 프레임(1)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S)에 가압하여 졸대(3)와 프레임(1)을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졸대(3)와 프레임(1)의 조립은 돌출부(31)가 구비된 졸대의 일측면이 제1벽체(12)를 향하도록 졸대(3)를 프레임(1)의 수용홈(S)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물망(2)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졸대(3)의 이격 거리를 프레임의 좌우 간격보다 좁히고 졸대(3)를 잡아 당기며 수용홈(S)에 결합하는 방법과 더불어, 수용홈에 졸대를 삽입하는 과정 중에 그물망(2)의 탄력을 더욱 부가할 수 있도록 졸대(3)의 돌출부(31)와 프레임(1)의 매립홈(131)을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졸대와 프레임의 조립 직전을 보여주는 도 7과, 수용홈에 졸대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인 도 8을 대비하여 설명한다.
돌출부(31)가 제1벽체(12)를 향한 상태로 졸대(3)를 수용홈(S)에 삽입하면, 졸대(3)가 하강함에 따라 돌출부(31)가 제1벽체(12)에 접하게 된다.
이때, 졸대(3)의 하부가 매립홈(131) 이하로 수용홈(S)에 깊숙하게 들어가면서, 아직 수용홈(S)에 들어가지 아니한 돌출부(31)를 포함한 졸대(3)의 잔여 부분이 올바른 방향으로 수용홈(S)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돕는다.
졸대(3)를 수용홈(S)에 더욱 삽입함에 따라 돌출부(31)는 제1벽체(12)에 걸리게 된다. 이때, 매립홈(31)의 빈 공간으로 돌출부(31)가 구비된 졸대(3)의 끝단부가 변형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제1벽체(12)에 걸린 돌출부(31)는 제2벽체(13)의 매립홈(131)을 향하여 젖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보다 연질인 졸대(3)는 돌출부(31)가 형성된 부분이 매립홈(131)으로 밀려 젖혀지는 변형을 함에 따라 그물망(2)을 더욱 팽팽하게 잡아 당기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졸대(3)의 고정 과정 중에 그물망(2)에 추가적인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졸대(3)를 눌러 수용홈(S)에 삽입하면서 돌출부 부분이 변형되는 정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프레임(1)을 둘레를 따라 그물망(2)의 테두리가 당겨지는 정도가 일정하다. 그에 따라 그물망은 어느 한쪽 테두리에 편중되지 아니하고 전 방향에서 고르게 당겨져 그물망에 장력 분포를 고르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31)의 시작 지점에는 오목홈(32)이 더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31)가 구비된 졸대(3)의 끝단부가 보다 쉽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오목홈(32)은 돌출부(31)가 구비된 일면과 돌출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반대 측의 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둘 중에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여러 졸대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각 실시예에서 졸대(3)의 한 쪽면에는 돌출부(31)와 오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졸대는 좌우가 비대칭적인 것으로, 돌출부(31)의 하면이 거의 직선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벽체에 돌출부가 접하면서 크게 젖혀져 그물망을 크게 당길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의 (b)와 (c)에는 좌우 대칭인 졸대(3)가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31)로 인하여 젖혀짐이 이루어지는 점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졸대와 동일하다. 제시된 실시예의 졸대들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그물망을 박음질 등으로 고정함에 있어 좌측과 우측이 동일하므로, 작업자가 돌출부의 방향을 고려치 않고 그물망 고정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벽체(12)의 돌출 길이보다 제2벽체(13)의 돌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졸대(3)를 수용홈(S)에 어느 정도까지 완전히 삽입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돌출부(31)가 변형되면서 수용홈(S)에 삽입된 졸대(3)의 돌출 길이가 제2벽체(13)의 끝단과 맞추어지는데, 제1벽체(13)가 졸대(3)의 끝단보다 짧게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그물망(2)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물망에 기대 그물망이 프레임의 후방으로 처지는 경우에 제1벽체가 그물망의 탄성 변형을 간섭하지 아니한다.
도 9에는 수용홈에 삽입된 졸대와 프레임을 관통하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졸대와 프레임을 고정하는 단계를 거친 이후에, 졸대와 프레임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고정부재(4)는 수용홈(S)에서 졸대(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홈(S)에 삽입되는 졸대(3)는 억지 끼움 되어, 고정부재(4)가 없이도 프레임(1)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졸대(3)를 수용홈(S)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졸대(3)의 재질은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물망에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하여 사용 중에 졸대가 수용홈에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를 통하여 보다 수용홈(S)에 졸대(3)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4)는 적어도 제1벽체(12)와 졸대(3)를 가로지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벽체(12)와 졸대(3)를 관통하고, 제2벽체(13)에 고정부재(4)의 끝단부가 박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고정부재(4)는 타카침, 나사, 핀 등이 될 수 있다.
고정부재(4)는 경사면(121)을 통하여 비스듬하게 박히는데, 경사면(121)을 타카 총 등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부재를 장착하기가 편리해진다.
이러한 등받이부재(100)는 기존의 의자 등받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부재(100)를 기존의 의자에 결합하는 방법은 스트랩과 같은 끈부재를 사용하거나 공지된 구성의 클립, 클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부재는 그물망 방석으로 사용되어 좌판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은 의자를 형성하는 기본 골조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등받이부재가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은 그물망으로 설명하였으나, 그물망 외에도 다양한 직물, 가죽 등 시트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100 : 등받이부재
1 : 프레임 1a : 빈 공간 S : 수용홈
11 : 기저부 12 : 제1벽체 121 : 경사면
13 : 제2벽체 131 : 매립홈 132 : 내벽면
2 : 그물망 21 : 박음질
3 : 졸대 31 : 돌출부 32 : 오목홈
4 : 고정부재

Claims (9)

  1. 삭제
  2.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이 접하는 정면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및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가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졸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서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벽체;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제1벽체의 외각을 따라 상기 제1벽체와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벽체를 향하는 내벽면의 끝단부가 함몰된 매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졸대에는
    상기 제1벽체를 향하는 일면의 끝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돌출부가 구비된 끝단부가 변형되어 상기 매립홈을 메우는 것인 등받이부재.
  3. 제2항에서,
    상기 졸대에는 상기 돌출부의 시작 지점을 따라 상기 돌출부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부재.
  4. 제2항에서,
    상기 그물망은 상기 제2벽체와 접하는 상기 졸대의 측면에 바느질로 고정되는 등받이부재.
  5. 제2항에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졸대와 적어도 상기 제1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졸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부재
  6. 제5항에서,
    상기 기저부와 상기 제1벽체의 연결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부재.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등받이부재를 구비하는 그물망 의자.
  8. 삭제
  9. 삭제
KR20120118342A 2012-10-24 2012-10-24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KR10141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342A KR101413624B1 (ko) 2012-10-24 2012-10-24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342A KR101413624B1 (ko) 2012-10-24 2012-10-24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31A KR20140052331A (ko) 2014-05-07
KR101413624B1 true KR101413624B1 (ko) 2014-07-04

Family

ID=5088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8342A KR101413624B1 (ko) 2012-10-24 2012-10-24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6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90U (ko) * 2017-02-09 2018-08-20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20220128178A (ko) * 2021-03-12 2022-09-20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102576045B1 (ko) 2023-02-08 2023-09-12 주식회사 대형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61Y1 (ko) * 2003-08-06 2003-10-23 현대금속 (주) 그물의자용 등받이
KR20110031644A (ko) * 2009-09-21 2011-03-29 김선환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61Y1 (ko) * 2003-08-06 2003-10-23 현대금속 (주) 그물의자용 등받이
KR20110031644A (ko) * 2009-09-21 2011-03-29 김선환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90U (ko) * 2017-02-09 2018-08-20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200489363Y1 (ko) * 2017-02-09 2019-06-07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20220128178A (ko) * 2021-03-12 2022-09-20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102517040B1 (ko) * 2021-03-12 2023-03-31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102576045B1 (ko) 2023-02-08 2023-09-12 주식회사 대형 시트 결속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31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402B2 (ja) 表皮材止着用コード
JP5442170B1 (ja) 靴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3624B1 (ko) 등받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망 의자
CN107406021A (zh) 车辆用座椅的表皮固定构造、车辆用座椅的操作杆装置及车辆用座椅
JP2013500121A (ja) 履物用かかと補助具
US4408797A (en) Furniture article with padding attached to a supporting shell
RU2302342C2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подошв на верху обуви, обувной рант и фор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2001120311A (ja) 係着具
JP2012235911A (ja) 止着用クリップ
US20160242506A1 (en) Gluing-free sho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80006965A1 (en) Method for forming seat and back of a mesh chair
KR101374503B1 (ko) 마포걸레용 홀더
JP5671333B2 (ja) 椅子
US10477972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support device of a chair
KR200489363Y1 (ko)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CN104044520B (zh) 一种亮条安装结构、安装方法及其专用金属片
KR102010340B1 (ko) 지퍼 헤드 구조 및 지퍼 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1513367B1 (ko)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JP3163065U (ja) カバー付きソファ
KR200387471Y1 (ko) 구두 구조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CN220824098U (zh) 一种新型椅座
KR200472888Y1 (ko) 장식구 치환이 가능한 신발
CN214258667U (zh) 一种便于拆装的沙发
KR20130005011U (ko) 신발끈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