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30B1 - Bicycle rack - Google Patents

Bicycle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30B1
KR102575830B1 KR1020210110710A KR20210110710A KR102575830B1 KR 102575830 B1 KR102575830 B1 KR 102575830B1 KR 1020210110710 A KR1020210110710 A KR 1020210110710A KR 20210110710 A KR20210110710 A KR 20210110710A KR 102575830 B1 KR102575830 B1 KR 10257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upport
tire
pai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8879A (en
Inventor
장원식
Original Assignee
장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식 filed Critical 장원식
Priority to KR10202101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830B1/en
Publication of KR2023002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8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가 지면에 맞닿고 상단부가 상향 연장되며 서로 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자전거의 타이어가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메인폴대(10);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을 떠받치는 프레임받침대(20); 및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지지대(30);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레임받침대를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 특히 자전거의 안장을 떠받친 채 자전거의 타이어가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있는 상태에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타이어에 대한 점검은 물론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도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타이어 점검 작업이 수월하게 되면서 작업자에게 편리함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holder, a pair of main poles (10) having lower ends in contact with the ground, upper ends extending up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icycle tires are positioned; A frame support 20 supporting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and a lower support 30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poles. Therefore,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especially the saddle of the bicycle, through the frame support,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bicycle tire in a state where the bicycle tire is floating upward at a certain height. As a result, product competitiveness is improved, tire inspection work becomes easy, and convenience and reliability can be provided to workers.

Description

자전거 거치대{BICYCLE RACK}Bicycle rack {BICYCLE RACK}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받침대를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을 떠받친 채 자전거의 타이어가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있는 상태에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cycle cradle capable of pivoting in a state in which a tire of a bicycle is float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a frame of a bicycle through a frame support.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를 이동할 때 주로 사용되는 교통수단으로써, 최근에는 여가생활의 증진과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자전거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bicycle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mainly used for short-distance travel, and recently, the demand for bicycles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promotion of leisure life and healthy life.

특히, 최근 고유가로 인한 교통비 부담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에너지절약의 일환으로 근거리 통학 및 출퇴근 수단으로써 자전거의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나 지자체에서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과 같이 자전거와 연관된 사업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자전거의 이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transportation cost burden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recent high oil prices, as part of energy conservati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investing heavily in bicycle-related proj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bicycle-only roads to promote the use of bicycles as a means of short-distance commuting to school and commuting. As a result, the use of bicycles is increasing.

이와 같이 자전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공원, 관공서 등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하여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As the use of bicycles increases, many bicycle holders for storing bicycles are being installed at bus stops, subway stations, parks, and government offices for the convenience of bicycle users.

그러나, 통상의 자전거 거치대는 인도의 일부분을 점유하여 설치되고, 동시에 보행자의 통로를 막는 방향, 즉 자전거의 측면이 보행자의 통행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됨으로써 보행자가 인도를 통행함에 있어서 자전거를 피해 다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 normal bicycle holder is installed occupying a part of the sidewalk, and at the same time, the bicycle holder is installed so that the direction blocking the passage of pedestrians, that is, the side of the bicycle is perpendicular to the pedestrian's travel direction, so that pedestrians pass through the sidewalk.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had to be avoided.

한편, 도로위의 사정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가정에서 자전거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도 소정의 자전거 거치대를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redetermined bicycle holder is used not only for situations on the road but also for personally storing a bicycle at home.

특히, 고가의 자전거의 경우 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자전거 일체형 거치대가 제거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러한 고가 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자전거 거치대도 많이 제시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pensive bicycles, since they are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a bicycle integrated bicycle holder for mounting the bicycle is removed, separate bicycle holders for mounting these expensive bicycles have been proposed.

일례로, 이러한 종래기술의 자전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부에 위치되는 차단봉에 고정되는 상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에 일단이 고정되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자전거 바퀴의 앞부분이 삽입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타단에 중앙부분이 연결되고 자전거 바퀴의 하측부분이 삽입되는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의 끝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펜스를 이루는 복수개의 차단봉 중 하부에 위치되는 차단봉에 고정되는 하부클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As an example, schematically looking at the prior art bicycle holder, the upper clamp is fixed to the blocking rod located at the upper part; a vertical suppor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clamp, install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ront part of a bicycle wheel is inserted; a horizontal support having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a bicycle wheel is inserted; It consists of a lower clamp fixed to the blocking rod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rods constituting the fence as well as th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eing fix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 바퀴의 앞부분이 삽입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타단에 중앙부분이 연결되고 자전거 바퀴의 하측부분이 삽입되는 가로지지대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써, 단순히 자전거의 타이어가 상기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에 삽입되어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거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즉, 타이어를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타이어를 축 회전시켜가면서 타이어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전혀 갖추어지지 않고 단순히 타이어를 취부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타이어 점검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자전거를 들어 올려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However, such a prior art bicycle holder is a structure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into which the front part of a bicycle wheel is inserted, a horizontal support in which a central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lower part of the bicycle wheel is inserted, and the like, Since the tire of the bicycle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and mount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at is, the function of checking the condition of the tire while rotating the tire while floating in the air Since it is not equipped at all and simply attaches a tire, it is inconvenient for a worker to lift a bicycle to check a tire.

또한, 고가의 자전거의 경우 자전거 거치대가 자전거의 프레임 등을 떠받쳐 거치하게 되면서 프레임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입힐 우려도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pensive bicycles, as the bicycle holder supports and supports the frame of the bicycle, there is a risk of damage such as scratches on the fr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36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0336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받침대를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 특히 자전거의 안장을 떠받친 채 자전거의 타이어가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있는 상태에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타이어에 대한 점검은 물론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도 있게 되는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by enabling the axle rotation in a state where the tire of the bicycle is floating upward at a certain height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particularly the saddle of the bicycle, through the frame support, the bicycl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icycle holder that can stably mount a bicycle as well as inspect tires.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하단부가 지면에 맞닿고 상단부가 상향 연장되며 서로 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사이로 자전거의 타이어가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메인폴대;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을 떠받치는 프레임받침대; 및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대는 일측에 보조지지대가 더 마련되되, 상기 보조지지대는 일단부가 상기 하단지지대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지면에 밀착되며,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메인폴대의 하단부에서 일정높이 상향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하단지지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지지대는 상기 메인폴대가 상기 자전거의 전방측을 향해 비스듬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폴대를 떠받치는 구조로 되며, 상기 프레임받침대는 상기 자전거의 뒤바퀴(타이어)가 지면에서 일정높이 상방으로 이격되어 떠있도록 하게끔 상기 안장 후단 저면을 떠받치기 위해 중앙부가 편평하고 양단부가 각각 상향 돌출되어 상기 안장 후단 양측부를 감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upper end extends upward, and a pair of bicycle tires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each other main pole of; a frame support supporting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And a lower support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poles; including, wherein the lower support has an auxiliary support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he lower support is connected to a portion upwardly spac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pol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auxiliary support is connected in a state inclined upward toward the lower support in a state where it is spac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ground, The auxiliary support has a structure supporting the main pole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ol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icycle, and the frame support has a rear wheel (tire) of the bicycle up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In order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addle so as to float a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art is flat and both ends protrude upward to cover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add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 상에 이들 메인폴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타이어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되,
상기 타이어고정수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장공이 각각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사이에 스톱퍼가 마련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자전거의 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r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r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poles on the pair of main poles is further provided,
In the tire fixing means, long holes extending vertically and long ar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main poles, and a stopper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main poles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s, so that the tire of the bicycle is lifted along the long hole. It may be that it is meant to be fix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 외측을 감싸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자전거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가이드레일 및 슬라이더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폴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나사봉; 및 상기 각각의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어 조이고 풀면서 상기 메인폴대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a guide rai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tire in the width direction; a slider disposed inside the guide rail and sl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pokes of the tire; A pair of threaded rod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rail and the slider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pole through the long hole; It may include; and a butterfly nut that is screwed to each of the threaded rods to be fixed and released from the main pole while being tightened and loose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자전거살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및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rail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r slides toward the spoke. A spring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elastically slide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는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향해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main poles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lower end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upper ends ar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ame of the bicyc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대와 보조지지대의 지면과 맞닿는 단부에 상기 지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컵이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iction cups for generating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may be provided at ends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in contact with the ground,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의 상단부 일측 사이에 이들 메인폴대의 상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상단지지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support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main poles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main po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거치대는, 프레임받침대를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 특히 자전거의 안장을 떠받친 채 자전거의 타이어가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있는 상태에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타이어에 대한 점검은 물론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도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타이어 점검 작업이 수월하게 되면서 작업자에게 편리함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cy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in particular, the saddle of the bicycle through the frame support, and enables the rotation of the bicycle tire in a state in which the bicycle tire is floating upward at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bicycle tire As well as inspection of the bicycle, it is also possible to stably mount the bicycle, thereby improving product competitiveness and facilitating tire inspection work,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and reliability to work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가 뒤바퀴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가 앞바퀴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wheel is mounted on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wheel is mounted on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main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e example of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한 쌍의 메인폴대(10)와, 프레임받침대(20) 및 하단지지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main poles 10, a frame support 20 and a lower support 30.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맞닿고 상단부가 상향 연장되며 서로 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자전거의 타이어(뒷바퀴, 앞바퀴)(3,5)가 위치되도록 하는 폴대 구조로써, 그 중앙부에서 각각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하단부가 넓게 되고 상단부가 좁은 한 쌍의 절곡 폴대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폴대(10)는 상하로 그 길이가 연장되거나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The pair of main poles 10 have a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upper end extending upward,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each other so that the bicycle tires (rear wheel, front wheel) (3,5) are positioned therebetween As a pole structure, each is b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its center, so that the lower end is wide and the upper end is narrow. It has a pair of bending pole structures. Although not shown, the main pole 10 may extend or decrease in length vertically.

상기 프레임받침대(20)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을 떠받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패인 블록 구조로 되어 있다.The frame support 20 has a block structure with a central portion concave to support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특히, 상기 프레임받침대(20)는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된 안장(7)을 떠받친상태로 자전거의 뒷바퀴(3)가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자전거 핸들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있는 스템(9)을 떠받친 상태로 자전거의 앞바퀴(5)가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rame support 20 may allow the rear wheel 3 of a bicycl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10 while supporting the saddle 7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or a bicycle The front wheel 5 of the bicycl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10 while supporting the stem 9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handlebar.

그리고, 상기 스템(9)을 보다 안정적으로 떠받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받침대(20)의 상면 중앙부에 사각막대 구조를 한 상기 스템(9)의 형상에 대응해서 별도의 사각형 오목홈(미도시)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the stem 9 more stably, a separate rectangular concave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em 9 having a square bar structure. Maybe.

상기 하단지지대(30)는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 하단부를 연결하는 길다란 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The lower support 30 has a long bar structur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poles 10.

이에 더해, 상기 하단지지대(30)는 일측에 보조지지대(40)가 더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is, an auxiliary support 4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30.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대(40)는 일단부가 상기 하단지지대(3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지면에 밀착되는 장방형 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auxiliary support 40 has a rectangular rod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30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는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안장, 스템)을 향해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main poles 10 ar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is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ame (saddle, stem) of the bicycle.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단지지대(30)는 상기 메인폴대(10)의 하단부에서 일정높이 상향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고, 상기 보조지지대(40)는 상기 메인폴대(10)가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폴대(10)를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pport 30 is connected to a portion spaced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pole 10 and is spac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ground, and the auxiliary support 40 is the main pole 10 It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in an upwardly inclined direction to stably support the main pole 10.

그리고, 상기 하단지지대(30)와 보조지지대(40)의 지면과 맞닿는 단부에는 상기 지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거치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사각컵 형상의 마찰컵(5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마찰컵(50)은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friction cups 50 having a square cup shape are provided at ends of the lower support 30 and the auxiliary support 40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event the holder from slipping by generating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The friction cup 50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의 상단부 일측 사이에는 이들 메인폴대(10)의 상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봉 형상의 상단지지대(6)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poles 10, a rod-shaped upper end support 6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se main poles 10 is provided.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an example of us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한 쌍의 메인폴대(10)의 하단부 사이에 하단지지대(30)를 연결하고 나서 다시 이 하단지지대(30)의 중앙부에 보조지지대(40)를 연결하여 메인폴대(10)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나서 각각의 단부에 마찰캡(50)을 장착하고, 상기 메인폴대(10)의 상단부에 프레임받침대(20) 및 상단지지대(60)를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대한 조립을 완성한다. First, the lower support 30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poles 10, and then the auxiliary support 4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pport 3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main pole 10. After doing so, the friction cap 50 is mounted on each end, and the frame support 20 and the upper support 6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ole 10, so that the bicycle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to complete the assembly of

이렇게 완성된 자전거 거치대를 통해 예를 들어, 자전거의 뒷바퀴(3)를 점검 또는 거치하고자 할 경우, 프레임받침대(20)를 통해 안장(7)의 저면을 떠받친 상태에서 뒷바퀴(3)가 한 쌍의 메인폴대(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뒷바퀴(3)에 대한 거치를 완성하게 된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check or mount the rear wheel (3) of a bicycle through the bicycle holder completed in this way, a pair of rear wheels (3) are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7) is supported through the frame support (20). Mounting on the rear wheel (3) is completed by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main poles (10) of the.

이때, 상기 뒷바퀴(3)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축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써 작업자는 뒷바퀴(3)를 공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ar wheel 3 is in a rotatable state while floating in the air, and the operator can perform a desired inspection while idling the rear wheel 3.

그리고, 자전거의 앞바퀴(5)를 점검 또는 거치하고자 할 경우, 프레임받침대(20)를 통해 스템(9)의 저면을 떠받친 상태에서 앞바퀴(5)가 한 쌍의 메인폴대(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앞바퀴(5)에 대한 거치를 완성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checking or mounting the front wheel (5) of the bicycle, the front wheel (5)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10) whi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tem (9) through the frame support (20). By doing so, the mounting on the front wheel 5 is completed.

이때도, 상기 앞바퀴(5)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축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써 작업자는 앞바퀴(5)를 공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Even at this time, the front wheel 5 is in a rotatable state while floating in the air, and the operator can perform a desired inspection while idling the front wheel 5.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살펴보면, 여기서는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10)의 사이에 이들 메인폴대(1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타이어(3,5)를 고정시키기 위한 타이어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5 and 6, looking at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i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10 between these main poles 10 A tire fixing means for fixing (3, 5) is provid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타이어고정수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10)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장공(11)이 각각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10)의 사이에 스톱퍼(70)가 마련되어 상기 장공(11)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자전거의 타이어(3,5)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ire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11 extending vertically on one side of each of the main poles 10, and a stopper between each of the main poles 10 corresponding thereto 70 is provided to fix the tires 3 and 5 of the bicycle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 hole 11.

여기서, 상기 스톱퍼(70)는, 상기 타이어(3,5)의 폭방향 외측을 감싸는 원호형 부분 절개 관체 구조로써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가이드레일(71)과, 상기 가이드레일(7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3,5)의 자전거살(3a,5a)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원호형 막대 구조의 슬라이더(71)와, 상기 가이드레일(71) 및 슬라이더(72)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11)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폴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나사봉(73,74) 및 상기 각각의 나사봉(73,74)에 나사 체결되어 조이고 풀면서 상기 메인폴대(1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나비너트(75,76)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stopper 70 is an arc-shaped partially cut tube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tires 3 and 5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guide rail 71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nd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71 A slider 71 having an arc-shaped bar structure that is disposed in the space and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spokes 3a and 5a of the tires 3 and 5, and ends of one end of the guide rail 71 and the slider 72 Connected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long hole 11 and is screwed into a pair of threaded rods 73 and 74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pole 10 and each of the threaded rods 73 and 74,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wing nuts 75 and 76 that are fixed and released from the main pole 10 while being loosened.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는 상기 자전거살(3a,5a)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72)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및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77)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lider 7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rail 71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r 72 slides toward the spokes 3a and 5a. ) is provided with a spring 77 that elastically slide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an example of us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한 쌍의 메인폴대(10) 사이에 타이어(3,5)가 위치되도록 자전거를 거치한 후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irst, after the bicycle is mounted so that the tires 3 and 5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main poles 10, inspection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그리고, 점검이 완료되어 자전거를 거치 상태로 두고자 할 경우 별도로 타이어(3,5)가 공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 스톱퍼(70)를 사용할 수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spection is completed and the bicycle is to be placed in a stationary state, the tires 3 and 5 may be separately fixed so that they do not run idle. At this time, the stopper 70 can be used.

즉, 자전거의 타이어(3,5)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메인폴대(10)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나비너트(75,76)를 풀어 스톱퍼(70)가 상하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tires 3 and 5 of the bicycle are stopped, the user loosens the wing nuts 75 and 76 respectively fixed to the main pole 10 so that the stopper 70 can move up and down.

그리고, 타이어(3,5) 방향으로 스톱퍼(70)를 하강시켜 가이드레일(71)의 내주부가 타이어(3,5)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각각의 나사봉(73,74)을 장공(11)을 따라 하향 이동시킨다.Then, by lowering the stopper 70 in the direction of the tires 3 and 5, the screw rods 73 and 74 are inserted into long holes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ail 71 can wrap the outer surfaces of the tires 3 and 5. Move down along (11).

그런 후, 상기 가이드레일(71)과 연결되어 있는 나사봉(73)의 나비너트(75)를 체결하여 가이드레일(71)을 메인폴대(10)의 일측에 고정시킨 다음, 타측의 나사봉(74)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가이드레일(71) 내부에 배치되어 있던 슬라이더(72)가 외부로 인출되는 동시에 원호 구조에 따라 타이어(3,5)의 외측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자전거살(3a,5a) 사이로 통과되면서 타이어(3,5)가 공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 나비너트(76)를 체결하여 슬라이더(7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n, the guide rail 7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pole 10 by fastening the wing nut 75 of the screw rod 73 connected to the guide rail 71, and then the screw rod on the other side ( When 74) is pulled downward, the slider 72 disposed inside the guide rail 71 is drawn out and at the same time moves in the direction of wrapping the outer parts of the tires 3 and 5 according to the arc structure, so that the spokes ( As it passes between 3a and 5a, idle rotation of the tires 3 and 5 can be suppressed, and finally, the slider 72 can be fixed by fastening the wing nut 76.

이렇게 하여, 자전거 타이어(3,5)가 불필요하게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unnecessary idling of the bicycle tires 3 and 5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거치대는, 프레임받침대를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 특히 자전거의 안장을 떠받친 채 자전거의 타이어가 상방으로 일정높이 떠있는 상태에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타이어에 대한 점검은 물론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도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타이어 점검 작업이 수월하게 되면서 작업자에게 편리함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bicycl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in particular, the saddle of the bicycle through the frame support, and enables the rotation of the bicycle tire in a state in which the bicycle tire is floating upward at a certain height, thereby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bicycle tire In addition to inspec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mount the bicycle, thereby improving product competitiveness and facilitating tire inspection work, providing convenience and reliability to worker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발명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modified examples in which these embodiments are simply combined and applied with conventional known technologies All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regarded as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뒤바퀴(타이어) 3a : 자전거살
5 : 앞바퀴(타이어) 5a : 자전거살
7 : 안장 9 : 스템
10 : 메인폴대 11 : 장공
20 : 프레임받침대 30 : 하단지지대
40 : 보조지지대 50 : 마찰컵
60 : 상단지지대 70 : 스톱퍼
71 : 가이드레일 72 : 슬라이더
73, 74 : 나사봉 75, 76 : 나비너트
77 : 스프링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rear wheel (tire) 3a: spokes
5: front wheel (tire) 5a: spokes
7: saddle 9: stem
10: main pole 11: long hole
20: frame support 30: lower support
40: auxiliary support 50: friction cup
60: upper support 70: stopper
71: guide rail 72: slider
73, 74: screw rod 75, 76: wing nut
77: Spring

Claims (7)

하단부가 지면에 맞닿고 상단부가 상향 연장되며 서로 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사이로 자전거의 타이어가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메인폴대;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을 떠받치는 프레임받침대; 및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단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대는 일측에 보조지지대가 더 마련되되,
상기 보조지지대는 일단부가 상기 하단지지대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지면에 밀착되며,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메인폴대의 하단부에서 일정높이 상향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하단지지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지지대는 상기 메인폴대가 상기 자전거의 전방측을 향해 비스듬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폴대를 떠받치는 구조로 되며,
상기 프레임받침대는 상기 자전거의 뒤바퀴(타이어)가 지면에서 일정높이 상방으로 이격되어 떠있도록 하게끔 안장 후단 저면을 떠받치기 위해 중앙부가 편평하고 양단부가 각각 상향 돌출되어 상기 안장 후단 양측부를 감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 pair of main poles that have lower ends in contact with the ground, upper ends extending upward, and positioning bicycle tir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each other;
a frame support supporting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bicycle; and
a lower support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poles;
including,
The lower suppor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on one side,
The auxiliary support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other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other side,
The lower support is connected to a portion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pole, and the auxiliary support is connected in a state inclined upward toward the lower support in a state where it is spac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ground,
The auxiliary support has a structure supporting the main pole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ol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icycle,
The frame support has a flat central portion and both ends protrude upwar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saddle so that the rear wheel (tire) of the bicycl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certain height and floats upward to cover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saddle. Featured bike r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 상에 이들 메인폴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타이어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되,
상기 타이어고정수단은,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장공이 각각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메인폴대의 사이에 스톱퍼가 마련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자전거의 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tir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re located between the main poles on the pair of main poles is further provided,
In the tire fixing means, long holes extending vertically and long are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main poles, and a stopper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main poles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s, so that the tire of the bicycle is lifted along the long hole. A bicycl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 외측을 감싸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의 자전거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가이드레일 및 슬라이더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폴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나사봉; 및
상기 각각의 나사봉에 나사 체결되어 조이고 풀면서 상기 메인폴대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나비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2,
The stopper,
a guide rai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tire in the width direction;
a slider disposed inside the guide rail and sl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pokes of the tire;
A pair of threaded rod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rail and the slider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pole through the long hole; and
A butterfly nut that is screwed to each of the threaded rods and is fixed and released from the main pole while tightening and loosening;
A bicycle cradl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자전거살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및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3,
The slid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for elastically sliding and returning the slide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rail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r slides toward the spoke. Featured bike rack.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는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향해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air of main poles are bicycle hold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is disposed in a stat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ame of the bicyc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대와 보조지지대의 지면과 맞닿는 단부에 상기 지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컵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bicyc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riction cups for generating a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폴대의 상단부 일측 사이에 이들 메인폴대의 상단부를 연결 지지하는 상단지지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bicycl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main pole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poles.




KR1020210110710A 2021-08-23 2021-08-23 Bicycle rack KR102575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10A KR102575830B1 (en) 2021-08-23 2021-08-23 Bicycle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10A KR102575830B1 (en) 2021-08-23 2021-08-23 Bicycle r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879A KR20230028879A (en) 2023-03-03
KR102575830B1 true KR102575830B1 (en) 2023-09-06

Family

ID=8551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710A KR102575830B1 (en) 2021-08-23 2021-08-23 Bicycle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8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74B2 (en) * 1995-01-09 2001-06-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Module fault concealment method
KR200453281Y1 (en) 2010-10-01 2011-04-20 박환기 Bicycle storage box
JP2016047694A (en) * 2014-08-28 2016-04-07 小林 誠一郎 Bicycle stand
KR101901345B1 (en) * 2017-09-18 2018-09-21 주식회사 스포허브 Bicycle suppor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365B1 (en) 2011-10-18 2012-01-05 이상호 Supporter for bicycle
JP3177674U (en) * 2012-02-20 2012-08-16 滋 笠原 Bicycle parking stand type 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74B2 (en) * 1995-01-09 2001-06-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Module fault concealment method
KR200453281Y1 (en) 2010-10-01 2011-04-20 박환기 Bicycle storage box
JP2016047694A (en) * 2014-08-28 2016-04-07 小林 誠一郎 Bicycle stand
KR101901345B1 (en) * 2017-09-18 2018-09-21 주식회사 스포허브 Bicycle sup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879A (en)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293B2 (en) Car top bicycle frame for retaining at least one bicycle transversally and obliquely
KR102575830B1 (en) Bicycle rack
CN112874491A (en) Clamping assembly type new energy automobile fixing device
KR100891203B1 (en) The fence with bike stand
FI125606B (en) Bicycle racks
EP3063055A1 (en) Bicycle stand and method of use
CN205604104U (en) Indicating device that changes its course of town road construction usefulness
CN201347151Y (en) Parking frame for bicycle
US8689699B2 (en) Elevated bicycle-based transportation system, connection apparatus for bicycle and modified bicycle
KR20210026673A (en) The bike rack combine with multi-safeguard for protect bicycle wheel
CN103568978B (en) Carrying luggage frame for bicycle
JP5159926B2 (en) Parking block
US20210179215A1 (en) Road bike stand
KR101546682B1 (en) Standing type bike holder.
CN206437101U (en) A kind of bicycle fixes anti-skidding heel brace
CN210658101U (en) Traffic management prompting device
CN220076541U (en) Motorcycle support foot rest
KR101890217B1 (en) Bicycle parking apparatus with locking device
CN202298661U (en) Well lid locking device
US20090051134A1 (en) Support stand for an inline two wheeled vehicle
CN212103754U (en) A safety warning device for municipal construction
CN211000754U (en) Combined automobile steel ring
CN209776629U (en) Scooter with supporting structure
CN216667156U (en) Highway engineering road surface quality detection auxiliary stay device
CN216467161U (en) Split combined type high strength automobile wheel h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