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53B1 -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53B1
KR102575753B1 KR1020210075150A KR20210075150A KR102575753B1 KR 102575753 B1 KR102575753 B1 KR 102575753B1 KR 1020210075150 A KR1020210075150 A KR 1020210075150A KR 20210075150 A KR20210075150 A KR 20210075150A KR 102575753 B1 KR102575753 B1 KR 10257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layers
melting point
films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430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21007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냉제가 수용되는 파우치가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진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져서 폐 아이스팩의 파우치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환경친화이며, 파우치 테두리의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위가 우글쭈글해지지 않고 반반하게 실링되어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친환경 아이스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100) 내부에 보냉제(200)가 수용된 아이스팩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0)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가 실링된 것으로서,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12,122)과, 상기 중간층(112,122)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일측에 적층되어 상기 하우치(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층(114,124)과, 상기 중간층(114,124) 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타측에 적층되어 상기 파우치(1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층(114,1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100)는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내층(114,124) 둘레부가 융착되어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이스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ice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본 발명은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 아이스팩의 파우치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환경친화이며, 파우치의 테두리의 실링부위가 우글쭈글해지지 않고 반반하게 실링되어 제품불량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친환경 아이스팩 및 이러한 아이스팩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팩은 파우치 내부에 젤상태의 고흡수성 폴리머 또는 물이 보냉제로 수용되어 이루어져서, 식품이나 식재료 등을 변질되지 않도록 차가운 상태로 보관하거나 유통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아이스팩에서 파우치는 흔히, 나일론필름과 PE필름을 접착제로 합지하여 제조된 다층시트로 이루어지는데, 아이스팩제조시에는 파우치를 형성하는 2장의다층시트를 상하로 배치하고 다층시트의 둘레부 3면을 먼저 열융착시켜서 상부가 개구된 파우치를 만들고, 파우치 내부에 보냉제를 투입한 후, 파우치의 개구된 나머지 1면을 열융착시켜 아이스팩을 제조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아이스팩 파우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이종의 합성수지 필름이 적층된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되는 아이스팩의 파우치는 재생이 곤란하다.
한편, 운송업과 더불어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인해 신선식품이나 냉동, 냉장식품을 온라인으로 구입하는 경우에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배달음식을 주문하는 경우도 증가함에 따라 아이스팩의 사용량이 어느 때 보다도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되는 아이스팩의 양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팩의 파우치는 재생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냥 그대로 폐기되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아이스팩 제조시에 파우치의 형성하는 다층시트의 둘레부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다층시트의 둘레부가 용융되어 융착되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처리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다층시트의 둘레부가 반반하지 못하고 우글쭈글해져서 제품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84409호(2018. 07. 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2582호(2015. 07. 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3397호(2021. 02.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보냉제가 수용되는 파우치가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진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져서 폐 아이스팩의 파우치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환경친화이며, 파우치 테두리의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위가 우글쭈글해지지 않고 반반하게 실링되어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친환경 아이스팩 및 이러한 아이스팩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파우치(100) 내부에 보냉제(200)가 수용된 아이스팩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0)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가 실링된 것으로서,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12,122)과, 상기 중간층(112,122)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일측에 적층되어 상기 파우치(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층(114,124)과, 상기 중간층(112,122) 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타측에 적층되어 상기 파우치(1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층(116,1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100)는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내층(114,124) 둘레부가 융착되어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이스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층(114,124)은 융점이 105~115℃를 가지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112,122)은 융점이 118~125℃를 가지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116,126)은 융점이 130~134℃를 가지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블랜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상기 내층(114,124),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이 공압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12,122)과, 상기 중간층(112,122)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일측에 적층되는 내층(114,124)과, 상기 중간층(114,124) 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타측에 적층되는 외층(114,126)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제1, 2필름(110,120)을 상기 내층(114,124)이 상호 내향되어 접하도록 상하로 배치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상하로 적층된 제1, 2필름(110,120)의 좌우 양측 둘레부 및 하단 둘레부를 실링하여 상부가 개구된 파우치(100)를 만드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만든 파우치(100) 내부에 보냉제(200)를 주입하는 과정; 및 상기 과정에서 보냉제(200)가 주입된 파우치(100)의 개구된 상측 둘레부를 실링하여 파우치(200)를 밀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 개구된 파우치(100)를 만드는 과정 및 상기 파우치(200)를 밀봉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를 상기 중간층(112,122)의 융점 보다 낮고 상기 내층(114,124)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 및 가압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내층(114,124)만 열융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파우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중필름으로 이루어져서 파우치를 형성하는 제1, 2필름의 각 층들이 모두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 아이스팩의 파우치(100)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아이스팩의 파우치가 이종의 수지로 이루어져서 재생이 곤란한문제점이 해결되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아이스팩에 비해 환경친화적이고, 자원재활용성도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파우치(100)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층(114,124)이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에 비해 낮은 융점을 가지기 때문에, 아이스팩 제조시에,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를 실링하는 과정에서 내층(114,124)만 열융착되도록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2필름(110,120) 둘레부의 내층(114,124)만 열융착되어 파우치가 실링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링과정에서 제1, 2필름(110,120)의 중간층(122,124)과 외층(116,126)은 열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파우치(100)의 실링된 둘레부가 우글쭈글해져서 제품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며,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0)와, 파우치(100)에 수용된 보냉제(200)를 포함한다.
상기 보냉제(200)는 고흡수성 수지 젤로 이루어지거나 물로 이루어지는데, 친화경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상기 보냉제(200)는 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우치(100)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가 실링되어, 내부에 보냉제(2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각각 중간층(112,122)과, 중간층(124,122)의 일측에 적층되어 파우치(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층(114,124)과, 중간층(112,122)의 타측에 적층되어 파우치(1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층(116,126)으로 구성된 3중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층(112,122), 내층(114,124), 외층(116,126)은 모두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내층(114,124)은 중간층(112,122)에 비해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층(116,126)은 중간층(112,122)에 비해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0)는 이러한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가 실링되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팩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2필름(110,120)을 내층(114,124)이 상호 내향되어 접하도록 제1, 2필름(110,120)을 상하로 배치한다.
그리고 제1, 2필름(110,120)의 좌우 둘레부와 하측 둘레부를 상기 내층의 융점수준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상부가 개방된 파우치(100)를 만든다. 한편,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의 융점이 내층(114,124)의 융점보다 높기 때문에 중간층(112,124)과 외층(116,126)은 열변형되지 않고, 내층(114, 124)만 열융착되어 제1, 2필름(110,120)의 좌우 둘레부와 하단 둘레부가 실링된다.
이어서, 상부가 개방된 파우치(100)의 내부에 보냉제(200)를 주입하고, 파우치의 상단 둘레부를 상기 내층(114, 124)의 융점 수준의 온도로 가열 및 가압하여 파우치(100)의 상단 둘레부를 실링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은 열변형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내층(114,124)만 열융착되어 파우치(100)의 상단 둘레부가 실링되어 아이스팩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를 실링하는 과정에서 내층(114,124)만 열융착되도록 중간층(112,122)과 외층(116,126)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를 열처리함에 따라 중간층(112,122)과 외층(116,126)은 열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파우치를 실링하는 과정에서 파우치의 실링된 둘레부가 우글쭈글해지지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114,124)과 외층(116,126)은 융점이 15℃ 이상 차이를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를 실링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외층(116,126)이 변형되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114,124)은 융점이 105~115℃, 중간층(112,122)은 융점이 118~125℃, 외층(116,126)은 융점이 130~134℃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한편, 파우치(100)는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잘 찢어지지 않도록 소정수준의 강도가 요구되며, 필요에 따라 외측면에 로고 등을 인쇄하여야 하므로 파우치의 외측면이 우수한 인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파우치(100)가 이러한 물성을 가지도록 상기 내층(114,124)과 중간층(112,122)은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강도도 우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지는데, 내층(114,124)을 중간층(112,122) 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내층(114,124)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되고, 중간층(112,122)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층(116,126)은 파우치(100)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층으로서, 유연성과 함께 적절한 수준의 강도가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고, 파우치(100)의 밀봉성을 위해 낮은 투습도도 요구된다. 따라서 외층(116,126)은 이러한 물성을 만족시키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블랜딩하여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의 투습도를 가지므로 외층(116,126)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블랭딩되면 투습도가 낮은 외층(116,126)이 형성된다.
상기 외층(116,126)의 유연성, 강도, 투습도 등의 다양한 물성을 고려할 때, 외층(116,126)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6~7 : 3~4 정도의 중량비로 블랜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내층(114,124),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을 각각 10~30㎛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공압출하여 제조된다.
이상에서는 제1, 2필름(110,120)이 3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외층(116, 126) 외측에 층이 추가되어 제1, 2필름(110,120)이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추가되는 층들은 외층(116,126) 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파우치(100)를 형성하는 제1, 2필름(110,120)의 내층(114,124),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이 모두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 아이스팩의 파우치(100)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2필름(110,120)의 파우치(100)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층(114,124)이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에 비해 낮은 융점을 가지기 때문에, 아이스팩의 제조시,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를 내층(114,124)만 열융착되도록 온도를 조절하여 실링함으로써, 중간층(112,122)과 외층(116,126)은 열변형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아이스팩은 파우치(100)의 실링된 둘레부가 우글쭈글해지지 않고 둘레부가 반반하게 실링되므로 제품불량이 감소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제1, 2필름(110,120)을 열융착시켜 실링할 수 있으므로 저온실링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Claims (4)

  1. 파우치(100) 내부에 보냉제(200)가 수용된 아이스팩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0)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가 실링된 것으로서,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12,122)과,
    상기 중간층(112,122)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일측에 적층되어 상기 파우치(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층(114,124)과,
    상기 중간층(112,122) 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타측에 적층되어 상기 파우치(1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층(116,1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100)는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내층(114,124) 둘레부가 융착되어 실링되고,
    상기 내층(114,124)은 융점이 105~115℃를 가지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112,122)은 융점이 118~125℃를 가지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116,126)은 융점이 130~134℃를 가지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블랜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상기 내층(114,124),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이 공압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이스팩.
  2. 삭제
  3. 삭제
  4.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112,122)과, 상기 중간층(112,122)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일측에 적층되는 내층(114,124)과, 상기 중간층(112,122) 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간층(112,122)의 타측에 적층되는 외층(116,126)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제1, 2필름(110,120)을 상기 내층(114,124)이 상호 내향되어 접하도록 상하로 배치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상하로 적층된 제1, 2필름(110,120)의 좌우 양측 둘레부 및 하단 둘레부를 실링하여 상부가 개구된 파우치(100)를 만드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만든 파우치(100) 내부에 보냉제(200)를 주입하는 과정; 및
    상기 과정에서 보냉제(200)가 주입된 파우치(100)의 개구된 상단 둘레부를 실링하여 파우치(200)를 밀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 개구된 파우치(100)를 만드는 과정 및 상기 파우치(200)를 밀봉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둘레부를 상기 중간층(112,122)의 융점 보다 낮고 상기 내층(114,124)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 및 가압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1, 2필름(110,120)의 내층(114,124)만 열융착되도록 하며,
    상기 내층(114,124)은 융점이 105~115℃를 가지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112,122)은 융점이 118~125℃를 가지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116,126)은 융점이 130~134℃를 가지도록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블랜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2필름(110,120)은 상기 내층(114,124), 중간층(112,122) 및 외층(116,126)이 공압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파우치 제조방법.
KR1020210075150A 2021-06-10 2021-06-10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50A KR102575753B1 (ko) 2021-06-10 2021-06-10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50A KR102575753B1 (ko) 2021-06-10 2021-06-10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30A KR20220166430A (ko) 2022-12-19
KR102575753B1 true KR102575753B1 (ko) 2023-09-06

Family

ID=8453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150A KR102575753B1 (ko) 2021-06-10 2021-06-10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372B1 (ko) *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반가공형태의 아이스팩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가공형태의 아이스팩
KR102261130B1 (ko) * 2020-12-24 2021-06-07 주식회사 애니켐 초내충격성 친환경 아이스팩 포장재용 폴리에틸렌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스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909A (en) * 1975-08-11 1977-02-17 Sumitomo Chem Co Ltd Composition of carbon containing metal oxide and iron-base alloy
CN103228441B (zh) * 2010-06-28 2015-04-08 陶氏巴西股份有限公司 用于自立袋的单一聚合物膜结构体
JP5383854B2 (ja) 2012-04-06 2014-01-08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KR101884409B1 (ko)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기능성 아이스팩
KR102213397B1 (ko) 2019-09-24 2021-02-08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생분해성 필름을 이용한 아이스팩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372B1 (ko) *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반가공형태의 아이스팩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가공형태의 아이스팩
KR102261130B1 (ko) * 2020-12-24 2021-06-07 주식회사 애니켐 초내충격성 친환경 아이스팩 포장재용 폴리에틸렌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스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30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515B1 (ko) 시이트형태 또는 웨브형태의 가요한 포장지와 포장지의 제조방법 및 포장지로부터 제조되는 포장용기
KR940009014B1 (ko) 시이트또는웨브형의연질포장재료
TWI543912B (zh) 附有切割帶之夾鏈帶以及具備附有切割帶之夾鏈帶的包裝袋
EP1973733B1 (en) Multilayer laminated film
KR102575753B1 (ko)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US5985388A (en) Multi-layer transparent sealant film for laminating comprising high density polyethylene layer and packaging flim and pouch using the same
JPS58166013A (ja) 積層材料の接合方法およびケーシング
KR101060262B1 (ko) 제품포장용 다층 올레핀계 열수축필름
JP4627038B2 (ja) 無菌充填用紙容器内縦シールテープ及び縦シールテープ付き無菌充填用紙容器
KR101699128B1 (ko) 시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153359A (ja) 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供される積層ラベル
CN107592837B (zh) 利用美观的侧面熔接部装饰的管壳
KR100973441B1 (ko) 파우치 제조용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7075424B2 (ja) 充填食品用紙容器
KR101647812B1 (ko) 열전도 감소형 정전기 방지 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29828B (zh) 真空隔热件以及隔热箱
KR102442648B1 (ko) 친환경 보냉/보온 종이 시트 및 이를 가공하여 제조된 보냉/보온 종이 파우치
JP7212992B2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KR20240028767A (ko) 누액이 방지되고 재활용이 가능한 단일소재를 활용한 파우치팩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파우치팩
KR102574372B1 (ko) 공압출된 친환경 발포 다층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아이스팩
JP6134919B2 (ja) 真空断熱材
JP2022054127A (ja) 多層フイルム、食品包装用シート、および食品容器、ならびに容器製造方法
US20090041959A1 (en) Insulating Label Having Paper Core And Cellulose Acetate Outer Layers
JPH0952299A (ja) 紙容器
KR101364969B1 (ko) Lcd모듈 포장용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