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138B1 -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138B1
KR102575138B1 KR1020200179635A KR20200179635A KR102575138B1 KR 102575138 B1 KR102575138 B1 KR 102575138B1 KR 1020200179635 A KR1020200179635 A KR 1020200179635A KR 20200179635 A KR20200179635 A KR 20200179635A KR 102575138 B1 KR102575138 B1 KR 10257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weight
parts
flight
p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769A (ko
Inventor
이진혁
Original Assignee
이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혁 filed Critical 이진혁
Priority to KR102020017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1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8Holders or dispensers for pressurized insecticide, e.g. pressurized vessels, c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cetophenone;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8Solanaceae [Potato family], e.g. nightshade, tomato, tobacco or chilli pe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propagation of electric curr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3504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G01N2333/43552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는,
해충의 비행 시 발생되는 음성주파수를 해충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해충의 비행으로 발생된 비행주파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비행주파수와 음성주파수를 비교 판단하여 해충 존재 여부를 탐지하는 탐지부를 구비한 주파수 탐지모듈; 해충의 탐지 시 사용자에게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Smart Vermin Sensing Device Based on Frequency Detecting}
본 발명은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감지 장치가 위치한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해충이 비행에 따라 발생시키는 주파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충의 주파수와 비교 처리하여 이를 통해 해충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해충을 박멸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충(害蟲)은 인간의 생활에 해를 끼치는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의 총칭한 말이다. 이, 빈대, 모기와 같은 흡혈성 곤충과 독나방 등은 인체에 해가 되어 독충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한, 바퀴나 좀, 파리 등은 간접적인 해를 끼치는 대표적인 해충에 속한다.
여기서 인간의 생활에 해를 끼치는 대표적인 해충으로서 모기의 예를 들 수가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10만명 이상이 모기가 옮기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지카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어 사망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모기로 인한 감염 질환을 앓고 있다.
이같이 여러 가지 법정 전염병의 매개체인 모기에 대비하기 위해 사람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모기 퇴치에 이용하고 있다. 예컨대 연기와 매운 향이 나는 모닥불을 지피거나 모기가 싫어하는 향을 가지는 물약을 몸에 발라 모기에게 물리지 않게 하거나, 휘발성 분무제에 모기약을 섞어서 뿌려주는 방법 등이 강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기 중에 분사하기 때문에 눈이나 코, 입에 유독한 분사 물질이 들어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모기약을 함침시킨 매트를 일정 형태로 휘산시키거나 액체 모기향을 전기 훈증기로 가열하여 비산시켜 주는 모기 퇴치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 역시 모기 퇴치 매트용 용기 및 전기기구가 필요하여 그 활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이와 같은 해충 퇴치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020809호에 ‘모기 주파수 감지에 의한 자동 모기 퇴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모기의 유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한 모기 주파수 감지에 의한 자동 모기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칭부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일정한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부를 이용하여 모기향을 비산시켜 실내의 모기를 퇴치하도록 하는 모기 퇴치 장치에 있어서, 모기의 날개짓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그 레벨값을 출력하는 주파수 감지부, 및 주파수 감지부로부터 일정한 주파수 대역의 레벨값이 입력되면 스위칭부를 온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모기의 날개짓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감지에 있어 250 내지 600KHz라는 대역 내의 주파수를 모두 감지하여 모기를 퇴치하는 단순 구성으로, 주파수 감지에 따른 퇴치 기능에 구현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미비한 측면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충 별로 비행 시 발생되는 주파수를 각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처리하고, 감지영역에 위치한 해충의 비행에 따른 주파수를 감지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처리하여 이를 통해 해충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해충을 박멸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해충 감지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충 별로 비행 시 발생되는 주파수를 각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처리하고, 감지영역에 위치한 해충의 비행에 따른 주파수를 감지한 다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 처리하여 이를 통해 해충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해충을 박멸시킬 수 있는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로 하여금 스마트폰과의 연동 구성을 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해충 감지 알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 장치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넓은 각도의 감지영역에 대해 해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는, 해충의 비행 시 발생되는 음성주파수를 해충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해충의 비행으로 발생된 비행주파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비행주파수와 음성주파수를 비교 판단하여 해충 존재 여부를 탐지하는 탐지부를 구비한 주파수 탐지모듈; 해충의 탐지 시 사용자에게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감지 장치는,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비행주파수가 발생된 비행영역을 파악하는 비행영역 파악부를 포함하는 비행영역 파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비행영역을 향해 상기 발광부의 광선을 조사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통신되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에 의하면,
1) 해충별로 비행 시 발생되는 음성주파수를 각각 주파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처리하고 감지영역에 위치한 해충의 비행에 따른 비행주파수를 감지한 다음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주파수와 비교 처리하여 이를 통해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해충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해충을 박멸시킬 수 있고,
2)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로 하여금 스마트폰과 통신을 가능케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매개로 사용자에게 해충 감지 알람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감지 장치를 크래들에 안착한 상태에서 이용하여 크래들을 매개로 감지 장치에 대한 충전을 가능케 하되, 크래들이 회동되어 감지 장치가 다양한 각도에 존재할 수 있는 해충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4) 해충 퇴치를 위해 특정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를 저장하도록 하고 해충 감지 시 이를 출력하여 해충 퇴치 효과를 높였을 뿐 아니라,
5) 감지 장치의 내부에 천연의 해충퇴치물질 디스펜서를 겸비하도록 하고 해충 감지 시 일정 주기로 해충퇴치물질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충 퇴치 성능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충 감지 장치를 통한 감지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해충의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 및 크래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크래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해충퇴치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충 감지 장치를 통한 감지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해충의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1)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1)를 통한 해충 감지 방법은 감지영역(2) 내에 위치한 감지 장치(1)가 해충의 비행으로 발생된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감지영역(2) 내에 해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탐지하고, 탐지 시 감지 장치(1)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해충이라 함은 사용자, 즉 일반적인 인간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는 곤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모기, 파리, 꿀벌, 말벌, 깔다구, 샌드플라이 등이 있을 수 있다. 예시한 곤충들 이외에도 비행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인간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는 곤충이라면 무엇이든 해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스피커(10) 및 디스플레이(20)를 구비한 상태에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해충의 비행 시에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즉 해충의 비행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지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인 음성주파수를 해충별로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감지영역(2)에 해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음성주파수의 예시로서는, 기본적으로 수모기가 비행할 때의 음성주파수가 300 내지 500Hz 사이이며, 이보다 자세하게는 뇌염 모기나 빨간 집모기의 음성주파수가 250 내지 400Hz, 말라리아 모기가 300 내지 600Hz, 숲모기가 300 내지 500Hz의 음성주파수를 비행 시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말벌을 예시로 들면, 말벌의 음성주파수의 경우 기본적으로 100Hz대에 기본 주파수를 나타내나 200 내지 1000Hz까지 하모닉 성분이 나타나는 파형을 보인다. 따라서 100 내지 1000Hz까지 폭넓은 음성주파수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정 해충의 주파수 및 해당 파형에 대한 정보를 음성주파수로 저장하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해충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술한 해충별로 음성주파수를 저장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예시에서 감지 장치(1)의 경우 스마트폰을 예시로 하여 나타내었다. 그러나 감지 장치(1)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20) 및 스피커(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장비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태블릿PC나 스피커(10) 또는 디스플레이(20)를 구비한 다양한 장치가 감지 장치(1)가 될 수 있다.
더불어 감지 장치(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감지 장치(1)를 헤어 밴드의 형태나 시계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20) 또는 스피커(10)를 구비한 상태에서 신체 일 측에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감지영역(2)이라 함은 감지 장치(1)가 위치한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감지 장치(1)가 위치하여 해충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실내 및 실외 어디라도 감지 장치(1)가 위치한다면 소정의 영역 범위가 감지영역(2)이 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감지영역(2)의 크기 및 감지 장치(1)로부터의 각도 범위, 영역 구획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해충 감지 장치(1)는 기본적으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 주파수 탐지모듈(200), 그리고 알람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는 해충의 비행에 따라 발생되는 음성주파수를 해충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수모기가 일반적으로 300 내지 500Hz, 뇌염 모기가 250 내지 400Hz, 숲모기가 300 내지 500Hz, 말벌이 100 내지 1000Hz이다. 이같이 각각의 해충이 비행할 때 나타내는 주파수 및 해당 주파수에 대한 파형을 음성주파수로서 각각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하여, 후술할 주파수 탐지모듈(200)이 감지영역(2) 내 비행 중인 곤충이 있을 때 해당 곤충이 내는 비행주파수를 음성주파수와 비교 처리하여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에 기록된 해충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는 각각의 해충이 비행 시 내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인 음성주파수뿐 아니라, 해당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주파수인 퇴치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퇴치주파수 정보’라 함은 기본적으로 각각의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인 퇴치주파수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충에 따라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여 해당 해충을 퇴치해야 하기 때문에 해충별로 주파수의 대역이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면 10KHz 내지 120KHz 범위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해충을 쫓을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이용되는 주파수의 경우 초음파의 영역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영역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이다.
더욱 상세한 예로서 일반적으로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벌레를 쫓을 수 있도록 하는 공지기술에서, 모기의 경우 12KHz 내지 17KHz 범위의 퇴치주파수를 이용하면 모기를 쫓아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주파수 탐지모듈(200)은 감지영역(2)에 있는 비행 중인 곤충, 즉 해충의 비행으로 발생된 비행주파수를 파악하고, 해당 비행주파수를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음성주파수와 비교 처리하여 감지영역(2) 내에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에 정보가 저장된 해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탐지모듈(200)은 입력부(210) 및 탐지부(22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감지영역(2) 내에 존재하는 해충의 비행으로 발생된 비행주파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감지 장치(1)는 비행주파수의 입력을 위해 별도의 마이크와 같이 주파수를 입력받을 수 있는 기계적 수단을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입력받는 비행주파수라 함은 상술한 음성주파수, 즉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해충별 데이터와는 구분되는 데이터이다. 즉 감지 장치(1)가 위치한 감지영역(2) 내에 존재하는 해충이 비행할 경우 해당 해충 역시 비행에 의한 주파수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를 비행주파수로서 입력받게 되는 것이다.
탐지부(220)는 감지 장치(1)에 구비된 입력부(210)를 매개로 입력받은 비행주파수를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음성주파수와 비교 처리하여, 주파수 및 파형을 비교 처리한 결과에 따라 해당 비행주파수와 일치하는 음성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해충이 감지영역(2)에 존재하는 것으로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비행주파수와 음성주파수의 비교 판단을 통해 감지영역(2) 내의 해충 존재 여부를 탐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이러한 탐지부(220)는 해충의 존재 여부만을 탐지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로 구현될 수 있는 해충 판별 파트(221)의 구성을 통해 비행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해충의 종류까지 판단해낼 수 있다. 즉 해당 비행주파수를 음성주파수와 비교 처리하여 음성주파수와 일치하는 비행주파수를 가진 해충이 감지영역(2)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해당 해충의 종류까지 판별해낼 수 있는 것이다.
알람 모듈(300)은 주파수 탐지모듈(200)의 구성을 통해 감지영역(2) 내에 해충이 존재하는 것으로 탐지됨에 따라 감지 장치(1)에 구비된 스피커(10) 또는 디스플레이(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감지 장치(1)는 스피커(10) 및 디스플레이(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상태에서, 주파수 탐지모듈(200)에 의해 감지영역(2) 내의 해충이 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충의 존재 유무를 스피커(10) 또는 디스플레이(20)를 매개로 알람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 알람 메시지의 예시로는 ‘해충이 존재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스피커(10), 또는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주파수 탐지모듈(200)을 통해 해충의 종류를 특정할 수도 있는 만큼 ‘모기가 존재합니다.’ ‘말벌이 존재합니다.’라는 식으로 해충의 종류를 특정하여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나아가 상술한 감지 장치(1)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으나, 혹은 스마트폰이 아닌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10) 및 디스플레이(2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만약 감지 장치(1)가 스마트폰이 아닌 전자 기기이거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방식으로 감지 장치(1)가 구현되는 경우 감지 장치(1)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장치(1)가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 감지 장치(1)가 스마트폰과 통신될 수 있으므로 알람 모듈(300)은 감지 장치(1)에 구비된 스피커(10) 및 디스플레이(20)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스피커(10) 및 디스플레이(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 장치(1)가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디바이스인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한 알람 메시지 전달 구성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1)를 통해 사용자 및 감지 장치(1)가 위치한 감지영역(2) 내에 해충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박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감지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금 감지영역(2) 내의 해충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겸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감지 장치(1)는 비행영역 파악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기본 구성인 알람 모듈(300)은 인디케이터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행영역 파악모듈(400)은 감지 장치(1)로 하여금 감지영역(2) 내에서의 해충의 비행영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발광부(410) 및 비행영역 파악부(420)를 포함한다.
발광부(410)는 감지영역(2)에 감지 장치(1)가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장치(1)가 스마트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스마트폰의 후면에 위치한 플래시 라이트의 구성이 발광부(410)가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LED 등이 발광부(410)로서 감지 장치(1)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발광부(410)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이때 발광되는 광선의 색상이나 파장 등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비행영역 파악부(420)는 감지영역(2) 내에서 해충이 비행한 비행영역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감지영역(2) 내에서 비행주파수가 발생된 영역, 즉 해충의 비행영역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비행주파수의 거리에 따른 진폭 변화 등을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거리를 산출해내고, 산출된 거리를 기반으로 감지영역(2) 내에서 비행영역만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감지 영역(2) 내에서 감지 장치(1)와 해충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것에 따라 비행주파수의 진폭이 커지고, 작아지는 것에 착안하여 진폭을 매개로 거리를 유추해내고, 해당 감지 장치(1)와 해당 거리에 있는 영역을 비행영역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알람 모듈(300)에 더 포함되는 인디케이터부(310)는 비행영역 파악부(420)에서 파악된 비행영역을 향해 광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비행영역을 향해 발광부(410)로 하여금 광선을 조사하도록 발광부(41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해충이 있는 방향 및 위치를 향해 광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지 장치(1)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간편하고 쉽게 해충이 존재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해충을 더욱 빠르고 용이하게 박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 및 크래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감지 장치(1)는 전원공급부(31)를 포함한 크래들(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크래들(30)은 감지 장치(1)의 거치대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감지 장치(1)에 대한 전원 공급 및 배터리 충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크래들(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크래들(30)은 감지 장치(1)를 안착할 수 있는 지지부(32)가 형성되어 크래들(30)의 지지부(32)에 감지 장치(1)가 안착된다. 더불어 이러한 크래들(30)은 전원공급부(31)를 포함하는데, 전원공급부(31)는 종래의 전자 기기용 무선충전장치처럼 무선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부(32)와 같이 감지 장치(1)가 안착되는 곳에 감지 장치(1)의 충전부와 대응되는 전원공급부(31), 즉 전원 공급용 케이블의 형태가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크래들(30)에 감지 장치(1)를 안착한 상태에서 크래들(30)을 매개로 감지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여 감지 장치(1)에 포함될 수 있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크래들(30)은 별도의 전원공급수단 또는 내장된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감지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크래들(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내부에 매설된 케이블을 통한 연결 및 무선 충전 방식의 연결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크래들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크래들(30)에 대한 세부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크래들(30)은 원판(33) 및 회동부(34)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판(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장치(1)가 안착되는 기본 구성으로서, 도면에서 보이듯이 감지 장치(1)가 안착되는 구성, 즉 지지부(32)가 원판(33)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판(33)의 경우 일반적으로 그 두께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단면이 원형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더불어 회동부(34)는 원판(33)을 일정 각도로 회동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이를 위해 회동부(34)는 원판(33)에 연결 처리된 샤프트(35) 및 샤프트(35)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36)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36)의 작동을 통해 샤프트(35)가 회전되면서 그와 연결된 원판(33) 역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샤프트(35)는 그 일 단이 원판(33)과 연결 처리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35) 및 샤프트(35)가 끼움 결합되는 원판(33)의 연결 부위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샤프트(35) 및 원판(33)을 고정할 수도 있으며, 혹은 샤프트(35)의 일 단과 원판(33)을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모터(36)의 경우 상술한 크래들(30)용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혹은 모터(36)의 일 측에 모터(36)에 전원을 제공하는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36)는 별도의 배터리 또는 크래들(30)용 전원공급수단과 케이블 등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 처리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샤프트(35)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부(34)는 크래들(30)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구현될 수 있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원판(33)을 회동시킬 수 있다. 즉 겉보기로는 하우징 및 원판(33)의 구성으로 크래들(30)이 구성된 것이나, 하우징 내에 구비된 회동부(34)가 원판(33)을 회동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크래들(30)의 회동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감지 장치(1)를 크래들(3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감지 장치(1)를 편리하게 회전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구성에서 감지 장치(1)가 비행영역 파악모듈(400)을 통해 감지영역(2)에 위치한 해충의 비행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와 연동되는 구성으로 알람 모듈(300)은 트레이싱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싱부(320)는 발광부(410)가 비행영역을 향하도록 크래들(30)의 회동부(34)를 구동시키면서 그와 동시에 비행영역을 향해 발광부(410)의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크래들(30)과 감지 장치(1)의 접속 처리가 가능해야 함이 기본이며, 이때 크래들(30)과 감지 장치(1)는 상술한 지지부(32)에 별도의 접속 단자 등을 구현하여 접속 단자를 매개로 접속 처리될 수 있다.
더불어 크래들(30)의 하우징 내부에도 별도의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회동부(3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감지 장치(1)의 알람 모듈(300)에 구비된 트레이싱부(320)는 크래들(30)에 구비된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회동부(34)를 통해 크래들(30)을 회동시켜 발광부(410)가 비행영역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발광부(410)의 광선을 비행영역을 향해 조사시키도록 감지 장치(1) 및 크래들(30)을 제어할 수 있다.
더하여 감지 장치(1)는 음파 퇴치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00)를 매개로 퇴치주파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탐지부(220)에 속한 해충 판별 파트(221)로 인해 해충의 종류가 판별되는 경우 감지 장치(1)에 구비된 스피커(10)를 통해 저장된 퇴치주파수를 발생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파 퇴치모듈(500)은 감지영역(2)에 존재하는 해충의 종류가 판별됨에 따라 감지 장치(1)의 스피커(10)를 통해 해충마다 차등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퇴치주파수 정보를 감지영역(2)에 출력 처리함으로써, 해충에 대한 감지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해충을 쫓아버리는 방제의 역할까지 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감지 장치(1)의 일 측에는 분사구(41)가 형성되어 있고, 감지 장치(1)의 내부에는 액상의 해충퇴치물질이 수용된 분사캔(42)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해충퇴치물질을 감지영역(2)에 분사하는 분사구(41) 및 해충퇴치물질을 토출하는 분사캔(42)을 포함하는 디스펜서(40)가 감지 장치(1)에 구현되어 디스펜서(40)를 매개로 해충 탐지 시 일정 주기로 해충퇴치물질을 감지영역(2)에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분사구(41) 및 분사캔(42)은 감지 장치(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파이프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디스펜서(40)를 통해 본 발명의 감지 장치(1)로 하여금 해충을 감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해충퇴치물질을 분사함으로써 해충을 퇴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 해충퇴치물질은 다양한 종래의 해충퇴치용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알릴-2-메톡시페놀(4-allyl-2-methoxyphenol)을 포함하여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4-알릴-2-메톡시페놀(4-allyl-2-methoxyphenol)은 정향유의 주성분으로써 소독 및 진통 작용을 가진 점조질의 액체로, 클로브 향이 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알코올에 녹는다. 이러한 4-알릴-2-메톡시페놀은 모기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써, 디스펜서를 통해 상술한 해충퇴치 기능을 가진 물질을 간편하게 분사할 수 있어 더욱 쉽고 편리하게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해충퇴치물질은 상술한 4-알릴-2-메톡시페놀에 부가적인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해충퇴치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해충퇴치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충퇴치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해충퇴치물질은,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해충퇴치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4-알릴-2-메톡시페놀(4-allyl-2-methoxyphenol) 30 내지 50 중량부와, 에탄올 40 내지 60 중량부 및 2,9-디메틸-1,10-페난트롤린(2,9-dimethyl-1,10- phenanthroline)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다.
4-알릴-2-메톡시페놀(4-allyl-2-methoxyphenol)은 상술한 바가 있어 중복 설명은 생략하되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알코올에 녹는 특성이 있어 제 1 혼합물 내에서는 에탄올을 매개로 혼합된다.
2,9-디메틸-1,10-페난트롤린(2,9-dimethyl-1,10-phenanthroline)은 백색의 결정성 입자로 에탄올, 이소아밀알코올, 클로로포름, 벤젠에 쉽게 녹는다. 이러한 2,9-디메틸-1,10-페난트롤린을 첨가하는 이유는 4-알릴-2-메톡시페놀이 금속 이온과 반응하면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여 해충 퇴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금속 이온, 특히 구리 이온과 반응하면 변색되어 금속 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2,9-디메틸-1,10-페난트롤린을 첨가함으로써 해충퇴치물질의 유효성분인 4-알릴-2-메톡시페놀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S12)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제 1 혼합물 60 내지 80 중량부와, 살리실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 15 내지 30 중량부 및,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5 내지 20 중량부와, 베르가모트 오일(Bergamot oil)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한다.
살리실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는 카시아유, 식물 정유 속에 함유된 물질로서 편도유와 비슷한 향기를 가지며, 에탄올에 잘 녹는 특성이 있다. 살리실할데하이드가 갖고 있는 편도유와 유사한 특유의 향기는 진드기나 모기, 기타 벌레들을 퇴치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은 시트로넬라의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 지친 심신에 활력을 주며, 살균 효과와 방충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선한 풀 향이 섞인 달콤한 레몬향이 나며, 방충 및 살충 효과가 역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르가모트 오일(Bergamot oil)은 베르가모트 열매의 신선한 껍질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씁쓸하고 약한 매운향과 상큼하고 달콤한 과일향이 어우러진 향이 난다. 항염, 살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13)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제 2 혼합물 60 내지 80 중량부와, 피레트린(pyrethrin) 10 내지 30 중량부 및 카테킨(Catechin)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한다.
피레트린(pyrethrin)은 황색의 유상 물질로서 살충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곤충에 대한 강한 살충작용을 가지므로 모기 및 파리의 구제에 사용되기도 한다.
카테킨(Catechin)은 플라보노이드 그룹의 flavan-3-ols에 속하며, 폴리페놀 일종으로 녹차의 떫은 맛 성분이다. 카테킨은 산화방지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는 특징이 있어, 제조되는 해충퇴치물질의 산화를 방지하고 항균성을 높임과 동시에 항바이러스성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다.
(S14) 해충퇴치물질을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3 혼합물 65 내지 80 중량부와, 알파-피넨(α-pinene)을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30 중량부 및,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해충퇴치물질을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첨가되는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은 무색의 결정 또는 흰색의 결정성 가루 또는 덩어리로서 냄새와 맛이 없다. 산화방지제로서 해충퇴치물질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빛이나 열에 안정한 특성이 있어 다른 산화방지제에 대비하면 안정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더불어 다른 산화방지제와 함께 사용하면 상승작용이 있어, 상술한 카테킨과 함께 첨가됨에 따라 산화방지 효과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알파-피넨(α-pin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유효 성분으로 첨가된 알파-피넨은 모노테르펜 탄화수소의 하나로서, 무색이며 상쾌한 느낌의 특유한 향기가 나는 액체이다. 침엽수 향의 원천이 되며, 소나무 피톤치드의 가장 대표적인 성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피톤치드 계열의 알파-피넨을 더함으로써 해충퇴치물질의 항균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해충퇴치물질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해충들에 대한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충퇴치물질이 안정적으로 용액 속에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향을 포함하는 해충퇴치물질이 에센셜 오일을 기반으로 한 향취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감지영역(2)에 대한 방향 효과를 누리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기능성 첨가제는 알파-피넨 외에도 추가적인 다른 물질들을 더 포함하여 기능성을 더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성 첨가제는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기능성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21)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기능성 첨가제의 전구 물질이라 할 수 있는 제 1 용액은, 알파-피넨(α-pinene) 30 내지 6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0 내지 40 중량부, 프로필알코올(propanol)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알파-피넨(α-pinene)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노테르펜 탄화수소의 하나로서, 무색이며 상쾌한 느낌의 특유한 향기가 나는 액체이다. 침엽수 향의 원천이 되며, 소나무 피톤치드의 가장 대표적인 성분이기도 하다. 피톤치드 계열의 알파-피넨 첨가에 의해 기능성 첨가제의 항균성을 높일 수 있다.
부틸렌글라이콜은 사탕수수를 발효시켜 추출한 지방산에 나온 물질로 만든 성분으로써 다양한 구성성분을 녹이는 용제의 역할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액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점도감소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능성 첨가제에 첨가되는 경우 해충퇴치물질의 점도를 낮추어 분사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수분을 끌어 당기는 효과가 있어 해충퇴치물질이 사용자의 피부에 뿌려진다는 것을 가정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함과 동시에 보습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프로필알코올(propanol)은 알파-피넨 및 부틸렌글라이콜에 대한 용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휘발성이 높아 소독제에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프로필알코올 자체가 제 1 용액에서의 용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소독, 살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22)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용액의 제조가 완료되면, 제 1 용액 60 내지 75 중량부와, 하이포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 20 내지 30 중량부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다.
하이포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는 염산 또는 식염수를 전기 분해하여 얻는, 유효 성분으로 하이포염소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이다. 하이포아염소산수는 일반적으로 강산성 하이포염소산수(0.2퍼센트 이하의 염화소듐 수용액을 격막으로 분리된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된 전해조 안에서 전해해서 양극 측으로부터 얻는 수용액)와 약산성 하이포염소산수(2~6퍼센트의 염산을 격막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된 전해조 안에서 전해해서 얻는 수용액)로 이루어지므로 강산성 하이포염소산수 및 약산성 하이포염소산수 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약산성 하이포염소산수를 이용하게 된다. 하이포염소산수는 살균 소독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스페리딘(Hesperidin)은 감귤류 과일에 많이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계 색소 중의 플라바논(flavanone) 배당체이다. 산화방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해충퇴치물질에 첨가되어 감지영역(2)에 분사되는 경우 해당 감지영역(2)에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23) 기능성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용액 50 내지 70 중량부와, 프로폴리스(Propolis) 10 내지 15 중량부, 모하비 유카 추출물(Mojave yucca extract) 10 내지 20 중량부, 나린진(Naringin) 5 내지 15 중량부와, 키토산(Chitosan) 3 내지 10 중량부, 레시틴(Lecithi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첨가제를 완성하게 된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나무의 분비물을 벌이 채취하여 벌의 침(타액) 및 밀랍(beeswax)과 함께 섞어 만든 것을 의미하며, 소독, 살균 작용이 있는 천연 방부제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항균 및 항산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모하비 유카 추출물(Mojave yucca extract)은 모하비 사막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진 유카 선인장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유카 선인장의 과일, 꽃잎, 잎,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로써 계면활성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기능성 첨가제에 포함된 여러 성분에 대한 혼합성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약산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첨가제의 pH를 조절할 수 있는 산도조절제의 역할을 겸비한다.
나린진(Naringin)은 플라보노이드 색소의 배당체로, 플라바논에 람노오스와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것이다. 산화 방지 활성 기능이 있어 천연 산화방지제로써 기능성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다.
키토산(Chitosan)은 게나 가재, 새우 껍데기에 들어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이며, 항산화 효과와 함께 천연의 항균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성 첨가제에 첨가 시 항균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레시틴(Lecithin)은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의 하나이며, 생체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다.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하므로 기능성 첨가제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에 대한 혼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기능성 첨가제는 기본적으로 항균성을 가질 뿐 아니라, 해충퇴치물질의 점도를 낮춰주어 분사성을 높이고, 항균에 더하여 살균 소독 기능을 겸비하여 감지영역(2)에 대한 살균 및 소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혼합성이 높은 안정한 형태의 해충퇴치물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능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감지 장치 2: 감지영역
10: 스피커 20: 디스플레이
30: 크래들 31: 전원공급부
32: 지지부 33: 원판
34: 회동부 35: 샤프트
36: 모터 40: 디스펜서
41: 분사구 42: 분사캔
100: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200: 주파수 탐지모듈
210: 입력부 220: 탐지부
221: 해충 판별 파트 300: 알람 모듈
310: 인디케이터부 320: 트레이싱부
400: 비행영역 파악모듈 410: 발광부
420: 비행영역 파악부 500: 음파 퇴치모듈

Claims (10)

  1.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로서,
    해충의 비행 시 발생되는 음성주파수를 해충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해충의 비행으로 발생된 비행주파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비행주파수와 음성주파수를 비교 판단하여 해충 존재 여부를 탐지하는 탐지부를 구비한 주파수 탐지모듈;
    해충의 탐지 시 사용자에게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 모듈;
    해충의 탐지 시 일정 주기로 해충퇴치물질을 분사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되,
    상기 해충퇴치물질은,
    4-알릴-2-메톡시페놀(4-allyl-2-methoxyphenol) 30 내지 50 중량부와, 에탄올 40 내지 60 중량부 및 2,9-디메틸-1,10-페난트롤린(2,9-dimethyl-1,10- phenanthroline)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 60 내지 80 중량부와, 살리실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 15 내지 30 중량부 및,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5 내지 20 중량부와, 베르가모트 오일(Bergamot oil)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혼합물 60 내지 80 중량부와, 피레트린(pyrethrin) 10 내지 30 중량부 및 카테킨(Catechin)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3 혼합물 65 내지 80 중량부와, 알파-피넨(α-pinene)을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제 15 내지 30 중량부 및,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해충퇴치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비행주파수가 발생된 비행영역을 파악하는 비행영역 파악부를 포함하는 비행영역 파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비행영역을 향해 상기 발광부의 광선을 조사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통신되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 크래들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감지 장치를 안착하는 원판과,
    상기 원판에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원판을 일정 각도로 회동 구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광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비행주파수가 발생된 비행영역을 파악하는 비행영역 파악부를 포함하는 비행영역 파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발광부가 비행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회동부를 구동하면서 상기 발광부의 광선을 조사하는 트레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는,
    해충별로 주파수 대역이 구분된 퇴치주파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탐지부는,
    상기 비행주파수의 고저에 따라 해충의 종류를 판별하는 해충 판별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장치는,
    스피커를 구비한 상태에서, 판별된 해충의 종류에 따라 차등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퇴치주파수를 발생하는 음파 퇴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알파-피넨(α-pinene) 30 내지 6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0 내지 40 중량부, 프로필알코올(propanol)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60 내지 75 중량부와, 하이포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 20 내지 30 중량부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50 내지 70 중량부와, 프로폴리스(Propolis) 10 내지 15 중량부, 모하비 유카 추출물(Mojave yucca extract) 10 내지 20 중량부, 나린진(Naringin) 5 내지 15 중량부와, 키토산(Chitosan) 3 내지 10 중량부, 레시틴(Lecithi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79635A 2020-12-21 2020-12-21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KR10257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35A KR102575138B1 (ko) 2020-12-21 2020-12-21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35A KR102575138B1 (ko) 2020-12-21 2020-12-21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69A KR20220089769A (ko) 2022-06-29
KR102575138B1 true KR102575138B1 (ko) 2023-09-07

Family

ID=8227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635A KR102575138B1 (ko) 2020-12-21 2020-12-21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1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363A (ja) * 2005-10-05 2007-04-19 Fujifilm Corp クレードル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101588102B1 (ko) * 2014-01-17 2016-01-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JP2017189138A (ja) * 2016-04-13 2017-10-19 中国電力株式会社 虫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172A (ko) * 2010-11-30 2012-06-08 인텔릭스(주) 냉온수기용 해충 퇴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4363A (ja) * 2005-10-05 2007-04-19 Fujifilm Corp クレードル装置及び携帯電話機
KR101588102B1 (ko) * 2014-01-17 2016-01-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JP2017189138A (ja) * 2016-04-13 2017-10-19 中国電力株式会社 虫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69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87878B (zh) 蚊类防除用气溶胶及蚊类防除方法
JP6517984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JP7433349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
JP6774482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KR101181454B1 (ko)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KR102242296B1 (ko) 말벌과 벌 기피제
JP2002125563A (ja) 飛翔性害虫駆除用複合トラップ
CN105519587B (zh) 茶树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KR102575138B1 (ko) 주파수 탐지 기반의 스마트 해충 감지 장치
CN108419810A (zh) 一种天然植物成分复合生物杀虫气雾剂
US20210315193A1 (en) Bio-robotic device for luring and killing hematophagous arthropods
CA2966262A1 (en) Mosquito attract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5851075A (zh) 一种蟑螂诱杀剂
CN105724445B (zh) 迷迭香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CN111134143A (zh) 一种聚醚类化合物
KR20160091603A (ko) 해충 퇴치 모듈
CN105475372A (zh) 薄荷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KR20200091239A (ko) 해충 퇴치기
CN210951037U (zh) 一种除蚊虫路灯
CN105724444B (zh) 薰衣草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CN201097567Y (zh) 色光引诱昆虫捕捉器
CN105519600B (zh) 柠檬精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CN105875655B (zh) 霍霍巴油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JP2004075657A (ja) 家屋用不快害虫防除組成物
CN1436467A (zh) 自挥发灭蚊驱蝇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