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534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534B1
KR102574534B1 KR1020210031777A KR20210031777A KR102574534B1 KR 102574534 B1 KR102574534 B1 KR 102574534B1 KR 1020210031777 A KR1020210031777 A KR 1020210031777A KR 20210031777 A KR20210031777 A KR 20210031777A KR 102574534 B1 KR102574534 B1 KR 10257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ffusing
scent
unit
hyanga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464A (ko
Inventor
이창수
안구섭
정혜진
최성무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5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향액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내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상기 향액에 담지되어 상기 향액을 흡수하는 제 1 발향부; 상기 제 1 발향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발향부와 접촉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발향부와 이격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승강함으로써, 상기 제 1 발향부로부터 상기 향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향액의 발산을 조절하는 제 2 발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좋은 향기는 인간의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며 집중력을 높여주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집의 침실이나 화장실, 차량의 내부 등에 다양한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 등을 비치해 두는 것이 대중화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제들은 승화되는 고상의 방향 물질이 다공성 케이스 안에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증발하는 향액이 용기에 구비되고 액상 물질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스틱이 향액에 담지되는 디퓨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향제들은 한번 개방되어 발향을 시작한 이후에는 발향을 멈출 수 없었기 때문에, 공간이 좁은 실내에서는 향기가 지나치게 발산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사용자의 집중력을 오히려 저하시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향액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내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상기 향액에 담지되어 상기 향액을 흡수하는 제 1 발향부; 상기 제 1 발향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발향부와 접촉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발향부와 이격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승강함으로써, 상기 제 1 발향부로부터 상기 향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향액의 발산을 조절하는 제 2 발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발향부의 일 측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2 발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발향부와 함께 상기 용기부에 대해 승강하도록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발향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발향부는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부가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에 접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 1 위치의 상기 제 2 발향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발향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발향부가 삽입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고정홀을 상기 용기부에 배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 1 발향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외측으로 상기 용기부와 밀착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하고, 내측으로 상기 캡과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캡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발향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발향부와 상기 제 2 발향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발향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 1 발향부와 상기 제 2 발향부의 접촉 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상기 제 2 발향부로의 상기 향액의 공급량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발향부가 승강에 의해 제 1 발향부로부터 향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으므로, 제 2 발향부를 승강 조작하여 향액의 발산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발향부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발향부는 제 2 발향부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며 용기부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위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발향부가 제 1 위치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제 1 발향부와 제 2 발향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하여, 캡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더라도 향액의 발산 및 중단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발향부가 상승할 때 제 1 발향부와 제 2 발향부의 접촉 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하여, 제 2 발향부의 상승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액의 발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 내에 제 1 발향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제 1 발향부가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는 제 1 발향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관을 구비함으로써, 제 1 발향부의 상하이동 및/또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가 용기부의 내부 공간과 고정부와 캡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용기부에 수용된 향액이 증발되어 외부로 누출되거나, 제 1 발향부로 흡수된 향액이 제 2 발향부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향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용물 용기에서 제 2 발향부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용물 용기에서 제 2 발향부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부(100), 제 1 발향부(200), 제 2 발향부(300), 캡(400) 및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용물은 향액일 수 있으며, 향액의 발산이란, 액상의 향액이 증발되어 기체 상태로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은 예를 들어, 향기를 발산하는 겔상 또는 고상의 물질일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액상, 겔상 또는 고상의 화장료 또는 의료용 내용물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향액을 내용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용기부(100) 내에 직접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은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함침 부재 등을 통해 용기부(100)에 충전되거나, 보조 용기에 충전되어 용기부(10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의 상측에는 주둥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주둥이부(110)는 외측으로 캡(400)과 결합하고 내측으로 고정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부(100) 내의 향액의 감소 정도를 눈으로 확인하여 발향을 조절하거나 향액을 리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100)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발향부(200)는, 적어도 일부가 향액에 담지되어 향액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발향부(200)는 용기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하단부가 향액에 담지될 수 있다. 제 1 발향부(200)에 흡수된 향액은 제 1 발향부(200)와 제 2 발향부(300)가 접촉할 경우 제 2 발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발향부(200)는 용기부(100) 내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발향부(300)가 승강하더라도 제 1 발향부(200)는 용기부(100) 내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발향부(200)의 상단에는 제 1 접촉부(210)가 형성되어, 제 2 발향부(300)의 승강에 따라, 제 2 발향부(300)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접촉부(310)와 접촉 또는 이격할 수 있다. 제 1 접촉부(210)와 제 2 접촉부(310)의 접촉에 따라 제 1 발향부(200)의 향액이 제 2 발향부(300)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격에 따라 제 2 발향부(300)로의 향액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발향부(200)의 하단은 용기부(100)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발향부(300)가 제 1 발향부(200)에 접촉하면서, 제 1 발향부(200)를 하방 가압하더라도, 용기부(100)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발향부(300)는, 제 1 발향부(200)의 상측에 구비되되, 제 1 발향부(200)로부터 공급받은 향액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발향부(300)는 일 면(예를 들어, 하면)이 제 1 발향부(200)를 향하여 형성되고, 다른 일면(예를 들어, 상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발향부(300)는 승강을 통해 제 1 발향부(200)와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제 1 발향부(200)로부터 향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향액의 발산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발향부(300)는 제 1 발향부(200)와 접촉하는 제 1 위치 및 제 1 발향부(200)와 이격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승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발향부(200)와 접촉할 수 있는 제 2 발향부(300)의 위치를 통칭하며, 특정한 하나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제 2 위치는 제 1 발향부(200)와 이격할 수 있는 제 2 발향부(300)의 위치를 통칭하며, 특정한 하나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 제 1 발향부(200)와 접촉함으로써 제 1 발향부(200)로부터 향액을 공급받고,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향부(300)가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 제 1 발향부(200)와 이격함으로써 제 1 발향부(200)로부터의 향액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2 발향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향액을 발산시키거나, 향액의 발산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공급되었던 향액은 발산에 의해 점차 소진될 수 있다. 즉,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향액의 발산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중단되도록 하여, 은은하게 감소하는 향기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발향부(300)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발향부(200)의 향액이 제 2 발향부(300)로 공급되면서, 제 2 발향부(300)에 흡수되는 향액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이에 따라 향액의 발산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즉, 제 2 발향부(300)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향액의 발산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하여, 은은하게 퍼져 나가는 향기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발향부(300)의 승강은 캡(400)의 승강에 연동할 수 있다. 즉, 제 2 발향부(300)가 캡(400)과 결합함으로써, 캡(400)이 상승하면 제 2 발향부(300)가 상승하고, 마찬가지로, 캡(400)이 하강하면 제 2 발향부(300)도 하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제 2 발향부(300)는 캡(400)에 독립하여 용기부(100)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발향부(300)가 캡(400)에 대해 복수의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캡(4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400)의 내면과 제 2 발향부(300)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돌기와 홈이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발향부(300)가 캡(400)에 대해 복수의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제 2 발향부(300)의 하단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제 2 발향부(300)의 상측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발향부(300)의 하단에는 제 2 접촉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접촉부(310)는 제 2 발향부(30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면서, 제 1 발향부(200)의 제 1 접촉부(210)와 접촉 또는 이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접촉부(210) 및/또는 제 2 접촉부(310)는 상호 접촉하면서 제 1 발향부(200)로부터 제 2 발향부(300)로 향액을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촉부(210)가 제 1 발향부(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접촉부(310)는 제 1 접촉부(2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 1 접촉부(210)가 제 2 접촉부(3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접촉부(310)가 제 2 발향부(30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 1 접촉부(210)가 제 2 접촉부(3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측으로 함몰되어, 제 2 접촉부(310)가 제 1 접촉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접촉부(210)가 제 1 발향부(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접촉부(310)가 제 2 발향부(30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 1 접촉부(210)와 제 2 접촉부(310)가 상하로 접하거나, 측 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접촉부(210)가 제 2 접촉부(310)에 삽입되거나, 제 2 접촉부(310)가 제 1 접촉부(210)에 삽입될 경우, 제 2 발향부(300)와 제 1 발향부(200)가 서로 삽입 연결됨으로써, 제 2 발향부(300)에 의해 제 1 발향부(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발향부(300) 등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 1 발향부(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제 1 발향부(200)와 제 2 발향부(300)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더라도 향액의 발산 및 중단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 1 접촉부(210)와 제 2 접촉부(310)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접촉부(210)는 원뿔, 원뿔대,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제 1 발향부(2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접촉부(310)는 제 1 접촉부(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 1 접촉부(210)가 제 2 접촉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접촉부(310)가 제 1 접촉부(210)에 삽입되는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상승하면서 제 1 발향부(200)와 제 2 발향부(300)의 접촉 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제 1 발향부(200)로부터 제 2 발향부(300)로의 향액의 공급량이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발향부의 상승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액의 발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접촉부(210)는 길이 방향에 평행하는 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촉부(21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접촉부(310)는 제 1 접촉부(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 1 접촉부(210)가 제 2 접촉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접촉부(310)가 제 1 접촉부(210)에 삽입되는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발향부(200) 및/또는 제 2 발향부(300)는 하단부에서 액상의 향액을 흡수한 후 상단부로 향액을 전달하기 위해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발향부(200) 및/또는 제 2 발향부(300)는 종이, 부직포, 섬유 및 나무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캡(400)은, 용기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용기부(100)를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400)은 제 2 발향부(300)와 결합하되, 캡(400)이 용기부(100)에 대해 승강하면서, 이에 연동하여 제 2 발향부(300)가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400)을 승강 조작함으로써 제 2 발향부(300)를 승강시켜 발향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400)은 제 2 발향부(300)의 일 측(예를 들어, 상측)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제 2 발향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400)의 외부로 노출된 제 2 발향부(300)의 면적이 넓을수록 향액의 발산량이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400)은 용기부에 결합하는 외벽(410); 외벽(4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 2 발향부(300)가 안착되는 안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발향부(300)가 안착부(420)의 상측에 안착됨으로써, 제 2 발향부(3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됨과 동시에 제 2 발향부(30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향액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벽(410)과 용기부(100)는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끼움 결합, 걸림 결합, 걸어맞춤 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착부(420)는 외벽(410)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상벽(421); 상벽(421)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되 고정부(500)(특히, 지지부(520))와 밀착하는 내벽(42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벽(421)은 상측으로 제 2 발향부(300)가 안착되고, 제 2 발향부(30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5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벽(421)이 고정부(50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캡(400)의 하강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벽(422)의 외주면은 고정부(500)(특히, 밀착부(522))의 내주면과 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발향부(300)의 승강 시 제 2 발향부(300)가 아닌 내벽(422)이 고정부(500)와 밀착하면서 승강하므로, 마찰에 의한 제 2 발향부(300)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40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30)는 캡(400), 특히 외벽(4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파지부(430)는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마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500)는, 용기부(100) 내측에 구비되고 제 1 발향부(200)가 삽입됨으로써, 제 1 발향부(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발향부(200)에 제 2 발향부(300)의 승강에 따른 외력 및/또는 용기의 흔들림에 따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1 발향부(2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부(500)는 제 1 발향부(200)가 삽입되는 고정홀(510) 및 고정홀(5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고정홀(510)을 용기부(100)에 배치하는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520)는 외측으로 용기부(100)(특히, 주둥이부(110))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을 부분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은 고정부(500)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되되, 제 1 발향부(200)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됨으로써, 향액이 제 1 발향부(200)를 경유하지 않으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에 수용된 향액이 증발하더라도 용기부(100) 내부 공간에 포화될 뿐, 외부로는 발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520)는 내측으로 캡(400)(특히, 안착부(420))의 외주면과 밀착하여, 캡(400)과 고정부(500)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발향부(200)와 제 2 발향부(300)가 이격한 상태에서, 캡(400)과 고정부(500) 사이의 공간은 지지부(520)와 안착부(420)의 밀착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되되, 제 2 발향부(300)를 통해서만 외부로 연통됨으로써, 향액이 제 2 발향부(300)를 경유하지 않으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발향부(200)에 흡수된 향액이 제 1 발향부(200)로부터 발산하더라도, 캡(400)과 고정부(500) 사이 공간에 포화될 뿐, 외부로는 발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520)는 고정홀(5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저부(521); 기저부(52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부(100)(특히, 주둥이부(110))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밀착부(522); 및 밀착부(522)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용기부(100)(특히, 주둥이부(110))의 상측에 안착하는 날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밀착부(522)가 주둥이부(110)의 내주면 및/또는 내벽(422)의 외주면에 밀착함으로써,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 및/또는 캡(400)과 고정부(500)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부(500)는 고정홀(5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1 발향부(200)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제 1 발향부(200)의 상하이동 및/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관(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발향부(200)가 고정관(530)에 삽입됨으로써, 내용물 용기(10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1 발향부(200)는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부 110: 주둥이부
200: 제 1 발향부 210: 제 1 접촉부
300: 제 2 발향부 310: 제 2 접촉부
400: 캡 410: 외벽
420: 안착부 421: 상벽
422: 내벽 430: 파지부
500: 고정부 510: 고정홀
520: 지지부 521: 기저부
522: 밀착부 523: 날개부
530: 고정관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9)

  1. 내용물 용기로서,
    향액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내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상기 향액에 담지되어 상기 향액을 흡수하는 제 1 발향부;
    상기 제 1 발향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발향부와 접촉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발향부와 이격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승강함으로써, 상기 제 1 발향부로부터 상기 향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향액의 발산을 조절하는 제 2 발향부; 및
    상기 제 2 발향부의 일 측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타 측은 상기 제 1 발향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 2 발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2 발향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 2 발향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발향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향부는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부가 상기 용기부의 바닥면에 접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 1 위치의 상기 제 2 발향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향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발향부가 삽입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고정홀을 상기 용기부에 배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 1 발향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관을 더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외측으로 상기 용기부와 밀착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하고, 내측으로 상기 캡과 밀착되어 상기 캡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내용물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향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발향부와 상기 제 2 발향부의 접촉이 해제되는, 내용물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향부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 1 발향부와 상기 제 2 발향부의 접촉 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상기 제 2 발향부로의 상기 향액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내용물 용기.
KR1020210031777A 2021-03-11 2021-03-11 내용물 용기 KR10257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77A KR102574534B1 (ko) 2021-03-11 2021-03-11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77A KR102574534B1 (ko) 2021-03-11 2021-03-11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464A KR20220127464A (ko) 2022-09-20
KR102574534B1 true KR102574534B1 (ko) 2023-09-06

Family

ID=8344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77A KR102574534B1 (ko) 2021-03-11 2021-03-11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5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471A (ja) 2003-03-07 2004-09-30 Kao Corp 芳香器
JP2011006132A (ja) 2009-06-29 2011-01-13 Yoshino Kogyosho Co Ltd 揮散液の揮散用容器
JP2011062272A (ja) 2009-09-16 2011-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
JP2016078935A (ja) * 2014-10-22 2016-05-16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器
KR101970678B1 (ko) 2018-10-23 2019-04-19 박길호 방향액 자연 휘산구조를 갖는 방향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933B1 (ko) * 2018-03-15 2020-06-05 최순극 방향제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471A (ja) 2003-03-07 2004-09-30 Kao Corp 芳香器
JP2011006132A (ja) 2009-06-29 2011-01-13 Yoshino Kogyosho Co Ltd 揮散液の揮散用容器
JP2011062272A (ja) 2009-09-16 2011-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
JP2016078935A (ja) * 2014-10-22 2016-05-16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器
KR101970678B1 (ko) 2018-10-23 2019-04-19 박길호 방향액 자연 휘산구조를 갖는 방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464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968A (en) Liquid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nonporous capillary wicking function
US4889286A (en) Controllable air freshener unit
KR101032911B1 (ko) 다양한 다공성부를 갖는 심지를 구비하는 심지 기반 배출 시스템
US4306679A (en) Dispenser for volatilizable substances
EP1932546B1 (en) Air deodorizer
EP2545942B1 (en) Dual functioning fragrance delivery device
US20120312893A1 (en) Volatile Medium Delivery Device
US20190255209A1 (en) Spill-resistant air freshener canister
KR20220000392U (ko) 디퓨져
KR102574534B1 (ko) 내용물 용기
JP4993063B2 (ja) 揮散具
EP2411059B1 (en) Dispenser for an air freshener
KR102119933B1 (ko) 방향제 용기
EP1252899B1 (en) Dispenser of airborne substances
US20180154035A1 (en) Device for controlled release of fluid
JP2011055937A (ja) 浮上放出式気散性物質放出器
US20180236120A1 (en) Nonleaking volatile substance delivery system
WO2000067807A1 (en) Receptacle for the diffusion of a fragrant liquid
JPS6274365A (ja) 揮発性液体のための拡散器
KR200494341Y1 (ko) 발향 용기
KR102554842B1 (ko) 향기 패치
JPH0511868Y2 (ko)
JP2023071266A (ja) 液体収容器及び薬剤揮散器
KR200296996Y1 (ko) 거치가 용이한 향 발현장치
EP3323434A1 (en) Dispensing device having an anti-drip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