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370B1 -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 Google Patents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370B1
KR102574370B1 KR1020230038680A KR20230038680A KR102574370B1 KR 102574370 B1 KR102574370 B1 KR 102574370B1 KR 1020230038680 A KR1020230038680 A KR 1020230038680A KR 20230038680 A KR20230038680 A KR 20230038680A KR 102574370 B1 KR102574370 B1 KR 10257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straight connector
lightweight panels
partition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스아인스가구 filed Critical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to KR102023003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6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파티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각관에 의한 프레임체에 직물시트가 감싸져 만들어진 경량패널을 직선 형태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경량패널의 양측단에 연결공을 다수 형성하고, 이들 경량패널은 별도 구비의 직선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경량패널을 일자 형태로 연결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경량패널을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어 조립 및 시공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고, 경량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직선형 커넥터는 파티션 프레임과의 긴밀하고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호 연결된 경량패널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등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충격이나 진동이 파티션에 작용하더라도 패널 간의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직선형 커넥터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렴하고 뛰어난 생산성은 물론 비전문가라도 누구나 손쉽게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연결 상태의 경량패널을 빠르고 견고하게 조립 혹은 분해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Lightweight partition with simple connection structure by straight connector}
본 발명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파티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프레임 구조로 된 경량패널을 별도 구비의 직선형 커넥터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경량패널의 프레임과 직선형 커넥터 간의 긴밀한 조립 및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연결 상태가 약화되거나 연결부에서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직선 연결의 경량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공간이나 사무공간 등의 다양한 실내 공간에는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 및 사생활을 보호할 목적 혹은 불필요하게 노출된 공간을 은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파티션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파티션은 통상적으로 사각의 패널 형태를 갖고 다양한 높이와 크기 및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파티션은 서로 이웃하는 파티션에 대한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짐에 따라 분할 파티션을 연속하여 연결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와 폭 또는 굴절 형태로의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즉, 종래의 파티션 및 그에 대한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168537호와 같이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후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견고하고 안정된 체결력을 갖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파티션 연결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673893호와 같이 파티션 간의 연결 조립에 의해 사무실의 실내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파티션에 있어서,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파티션 본체; 삽입을 통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주하는 탄성판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탄성판의 구조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연결조립수단; 및 상기 파티션 본체들의 측면에서 상기 파티션 본체에 일체로 장착된 연결조립수단에 삽입을 통한 장착과 인출을 통한 탈착이 가능하고, 조립이 완료된 파티션 본체 간에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파티션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 각 파티션 간의 연결 조립 및 분리 해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 사무 환경에 적합하게 파티션의 이동 및 사무실의 공간 분할 등이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파티션 및 그 연결 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93631호와 같이 파티션의 가장자리에 배설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별도의 체결과정 없이 클램프를 통해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파티션들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파티션 연결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01035호와 같이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양쪽 한 쌍의 걸림대 사이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파티션들에 대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며, 만약 걸림대가 연결되는 수직프레임이 일그러지거나 변형된다 하더라도 조절부재를 조이거나 풀면서 항상 적정의 고정력으로 파티션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직프레임 혹은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연결장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바를 이용하여 조절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파티션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 연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561174호와 같이 서로 이웃한 패널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는 엔드캡 및 이웃한 엔드캡을 결속하는 결속부로 구성되어, 서로 이웃한 파티션의 상측 가장자리끼리 후크 결합 방식으로 간단히 서로 결속하여 파티션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파티션의 측부위끼리 결속하여 견고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의 연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파티션 및 이를 위한 결속장치는 제작이 번거롭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지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일반적인 파티션은 사각 형태의 견고한 패널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재 혹은 목재나 유리판재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파티션은 단순 차단 작용만을 수행하는 실내용 파티션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무겁고 경직된 디자인을 갖고 있어 실내 인테리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파티션을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의 결속장치도 각 파티션의 측단부에 대한 별도 고정부재의 조립 및 이들 고정부재를 이용한 연결부재의 삽입과 결합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부재에 대한 제작 및 조립과 이들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티션에 대한 연결부재로의 결합 과정과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기존의 파티션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부품 수가 매우 많고 추가로 조립하거나 파티션의 연결과정에서 체결 혹은 가공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어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168537 (1999.11.1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73893 (2007.01.1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93631 (2009.04.0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01035 (2013.08.2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61174 (2015.10.12.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절곡각관에 의한 프레임체에 직물시트가 감싸져 만들어진 경량패널을 직선 형태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경량패널의 양측단에 연결공을 다수 형성하고, 이들 경량패널은 별도 구비의 직선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연속하여 연결되는 경량패널의 연결 및 고정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경량패널 간의 체결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곡각관에 의한 프레임체에 직물시트가 감싸진 경량패널이 별도 구비의 직선형 커넥터에 의해 직선 형태로 연속하여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경량패널의 양측면에는 프레임체에 형성되는 연결공을 상,하로 반복하여 형성하고, 직선형 커넥터는 경량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몸체와 그 회전몸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의 연결공으로 삽입되는 끼움고정구로 구성되되,
프레임체의 연결공에는 상,하측으로 축소 내경의 삽입안내홈이 연결공으로부터 확장 형성되고, 직선형 커넥터의 끼움고정구 상,하측으로는 삽입안내홈과 대응하는 크기의 걸림고정구가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한 경량패널의 각 프레임체에 형성된 연결공으로 직선형 커넥터의 끼움고정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직선형 커넥터의 회전몸체에 대한 90° 회전을 통해 상기의 경량패널이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량패널을 일자 형태로 연결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경량패널을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어 조립 및 시공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고, 경량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직선형 커넥터는 파티션 프레임과의 긴밀하고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호 연결된 경량패널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등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충격이나 진동이 파티션에 작용하더라도 패널 간의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직선형 커넥터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렴하고 뛰어난 생산성은 물론 비전문가라도 누구나 손쉽게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 및 연결 상태의 경량패널을 빠르고 견고하게 조립 혹은 분해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파티션을 이용한 파티션 구조체의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간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및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파티션용 직선형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간 상호 연결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간 상호 연결 과정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간 상호 연결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파티션용 직선형 커넥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파티션을 이용한 파티션 구조체의 일실시예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간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패널 및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파티션용 직선형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파티션은 다양한 패널연결구 혹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직선 형태 또는 굴절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구획 또는 칸막이 형태로 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경량 파티션은 프레임체(110)와 직물시트(120)에 의한 경량패널(100)(100')에 의한 것으로 한정될 것이다.
즉, 상기의 경량패널(100)(100')은 사각의 절곡각관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의 직사각 프레임체(110)를 제작하고, 이러한 프레임체(110)에 다양한 색감과 질감 또는 무늬의 프린팅이 가능한 직물시트(120)를 씌워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프레임체(110)는 각관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므로 더욱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할 것이고, 직물시트(120) 역시 프레임체(1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손쉽게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기존의 칸막이체에 비하여 제작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매우 경량이면서 보다 다양한 색감이나 질감 혹은 디자인적 요소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량패널(100)(100')의 양측면에는 프레임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공(111)(111')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되, 상기의 연결공(111)(111')에는 상,하 방향으로 확장된 삽입안내홈(112)(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삽입안내홈(112)(112')은 연결공(111)(111')의 내경에 비해 축소된 내경을 갖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삽입안내홈(112)(112')을 갖는 연결공(111)(111')은 프레임체(110)의 외측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해당 위치의 직물시트(120)를 절개하거나 절취하여 외부로부터 연결공(111)(111')이 노출된 형태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경량패널(100)(100')은 별도 구비의 직선형 커넥터(200)에 의해 일직선 형태로 연속하여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직선형 커넥터(200)는 직사각 형태로 된 회전몸체(201)와 그 회전몸체(20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끼움고정구(202)(20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그 끼움고정구(202)(202') 상,하측으로는 전기한 프레임체(110)의 삽입안내홈(112)(112')과 대응하는 크기의 걸림고정구(203)(203')가 회전몸체(201)의 표면으로부터 이격(프레임의 단면두께에 해당)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웃한 경량패널(100)(100')의 각 프레임체(110)에 형성된 연결공(111)(111')으로 직선형 커넥터(200)의 끼움고정구(202)(202')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를 90° 회전시키면, 원형 단면으로 된 끼움고정구(202)(202')는 원형의 연결공(111)(111')을 통해 회전몸체(201)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고, 프레임체(110)의 연결공(111)(111')에 형성된 삽입안내홈(112)(112')을 통해 프레임체(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던 끼움고정구(202)(202')의 걸림고정구(203)(203')는 프레임체(110)의 내측에서 삽입안내홈(112)(112')과 어긋나 회전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 회전몸체(201)의 회전으로 인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경량패널(100)(100')과 이들 사이의 직선형 커넥터(200)는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견고한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프레임체(110)에 의한 경량패널(100)(100')을 직선 형태로 연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경량패널(100)(100')의 사이에 결합되는 직선형 커넥터(200)를 단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서로 이웃하는 경량패널(100)(100')의 빠르고 견고한 연결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연결 상태의 경량패널(100)(10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를 추가로 90° 회전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시키면 끼움고정구(202)(202')의 걸림고정구(203)(203')와 연결공(111)(111')의 삽입안내홈(112)(112')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면서 간편하고 손쉽게 경량패널(100)(100')을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기한 바와 같은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되, 직사각 형상의 회전몸체(201) 중 짧은 변의 길이는 프레임체(110)의 전,후 방향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직선형 커넥터(200)의 끼움고정구(202)(202')가 프레임체(110)의 연결공(111)(111')에 초기 삽입된 상태에서는 직사각의 회전몸체(201)가 프레임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회전몸체(201)를 90° 회전시켜 끼움고정구(202)(202')의 걸림고정(203)(203')가 프레임체(110)에 형성된 연결공(111)(111')의 삽입안내홈(112)(112')으로부터 어긋나 회전되면 상기의 회전몸체(201)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체(110)의 전,후면으로부터 미돌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직사각 형태로 된 회전몸체(201)가 경량패널(100)(100')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는 경량패널(100)(100')의 미조립 상태임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고, 돌출 부분을 파지하거나 공구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경량패널(100)(100')의 상호 연결 및 고정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직선형 커넥터(200)가 외부로 전혀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직선형 커넥터(200)의 직사각 회전몸체(201) 중 양측의 긴 변에는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몸체(201)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공구홈(204)(204')을 더 형성함에 따라 드라이버 등을 공구홈(204)(204')에 끼워 보다 편리하고 강력하게 회전몸체(201)를 돌려 경량패널(100)(100')의 연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 양면에는 프레임체(110)의 측단부 양면에 계지되게 한 걸림돌기(205)(205')를 더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의 걸림돌기(205)(205')는 회전몸체(201)의 양측면 중 상,하로 이격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도 이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일측면에 총 4개소의 걸림돌기(205)(205')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에, 경량패널(100)(10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 회전몸체(201)를 90° 회전시키면 경량패널(100)(100')의 전,후 방향에 위치하고 있던 걸림돌기(205)(205')가 경량패널(100)(100')의 측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게 될 것이고,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205)(205')는 프레임체(110)의 측단부 양면에 동시에 계지되면서 상기의 회전몸체(201)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걸림돌기(205)(205')로 인해 직선형 커넥터(200)는 충격이나 진동이 파티션에 작용하더라도 임의 회전하여 경량패널(100)(100')의 연결 고정 상태가 해제 혹은 상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고, 이들을 분리 또는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몸체(201)의 측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구홈(204)(204')을 이용하여 회전몸체(201)를 강력하게 회전시키면 상기의 걸림돌기(205)(205')는 프레임체(110)의 측단 계지 상태로부터 이탈되면서 경량패널(100)(100')의 손쉬운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 양면에는 프레임체(110)의 외측면에 면접되게 한 탄지편(206)(206')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경량패널(100)(100')의 프레임체(110)와 직선형 커넥터(200) 간의 유격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탄지편(206)(206')은 회전몸체(201)의 표면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회전몸체(201)의 90° 회전 과정에서 탄지편(206)(206')은 프레임체(110)의 외면과 간섭되면서 내측으로 탄력 절곡된 상태를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지편(206)(206')의 탄력 절곡으로 인한 반력은 프레임체(110)와 회전몸체(201)를 지속적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탄발력으로 인해 프레임체(110)와 직선형 커넥터(200) 간의 치수 공차 혹은 마모 및 변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간극이나 틈새가 완벽하게 제거되면서 이들 상호 간의 유격으로 인한 파티션의 흔들림이나 느슨함 등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경량패널(100)(100') 및 직선형 커넥터(200)를 이용한 직선형 경량 파티션은 경량패널(100)(100')의 빠르고 견고한 연결 및 고정은 물론 손쉬운 조립과 분리가 가능한 것이고, 상호 연결 상태에서의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견고한 연결 및 고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유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 경량패널
110 : 프레임체 111,111' : 연결공
112,112' : 삽입안내홈
120 : 직물시트
200 : 직선형 커넥터 201 : 회전몸체
202,202' : 끼움고정구 203,203' : 걸림고정구
204,204' : 공구홈 205,205' : 걸림돌기
206,206' : 탄지편

Claims (5)

  1. 절곡각관에 의한 프레임체(110)에 직물시트(120)가 감싸진 경량패널(100)(100')이 별도 구비의 직선형 커넥터(200)에 의해 직선 형태로 연속하여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경량패널(100)(100')의 양측면에는 프레임체(110)에 형성되는 연결공(111)(111')을 상,하로 반복하여 형성하고, 직선형 커넥터(200)는 경량패널(100)(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몸체(201)와 그 회전몸체(20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의 연결공(111)(111')으로 삽입되는 끼움고정구(202)(202')로 구성되되, 프레임체(100)의 연결공(111)(111')에는 상,하측으로 축소 내경의 삽입안내홈(112)(112')이 연결공(111)(111')으로부터 확장 형성되고, 직선형 커넥터(200)의 끼움고정구(202)(202') 상,하측으로는 삽입안내홈(112)(112')과 대응하는 크기의 걸림고정구(203)(203')가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한 경량패널(100)(100')의 각 프레임체(110)에 형성된 연결공(111)(111')으로 직선형 커넥터(200)의 끼움고정구(202)(202')가 삽입된 상태에서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에 대한 90° 회전을 통해 상기의 경량패널(100)(100')이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한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커넥터(200)의 회전몸체(201) 양면에는 프레임체(110)의 측단부 양면에 계지되게 한 걸림돌기(205)(205')를 더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38680A 2023-03-24 2023-03-24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KR10257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680A KR102574370B1 (ko) 2023-03-24 2023-03-24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680A KR102574370B1 (ko) 2023-03-24 2023-03-24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370B1 true KR102574370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680A KR102574370B1 (ko) 2023-03-24 2023-03-24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3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37Y1 (ko) 1999-08-16 2000-02-15 이정우 파티션 연결구조
KR100673893B1 (ko) 2004-11-24 2007-01-24 조명구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파티션 및 그 연결 장치
KR100893631B1 (ko) 2008-04-10 2009-04-17 주식회사 모빌퍼스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파티션 연결구조
KR20100011445U (ko) * 2009-05-15 2010-11-24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체결용 커넥터
KR101301035B1 (ko) 2013-05-06 2013-08-28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파티션 연결장치
KR101561174B1 (ko) 2015-03-09 2015-10-16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2070424B1 (ko) * 2019-01-09 2020-01-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KR102121486B1 (ko) * 2019-10-02 2020-06-11 (주)아모스아인스가구 분할형 회전결합구를 이용한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537Y1 (ko) 1999-08-16 2000-02-15 이정우 파티션 연결구조
KR100673893B1 (ko) 2004-11-24 2007-01-24 조명구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파티션 및 그 연결 장치
KR100893631B1 (ko) 2008-04-10 2009-04-17 주식회사 모빌퍼스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파티션 연결구조
KR20100011445U (ko) * 2009-05-15 2010-11-24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체결용 커넥터
KR101301035B1 (ko) 2013-05-06 2013-08-28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파티션 연결장치
KR101561174B1 (ko) 2015-03-09 2015-10-16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2070424B1 (ko) * 2019-01-09 2020-01-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KR102121486B1 (ko) * 2019-10-02 2020-06-11 (주)아모스아인스가구 분할형 회전결합구를 이용한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62811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KR102070424B1 (ko)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EP2852720B1 (en) Construction set and fixing system for ventilated claddings
JP5408812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102262484B1 (ko) 파티션 패널용 연결부재
KR102574370B1 (ko) 직선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KR102121486B1 (ko) 분할형 회전결합구를 이용한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US20080172978A1 (en) Screen wall system
KR102574369B1 (ko) 굴절형 커넥터에 의한 간편 연결구조의 경량 파티션
JP6230804B2 (ja) 組立什器及び組立什器の製造方法
KR20180000163U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KR20180096035A (ko) 지오데식 돔용 허브 커넥터
JP6397976B1 (ja) パイプ抱持バンド取付具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0274393Y1 (ko) 분리식 사무용 칸막이구조
CN211146390U (zh) 连接件及其连接组件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CN212838938U (zh) 一种连接结构
JP6545142B2 (ja) 嵌め込みジョイナー
JP2019183418A (ja) シート張設体
JP6239835B2 (ja) 壁カバーのための組立体及びキット
JP6882887B2 (ja) 板材の取付構造及び板材の取付方法
JP2013245542A (ja) 建築用キャップ材及びその外囲体
JP5440475B2 (ja) 出隅用パネル取付金具及び出隅用パネル取付構造
KR20180003026U (ko) 파티션 체결 장치
JP6461877B2 (ja) 外壁パネル固定具及び外壁パネル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