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346B1 - 도어 락 - Google Patents

도어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346B1
KR102574346B1 KR1020197034626A KR20197034626A KR102574346B1 KR 102574346 B1 KR102574346 B1 KR 102574346B1 KR 1020197034626 A KR1020197034626 A KR 1020197034626A KR 20197034626 A KR20197034626 A KR 20197034626A KR 102574346 B1 KR102574346 B1 KR 10257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lock
induction
door lock
main
mai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611A (ko
Inventor
양 왕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8/0377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36684A1/en
Publication of KR2020001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1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back doors of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도어 락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을 잠글 수 있으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것인, 메인 슬라이딩 블록;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는, 도어 락이 잠긴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 해제된 상태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도어 락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도어 락은,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의 출력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락
본 출원은 전기 장비(예를 들어, 세탁기, 식기 세척기)용 도어 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 락은, 전기 장비(예를 들어, 세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전기 장비의 작동을 개선하기 위한, 신규의 도어 락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전기 장비의 작동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은, 전기 기기에서의 사용을 위한 도어 락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가, 도어 락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을 잠글 수 있으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것인, 메인 슬라이딩 블록;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제1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는, 도어 락이 잠긴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 해제된 상태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도어 락에 대한 보호를 추구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도어 락은, 지시 장치로서, 지시 장치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 따라 지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지시 신호는 도어 락이 잠긴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 해제된 상태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지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도어 락은, 유도 래치(induction latch)로서, 유도 래치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이에 따라 제2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래치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유도 래치는, 상기 지시 장치가 상기 지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지시 장치를 시작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의 일 측부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푸시 아암이,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의 일 측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푸시 아암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도어 락은, 편향 장치(biasing apparatus)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편향 장치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민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편향 장치는 스프링이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단차형 부분(stepped part)을 구비하며, 그리고 단차형 부분은, 연결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측 단차와 하측 단차를 구비하고; 베어링 표면 및 리세스가 상기 상측 단차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베어링 표면은, 상기 상측 단차의 원위 단부에 배열되며, 상기 베어링 표면은 상기 리세스보다 더 높고, 상기 리세스의 원위 단부가 상기 베어링 표면에 연결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induction sliding block restoration part)이, 상기 리세스의 근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에 제공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induction sliding block release part)이, 상기 하부 단차의 원위 단부에서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이, 상기 하측 단차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차단 표면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induction sliding block protrusion locking claw)가, 상기 하측 단차의 상기 원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은, 복원 사면(restoration bevel)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복원 사면은, 상기 상측 단차의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내향으로 경사지고; 그리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은, 회전 사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회전 사면은, 상기 하측 단차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외향으로 경사진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도어 락은, 도어 락 박스로서, 도어 락 박스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induction sliding block sliding chute)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하는 것인, 도어 락 박스를 더 포함하고; 노치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내벽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이, 상기 노치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차단 표면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제1 방향을 따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induction sliding block recovery bevel)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을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과 협력하기 위해, 상기 외벽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도어 락은,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의 출력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양태가, 도어 락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을 잠글 수 있으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것인, 메인 슬라이딩 블록; 유도 슬라이딩 블록으로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슬라이딩 블록; 유도 래치로서, 유도 래치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표면 상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유도 래치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이에 따라 제2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래치; 및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유도 래치는 스위칭 장치를 폐쇄하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는 것인,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도어 락에 대한 보호를 추구한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의 일 측부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푸시 아암이,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의 일 측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푸시 아암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할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도어 락은, 편향 장치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편향 장치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민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편향 장치는 스프링이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은, 단차형 부분을 구비하며, 그리고 단차형 부분은, 연결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측 단차와 하측 단차를 구비하고; 베어링 표면 및 리세스가 상기 상측 단차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베어링 표면은 상기 상측 단차의 원위 단부에 배열되며, 상기 베어링 표면은 리세스보다 더 높고, 상기 리세스의 원위 단부가 상기 베어링 표면에 연결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이, 상기 리세스의 근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에 제공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이, 상기 하측 단차의 원위 단부에서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이, 상기 하측 단차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차단 표면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가, 상기 하측 단차의 원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은, 복원 사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복원 사면은, 상기 상측 단차의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내향으로 경사지고; 그리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은, 회전 사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회전 사면은, 상기 하측 단차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외향으로 경사진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에 따른 도어 락은, 도어 락 박스로서, 도어 락 박스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하는 것인, 도어 락 박스를 더 포함하고; 노치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내벽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이, 상기 노치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차단 표면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이 제1 방향을 따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을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과 협력하기 위해, 상기 외벽의 근위 단부에 제공된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도어 락에 따르면, 상기 유도 래치는,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으며 그리고, 유도 래치가 연결 해제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또는 폐쇄 위치로부터 연결 해제된 위치로 이동할 때, 순간적인 점프 프로세스가 존재하여, 이동 가능한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 상태에 놓일 때, 준-연결(semi-linkage) 또는 나쁜 접촉의 상태를 회피하도록 한다.
도 1a는, 도어 락(100)의 일부 구성요소가 분해도로 도시된, 자체의 정면 측에서 도시된 본 출원의 도어 락(100)의 전체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b는 자체의 배면 측에서 도시된 본 출원의 도어 락(100)의 전체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상부 커버(117)가 절취되고 액추에이터(103)가 제거된 이후의, 도 1a의 도어 락(100)의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구조적 입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a는, 도어 락 박스(110) 내의 모든 구성요소가 제거된, 도 2의 도어 락 박스(110)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부분(403)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a는 도어 락 박스(110)에서의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설치를 도시하는 입체적 개략도이고;
도 5b는 도어 락 박스(110)에서의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설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조립 입체도 및 조립 분해도이고;
도 6c 및 도 6d는, 자체의 후방 측에서 도시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조립 입체도 및 조립 분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4a 및 도 4b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에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위에 위치되는 구성요소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a 내지 도 8g는 본 출원의 도어 락(100)의 관련 구성요소들의 협력에 관한 작동 프로세스 도면들이며; 그리고
도 9는, 지시 회로(706)의 구조적 상세 사항을 도시하기 위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지시 회로(706)의 실시예이다.
본 출원의 다양한 특정 구현 방식들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비록 "전방", "후방", "위", "아래", "좌측", "우측", "헤드부", "후미부", "근위 단부", "원위 단부"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이 본 출원에서 본 출원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적 부분들과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예시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이며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배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른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방향을 나타내는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예시로서만 사용되며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가능한 경우, 본 출원에 사용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도어 락(100)의 일부 구성요소가 분해도로 도시된, 자체의 전방측에서 관찰되는 본 출원의 도어 락(100)의 전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자체의 후방 측에서 관찰되는 본 출원의 도어 락(100)의 전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100)은 도어 락 박스(110)를 포함하고, 상부 커버(117)가, 도어 락 박스(110)의 상측 부분에 제공되며, 그리고 도어 잠금 구멍(door lockhole)(112)이, 도어 후크(101)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 커버(117)의 헤드부 위에 설정된다. 도어 후크(101)는 도어 잠금 구멍(112)의 위에 위치되며, 그리고, 도어 후크(101)가, 도어 락 박스(110) 위의 도어 잠금 구멍(112)으로부터 도어 락(100) 내로 삽입되어, 도어 락(100) 내부에서 캠(201)(도 2 참조)에 걸릴 때, 그리고 캠(201)이 잠길 때, 전기 기기의 도어는, 그에 따라 잠길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1a에서, 도어 락(100)은, 작동 구성요소(103) 및 스위치 박스(105)를 더 포함한다. 하측 표면(119)이, 도어 락(100)의 상부 커버(117)의 헤드부 아래에 제공되고, 수용 캐비티(accommodating cavity)(115)가 상부 커버(117)와 하측 표면(119)의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작동 구성요소(103)가 수용 캐비티(115)에 수용된다. 작동 구성요소(103)는, 코일(121)과 철심(122)뿐만 아니라 전방 단부의 접촉 탐침(123)이 그 내부에 제공되는, 전자기적 구동 부품이다. 작동 구성요소(103)가 시작 신호를 수신한 후에, 코일(121)이, 전원 온 되며, 그리고 코일(121)은, 접촉 탐침(123)을 밀어내기 위해, 철심(122)에 전자기적인 미는 힘(pushing force)을 발생시키며, 그리고 전원이 오프된 이후에, 접촉 탐침(123)은 후퇴된다. 스위치 박스(105)는, 상부 커버(117)의 후미부(tail) 아래에 장착된다. 작동 구성요소(103)의 기능은, 도어 락(100) 내의 관련 구성요소들을 작동시키는 것인 반면, 스위치 박스(105)의 기능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것, 및 도어 락(100)을 제어하는 메인 회로를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14)가, 상부 커버(117)의 헤드부 아래에 제공되는 한편, 스위치 박스(105)는 상부 커버(117)의 후미부 아래에 제공되며, ㄱ그리고 섀시(114) 및 스위치 박스(105)는, 상부 커버(117) 아래의 표면 상에서 도어 락 박스(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도 2는, 섀시(114), 스위치 박스(105), 및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내의 구성요소들, 그리고 섀시(114), 스위치 박스(105), 및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사이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상부 커버(117)가 절취되고 작동 구성요소가(103)가 제거된 이후의, 도 1a의 도어 락(10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섀시(114) 및 스위치 박스(105)는, 상부 커버(117) 아래의 표면 상에서 도어 락 박스(110)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상부 커버(117)와 스위치 박스(105) 사이에 배열되며 그리고 도어 락 박스(110)의 폭 방향으로 섀시(114)와 스위치 박스(105)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좌측 단부(원위 단부)는, 섀시(114) 위의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잠금 구멍(lockhole)(219)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상에 제공되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잠금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스위치 박스(105) 내의 잠금쇠(locking dog)(도시되지 않음)가 잠금 구멍(219)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감기며 그리고 그에 따라 전기 도어 또한 잠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01)이 섀시(114) 상에 제공되며, 캠(201)은 도어 후크(101) 아래에 배열되고, 캠(201)의 본체는, 초승달 모양의 만곡된 구조이며 그리고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개방 슬롯(202)을 갖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개방 슬롯(202)의 상측 단부는 후크(205)이다. 도어 잠금 구멍(112)(도 1 참조)에 삽입된 이후에, 도어 후크(101)는, 캠(201)을 밀어서 회전시키며, 그리고 캠(201)의 회전은, 후크(205)를 도어 후크(101)의 구멍(102)에 삽입시켜서 후크(101)에 걸리게 한다. 개방 슬롯(202)의 하측 단부(206)가, 도어 후크(101)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며, 그리고, 도어 후크(101)가 삽입될 때, 도어 후크(101)의 전방 단부는, 캠(20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밀기 위해, 개방 슬롯(202)의 하측 단부(206)에 대해 압박한다.
캠(201)은, 캠(201)이 원형 샤프트들(212 및 21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양측에서 원형 샤프트들(212 및 214)을 통해 섀시(114) 상에 고정된다. 비틀림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을 포함하고,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은 개별적으로, 원형 샤프트들(212 및 214)의 둘레에 끼워지며,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은, 캠(201)을 리셋하기 위한 비틀림력(torsion)을 제공한다. 도어 후크(101)가 캠(201)으로부터 밖으로 당겨질 때,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은, 캠(20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한다. 캠 래치(cam latch)(211)가, 캠(201)의 후미측 단부의 양측에 또한 제공되며, 그리고 캠 래치(211)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좌측 단부(원위 단부)에 대해 접경한다. 한편,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은, 도어를 개방하는 편향력(biasing force)을 제공하고, 즉, 캠(201)과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일 때, 비틀림 스프링(210)은, 도어 후크(101)를 캠(201)으로부터 배출한다.
도 2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전방 단부를 도시하고, 리셋 스프링(213)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우측 단부(근위 단부)에 제공되며, 캠(201) 상의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의 비틀림력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상의 리셋 스프링(213)의 탄성력보다 크며, 그리고 그에 따라, 캠(20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201)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을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밀 수 있다. 리셋 스프링(213)과 비틀림 스프링들(210.1, 210.2)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캠(201)이 회전할 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와 더불어, 왕복 이동한다. 특히, 리셋 스프링(213)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캠(201) 상의 캠 래치(211)에 대해 접경하도록 하기 위한 사전 조임력(pretightening force)을 제공하는 가운데,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은, 캠(20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미는 힘을 제공한다. 비틀림 스프링들(210.1 및 210.2)과 리셋 스프링(213)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캠(201)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201)의 후방 단부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사이의 접촉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상응하는 왕복 운동을 생성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후크(101)가 캠(201) 내에 삽입될 때, 캠(20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리고 리셋 스프링(213)의 작용 하에,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그의 잠금 위치로 이동하며(좌측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도어 후크(101)가 캠(201)으로부터 밖으로 당겨질 때, 캠(20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201) 상의 캠 래치(211)는, 리셋 스프링(213)의 작용력을 극복하도록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을 밀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그의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우측으로 이동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구조적 입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대략 직사각형 구조이며, 그리고 원위 단부(좌측 단부) 부분(301)과 근위 단부(우측 단부) 부분(30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원위 단부는, 단차 형태(stepped form)이고, 더불어 원위 단부 부분(301)의 제1 측부(외측 측부)는 상측 단차(303)이며 그리고 원위 단부 부분(301)의 제2 측부(내측 측부)는 하측 단차(304)이다.
베어링 표면(342) 및 리세스(328)가 상측 단차(303) 상에 제공되고, 베어링 표면(342)은 상측 단차(303)의 원위 단부(좌측 단부) 부분(352)에 배열되며, 베어링 표면(342)은 리세스(328)보다 더 높고, 리세스(328)의 원위 단부(좌측 단부)는 베어링 표면(342)에 연결되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induction sliding block restoration part)(327)이, 리세스(328)의 근위 단부(우측 단부)에서 외측 측면에 제공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327)은, 복원 사면(restoration bevel)(370)을 구비하며, 복원 사면(370)은 리세스(328)의 근위 단부 방향을 향해 내향으로 경사진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induction sliding block release part)(323)이, 하측 단차(304)의 상측 표면(325)의 원위 단부(좌측 단부)에 제공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323)은, 회전 사면(324)을 구비하며, 회전 사면(324)은 리세스의 원위 단부를 향해 외향으로 경사지며; 그리고 상측 단차(303)의 원위 단부 부분(352)의 내측면(353)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323)에 연결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323)은, 내측면(353)에서 돌출한다. 차단 표면(blocking surface)(326)이, 하측 단차(304)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326)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protrusion locking claw)(355)가, 하측 단차(304)의 원위 단부(좌측 단부)에서 외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관통 구멍(331) 및 정합 마스트(registration mast)(337)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에 편향 장치(336)(예를 들어, 스프링)를 장착하기 위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근위 단부(우측 단부) 부분(302)의 후미부에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도 3a는 유도 래치(induction latch)(360)를 또한 도시한다. 유도 래치(360)는, 후미부(361), 헤드부(362), 및 쇼울더부(363)를 구비한다.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는, 상측 단차(303)의 베어링 표면(342) 상에 그리고 리세스(328)의 표면(38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유도 래치(360)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길이 방향(제1 방향, 즉 화살표(350)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으나, 유도 래치(360)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사이의 상대 운동은, 유도 래치(360)가 화살표(351)에 의해 도시된 방향(제2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방향과 제1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유도 래치(360)가 리세스(328) 내에 위치될 때(폐쇄 위치),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도어 락(100) 내의 스위칭 장치를 폐쇄할 수 있으며(도 7a 참조); 그리고 유도 래치(360)가 베어링 표면(342) 상에 위치될 때(연결 해제 위치),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도어 락(100) 내의 스위칭 장치를 연결 해제할 수 있다(도 7b 참조).
도 4a는, 도어 락 박스(110) 내의 모든 구성요소가 제거된, 도 2의 도어 락 박스(110)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 박스(110)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induction sliding block sliding chute)(402) 및 메인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4)를 구비한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는, 외벽(412) 및 내벽(414)을 구비하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4)는, 내벽(414)(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내벽(414)과 공유되는 벽) 및 외벽(416)을 구비한다. 홈(413)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외벽(412)의 원위 단부 부분에 제공되며, 그리고 홈(415)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내벽(414)의 원위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메인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4)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어 락 박스(110)는, 유도 래치(360)가 슬라이딩하는 동안, 유도 래치(360)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418)을 더 구비한다.
도 4b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한, 도 4a의 부분(40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13)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외벽(412)의 원위 단부 부분에 제공되며, 그리고 홈(415)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내벽(414)의 원위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induction sliding block recovery bevel)(437)이, 외벽(412) 상의 홈(413)의 근위 단부에서 내측면 아래에 제공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437)은, 홈(415)의 근위 단부(우측 단부) 방향으로 외향으로 경사진다. 노치(422)가, 내벽(414) 상의 홈(415)의 원위 단부 부분(좌측)에서 외측 측면 아래에 제공되며, 그리고 차단 표면(423)이 노치(422)의 원위 단부 부분(좌측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도 5a는 도어 락 박스(110) 내에서의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설치를 도시하는 입체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어 락 박스(110)에서의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설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내에 장착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운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4) 내에 장착되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4)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다. 푸시 아암(502)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측면에 제공되며, 그리고 푸시 아암(502)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하측 단차(304)의 상측 표면(325)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길이 방향(제1 방향, 즉 화살표(350)로 도시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과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사이의 협력 관계 및 푸시 아암(502)의 형상적 상세 사항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조립 입체도 및 조립 분해도로서, 도 6a 및 도 6b는 그의 정면 측에서 도시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조립 입체도 및 조립 분해도이고; 도 6c 및 도 6d는 그의 배면 측에서 도시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조립 입체도 및 조립 분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아암(502)은 측면부(603) 및 편평한 바닥(605)을 갖는다.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그의 길이 방향(제1 방향, 즉 화살표(350)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그의 측면부(603)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그의 길이 방향(제1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하기 위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차단 표면(326)에 대해 압박한다.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그의 길이 방향(제1 방향)을 따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스프링(336)으로부터의 편향력(biasing force)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푸시 아암(502)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회전 사면(324)을 지나갈 때, 회전 사면(324) 상에 생성되는 힘 성분(component force)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소정 각도(예를 들어, 2.0 내지 2.5도) 회전시킬 것이고, 따라서 끼인각(included angle)(도 8c 및 도 8d 참조)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과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길이 방향(제1 방향) 사이에 형성된다. 푸시 아암(502)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복원 사면(370)이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상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437)을 지나갈 때, 2개의 사면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생성되는 힘 성분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것이고(반대 방향으로 2.0 내지 2.5도 회전시킴), 따라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길이 방향(제1 방향)에 평행한 위치로 복귀한다(도 8f와 도 8g 참조).
도 7a 및 도 7b는, 유도 래치(360)가 어떻게 스위칭 장치를 폐쇄하고 연결 해제하는 지를 보여주기 위해, 도 4a 및 도 4b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내에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위에 위치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 상에 배열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703), 및 고정 도체 로드(fixed conductor rod)(704)를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래치(360)가 소정 거리만큼 하향으로 이동한 이후에,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로부터 떨어지며,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접점(703)이 전원 회로를 연결하도록 고정 도체 로드(704)와 접촉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래치(360)가 소정 거리만큼 상향 이동한 이후에,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를 위로 들어올리며,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전원 회로를 연결 해제하도록 고정 도체 로드(704)로부터 떨어진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 장치(706)의 입력부(705)가, 고정 도체 로드(7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전원 회로가 연결될 때, 지시 장치(706)는, 도어 락(100)이 잠긴 상태에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상태 신호(예를 들어,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를 출력하며; 그리고 전원 회로가 연결 해제될 때, 지시 장치(706)는, 도어 락(100)이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음을 지시하는, 제2 상태 신호(예를 들어,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를 출력한다.
도 8a 내지 도 8g는 본 출원의 도어 락(100) 내의 관련 구성요소들의 협력에 관한 동작 프로세스 도면들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8a 내지 도 8d는 도어 락(100)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8e 내지 도 8g는 도어 락(300)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100)은 이 시점에 개방 상태에 놓인다.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가장 좌측 위치(즉,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 상의 푸시 아암(502)의 측면부(603)는 차단 표면(326)에 대해 압박한다. 앞서, 도어 후크(101)가 캠(201)으로부터 밖으로 당겨지는 프로세스에서, 푸시 아암(502)은, 탄성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좌측으로 압축 스프링(336)을 이동시키도록,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밀고,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가장 좌측 단부로 민다. 이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가장 좌측에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에 의해 차단되며 그리고 이동할 수 없다.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베어링 표면(342) 상에 놓이며, 그리고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를 위로 들어올리고,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고정 도체 로드(704)로부터 떨어지며 그리고 전원 회로를 연결 해제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지시 장치(706)는, 제2 상태 신호(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를 출력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해제 위치에 놓이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개방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도어 락(100)은 개방 상태에 놓인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후크(101)가 캠(201)에 진입함에 따라, 도어 락(100)이 폐쇄되기 시작한다.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우측의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스프링(336)의 탄성력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가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내에서 차단 표면(423)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우며, 그리고 이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일시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 이때,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는, 여전히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베어링 표면(342) 상에 놓이며, 그리고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를 위로 들어올리고,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고정 도체 로드(704)로부터 떨어지며 그리고 전원 회로를 연결 해제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지시 장치(706)는, 제2 상태 신호를 유지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해제 위치를 떠나며 그리고 잠금 위치로 이동하지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여전히 개방 위치에 놓인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계속해서 우측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푸시 아암(502)의 우측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회전 사면(324)에 접촉한다. 푸시 아암(502)의 연속적인 이동은, 하향 회전시키기 위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원위 단부(우측 단부)를 밀도록, 하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밀어내는, 힘 성분을 생성할 것이다. 이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내에서 차단 표면(423)에 의해 여전히 차단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여전히 움직일 수 없다. 이때,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는, 여전히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베어링 표면(342) 상에 놓이며 그리고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를 위로 들어올리고,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접점은, 고정 도체 로드(704)로부터 떨어지며 그리고 전원 회로를 연결 해제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지시 장치(706)는, 제2 상태 신호를 유지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위치로 이동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여전히 개방 위치에 놓인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계속해서 우측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푸시 아암(502)의 우측부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회전 사면(324)의 중간 또는 상부를 지나간다. 푸시 아암(502)은, 계속해서 하향 회전하도록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원위 단부(우측 단부)를 밀어낸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502)의 원위 단부가 소정 각도(예를 들어, 2.0 내지 2.5도)만큼 하향 회전할 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는, 노치(422)의 밖으로 밀려 나온다. 이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그가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내에서 차단 표면(423)에 의해 더 이상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움직일 수 있으며, 그리고 스프링(336)의 탄성력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원위 단부(우측 단부)의 끝단으로 순간적으로 배출한다. 동시에, 유도 래치(360)가 베어링 표면(342)으로부터 리세스(328)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순간적으로 하향 이동하여,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로부터 떨어지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703)이 전원 회로를 순간적으로 폐쇄하도록 고정 도체 로드(704)에 접촉하도록 야기하고, 따라서 지시 장치(706)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상태 신호가, 제1 상태 신호로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위치에 놓이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폐쇄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도어 락(100)은 폐쇄 상태에 놓인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후크(101)는 캠(201)으로부터 밖으로 당겨지기 시작하며, 도어 락(100)은 개방되기 시작하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푸시 아암(502)의 측면부(603)는, 차단 표면(326)을 밀어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야기하며, 그리고 탄성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스프링(336)을 좌측으로 압축한다.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는 여전히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리세스(328)에 놓이며 그리고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고정 도체 로드(704)에 접촉하며 그리고 전원 회로를 폐쇄하고, 따라서 지시 장치(706)는, 제1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유지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지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여전히 폐쇄 위치에 놓인다.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336)을 계속 압축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복원 사면(370)과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상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437)은, 접촉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밀기 위한 힘을 생성하고, 따라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상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노치(422)에 점진적으로 진입한다.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베어링 표면(342) 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도 래치(360)는 상향으로 이동하고,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를 위로 들어올리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고정 도체 로드(704)로부터 떨어져서 전원 회로를 연결 해제하고, 따라서 지시 장치(706)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상태 신호는, 제2 상태 신호로 변경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개방 위치에 놓인다.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스프링(336)을 추가로 압축하도록 좌측으로 계속 이동한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복원 사면(370)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 상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437)의 중간 또는 상부를 지나가며, 따라서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상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소정 각도(2.0 내지 2.5도)만큼 상향 이동할 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복원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 상의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의 노치(422)에 진입한다. 유도 래치(360)의 헤드부(362)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베어링 표면(342) 위의 중간으로 (또는 중간에 가깝게) 이동하기 때문에, 유도 래치(360)의 후미부(361)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피스(702)를 위로 들어올리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고정 도체 로드(704)로부터 떨어져서 전원 회로를 연결 해제하고, 따라서 지시 장치(706)는 제2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유지한다. 이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그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개방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도어 락(100)은 개방 상태에 놓인다(도 8a에 도시된 상태).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에 대한 것이고;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에 대한 것이며;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는 도어 락(100)에 대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9는, 지시 회로(706)의 구조적 상세 사항을 도시하기 위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지시 회로(706)의 실시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 회로(706)는, 플립플롭 회로(902), 입력 저항기(904), 및 샘플링 저항기(905)를 포함한다. 플립플롭 회로(902)의 신호 샘플링 입력단(903)이, 입력 저항기(904)를 통해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플립플롭 회로(902)의 신호 입력단(903)이 또한, 샘플링 저항기(905)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고정 도체 로드(7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703)이 고정 도체 로드(704)에 연결될 때, 전압 신호가 입력 저항기(904) 상에서 생성되고, 따라서 플립플롭 회로(902)의 출력단(708)이 제1 상태 신호(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로 설정되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703)이 고정 도체 로드(704)에 연결되지 않을 때, 전압 신호가 입력 저항기(904) 상에서 생성되지 않으며, 그리고 플립플롭 회로(902)의 출력단(708)은 제2 상태 신호(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로 설정된다. 도 9에서, 입력 저항기(904)와 샘플링 저항기(905)의 선택은, 2개의 저항기를 통과하는 전류가 작도록 이루어지고, 따라서 2개의 저항기에서의 부분 전류는, 전기 기기의 메인 회로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전기 기기의 현재의 도어 락이, 도어 락이 잠긴 상태인지 또는 개방 상태인지를 지시하는,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를 갖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의 출력은, 전기 기기(예를 들어,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기 기기의 현재의 도어 락은, 도어 락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전원을 연결 해제하기 위한 그리고 도어 락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를 또한 갖도록 제공된다. 이상의 2가지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기기의 현재의 도어 락은, 슬라이딩 블록을 채택하며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 상에 사면을 배열하고, 사면은 양 측면에서 상이한 높이의 위치들을 구비하며, 그리고 구동 래치가 슬라이딩 블록의 사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다. 그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은, 구동 래치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야기할 수 있으며, 그리고 구동 래치의 상하 이동은, 접점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야기하고, 따라서 스위칭 장치의 이동 가능한 접점과 고정 접점은, 전기 기기의 전원을 폐쇄하거나 연결 해제하도록, 접촉 및 분리된다. 동시에, 스위칭 장치의 상태 변경은, 도어 락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를 구동한다. 몇 가지 문제가 이러한 구조에서 존재하는데: 첫째, 전기 기기의 작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진동은, 슬라이딩 블록이 약간의 진동이나 작은 움직임을 생성하도록 야기할 것이고, 슬라이딩 블록에 의해 생성되는 약간의 진동 또는 작은 움직임은, 그에 따라, 구동 래치를 상하로 진동하도록 야기하기 위해, 사면을 통해 구동 래치로 직접적으로 전달될 것인 가운데, 구동 래치의 상하 진동은, 이동 가능한 접점과 고정 접점의 준-접촉(semi-contact) 상태로 이어질 것이며, 그리고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의 출력 신호 상태 또한 불안정해질 것이고; 둘째, 구동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야기하기 위해 슬라이딩 블록 상의 사면을 사용하는 속도는,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스위칭 장치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프로세스는, 연속적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이동 가능한 접점과 고정 접점의 준-접촉 상태는, 쉽게 나타나, 나쁜 접촉을 야기하도록 한다.
도어 락(100)이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는 프로세스에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하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하도록 그리고 순간적으로 폐쇄 위치로 점프하도록 야기하고, 유도 래치(360)는, 연결 해제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순간적으로 점프하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703)은, 고정 도체 로드(704)에 순간적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소정 거리 이동한 이후에, 스프링(336)의 탄성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순간적으로 점프하도록 야기하여, 스프링(336)의 탄성 위치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한다. 도 8e 내지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락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부터 되는 프로세스에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먼저 소정 거리를 이동한 다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밀어낸다. 즉, 이상에 언급된 2가지 프로세스에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예비적인 이동은, 아이들 이동(idle movement)이며, 그리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관한 변경을 야기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전기 기기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비록 전기 기기의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또는 작은 움직임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작은 움직임 또는 흔들림을 야기할 것이지만, 야기되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이동은 단지 아이들 이동일 뿐임에 따라,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이동하도록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도어 락(100)이 폐쇄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 상태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비록 전기 기기의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또는 작은 움직임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작은 움직임 또는 흔들림을 야기할 것이지만,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작은 움직임 또는 흔들림은,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이동하도록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전기 기기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유도 래치(360)는, 안정적으로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그리고 나쁜 접촉이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작은 움직임 또는 흔들림으로 인해 야기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더불어,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프로세스는, 순간적인 프로세스이며, 이는, 유도 래치(360)가 연결 해제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프로세스가, 순간적인 프로세스가 되도록 야기하고, 그리고, 이동 가능한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할 때, 준-연결 또는 나쁜 접촉의 상태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도어 락 상태 지시 장치(706)의 출력 상태가 또한 안정적일 것이며, 그리고 출력 상태는,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작은 흔들림으로 인해, 불안정해지지 않을 것이다.
비록 본 출원의 단지 몇몇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개선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첨부 청구 범위는 본 출원의 실질적인 사상 범위 내에 속하는 이상에 언급된 모든 개선들 및 변경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도어 락(100)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100)을 잠글 수 있으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100)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것인, 메인 슬라이딩 블록; 및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으로서,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슬라이딩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는, 도어 락(100)이 잠긴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 해제된 상태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단차형 부분(steppe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형 부분은 연결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측 단차(303)와 하측 단차(304)를 포함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323)이 하측 단차(304)의 원위 단부에서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326)이 하측 단차(304)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차단 표면(326)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protrusion locking claw)(355)가 상기 하측 단차(304)의 원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2. 제1항에 있어서,
    지시 장치(706)로서, 지시 장치(706)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따라 지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신호는 도어 락(100)이 잠긴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 해제된 상태에 있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지시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4. 제3항에 있어서,
    유도 래치(induction latch)(360)로서,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이에 따라 유도 래치(360)는 제2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래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 래치(360)는, 상기 지시 장치(706)가 상기 지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지시 장치(706)를 시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5. 도어 락(100)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으로서,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100)을 잠글 수 있으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락(100)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것인, 메인 슬라이딩 블록;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으로서,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때,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슬라이딩 블록;
    유도 래치(360)로서, 유도 래치(360)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상측 표면 상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제1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이에 따라 유도 래치(360)는 제2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유도 래치; 및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유도 래치(360)는 스위칭 장치를 닫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는 것인, 스위칭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단차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형 부분은 연결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측 단차(303)와 하측 단차(304)를 포함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323)이 하측 단차(304)의 원위 단부에서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차단 표면(326)이 하측 단차(304)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차단 표면(326)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가 상기 하측 단차(304)의 원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일 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7. 제6항에 있어서,
    푸시 아암(502)이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일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푸시 아암(502)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8. 제7항에 있어서,
    도어 락(100)은 편향 장치(biasing apparatus)(3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향 장치(336)는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장치(336)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10. 제6항에 있어서,
    베어링 표면(342) 및 리세스(328)가 상기 상측 단차(303)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베어링 표면(342)은 상기 상측 단차(303)의 원위 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베어링 표면(342)은 상기 리세스(328)보다 더 높고, 리세스(328)의 원위 단부가 상기 베어링 표면(342)에 연결되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327)이 리세스(328)의 근위 단부에서 외측 측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327)은 복원 사면(restoration bevel)(370)을 포함하고, 상기 복원 사면(370)은 상기 상측 단차(303)의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내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해제 부분(323)은 회전 사면(32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사면(324)은 상기 하측 단차(304)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의 방향으로 외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12. 제10항에 있어서,
    도어 락 박스(110)로서, 도어 락 박스(110)는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sliding chute)(402)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슬라이딩 슈트(402)는 내벽(414) 및 외벽(412)을 포함하는 것인, 도어 락 박스
    를 더 포함하고;
    노치(422)가, 상기 내벽(414)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돌출 잠금 클로(355)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차단 표면(423)이 노치(422)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차단 표면(423)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귀 사면(437)이, 외벽(412)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을 복원시키도록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 복원 부분(327)과 협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의 일 측부에 배열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블록(204)은 상기 유도 슬라이딩 블록(300)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KR1020197034626A 2017-06-19 2018-06-15 도어 락 KR102574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465942.0 2017-06-19
CN201710465942 2017-06-19
CN201810482146.2 2018-05-18
CN201810482146.2A CN109138620B (zh) 2017-06-19 2018-05-18 门锁
PCT/US2018/037771 WO2018236684A1 (en) 2017-06-19 2018-06-15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611A KR20200019611A (ko) 2020-02-24
KR102574346B1 true KR102574346B1 (ko) 2023-09-01

Family

ID=6480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626A KR102574346B1 (ko) 2017-06-19 2018-06-15 도어 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98369B2 (ko)
EP (1) EP3642433A1 (ko)
JP (1) JP7227164B2 (ko)
KR (1) KR102574346B1 (ko)
CN (1) CN109138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6148B (zh) * 2019-05-14 2023-04-2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门锁
CN111911009B (zh) * 2020-09-17 2021-11-23 温州天健电器有限公司 一种门锁强制锁定结构及具有其的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2744A1 (en) * 2014-11-25 2016-06-02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lock and upper cover type washing machine
CN106012427A (zh) * 2016-07-07 2016-10-12 神龙电气有限公司 洗衣机门锁开关强拉开门断电保护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0414A1 (de) * 1984-08-18 1986-02-27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Tuerverriegelungsvorrichtung mit sofortverriegelung und verzoegerter entriegelung mit wasserstandsueberwachung
JP3417847B2 (ja) * 1998-07-13 2003-06-16 ホシデン株式会社 扉ロック装置
ITTO20030554A1 (it) * 2003-07-17 2005-01-18 Eltek Spa Dispositivo di attuazione e/o bloccaggio per apparecchi elettrodomestici avente un migliorato sistema di controllo dell'attuazione.
US7306266B2 (en) * 2004-03-05 2007-12-11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atch having a rotating latch hook mounted on a linear slide
US20070296225A1 (en) * 2006-05-31 2007-12-27 Motorola, Inc. Locking mechanism for a communicatiion device
KR100888655B1 (ko) * 2007-12-12 2009-03-13 주식회사 삼코 드럼 세탁기의 도어 록킹장치
DE102008030902A1 (de) * 2008-06-30 2009-12-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verschließ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Türanordnung mit einer Türverschließ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Tür eines Hausgeräts
SI22866A (sl) * 2008-09-03 2010-03-31 ITW@METALFLEX@@d@o@o@@Tolmin Varnostna zapora vrat gospodinjskega aparata prednostno pralnega stroja
US8720234B2 (en) * 2009-09-14 2014-05-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734666B1 (en) * 2011-07-20 2016-01-13 Elettrotecnica Rold Srl Interlock mechanism for the closing door of washing machines or tumble dryers
ITTO20120469A1 (it) * 2012-05-30 2013-12-01 Illinois Tool Works Blocco porta elettromagnetico
CN104805644B (zh) * 2014-01-26 2018-04-24 温州天健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门锁
CN104233712B (zh) * 2014-09-11 2018-06-08 杭州神林电子有限公司 一种电磁门锁装置
CN204266008U (zh) * 2014-10-31 2015-04-15 吴中区光福金怡五金配件厂 一种洗衣机机门安全装置
CN204589635U (zh) * 2015-04-30 2015-08-26 王雪民 一种洗衣机安全开关
CN105088648A (zh) * 2015-06-30 2015-11-2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系统及洗衣机
DE102015011809B4 (de) * 2015-09-09 2020-06-25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mit Türschalter
CN105386277B (zh) * 2015-12-08 2017-11-07 神龙电气有限公司 洗衣机门锁开关
DE102016008317B4 (de) * 2016-07-07 2018-10-31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DE102017006649B3 (de) * 2017-07-13 2018-09-27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2744A1 (en) * 2014-11-25 2016-06-02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lock and upper cover type washing machine
CN106012427A (zh) * 2016-07-07 2016-10-12 神龙电气有限公司 洗衣机门锁开关强拉开门断电保护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38620A (zh) 2019-01-04
JP7227164B2 (ja) 2023-02-21
US20210108447A1 (en) 2021-04-15
CN109138620B (zh) 2022-01-07
KR20200019611A (ko) 2020-02-24
US11898369B2 (en) 2024-02-13
JP2020524234A (ja) 2020-08-13
EP3642433A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653689U (zh) 一种门锁及其控制电路
CN105762033B (zh) 一种漏电断路器的动触头操作机构
KR102574346B1 (ko) 도어 락
US11519125B2 (en) Door lock
US20190264481A1 (en) Appliance Door Lock
KR20100129753A (ko) 캠락
CN109209026A (zh) 一种门锁及其控制装置
CN110011131B (zh) 一种安全插座
US5782341A (en) Padlocking arrangement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
US2485340A (en) X-ray control switch
JP2010015987A (ja) はずし器を備えた開閉装置
KR20210063404A (ko) 도어 록 및 도어 록 제어 회로
EP1050893B1 (en) Push-button switch incorporating self-restoring function
WO2018236684A1 (en) DOOR LOCK
CN110939340A (zh) 一种门锁及其控制装置
CN104979142A (zh) 脱扣器和具有脱扣器的断路器
CN210040100U (zh) 一种小型断路器操作机构及小型断路器
CN110080631A (zh) 自动弹开电磁门锁
CA2732177A1 (en) Resistance device for high voltage switch assembly
CN214505301U (zh) 一种复位锁定结构及漏电保护装置
CN101364510B (zh) 开关的自动跳脱装置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CN109411275B (zh) 开关机构及电炊具
CN218092500U (zh) 一种用于电器的门锁结构及应用有该门锁结构的电器
CN214542814U (zh) 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