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032B1 -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032B1
KR102574032B1 KR1020230031715A KR20230031715A KR102574032B1 KR 102574032 B1 KR102574032 B1 KR 102574032B1 KR 1020230031715 A KR1020230031715 A KR 1020230031715A KR 20230031715 A KR20230031715 A KR 20230031715A KR 102574032 B1 KR102574032 B1 KR 10257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nnecting member
unit
hinge par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배
Original Assignee
황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배 filed Critical 황인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플레이트;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다수의 단위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의 분할경계 상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베이스와 컨트롤 플레이트 사이 영역 중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제2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와 제2 힌지부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Golf practice apparatus with adjustable footrest flexion}
본 발명은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로 분할된 단위패널들의 연결부위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므로 단위패널 사이에 단차가 생성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굴곡을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 시뮬레이터는 플레이어가 실제로 골프 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을 치는 방식으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골프장과 비슷한 가상의 환경을 실내에 구현한다. 우리나라에서 골프 시뮬레이터는 흔히 스크린 골프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골프 시뮬레이터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터, 스크린, 골프공의 탄도,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골프공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오토 티업 머신, 스윙 플레이트와 퍼팅 시뮬레이터를 구비한다.
스윙 플레이트는 게임 상의 플레이어가 위치하는 지형, 예를 들면 페어웨이, 러프 등의 경사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스윙 플레이트는 풋 플레이트, 골프 플랫폼, 스윙 테이블 등으로 부르고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9961 "경사가 조절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용 발판"은 경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판의 경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윙 플레이트 제어부; 상기 스윙 플레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판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후 작동 모터 및 좌우 작동 모터; 상기 전후 작동 모터 및 좌우 작동 모터의 각각의 스크류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 작동 모터 및 좌우 작동 모터의 각각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변환장치; 상기 변환장치에 의해 변환된 직선 구동력에 의해 내부의 양측 유압의 세기가 조절되는 전후작동 유압실린더 및 좌우작동 유압실린더; 상기 전후작동 유압실린더 및 좌우작동 유압실린더 각각의 양측 유압에 의해 발판의 전, 후, 좌, 우방향의 상하 작동을 조절하는 경사조절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윙 플레이트는, 슬로프 컨트롤 플레이트의 경사가 전후 중 어느 한 방향과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조절되어 실제 골프장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형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실제 골프장의 지형은 평지, 경사지뿐 아니라, 굴곡이 심한 지형이 존재하지만, 스윙 플레이트의 틸팅(Tilting)에 의해서는 굴곡 지형을 구현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골프 시뮬레이터의 실재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골프장과 같은 지형을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는 스윙 플레이트가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0489961 (2003.06.02.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로 분할된 단위패널들의 연결부위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므로 단위패널 사이에 단차가 생성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굴곡을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플레이트;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다수의 단위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의 분할경계 상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베이스와 컨트롤 플레이트 사이 영역 중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제2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와 제2 힌지부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의 판면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단위패널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분할 라인과,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의 변과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분할 라인을 경계로 하여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단위패널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1-1 고정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단위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1-1 고정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제2 힌지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1 고정부는 상기 승강유닛과 제1 연결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1 고정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승강유닛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편을 승강유닛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의 서로 마주하는 변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중심부를 승강유닛에 연결하는 제2-1 고정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1 고정부는 상기 승강유닛과 제2 연결부재를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1 고정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승강유닛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편을 승강유닛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부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의 서로 마주하는 변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부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 사이에서 분할경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아 형태의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2-1 고정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양측 단위패널을 연결하는 제2-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1 고정부는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제1 고정편에 결합하는 제2 고정편, 및 상기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승강유닛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제2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고정편을 승강유닛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2 고정부는 분할경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의 양단부를 양측 단위부재에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패널은 인접한 단위패널과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고정블록이 안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1-1 고정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제2 연결부재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로 분할된 단위패널들의 연결부위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므로 단위패널 사이에 단차가 생성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굴곡을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승강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힌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힌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도 6의 A-A'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10은 도 6의 B-B'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따른 승강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따른 승강유닛의 작용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플레이트,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단위패널의 발췌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1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제2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C-C'선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D-D'선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E-E'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25은 도 21의 F-F'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승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는, 베이스(110), 컨트롤 플레이트(120), 제1 힌지부(130), 제2 힌지부(140) 및 승강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승강유닛(15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120)와 베이스(110) 사이 공간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단위패널(120')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기준점은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판면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단위패널(120')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분할 라인과,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변과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분할 라인을 경계로 하여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120)는 총 8개의 단위패널(120')로 분할 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패널(120')에는 상기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패널(120')의 기준점에 대응하는 모서리에 배치되고, 제2 결합부(122)는 상기 모서리와 접하는 양측 변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위패널(120')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121)는 제1 힌지부(130)를 통해 승강유닛(150)에 지지되고, 단위패널(120')의 양측 변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122)는 제2 힌지부(140)를 통해 승강유닛(15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단위패널(120')은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에 각각 배치되는 승강유닛(150)에 의해 3점 지지되므로, 단위패널(1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다수 개로 분할된 단위패널(120')들을 연결하는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가 각각 승강유닛(1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굴곡을 변화시키므로 복수의 단위패널(12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힌지부(130)는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단위패널(120')들의 제1 결합부(121)를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한다.
이러한 제1 힌지부(13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원반형 제1 연결부재(131), 상기 제1 연결부재(131)의 중심부에서 제1 연결부재(131)와 승강유닛(150)을 고정하는 제1-1 고정부(132), 상기 제1 연결부재(131)의 테두리부에서 제1 연결부재(131)와 단위패널(120')을 각각 고정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1)는 가요성 재질, 예컨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1 고정부(132)는 상기 제1 연결부재(131)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유닛(150)에 고정되는 제1-1 하부 고정편(132b), 상기 제1 연결부재(131)의 중앙 상측에서 상기 제1-1 하부 고정편(132b)과 중첩 배치되는 제1-1 상부 고정편(132a)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상부 고정편(132a)과 제1-1 하부 고정편(132b)은 제1 연결부재(131)를 사이에 두고 스크류와 같은 제1-1 체결부재(132c)에 의해 상호 체결되면서 제1 연결부재(1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1 하부 고정편(132b)은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고정부재(132d)에 의해 하부의 승강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유닛(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기울기가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고정부재(132d)는 말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된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1 하부 고정편(132b)에 형성된 제1 관통홀(132b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관통홀(132b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재(132d)의 상단 헤드부와 제1-1 하부 고정편(132b)의 상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1 탄성부재(132e)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1-1 하부 고정편(132b)의 저면에는 오목한 호형 단면 형상의 제1 안착홈(132b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 상단부는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블록(159)의 상측에 안착 지지되는 제1-1 하부 고정편(132b)의 안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부(133)는 상기 제1 연결부재(131)의 하측에서 일측이 단위패널(120')의 제1 결합부(121)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1 연결부재(131)의 하측 테두리부와 중첩배치되는 제1-2 하부 고정편(133b), 상기 제1 연결부재(131)의 상측에서 상기 제1-2 하부 고정편(133b)과 중첩 배치되는 제1-2 상부 고정편(133a)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상부 고정편(133a)과 제1-2 하부 고정편(133b)은 제1 연결부재(131)를 사이에 두고 스크류와 같은 제1-2 체결부재(133c)에 의해 상호 체결되면서 제1 연결부재(1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고정부(133)는 총 8개로 구성되고 제1 연결부재(13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총 8개의 단위패널(120')을 제1 연결부재(131)에 각각 고정한다. 이에 따라 8개의 단위패널(120')이 제1 연결부재(13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힌지부(130)의 제1-1 고정부(132)는 제1 연결부재(131)를 승강유닛(150)에 고정하고, 제1-2 고정부(133)는 제1 연결부재(131)를 각각의 단위패널(120')의 제1 결합부(121)에 고정한다. 따라서 8개의 단위패널(120')은 가요성 재질의 제1 연결부재(131)를 매개로 승강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140)는 상기 제1 힌지부(1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의 서로 마주하는 변 중 일 영역을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힌지부(140)는 총 8개로 분할된 단위패널(120')들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므로, 총 8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힌지부(14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의 제2 연결부(122) 사이에 배치되는 원반형 제2 연결부재(141), 상기 제2 연결부재(141)의 중심부에서 제2 연결부재(141)와 승강유닛(150)을 고정하는 제2-1 고정부(142), 상기 제2 연결부재(141)의 테두리부에서 제2 연결부재(141)와 단위패널(120')의 제2 결합부(122)를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제2-2 고정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41)는 가요성 재질, 예컨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1 고정부(142)는 상기 제2 연결부재(141)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유닛(150)에 고정되는 제2-1 하부 고정편(142b), 상기 제2 연결부재(141)의 중앙 상측에서 상기 제2-1 하부 고정편(142b)과 중첩 배치되는 제2-1 상부 고정편(142a)을 포함하며, 상기 제2-1 상부 고정편(142a)과 제2-1 하부 고정편(142b)은 제2 연결부재(141)를 사이에 두고 스크류와 같은 제2-1 체결부재(142c)에 의해 상호 체결되면서 제2 연결부재(14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1 하부 고정편(142b)은 중앙을 관통하는 제2 고정부재(142d)에 의해 하부의 승강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유닛(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기울기가 변화하는 것은 물론, 단위패널(1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 사이의 축간거리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유닛(1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고정부재(142d)는 말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된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1 하부 고정편(142b)에 형성된 제2 관통홀(142b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관통홀(142b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재(142d)의 상단 헤드부와 제2-1 하부 고정편(142b)의 상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 탄성부재(142e)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 상단부는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1 하부 고정편(142b)의 저면에는 호형의 제2 안착홈(142b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홈(142b1)은 단위패널(1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 또는 인접한 한 쌍의 제2 힌지부(140) 사이의 축간거리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지지블록(159)이 제2 안착홈(142b1)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고정부(143)는 상기 제2 연결부재(141)의 하측에서 일측이 단위패널(120')의 제2 결합부(122)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 연결부재(141)의 하측 테두리부와 중첩배치되는 제2-2 하부 고정편(143b), 상기 제2 연결부재(141)의 상측에서 상기 제2-2 하부 고정편(143b)과 중첩 배치되는 제2-2 상부 고정편(143a)을 포함하며, 상기 제2-2 상부 고정편(143a)과 제2-2 하부 고정편(143b)은 제2 연결부재(141)를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제2-2 체결부재(143c)에 의해 상호 체결되면서 제2 연결부재(14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힌지부(140)의 제2-1 고정부(142)는 제2 연결부재(141)의 중앙을 승강유닛(150)에 고정하고, 제2-2 고정부(143)는 제2 연결부재(141)의 테두리를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의 제2 결합부(122)에 고정한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은 가요성 재질의 제2 연결부재(141)를 매개로 승강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재(131)와 제2 연결부재(141)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우레탄 재질 이외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승강유닛(150)은 상기 베이스(110)와 컨트롤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상기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 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패널(120')은 승강유닛(150)에 의해 3점 지지된 형태가 되고, 다수의 승강유닛(150)은 각각 독립적인 구동에 의해 복수의 단위패널(120')을 연결하고 있는 제1 힌지부(130) 또는 제2 힌지부(140)를 각각 승강시켜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굴곡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인접한 승강유닛(150)과의 연동 제어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굴곡 변화를 위한 다수의 승강유닛(150)을 간편하게 제어하면서도 다수의 단위패널(12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유닛(150)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150-1) 및 상기 구동기구(150-1)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기구(150-2)를 포함하고, 베이스(110)와 컨트롤 플레이트(120) 사이의 비좁은 공간 내에서 상하로 큰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구(150-1)는 승강기구(150-2)의 승강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1),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스크류(152) 및 상기 구동모터(151)의 회전 구동력을 볼스크류(15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51)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53)는 상기 구동모터(151)의 구동축과 볼스크류(152)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풀리(153a)와 상기 한 쌍의 풀리(153a)를 연결하는 벨트(15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150-2)는 상기 볼스크류(152)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154), 상기 볼스크류(152)에 나사결합된 볼너트(155a)에 고정되고 상기 볼스크류(152)의 정, 역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152)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블록(155), 상기 볼스크류(152)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154) 상에서 제1 이동블록(15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154a), 상기 제1 지지부(154)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156), 상기 제1 이동블록(155)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이동블록(157), 상기 제1 가이드(154a)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156) 상에서 상기 제2 이동블록(157)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156a), 상기 제1 지지부(154)와 제2 이동블록(157)을 연결하는 제1 링크바(158a), 중앙이 상기 제1 링크바(158a)의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부(156)와 제1 이동블록(155)을 연결하는 제2 링크바(158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링크바(158a)와 제2 링크바(158b)는 상기 제2 지지부(156)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복수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154)와 제2 지지부(156)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힌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힌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도 6의 A-A'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10은 도 6의 B-B'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따른 승강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에 따른 승강유닛의 작용도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플레이트(120)는 판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할된 총 8개의 단위패널(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판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편심 배치된 기준점의 일측에 위치하는 넓은 면적의 단위패널(120')들은 사용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기준점의 타측에 위치하는 좁은 면적의 단위패널(120')들은 골프공이 놓여지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밟고 올라서는 타석의 면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골프공이 놓여지는 부위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면적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패널(120')은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8개의 단위패널(120')을 연결하는 제1 힌지부(130)와, 상기 제1 힌지부(1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을 연결하는 총 8개의 제2 힌지부(140)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는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유닛(150)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위패널(120')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굴곡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130)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연결부재(131)는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1 고정부(132)는 제1 연결부재(131)의 중심부위를 제1 힌지부(130)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에 고정하고, 단위패널(120')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된 제1-2 고정부(133)는 제1 연결부재(131)의 테두리를 복수의 단위패널(120')에 각각 고정한다.
상기 제1-1 고정부(132)는 제1 연결부재(131)의 중심부에 상,하로 배치된 제1-1 하부 고정편(132b)과 제1-1 상부 고정편(132a)이 제1-1 체결부재(132c)에 의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제1-1 하부 고정편(132b)을 관통하여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에 체결되는 제1 고정부재(132d)에 의해 승강유닛(150)에 연결된다.
상기 제1-2 고정부(133)는 제1 연결부재(131)의 테두리에 상,하로 중첩 배치된 제1-2 하부 고정편(133b)과 제1-2 상부 고정편(133a)이 제1-2 체결부재(133c)에 의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제1-2 하부 고정편(133b)을 관통하여 단위패널(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단위패널(12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힌지부(140)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연결부재(141)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1 고정부(142)는 제2 연결부재(141)의 중심부위를 제2 힌지부(140)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에 고정하고, 한 쌍의 제2-2 고정부(143)는 제2 연결부재(141)의 테두리를 양측 단위패널(120')에 각각 고정한다.
상기 제2-1 고정부(142)는 제2 연결부재(141)의 중심부에 상,하로 배치된 제2-1 하부 고정편(142b)과 제2-2 상부 고정편(143a)이 제2-1 체결부재(142c)에 의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제2-1 하부 고정편(142b)을 관통하여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재(142d)에 의해 승강유닛(150)에 연결된다.
상기 제2-2 고정부(143)는 제2 연결부재(141)의 테두리에 상,하로 중첩 배치된 제2-2 하부 고정편(143b)과 제2-2 상부 고정편(143a)이 제2-2 체결부재(143c)에 의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2 하부 고정편(143b)을 관통하여 단위패널(1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단위패널(1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 플레이트(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패널(120')은 분할 중심이 되는 기준점에 배치되는 제1 힌지부(130)와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의 분할 경계에 각각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단위패널(120')을 연결하는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는 각각 승강유닛(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승강유닛(150)의 구동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패널(120')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이트(120)는 다수의 승강유닛(150)의 독립적인 승강 구동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굴곡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6의 A-A'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6의 B-B'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도 6의 A-A'단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힌지부(130)를 구성하고 있는 가요성 재질의 제1 연결부재(131)는 중심부가 제1-1 고정부(132)를 통해 승강유닛(150)에 고정되고 테두리부가 제1-2 고정부(133)를 통해 단위패널(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9의 (a)와 같이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배치된 제1 힌지부(13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상승하고 중앙 양측에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각각 하강하거나, 또는 도 9의 (b)와 같이 제1 힌지부(13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하강하고 중앙 양측에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각각 상승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 사이에 위치하는 단위패널(120')은 승강유닛(150)의 구동에 의한 제1 힌지부(130)와 제2 힌지부(140)의 높이차에 의해 경사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1-1 고정부(132)와 제1-2 고정부(133)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제1 연결부재(131)가 변형된다.
한편, 상기 제1 힌지부(130)는 도 7과 같이 제1-1 고정부(132)를 관통하는 제1 고정부재(132d)가 제1 힌지부(130) 하부에 배치된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에 고정됨에 따라 승강유닛(150)과 연결되는데, 상기 제1-1 하부 고정편(132b)의 판면 중앙에는 제1 고정부재(132d)보다 큰 직경의 제1 관통홀(132b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1 고정부(132)는 지지블록(159)에 연결된 상태에서 단위패널(120')의 경사에 대응하여 회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도 6의 B-B'단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힌지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가요성 재질의 제2 연결부재(141)는 중심부가 제2-1 고정부(142)를 통해 승강유닛(150)에 고정되고 테두리부가 제2-2 고정부(143)를 통해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120')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도 10의 (a)와 같이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에 나란하게 배치된 세 개의 제2 힌지부(140) 중, 중앙 양측에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각각 하강한 상태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상승하거나, 또는 도 10의 (b)와 같이 중앙 양측에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각각 상승한 상태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2 힌지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유닛(150)이 하강하는 경우와 같이, 단위패널(120')은 양측 변에 각각 배치된 제2 힌지부(140)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경사배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2-1 고정부(142)와 제2-2 고정부(143)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41)가 변형된다.
한편, 상기 제2 힌지부(140)는 도 8과 같이 제2-1 고정부(142)를 관통하는 제2 고정부재(142d)가 제2 힌지부(140) 하부에 배치된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에 고정됨에 따라 승강유닛(15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1 하부 고정편(142b)의 판면 중앙에 형성된 제2 관통홀(142b2)은 제2-1 하부 고정편(142b)을 관통하는 제2 고정부재(142d)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제2-1 고정부(142)가 지지블록(159)에 연결된 상태에서 단위패널(120')의 경사에 대응하여 회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위패널(120')의 기울기 변화나 양측 제2 힌지부(140) 사이의 축간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1 하부 고정편(142b)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 안착홈(142b1) 역시 하부 승강유닛(150)의 지지블록(159)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150)은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분할 기준점에 위치하는 제1 힌지부(130)와, 총 8개로 분할된 단위패널(120')의 분할 경계에 각각 배치되는 8개의 제2 힌지부(140)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승강유닛(150)은 컨트롤 플레이트(120)와 베이스(110) 사이의 비좁은 공간 내에서 높이 방향에 대하여 큰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강유닛(15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구(150-1)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구(150-2)가 상하로 운동하면서 지지블록(159)에 연결되는 제1 힌지부(130) 또는 제2 힌지부(14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지지블록(159)이 설치된 제2 지지부(156)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지지블록(159)이 설치된 제2 지지부(156)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기구(150-1)는 풀리(153a)와 벨트(153b)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153)를 이용해 구동모터(15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승강기구(150-2)의 제1 지지부(154)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볼스크류(152)로 전달하여 볼스크류(152)를 축회전시킨다.
상기 승강기구(150-2)의 제1 이동블록(155)은 상기 볼스크류(152)와 나사결합된 볼너트(155a)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부(154) 상에서 볼스크류(152)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가이드(154a)에 결합되며, 볼스크류(152)의 회전방향에 따라 볼너트(155a)와 함께 볼스크류(152)와 나란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한다.
상기 제1 이동블록(155)의 상측에 배치된 제2 이동블록(157)은 상기 제2 지지부(156) 상에서 볼스크류(152)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2 가이드(156a)에 결합되어 제1 이동블록(155)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56)는 상기 제1 이동블록(155)의 전,후진 이동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지지부(154)와 제2 이동블록(157)이 제1 링크바(158a)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부(156)와 제1 이동블록(155)이 제2 링크바(158b)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바(158a)와 제2 링크바(158b)의 중심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블록(155)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링크바(158a)와 제2 링크바(158b)로 연결된 제2 지지부(156)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유닛(150)은 베이스(110)와 컨트롤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볼스크류(152)의 축회전 에너지를 상하 직선 왕복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므로, 컨트롤 플레이트(120)와 베이스(110) 사이의 비좁은 공간 내에서 높이 방향에 대하여 큰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큰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명칭]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플레이트,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단위패널의 발췌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1 힌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제2 힌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는 베이스(210), 컨트롤 플레이트(220), 제1 힌지부(230), 제2 힌지부(240) 및 승강유닛(25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210)와 승강유닛(250)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베이스(110) 및 승강유닛(1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220)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단위패널(220')로 분할 구성된다.
기준점은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판면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위패널(220')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분할 라인과,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변과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분할 라인을 경계로 하여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220)는 총 8개의 단위패널(220')로 분할되고, 각각의 단위패널(220')의 분할 경계와 접하는 변에는 측벽(223)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외곽 라인과 접하는 변에는 보호벽(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240)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의 서로 마주하는 변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힌지부(240)는 총 8개로 분할된 단위패널(220')들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므로 총 8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힌지부(240)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 사이에서 분할경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아 형태의 제2 연결부재(241), 상기 제1 힌지부(2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241)와 하부의 승강유닛(250)을 연결하는 제2-1 고정부(242), 및 상기 제2 연결부재(241)와 양측 단위패널(220')을 연결하는 제2-2 고정부(24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부재(241)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 단면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의 분할경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1 고정부(242)는 상기 제2 연결부재(24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홈(242a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부(2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241)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242a) 및 상기 제2 연결부재(241)의 슬라이딩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고정편(242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편(242b)은 단위패널(2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제1 힌지부(230)와 제2 힌지부(240) 사이의 사이의 축간거리를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편(242a)의 슬라이딩홈(242a1)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편(242b)은 중앙을 관통하는 제2 고정부재(242d)에 의해 하부의 승강유닛(2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단위패널(220')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유닛(2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고정부재(242d)는 말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된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고정편(242b)에 형성된 제2 관통홀(242b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관통홀(242b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재(242d)의 상단 헤드부와 제2 고정편(242b) 상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 탄성부재(242e)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2 고정부(243)는 분할경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부재(241)를 관통하는 연결핀(243d) 및 상기 연결핀(243d)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고정블록(243e)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단위패널(220')의 양측 측벽(223)에는 상기 고정블록(243e)에 안착될 수 있는 결합홈(22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양측 측벽(223)은 방사상의 분할경계를 따라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므로, 단위패널(220')의 결합홈(223a)을 고정블록(243e)에 단순 안착시키는 것만으로도 단위패널(220')의 안착위치가 안내되는 동시에 안착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23a)은 고정블록(243e)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223a)과 고정블록(243e)은 상기 단위패널(220')의 측벽(223)이 제2 연결부재(241)와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223a)과 고정블록(243e)의 연결부위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힌지부(240)의 제2-2 고정부(243) 및 제2 연결부재(241)를 통해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벽(223)에 형성되는 결합홈(223a)은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결합홈(223a) 중 기준점과 근접 배치되는 결합홈(223a)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결합홈(223a)은 'l'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재(241) 상에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제2-2 고정부(243) 중 기준점에 근접한 제2-2 고정부(243)의 연결핀(243d)에 'ㄱ'자 형태의 결합홈(223a)을 안착시킨 다음, 기준점 반대쪽에 배치된 제2-2 고정부(243)의 연결핀(243d)에 'l'자 형태의 결합홈(223a)을 안착시킴으로써, 단위패널(220')의 안착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230)는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분할 중심이 되는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연결하고 있는 제2힌지부(240)의 기준점측 단부를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한다.
이러한 제1 힌지부(23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원반형 제1 연결부재(231), 상기 제1 연결부재(231)의 중심부에서 제1 연결부재(231)와 승강유닛(250)을 고정하는 제1-1 고정부(232), 상기 제1 연결부재(231)의 테두리부에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제2 연결부재(241)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재(231)와 제1-1 고정부(232)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제1 연결부재(131) 및 제1-1 고정부(132)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2 고정부(233)는 상기 제1 연결부재(231)의 하측에서 일측이 제2 힌지부(240)의 제2 연결부재(241)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1 연결부재(231)의 하측 테두리부와 중첩배치되는 제1-2 하부 고정편(233b), 상기 제1 연결부재(231)의 상측 테두리에서 상기 제1-2 하부 고정편(233b)과 중첩 배치되는 제1-2 상부 고정편(233a)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상부 고정편(233a)과 제1-2 하부 고정편(233b)은 제1 연결부재(231)를 사이에 두고 스크류와 같은 제1-2 체결부재(233c)에 의해 상호 체결되면서 제1 연결부재(2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고정부(233)는 총 8개로 구성되고 제1 연결부재(23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분할 경계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연결하는 8개의 제2 연결부재(241)를 각각 가요성 재질의 제1 연결부재(231)에 고정한다.
즉, 제2 힌지부(240)의 제2 연결부재(241)는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분할 경계에 각각 배치되어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 힌지부(230)의 제1 연결부재(231)는 기준점측에 접하는 제2 연결부재(241)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제1 힌지부(230)의 제1-1 고정부(232)는 제1 연결부재(231)를 승강유닛(250)에 고정하고, 제2 힌지부(240)의 제2-1 고정부(242)는 제1 힌지부(2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연결부재(241)를 승강유닛(250)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패널(220')은 기준점에서 제1 힌지부(230)를 지지하는 승강유닛(250)과 제1 힌지부(2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 제2 힌지부(240)를 지지하는 승강유닛(250)에 의해 3점 지지되므로, 인접한 승강유닛(250)과의 연동 제어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굴곡 변화를 위한 다수의 승강유닛(250)을 간편하게 제어하면서도 다수의 단위패널(22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E-E'선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F-F'선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C-C'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25은 도 21의 D-D'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먼저,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단위패널(220')로 분할된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분할 기준점에는 제1 힌지부(230)가 배치되고, 단위패널(220') 사이의 분할 경계에는 제2 힌지부(240)가 배치되며, 제1 힌지부(230)와 제2 힌지부(240)의 하부에는 승강유닛(250)이 각각 배치된다.
컨트롤 플레이트(2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패널(220')은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힌지부(230)와 복수의 단위패널(220') 사이의 분할 경계에 각각 배치되는 제2 힌지부(240)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힌지부(230)와 제2 힌지부(240)는 하부에 각각 배치된 승강유닛(250)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위패널(220')로 구성된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굴곡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230)는 제1 연결부재(231)가 컨트롤 플레이트(220)의 분할 기준점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1 고정부(232)가 제1 연결부재(231)의 중심부위와 승강유닛(250)을 연결하고, 제1-2 고정부(233)가 기준점과 접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재(241)의 단부를 제1 연결부재(231)의 테두리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부(230)의 제1 연결부재(231)는 우레탄과 같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연결부재(231)의 테두리에 고정된 복수의 제2 연결부재(241)들을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240)는 제2 연결부재(241)가 복수의 단위패널(220') 사이의 분할경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1 고정부(242)가 기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연결부재(241)와 승강유닛(250)을 연결하고, 제2-2 고정부(243)가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제2 연결부재(2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힌지부(240)의 제2-2 고정부(243)는 분할경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부재(241)를 관통하는 연결핀(243d)의 양단부에 고정블록(243e)이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고정블록(243e)에 단위패널(220')의 측벽(223)에 형성된 결합홈(223a)이 안착됨에 따라, 단위패널(220')이 제2 연결부재(241)와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2 고정부(243)는 제2 연결부재(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단위패널(220')의 양측 측벽(223)은 방사상의 분할경계를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므로 단위패널(220')의 안착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힌지부(240)의 제2-1 고정부(242)는, 단위패널(22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제1-1 고정부(232)와 제2-1 고정부(242) 사이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재(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고정부(242)를 구성하는 제1 고정편(242a)은 제2 연결부재(241)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 고정편(242b)은 제1 고정편(242a)에 형성된 슬라이딩홈 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편(242a)의 슬라이딩홈은 제2 연결부재(241)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2 고정편(242b)의 슬라이딩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힌지부(230)의 제1 연결부재(231)는 제1 고정부재(232d)를 통해 승강유닛(2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힌지부(240)의 제2 연결부재(241)는 제2 고정부재(242d)를 통해 승강유닛(2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승강유닛(250)이 독립적으로 승강구동하는 것에 의해 단위패널(22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2 고정편(242b)은 단위패널(220')의 기울기 변화에 의한 제1-1 고정부(232)와 제2-1 고정부(242) 사이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홈(242a1)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유닛(250)이 단위패널(220')을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위패널(220')을 연결하고 있는 제1 힌지부(230)와 제2 힌지부(240)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므로, 다양한 형태의 굴곡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단위패널(220') 사이에 단차가 생성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굴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1의 C-C'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5은 도 21의 D-D'단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4를 참조하여 도 21의 C-C'단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힌지부(230)를 구성하고 있는 가요성 재질의 제1 연결부재(231)는 중심부가 제1-1 고정부(232)를 통해 승강유닛(250)에 연결되고 테두리부가 제1-2 고정부(233)를 통해 제2 힌지부(240)를 구성하고 있는 제2 연결부재(241)의 기준점측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연결하는 제2 힌지부(240)의 제2 연결부재(241)는 제1 힌지부(2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2 고정부(243)를 통해 승강유닛(25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24의 (a)와 같이 중앙의 제1 힌지부(230)에 연결된 승강유닛(250)이 상승하고 중앙 양측에서 제2 힌지부(240)에 연결된 승강유닛(250)이 각각 하강하거나, 또는 도 24의 (b)와 같이 중앙의 제1 힌지부(230)에 연결된 승강유닛(250)이 하강하고 중앙 양측에서 제2 힌지부(240)에 연결된 승강유닛(250)이 상승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힌지부(230)와 제2 힌지부(240) 사이에 위치하는 단위패널(220')은 제1 힌지부(230)와 제2 힌지부(240)를 각각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50)의 구동에 의해 경사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1-1 고정부(232)와 제1-2 고정부(233)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제1 연결부재(231)가 변형된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여 도 21의 D-D'단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힌지부(240)의 제2 연결부재(241)는 복수의 단위패널(220') 사이의 분할경계에 배치되고, 제2-1 고정부(242)는 제2 연결부재(241)와 승강유닛(250)을 연결하고, 제2-2 고정부(243)는 제2 연결부재(241)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2 고정부(243)는 분할경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핀(243d)의 양단부에 고정블록(243e)이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고정블록(243e)에 단위패널(220')의 측벽(223)에 형성된 결합홈(223a)이 안착됨에 따라, 단위패널(220')이 제2 연결부재(241)와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힌지부(240)의 제2 연결부재(241)는 8개의 단위패널(220') 사이의 분할경계에 각각 배치되고, 제2-1 고정부(242)를 통해 승강유닛(250)과 각각 연결되므로, 제2 힌지부(240)에 대응하는 승강유닛(250)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면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2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5의 (a)와 같이 제2-1 고정부(242)를 통해 제2 연결부재(241)에 연결된 세 개의 승강유닛(250) 중 중앙에 배치된 승강유닛(250)이 하강하고 좌우 양측에 배치된 승강유닛(250)이 상승하거나, 도 25의 (b)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승강유닛(250)이 상승하고 좌우 양측에 배치된 승강유닛(250)이 하강하는 경우와 같이, 제2 연결부재(241)에 의해 연결된 단위패널(220')들은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재(241)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50)의 구동에 의해 경사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2-2 고정부(243)를 통해 제2 연결부재(241)와 연결된 양측 단위패널(220')이 제2 연결부재(24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210:베이스, 120,220:컨트롤 플레이트, 120',220':단위패널,
121:제1 결합부, 122:제2 결합부, 223:측벽, 223a:결합홈, 224:보호벽,
130,230:제1 힌지부, 131,231:제1 연결부재, 132,232:제1-1 고정부,
132a,232a:제1-1 상부 고정편, 132b,232b:제1-1 하부 고정편,
132b1,232b1:제1 관통홀, 132b2:제1 안착홈, 132c,232c:제1-1 체결부재,
132d,232d:제1 고정부재, 132e,232e:제1 탄성부재, 133,233:제1-2 고정부,
133a,233a:제1-2 상부 고정편, 133b,233b:제1-2 하부 고정편,
133c,233c:제1-2 체결부재, 140,240:제2 힌지부, 141,241:제2 연결부재,
142,242:제2-1 고정부, 142a:제2-1 상부 고정편, 142b:제2-1 하부 고정편,
242a:제1 고정편, 242a1:슬라이딩 홈, 242b:제2 고정편,
142b1,242b1:제2 관통홀, 142b2:제2 안착홈, 142c,242c:제2-1 체결부재,
142d,242d:제2 고정부재, 142e,242e:제2 탄성부재, 143,243:제2-2 고정부,
143a:제2-2 상부 고정편, 143b:제2-2 하부 고정편, 143c:제2-2 체결부재,
243d:연결핀, 243e:고정블록, 150,250:승강유닛, 150-1:구동기구,
151:구동모터, 152:볼스크류, 153:동력전달부, 153a:풀리, 153b:벨트,
150-2:승강기구, 154:제1 지지부, 154a:제1 가이드, 155:제1 이동블록,
155a:볼너트, 156:제2 지지부, 156a:제2 가이드, 157:제2 이동블록,
158a:제1 링크바, 158b:제2 링크바, 159:지지블록

Claims (18)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 플레이트;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다수의 단위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의 분할경계 상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베이스와 컨트롤 플레이트 사이 영역 중 상기 제1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제2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힌지와 제2 힌지부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위패널의 기울기에 따라 제1 힌지부와 승강유닛의 연결점과 제2 힌지부와 승강유닛의 연결점 사이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승강유닛에 대하여 분할경계와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컨트롤 플레이트의 판면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패널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분할 라인과,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컨트롤 플레이트의 변과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분할 라인을 경계로 하여 분할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단위패널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1-1 고정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단위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1-1 고정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제2 힌지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고정부는 상기 승강유닛과 제1 연결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고정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승강유닛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편을 승강유닛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의 서로 마주하는 변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중심부를 승강유닛에 연결하는 제2-1 고정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2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고정부는 상기 승강유닛과 제2 연결부재를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고정부는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승강유닛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편을 승강유닛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의 서로 마주하는 변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 사이에서 분할경계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아 형태의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2-1 고정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양측 단위패널을 연결하는 제2-2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고정부는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제1 고정편에 결합하는 제2 고정편, 및 상기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승강유닛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제2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고정편을 승강유닛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고정부는 분할경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의 양단부를 양측 단위부재에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은 인접한 단위패널과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고정블록이 안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중심부와 하부의 승강유닛을 연결하는 제1-1 고정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테두리부와 상기 기준점과 접하는 제2 연결부재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KR1020230031715A 2022-12-30 2023-03-10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KR10257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631 2022-12-30
KR20220190631 2022-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032B1 true KR102574032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715A KR102574032B1 (ko) 2022-12-30 2023-03-10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0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61B1 (ko) 2003-04-01 2005-05-17 (주) 골프존 경사가 조절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용 발판
KR20120061294A (ko) * 2010-12-03 2012-06-13 곽오봉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용 스윙 플레이트
KR101562174B1 (ko) * 2015-08-18 2015-10-20 유복현 골프연습 장치
KR20150132951A (ko) * 2014-05-19 2015-11-27 주석화 골프 시뮬레이터의 스윙 플레이트
KR20210114745A (ko) *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골프존 골프스윙 플랫폼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61B1 (ko) 2003-04-01 2005-05-17 (주) 골프존 경사가 조절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용 발판
KR20120061294A (ko) * 2010-12-03 2012-06-13 곽오봉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용 스윙 플레이트
KR20150132951A (ko) * 2014-05-19 2015-11-27 주석화 골프 시뮬레이터의 스윙 플레이트
KR101562174B1 (ko) * 2015-08-18 2015-10-20 유복현 골프연습 장치
KR20210114745A (ko) *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골프존 골프스윙 플랫폼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888B2 (en) Treadmill deck support
CN101541383B (zh) 可调节的倾斜式跑步机
JP2008515492A (ja) ゴルフ練習台
US6053576A (en) Bank of seats for amusement ride
CN213748904U (zh) 负载质心调节装置
KR102574032B1 (ko) 발판의 굴곡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CN101296734B (zh) 游戏机
KR20170072097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용 스윙 플레이트
KR200437499Y1 (ko) 다인승 연동형 시소
EP2944360B1 (en) Golf training platform
KR101677911B1 (ko) 로컬 지형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리얼 모션이 가능한 골프시뮬레이터용 스윙플레이트
KR102446316B1 (ko) 가변형 골프 퍼팅 연습매트
KR20100123528A (ko) 골프연습용 발판장치
KR20220000789A (ko) 리얼라이 구현 플레이트
CN2496503Y (zh) 仿真可调搏击靶
KR100832547B1 (ko) 디지탈 골프플레이트
KR20210001339A (ko) 로봇-인간 동적 충돌 안정성 평가 시험장치
KR20090117562A (ko) 직립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골프 연습기용 플레이트
CN220895076U (zh) 一种眼科教具
CN220918081U (zh) 一种攀岩板安装结构
CN217511079U (zh) 一种适用性强的健美操柔韧度训练器
KR20170041556A (ko) 경사조절 가능한 골프 스윙 플레이트
CN108970006A (zh) 一种脚踝部锻炼装置
JP3039344U (ja) ゴルフ練習用傾斜台
KR101159017B1 (ko) 피봇식 골프연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