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49B1 -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49B1
KR102572849B1 KR1020220085235A KR20220085235A KR102572849B1 KR 102572849 B1 KR102572849 B1 KR 102572849B1 KR 1020220085235 A KR1020220085235 A KR 1020220085235A KR 20220085235 A KR20220085235 A KR 20220085235A KR 102572849 B1 KR102572849 B1 KR 10257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c acid
corynebacterium
present
producing
quinone oxidoreduct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김현호
김동현
김현숙
박석현
박준현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49B1/ko
Priority to PCT/KR2023/007164 priority patent/WO20240146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4Glutamic acid; Glut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5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a quinone or similar compound as acceptor (1.1.5)
    • C12Y101/05004Malate dehydrogenase (quinone) (1.1.5.4)

Abstract

본 발명은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L-글루탐산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신규 변이체,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형질전환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됨으로써 효소 활성이 변화되어,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은 L-글루탐산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Mutant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producing L-glutam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L-글루탐산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신규 변이체,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형질전환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L-글루탐산은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산되는 대표적인 아미노산으로, L-글루탐산 나트륨(monosodium L-glutamate, MSG)은 음식의 전체적인 맛에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고기, 생선, 닭, 야채, 소스, 수프, 양념 등 식품의 선호도를 높여주고 소금을 30%까지 줄인 저염 식품의 맛을 증진시켜줄 수 있어 가정용 및 가공식품 생산을 위한 조미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L-글루탐산의 발효 경로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포도당은 주로 해당경로(glycolytic pathway)를 거치게 되지만 일부는 6탄당 인산경로(pentose phosphate pathway)를 거쳐서 2분자의 피루브산(pyruvic acid)으로 대사된다. 그 중 1분자는 CO2를 고정하여 옥살로아세트산(oxaloacetic acid)으로 되고 다른 1분자는 피루브산으로부터 아세틸코에이(acetyl CoA)와 결합하여 구연산(citric acid)으로 된다. 다시 옥살로아세트산과 구연산은 시트르산 회로(TCA cycle)로 들어가 알파-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ic acid)이 된다. 여기서,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부터 호박산(succinic acid)으로 산화되는 산화대사 경로가 결여되어 있고 또 이소시트레이트 디히드로게나제(isocitrate dehydrogenase)와 글루타메이트 디히드로게나제(glutamate dehydrogenase)가 밀접하게 관여하기 때문에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환원적 아미노산화 반응이 능률적으로 진행되어 L-글루탐산이 생성된다.
L-글루탐산의 생산은 자연상태에서 수득된 야생형 균주나 이의 글루탐산 생산능이 향상되도록 변형된 변이주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L-글루탐산의 생산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아미노산, 핵산과 같은 유용물질 생산에 많이 이용되는 대장균, 코리네박테리움 등의 미생물을 대상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적용하여 우수한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갖는 다양한 재조합 균주 또는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L-글루탐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 전사인자, 수송 단백질 등의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거나, 또는 이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에 변이를 유도하여 L-글루탐산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L-글루탐산 생산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효소, 전사인자, 수송 단백질 등 단백질의 종류가 수십여 종에 이르기 때문에 이러한 단백질의 활성 변화에 따른 L-글루탐산 생산능 증가 여부에 관해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등록특허 제6,852,516호 미국등록특허 제6,962,805호
본 발명은 신규한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이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13번째 프롤린이 세린으로 치환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malate:quinone oxidoreductase)는 NAD+를 NADH로 환원시켜 말레이트를 옥살아세트산으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가역적으로 촉매하는 효소로, 시트르산 회로를 포함한 많은 대사 경로에 관여한다. 상기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이와 실질적 동일성을 가지는 서열일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 동일성”이란 각각의 유전자 서열, 즉 염기서열 또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임의의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분석하였을 때 상기 임의의 다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각각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98%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는 ncgl1926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것으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은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Corynebacterium glutamicu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변이체”는 특정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 중 N-말단, C-말단 및/또는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보존적 치환(conservative substitution), 결실(deletion), 변형(modification) 또는 부가되어 상기 변이체의 변이 전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하나 기능(functions) 또는 특성(properties)이 유지되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보존적 치환”이란 하나의 아미노산을 구조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변이체는 N-말단 리더 서열 또는 막전이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제거되거나, 또는 성숙 단백질(mature protein)의 N- 및/또는 C-말단으로부터 일부분이 제거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그 능력이 변이 전 폴리펩티드에 비하여 증가되거나, 변하지 않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변이체가 변이형, 변형, 변이형 폴리펩티드, 변이된 단백질, 변이 등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변이체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13번째 위치한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세린으로 치환된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뉴클레오티드 단위체(monomer)가 공유결합에 의해 길게 사슬모양으로 이어진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polymer)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DNA 또는 RNA 가닥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벡터(vector)”는 숙주세포에 목적 유전자를 전달하여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모든 유형의 핵산 서열 운반 구조체를 의미한다. 상기 벡터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담지된 핵산 서열이 숙주세포 유전체 내 삽입되어 발현되도록 하는 것 및/또는 독자적으로 발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벡터는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요소를 포함하며,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bly linked)”이란 목적 유전자와 이의 조절 서열이 서로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유전자 발현을 가능케 하는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고, “조절요소”는 전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모터,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암호화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숙주세포 내에서 복제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벡터의 일례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는 pWE15, M13, λMBL3, λMBL4, λIXII, λASHII, λAPII, λt10, λt11, Charon4A, Charon21A 등이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는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발현을 위한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발현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재조합 벡터”는 적합한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세포의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 가능하거나 게놈 그 자체에 봉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합한 숙주세포"는 벡터가 복제 가능한 것으로서 복제가 개시되는 특정 염기서열인 복제 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 (예컨대, pLλ 프로모터, CMV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해독의 개시를 위한 라이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핵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벡터에 포함되는 진핵세포에서 작동하는 복제원점은 f1 복제원점, SV40 복제원점, pMB1 복제원점, 아데노 복제원점, AAV 복제원점 및 BBV 복제원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컨대, 메탈로 티오닌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컨대, 아데노 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 메갈로 바이러스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가진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선택 마커(selection marke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선택 마커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숙주세포)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택 마커가 처리된 배지에서 선택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형질전환된 세포의 선별이 가능하다. 상기 선택 마커는 대표적인 예로 카나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조합 벡터를 숙주세포에 삽입함으로써 형질전환체를 만들 수 있으며, 상기 형질전환체는 재조합 벡터를 적절한 숙주세포에 도입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숙주세포는 상기 발현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시킬 수 있는 세포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세포도 이용할 수 있다.
재조합 미생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원핵세포에 형질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숙주세포로서 E. coli JM109, E. coli BL21, E. coli RR1, E. coli LE392, E. coli B, E. coli X 1776, E. coli W3110, E. coli XL1-Blue와 같은 대장균 속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세라티아 마르세슨스 및 슈도모나스 종과 같은 다양한 장내균과 균주 등이 이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조합 미생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진핵세포에 형질전환을 하는 경우에는 숙주세포로서 효모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곤충 세포, 식물 세포 및 동물 세포, 예를 들어, Sp2/0, CHO K1, CHO DG44, PER.C6, W138, BHK, COS7, 293, HepG2, Huh7, 3T3, RIN, MDCK 세포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형질전환(transformation)”은 외부 DNA를 숙주세포 내로 도입하여 인위적으로 유전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을 의미하며, “형질전환체(transformat)”는 외부 DNA가 도입되어 목적 유전자의 발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숙주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형질전환은 숙주세포에 따라 적합한 벡터 도입 기술이 선택되어 목적 유전자 또는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벡터 도입은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열 충격(heat-shock), 인산칼슘(CaPO4) 침전, 염화칼슘(CaCl2) 침전,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폴리에틸렌글리콜(PEG)법, DEAE-덱스트란법, 양이온 리포좀법, 초산 리튬-DMSO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질전환된 유전자는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으면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 삽입 또는 염색체 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든 제한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체는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로 형질감염, 형질전환, 또는 감염된 세포를 포함하며, 재조합 숙주세포, 재조합 세포 또는 재조합 미생물과 동일한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형질전환체는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미생물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로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크루디락티스(Corynebacterium crudilactis), 코리네박테리움 데저티(Corynebacterium deserti), 코리네박테리움 칼루나에(Corynebacterium callunae), 코리네박테리움 수라나래에(Corynebacterium suranareeae), 코리네박테리움 루브리칸티스(Corynebacterium lubricantis), 코리네박테리움 두사넨세(Corynebacterium doosanense), 코리네박테리움 이피시엔스(Corynebacterium efficiens), 코리네박테리움 우테레키(Corynebacterium uterequi), 코리네박테리움 스테셔니스(Corynebacterium stationis), 코리네박테리움 파캔세(Corynebacterium pacaense), 코리네박테리움 싱굴라레(Corynebacterium singulare), 코리네박테리움 휴미레듀센스(Corynebacterium humireducens), 코리네박테리움 마리눔(Corynebacterium marinum), 코리네박테리움 할로톨레란스(Corynebacterium halotolerans), 코리네박테리움 스페니스코룸(Corynebacterium spheniscorum), 코리네박테리움 프레이부르겐세(Corynebacterium freiburgense), 코리네박테리움 스트리아툼(Corynebacterium striatum), 코리네박테리움 카니스(Corynebacterium canis),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Corynebacterium ammoniagenes), 코리네박테리움 레날레(Corynebacterium renale), 코리네박테리움 폴루티솔리(Corynebacterium pollutisoli), 코리네박테리움 이미탄스(Corynebacterium imitans), 코리네박테리움 카스피움(Corynebacterium caspium), 코리네박테리움 테스투디노리스(Corynebacterium testudinoris), 코리네박테리움 슈도펠라지(Corynebacaterium pseudopelargi)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플라베스센스(Corynebacterium flavescen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형질전환체는 전술한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균주, 상기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현하는 균주, 또는 상기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에 대한 활성을 가지는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형질전환체는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체는 자연적으로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L-글루탐산 생산능이 부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형질전환체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활성이 변화되어 L-글루탐산 생산능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생산능이 향상된”은 모균주에 비해 L-글루탐산의 생산성이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모균주는 변이의 대상이 되는 야생형 또는 변이주를 의미하며, 직접 변이의 대상이 되거나 재조합된 벡터 등으로 형질전환되는 대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균주는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또는 야생형으로부터 변이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질전환체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가 도입됨으로써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의 활성이 변화하여 모균주에 비해 증가된 L-글루탐산 생산능을 나타내며, 특히 모균주에 비해 L-글루탐산 생산량이 5% 이상, 구체적으로는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형질전환체가 배양된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절한 배지와 배양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배지 및 배양 조건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지는 액체 배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양 방법은 예를 들면, 회분식 배양(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continuous culture), 유가식 배양(fed-batch culture) 또는 이들의 조합 배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지는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대한 배양 배지는 공지된 문헌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을 참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배지에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스, 수크로스, 락토스, 프락토스, 말토스, 전분, 셀룰로스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 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의 공급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 또는 개별 성분은 배양과정에서 배양액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미생물 배양액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양액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양액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양액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배양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5℃, 예를 들면 25 내지 40℃일 수 있다. 배양기간은 유용물질이 원하는 생산량으로 수득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60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 또는 형질전환체가 배양된 배지에서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는 배양 방법에 따라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배지로부터 생산된 L-글루탐산을 수집 또는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심분리, 여과, 추출, 분무, 건조, 증발, 침전, 결정화, 전기영동, 분별용해 (예를 들면,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면, 이온 교환, 친화성, 소수성 및 크기배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는 배양 배지를 저속 원심분리하여 바이오매스를 제거하고 얻어진 상등액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는 L-글루탐산을 정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됨으로써 효소 활성이 변화되어, 이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은 L-글루탐산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미드 pK19msb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적인 설명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 발현을 위한 벡터 제작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에서 113번째 위치한 프롤린(P)이 세린(S)으로 치환된 변이체를 발현하는 벡터를 제작하였다.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13869의 gDNA를 주형으로 프라이머 1 및 프라이머 2의 프라이머 쌍과 프라이머 3 및 프라이머 4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각각 PCR을 수행하였다. 이후, 두 개의 PCR 산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주형으로 프라이머 1 및 프라이머 4를 이용하여 다시 오버랩핑 PCR을 수행하여 단편을 획득하였다. 여기서 중합효소는 Takara PrimeSTAR Max DNA polymerase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 조건은 95℃에서 5분 변성한 후, 95℃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1분 30초를 30회 반복하고 72℃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pK19msb 벡터에 smaI을 처리하고 상기에서 수득한 PCR 산물 (단편)과 연결(ligation)하였으며, 여기서 얻은 플라스미드를 pK-mqo(P113S)라 명명하였다.
벡터 제작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프라이머 명칭 서열번호 프라이머 서열 (5’-3’)
프라이머 1 6 GCCGACTGAAAGGTTCACGT
프라이머 2 7 TGAATTCCTTAGAATCAGCCAGCAC
프라이머 3 8 GTGCTGGCTGATTCTAAGGAATTCA
프라이머 4 9 TGAGCAGCAACGCCAAGGTA
실시예 2.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가 도입된 변이주 제작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를 도입하기 위한 모균주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 U3 (KCCM13218P)를 사용하였고, U3 균주의 형질전환을 위한 방법으로 van der Rest 등의 방법을 기본으로 수식한 일렉트로컴피턴트 셀(electrocompetent cell) 제조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2% 포도당이 첨가된 2YT 배지 (트립톤 16 g/ℓ, 효모추출물 10 g/ℓ 및 염화나트륨 5 g/ℓ 함유) 10 ㎖에서 U3 균주를 1차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포도당을 제외한 2YT 배지 100 ㎖에 1 mg/㎖ 농도의 이소니코틴산 히드라진(isonicotinic acid hydrazine) 및 2.5% 글리신(glycine)을 첨가하고, OD610 값이 0.3이 되도록 종배양액을 접종한 후, 18℃, 180 rpm으로 12 ~ 16시간 배양하여 OD610 값이 1.2 ~ 1.4가 되도록 하였다. 배양액을 얼음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4℃, 4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뒤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U3 균주를 10% 글리세롤 용액으로 4회 세척하고, 최종적으로 10% 글리세롤 용액 0.5 ㎖에 재현탁하여 컴피턴트 셀(competent cell)을 준비하였다. 전기천공(Electroporation)은 바이오-라드(Bio-Rad)사의 전기천공기(electroporator)를 사용하였다. 전기천공 큐벳 (0.2 mm)에 준비된 컴피턴트 셀과 pK_mqo(P113S) 벡터를 첨가한 후, 2.5 kV, 200 Ω 및 12.5 ㎌의 조건으로 전기충격을 가하였다. 전기충격이 끝난 즉시 재생(regeneration) 배지 (Brain Heart infusion 18.5 g/ℓ 및 소비톨 0.5 M 함유) 1 ㎖을 첨가하고 46℃에서 6분간 열처리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식힌 뒤 15 ㎖ 캡 튜브로 옮겨 30℃에서 2시간 배양하고 선별 배지 (트립톤 5 g/ℓ, NaCl 5 g/ℓ, 효모추출물 2.5 g/ℓ, Brain Heart infusion powder 18.5 g/ℓ, 아가(agar) 15 g/ℓ, 소비톨 91 g/ℓ 및 카나마이신 (kanamycine) 20 ㎍/ℓ 함유)에 도말하였다. 30℃에서 72시간 배양해 생성된 콜로니는 BHI 배지에서 정지기까지 배양하여 2차 재조합을 유도했으며 10-5 ~ 10-7까지 희석하여 항생제가 없는 2YT 평판 배지 (10% sucrose 함유)에 도말하여 카나마이신 내성도가 없고 10% 수크로스가 포함된 배지에서 성장성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를 MD1이라 명명하였다.
실험예 1.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가 도입된 변이주의 L-글루탐산 생산능 평가
모균주 U3와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가 도입된 변이주 MD1의 L-글루탐산 생산능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 2의 글루탐산 생산용 배지 10 mL가 담긴 100 mL 플라스크에 각 균주 (모균주 또는 변이주)를 부피 기준으로 1%씩 접종하여 30℃, 200 rpm의 조건으로 48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HPLC (Agilent)를 사용하여 배지 내 L-글루탐산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 함량
Glucose 70 g/L
(NH4)2SO4 5 g/L
MgSO4 0.4 g/L
Urea 2 g/L
대두가수분해물 1.5% v/v
KH2PO4 1.0 g/L
FeSO4 10 mg/L
MnSO4 10 mg/L
Thiamine_HCl 200 ug/L
Biotin 2 ug/L
CaCO3 5%
균주 L-글루탐산 생산량 (g/L)
U3 10.6
MD1 11.8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가 도입된 변이주에서는 모균주에 비해 L-글루탐산 생산량이 약 11.3%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에 의해 글루탐산 생산 경로의 탄소원 흐름이 증가함으로써 L-글루탐산 생산능이 증가함을 시사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CCM13218P 20220629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말레이트:퀴논 산화환원효소 변이체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미생물인 형질전환체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형질전환체가 배양된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0220085235A 2022-07-11 2022-07-11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57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35A KR102572849B1 (ko) 2022-07-11 2022-07-11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PCT/KR2023/007164 WO2024014698A1 (ko) 2022-07-11 2023-05-25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35A KR102572849B1 (ko) 2022-07-11 2022-07-11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849B1 true KR102572849B1 (ko) 2023-08-31

Family

ID=8784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35A KR102572849B1 (ko) 2022-07-11 2022-07-11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2849B1 (ko)
WO (1) WO202401469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489A (ko) * 2001-04-10 2004-02-14 데구사 아게 코리네형 박테리아를 이용한 발효에 의한 l-아미노산의생산 방법
US20060166338A1 (en) * 2005-01-19 2006-07-27 Degussa Ag Alleles of the mqo gene from coryneform bacteria
US20060177912A1 (en) * 2000-09-09 2006-08-10 Mike Farwick Nucleotide sequences which code for the dep34 ge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4581A1 (de) * 2002-03-07 2003-09-18 Degussa Aminosäure produzierende Bakter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minosäur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7912A1 (en) * 2000-09-09 2006-08-10 Mike Farwick Nucleotide sequences which code for the dep34 gene
KR20040014489A (ko) * 2001-04-10 2004-02-14 데구사 아게 코리네형 박테리아를 이용한 발효에 의한 l-아미노산의생산 방법
US20060166338A1 (en) * 2005-01-19 2006-07-27 Degussa Ag Alleles of the mqo gene from coryneform bacteri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quence ID: WP_216312764.1(2021.06.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98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160B1 (ko) L-글루탐산 생산능이 향상된 변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제조 방법
KR102269639B1 (ko) L-글루탐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1485222B1 (ko) dapA 활성 조절을 통해 L-쓰레오닌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쓰레오닌 생산방법
CN116606820B (zh) Atp合酶新型变体及利用其的l-芳香族氨基酸的生产方法
KR102572849B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572850B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546734B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636674B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636672B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102614733B1 (ko)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르복실라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2614734B1 (ko) 5-데하이드로-2-데옥시글루코노키나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JP2023540518A (ja) L-リジ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クム変異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リジンの生産方法
WO2024014700A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JP2024509290A (ja) L-リジ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カム変異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リジンの生産方法
KR20240008454A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20240066499A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WO2024096219A1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의 생산 방법
KR20240058000A (ko) Qin 프로파지; 단백질 YnfQ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KR20240057999A (ko) GlpM 패밀리 단백질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KR20240057981A (ko) 피루베이트 인산화효소 2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KR20240057998A (ko) DNA-결합 전사 제어인자 MalT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KR20240058001A (ko) 페닐알라닌:H+ 동시수송체 PheP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방향족 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CN116606823A (zh) 锌结合脱氢酶新型变体及利用其的l-芳香族氨基酸的生产方法
CN116940591A (zh) 西格玛38新型变体及利用其的l-芳香族氨基酸的生产方法
CN116917469A (zh) 应激蛋白新型变体及利用其的l-芳香族氨基酸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