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44B1 - 블로워 - Google Patents

블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44B1
KR102572844B1 KR1020210116553A KR20210116553A KR102572844B1 KR 102572844 B1 KR102572844 B1 KR 102572844B1 KR 1020210116553 A KR1020210116553 A KR 1020210116553A KR 20210116553 A KR20210116553 A KR 20210116553A KR 102572844 B1 KR102572844 B1 KR 10257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sposed
bearing
sha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512A (ko
Inventor
이건영
윤주협
백상균
강민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44B1/ko
Priority to PCT/KR2022/012875 priority patent/WO2023033477A1/ko
Publication of KR2023003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로워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에 상대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면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과 맞물리는 기어면을 형성하는 베이스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워{Blower}
본 발명은 블로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를 기초로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는 케이스가 회전하는 블로워에 관한 것이다.
블로워는, 국소적인 영역에 공기를 집중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블로워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블로워의 본체는 회전될 필요가 있고, 블로워에는 본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블로워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기준으로 베이스 상측의 구조물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측의 구조물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70267호는, 베이스에 모터가 배치되고,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물이 회전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별도로 베이스에 배치될 때, 베이스 내부 구조가 커지게 되는 문제와,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이 베이스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이스의 상측구조물에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경우, 모터로 연결되는 전선등의 꼬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시된 내용과 달리 회전하는 구조물에 모터가 배치되는 경우, 모터와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회전구조물에 장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블로워의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시키고자 회전하는 구조물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때, 회전구조물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모터의 이동방향이 달라지게 되어 모터의 구동축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구동을 수행하는 모터와 구동축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블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회전구동을 수행하는 구동유닛이 컴펙트화된 블로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과,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에 상대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면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과 맞물리는 기어면을 형성하는 베이스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브라켓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베어링을 포함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회전하지 않는 브라켓 사이에서 기어베어링이 배치되어 구동축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어베어링을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기어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기어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축서포터를 포함하여, 기어베어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구동축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축서포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축서포터는 상기 기어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기어베이링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어베어링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어링판서포터를 포함하여, 기어베어링이 브라켓과 구동기어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판서포터는 상기 베어링축서포터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기어베어링이 브라켓과 구동기어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스탭을 형성하여, 구동기어가 회전판의 하측에서 베이스기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원판형태를 가지는 기어판과, 상기 기어판의 중심에서 상기 구동모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홈이 형성되는 기어보스와, 상기 기어판의 중심에서 상기 기어보스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어베어링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기어돌기를 포함하여, 구동기어의 구성을 통해 구동축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면이 다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기어보스의 내부에 형성된 축홈의 단면은 상기 구동축의 연결단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져, 구동축의 동력을 구동기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어판의 하부에는 상기 기어베어링이 배치되는 베어링홈이 형성되어, 기어베어링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판과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축베어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구동유닛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회전판 상측에서 구동모터와 제어장치가 연결되어, 전선의 꼬임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로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블로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회전판에 모터가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블로워의 전체적인 회전방향 변경에도 구동모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회전판의 상측으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배치되어, 구동모터와 제어장치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판의 상측과 하측으로 구동모터와 구동기어가 배치되어 구동유닛이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회전판의 상측에 구동모터와 제어장치를 일괄적으로 배치하여,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고, 전기부품들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 1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동 예시 2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제 2타워 내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9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종단면도 하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12는 필터설치구조가 도시된 케이스 내부 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13은 도 1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과, 베이스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회전판과 베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판과 베이스의 어퍼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판과 베이스의 어퍼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9a와 도 19b는 본 발명의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베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9a는 제1위치(P1)에서의 전선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b는 제2위칭(P2)에서의 전선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블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블로워(1)의 전체구조를 우선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1)은 외형을 제공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필터(220)가 설치되는 하부케이스(210)와, 코안다효과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타워케이스(140)를 포함한다.
타워케이스(140)는 2개의 기둥 형태로 분리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 1타워(110) 및 제 2타워(120)를 포함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제 1타워(110)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타워(120)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타워(110) 및 제 2타워(120)는 서로 이격되어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105)가 형성된다.
블로잉스페이스(105)는 전방,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되고,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단 및 하단의 좌우간격이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110), 제 2타워(120) 및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포함하는 타워케이스(140)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에 각각 형성된 토출구(117)(127)은 블로잉스페이스(105)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구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타워(11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1토출구(117)라 하고, 제 2타워(12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2토출구(127)라 한다.
제 1토출구(117) 및 제 2토출구(127)는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공기 토출방향으로 정의한다.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토출방향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공기토출방향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공기토출방향(S1)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코안다브레이커(400)의 이동에 따라,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통과하는 공기토출방향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공기토출방향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공기토출방향(S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공기토출방향(S1)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기류라 하고, 제 2공기토출방향(S2)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승기류라 한다.
수평기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만 유동시킨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승기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만 유동시킨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아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단 간격과 하단 간격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단 간격이 하단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좌우 폭을 일정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다를 경우, 넓은 쪽의 유동속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속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공기의 유속편차가 발생될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청정공기의 공급량이 달라질 수 있다.
제 1토출구(117)와 제 2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제 1토출구(117)로부터 토출된 공기와 제 2토출구(127)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유동되지 않고,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블로잉스페이스(105)는 토출공기들이 합류되어 믹스(Mix)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로잉스페이스(105)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잉스페이스(105) 후방의 공기도 블로잉스페이스(105)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 1토출구(117)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토출구(117)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127)의 토출공기를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 주변의 공기도 공기 토출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제 1공기토출방향(S1)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제 2공기토출방향(S2)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제 2공기토출방향(S2)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 1타워(110)의 상측단(111)과 제 2타워(120)의 상측단(121)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즉, 상기 제 2공기토출방향(S2)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블로워(1)의 케이스(100)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 1공기토출방향(S1)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 1타워(110)의 전단(112)과 제 2타워(120)의 전단(122)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제 1타워(110)의 후단(113)과 제 2타워(120)의 후단(123)도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제 1타워(110) 및 제 2타워(120)에서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는 면은 내측면이라 하고,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지 않는 면을 외측면이라 정의한다.
제 1타워(110)의 외측벽(114)과 제 2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 1타워(110)의 내측벽(115)과 제 2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15)(125)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타워(110)의 내측면을 제 1내측벽(115)이라 하고, 제 2타워(120)의 내측면을 제 2내측벽(125)이라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벽(114)(124)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타워(110)의 외측면을 제 1외측벽(114)이라 하고, 제 2타워(120)의 외측면을 제 2외측벽(124)이라 정의한다.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내측벽(115)과 제 1외측벽(11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내측벽(125)과 제 2외측벽(12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17)는 제 1내측벽(115)에 형성되고, 제 2토출구(127)는 제 2내측벽(125)에 형성된다.
제 1내측벽(115)과 제 2내측벽(125)의 최단거리를 B0이라 정의한다. 토출구(117)(127)는 상기 최단거리(B0)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타워(110)의 전단(112)과 제 2타워(120)의 전단(122)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 1이격거리(B1)라 하고, 제 1타워(110)의 후단(113)과 제 2타워(120)의 후단(123)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 2이격거리(B2)라 정의한다.
제 1이격거리(B1)와 제 2이격거리(B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이격거리(B1)와 제 2이격거리(B2)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 1토출구(117)와 제 2토출구(127)는 최단거리(B0)가 형성된 위치와 제 2이격거리(B2)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17)와 제 2토출구(127)는 최단거리(B0)가 형성된 위치보다 제 1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 2타워(120)의 후단(12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17)(127)가 후단(113)(12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록 후술하는 코안다효과를 통한 기류제어에 용이하다.
제 1타워(110)의 내측벽(115)과 제 2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코안다효과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고, 제 1타워(110)의 외측벽(114)과 제 2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코안다효과를 간접적으로 제공한다.
내측벽(115)(125)은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전단(112)(122)까지 직접적으로 가이드한다. 즉, 내측벽(115)(125)은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평기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발생되는 코안다효과로 인한 수평기류의 형성으로 인해 외측벽(114)(124)에서도 간접적인 공기유동이 발생된다.
외측벽(114)(124)은 상술한 간접적인 공기유동에 대해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고, 상술한 간접적인 공기유동을 전단(112)(122)으로 안내한다.
후술하는 코안다브레이커(400)가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통과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고, 상승기류는 블로잉스페이스(105)의 개방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승기류는 토출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실내공기의 대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된 공기가 토출되는 폭을 조절함으로써, 블로워(1)으로부터 송풍되는 토출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타워(110)에는 코안다브레이커(400)가 이동되는 제 1보드슬릿(119)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 2타워(120)에는 코안다브레이커(400)가 이동되는 제 2보드슬릿(129)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보드슬릿(119)(129)은, 내측벽(115)(125)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타워(110)(120)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드슬릿(119)(129)은, 최단거리(B0)가 형성된 위치보다 제 1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 2타워(120)의 전단(12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좌우 폭(B0, B1, B2)보다 제 1토출구(117) 및 제 2토출구(127)의 상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제 1토출구(117)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블로워(1)의 케이스(100)는, 내부에 필터(220)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케이스(210)에 의해 지지되는 타워케이스(14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21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한 일련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송풍유닛(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케이스(140)는,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의 외관을 형성한다.
타워케이스(140)는,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를 연결하는 타워베이스(130)가 포함할 수 있고, 타워베이스(130)가 하부케이스(210)에 조립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제 1타워(110) 및 제 2타워(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는 타워베이스(130) 없이 하부케이스(210)에 직접 조립될 수 있고, 하부케이스(21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부케이스(210)는 블로워(1)의 하부를 형성하며, 타워케이스(140)는 블로워(1)의 상부를 형성한다. 하부케이스(210)의 내부에는 하부케이스(210)의 외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20)가 배치될 수 있다.
블로워(1)은 하부케이스(21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주위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220)에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며, 타워케이스(140)에서 여과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타워케이스(140)는 하부케이스(21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블로워(1)은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고, 블로워(1)은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하부케이스(210)와 타워케이스(140)는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하부케이스(210) 및 타워케이스(140)가 일체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케이스 및 타워케이스가 일체로 제작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형태로 제작한 후 조립할 수도 있다.
하부케이스(21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타워케이스(14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와 타워케이스(140)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의 하단과 하부케이스(210)의 상단이 밀착되고, 타워베이스(130)의 외측면과 하부케이스(210)의 외측면이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워베이스(130)의 하단 직경은 하부케이스(210) 상단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와 타워케이스(140)는, 하부케이스(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유닛(70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유닛(700)은, 케이스(100)와, 송풍유닛(200)과, 타워(110, 120)를 포함하는 블로워(1) 본체 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블로워(1)이 구동유닛(700)에 의해 회전되면,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통해 블로워(1)으로부터 토출되는 수평기류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하부케이스(210)의 내부로부터 공급된 여과공기를 분배하고, 상기 분배된 공기를 상기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에 제공한다.
타워베이스(130)는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를 연결시키고, 블로잉스페이스(105)는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형성된다.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토출구(117)(127)가 형성되고, 상승기류와 수평기류는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서 형성된다.
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워베이스(130)의 상측면(13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면(131)은 하방으로 오목한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측면(131)의 일측(131a)은 제 1내측벽(115)에 연결될 수 있고, 상측면(131)의 타측(131b)은 제 2내측벽(125)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탑뷰(Top View)로 볼 때,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는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17)와 제 2토출구(127)는 상기 중심선 L-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선 L-L'은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 사이의 가상의 선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면(131)을 지나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가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중심선 L-L'을 기준으로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블로잉스페이스(105) 내에서 유동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블로워(1)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블로워(1)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필터(22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117)(127)로 유동시키는 팬장치(300)를 포함한다. 필터(220)와 팬장치(300)은 하부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이 개구된다. 필터(220)와 팬장치(300)를 포함하는 송풍유닛(200)은, 필터(220)와 팬장치(3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케이스(210)를 포함하고, 하부케이스(210)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공기유입구(211)가 하부케이스(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하부케이스(21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는 2개의 파트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파트가 조립되어 상술한 원뿔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는, 블로워(1)의 전방측으로 분리되는 전방케이스(미도시)와, 후방측으로 분리되는 후방케이스(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파트 중 어느 하나를 분리시켜 하부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된 필터(220)를 인출할 수 있다.
필터(220)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22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220)의 외측면은 공기유입구(211)와 마주볼 수 있다.
블로워(1)의 외부공기는 필터(2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유동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유해한 가스가 제거될 수 있다.
팬장치(300)는 필터(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필터(22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로 송풍시킬 수 있다.
팬장치(300)는, 팬하우징(360)과, 팬하우징(360)의 내측에 배치된 팬모터(310)와, 팬모터(310)에 의해 회전되는 팬(320)을 포함한다.
팬모터(310)는 팬(320)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팬모터(310)의 모터축은 하측에 배치된 팬(320)에 결합될 수 있다. 팬(320)의 상측에는 팬모터(310)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330)이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고, 모터하우징(330)이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의 하부만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로어모터하우징(332)과 어퍼모터하우징(33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모터하우징(332)과 어퍼모터하우징(3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고, 로어모터하우징(332)이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모터하우징(332) 상측에 팬모터(310)가 설치된 후, 어퍼모터하우징(334)을 덮어 팬모터(310)를 감쌀 수 있다.
팬모터(310)의 모터축은 로어모터하우징(332)을 관통하여, 하측에 배치된 팬(320)에 조립될 수 있다.
팬(320)은 팬모터(310)의 모터축이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허브 및 쉬라우드를 연결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 내측으로 흡입된 후, 회전되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가압되어 유동된다. 상기 허브는 블레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허브는 하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로어모터하우징(332)의 하부가 상기 허브에 일부 삽입될 수 있다.
팬(320)은 사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사류팬은 회전축중심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토출되는 공기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체적인 공기 유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심팬과 같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경우, 유동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손실이 크게 발생된다.
상기 사류팬은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팬(320)의 상측에는 디퓨져(340)가 배치될 수 있고, 디퓨져(340)는 팬(320)에 의한 공기유동을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디퓨져(340)는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유동에서 반경방향 성분을 더욱 저감하고 상측 방향공기 유동성분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팬하우징(36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된다. 팬하우징(360)의 개구된 상측에 디퓨져(340)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디퓨져(330)와 팬(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의 상하 방향 설치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팬(320)에 삽입되고, 팬(3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에 삽입되고, 디퓨져(34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팬(32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고,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의 설치위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모터하우징(330)의 상측은 타워베이스(13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하우징(330)의 하측은 하부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모터하우징(330)이 타워베이스(130) 또는 하부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의 내부에는 흡입그릴(35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필터(220)가 분리되었을 때, 팬(320) 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흡입그릴(350)은 팬하우징(3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팬하우징(360)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팬하우징(360)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흡입그릴(350)은 격자, 원형 등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의 하측에 필터(220)가 배치될 수 있고, 상측에 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00) 내부에서, 흡입그릴(350)과 토출구(117)(127) 사이의 공간을 송풍공간(102)으로 정의한다. 케이스(100) 내부에서 토출구(117)(127)가 형성된 제 1타워(110) 및 제 2타워(120)의 내부 공간을 토출공간(103)으로 정의한다. 토출공간(103)은, 제 1타워(110) 내부 공간을 의미하는 제 1토출공간(103a)과, 제 2타워(120) 내부 공간을 의미하는 제 2토출공간(10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블로워(1)의 외부공기는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필터중공(221)으로 유입된 후, 송풍공간(102) 및 토출공간(103)을 거쳐 토출구(117)(127)를 통해 블로워(1)의 외부로 토출된다.
필터(220)의 하측에는, 제어장치(232, 233)이 수용되는 기판하우징(230)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220)는 기판하우징(2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기판하우징(2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기판하우징(230)의 내부에는, 제어장치(232, 23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230s)이 형성된다. 제어장치(232, 233)은, 구동유닛(700)의 작동 및 코안다브레이커(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장치(232)와; 팬장치(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장치(233)로 구분될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하우징(230)의 내부공간(23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기판하우징(23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어장치(232, 233)과 구동모터(710)는 회전판(5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어장치(232, 233)과 구동모터(710)는 회전판(5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어장치(232, 233)과 구동모터(7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판하우징(230)의 내부공간(230s)에 같이 배치됨으로써, 전기부품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하우징(230)의 하측에는 블로워(1)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7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700)은, 하부케이스(210)와, 기판하우징(230)과, 필터(220)와, 팬장치(300)와, 제 1타워(110)와, 제 2타워(12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700)은, 하부케이스(210) 내부의 송풍공간(201)에 배치되는 모든 구조물과, 타워케이스(140) 내부에 배치되는 모든 구조물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토출공간(103)에는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에어가이드(160)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60)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6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유동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토출구(117)(127)를 통해 블로워(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타워(110) 내부에 배치된 것을 제 1에어가이드(161)라 하고, 제 2타워(120) 내부에 배치된 것을 제 2에어가이드(162)라 한다.
정면에서 볼 때, 제 1에어가이드(161)는 제 1타워(110)의 내측벽(115) 및/또는 외측벽(114)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제 1토출구(117)로 안내하기 위해 제 1에어가이드(161)는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게 형성되는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일 수 있다.
제 1에어가이드(161)의 후측단(161b)은 제 1토출구(117)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타워(110)의 후단(1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에어가이드(161)의 좌측단(161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타워(110)의 좌측벽(114)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 1에어가이드(161)의 우측단(161d)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타워(110)의 우측벽(115)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 2에어가이드(162)는 제 1에어가이드(161)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제 2에어가이드(162)에 대한 설명은 제 1에어가이드(161)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에어가이드(161)의 후측단(161b)은 제 2에어가이드(162b)의 후측단과, 제 1에어가이드(161)의 좌측단(161c)은 제 2에어가이드(162)의 좌측단(162c)과, 제 1에어가이드(161)의 우측단(161d)은 제 2에어가이드(162)의 우측단(162d)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17)는 제 1타워(110)의 전단(112) 및 후단(113) 사이에 형성되고, 후단(113)에 가깝게 형성된다. 제 1토출구(117)에서 토출된 공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제 1내측벽(115)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전단(112)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17)는 공기토출 측(본 실시예에서 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보더(117a)와, 상기 공기토출 측과 대향되는 측(본 실시예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2보더(117b)와, 제 1토출구(117)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측보더(117c)와, 제 1토출구(117)의 하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측보더(117d)를 포함한다.
제 1보더(117a)와 제 2보더(117b)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측보더(117c)와 하측보더(117d)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더(117a)와 제 2보더(117b)는 수직 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타워(110)의 후단(113) 역시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방향(V)에 대한 제 1보더(117a)와 제 2보더(117b)의 기울기(a1)는 4도로 형성될 수 있고, 후단(113) 기울기(a2)는 3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구(117)의 기울기(a1)가 제 1타워(110)의 후단(113) 기울기(a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127)는 제 1토출구(117)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토출구(127)에 대한 설명은 제 1토출구(117)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토출구(127)와 제 2타워(120)의 후단(123)은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토출구(127)의 기울기(a1)가 제 2타워(120)의 후단(123) 기울기(a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는 구조와, 토출구(117, 127)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코안다브레이커(400)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타워(110)의 제 1토출구(117)는 제 2타워(12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2타워(120)의 제 2토출구(127)는 제 1타워(11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11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제 1타워(110)의 내측벽(115)을 따라 유동한다. 제 2토출구(1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제 2타워(120)의 내측벽(125)을 따라 유동한다.
블로워(1)의 타워(110, 120)는, 제 1토출케이스(170)와 제 2토출케이스(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 1토출케이스(170)는 제 1타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제 1토출케이스(170) 내부에 에어가이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토출케이스(180) 역시 제 2타워(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제 2토출케이스(180) 내부에 에어가이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토출케이스(170)와 제 2토출케이스(180)가 이너케이스 형태로 제작될 경우, 송풍공간(102)의 공기를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제 1토출구(117)는, 제 1토출케이스(170)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토출케이스(170)는 제 1타워(110)에 조립될 수 있다. 제 2토출구(127)는, 제 2토출케이스(180)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토출케이스(180)는 제 2타워(120)에 조립될 수 있다.
제 1토출케이스(170)는, 제 1타워(110)의 내측벽(115)을 관통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 2토출케이스(180)는, 제 2타워(120)의 내측벽(125)을 관통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타워(110)에는, 제 1토출케이스(170)가 설치되는 제 1토출개구부(118)가 형성될 수 있고, 제 2타워(120)에는, 제 2토출케이스(180)가 설치되는 제 2토출개구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케이스(170)는, 제 1토출구(117)를 형성하고 제 1토출구(11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 1토출가이드(172)와; 제 1토출구(117)를 형성하고, 제 1토출가이드(172)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 2토출가이드(1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172)와 제 2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2a)(174a)은 제 1타워(110) 내측벽(115)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172)의 내측은 제 1토출공간(103a)과 연통되고, 외측은 블로잉스페이스(105)와 연통된다. 제 2토출가이드(174)의 내측은 제 1토출공간(103a) 과 연통되고, 외측은 블로잉스페이스(105)와 연통된다.
제 1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172a)은 제 1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4a)은 제 1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 2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면(174b)은, 제 1외측벽(115)의 내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 1토출공간(103a)의 공기가 제 1토출가이드(172)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172)와 제 2토출가이드(174) 사이에 제 1토출구(117)가 형성되고, 제 1토출공간(103a)의 공기는 제 1토출구(117)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토출공간(103a)의 공기는 제 1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과 제 2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로 토출되고, 제 1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과 제 2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의 이격거리를 토출간격(175)으로 정의한다. 제 1토출가이드(172)와 제 2토출가이드(174)는 소정의 채널(Channel)을 형성한다.
토출간격(175)은 입구(175a) 및 출구(175c)에 비해 중간 부분(175b)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분(175b)은, 제 2보더(117b)와 외측면(172a)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한다.
토출간격(175)의 입구(175a)에서부터 중간부분(175b)까지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고, 중간부분(175b)에서부터 출구(175c)까지 단면적이 다시 넓어질 수 있다. 중간부분(175b)은 제 1타워(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토출간격(175)의 출구(175c)가 토출구(117)로 보일 수 있다.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해, 제 1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곡률반경보다 제 2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172) 외측면(172a)의 곡률중심은 외측면(172a)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제 1토출공간(103a) 내부에 형성된다. 제 2토출가이드(174) 내측면(174b)의 곡률중심은 제 1토출구(117) 측에 위치되고, 제 1토출공간(103a) 내부에 형성된다.
제 2토출케이스(180)는, 제 2토출구(127)를 형성하고, 제 2토출구(12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 1토출가이드(182)와; 제 2토출구(127)를 형성하고, 제 1토출가이드(18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토출가이드(184)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토출가이드(182)와 제 2토출가이드(184) 사이에는 토출간격(185)이 형성된다.
제 2토출케이스(180)는, 제 1토출케이스(170)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토출케이스(170)에 대한 설명은 제 2토출케이스(18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블로워(1)은,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코안다브레이커(400, air flow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안다브레이커(400)는, 블로잉스페이스(105)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코안다브레이커(400)는, 제 1타워(110)에 배치된 제 1코안다브레이커(401)와; 제 2타워(120)에 배치된 제 2코안다브레이커(402)를 포함한다. 제 1코안다브레이커(401)와 제 2코안다브레이커(402)는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코안다브레이커(400)는, 타워(110, 120)에 배치되고,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보드(410, guide board)와; 가이드보드(4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420)와; 가이드모터(42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가이드보드(4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미도시)와; 타워(110, 120)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보드(4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드가이더(440)을 포함한다.
가이드보드(410)는, 타워(110, 120) 내부에 은닉될 수 있고, 가이드모터(420)의 작동 시 블로잉스페이스(105)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제 1타워(110)에 배치된 제 1가이드보드(411)와; 제 2타워(120)에 배치된 제 2가이드보드(412)를 포함한다.
가이드보드(410)가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타워(110)의 내측벽(115)을 관통하는 보드슬릿(119)이 형성되고, 제 2타워(120)의 내측벽(125)을 관통하는 보드슬릿(129)이 각각 형성된다.
제 1타워(110)에 형성된 보드슬릿(119)을 제 1보드슬릿(119)이라 하고, 제 2타워(120)에 형성된 보드슬릿을 제 2보드슬릿(129)라 한다.
제 1보드슬릿(119)과 제 2보드슬릿(129)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보드슬릿(119)과 제 2보드슬릿(129)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119)과 제 2보드슬릿(129)은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타워(110)의 전단(112)은 3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보드슬릿(119)은 4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타워(120)의 전단(122)은 3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보드슬릿(129)은 4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통해 블로워(1)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수평기류를 가로막아, 블로잉스페이스(105)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제 1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과 제 2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은 서로 맞닿거나 근접되어 블로워(1)의 전방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차단하여,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일의 가이드보드(410)가 반대편 타워에 밀착되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코안다브레이커(400)가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지 않을 때, 제 1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 1보드슬릿(119)을 폐쇄하고, 제 2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 2보드슬릿(129)를 폐쇄할 수 있다.
코안다브레이커(400)가 작동되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때, 제 1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은 제 1보드슬릿(119)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고, 제 2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은 제 2보드슬릿(129)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가이드보드(411)와 제 2가이드보드(412)는 회전 동작을 통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가이드보드(411)와 제 2가이드보드(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이동되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탑뷰(Top View)로 볼 때, 제 1가이드보드(411)와 제 2가이드보드(412)는 호형(arc)상일 수 있다. 제 1가이드보드(411)와 제 2가이드보드(412)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형성하고, 곡률중심은 블로잉스페이스(105) 내에 위치된다.
보드가이더(440)는 타워(110, 120)의 외측벽(114)(124)에 조립될 수 있다.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를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토출공간(103) 내에 유동되는 공기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송풍유닛(20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팬하우징(360)은, 필터(220)를 통과한 공기를 팬(320)으로 안내하는 벨마우스(363)을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363)는 필터(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흡입그릴(350)은 필터(220)와 벨마우스(36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벨마우스(363)는 소정의 내경(BD)를 갖는 링형상일 수 있고,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내경(BD)은 벨마우스(363)의 내주면(363a)의 직경으로 이해될 수 있고, 벨마우스(363)의 내측에는 팬(320)으로 향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11)과 연결된 팬(320)은 회전에 의해, 필터중공(221)의 공기에 대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필터중공(221)의 공기는 흡입그릴(350)과 벨마우스(363)를 통해 팬하우징(360) 내로 유동한다.
필터(220)는, 필터중공(221)이 형성된 원통형일 수 있고,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하부케이스(21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220)의 외주면(220a)과 내주면(220b)을 통과하여 필터중공(221)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필터(220)의 외주면(220a)으로부터 내주면(220b)으로 유동하면서, 외주면(220a)과 내주면(220b)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나, 헤파필터나, 탈취필터에 의해 함유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필터중공(221) 내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220)는, 필터(220)의 반경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필터프레임(2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필터(220)의 외주면(220a)과 접촉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2)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3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220)는, 필터프레임(222)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통해 입출입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0)는, 구동유닛(700)에 탈착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하부케이스(210)를 분리시킨 뒤, 필터(220)를 인출하여 청소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2)은, 필터(220)의 하측에 배치된 기판하우징(230)과 연결될 수 있다. 기판하우징(230)은 필터(220)의 하면과 접촉되어, 필터(220)를 지지할 수 있다. 기판하우징(230)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유닛(700)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외벽(2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외벽(23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외벽 상면(231a)과; 하우징외벽 상면(231a)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연결부(231b)와; 프레임연결부(231b)에 형성된 체결홀(231c)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2)은, 체결홀(231c)을 관통하는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하우징외벽(231)과 연결될 수 있고, 기판하우징(2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기판하우징(230)의 하측에는, 블로워(1)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700)이 배치된다. 구동유닛(700)은 지면과 접촉되는 베이스(600)와; 베이스(60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는 회전판(500)을 포함한다.
기판하우징(230)은 회전판(5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판(500)은 기판하우징(230)을 비롯하여 기판하우징(230)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되는 구조물(100, 110, 120, 130, 140, 200, 210, 220, 230, 300) 모두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500)과 베이스(600)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블로워(1)는 베이스(600)와, 케이스(100)와 연결되고 베이스(60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는 회전판(500)과, 회전판(500)을 베이스(600)의 상측에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700)을 포함한다.
도 17를 참조하면, 블로워(1)는, 베이스(600)와 회전판(500)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판(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베어링(560)과, 회전판(500)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회전판(500) 상측으로 배치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홀더(570)를 포함한다.
회전판(500)은, 베이스(60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어, 베이스(600)에 의해 지지된다. 베이스(600)는, 회전판(500)이 회전될 때, 회전판(500)을 비롯하여 베이스(600)의 상측에 배치된 모든 구조물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응력(Normal stress) 및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지지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판(500)은, 플레이트(510), 플레이트(510)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커버(520), 플레이트(510)의 회전중심에 배치되고 베이스(600) 방향으로 돌출되고, 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바디(530)를 포함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510)는, 전체적인 외형이 원판형일 수 있고,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축관통구(512)가 형성된다. 회전판(500)에는 축바디(530)가 형성되는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축관통구(512)가 형성된다. 축관통구(512)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할 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축바디(530)는, 플레이트(5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축바디(530)는 내부가 중공인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축바디(530)의 내부에는 축관통구(512)가 형성된다. 축바디(530)는, 축관통구(512)의 외둘레를 형성하는 제1축바디(532)와 제1축바디(532)의 외둘레에 배치되는 제2축바디(534)를 포함한다. 제1축바디(532)는 제2축바디(534)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축바디(532)와 제2축바디(534)는 서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제1축바디(532)의 외주면(532a)은 축베어링(560)의 내주면(562a)과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2축바디(534)의 하부면(534a)은 축베어링(560)의 상부면(562b)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축바디(532)와 제2축바디(534)에 의해 축베어링(560)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축베어링(560)의 전체적인 외형은 실린더형일 수 있고, 축베어링(560)의 내측에 축바디(530)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축베어링(560)의 내측에 제1축바디(532)가 관통되게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축관통구(512)에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536)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36)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선홀더(570)와 볼트 등의 체결부재(537)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536)는, 중심부가 축관통구(512)로 일부 섭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축관통구(512)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510)의 상부면에는, 구동유닛(700)의 구동모터(710)를 고정하는 모터장착부(514)가 배치된다. 모터장착부(514)는, 구동모터(710)가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모터장착부(514)에 안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회전판(500)에 체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플레이트(5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510)의 하부면(510b)에는 회전판(5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볼베어링(540)이 배치된다. 복수의 볼베어링(540)은, 축바디(53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볼베어링(54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600)의 베이스기어(642)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510)의 하부면(510b)에는 볼베어링(540)의 배치를 고정하는 베어링홀더(542)가 배치된다. 베어링홀더(542)는 플레이트(510)의 하부면(510b)에서 베이스(60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볼베어링(540)의 배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볼베어링(540)은 베어링홀더(542)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볼베어링(540)은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600)의 상부와 접촉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판(500)이 회전할 때, 볼베어링(540)은 베이스(600)의 상부와 접촉하여 회전판(5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분산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플레이트(510)의 하부면(510b)에는 복수의 볼베어링(540)이 배치된다. 복수의 볼베어링(540)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복수의 볼베어링(540)은 회전판(5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복수의 볼베어링(540)이 회전판(5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510)의 하부면(510b)에는 케이스(100)의 일측이 베이스(600)로부터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지지베어링(550)이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베어링(550)은 복수의 볼베어링(540)보다 회전판(500)의 회전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베어링(550)은, 이하에서 설명할 베이스(600)의 에지리브(644)와 회전판(500)의 둘레커버(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베어링(550)은, 회전판(50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552)와, 지지돌기(552)와 연결되는 지지축(554)과, 지지축(554)이 관통되는 휠(556)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552)는, 지지축(55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축(554)은 지지돌기(552)에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축(554)은, 휠(556)을 지지할 수 있고, 스크류 또는 핀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축(554)은 지지돌기(55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휠(556)이 하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휠(556)을 지지할 수 있다.
휠(556)은, 지지돌기(552)와 지지축(554) 사이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휠(556)은 롤러를 사용할 수 있고, 휠(556)은 지지축(55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휠(556)은 베이스(600)의 어퍼바디(630)의 외주단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휠(556)은 이하에서 설명할 베이스(600)의 아우터리브(648)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에 진동이나 외력이 발생할 때, 휠(556)의 상부면(556a)이 아우터리브(648)의 하부면(648a)과 접촉하여 케이스(100)의 일측이 상측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휠(556)은, 회전판(500)이 회전하고 휠(556)이 베이스(600)의 아우터리브(648)와 접촉할 때, 지지축(55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이는, 휠(556)이 지지축(554)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전하고, 회전중심(O)을 기준으로 공전한다고 달리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축베어링(560)은, 회전판(500)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레이어(562)와, 제1레이어(56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베이스(600)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레이어(5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이어(562)는 제2레이어(564)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레이어(562)의 외주면은 제2레이어(564)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레이어(564)는 베이스(600)의 회전축하우징(636)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레이어(564)의 외주면은 축바디(530)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레이어(562)는 회전판(5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제2레이어(564)는 회전축하우징(515)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판(500)이 회전되어도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레이어(562)는 축바디(53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고, 제2레이어(564)는 제1레이어(56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제1레이어(562)와 제2레이어(564) 사이에는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다.
축베어링(560)은, 축바디(530)의 외주면(532a)을 둘러싸도록 회전판(500)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축하우징(515)의 내주벽(638)에 고정되도록 베이스(60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지면과 접촉되어, 지면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00)는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600)는 블로워(1) 전체구조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베이스(600)는, 내측공간(610s)을 형성하는 로어바디(610)와, 로어바디(6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로어바디(610)의 내측공간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바디(630)와, 로어바디(610) 하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촉하는 바텀바디(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로어바디(610)는, 전체적인 외형이 보울(Bowl)형일 수 있고, 내측공간(610s)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바디(610)는, 로어플레이트(612)와, 로어플레이트(6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디외벽(61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612)의 전체적인 외형은 원판형일 수 있다. 바디외벽(614)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외벽(614)의 일측에는, 전선(10)이 관통하는 전선홀(614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텀바디(620)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바텀플레이트(622), 바텀플레이트(62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블로워(1)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624)와, 바텀플레이트(62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로어플레이트(612)와 체결되는 체결보스(6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622)는 로어플레이트(612)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624)는, 블로워(1)의 전체적인 구조물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어플레이트(612)의 가장자리에서 바닥을 향해 경사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대(624)는 바텀플레이트(622)의 외주단에서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624)는, 바텀플레이트(62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지지대(626)와, 이너지지대(626)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아우터지지대(628)를 포함한다. 이너지지대(626)는 상단부에서 로어플레이트(612)의 가장자리부분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지지대(628)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주단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바디(630)는, 어퍼플레이트(632), 어퍼플레이트(632)의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판(500)을 향해 돌출된 회전축하우징(636)과, 어퍼플레이트(63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에지리브(644)와, 어퍼플레이트(632)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구동유닛(700)과 맞물리도록 일측에 기어가 형성된 베이스기어(642)를 포함한다.
어퍼플레이트(632)는, 대략 원판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632)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축삽입구(634)가 형성된다. 축삽입구(634)의 둘레로 회전축하우징(63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축하우징(636)의 전체적인 외형은 실린더형일 수 있다. 회전축하우징(636)은, 내측에 축바디(5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축하우징(636)은 어퍼플레이트(63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하우징(636)은, 축바디(53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주벽(638)과, 내주벽(638)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너돌기(6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하우징(636)의 내측에는 축베어링(560)이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하우징(636)은 축베어링(560)을 지지하여, 축베어링(560)과 축바디(530)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내주벽(638)은, 축베어링(560)의 제2레이어(564)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너돌기(640)는, 축베어링(56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너돌기(640)의 상부면은 축베어링(560)의 제2레이어(564)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함면, 베이스기어(642)는, 링형상을 가지고, 어퍼플레이트(63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기어(642)는, 회전축하우징(636)과 중심이 같고, 회전축하우징(636)보다 반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도 17를 참조하면, 베이스기어(642)는, 외주면을 따라 이하에서 설명할 구동유닛(700)의 구동기어(720)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기어(642)는 어퍼플레이트(632)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어(720)가 베이스기어(6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회전판(5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베이스기어(642)는, 회전축바디(530)와, 에지리브(6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기어(642)는 축베어링(560)과 볼베어링(5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에지리브(644)는, 어퍼플레이트(63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에지리브(644)는, 지지베어링(550)과 접촉하여 회전판(500)의 가장자리부분의 일측이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지리브(644)는, 어퍼플레이트(632)의 외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수직리브(646)와, 수직리브(646)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우터리브(648)를 포함한다. 아우터리브(648)는, 지지베어링(550)의 휠(556)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500)의 가장자리 일측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베어링(550)의 휠(556)의 상부면(556a)과 아우터리브(648)의 하부면(648a)이 접촉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a를 참조하면, 어퍼바디(630)는, 베이스기어(642)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어지지리브(650)와, 어퍼플레이트(632)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리브(652)와, 로어바디(610)의 전선홀(614a)에 배치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돌기(654)와, 어퍼플레이트(632) 하측에 배치되는 전선(10)의 간섭을 방지하는 전선가이드리브(660)를 포함한다.
기어지지리브(650)는, 어퍼플레이트(6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베이스기어(642)의 내측에 배치된다. 기어지지리브(650)는, 베이스기어(642)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베이스기어(64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기어지지리브(650)는, 베이스기어(642)의 내주면의 일부영역에서 배치될 수 있다. 기어지지리브(650)는, 구동모터(710)에 의해 구동기어(720)가 이동하는 범위에서 베이스기어(64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기어지지리브(650)가, 베이스기어(642)의 내주면의 전영역에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를 참조하면, 강성리브(652)는, 어퍼플레이트(6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강성리브(652)는, 베이스기어(642)와 회전축하우징(636) 사이의 공간에서 배치될 수 있다. 강성리브(652)는, 회전축하우징(636)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제1강성리브(652a)와, 회전축하우징(636)보다 반경이 큰 링형상으로 배치되는 제2강성리브(652b)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선고정돌기(654)는, 로어바디(610)의 전선홀(614a)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어퍼플레이트(632)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전선고정돌기(654)는, 전선홀(614a)을 관통하는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전선(10)에도 전선고정돌기(654)에 장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전선고정돌기(654)에 장착되는 부분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홀(614a)을 통해 전선(10)이 외부로 노출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가이드리브(660)는, 어퍼플레이트(632)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전선가이드리브(660)는,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이 서로 간섭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10)은, 일측이 전선고정돌기(654)에서 고정되고, 타측이 전선홀더(570)의 전선고정부재(578)에 고정된다. 따라서,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10)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전선홀더(570)가 회전판(500)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전선홀더(570)의 전선고정부재(578)와 전선고정돌기(654)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어,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1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전선가이드리브(660)는,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의 일부분의 배치를 고정하여, 전선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가이드리브(660)는, 어퍼플레이트(632)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가이드리브(660)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이너가이드리브(664)와, 추가리브(66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가이드리브(662)는, 일측이 절개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가이드리브(662)는, 전선고정돌기(654)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전선(10)이 배치되는 절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보다 짤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이격간격이 일정한 제1이너가이드리브(664)와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이격간격이 커지는 제2이너가이드리브(66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이너가이드리브(664)는, 전선고정돌기(654)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와 아우터가이드리브(662)는 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가 형성하는 호의 중심각(θ2)은, 아우터가이드리브(662)가 형성하는 호의 중심각(θ1)보다 작게 형성된다.
추가리브(666)는, 전선고정돌기(654)와 어퍼플레이트(632)의 회전중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리브(666)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추가리브(666)는, 이너가이드리브(664)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너가이드리브(664)에 인접할수록 어퍼플레이트(632)의 회전중심에 인접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추가리브(666)는, 전선(10)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리브(666)는, 추가리브(666)는, 전선고정돌기(654)와 어퍼플레이트(632)의 회전중심 사이에 배치되어, 전선고정돌기(654)로부터 연장되는 전선과, 전선홀더(570)로 연장되는 전선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가이드리브(660)는, 전선가이드리브(660)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이너가이드리브(664)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가이드리브(66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리브(664)는, 전선고정돌기(65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너가이드리브(664)와 제1이너가이드리브(664)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이너가이드리브(664)를 포함한다. 제1이너가이드리브(664a)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가이드리브(664a)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는 서로 이격된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의 일부가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제1이너가이드리브(664a) 사이에서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이너가이드리브(664b)는, 제1이너가이드리브(664a)에서 멀어질수록 어퍼플레이트(632)의 회전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이너가이드리브(664b)는 아우터가이드리브(662)의 사이간격은 제1이너가이드리브(664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전선홀더(570)는, 회전판(500)에 고정되어 회전판(500)과 함께 회전하고, 일측에서 전선(10)을 고정한다. 전선홀더(570)는, 회전판(500)에 고정되는 어퍼보드(572)와, 어퍼보드(572)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배치되 로어보드(574)와, 어퍼보드(572)와 로어보드(574)를 연결하는 연결벽(576)를 포함한다.
어퍼보드(572)는, 회전판(500)의 축바디(530)에 고정된다. 도 13를 참조하면, 어퍼보드(572)는, 축바디(53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체결부(536)에 체결부재(537)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홀더(570)는, 회전판(500)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회전판(5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어퍼보드(572)에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관통홀(572a)이 형성된다.
어퍼보드(572)의 상측에는 체결부(536)와 결합되는 체결리브(579)가 배치된다. 체결리브(579)는 어퍼보드(572)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체결리브(579)는 체결부(536)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체결부(536)의 배치를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536)가 체결리브(579)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때, 체결부(536)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전선홀더(57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체결리브(579)는 제1체결리브(579a)와 제1체결리브(579a)와 이격배치되는 제2체결리브(57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리브(579a)와 제2체결리브(579b) 사이에 체결부(536)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체결리브(579a)와 제2체결리브(579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선관통홀(572a)의 구조에 따른 것으로, 제1체결리브(579a)와 제2체결리브(579b)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벽(576)은, 대략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벽(576)은, 어퍼보드(572)의 외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벽(576)은 내부가 중공일 수 있다.
로어보드(574)는 연결벽(576)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로어보드(574)는, 어퍼플레이트(6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어퍼플레이트(632)는 로어보드(574)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측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632)의 하부면과 로어보드(574)의 상부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홀더(570)가 어퍼플레이트(632)에 접촉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로어보드(574)의 하측에는 전선(10)의 일측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재(578)가 배치된다. 전선고정부재(578)는, 로어보드(574) 하측에서 전선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b를 참조하여, 회전판(500)의 회전에 따른 전선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19a와 같은 제1위치(P1)나 도 19b와 같은 제2위치(P2)에 배치되더라도,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이너가이드리브(664)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10)의 배치는 고정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로어바디(610)와 어퍼바디(63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10)을 전선고정돌기(654)로부터 아우터가이드리브(662)까지 연장되는 제3전선(10a), 아우터가이드리브(662)와 이너가이드리브(664)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전선(10b), 제1전선(10b) 이후부터 전선홀더(570)로 연장되는 제2전선(10c)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9a와 같은 제1위치(P1)나 도 19b와 같은 제2위치(P2)에 배치되더라도, 제3전선(10a)과 제1전선(10b)의 배치는 고정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전선고정돌기(654)와 전선고정부재(578)는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전선고정돌기(654)와 이너가이드리브(664)의 단부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9a를 참조하면, 전선고정돌기(654)와 전선고정부재(578)는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제2전선(10c)은 이너가이드리브(664)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급격한 곡률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너가이드리브(664)가 제2전선(10c)과 제1전선(10b)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전선고정돌기(654)와 전선고정부재(578)는 근거리에 배치되는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 전선고정돌기(654)와 이너가이드리브(664)의 단부가 원거리로 배치될 수 있따. 도 19b를 참조하면, 전선고정돌기(654)와 전선고정부재(578)는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 제2전선(10c)는 전선고정돌기(654)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추가리브(666)가 제2전선(10c)과 제3전선(10a)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구동유닛(700)은 회전판(500)의 상측과 하측으로 배치되어, 구동유닛(700)이 블로워(1)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구동유닛(70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10)와, 구동축(714)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회전판(500)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720)와, 구동축(714)을 지지하는 브라켓(740)을 포함한다. 구동유닛(700)은, 구동축(714) 또는 구동기어(720)와 브라켓(740)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축(714) 또는 구동기어(720)와 브라켓(740) 사이의 마찰을 최고화하는 기어베어링(730)을 포함한다.
구동모터(710)는, 회전판(5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500)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모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회전판(5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터장착부(514)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710)는, 회전판(500)에 고정되어, 회전판(5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회전판(500)의 모터장착부(514)에 고정되어, 회전판(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동모터(710)의 전체적인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다.
구동모터(710)는, 모터바디(712)와 모터바디(712)로부터 연장되고, 구동기어(720)와 연결되는 구동축(714)을 포함한다.
모터바디(712)는, 모터체결부(536)에 고정된다. 모터바디(712)는 대량 원통형상을 가지고, 일측에 모터체결부(536)에 연결되는 체결돌기(716)가 형성된다.
구동축(714)은, 구동모터(710)가 작동할 때,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714)의 단부에 구동기어(72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축(714)은 모터홈(미도시)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구동축(714)은 단면이 원형인 바형태를 가진다. 구동축(714)은 구동기어(72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일부가 직선면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축(714)은 구동기어(72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면이 다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어(720)는 구동축(714)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축(71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720)는, 회전판(5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어(720)는 평기어일 수 있고, 피니언기어일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구동기어(720)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원판형태를 가지는 기어판(722), 기어판(722)의 중심에서 구동모터(710)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축(714)이 삽입되는 축홈(724a)이 형성되는 기어보스(724), 기어판(722)의 중심에서 기어보스(724)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어베어링(730)의 중심홀(732)에 삽입되는 기어돌기(726)를 포함한다.
기어보스(724)는 구동축(714)의 일단과 연결되어, 구동기어(720)가 구동축(714)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기어보스(724)의 내부에 형성된 축홈(724a)의 단면은 구동축(714)의 연결단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어판(722)은 원판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이 베이스기어(642)와 맞물리는 기어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어판(722)의 하부에는 기어베어링(730)이 배치되는 베어링홈(722a)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홈(722a)에는 기어베어링(730)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기어베어링(730)은 회전중심에 기어돌기(726 )가 삽입되는 중심홀(732)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베어링(730)의 일측이 구동기어(720)에 접촉하고, 타측이 브라켓(740)에 접촉할 수 있다. 기어베어링(730)은 구동기어(720)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구동기어(720)와 함께 회전하고, 브라켓(740)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브라켓(740)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브라켓(740)은, 회전판(500)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구동축(714)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740)은 구동축(714)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거나, 구동기어(720)와 기어베어링(730)을 통해 간접적으로 구동축(714)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브라켓(740)은, 회전판(500)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746)와, 구동축(714)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742)를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746)는 지지플레이트(742)의 양단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746)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 등을 통해 브라켓(740)을 회전판(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500)이 회전할 때, 브라켓(74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742)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746)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742)는 고정플레이트(746)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스탭을 형성하여, 구동기어(7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742)는, 기어베어링(73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기어베어링(730)을 지지하는 베어링축서포터(744)와 기어베어링(730)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어베이링(73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판서포터(745)를 포함한다. 베어링축서포터(744)는, 지지플레이트(742)에서 구동기어(72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베어링축서포터(744)는, 구동축(714)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축서포터(744)는 기어베어링(73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기어베어링(73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기어베어링(730)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기어(720)와 구동축(714)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베어링판서포터(745)는 기어베어링(7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기어베어링(730)이 브라켓(74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어링판서포터(745)는 기어베어링(730)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판서포터(745)는 베어링축서포터(744)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구동모터(710)의 작동으로 회전판(500)이 회전할 때, 블로워(1) 전체적인 구조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710)의 작동으로 회전판(500)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때, 블로워(1)의 전체적인 하중의 관성력이 구동모터(710)의 이동방향과 달라짐에 따라 구동축(714)이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브라켓(740)이 구동축(714)을 지지하여, 상기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베어링축서포터(744)는 지지플레이트(742)에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축서포터(744)는 기어베어링(73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블로워 100 : 케이스
110 : 제1타워 120 : 제2타워
200 : 송풍유닛 300 : 팬장치
400 : 코안다브레이커 500 : 회전판
510 : 플레이트 530 : 축바디
540 : 볼베어링 550 : 지지베어링
560 : 축베어링 570 : 전선홀더
600 : 베이스 610 : 로어바디
620 : 바텀바디 630 : 어퍼바디
700 : 구동유닛

Claims (1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에 상대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맞물리는 기어면을 형성하는 베이스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구동기어를 지지하는 기어베어링을 포함하는 블로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베어링은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블로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어베어링을 지지하는 블로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기어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기어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축서포터를 포함하는 블로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축서포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축서포터는 상기 기어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블로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기어베어링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어베어링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어링판서포터를 포함하는 블로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판서포터는 상기 베어링축서포터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블로워.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스탭을 형성하는 블로워.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원판형태를 가지는 기어판과;
    상기 기어판의 중심에서 상기 구동모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홈이 형성되는 기어보스와;
    상기 기어판의 중심에서 상기 기어보스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어베어링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기어돌기를 포함하는 블로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면이 다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기어보스의 내부에 형성된 축홈의 단면은 상기 구동축의 연결단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블로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판의 하부에는 상기 기어베어링이 배치되는 베어링홈이 형성되는 블로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축베어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블로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블로워.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하측에 배치되는 블로워.
KR1020210116553A 2021-09-01 2021-09-01 블로워 KR10257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53A KR102572844B1 (ko) 2021-09-01 2021-09-01 블로워
PCT/KR2022/012875 WO2023033477A1 (ko) 2021-09-01 2022-08-29 블로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53A KR102572844B1 (ko) 2021-09-01 2021-09-01 블로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12A KR20230033512A (ko) 2023-03-08
KR102572844B1 true KR102572844B1 (ko) 2023-08-29

Family

ID=8541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53A KR102572844B1 (ko) 2021-09-01 2021-09-01 블로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2844B1 (ko)
WO (1) WO20230334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49B1 (ko) *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KR101858807B1 (ko) * 2016-06-15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151236B1 (ko) * 2018-10-18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20210098055A (ko) * 2020-01-31 202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20210098060A (ko) * 2020-01-31 202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12A (ko) 2023-03-08
WO2023033477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4544A (ko) 에어클린팬
KR102572844B1 (ko) 블로워
KR102572845B1 (ko) 블로워
US20240026890A1 (en) Blower having a movable air flow converter
KR102572843B1 (ko) 블로워
KR20220083652A (ko) 에어클린팬
KR102456545B1 (ko) 에어클린팬
KR102429658B1 (ko) 에어클린팬
KR102390681B1 (ko) 에어클린팬
KR102622929B1 (ko) 블로워
KR102480008B1 (ko) 공기청정기
KR102375176B1 (ko) 에어클린팬
US11655826B2 (en) Blower
KR102619416B1 (ko) 에어클린팬
CN219711880U (zh) 机头机构和风扇设备
CN219711879U (zh) 机头机构和风扇设备
KR102622931B1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6A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8A (ko) 에어클린팬
KR20210098058A (ko)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