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24B1 -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24B1
KR102572824B1 KR1020210172025A KR20210172025A KR102572824B1 KR 102572824 B1 KR102572824 B1 KR 102572824B1 KR 1020210172025 A KR1020210172025 A KR 1020210172025A KR 20210172025 A KR20210172025 A KR 20210172025A KR 102572824 B1 KR102572824 B1 KR 10257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temperature
shortage
energy consump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3740A (ko
Inventor
진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17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1/00Fail sa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실험에 의해 산출된 예상 냉각수온과 실제 측정된 냉각수온의 온도 차이 값을 바탕으로 냉각수 부족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은,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와;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의 냉각수 온도 측정값(A)을 저장하고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을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반영하여 예상 냉각수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증가시켜 누적하는 단계와; 누적된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lack of coolant based on energy consum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실험에 의해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냉각수 부족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각종 냉각시스템이 장착되고, 냉각을 위한 유체로서 통상 냉각수가 사용된다.
냉각수를 사용한 냉각시스템은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뿐만 아니라, 최근에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에서 적용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등과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서도 인버터, 구동모터, HSG(Hybrid Shaft Generator)와 같은 전기동력부품의 냉각에도 사용된다.
특히, 엔진 냉각을 위한 냉각시스템의 경우 냉각수가 없거나 부족하면 엔진이 과열되어 심할 경우 엔진 고장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 냉각수 부족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차량의 냉각수 부족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의 일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704133호(2017.02.01)에서는 압력센서 및 장착부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의 냉각수 부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차량의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 개시된 '차량의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에서는 압력센서의 하부 일측에 냉각수의 상하방향 진동시 냉각수의 흔들림을 차단할 수 있는 원형의 냉각수 유동방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 유동방지판을 하우징 일체형 사출 격벽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차량이 외란에 의해 흔들릴 경우에 냉각수의 유동이 압력센서의 센싱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각수 부족의 오진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의 경우 차량의 험로 주행시 냉각수의 유동을 유동방지판을 통해 차단시켜 냉각수 부족 판단 로직에 오진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냉각수 부족 상태를 별도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냉각수 부족에 따른 오진단을 방지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구성 변경이 요구되어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04133호(2017.02.0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실험에 의해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하는 일련의 제어로직을 통해 냉각수 부족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추가적인 하드웨어 부품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냉각수 부족 여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은, (a)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와; (b)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의 냉각수 온도 측정값(A)을 저장하고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c)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을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반영하여 예상 냉각수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d)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증가시켜 누적하는 단계와; (e)누적된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소비량은 차량의 엔진에서 소비되는 연료 소비량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냉각수의 온도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운전 조건에 진입할 경우에,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 로직(Logic)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의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치를 실험적 방법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예상 냉각수 온도 산출시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보정 팩터(F)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의 수온 보정 팩터(F)는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외기 온도와 관련된 수온 보정 팩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c) 단계의 수온 보정 팩터(F)는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엔진 형상과 관련된 수온 보정 팩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예상 냉각수 온도는, 에너지 소비량 측정 이전에 저장된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상기 냉각수 온도 증가분(B)과 수온 보정 팩터(F)를 합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 이후에 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c)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보다 작으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의 누적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의 누적치가 있으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 단계의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는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의 증가율을 실험적으로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값에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주는 보정 팩터를 고려하여 에너지 소비량 계산에 따른 예상 냉각수 온도를 계산한 후,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계산한 상기 예상 냉각수 온도와 엔진에 장착된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냉각수 부족을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적 부품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냉각수 부족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행 중 냉각수의 부족으로 인해 엔진이 과열되어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냉각수 부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냉각수 부족시 엔진이 과열되기 이전에 차량 운전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치량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동일 운전 조건 및 연료 사용량 하에서 냉각수 탱크 내의 냉각수 양에 따른 냉각수온 증가를 비교 도시한 실험 그래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소비량'이라 함은 내연기관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에서 소비되는 연료 소비량(또는 소모량)이 될 수 있고, 또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서는 배터리의 전력 소비량(또는 소모량)이 될 수 있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에너지 소비량'의 일 예로서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에서 소비되는 연료 소비량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연료 소비량 기반으로 계산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차량의 엔진에 장착된 냉각수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냉각수 온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차량의 냉각수 부족을 확인 할 수 있는 제어로직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제어로직은,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S111)와,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의 냉각수 온도 측정값(A)을 저장하고 차량의 연료 소비량(X)을 측정하는 단계(S112,S113)와, 차량의 연료 소비량(X)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을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반영하여 예상 냉각수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S114,S115)와,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증가시켜 누적하는 단계(S116,S117,S118)와, 누적된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19,S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상기 (S111) 단계에서는, 냉각수의 온도 증가가 일정하게 일어나는 운전 조건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냉각수의 온도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운전 조건에 진입하게 될 경우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 로직(Logic)이 본격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 이후 냉각수 온도가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증가하는 구간에서 본 발명의 로직이 진입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냉각 시스템인 경우에는 냉각수 유동 정지 상태에서 20℃~98℃(온도의 경우 임의 값으로 차량 및 엔진 별로 다름) 온도 구간에서 로직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Thermal Management Module(TMM)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정하게 냉각수온이 증가하는 다음 구간에서 본 발명의 로직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로 state1으로 정의되는 유동정지 구간, 즉 시동 이후 냉각수 온도가 75 ℃ 까지 상승되는 구간(상기 예시 온도는 임의 값으로서 해당 온도 값은 엔진 및 차량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에서 로직이 동작할 수 있고, 두번째로 state2 로 정의되는 오일열교환제어 구간, 즉 냉각수 온도가 75 ℃ ~ 98 ℃ 온도로 상승되는 구간에서 로직이 동작할 수도 있다.(상기 예시 온도는 임의 값으로 해당 값을 엔진 및 차량별로 다르게 설정가능)
그리고,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 로직(Logic)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면, 첫 번째로 연료 소비량을 계산하기 이전에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 측정값(A)을 저장하고(S112), 다음으로, 차량의 연료 소비량(X)을 계산한다.(S113)
이어서, 차량의 연료 소비량(X)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을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반영하여 예상 냉각수 온도를 산출한다.
이 경우, 상기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은 차량의 연료 소비량(X)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치를 실험적 방법으로 획득된 것일 수 있다.(S113) 즉, 차량의 연료 소비량(X)에 따른 냉각수의 온도 증가치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을 결정하고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예상 냉각수 온도의 산출시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보정 팩터(F)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S115)
이 경우, 상기 수온 보정 팩터(F)는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외기 온도, 엔진 형상 등과 관련된 수온 보정 팩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상 냉각수 온도는, 연료 소비량 측정 이전에 저장된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상기 냉각수 온도 증가분(B)과 수온 보정 팩터(F)를 합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예상 냉각수 온도가 산출되면, 다음으로,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T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6)
이때,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T1)보다 작을 경우에는, 아직 냉각수가 고갈되지 않아 냉각수의 과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상기 (S111) 단계로 다시 복귀된다.
반면,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T1)보다 클 경우에는 냉각수의 부족으로 인한 냉각수의 과열이 의심되는 상황으로서,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T1)을 넘어설 경우에는 냉각수 부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의 (S117) 단계의 비교 로직이 동작 된다.
이는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 냉각수가 부족한 경우에도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냉각수 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경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T1)을 넘어서는 경우에만 감지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S117) 단계에서는 앞선 단계에서 연료 소비량(X) 계산에 의해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A+(B*F))와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T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7)
이때, 상기 연료 소비량(X) 계산에 의해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A+(B*F))와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T2)을 넘어설 경우 냉각수가 부족한 상황으로 간주되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Count)를 1씩 증가시켜 누적하게 된다.(S118)
그런 다음, (S119) 단계에서는 상기 누적된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설정값(C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19),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설정값(C1) 이상이면,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를 클러스터(Cluster)에 표출하거나 경보음 형태로 출력한다.(S120)
즉, 로직 실행이 진행됨에 따라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Count)가 1씩 계속 증가하여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Threshold(C1)를 넘어설 경우에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를 클러스터에 출력하거나 경보음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현재의 냉각수 부족 상황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반면, 앞선 (S117) 단계에서 연료 소비량(X) 계산에 의해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A+(B*F))와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T2)을 넘어서지 않을 경우에는,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은 상황으로 간주되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Count)의 누적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21),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의 누적치가 있으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1씩 감소시키고(S122), 다시 상기 (S111) 단계로 복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그래프는 동일한 운전 조건 및 연료 사용량 조건에서 냉각수 탱크 내의 냉각수 양에 따른 냉각수온 증가량을 비교 도시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동일한 운전 조건 및 유사한 연료 사용량 상황을 시험해 본 결과, 냉각수 탱크 내의 냉각수 양이 줄어들수록 실제 냉각 수온의 증가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탱크 내의 냉각수가 일정 비율 이상 부족한 경우 냉각수 온도 역시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엔진 연소 시 방출되는 열은 유사하지만 냉각수 양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같은 열량에 의해 냉각수 온도 상승율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냉각수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율에 대한 실험적 결과를 엔진 냉각수 부족 감지 로직에 활용함으로써 냉각수 부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에서 소비되는 연료 소비량(소모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상기 연료 소비량을 배터리의 전력 소비량(소모량)으로 대체하여 동일한 제어로직을 통해 냉각수 부족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의 증가분(B)을 실험적으로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값에 냉각수온 증가에 영향을 주는 보정 팩터(F)를 고려하여 에너지 소비량 계산에 따른 예상 냉각수온을 계산(A+(B*F))한 후,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계산한 예상 냉각수온과 엔진에 장착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온의 온도 차이 값을 바탕으로 냉각수 부족을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적 부품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냉각수 부족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차량 주행 중 냉각수의 부족으로 인해 엔진이 과열되어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운전자에게 냉각수 부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엔진 냉각수 부족시 엔진이 과열되기 이전에 차량 운전자가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냉각수 부족으로 인한 엔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서는 냉각수 부족으로 인해 배터리, 인버터 등이 과열되어 해당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a)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b) 냉각수 부족 진단을 위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의 냉각수 온도 측정값(A)을 저장하고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단계;
    (c)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을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반영하여 예상 냉각수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증가시켜 누적하는 단계;
    (e) 누적된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알림 설정값 이상일 경우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전기자동차의 경우 상기 에너지소비량은 배터리의 전력소비량이고,
    상기 (a) 단계에서 냉각수의 온도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운전 조건에 진입할 경우, 차량의 냉각수 부족 진단 로직(Logic)을 실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냉각수 온도 증가분(B)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냉각수 온도 증가치를 실험적으로 도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예상 냉각수 온도 산출시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보정 팩터(F)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수온 보정 팩터(F)는 냉각수 온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외기 온도와 관련된 수온 보정 팩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예상 냉각수 온도는, 에너지 소비량 측정 이전에 저장된 냉각수 온도 측정값(A)에 상기 냉각수 온도 증가분(B)과 수온 보정 팩터(F)를 합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의 냉각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c)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냉각수 온도와 실제 측정된 냉각수 온도와의 차이가 기설정된 냉각수 부족 온도차 설정값보다 작으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의 누적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의 누적치가 있으면, 냉각수 부족 감지 카운트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냉각수 부족 알림 신호는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KR1020210172025A 2021-12-03 2021-12-03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KR10257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25A KR102572824B1 (ko) 2021-12-03 2021-12-03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25A KR102572824B1 (ko) 2021-12-03 2021-12-03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740A KR20230083740A (ko) 2023-06-12
KR102572824B1 true KR102572824B1 (ko) 2023-08-29

Family

ID=867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025A KR102572824B1 (ko) 2021-12-03 2021-12-03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8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25B1 (ko) * 2007-12-17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077A (ko) * 1997-05-12 1998-12-05 김영귀 수온센서 고장시 엔진 제어방법
KR19990009699A (ko) * 1997-07-11 1999-02-05 김영귀 차량의 냉각수온센서 고장시 냉각수온 예측방법
JPH11141337A (ja) * 1997-11-10 1999-05-25 Toyota Motor Corp サーモスタット異常検出装置
KR20020048134A (ko) * 2000-12-16 2002-06-22 이계안 차량의 서모스탯 고장감지방법
KR20020095985A (ko) * 2001-06-19 2002-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냉각수 부족 검출방법
KR20110062409A (ko) * 2009-12-03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KR101704133B1 (ko) 2014-12-09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25B1 (ko) * 2007-12-17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740A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3181B2 (ja) 車両の故障診断システム
US8148993B2 (e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n abnormality detecting program
JP3659068B2 (ja) バッテリ管理装置
JP5378264B2 (ja) 電気自動車のインバータ冷却装置
CN105322630B (zh) 用于诊断充电状态的方法和系统
US10131346B2 (en) Method for diagnosing demagnetization of motor of eco-friendly vehicle
US11447012B2 (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maining range in a motor vehicle
US20090125171A1 (en) Processor security diagnostics for hybrid vehicle electric motor control system
JP6179440B2 (ja) 車両制御装置
EP1933160B1 (en) Battery charge level detecting device
JP5286708B2 (ja) 二次電池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異常検出方法
US20160097821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a battery in a motor vehicle
JP2016176431A (ja) 温度センサの診断装置
KR102572824B1 (ko)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하는 냉각수 부족 진단 방법
US11164405B2 (en) Methods to identify missed engine stops and serviceability
JP7170904B2 (ja) 並列接続セルの接続故障検出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121095B (zh) 转速传感器的故障诊断方法
KR20110122302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고장 검출 회로 및 방법
JP6451073B2 (ja) 冷却機構故障検知装置
US11262408B2 (en) Vehicle traction battery over-discharge diagnosing method and assembly
CN109944696B (zh) 外部加热器工作判定系统及车辆用控制系统
EP1959121B1 (en) Sensor activation monitor
KR102152080B1 (ko) 냉각 장치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US20230415579A1 (en) Cooling Performance Indicator
KR10089708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브레이크 스위치 고장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