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654B1 -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54B1
KR102572654B1 KR1020230023233A KR20230023233A KR102572654B1 KR 102572654 B1 KR102572654 B1 KR 102572654B1 KR 1020230023233 A KR1020230023233 A KR 1020230023233A KR 20230023233 A KR20230023233 A KR 20230023233A KR 102572654 B1 KR102572654 B1 KR 10257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ase
guide
conveyor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23002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a single conveyor lane consisting of one conveyor or several adjacent conveyors
    • B65G47/68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a single conveyor lane consisting of one conveyor or several adjacent conveyors with recirculation of articles forming a buf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물품을 한 줄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배출장치이며,
"F" 방향으로 이송되는 배출컨베어(10);
상기 배출컨베어(10)의 바로 옆에 근접한 채 "R" 방향으로 이송되는 리턴컨베어(11);
상기 배출컨베어(10) 및 리턴컨베어(11)를 내장시키기 위한 한 쌍의 케이스(12);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 상부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13);
상기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다리(33)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13)는
좌,우측 가이드(13-1,13-2) 및 후방 가이드(13-3)와, 투입물체를 리싸이클링 시키기위한 경사 리턴 가이드(13-4) 및 정렬 경사 가이드(13-6)를 포함하고, 회전모터(19)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모터셋팅판(16)을 포함하며, 회전모터(19) 하부에는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가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는 좁혀진 통로(60)에 진입된 부정형의 투입물체를 일자로 나란히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정렬장치이다.

Description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AN IRREGULAR MACHINE DEVICE THAT USES A ROTATING DEVICE EQUIPPED WITH A CUSHIONING FUNCTION}
정렬장치, 회전제어장치
정렬기술
선별물품을 투입하여 중량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등에서는 투입할 물품이 자동으로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선별기에 투입되는 자동화 장치를 필요로 한다.
투입 자동화 장치로는 Bowl Feeder(Parts Feeder)가 범용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장치 전체가 진동을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선별을 위한 투입물품이 활 전복등 생물일 경우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적용되기 어렵고 또한, 두 마리가 붙어있는지 상품화 되면 안되는 전복은 없는지 육안으로 식별하고 관리해줘야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때문에 수산업에서는 채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투입할 물품중 활 전복을 특정하여 도시 및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해결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출되었다.
전복은 해상 가두리 양식장에서 전복집(셀타)에 붙은 채 성장한다.
출하를 위해선 양식장에 근접시켜 선박을 정박하고 전복이 붙어있던 전복집(셀타)을 꺼내 선상에 올려놓은후, 배의 바닥에 낙하되도록 떨어뜨린다음 일정한 양을 투입호퍼에 옮겨 수작업으로서 전복선별기의 버킷(Bucket)에 수납시켜 선별작업을 수행한다.
무한회전 하는 상기 버킷에 전복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통상 3명의 인원을 필요로 하는데, 1명은 투입호퍼에서 빨판을 통해 서로 붙어있는 전복들을 분리시켜주는 동시에 폐전복을 제거하는 역할이며 2명은 투입호퍼에 놓여진 전복들을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버킷에 빈 칸이 없도록 투입해주는 역할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정렬 장치는 투입인원 1~2명의 인원을 대체할 수 있게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렬물품이 원통형등 정형화된 모양이 아니라 정면도상, 평면도상, 단면도나 측면도상 모두 형상과 크기가 다른 전복과 같은 부정형의 물품을 정렬하기 위해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부가된 부정형 정렬장치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정형의 물품을 정렬하는 장치를 전복 출하현장에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행한다.
우선, 최소한 투입인원 1명의 인원을 대체할 수 있게하여 총 3인조로 운영되던 투입조를 1명 또는 2명으로 운영이 가능하여 일 손이 부족한 해상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파급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전복 출하현장에서 통상 5~6시간을 쉬지않고 투입해야하는 투입조가 육체적 한계에 부딪히는 문제점이 해조되어 모집인원의 기피현상을 해소하는 파급효과가 있다.
전복 출하현장은 해상이며, 요동하는 선상에서 장시간 이루어지며 이중 특히 투입조는 기계와 같은 속도로서 연속작업을 해야 하므로 인원을 모집할 때 투입조에 배정될까봐 참여를 기피하는 현상이 있어왔던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의한 정렬장치의 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평면도.
제 3도는 정렬장치의 사시도.
제 4도는 제 3도의 분해 사시도.
제 5도는 제 3도중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의 상세도
제 6도는 제 3도중 컨베어 벨트가 장착된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 7도는 제 2도 내지 3도중 무게중심의 50% 이상이 리턴 컨베어에 얹혀진 전복이 리턴 컨베어에의해 "R"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 8도는 제 2도 내지 3도중 무게중심의 50% 이상이 배출 컨베어에 얹혀진 전복이 배출 컨베어에의해 "F"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 9도는 좁혀진 통로에서 작은 전복 두마리가 병렬로 지나갈 수 있음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의한 회전장치가 작은 전복을 만났을때 외경이 최대가 되며 회전되는것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1도는 본 발명에의한 회전장치가 큰 전복을 만났을때 외경이 최소가 되며 회전되는것을 설명하는 평면도.
본 발명은
"F" 방향으로 이송되는 배출컨베어(10)와; 배출컨베어(10)의 바로 옆에 근접한 채 "R" 방향으로 이송되는 리턴컨베어(11)와; 상기 배출컨베어(10) 및 리턴컨베어(11)를 내장시키기 위한 한 쌍의 케이스(12)와;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 상부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13)와; 상기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다리(33)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13)는 좌,우측 가이드(13-1,13-2)와, 투입물체를 리싸이클링 시키기위한 경사 리턴 가이드(13-4) 및 정렬 경사 가이드(13-6)를 포함하며, 회전모터(19)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모터셋팅판(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스(12)는 케이스(12)의 직각 방향으로 내부에 한개 이상의 케이스 스테이바(27)를 구비할 수 있고, 두개 이상의 레일 써포트(28)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바(27)와 레일 써포트(28)들은 양단에 탭 홀(28-1)을 구비하여 좌측케이스(12-1)와 우측 케이스(12-2)를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하므로서 상기 케이스(12)는 사각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두개 이상의 레일 써포트(28) 상부면에는 두개 이상의 레일(29)이 레일 써포트(28)와 볼트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레일(29)의 상단에는 내마모 부재(29-1)가 끼워져 있어서 컨베어벨트 상부면(34)의 평탄도를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상기 케이스(12)내에는 상기 배출컨베어(10) 및 리턴컨베어(11)를 운행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샤프트들이 구성되는데 한가지의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도시한대로 좌방향으로부터 우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명하자면,
먼저 최 좌측으로는 상기 리턴컨베어(11)의 리턴컨베어 헤드 샤프트(11-1) 및 감속모터(M), 그 다음 상기 배출컨베어(10)의 테일 샤프트, 다음으로는 리턴컨베어(11)의 테일 샤프트, 마지막으로 최 우측으로는 배출컨베어(10)의 헤드 샤프트 및 감속모터(M)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최 좌측의 리턴컨베어 헤드 샤프트(11-1)의 경우를 예로들면, 평면도상 상측으로는 감속모터(M)가 헤드 샤프트(11-1)에 끼워지고, 이 감속모터(M)는 감속모터 플랜지(M-1)를 통해 좌측 케이스(12-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리턴컨베어(11) 내부에 한개 이상의 체인기어(46)가 끼워지고, 하측으로는 우측 케이스(12-2)의 외측에 구비된 채 고정결합된 베어링(32)에 끼워진다.
상기 리턴컨베어(11)의 벨트 상부면(34)은 "R" 방향으로 이송되며, 리턴컨베어(11)의 리턴컨베어 헤드 샤프트(11-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다음 상기 배출컨베어(10)의 벨트 상부면(34)은 "F"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배출컨베어(10)의 테일 샤프트는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리턴컨베어(11)의 리턴컨베어 헤드 샤프트(11-1) 느
상기에서 컨베어들(10,11)은 고무벨트등을 장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체인 벨트를 적용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모든 샤프트들은 한개 이상의 체인기어(46)를 구비한다.
컨베어들(10,11)은 공지기술이어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핵심은 상기 컨베어들(10,11)이 근접된 채 서로 반대방향("F" 방향, "R" 방향)으로 운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쌍의 가이드(13)는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 상부면으로 돌출되어있다.
좌측 케이스(12-1) 상부에는 좌측 가이드(13-1), 우측 케이스(12-2) 상부에는 우측 가이드(13-2)가 구비되는데 좌,우측 가이드(13-1,13-2)들은 모두 좌,우측 케이스(12-1,12-2)들 보다 내측으로 모아지게 구성이 되며, 좌,우측 케이스(12-1,12-2)들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 결합부(13-a)가 상기 좌,우측 케이스(12-1,12-2)들과 볼트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된다.
좌,우측 가이드(13-1,13-2)들의 "R" 방향 끝단에는 후방 가이드(13-3)가 구비되고, "F" 방향 끝단 쪽으로는 회전모터 셋팅판(16)이 구비된다.
이로서 상기 가이드(13)는 좌,우측 가이드(13-1,13-2)와 후방 가이드(13-3)와 상기 회전모터 셋팅판(16)에 의해 일체형으로서 사각 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기 케이스(12)와 결합되는 것인데 좌,우측 가이드(13-1,13-2)의 최 하단부는 상기 컨베어 벨트 상부면(34) 상측에 근접 배치되어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투입된 전복(50)이 상기 가이드들(13-1,,13-2,13-3) 밖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바운다리(Boundary)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13) 내부에는 두개의 경사 가이드가 구비된다.
도 3내지 도 7~11을 참조하자면, 상기 리턴가이드(13-4)는 상기 리턴컨베어(11)에 의해서 "R" 방향으로 이동하던 전복을 상기 배출컨베어(10)로 보내서 배출컨베어(10)에 의해 "F"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가이드이며, 정렬 경사가이드(13-6)는 배출컨베어(10)에 의해 "F" 방향으로 이동하던 전복들이 좁혀진 통로(60)에 일렬로 정렬 시키게 하기위한 가이드이다.
리턴컨베어(11)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무게 중심의 50% 이상이 걸쳐진 상태로 투입된 리턴 전복(50-1)은 도 7에서 도시된 것과같이 "R" 방향으로 리턴컨베어(11)에 의해 이동되며, 우측 가이드(13-2)와 후방 가이드(13-3)를 경사면으로 연결하는 경사리턴 가이드(13-4)에 도달되면 더이상 "R" 방향으로만 진행하지 못하고 경사리턴 가이드(13-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배출컨베어(10)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무게 중심의 50% 이상이 걸쳐진 상태로까지 이동된 전복(50)은 더 이상 경사리턴 가이드(13-4)에 의해 "R" 방향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배출컨베어(10)에 얹혀져 "F"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출 전복(50-2)이 되는 것이다.
이때 리턴 전복(50-1)의 양이 많을 경우 배출 전복(50-2)들은 배출컨베어(10)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을 가득 채우며 전체적으로 "F"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전복(50)을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시기키 위해서는 배출컨베어(10)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는 정렬 경사 가이드(13-6)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 정렬 경사 가이드(13-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던 배출 전복(50-2)들은 소정의 폭과 거리를 갖는 좁혀진 통로(60)에 일렬로 정렬되면서 배출컨베어(10)의 끝단까지 이른 후 자동배출을 하게 된다.
그런데 전복(50)들이 상기 좁혀진 통로(60)에서 용이하게 정렬 되기위해서는 상기 정렬 경사 가이드(13-6)의 경사면이 "O" 방향, 또는 "U" 방향으로 최적의 경사 각도로 조정될 필요가 있기때문에 상기 좌측 가이드(13-1)의 일 측에는 슬로트 홀(13-c)을 구비하고 이 슬로트 홀(13-c)을 이용하여 "R" 방향이나 "F"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취부될 경사 가이드 취부판(13-5)이 구비되고 상기 정렬 경사 가이드(13-6)와 상기 경사 가이드 취부판(13-5)은 경첩(13-7)으로 결합되며, 정렬 경사 가이드(13-6)의 경사면 끝 단에는 가이드 연결판(13-8)이 구비되어 정렬 경사 가이드(13-6)와 경첩(13-7)으로 결합된다.
가이드 연결판(13-8)의 상단 일측에는 홀 또는 슬로트 홀로 구성된 결합 홀(13-9)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완성되는 상기 정렬 경사 가이드(13-6)는, 상기 경사 가이드 취부판(13-5)은 좌측 가이드(13-1)에 고정 결합되고, 반대편 일 단인 상기 가이드 연결판(13-8)은 회전모터 셋팅판(16)과 고정 결합된 경사 가이드 행거(15)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모터 셋팅판(16)의 일측에는 전복(50)들의 정렬을 돕기위한 회전모터(19)가 상측에 얹혀진다.
도 7은 리턴컨베어(11)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무게 중심의 50% 이상이 걸쳐진 상태로 투입된 전복(50)은 "F"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R" 방향으로 리턴컨베어(11)에 의해 이동되는 리턴 전복(50-1)이 되는것을 설명하며,
도 8은 배출컨베어(10)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무게 중심의 50% 이상이 걸쳐진 상태로 투입된 전복(50)은 "R"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F" 방향으로 배 출컨베어(10)에 의해 이동되는 배출 전복(50-2)이 되는것을 설명한 것이다.
도 10와 도 11은 한 줄로 정렬되어 "F" 방향으로 이동하던 전복(50)들중 작은 개체들이 두 줄을 형성하며 좁혀진 통로(60)를 지나지 않도록 상기 좁혀진 통로(60)의 폭이 최적으로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기위한 설명이다.
상기 좁혀진 통로(60)의 폭은 상기 전복(50)들중 작은 개체의 폭보다 1.5배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 경우 작은 개체의 전복(50)들중 무게 중심의 50% 이상이 "O" 방향으로 배출컨베어(10)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얹혀진 전복은 "F" 방향으로 진행하지만 무게 중심의 50% 이상이 리턴컨베어(11)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얹혀진 전복은 "F"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R" 방향으로 리턴되는 것이다.
이로서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투입된동시에 상기 가이드들(13-1,,13-2,13-3) 내부에 투입된 전복(50)들은 도 10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좁혀진 통로(60)의 폭에서 일렬로 정렬되어 상기 배출컨베어(10)의 끝단으로 낙하하게 될때까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무한 회전을 하게된다.
그런데 리싸이클링 중인 상기 전복(50)들은 도 9에서 도시된 것처럼 좁혀진 통로(60)에서 작은 전복(50) 두마리가 병렬로 붙여진 채, 마치 큰 전복(50) 한마리 인것처럼 상기 좁혀진 통로(60)를 통과한 후 배출컨베어(10)의 끝단으로 낙하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두마리가 바짝 붙어서 이동하거나, 두마리가 완전히 병렬을 이룬채 붙어서 나란히 이동하거나, 한마리중 일측이 다른 한마리를 살짝 업은채 한 마리인것처럼 이동하다가 다음 공정인 선별기로 낙하된다면 각각 작은 전복(50)이 낙하해야할 수납통이 아니라 두 마리의 무게가 합해진 중량에 해당하는 큰 전복(50)이 낙하해야할 수납통에 잘못 낙하될 개연성이 있다.
이랬을경우 선별기는 큰 측정 오류를 범하게 되는것이며 생산자는 선별기나 투입장치에 대한 신뢰가 떨어져 사용상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를 도 5를 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는 수직으로 세워진 회전모터(19)를 구비한다.
회전모터(19)는 우선 회전모터 베이스판(71)에 고정결합되고 회전모터 베이스판(71)의 양단에는 탭홀(7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모터 베이스판(71)의 양단에는 회전모터(19)를 상기 회전모터 셋팅판(16)에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회전모터 브라켓(73)들이 구비되며, 이 회전모터 브라켓(73)들은 각각 상하 슬로트홀(74)을 구비한다.
이로서 상기 회전모터(19)는 상기 회전모터 베이스판(71)과 함께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되는데 나비볼트(78)를 통해서 신속히 볼트를 느슨하게 풀고 회전모터(19)를 상하 적절한 높이로 조절한 이후 다시 나비볼트(78)를 조여서 수행하는것이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상기 회전모터 베이스판(71)이 회전모터 셋팅판(16)보다 낮게 내려올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회전모터 셋팅판(16)의 일 측에는 모터 통과홀(75)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터(19)가 "O" 방향, 또는 "U"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위해 상기 회전모터 셋팅판(16)의 일 측에는 회전모터 고정홀(7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모터 브라켓(73)들의 바닥면은 좌우 슬로트홀(77)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모터(19)는 정렬 회전체(21)를 구비하고 이 정렬 회전체(21)는 회전모터(19) 하단의 샤프트와 결합한 후 고정된다.
정렬 회전체(21)는 원통형 형상이며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게를 줄이기위해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를 할 수 있고 도 10에서 보여지듯 평면상 시계 반대방향인 "V"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정렬 회전체(21)는 원통형 형상인채로 회전하며 상기 좁혀진 통로(60)로 이동하는 전복(50)들을 직접 정렬시킬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렬 회전체(21)의 외곽에 쿠션역할의 기능을 하기위한 일종의 바람개비 형상의 PC 판(21-1)을 구비한다.
상기 PC 판(21-1)은 두께나, 길이나, 수량에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박판의 PC 판을 사용하며, 용수철과 같은 형상이 되도록 적절한 절곡을 하며, 수량은 4개로 도시 및 설명한다.
상기 정렬 회전체(21)와 상기 PC 판(21-1)은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로서 직경인 "D"의 치수를 유지한 채 회전하는데 배출컨베어(10)의 컨베어 벨트 상부면(34)에 얹혀진 전복이 상기 좁혀진 통로(60)에서 "F" 방향으로 진행할때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도록 PC 판의 두께나 길이를 조정한다.
(1) 회전하는 상기 PC 판(21-1)들은 "F" 방향으로 진행하는 작은 전복(50)을 만났을때 "P" 방향으로 눌려지지 않으며 PC 판(21-1)이 상기 정렬 회전체(21)로부터 벌려져 있는 최대 치수인 "M"을 그대로 유지하여 작은 전복(50)을 "F"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하는 강도를 갖는다.
(2) 회전하는 상기 PC 판(21-1)들은 "F" 방향으로 진행하는 큰 전복(50)을 만났을때 큰 전복(50)이 "F"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상기 PC 판(21-1)들의 회전력 보다 커서 PC 판(21-1)들은 "PR" 방향으로 눌려져 PC 판(21-1)이 상기 정렬 회전체(21)로부터 벌려져 있는 최소 치수인 "N"을 찌그러지며 회전하는 강도를 갖는다.
즉, "F"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큰 전복(50)은 상기 PC 판(21-1)들의 회전에 의해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된 회전장치(70)를 맞닥뜨리게 되어도 PC 판(21-1)들이 일시적으로 찌그러지며 회전하더라도 밀리지 않고 "F"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9에서 도시된 것처럼 좁혀진 통로(60)에서 작은 전복(50) 두마리가 병렬로 붙여진 채, 마치 큰 전복(50) 한마리 인것처럼 "F" 방향으로 이동할때 상기 좁혀진 통로(60)는 작은 전복(50) 한마리만 통과할 수 있는 "G"의 틈새로 조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O" 방향에 밀착되어 진행하던 작은 전복(50)은 "G"의 틈새를 통과하며 "F"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고, "U" 방향으로 배치된 채 진행하던 진행하던 작은 전복(50)은 "F"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상기 PC 판(21-1)들의 회전력에 의해 밀려져서 "O" 방향에 밀착되어 진행하던 작은 전복(50)의 바로 뒤에 정렬되면서 "F"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PC 판(21-1)들의 회전력에 의해 내던져져서 리턴컨베어(11)에 얹혀져 "R" 방향으로 리턴되는 것이다.
도 10은 작은 전복(50)을 정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큰 전복(50)을 정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장치(70)가 쿠션역할의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PC 판(21-1)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C 판(21-1)은 재질이 PC 인 대신 PE 계통의 브러쉬(BRUSH)가 사용될 수 있고, 얇은 두께의 실리콘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쿠션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목적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리(33)는 상기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해 4개소 정도를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며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바퀴(9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컨베어(10), 리턴컨베어(11), 케이스(12), 가이드(13)

Claims (3)

  1. 투입물품을 한 줄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배출장치에 있어서,
    "F" 방향으로 이송되는 배출컨베어(10);
    상기 배출컨베어(10)의 바로 옆에 근접한 채 "R" 방향으로 이송되는 리턴컨베어(11);
    상기 배출컨베어(10) 및 리턴컨베어(11)를 내장시키기 위한 한 쌍의 케이스(12);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 상부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13);
    상기 케이스(12)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고 케이스(1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다리(33)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13)는
    좌,우측 가이드(13-1,13-2) 및 후방 가이드(13-3)와, 투입물체를 리싸이클링 시키기위한 경사 리턴 가이드(13-4) 및 정렬 경사 가이드(13-6)를 포함하고, 회전모터(19)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모터셋팅판(16)을 포함하며, 회전모터(19) 하부에는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가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는 좁혀진 통로(60)에 진입된 부정형의 투입물체를 일자로 나란히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70)는
    회전모터(19) 하단의 샤프트와 결합되는 정렬 회전체(21)를 내부에 두고, 외부로는 복수의 PC 판(2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PC 판(21-1)들은 회전할 때,
    "F" 방향으로 진행하는 작은 전복(50)을 만났을때는 "P" 방향으로 눌려지지 않으며 PC 판(21-1)이 상기 정렬 회전체(21)로부터 벌려져 있는 최대 치수인 "M"을 그대로 유지하여 작은 전복(50)을 "F"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하는 강도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며,
    "F" 방향으로 진행하는 큰 전복(50)을 만났을때 큰 전복(50)이 "F"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상기 PC 판(21-1)들의 회전력 보다 커서 PC 판(21-1)들은 "PR" 방향으로 눌려져 PC 판(21-1)이 상기 정렬 회전체(21)로부터 벌려져 있는 최소 치수인 "N"을 유지하면서 찌그러지며 회전하는 강도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전모터(19) 하단의 샤프트와 결합되는 정렬 회전체(21)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정렬 회전체(21)가 회전하여 좁혀진 통로(60)에 진입된 부정형의 투입물체를 일자로 나란히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형 정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3233A 2023-02-21 2023-02-21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KR10257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33A KR102572654B1 (ko) 2023-02-21 2023-02-21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33A KR102572654B1 (ko) 2023-02-21 2023-02-21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654B1 true KR102572654B1 (ko) 2023-08-29

Family

ID=8780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233A KR102572654B1 (ko) 2023-02-21 2023-02-21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6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713U (ko) * 1989-08-29 1991-04-22
US20050167239A1 (en) * 2004-02-02 2005-08-04 Tarlton Curtis S.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CN102167225A (zh) * 2011-04-15 2011-08-31 中国农业大学 一种培养瓶自动排队机构
WO2014068263A1 (en) * 2012-11-02 2014-05-08 Baa (Ip Holdco) Ltd. Align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713U (ko) * 1989-08-29 1991-04-22
US20050167239A1 (en) * 2004-02-02 2005-08-04 Tarlton Curtis S.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CN102167225A (zh) * 2011-04-15 2011-08-31 中国农业大学 一种培养瓶自动排队机构
WO2014068263A1 (en) * 2012-11-02 2014-05-08 Baa (Ip Holdco) Ltd. Align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376B1 (ko)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EP0708691B1 (de) Sortie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postgut
JPH10500652A (ja) 注文の整理統合番号付けシステム
US20050023105A1 (en) Modular mat gravity-advance roller conveyor
DE102009021583B4 (de) Maschine zum Ausrichten und aufeinanderfolgenden Anordnen von Artikel
KR100777970B1 (ko) 어류 선별기
KR102572654B1 (ko) 쿠션역할의 기능을 탑재한 회전장치가 이용되는 부정형 정렬장치
US7303059B2 (en) Conveyor apparatus for placing articles in a single file
US6000554A (en) Reciprocating screening conveyor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2522872B1 (ko) 정렬 배출장치
US5613827A (en) Dual arm lumber stacker assembly
DE102020205199A1 (de) Fördersystem für Gebinde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Gebinden
KR101089377B1 (ko) 치패 선별기
ES2247397T3 (es) Planta clasificadora para clasificar productos introducidos a granel.
WO2012013532A1 (de) Kontrollstation, vereinze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einzeln von stückgütern
BE1013751A3 (nl) Werkwijze voor het stapelen van recipienten en inrichting die deze werkwijze toepast.
DE60133605T2 (de) Ausrichten von Gegenständen
KR102583719B1 (ko) 전복 선별기의 전복 공급장치
KR102192218B1 (ko) 폐기물 분리용 선별 시스템
US3523619A (en) Bin construction
US2159050A (en) Tall can aligning device
JPS6012628Y2 (ja) 果物等の選別コンベヤ用被選別物供給装置
JPH063477U (ja) 農産物の選別装置
KR20120106026A (ko) 과일 자동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