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525B1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25B1
KR102572525B1 KR1020180018609A KR20180018609A KR102572525B1 KR 102572525 B1 KR102572525 B1 KR 102572525B1 KR 1020180018609 A KR1020180018609 A KR 1020180018609A KR 20180018609 A KR20180018609 A KR 20180018609A KR 102572525 B1 KR102572525 B1 KR 10257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disposed
emitting devi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1105A (en
Inventor
이창형
송준오
임창만
정세연
최병연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패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본딩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본딩패드; 상기 발광구조물 상부면 상에 배치된 오믹접촉층; 상기 오믹접촉층과 상기 제1 본딩패드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층; 상기 오믹접촉층과 상기 제2 본딩패드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층;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제2 반사층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3 반사층; 및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제3 반사층의 사이와 상기 제2 반사층과 상기 제3 반사층의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Embodiments relate to a light emitting devic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a ligh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bonding pad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bonding pad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 ohmic contact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refl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first bonding pad; a second refl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second bonding pad; a third reflective lay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Description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GaN, AlGaN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는 넓고 조정이 용이한 밴드 갭 에너지를 가지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져서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및 각종 다이오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compounds such as GaN and AlGaN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having a wide and easily adjustable band gap energy,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light emitting devices, light receiving devices, and various diodes.

특히, 3족-5족 또는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 대역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3족-5족 또는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원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 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 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In particular,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or laser diodes using group 3-5 or group 2-6 compound semiconductor materials are developed in thin film growth technology and device materials to produce red, gree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light in various wavelength bands such as blue and ultraviolet.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or a laser diode using a group 3-5 or group 2-6 compound semiconductor material can implement a white light source with high efficiency by using a fluorescent material or combining colors. These light emitting devices have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span,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뿐만 아니라, 광검출기나 태양 전지와 같은 수광 소자도 3족-5족 또는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소자 재료의 개발로 다양한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광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감마선부터 라디오 파장 영역까지 다양한 파장 영역의 빛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광 소자는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 친화성 및 소자 재료의 용이한 조절의 장점을 가져 전력 제어 또는 초고주파 회로나 통신용 모듈에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light receiving devices such as photodetectors or solar cells are manufactured using Group 3-5 or Group 2-6 compound semiconductor materials, photocurrent is generated by absorbing light in various wavelength rang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evice material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use light in a wide range of wavelengths from gamma rays to radio wavelengths. In addition, such a light-receiving element has advantages of fast response speed, safety,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easy control of element materials,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in power control or ultra-high frequency circuits or communication modules.

따라서, 반도체 소자는 광 통신 수단의 송신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 및 가스(Gas)나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 등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소자는 고주파 응용 회로나 기타 전력 제어 장치, 통신용 모듈에까지 응용이 확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replace a transmission module of an optical communication means, a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that replaces a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 (CCFL) constituting a backlight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and can replace a fluorescent lamp or an incandescent bulb. Applications are expanding to white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s, automobile headlights and traffic lights, and sensors that detect gas or fire. In addition, applications of semiconductor devices can be expanded to high-frequency application circuits, other power control devices, and communication modules.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는 예로서 주기율표상에서 3족-5족 원소 또는 2족-6족 원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변환되는 특성의 p-n 접합 다이오드로 제공될 수 있고, 화합물 반도체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파장 구현이 가능하다.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p-n junction diode having a characteristic of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using a group 3-5 element or a group 2-6 element on the periodic table, and a compound semiconductor Various wavelengths can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composition ratio.

예를 들어, 질화물 반도체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폭 넓은 밴드갭 에너지에 의해 광소자 및 고출력 전자소자 개발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청색(Blue) 발광소자, 녹색(Green) 발광소자, 자외선(UV) 발광소자, 적색(RED) 발광소자 등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nitride semiconductors are of great interest in the field of developing optical devices and high-power electronic devices due to their high thermal stability and wide bandgap energy. In particular, blue light emitting devices, green light emitting devices, ultraviolet (UV) light emitting devices, red light emitting devices, and the like using nitride semiconductors are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예를 들어, 자외선 발광소자의 경우, 200nm~400nm의 파장대에 분포되어 있는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로서, 상기 파장대역에서, 단파장의 경우, 살균, 정화 등에 사용되며, 장파장의 경우 노광기 또는 경화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as a light emitting diode that generates light distributed in a wavelength range of 200 nm to 400 nm, in the wavelength range, in the case of a short wavelength, it is used fo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nd in the case of a long wavelength, an exposure machine or a curing machine, etc. can be used

자외선은 파장이 긴 순서대로 UV-A(315nm~400nm), UV-B(280nm~315nm), UV-C (200nm~280nm)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UV-A(315nm~400nm) 영역은 산업용 UV 경화, 인쇄 잉크 경화, 노광기, 위폐 감별, 광촉매 살균, 특수조명(수족관/농업용 등)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고, UV-B(280nm~315nm) 영역은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UV-C(200nm~280nm) 영역은 공기 정화, 정수, 살균 제품 등에 적용되고 있다. Ultraviolet light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order of wavelength: UV-A (315nm ~ 400nm), UV-B (280nm ~ 315nm), and UV-C (200nm ~ 280nm). UV-A (315nm ~ 400nm) area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ial UV curing, printing ink curing, exposure machine, counterfeit money discrimination, photocatalytic sterilization, special lighting (aquarium/agricultural use, etc.), and UV-B (280nm ~ 315nm) ) area is used for medical purposes, and the UV-C (200nm~280nm) area is applied to air purification, wate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products.

종래기술 중에, 플립 칩(flip chip) 형식의 발광소자에서 빛의 광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 발광소자에 TiOx 와 SiOx를 교번 적층한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과 같은 절연성 반사층을 배치하고, 전기적 특성의 향상을 위해 ITO와 같은 오믹접촉층을 배치한다.Among the prior art,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reflectance of a flip 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such as DBR (Distributed Bragg Reflector) in which TiOx and SiOx are alternately stacked is plac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ical properties are improved For this purpose, an ohmic contact layer such as ITO is disposed.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를 회로 기판(미도시)에 배치하는 리플로우(reflow)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광소자 패키지에 제공된 리드 프레임과 발광소자 간의 본딩 영역에서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melting (re- melting) may occur.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발광소자(100)를 수지부(230)를 통해 발광소자 패키지에 실장하고,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 상에 상기 발광 소자의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상기 리멜팅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rough the resin part 230,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he remelting problem may be improved by disposing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n TH2), respectively.

한편,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 사이에 발생하는 스테스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에 형성된 절연성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광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음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may cause Through additional research, it was confirmed through TES that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light output due to the occurrence of a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예를 들어,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 사이에서 스트레스(Stress)에 의해 본딩 패드 상에 배치되는 DBR에도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ITO와 DBR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stress is applied to the DBR disposed on the bonding pad by str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so that ITO Separation may occur between the and DBR.

이렇게 발광소자에 형성된 DBR과 같은 절연성 반사층과 ITO와 같은 오믹접촉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면 전기적 특성이 매우 저하되어 광출력이 저하되며, 광 투광성 또는 광반사성이 매우 저하되어 광 출력이 저하되는 기술적 문제가 있음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함을 발전적인 기술적 과제로 삼게 되었다.When a peeling phenomenon occurs between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such as DBR formed on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ohmic contact layer such as I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greatly deteriorat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light output. It was confirmed through research that there was a technical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took it as a developing technical problem to solve it.

한편,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의 향상을 위해 DBR과 같은 절연성 반사층과 ITO와 같은 오믹접촉층은 필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연성 반사층과 오믹접촉층의 박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such as DBR and an ohmic contact layer such as ITO are necessary element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will be described.

또한 발광소자 패키지 몸체 상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게 되며, 발광소자에 형성된 ITO와 같은 오믹접촉층과 접하게 된다.In addition, a passivation layer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ody and comes into contact with an ohmic contact layer such as ITO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그런데,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상기 제1 및 제2 본딩 패드 사이에서 스트레스(Stress)에 의해 본딩 패드 상에 배치되는 ITO에도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패시베이션과 ITO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은 전기적, 광학적 신뢰성을 매우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tress is also applied to the ITO disposed on the bonding pad due to str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so that passivation and ITO A peeling phenomenon may occur between them, and this phenomenon has a problem in that electrical and optical reliability are greatly deteriorated.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가 서브 마운트 또는 회로기판 등에 실장 됨에 있어 리플로우(reflow) 등의 고온 공정이 적용되는데, 이때 리플로우 공정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에 제공된 리드 프레임과 발광소자 간의 본딩 영역에서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어 전기적 연결이나 물리적 본딩 결합의 안정성이 약화되어 전기적, 물리적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high-temperature process such as reflow is applied when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mounted on a submount or a circuit board. At this time, in the reflow process, bonding between the lead fram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 re-melting phenomenon occurs in the area, and the stabi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or physical bonding is weakened, resulting in problems in electrical and physical reliability.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 몸체와 발광소자 간의 본딩 결합력의 이슈가 있고, 이에 따라 결합력 저하에 따른 신뢰성 이슈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n issue of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ody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ccordingly, there is a reliability issue due to a decrease in bonding strength.

또한, 발광소자 조명장치에서 복수의 발광소자의 인접 배치에 따라 광 흡수 이슈가 있어서 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light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light absorption issue according to the adjacent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또한, 종래기술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에 있어, 공정 효율 향상 및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제조 단가를 줄이고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a method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manufacturing yield through process efficiency improvement and structural change.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광학적 특성이나 전기적 특성의 악화로 광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optical 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due to deterioration of optical 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used by peeling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오믹접촉층과 보호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전기적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electrical reliabi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peeling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do.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패키지 몸체와 발광소자 간의 본딩 결합력을 향상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a package body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패키지 몸체의 전극과 발광소자 전극 간의 본딩영역에서 전기적, 물리적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electrical and physical reliability in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electrode of the package body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d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공정 효율 향상 및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제조 단가를 줄이고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manufacturing yield through process efficiency improvement and structural chan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설명을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is section, but include those that can be grasp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반사층;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본딩부;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본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층은 상기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1 본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층은 상기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2 본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층 및 상기 제2 반사층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은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a first bond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bond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reflective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the first bonding part,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the second bonding part.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본딩부와 상기 제2 본딩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disposed around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112)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110);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141);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142);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1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패드(171);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본딩패드(172);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부면 상에 배치된 오믹접촉층(130);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제1 본딩패드(171)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층(161);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층(162);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3 반사층(163); 및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와 상기 제2 반사층(162)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active layer 112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141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 second electrode 142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 first bonding pad 171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41; A second bonding pad 172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2. ); an ohmic contact layer 13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 first reflective layer 161 dis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a second reflective layer 162 dis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 third reflective layer 163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a protective layer 150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an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the light emitting device.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오믹접촉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의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광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output by improving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by suppressing a peeling phenomenon between a reflective layer and an ohmic contact layer by blocking or dispersing the transmission of stress generated in the pad region to the ohmic contact layer ,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오믹접촉층과 보호층을 이격시킴으로써 오믹접촉층과 패시베이션 사이에 박리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which electrical reliability is improved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by separating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can provid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몸체의 전극과 발광소자의 전극 간의 본딩영역에서 전기적, 물리적 신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가 기판 등에 재 본딩되는 과정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의 본딩 영역에서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ving excellent electrical and physical reliability in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package body and the electrod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melting in the bonding area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process of re-bond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o a substrate or the like. There are technical effects that can be don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몸체와 발광소자 간의 본딩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embodiments,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improving bonding strength between a package body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정 효율 향상 및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제조 단가를 줄이고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manufacturing yield through process efficiency improvement and structural chan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설명을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technical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is section, but include those that can be grasp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평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g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각 층별 평면 레이아웃.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서 패드의 예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g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각 층별 평면 레이아웃.
1 is a plan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lan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A to 5G are planar layouts for each layer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view of a pad in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8 is a plan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9A to 9G are planar layouts for each layer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이하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cretely realizable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n or under" of each element, the upper (upper) or lower (on or under) It includes both elements 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each other or by indirectly placing one or more other elements between the two elem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반도체 소자는 발광소자, 수광 소자 등 각종 전자 소자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모두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발광소자일 수 있다. 발광소자는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함으로써 빛을 방출하게 되고, 이 빛의 파장은 물질 고유의 에너지 밴드갭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물질의 조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The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and both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device emits light by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and the wavelength of this light is determined by the energy band gap inherent in the material. Thus, emitted l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패키지 몸체(210)와 발광소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210)는 몸체(213)와 상기 몸체(213)에 배치된 제1 프레임(211) 및 제2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ackage body 21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package body 210 may include a body 213 and a first frame 211 and a second frame 212 disposed on the body 213 .

다음으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에 의하면, 발광소자(100)는 패키지 몸체(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Nex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ncludes a package body. (210).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를 상세 설명한 후에, 발광소자 패키지(2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fter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발광소자)(light emitting element)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4의 A1-A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2 of FIG. 4 .

아울러 도 5a 내지 도 5g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각 층별 평면 레이아웃이다.5A to 5G are planar layouts for each layer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도 3,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의 기술적 특징을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5A to 5G.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발광구조물(110), 제1 전극(141), 제2 전극(142), 제1 본딩패드(171), 제2 본딩패드(172), 오믹접촉층(130), 제1 반사층(161), 제2 반사층(162), 제3 반사층(163) 및 보호층(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 first electrode 141, a second electrode 142, a first bonding pad 171, and a second bonding pad ( 172),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and the protective layer 150.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112)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142)과,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1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본딩패드(172)와,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부면 상에 배치된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제1 본딩패드(171)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층(162)과,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3 반사층(163) 및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와 상기 제2 반사층(162)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including an active layer 112 disposed between semiconductor layers 113 and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 first electrode 141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2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 first bonding pad 171 disposed on the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 a second bonding pad 172 disposed abov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ohmic contact layer 130, a first reflective layer 161 disposed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 second reflective layer 162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a third reflective layer 163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a protective layer 150 disposed between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an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기판, 발광구조물><Substrate, light emitting structure>

우선 도 4와 같이, 실시예는 기판(105) 위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1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 the embodiment may inclu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5 .

상기 기판(105)은 사파이어 기판(Al2O3), SiC, GaAs, GaN, ZnO, Si, GaP, InP, Ge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기판(105)은 상부 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PSS(Patterned Sapphire Substrate)로 제공될 수 있다.The substrate 105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sapphire substrate (Al 2 O 3 ), SiC, GaAs, GaN, ZnO, Si, GaP, InP, and Ge. For example, the substrate 105 may be provided as PSS (Patterned Sapphire Substrate) having a concavo-convex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발광구조물(11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활성층(112),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12)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위에 상기 활성층(112)이 배치되고, 상기 활성층(112) 위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이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 an active layer 112 ,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The active layer 1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112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be disposed on the active layer 112 .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은 n형 반도체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은 p형 반도체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이 p형 반도체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이 n형 반도체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may be provided a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be provided a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Of cour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may be provided a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be provided a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이 n형 반도체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이 p형 반도체층으로 제공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is provided a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is provided a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will be described. .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상기 기판(105) 위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이 접촉되어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상기 기판(105) 사이에 버퍼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예로서, 버퍼층은 상기 기판(105)과 상기 발광구조물(110) 간의 격자 상수 차이를 줄여 주고 결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1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105 has been described. However, a buffe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ubstrate 105 . For example, the buffer layer may provide a function of reducing a lattice const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strate 105 and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improving crystallinity.

상기 발광구조물(110)은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은 예로서 2족-6족 또는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발광구조물(110)은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인(P), 비소(As), 질소(N)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provided as a compound semiconductor.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Group 2-6 or Group 3-5 compound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aluminum (Al), gallium (Ga), indium (In), phosphorus (P), arsenic (As), and nitrogen (N). It can be.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은, 예로서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또는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은 InxAlyGa1-x-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또는 (AlxGa1-x)yIn1-yP(0≤x≤1, 0≤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AlInP, GaInP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Si, Ge, Sn, Se, Te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1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Group 2-6 compound semiconductor or a Group 3-5 compound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1 is a semiconductor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In x Al y Ga 1-xy N (0≤x≤1, 0≤y≤1, 0≤x+y≤1) material or a semiconductor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Al x Ga 1-x ) y In 1-y P (0≤x≤1, 0≤y≤1).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AlInP, GaInP, and the like. And, an n-type dopant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Si, Ge, Sn, Se, Te, and the like may be doped.

상기 활성층(112)은, 예로서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또는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층(112)은 InxAlyGa1-x-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또는 (AlxGa1-x)yIn1-yP(0≤x≤1, 0≤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활성층(112)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AlInP, GaInP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활성층(112)은 다중 우물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장벽층과 복수의 우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e layer 112 may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 Group 2-6 compound semiconductor or a Group 3-5 compound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112 is a semiconductor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In x Al y Ga 1-xy N (0≤x≤1, 0≤y≤1, 0≤x+y≤1) or (Al x It may be provided as a semiconductor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Ga 1-x ) y In 1-y P (0≤x≤1, 0≤y≤1). As an example, the active layer 112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AlInP, GaInP,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112 may be provided in a multi-well structur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rrier layers and a plurality of well layers.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은, 예로서 2족-6족 화합물 반도체 또는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은 InxAlyGa1-x-yN(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 또는 (AlxGa1-x)yIn1-yP(0≤x≤1, 0≤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AlInP, GaInP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Mg, Zn, Ca, Sr, Ba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Group 2-6 compound semiconductor or a Group 3-5 compound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is a semiconductor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In x Al y Ga 1-xy N (0≤x≤1, 0≤y≤1, 0≤x+y≤1) material or a semiconductor material having a composition formula of (Al x Ga 1-x ) y In 1-y P (0≤x≤1, 0≤y≤1). For example,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AlInP, GaInP, and the like. In addition, a p-type dopant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Mg, Zn, Ca, Sr, Ba, and the like may be doped.

<전류확산층, 오믹접촉층, 제1 반사층, 제2 반사층, 제3 반사층><Current diffusion layer, ohmic contact layer, first reflective layer, second reflective layer, third reflective layer>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전류확산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3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urrent diffusion layer 120 .

상기 전류확산층(120)은 전류 확산을 향상시켜 광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전류확산층(120)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류확산층(120)은 제2 전극(142) 아래에서 전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can increase light output by improving current spreading. For example,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be made of oxide or nitride.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prevent current from being concentrated under the second electrode 142 .

도 5a는 전류확산층(120)을 배치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이후 제2 전극(142)이 배치되는 영역의 하측에 대응되도록 전류확산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단면에서 전류확산층(120)은 도 3에 도시된 전류확산층(120)과 대응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전극(142)과 상하간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5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osing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and then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side of the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142 is disposed. For example, in the cross section of FIG. 5A,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shown in FIG. 3,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second electrode 142 vertically.

도 5a에 도시된 나머지 전류확산층(120)들도 이후 배치되는 제2 전극(142)(도 5d 참조)과 상하간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st of the current spreading layers 120 shown in FIG. 5A may also be dispos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second electrode 142 (refer to FIG. 5D) disposed thereafter vertically.

다음으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믹접촉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전류 확산을 향상시켜 광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Nex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n ohmic contact layer 130 as shown in FIG. 3 .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rease light output by improving current diffusion.

예로서,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투광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metal, a metal oxide, and a metal nitrid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ON(IZO nitride), IZTO (indium zinc tin oxide), IAZO(indium alumin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indium gallium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rOx, RuOx,RuOx/ITO,Ni/IrOx/Au, Ni/IrOx/Au/ITO, Pt, Ni, Au,Rh, Pd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lude, for exampl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ZO nitride (IZON), indium zinc tin oxide (IZTO), indium aluminum zinc oxide (IAZO), or IGZO ( indium gallium zinc oxide), indium gallium tin oxide (IGTO), aluminum zinc oxide (AZO), antimony tin oxide (ATO), gallium zinc oxide (GZO), IrOx, RuOx,RuOx/ITO,Ni/IrOx/Au, Ni /IrOx/Au/ITO, Pt, Ni, Au, Rh,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Pd.

도 5b는 오믹접촉층(130)을 배치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발광구조물(110)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전류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A1-A2선을 따른 단면에서의 오믹접촉층(130)은 도 3에 도시된 와 같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에 배치되어 전류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osing the ohmic contact layer 130, which can contribute to current diffusion by being entirely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For exampl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A1-A2 in FIG. 4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s shown in FIG. 3 to contribute to current diffusion.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믹접촉층(130)의 면적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오믹접촉층(130)의 면적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면의 면적은 같게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area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is shown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ea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area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have the same area.

따라서, 상기 오믹접촉층(130)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면을 구성하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을 통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기 오믹접촉층(130)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3 can be configured through one process,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can be shortened. Since the area of the contact layer 130 can be disposed as large as possibl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한편, 도 5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믹접촉층(130)은 제1 전극(141)(도 5d 참조)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R1)를 구비함으로써, 이후 제1 관통홀(R1)를 통해 제1 전극(141)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5B and 3, the ohmic contact layer 130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R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41 (see FIG. 5D) is disposed. , and then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R1.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오믹접촉층과 보호층(150) 사이에서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전기적, 광학적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함이다.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electrical and optical reliability deterioration due to peeling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150. device is provided.

실시예에서 패시베이션 기능을 하는 보호층(150)이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오믹접촉층과 보호층 사이의 박리현상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since the protective layer 150 having a passivation function is dispos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suppress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itself.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호층(150)과 상기 오믹접촉층(130)을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반사층(161)을 이격되는 복수의 반사층(161, 162,163)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층(150)과 상기 오믹접촉층(130) 사이의 박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eflective layer 16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flective layers 161, 162, and 16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15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반사층(161)이 상기 보호층(150)과 상기 오믹접촉층(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2 반사층(162)이 상기 보호층(150)과 상기 오믹접촉층(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층(150)이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보호층(150)과 오믹접촉층(130)의 결합신뢰성에 비해 보호층과 반사층(160) 사이의 결합신뢰성이 우수함에 따라 보호층(150)이 오믹접촉층(130)과 이격되되 제1 반사층(161), 제2 반사층(162)과 접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is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is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By disposing between the contact layers 130 ,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130 . 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reliability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160 is superior to that of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protective layer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contacting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오믹접촉층과 보호층을 이격시킴으로써 오믹접촉층과 패시베이션 사이에 박리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which electrical reliability is improved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by separating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can provide.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오믹접촉층(130)은 이후 배치되는 반사층(160)의 분리영역에 대응되는 영역(S)(도 5c 참조)에 소정의 추가적인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B , in an embodiment,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additional through hole in a region S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region of the reflective layer 160 (see FIG. 5C ) to be disposed thereafter. there is.

예를 들어, 오믹접촉층(130)은 이후 배치되는 반사층(160)의 제1 분리영역(160S1), 제2 분리영역(160S2)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관통홀(R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R2)의 양측에 제5 관통홀(R5)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have second through-holes R2 i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solation region 160S1 and the second isolation region 160S2 of the reflective layer 160 to be disposed thereafter. there is. In addition, a fifth through hole R5 may be inclu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through hole R2.

실시예에서 제2 관통홀(R2)은 컨택 홀의 기능을 하게 되며, 제5 관통홀(R5)은 컨택 홀의 기능을 하지 않고 반사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econd through hole R2 functions as a contact hole, and the fifth through hole R5 does not function as a contact hole, and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disposed thereon.

한편,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광학적 특성이나 전기적 특성의 악화로 광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light output due to deterior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used by peeling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o provide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is.

실시예에 의하면, 제5 관통홀(R5)을 통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 직접 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도 접하게 하여 접촉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160 can directly contact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rough the fifth through hole R5, and through this, the reflective layer 160 is also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reby improving contact force and reliability can make it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의 저면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상기 활성층(112) 보다 낮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접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re disposed lower than the active layer 112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so tha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 can be encountered.

특히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 접촉력이 우수한 물리적 현상을 활용하여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도 접하게 함으로써 오믹접촉층과 반사층 사이의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켜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160 makes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by utilizing a physical phenomenon in which the reflective layer 160 has excellent contact force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reby suppress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Reliability can be improved to improve luminous intensity.

한편, 실시예에서 제2 관통홀(R2)은 컨택 홀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제1 관통홀(R1)의 면적보다는 작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개의 제1 관통홀(R1)의 면적은 한 개의 제2 관통홀(R2)의 면적과 두개의 제5 관통홀(R5)의 면적을 합한 것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through hole R2 functions as a contact hole, and may occupy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hrough hole R1. Through this, the area of one first through hole R1 may be equal to or similar to the sum of the areas of one second through hole R2 and two fifth through holes R5.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관통홀(R2)과 제5 관통홀(R5)의 배치에 따라 기존보다 활성층(112)의 제거영역이 동등한 수준이므로 광 출력에는 지장이 없으면서도 반사층(160)과 발광구조물(110)간의 결합력을 현저히 향상시켜 신뢰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removal area of the active layer 112 is equal to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through hole R2 and the fifth through hole R5, the reflective layer 160 and the reflective layer 160 have no problems with light output. Reli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s 110 .

다음으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은 제1 반사층(161), 제2 반사층(162), 제3 반사층(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은 상기 오믹접촉층(130)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구조물(110)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켜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Nex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160 as shown in FIG. 3 .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 first reflective layer 161 , a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and a third reflective layer 163 .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o improve luminous intensity.

도 5c는 반사층(160)을 배치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예를 들어, 도 5c의 단면에서의 반사층(160)은 도 3에 도시된 와 같이 발광구조물(110), 오믹접촉층(130) 상에 배치된 반사층(160)에 대응될 수 있다.FIG. 5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osing the reflective layer 160.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in the cross section of FIG. 5C is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s shown in FIG. It may correspond to the disposed reflective layer 160 .

한편, 도 5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층(161)은 제1 전극(141)(도 5d 참조)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개구부(H1)를 구비함으로써, 이후 제1 개구부(H1)를 통해 제1 전극(141)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5C and 3 ,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includes the first opening H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41 (see FIG. 5D ) is disposed, Thereafter,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rough the first opening H1.

아울러, 도 5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층(162)은 제2 전극(142)(도 5d 참조)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개구부(H2)를 구비함으로써, 이후 제2 개구부(H2)를 통해 제2 전극(142)이 오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반사층(163)도 제3 개구부(H3)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 3은 도시하지 않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C and 3 ,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has a second opening H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142 (see FIG. 5D) is disposed, Then,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hmic layer through the second opening H2. Meanwhile, as shown in FIG. 5C,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may also include the third opening H3, but FIG. 3 is not shown.

상기 반사층(160)은 절연성 반사층(16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 또는 ODR(Omni Directional Reflec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160 .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 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 or an Omni Directional Reflector (OD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활성층(112)에서 방출된 빛의 반사를 위하여 반사율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DBR 구조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but a material having high reflectivity, for example, a DBR structure, may be used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굴절률이 다른 적어도 2가지 재료를 서로 반복하여 수회에서 수십회 배치하여 DBR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는 TiO2와 SiO2 또는 Ta2O5와 SiO2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form a DBR structure by repeatedly arranging at least two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TiO 2 and SiO 2 or Ta 2 O 5 and SiO 2 .

또한 상기 반사층(160)은 무지향성 반사층(ODR: Omni Directional Reflector)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층(160)의 ODR층은 예로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 비해 낮은 굴절률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의 ODR층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률과 큰 차이를 갖는 낮은 굴절률을 갖도록 선택됨으로써, 반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의 ODR층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의 ODR층은 예로서, SiO2, SiNx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n Omni Directional Reflector (ODR) layer, and the ODR layer of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at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for example. there is. The ODR layer of the reflective layer 160 is selected to have a low refractive index having a large difference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reby providing a reflective function. The ODR layer of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oxide or nitride. For example, the ODR layer of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materials such as SiO 2 and SiNx.

또한 상기 반사층(160)은 일부 영역은 절연성층을 포함하나 다른 영역은 도전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절연층과 도전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유전체층(Dielectric layer), 폴리머층(polymer layer), 금속층(metal layer) 또는 AlGaInP 등의 반도체층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areas of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while other areas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also include a dielectric layer, a polymer layer, a metal layer, or a semiconductor layer such as AlGaInP.

이에 따라, 상기 반사층(160)은 TiO2, SiO2, SiNx, MgO,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Oxide), AZO(Aluminum-Zinc-Oxide), ATO(Antimony-Tin-Oxide), IZTO(Indium-Zinc-Tin-Oxide), IAZO(Indium-Aluminum-Zinc-Oxide), GZO(Gallium-Zinc-Oxide), IGZO(Indium-Gallium-Zinc-Oxide), IGTO(Indium-Gallium-Tin-Oxide), AZO(Aluminum-Zinc-Oxide), Ag, Ag2O, Al, Ni, Ti, Zn, Rh, Mg, Pd, Ru,Pt, Ir 또는 이들의 합금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lective layer 160 is TiO 2 , SiO 2 , SiNx, MgO, ITO (Indium-Tin-Oxide), IZO (Indium-Zinc-Oxide), AZO (Aluminum-Zinc-Oxide), ATO (Antimony- Tin-Oxide), IZTO(Indium-Zinc-Tin-Oxide), IAZO(Indium-Aluminum-Zinc-Oxide), GZO(Gallium-Zinc-Oxide), IGZO(Indium-Gallium-Zinc-Oxide), IGTO(Indium -Gallium-Tin-Oxide), AZO (Aluminum-Zinc-Oxide), Ag, Ag 2 O, Al, Ni, Ti, Zn, Rh, Mg, Pd, Ru, Pt, Ir, or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loys thereof. may contain one.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에서 발광층인 활성층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광 흡수를 최소화하여 광도(Po)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uminous intensity Po by minimizing light absorption by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which is a light emitting layer, in the reflective layer 160 can provid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광 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광소자가 플립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발광구조물을 기준으로 6면 발광이 가능함에 따라 광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light absorption can be minimiz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unted in a flip chip type, light intens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as light emitting from six sides is possible bas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한편,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광학적 특성이나 전기적 특성의 악화로 광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light output due to deterior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used by peeling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o provide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is.

실시예에서의 반사층(160)은 제1 반사층(161)과 제2 반사층(162)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3 반사층(163)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를 상호 이격시키는 분리영역(160S)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flective layer 160 in the embodiment includes a third reflective layer 163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a separation region 160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include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분리영역(160S)은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분리영역(160S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영역(160S)은 상기 제2 반사층(162)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분리영역(160S2)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C , the separation region 160S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region 160S1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In addition, the separation region 160S may include a second separation region 160S2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분리영역(160S1)은 상기 제1 보호층(150a)의 둘레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분리영역(160S2)은 상기 제2 보호층(150b)의 둘레에도 위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eparation region 160S1 may be located arou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150a, and the second separation region 160S2 may be located arou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b. can

도 5e는 보호층(150)에 대한 개략도인데, 보호층(150)은 제1 전극(141)과 제1 본딩패드(171)(도 5f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3 관통부(R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150)은 제2 전극(142)과 제2 본딩패드(172)(도 5f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4 관통부(R4)를 포함할 수 있다.5E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tective layer 150,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150 is a third through-hole (R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see FIG. 5F).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fourth through-hole R4 through which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see FIG. 5F ) are electrically connected.

다시 도 5c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150)은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의 제1 분리영역(160S1) 상에 위치하는 제1 보호층(150a)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5C and 3 , in the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first protective layer 150a positioned on a first separation region 160S1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there is.

또한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2 반사층(162)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150)은 상기 제2 반사층(162)과 상기 제3 반사층(163)의 사이의 제2 분리영역(160S2) 상에 위치하는 제2 보호층(150b)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second protective layer 150b positioned on the second separation region 160S2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there is.

이를 통해,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이 제1 반사층(161), 제2 반사층(162) 및 제3 반사층(163)으로 물리적으로 분리이격됨으로써 본딩패드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각 반사층(160)에서 분산됨에 따라서 오믹접촉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의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광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160 is physically separated into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so that the stress generated in the bonding pad area is reduced to each reflective layer 160. ),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improving optical output by improving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by suppressing peeling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by blocking or dispersing transmission to the ohmic contact layer as it is dispersed in ),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reof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제1 반사층(161)과 제3 반사층(163) 사이에 배치된 제1 보호층(150a)에 의해 제1 반사층(161)이 제1 본딩패드(171)로 받는 인장력과 같은 스트레스가 제3 반사층(163)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제3 반사층(163) 사이의 제1 분리영역(160S1)의 공간에 의해 제1 보호층(150a)이 물리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50a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causes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to receive a stress equal to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first bonding pad 171 by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1 . I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reflective layer 163, 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150a relieves physical stress by the space of the first separation region 160S1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can make it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반사층(162)과 제3 반사층(163) 사이에 배치된 제2 보호층(150b)에 의해 제2 반사층(162)이 제2 본딩패드(172)로 받는 인장력과 같은 스트레스가 제3 반사층(163)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2 반사층(162)과 제3 반사층(163) 사이의 제2 분리영역(160S2)의 공간에 의해 제2 보호층(150b)이 물리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is subjected to the tensile force received by the second bonding pad 172 by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b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and The same stress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b is formed by the space of the second separation region 160S2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This physical stress can be alleviated.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의 외곽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이를 통해, 실시예에서 패시베이션 기능을 하는 보호층(150)이 반사층(1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오믹접촉층과 보호층 사이의 박리현상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in the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50 having a passivation function is dispos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130 with the reflective layer 160 therebetween, thereby suppress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itself. There are possible technical effects.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반사층(161)이 상기 보호층(150)과 상기 제1 반사층(16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제2 반사층(162)이 상기 보호층(150)과 상기 제2 반사층(16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층(150)이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보호층(150)과 오믹접촉층(130)의 결합신뢰성에 비해 보호층과 반사층(160) 사이의 결합신뢰성이 우수함에 따라 보호층(150)이 오믹접촉층(130)과 이격되되 제1 반사층(161), 제2 반사층(162)과 접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is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is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130 by be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s 162 . 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reliability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160 is superior to that of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protective layer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contacting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오믹접촉층과 보호층을 이격시킴으로써 오믹접촉층과 패시베이션 사이에 박리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which electrical reliability is improved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by separating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can provide.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광학적 특성이나 전기적 특성의 악화로 광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is.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의 저면이 오믹접촉층(130)의 측면아래의 발광구조물(110)과 접하게 배치시킴으로써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도 접하게 하여 접촉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dispo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60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under the side surface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reflective layer 160 also comes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reby improving contact force and reliability. can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반사층의 저면(161e)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의 저면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상기 활성층(112) 보다 낮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접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161e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re disposed lower than the active layer 112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 접촉력이 우수한 물리적 현상을 활용하여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과도 접하게 함으로써 오믹접촉층과 반사층 사이의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켜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160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by utilizing a physical phenomenon in which the reflective layer 160 has excellent contact force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reby suppress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thereby reducing reliability. can improve the luminous intensity.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의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리키지 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는 복합적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reflective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o block the leakage phenomenon, there is also a complex effect of improv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의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반사층에 의해 활성층(112)에서 발광된 빛이 측면으로 새지 않고 반사층에서 반사됨으로써 광 반사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어 광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reflective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by the reflective layer does not leak to the side surface and is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layer, thereby greatly improving light reflection efficiency. There are multiple effects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luminosity.

<전극, 보호층, 본딩패드><Electrode, protective layer, bonding pad>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41 and a second electrode 142 .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1 개구부(h1) 내부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기 활성층(112)을 관통하여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일부 영역까지 배치되는 리세스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within the first opening h1.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41 penetrates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active layer 112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in a recess extending to a partial region of the region.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1 반사층(161)에 제공된 제2 개구부(h1)를 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h1)와 상기 리세스는 수직으로 중첩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rough the second opening h1 provided i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 The first opening h1 and the recess may vertically overlap each other.

상기 제1 개구부(h1)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측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h1)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리세스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층(161)이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반사층(161)이 배치되기 위한 공정에서 Step-coverage 특성으로 인해, 상기 리세스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상기 제1 개구부(h1)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h1 and a side surface of the recess may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h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may be different from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Wh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is disposed in the recess,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are formed due to the step-coverage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for disposing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y a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h1 and a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리세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층(161)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기 리세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층(161)의 수평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층(161)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기 리세스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층(161)의 수평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신뢰성이 개선되고, 제1 반사층(161)에 의한 광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disposed under the recess may be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disposed above the recess. A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disposed under the recess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disposed above the reces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lectrical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improved. And, optical characteristics by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전극(142)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사이에 상기 오믹접촉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제2 반사층(162)에 제공된 제2 개구부(h2)를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2 전극(1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믹접촉층(130)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3 through the second opening h2 provided i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through the ohmic contact layer 130 .

실시예에 의하면, 도 5d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서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D ,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have polaritie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전극(141)은 예로서 복수의 라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42)은 예로서 복수의 라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1)은 이웃된 복수의 제2 전극(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42)은 이웃된 복수의 제1 전극(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ne shapes.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ne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second electrodes 142 .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first electrodes 141 .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구성되는 경우, 서로 다른 개수의 전극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1)이 n 전극으로, 상기 제2 전극(142)이 p 전극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141)보다 상기 제2 전극(142)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전기 전도도 및/또는 저항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에 의해 상기 발광구조물(110)로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출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광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Wh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have different polarities, they may have different numbers of electrod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141 is composed of an 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is composed of a p electrode, the number of second electrodes 142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de 141. there is. Wh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have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or resistanc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balanced, and thus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be improved.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오믹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ZnO, IrOx, RuOx,NiO, RuOx/ITO,Ni/IrOx/Au, 및 Ni/IrOx/Au/ITO, Ag, Ni, Cr, Ti, Al, Rh, Pd, Ir, Ru,Mg, Zn, Pt, Au,Hf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물질의 합금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formed in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ohmic electrode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ZnO, IrOx, RuOx, NiO, RuOx/ITO, Ni/IrOx/Au, and Ni/IrOx/Au/ITO, Ag, Ni , Cr, Ti, Al, Rh, Pd, Ir, Ru, Mg, Zn, Pt, Au, and Hf, or at least one or an alloy of two or more of these materials.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도 3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150 as shown in FIGS. 3 and 5E .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1 전극(141)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3 리세스(R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2 전극(142)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4 리세스(R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recesses R3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141 .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urth recesses R4 exposing the second electrode 142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반사층(1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1 반사층(161), 상기 제2 반사층(162), 상기 제3 반사층(163) 위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ve layer 160 .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

예로서, 상기 보호층(150)은 절연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150)은 SixOy, SiOxNy, SixNy, AlxOy 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50 is Si x O y , SiO x N y ,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Si x N y and Al x O y .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이 발광구조물(110)을 감싸며 배치됨으로써 고정력이 좋아짐과 아울러, 보호층(150)이 반사층(160)을 감싸므로써 고정력이 현저히 향상되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의 저면(150e)이 반사층(160)의 측면 아래까지 감싸는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고정력이 현저히 향상됨에 따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reflective layer 160 surrounds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 fixing force is improved, and the protective layer 150 wraps the reflective layer 160, so the fixing force is remarkab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For example, since the lower surface 150e of the protective layer is disposed in a structure that wraps down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60, the fixing force is remarkably improved,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에서 발광소자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상면 외곽에 배치된 반사층(160)도 보호층(150)이 감싸는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고정력이 현저히 향상됨에 따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flective layer 16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lso dispos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150 is wrapped, the fixing force is remarkab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다음으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도 3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50) 위에 배치된 제1 본딩패드(171)와 제2 본딩패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5F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first bonding pads 171 and second bonding pads 172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150. can include

이를 통해, 도 4 및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완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4 and 5G ,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mpleted.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제1 반사층(16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2 반사층(16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 Also,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pad 171 .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보호층(150)에 제공된 복수의 상기 제3 리세스(R3)를 통하여 상기 제1 전극(141)의 상부 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41 through the plurality of third recesses R3 provided in the protective layer 150 .

또한,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보호층(150)에 제공된 복수의 상기 제4 리세스(R4)를 통하여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부 면에 접촉될 수 있다. Also,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42 through the plurality of fourth recesses R4 provided in the protective layer 150 .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사층(161)이 상기 제1 전극(14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층(162)이 상기 제2 전극(142) 아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활성층(112)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켜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2)에서 광 흡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광도(Po)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is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is It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electrode 142 .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so that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uminous intensity Po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light absorp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활성층(114)에서 방출된 빛의 반사를 위하여 반사율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DBR 구조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material having high reflectivity, for example, a DBR structure, is used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4. can be achieved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굴절률이 다른 물질이 서로 반복하여 배치된 DBR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TiO2, SiO2, Ta2O5, HfO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may form a DBR structure in which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repeatedly disposed. For example,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may have a single-layer or stacked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TiO 2 , SiO 2 , Ta 2 O 5 , and HfO 2 .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상기 활성층(112)에서 발광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상기 활성층(112)에서 발광하는 빛에 대한 반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emit light from the active layer 112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It can be freely selected so as to adjust the reflectivity to light.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ODR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은 DBR층과 ODR층이 적층된 일종의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may be provided as ODR layer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may be provided in a kind of hybrid form in which a DBR layer and an ODR layer are stacked.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반도체 소자 패키지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상부 면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상부 면이 서브 마운트, 리드 프레임, 또는 회로기판 등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using a flip chip bonding method. For example, in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y are attached to a sub-mount, a lead frame, or a circuit board. there is.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Au, AuTi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실장공장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Ti, Al, In, Ir, Ta, Pd, Co, Cr, Mg, Zn, Ni, Si, Ge, Ag, Ag alloy, Au,Hf, Pt, Ru,Rh, ZnO, IrOx, RuOx,NiO, RuOx/ITO,Ni/IrOx/Au, 및 Ni/IrOx/Au/ITO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합금을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re formed of Au, AuTi, etc., a mounting plant can be stably performed. In addition,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re Ti, Al, In, Ir, Ta, Pd, Co, Cr, Mg, Zn, Ni, Si, Ge, Ag, Ag alloy, Au, Hf, Pt, Ru, Rh, ZnO, IrOx, RuOx, NiO, RuOx/ITO, Ni/IrOx/Au, and Ni/IrOx/Au/ITO, etc. can be formed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가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실장되어 반도체 소자 패키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제공되는 빛은 상기 기판(105)을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제1 반사층(161)과 상기 제2 반사층(162)에서 반사되어 상기 기판(105)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When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in a flip chip bonding method and implemented as a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emitted through the substrate 105 .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and emitted toward the substrate 105 .

또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측면 방향으로도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배치된 면 중에서,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제공되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also be emitt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 In addi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is bonded to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1 among the surfaces on which the second bonding pad 172 is disposed. The pad 172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rea not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배치된 면 중에서, 상기 제1 반사층(161), 상기 제2 반사층(162), 상기 제3 반사층(163)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is emit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mong the surfaces on which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re disposed. 162,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rea not provided.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상기 발광구조물(110)을 둘러싼 6면 방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게 되며, 광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emit light in six directions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luminous intensit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 패키지에 의하면, 넓은 면적을 갖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전원을 제공하는 회로기판에 직접 본딩될 수 있으므로 플립칩 본딩 공정이 쉽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having a large area can be directly bonded to a circuit board providing power, so that the flip The chip bon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easily and stably.

<분할 또는 분리된 본딩패드><Segmented or separated bonding pad>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서 패드의 평면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plane view of a pad in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본딩패드(171) 또는 제2 본딩패드(172)는 분리 또는 분할된 형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bonding pad 171 or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separated or divided.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본딩패드(171)는 분리된 제1 본딩영역(171a), 제2 본딩영역(171b), 제3 본딩영역(171c) 및 제4 본딩영역(171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제1 본딩영역(171a) 내지 제4 본딩영역(171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171e)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bonding pad 171 includes a first bonding area 171a, a second bonding area 171b, a third bonding area 171c, and a fourth bonding area 171d. ) may be included. Also,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area 171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nding area 171a to the fourth bonding area 171d.

또한 제2 본딩패드(172)는 분리된 제1 본딩영역(172a), 제2 본딩영역(172b), 제3 본딩영역(172c) 및 제4 본딩영역(17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1 본딩영역(172a) 내지 제4 본딩영역(172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영역(172e)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include a first bonding area 172a, a second bonding area 172b, a third bonding area 172c, and a fourth bonding area 172d. Also,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area 172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nding area 172a to the fourth bonding area 172d.

실시예는 제1 본딩패드(171)에서 본딩영역 간의 이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제1 본딩영역(171a)과 제2 본딩영역(171b) 사이에 제1 이격영역(171S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본딩영역(171b)과 상기 제4 본딩영역(171d) 사이에 제2 이격영역(171S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paced area between bonding areas in the first bonding pad 171 . For example,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area 171S1 between the first bonding area 171a and the second bonding area 171b, and the second bonding area 171b. ) and the fourth bonding area 171d, a second separation area 171S2 may be included.

또한 실시예는 제2 본딩패드(172)에서 본딩영역 간의 이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제1 본딩영역(172a)과 제2 본딩영역(172b) 사이에 제3 이격영역(172S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본딩영역(172b)과 상기 제4 본딩영역(172d) 사이에 제4 이격영역(172S4)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paced area between bonding areas in the second bonding pad 172 . For example,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include a third separation area 172S3 between the first bonding area 172a and the second bonding area 172b, and the second bonding area 172b ) and the fourth bonding area 172d, a fourth separation area 172S4 may be included.

실시예에 의하면 본딩패드가 복수로 분리 또는 분할되고, 분할된 본딩영역 사이에 이격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본딩패드가 패키지 몸체의 리드프레임에 다이 본딩되는 경우, 다이 본딩되는 영역을 최적화함으로써, 발광소자 패키지의 리플로우(reflow) 공정에서 리드 프레임과 본딩 영역에서 리멜팅 현상에 따른 스트레스(Stress)의 발생의 최소화하고 분산시킴으로써 본딩 패드와 인접한 DBR과 같은 반사층에서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분산화함으로써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간의 박리현상의 최소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onding pad is separated o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 spaced area is provided between the divided bonding areas, so that when the bonding pad is die bonded to the lead frame of the package body, the area to be bonded is optimized by optimiz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reflow process of the package, by minimizing and distributing stress caused by remelting in the lead frame and bonding area, by minimizing and distributing stress in the reflective layer such as DBR adjacent to the bonding pad, the reflective layer and ohmic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minimize peeling between contact layers.

이를 통해 실시예에 의하면 본딩 패드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오믹접촉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의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광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blocking or dispersing the transmission of stress generated in the bonding pad area to the ohmic contact lay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ohmic contact layer, thereby improving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reby improving light outpu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에서 제1 이격영역(171S1)의 거리(T1)는 제1 본딩패드(171)의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길이의 약 3% 내지 12%의 범위로 제어됨에 따라, 본딩 패드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차단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광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딩패드(171)의 가로축이 약 340㎛ 내지 640㎛인경우, 제1 이격거리(T1)는 약 20㎛ 내지 약 40㎛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the distance T1 of the first separation region 171S1 is controlled within a range of about 3% to 12%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axis or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so stress generated in the bonding pad region Light output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peeling phenomenon by blocking or dispersing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axis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is about 340 μm to about 640 μm,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T1 may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about 20 μm to about 4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상기 제1 이격거리(T1)가 그 하한 미만인 경우, 스트레스 차단이나 분산의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그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DST(Die Shear Test)에서 성능이 저하되는 이슈가 있을 수 있다.Whe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T1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effect of blocking or dispersing stress may be low, and whe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T1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may be an issue of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a die shear test (DST).

실시예에서 제2 이격영역(171S2)의 거리(T2)는 제1 본딩패드(171)의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길이의 약 3% 내지 12%의 범위로 제어됨에 따라, 본딩 패드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차단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광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딩패드(171)의 가로축이 약 340㎛ 내지 640㎛인경우, 제2 이격거리(T2)는 약 20㎛ 내지 약 40㎛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the distance T2 of the second separation region 171S2 is controlled within a range of about 3% to 12%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axis or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so stress generated in the bonding pad region Light output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peeling phenomenon by blocking or dispersing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axis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is about 340 μm to about 640 μm, the second separation distance T2 may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about 20 μm to about 4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실시예에서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제1 본딩영역(171a) 내지 제4 본딩영역(171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영역(171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영역(171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고, 각종 전기 측정(probing) 테스트에서도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area 171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nding area 171a to the fourth bonding area 171d. Electrical reliability is improv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171e, and reliability can be excellent even in various electrical probing tests.

또한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1 본딩영역(172a) 내지 제4 본딩영역(172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영역(172e)을 포함하여 상호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고, 각종 전기 측정(probing) 테스트에서도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nding pad 172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area 172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nding area 172a to the fourth bonding area 172d so that electrical reliability is improved, Reliability may be excellent even in various electrical probing tests.

(발광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3 .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몸체(210), 발광소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ackage body 210 and a light emitting device 100 .

상기 패키지 몸체(210)는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ackage body 210 may include a first frame 211 and a second frame 212 .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패키지 몸체(210)는 몸체(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3)는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3)는 일종의 전극 분리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3)는 절연부재로 지칭될 수도 있다.The package body 210 may include a body 213. The body 2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 The body 213 may perform a function of a kind of electrode separation line. The body 213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insulating member.

상기 몸체(213)는 상기 제1 프레임(2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3)는 상기 제2 프레임(2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213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rame 211 . Also, the body 21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ame 212 .

상기 몸체(213)는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 위에 배치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3)의 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 위에 캐비티(C)가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213 may provide an inclined surface disposed on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 A cavity C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dy 213 .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패키지 몸체(210)는 캐비티(C)가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캐비티(C) 없이 상면이 평탄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ackage body 2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with a cavity (C), or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with a flat top surface without a cavity (C).

예로서, 상기 몸체(213)는 폴리프탈아미드(PPA: Polyphthalamide), PCT(Polychloro Tri phenyl), LCP(Liquid Crystal Polymer), PA9T(Polyamide9T), 실리콘,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C: Epoxy molding compound), 실리콘 몰딩 컴파운드(SMC), 세라믹, PSG(photo sensitive glass), 사파이어(Al2O3)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3)는 TiO2와 SiO2와 같은 고굴절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213 may include polyphthalamide (PPA), polychloro tri phenyl (PCT), liquid crystal polymer (LCP), polyamide9T (PA9T), silicone, epoxy molding compound (EMC),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silicon molding compound (SMC), ceramic, photo sensitive glass (PSG), sapphire (Al 2 O 3 ),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ody 213 may include a high refractive index filler such as TiO 2 and SiO 2 .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은 도전성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은 상기 패키지 몸체(210)의 구조적인 강도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may be provided as conductive frames.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may stably provide structural strength of the package body 2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소자(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본딩패드(171), 제2 본딩패드(172), 발광구조물(110), 기판(105)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bonding pad 171 , a second bonding pad 172 ,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 and a substrate 105 as described above.

상기 발광소자(100)는 상기 패키지 몸체(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상기 패키지 몸체(21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캐비티(C)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on the package body 2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the cavity C provided by the package body 210 .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 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제1 프레임(2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2 프레임(2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rame 211 .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ame 212 .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제1 프레임(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제2 프레임(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the first frame 211 .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the second frame 212 .

한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TH1)와 제2 개구부(TH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1)은 상기 제1 개구부(TH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2)은 상기 제2 개구부(TH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opening TH1 and a second opening TH2. The first frame 211 may include the first opening TH1. The second frame 212 may include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상면과 하면을 제1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TH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rame 211 .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frame 211 . The first opening TH1 may pass throug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frame 211 in a first direction.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1 본딩패드(17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제1 개구부(T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TH1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bonding pad 171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first opening TH1 may overlap with the first bonding pad 171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first opening TH1 may overlap with the first bonding pad 171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11 .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opening TH1.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상면과 하면을 제1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212 .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frame 212 .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frame 212 in a first direction.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2 본딩패드(17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2 본딩패드(172)와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2 본딩패드(172)와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2 개구부(TH2)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bonding pad 17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second opening TH2 may overlap the second bonding pad 17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second opening TH2 may overlap the second bonding pad 17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12 .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제1 개구부(TH1)와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와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 면 아래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nder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의 폭(W1)이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폭에 비해 작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폭에 비해 작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dth W1 of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 Also, a width of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a width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1 프레임(211)이 더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기 제2 본딩패드(172)와 상기 제2 프레임(212)이 더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bonding pad 171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first frame 211 may be more firmly attached. In addition, the second bonding pad 17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frame 212 may be more firmly attached.

또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의 폭(W1)이 상기 제1 개구부(TH1)의 하부 영역의 폭(W2)에 비해 작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개구부(TH2)의 하부 영역의 폭에 비해 작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width W1 of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2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Also, a width of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a width of a low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부 영역 및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 둘레는 상기 제1 개구부(TH1)의 하부 영역 둘레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TH1 may include an upper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11 and a lower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11 .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상기 제1 개구부(TH1)는 제1 방향의 둘레가 제일 작은 제1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하부 영역 보다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TH1 includes a first point having the smallest circumferenc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point is larger than a lower area of the first opening TH1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disposed closer to an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부 영역 및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 둘레는 상기 제2 개구부(TH2)의 하부 영역 둘레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 TH2 may include an upper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12 and a lower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12 .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제2 개구부(TH2)는 제1 방향의 둘레가 제일 작은 제1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하부 영역 보다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TH2 includes a first point having the smallest circumferenc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point is larger than a lower area of the second opening TH2 based 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disposed closer to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211, 112)의 상면 방향과 하면 방향에서 각각 식각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의 형상이 일종의 눈사람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As etching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11 and 11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may be provided in a snowman shape. .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는 하부 영역에서 중간 영역으로 가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다가 다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폭이 감소된 중간 영역에서 다시 상부 영역으로 가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다가 다시 감소될 수 있다.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lower area to the middle area and then decrease again. In addition, the width may be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gain while going from the middle region where the width is reduced to the upper region again.

앞에서 설명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의 제1 지점은 눈사람 형상에서 개구부의 크기가 하부 영역에서 상부 영역으로 가면서 작아졌다가 다시 커지는 경계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The first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described above may refer to a boundary area where the size of the opening decreases from the lower area to the upper area and then increases again in the snowman shape.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 각각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 각각의 하면에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상면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하면의 폭 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include a first reg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and a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It may include a second region disposed on. A width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은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는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and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surrounding the support membe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를 형성하는 식각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을 구성하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도금 공정 등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표면에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ter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is completed, a plating process for the support member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is performed. Through this,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의 상면 및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와 접하는 경계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may be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may be provided in boundary regions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와 접하는 경계 영역에 제공된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결합되어 제1 및 제2 합금층(211b, 21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합금층(211b, 212b)의 형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s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And it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alloy layers 211b and 212b. 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lloy layers 211b and 212b will be further described later.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은 기본 지지부재로서 Cu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은 Ni층, Ag층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may be provided with a Cu layer as a basic support member.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i layer and an Ag layer.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이 Ni층을 포함하는 경우, Ni층은 열 팽창에 대한 변화가 작으므로, 패키지 몸체가 열 팽창에 의하여 그 크기 또는 배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상기 Ni층에 의하여 상부에 배치된 발광소자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이 Ag층을 포함하는 경우, Ag층은 상부에 배치된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고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include a Ni layer, since the Ni layer has a small change in thermal expansion, even when the size or placement position of the package body changes due to thermal expansion,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upper part can be stably fixed by the Ni layer. Wh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include an Ag layer, the Ag layer can efficiently reflect light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thereon and improve luminous intensity.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광 추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발광소자(100)의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의 크기를 작게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폭에 비해 더 크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폭에 비해 더 크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s reduced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A width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 Also, the width of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

또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개구부(TH1)의 하부 영역의 폭에 비해 작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개구부(TH2)의 하부 영역의 폭에 비해 작거나 같게 제공될 수 있다.Also, a width of an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a width of a low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Also, a width of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a width of a low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예로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의 폭은 수십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하부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부 영역의 폭에 비하여 수십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더 크게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have a width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Also, the width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opening TH1 by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o hundreds of micrometers.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의 폭은 수십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TH2)의 하부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부 영역의 폭에 비하여 수십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더 크게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width of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tens of micrometers to hundreds of micrometers. Also, the width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TH2 by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o hundreds of micrometers.

상기 제1 프레임(211) 및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 영역에서 상기 제1 개구부(TH1)와 상기 제2 개구부(TH2) 사이의 폭(W3)은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1) 및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 영역에서 상기 제1 개구부(TH1)와 상기 제2 개구부(TH2) 사이의 폭(W3)은 예로서 100 마이크로 미터 내지 15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A width W3 between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second opening TH2 i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may be several hundred micrometers. A width W3 between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second opening TH2 in the lower surface area of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is, for example, 100 micrometers to 150 micrometers. can be provided as

상기 제1 프레임(211) 및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 영역에서 상기 제1 개구부(TH1)와 상기 제2 개구부(TH2) 사이의 폭(W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가 추후 회로기판, 서브 마운트 등에 실장되는 경우에, 패드 간의 전기적인 단락(short)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거리 이상으로 제공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The width W3 between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second opening TH2 in the lower surface area of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is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200) may be selected to b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between pads from occurring when mounted on a circuit board, submount, etc. later.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수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resin part 230 .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몸체(213)와 상기 발광소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몸체(213)의 상면과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213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R)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recess R, as shown in FIG. 3 .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몸체(213)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는 상기 제1 개구부(TH1)와 상기 제2 개구부(TH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몸체(213)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발광소자(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발광소자(100)와 상기 제1 방향에서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recess R may be provided in the body 213 . The recess 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second opening TH2. The recess R may be provided concave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3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recess R may be disposed below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recess R may overlap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n the first direction.

예로서,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리세스(R)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발광소자(100)와 상기 몸체(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측면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측면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in the recess R.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body 213 .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 For example,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발광소자(100)와 상기 패키지 몸체(210) 간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발광소자(100)와 상기 몸체(213) 간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는 예로서 상기 몸체(213)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 면에 직접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sin part 230 may provide a stable fixing for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package body 210 . The resin part 230 may provide a stable fixing for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body 213 . For example,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3 . In addition, the resin part 230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예로서, 상기 수지부(230)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물질, 실리콘(silicone) 계열의 물질, 에폭시 계열의 물질과 실리콘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상기 수지부(230)가 반사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착제는 화이트 실리콘(white silicone)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n par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poxy-based material, a silicone-based material, and a hybrid material including an epoxy-based material and a silicone-based material. there is. Also, as an example, when the resin part 230 includes a reflective function, the adhesive may include white silicone.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몸체(213)와 상기 발광소자(100) 간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면으로 광이 방출되는 경우, 상기 발광소자(100)와 상기 몸체(213) 사이에서 광 확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로부터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면으로 광이 방출될 때 상기 수지부(230)는 광 확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광 추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방출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가 반사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지부(230)는 TiO2, SiO2 등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sin part 230 can provide a stable fixing force between the body 213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and when light is emit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and A light diffusing func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dies 213 .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 resin part 230 provides a light diffusing function, thereby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 Also, the resin part 230 may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When the resin part 230 includes a reflective function, the resin part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TiO 2 , SiO 2 , and the like.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세스(R)의 깊이(T1)는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 또는 상기 제2 개구부(TH2)의 깊이(T2)에 비해 작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pth T1 of the recess R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or the depth T2 of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리세스(R)의 깊이(T1)는 상기 수지부(230)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R)이 깊이(T1)는 상기 몸체(213)의 안정적인 강도를 고려하거나 및/또는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00)에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The depth T1 of the recess 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resin part 230 . In addition, the depth T1 of the recess R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stable strength of the body 213 and/or cracks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due to hea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can be determined so that it does not occur.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발광소자(100) 하부에 일종의 언더필(underfill)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적정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더필(Under fill) 공정은 발광소자(100)를 패키지 몸체(210)에 실장한 후 상기 수지부(230)를 상기 발광소자(100) 하부에 배치하는 공정일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100)를 패키지 몸체(210)에 실장하는 공정에서 상기 수지부(230)를 통해 실장하기 위해 상기 수지부(230)를 상기 리세스(R)에 배치 후 상기 발광소자(100)를 배치하는 공정일 수 있다. The recess R may provide an appropriate space in which a kind of underfill process can be performed under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Here, the under fill process may be a process of disposing the resin part 230 under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fter moun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on the package body 21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100) on the package body 210, the resin part 230 is placed in the recess R to be mounted through the resin part 230, and t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is disposed it can be fair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면과 상기 몸체(213)의 상면 사이에 상기 수지부(230)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 제1 깊이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R)는 상기 몸체(213)의 안정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2 깊이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The recess 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epth or greater so that the resin part 230 can be sufficient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3 . In addition, the recess 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epth or less to provide stable strength of the body 213 .

상기 리세스(R)의 깊이(T1)와 폭(W4)은 상기 수지부(230)의 배치 위치 및 고정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의 깊이(T1)와 폭(W4)은 상기 몸체(213)와 상기 발광소자(1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수지부(230)에 의하여 충분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The depth T1 and the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affect the disposition position and fixing force of the resin part 230 . The depth T1 and the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be determined so that sufficient fixing force can be provided by the resin part 230 disposed between the body 213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re is.

예로서, 상기 리세스(R)의 깊이(T1)는 수십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의 깊이(T1)는 40 마이크로 미터 내지 6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pth T1 of the recess R may be provided in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he depth T1 of the recess R may be 40 micrometers to 60 micrometers.

또한, 상기 리세스(R)의 폭(W4)은 수십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R)의 폭(W4)은 상기 발광소자(100)의 장축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be tens of micrometers to hundreds of micrometers. Here, the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상기 리세스(R)의 폭(W4)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 간의 간격에 비해 좁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의 폭(W4)은 140 마이크로 미터 내지 16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리세스(R)의 폭(W4)은 15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A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be narrow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 The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be 140 micrometers to 160 micrometers. For example, the width W4 of the recess R may be 150 micrometers.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두께에 대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ame 211 .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capable of maintaining stable strength of the first frame 211 .

상기 제2 개구부(TH2)의 깊이(T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두께에 대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TH2)의 깊이(T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The depth T2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rame 212 . The depth T2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capable of maintaining stable strength of the second frame 212 .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 및 상기 제2 개구부(TH2)의 깊이(T2)는 상기 몸체(213)의 두께에 대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 및 상기 제2 개구부(TH2)의 깊이(T2)는 상기 몸체(213)의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depth T2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body 213 .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and the depth T2 of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capable of maintaining stable strength of the body 213 .

예로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는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는 180 마이크로 미터 내지 22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 개구부(TH1)의 깊이(T2)는 20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several hundred micrometers.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180 micrometers to 220 micrometers. For example, the depth T2 of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200 micrometers.

예로서, 상기 (T2-T1)의 두께는 적어도 100 마이크로 미터 이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몸체(213)의 크랙 프리(crack free)를 제공할 수 있는 사출 공정 두께가 고려된 것이다. As an example, the thickness of (T2-T1) may be selected to be at least 100 micrometers or more.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process capable of providing the body 213 without cracks.

실시예에 의하면, T1 두께와 T2 두께의 비(T2/T1)는 2 내지 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T2의 두께가 20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되는 경우, T1의 두께는 20 마이크로 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 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atio (T2/T1) of the T1 thickness to the T2 thickness may be provided as 2 to 10. As an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2 is provided as 200 micrometers, the thickness of T1 may be provided as 20 micrometers to 100 micrometers.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lding part 240 as shown in FIG. 3 .

상기 몰딩부(240)는 상기 발광소자(10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240)는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2 프레임(2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240)는 상기 패키지 몸체(210)에 의하여 제공된 캐비티(C)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lding part 240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molding part 24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rame 211 and the second frame 212 . The molding part 240 may be disposed in the cavity C provided by the package body 210 .

상기 몰딩부(240)는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240)는 상기 발광소자(10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입사 받고, 파장 변환된 빛을 제공하는 파장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몰딩부(240)는 형광체, 양자점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다.The molding part 24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In addition, the molding part 240 may include a wavelength conversion means for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providing wavelength-converted light. For example, the molding part 24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phosphors and quantum dots.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층(321)과 제2 도전층(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321)은 상기 제2 도전층(32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322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

상기 제1 도전층(321)은 상기 제1 개구부(TH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321)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321)의 폭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폭에 비해 더 작게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opening TH1.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bonding pad 171 . A width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제1 개구부(TH1)가 배치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폭은 상기 제1 개구부(TH1)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 더 크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have a width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TH1 is disposed. A width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first opening TH1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도전층(321)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하면과 직접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321)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321)은 상기 제1 프레임(211)에 의하여 둘러 싸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321)의 하면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nding pad 171 .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surrounded by the first frame 211 .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제2 도전층(322)은 상기 제2 개구부(TH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322)은 상기 제2 본딩패드(17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322)의 폭은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폭에 비해 더 작게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TH2.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bonding pad 172 . A width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2 개구부(TH2)가 배치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폭은 상기 제2 개구부(TH2)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 더 크게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have a width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pening TH2 is disposed. A width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opening TH2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2 도전층(322)은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하면과 직접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322)은 상기 제2 본딩패드(1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322)은 상기 제2 프레임(212)에 의하여 둘러 싸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322)의 하면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onding pad 172 .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disposed to be surrounded by the second frame 212 .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은 Ag, Au,Pt, Sn, Cu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으로 전도성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include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g, Au, Pt, Sn, Cu, or the like, or an alloy there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terials capable of securing a conductive function may be used as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

예로서,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 다층 또는 합금으로 구성된 다층 또는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은 SAC(Sn-Ag-Cu)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formed using a conductive paste. The conductive paste may include solder paste, silver paste, and the like, and may be composed of multiple layers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or multiple layers or single layers composed of alloys.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include a Sn-Ag-Cu (SAC) material.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 2 도전층(321, 322)이 형성되는 과정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된 후 열처리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 사이에 금속간 화합물(IMC; intermetallic compound)층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r in the process of heat treatment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formed. An intermetallic compound (IMC)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layers 321 and 322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을 이루는 물질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의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 간의 결합에 의해 제1 및 제2 합금층(211b, 212b)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formed by a combin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And second alloy layers 211b and 212b may be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1 프레임(211)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도전층(321), 상기 제1 합금층(211b), 상기 제1 프레임(211)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first frame 211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tably coupl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the first alloy layer 211b, and the first frame 211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tably bonded.

또한, 상기 제2 도전층(322)과 상기 제2 프레임(212)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도전층(322), 상기 제2 합금층(212b), 상기 제2 프레임(212)이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and the second frame 212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tably couple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the second alloy layer 212b, and the second frame 212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tably coupled.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합금층(211b, 212b)은 AgSn, CuSn,AuSn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간 화합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간 화합물층은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물질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제2 물질은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의 지지부재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alloy layers 211b and 212b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gSn, CuSn, and AuSn. Th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first material and a second material, the first material may be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nd the second material may be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and support members of the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or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Sn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이 Ag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Sn 물질과 Ag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Ag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 Sn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include an A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322) may be provided or an AgS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Sn material and an Ag material during a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being provid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Sn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2a)이 Au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Sn 물질과 Au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Au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 Sn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2a include an Au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 321 and 322) may form a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of AuSn by combining a Sn material and an Au material during a process of providing or a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being provid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Sn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의 지지부재가 Cu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Sn 물질과 Cu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Cu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 Sn material and the support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include a Cu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 Cu material. A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of CuSn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Sn material and a Cu material in a process of providing the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r in a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the provision.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Ag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211a, 211b)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11, 212)의 지지부재가 Sn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Ag 물질과 Sn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Ag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n Ag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211a and 211b or the support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1 and 212 are When the Sn material is included, an AgS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Ag material and the Sn material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r the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the provision.

이상에서 설명된 금속간 화합물층은 일반적인 본딩 물질에 비해 더 높은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한 화합물층이 형성되는 열처리 공정은 일반적인 본딩 물질의 용융점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described above may have a higher melting point than general bond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heat treatment process for forming the 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perform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melting point of a general bonding materia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메인 기판 등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을 통해 본딩되는 경우에도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본딩력이 열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bonded to a main substrate through a reflow process, a re-melt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and physical bonding strength are not deteriorated. There are advantages.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패키지 몸체(210)가 고온에 노출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몸체(210)가 고온에 노출되어 손상되거나 변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ackage body 210 does not need to b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ckage body 210 from being damaged or discolored due to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이에 따라, 몸체(213)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선택 폭이 넓어질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213)는 세라믹 등의 고가의 물질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가의 수지 물질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range of choices for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ody 213 can be wide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ody 213 may be provided using a relatively inexpensive resin material as well as an expensive material such as ceramic.

예를 들어, 상기 몸체(213)는 PPA(PolyPhtalAmide) 수지, PCT(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EMC(Epoxy Molding Compound) 수지, SMC(Silicone Molding Compound) 수지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213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htal Amide (PPA) resin,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resin, Epoxy Molding Compound (EMC) resin, and Silicone Molding Compound (SMC) resin. can do.

한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 사이에도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also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 2 도전층(321, 322)이 형성되는 과정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된 후 열처리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 사이에 금속간 화합물(IMC; intermetallic compound)층이 형성될 수 있다.Similar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r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provided. An intermetallic compound (IMC)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을 이루는 물질과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 간의 결합에 의해 합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n alloy layer may be formed by bonding between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1 본딩패드(171)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더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도전층(321), 합금층, 상기 제1 본딩패드(171)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more stably bond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the alloy layer,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tably bonded.

또한, 상기 제2 도전층(322)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더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도전층(322), 합금층,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more stably bonde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the alloy layer,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tably bonded.

예로서, 상기 합금층은 AgSn, CuSn,AuSn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간 화합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간 화합물층은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물질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제2 물질은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lloy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gSn, CuSn, AuSn, and the like. Th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first material and a second material, the first material may be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nd the second material may be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Sn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가 Ag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Sn 물질과 Ag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Ag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Sn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include A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 322) may be provided or an AgS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Sn material and an Ag material during a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being provid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Sn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가 Au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Sn 물질과 Au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Au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 Sn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include an Au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n Au material. A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of AuSn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Sn material and an Au material in a process of providing (321, 322) or in a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being provid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Ag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가 Sn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제공되는 과정 또는 제공된 후의 열처리 과정에서 Ag 물질과 Sn 물질의 결합에 의하여 AgSn의 금속간 화합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n Ag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include a Sn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include a Sn material. An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of AgSn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n Ag material and a Sn material during a process of providing (321, 322) or a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being provided.

이상에서 설명된 금속간 화합물층은 일반적인 본딩 물질에 비해 더 높은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한 화합물층이 형성되는 열처리 공정은 일반적인 본딩 물질의 용융점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described above may have a higher melting point than general bond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heat treatment process for forming the 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perform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melting point of a general bonding materia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메인 기판 등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을 통해 본딩되는 경우에도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본딩력이 열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bonded to a main substrate through a reflow process, a re-melt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and physical bonding strength are not deteriorated. There are advantages.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리세스(R11)와 제2 하부 리세스(R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와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ower recess R11 and a second lower recess R12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lower recess R11 and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는 상기 제1 개구부(TH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11 . 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be provided concave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11 to the upper surface. 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pening TH1.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는 수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 미터의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에 수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에 채워진 수지부는 예로서 상기 몸체(213)와 동일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have a width of several micrometer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A resi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lower recess R11. The resin part filled in 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213, for exampl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접착력, 젖음성이 좋지 않은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과의 표면 장력이 낮은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sin part may be provided by being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poor adhesion and wettability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Alternatively, the resin part may be provided by being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low surface tens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예로서,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에 채워진 수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211), 상기 제2 프레임(212), 상기 몸체(213)가 사출 공정 등을 통하여 형성되는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n part filled in 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be provided dur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frame 211, the second frame 212, and the body 213 are form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or the like. can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에 채워진 수지부는 상기 제1 개구부(TH1)를 제공하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하면 영역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TH1)를 제공하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하면 영역은 일종의 아일랜드(island) 형상으로 주위의 상기 제1 프레임(211)을 이루는 하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sin part filled in the first lower recess R11 may be disposed around a lower surface area of the first frame 211 providing the first opening TH1. An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11 providing the first opening TH1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surrounding first frame 211 in a kind of island shape.

예로서, 상기 제1 개구부(TH1)를 제공하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하면 영역은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에 채워진 수지부와 상기 몸체(213)에 의하여 주변의 상기 제1 프레임(211)으로부터 아이솔레이션(isolation)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area of the first frame 211 providing the first opening TH1 is surrounded by the resin part filled in the first lower recess R11 and the body 213. It may be isolated from frame 211 .

따라서, 상기 수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접착력, 젖음성이 좋지 않은 물질 또는 상기 수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 사이의 표면 장력이 낮은 물질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개구부(TH1)에 제공된 상기 제1 도전층(321)이 상기 제1 개구부(TH1)로부터 벗어나, 상기 제1 하부 리세스(R11)에 채워진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를 넘어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esin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poor adhesion or wettability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r a material having low surface tension between the resi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When dispos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provided in the first opening TH1 escapes from the first opening TH1 and forms a resin part or the body 213 filled in the first lower recess R11. Diffusion beyond the can be prevented.

이는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수지부 및 상기 몸체(213)의 접착 관계 또는 상기 수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 사이의 젖음성, 표면 장력 등이 좋지 않은 점을 이용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도전층(321)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좋은 접착 특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전층(321)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수지부 및 상기 몸체(213)와 좋지 않은 접착 특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This indicates that the adhe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resin part and the body 213 or the wettability and surface tension between the resi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not good. it was used That i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selected to have good adhesion characteristics with the first frame 211 . Also,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may be selected to have poor adhesion properties with the resin part and the body 213 .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전층(321)이 상기 제1 개구부(TH1)에서 상기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가 제공된 영역 방향으로 흘러 넘쳐, 상기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가 제공된 영역 외부로 넘치거나 퍼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1 도전층(321)이 상기 제1 개구부(TH1)가 제공된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overflows from the first opening TH1 in the direction of the region where the resin part or the body 213 is provided, and is outside the region where the resin part or the body 213 is provided.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or spreading,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can be stably disposed in the region provided with the first opening TH1.

따라서, 상기 제1 개구부(TH1)에 배치되는 제1 도전층(321)이 흘러 넘치는 경우, 상기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가 제공된 제1 하부 리세스(R11)의 바깥 영역으로 상기 제1 도전층(321)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층(321)이 상기 제1 개구부(TH1) 내에서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하면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disposed in the first opening TH1 overflows,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flows out of the first lower recess R11 provided with the resin part or the body 213 . The expansion of the conductive layer 321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within the first opening TH1.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제1 도전층(321)과 제2 도전층(322)이 서로 접촉되어 단락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을 배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의 양을 제어하기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problem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 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it may be very easy to control the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또한,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는 상기 제2 개구부(TH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12 .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provided to be concav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12 toward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pening TH2.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는 수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 미터의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에 수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에 채워진 수지부는 예로서 상기 몸체(213)와 동일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have a width of several micrometer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A resi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lower recess R12. The resin part filled in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213, for exampl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접착력, 젖음성이 좋지 않은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과의 표면 장력이 낮은 물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sin part may be provided by being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poor adhesion and wettability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Alternatively, the resin part may be provided by being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low surface tens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예로서,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에 채워진 수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211), 상기 제2 프레임(212), 상기 몸체(213)가 사출 공정 등을 통하여 형성되는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n part filled in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provided in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frame 211, the second frame 212, and the body 213 are form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or the like. can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에 채워진 수지부는 상기 제2 개구부(TH2)를 제공하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 영역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TH2)를 제공하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 영역은 일종의 아일랜드(island) 형상으로 주위의 상기 제2 프레임(212)을 이루는 하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sin part filled in the second lower recess R12 may be disposed around a lower surface area of the second frame 212 providing the second opening TH2 . An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12 providing the second opening TH2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surrounding second frame 212 in a kind of island shape.

예로서, 상기 제2 개구부(TH2)를 제공하는 상기 제2 프레임(212)의 하면 영역은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에 채워진 수지부와 상기 몸체(213)에 의하여 주변의 상기 제2 프레임(212)으로부터 아이솔레이션(isolation)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area of the second frame 212 providing the second opening TH2 is surrounded by the resin part filled in the second lower recess R12 and the body 213. It may be isolated from frame 212 .

따라서, 상기 수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과 접착력, 젖음성이 좋지 않은 물질 또는 상기 수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 사이의 표면 장력이 낮은 물질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개구부(TH2)에 제공된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제2 개구부(TH2)로부터 벗어나, 상기 제2 하부 리세스(R12)에 채워진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를 넘어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esin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poor adhesion or wettability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or a material having low surface tension between the resi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When dispose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provided in the second opening TH2 escapes from the second opening TH2 and forms a resin portion filled in the second lower recess R12 or the body 213. Diffusion beyond the can be prevented.

이는 상기 제2 도전층(322)과 상기 수지부 및 상기 몸체(213)의 접착 관계 또는 상기 수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 사이의 젖음성, 표면 장력 등이 좋지 않은 점을 이용한 것이다. 즉, 상기 제2 도전층(322)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제2 프레임(212)과 좋은 접착 특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전층(322)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수지부 및 상기 몸체(213)와 좋지 않은 접착 특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adhe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the resin part, and the body 213 or the wettability, surface tension, etc. between the resi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not good. it was used That i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selected to have good adhesion characteristics with the second frame 212 . Also,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may be selected to have poor adhesion properties with the resin part and the body 213 .

이에 따라,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제2 개구부(TH2)에서 상기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가 제공된 영역 방향으로 흘러 넘쳐, 상기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가 제공된 영역 외부로 넘치거나 퍼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제2 개구부(TH2)가 제공된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overflows from the second opening TH2 in the direction of the area where the resin part or the body 213 is provided, outside the area where the resin part or the body 213 is provided. overflowing or spreading is prevented,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can be stably disposed in the region provided with the second opening TH2.

따라서, 상기 제2 개구부(TH2)에 배치되는 제2 도전층(322)이 흘러 넘치는 경우, 상기 수지부 또는 상기 몸체(213)가 제공된 제2 하부 리세스(R12)의 바깥 영역으로 상기 제2 도전층(322)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제2 개구부(TH2) 내에서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하면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disposed in the second opening TH2 overflows, the resin portion or the body 213 is directed to the outer region of the second lower recess R12 provided with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 The expansion of the conductive layer 322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within the second opening TH2.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제1 도전층(321)과 제2 도전층(322)이 서로 접촉되어 단락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을 배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의 양을 제어하기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problem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 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it may be very easy to control the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

한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에 의하면, 상기 리세스(R)에 제공된 상기 수지부(2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면과 상기 패키지 몸체(210)의 상부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부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100)의 상부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TH1, TH2)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sin part 230 provided in the recess R, as shown in FIG.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package body 210.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the resin part 230 may be provid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 Also,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 resin part 230 may be provid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H1 and TH2.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발광소자(100)를 상기 패키지 몸체(2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딩패드(171, 172)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sin part 230 may perform a function of stably fix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to the package body 210 . In addition, the resin part 230 may contact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and may be dispos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pads 171 and 172 .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주위를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제1 개구부(TH1) 영역과 상기 제2 개구부(TH2) 영역을 벗어나 상기 발광소자(100) 외측면 방향으로 확산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 322)이 상기 발광소자(100)의 외측면 방향으로 확산되어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이 상기 발광소자(100)의 활성층과 접할 수 있어 단락에 의한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부(23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321,322)과 활성층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sin part 230 may seal around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 In the resin part 230,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are outside the first opening TH1 area and the second opening TH2 area,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diffusion and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diffuse and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re the active layer and the activ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it, which can cause defects due to short circuits. Accordingly, when the resin part 230 is disposed,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21 and 322 and the active layer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또한, 상기 수지부(230)는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제1 개구부(TH1) 영역과 상기 제2 개구부(TH2) 영역을 벗어나 상기 발광소자(100)의 하부면 아래에서 상기 리세스(R) 방향으로 확산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전층(321)과 상기 제2 도전층(322)이 상기 발광소자(100) 아래에서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sin part 230,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deviate from the first opening TH1 area and the second opening TH2 area,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 It is possible to prevent diffusion and movement under the lower surface of 100 in the direction of the recess (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onductive layer 321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22 from being electrically shorted under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서브 마운트 또는 회로기판 등에 실장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supplied mounted on a submount or a circuit board.

그런데, 종래 발광소자 패키지가 서브 마운트 또는 회로기판 등에 실장됨에 있어 리플로우(reflow) 등의 고온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리플로우 공정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에 제공된 리드 프레임과 발광소자 간의 본딩 영역에서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어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결합의 안정성이 약화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mounted on a submount or a circuit board, a high-temperature process such as reflow may be applied. At this time, in the reflow process, a re-melting phenomenon occurs in a bonding area between the lead fram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so that stabi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and physical coupling may be weakened.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본딩부는 개구부에 배치된 도전층을 통하여 구동 전원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에 배치된 도전층의 용융점 및 금속간 화합물층의 용융점이 일반적인 본딩 물질의 용융점에 비해 더 높은 값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ond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disposed in the opening. In addition, the melting point of the conductive layer disposed in the opening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 layer may be selected to have a higher value than the melting point of a general bonding materia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소자 패키지(200)는 메인 기판 등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을 통해 본딩되는 경우에도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본딩력이 열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bonded to the main substrate through a reflow process, since a re-melt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electrical connection and physical bonding strength are not deteriorated. There are advantages to no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패키지 몸체(210)가 고온에 노출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몸체(210)가 고온에 노출되어 손상되거나 변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ackage body 210 does not need to b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ckage body 210 from being damaged or discolored due to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오믹접촉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반사층과 오믹접촉층 사이의 박리현상을 억제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광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output by improving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by suppressing a peeling phenomenon between a reflective layer and an ohmic contact layer by blocking or dispersing the transmission of stress generated in the pad region to the ohmic contact layer ,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오믹접촉층과 보호층을 이격시킴으로써 오믹접촉층과 패시베이션 사이에 박리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which electrical reliability is improved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by separating the ohmic contact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can provid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몸체의 전극과 발광소자의 전극 간의 본딩영역에서 전기적, 물리적 신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광소자 패키지가 기판 등에 재 본딩되는 과정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의 본딩 영역에서 리멜팅(re-melting)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ving excellent electrical and physical reliability in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package body and the electrod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melting in the bonding area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process of re-bond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o a substrate or the like. There are technical effects that can be don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키지 몸체와 발광소자 간의 본딩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embodiments,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improving bonding strength between a package body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정 효율 향상 및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제조 단가를 줄이고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광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manufacturing yield through process efficiency improvement and structural chang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제2 실시예의 발광소자)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3-A4선을 따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3-A4 of FIG. 7 .

아울러 도 9a 내지 도 9g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각 층별 평면 레이아웃이다.9A to 9G are planar layouts for each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도 7,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g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의 기술적 특징을 상술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2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8, and 9A to 9G. The second embodiment may emplo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hereinaft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발광구조물(110), 제1 전극(141), 제2 전극(142), 제1 본딩패드(171), 제2 본딩패드(172), 오믹접촉층(130), 반사층(160) 및 보호층(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7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 first electrode 141, a second electrode 142, a first bonding pad 171, and a second bonding Any one or more of the pad 172 , the ohmic contact layer 130 , the reflective layer 160 and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112)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142)과,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1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본딩패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A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including an active layer 112 disposed between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113 and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A first electrode 141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a second electrode 142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 first bonding pad 171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It may include a second bonding pad 172 disposed above 14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2.

또한 제2 실시예는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부면 상에 배치된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제1 본딩패드(171) 사이 및 상기 오믹접촉층(130)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 사이에 배치된 반사층(160)과, 상기 반사층(160)의 측면, 제1 전극(141)의 일부 및 제2 전극(141)의 일부 상에 배치된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hmic contact layer 13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betwee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 and the reflective layer 160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onding pad 172, and protection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60,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41, and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Layer 150 may be included.

<기판, 발광구조물><Substrate, light emitting structure>

제2 실시예는 기판(105) 위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10)을 포함할 수 있음, 이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5, which may employ technical featur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전류확산층, 오믹접촉층, 반사층><Current diffusion layer, ohmic contact layer, reflective layer>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전류확산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current diffusion layer 120 .

상기 전류확산층(120)은 전류 확산을 향상시켜 광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전류확산층(120)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류확산층(120)은 제2 전극(142) 아래에서 전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can increase light output by improving current spreading. For example,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be made of oxide or nitride.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prevent current from being concentrated under the second electrode 142 .

도 9a는 전류확산층(120)을 배치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이후 제2 전극(142)이 배치되는 영역의 하측에 대응되도록 전류확산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단면에서 전류확산층(120)은 도 7에 도시된 전류확산층(120)과 대응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전극(142)과 상하간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9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osing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and then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side of the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142 is disposed. For example, in the cross section of FIG. 9A,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spreading layer 120 shown in FIG. 7,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second electrode 142 vertically.

도 9a에 도시된 나머지 전류확산층(120)들도 이후 배치되는 제2 전극(142)(도 9d 참조)과 상하간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maining current spreading layers 120 shown in FIG. 9A may also be dispos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second electrode 142 (refer to FIG. 9D ) in a vertical direction.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믹접촉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전류 확산을 향상시켜 광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Nex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n ohmic contact layer 130 as shown in FIG. 7 .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rease light output by improving current diffusion.

예로서,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믹접촉층(130)은 투광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metal, a metal oxide, and a metal nitrid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도 9b는 오믹접촉층(130)을 배치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발광구조물(110)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전류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A3-A4선을 따른 단면에서의 오믹접촉층(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에 배치되어 전류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9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osing the ohmic contact layer 130, which can contribute to current diffusion by being entirely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For example, the ohmic contact layer 130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A3-A4 in FIG. 8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s shown in FIG. 7 to contribute to current diffusion.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믹접촉층(130)의 면적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오믹접촉층(130)의 면적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면의 면적은 같게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area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ea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area of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may have the same area.

따라서, 상기 오믹접촉층(130)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면을 구성하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을 통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기 오믹접촉층(130)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13 can be configured through one process,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can be shortened. Since the area of the contact layer 130 can be disposed as large as possibl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한편, 도 9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믹접촉층(130)은 제1 전극(141)(도 9d 참조)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R1)를 구비함으로써, 이후 제1 관통홀(R1)를 통해 제1 전극(141)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9B and 7 , the ohmic contact layer 130 has a first through hole R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41 (see FIG. 9D) is disposed. , and then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R1.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60)은 상기 오믹접촉층(130)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구조물(110)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켜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Nex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160 as shown in FIG. 7 .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nd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o improve luminous intensity.

도 9c는 반사층(160)을 배치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예를 들어, 도 9c의 단면에서의 반사층(1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구조물(110), 오믹접촉층(130) 상에 배치된 반사층(160)에 대응될 수 있다.FIG. 9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isposing the reflective layer 160.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in the cross section of FIG. 9C is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the ohmic contact layer 130 as shown in FIG. It may correspond to the disposed reflective layer 160 .

한편, 도 9c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60)은 제1 전극(141)(도 9d 참조)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개구부(H1)를 구비함으로써, 이후 제1 개구부(H1)를 통해 제1 전극(141)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9C and 7 , the reflective layer 160 has the first opening H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41 (see FIG. 9D ) is disposed, so that the subsequent first opening H1 is provided.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rough the first opening H1.

아울러, 도 9c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60)은 제2 전극(142)(도 9d 참조)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개구부(H2)를 구비함으로써, 이후 제2 개구부(H2)를 통해 제2 전극(142)이 오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C and 7 , the reflective layer 160 has a second opening H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142 (see FIG. 9D ) is disposed, so that the second opening H2 is provided thereafter.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hmic layer through the second opening H2.

상기 반사층(160)은 절연성 반사층(16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 또는 ODR(Omni Directional Reflec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160 .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 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 or an Omni Directional Reflector (OD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반사층(160)은 무지향성 반사층(ODR: Omni Directional Reflector)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층(160)의 ODR층은 예로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 비해 낮은 굴절률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160)은 일부 영역은 절연성층을 포함하나 다른 영역은 도전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n Omni Directional Reflector (ODR) layer, and the ODR layer of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at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for example. there is. In addition, some areas of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while other areas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층(160)에서 발광층인 활성층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켜 줌으로써 광 흡수를 최소화하여 광도(Po)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uminous intensity Po by minimizing light absorption by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which is a light emitting layer, in the reflective layer 160 can provid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광 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광소자가 플립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발광구조물을 기준으로 6면 발광이 가능함에 따라 광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light absorption can be minimiz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unted in a flip chip type, light intens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as light emitting from six sides is possible bas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도 9e는 보호층(150)에 대한 개략도인데, 보호층(150)은 제1 전극(141)과 제1 본딩패드(171)(도 9f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3 관통부(R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150)은 제2 전극(142)과 제2 본딩패드(172)(도 9f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4 관통부(R4)를 포함할 수 있다.FIG. 9E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tective layer 150. The protective layer 150 includes a third through-hole (R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first bonding pad 171 (see FIG. 9F).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fourth through-hole R4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see FIG. 9F ).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반사층(160)의 외곽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also to FIG. 7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reflective layer 160 .

<전극, 보호층, 본딩패드><Electrode, protective layer, bonding pad>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7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41 and a second electrode 142 .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1 개구부(h1) 내부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상기 활성층(112)을 관통하여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일부 영역까지 배치되는 리세스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within the first opening h1.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41 penetrates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active layer 112 to form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in a recess extending to a partial region of (111).

상기 제1 전극(141)은 상기 반사층(160)에 제공된 제1 개구부(h1)를 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h1)와 상기 리세스는 수직으로 중첩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1 through the first opening h1 provided in the reflective layer 160 . The first opening h1 and the recess may vertically overlap each other.

상기 제1 개구부(h1)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측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h1)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리세스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상이할 수 있다.A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h1 and a side surface of the recess may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h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may be different from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상기 반사층(160)이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반사층(160)이 배치되기 위한 공정에서 Step-coverage 특성으로 인해, 상기 리세스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상기 제1 개구부(h1)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When the reflective layer 160 is disposed in the recess,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recess due to step-coverag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reflective layer 160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h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리세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층(160)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기 리세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사층(160)의 수평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층(160)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기 리세스 상부에 배치되는 반사층(160)의 수평 방향의 폭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신뢰성이 개선되고, 반사층(160)에 의한 광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the horizontal width of the reflective layer 160 disposed under the recess may be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width of the reflective layer 160 disposed above the recess. Electrical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improved and the reflective layer ( 160) can improve optical properties.

또한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전극(142)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 사이에 상기 오믹접촉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hmic contact lay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반사층(160)에 제공된 제2 개구부(h2)를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2 전극(1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믹접촉층(130)을 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13 through the second opening h2 provided in the reflective layer 16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through the ohmic contact layer 130 .

실시예에 의하면, 도 9d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서로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D ,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have polaritie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전극(141)은 예로서 복수의 라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ne shapes.

한편,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극(142)은 상기 제1 전극(141)과 이격되되, 상기 제1 전극(141) 외의 영역을 차지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전극(142)은 상기 제1 전극(141)을 제외한 상기 반사층(16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electrode 14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41 and occupies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electrode 141, thereby improv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42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60 except for the first electrode 141 .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구성되는 경우, 서로 다른 개수의 전극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1)이 n 전극으로, 상기 제2 전극(142)이 p 전극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141)의 영역보다 상기 제2 전극(142)이 차지하는 영역이 더 넓을 수 있다.Wh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have different polarities, they may have different numbers of electrod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141 is composed of an 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is composed of a p electrode, the area occupied by the second electrode 142 is great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41. could be wider

도 9d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기판(105)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과,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의 제1 면의 길이가 제2 방향의 제2 면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9D , in an embodiment, a substrate 105 includes a first surfac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한편, 제2 실시예의 제1 전극(141)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컨택 전극(141a)과 제2 컨택 전극(141b)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141 of the second embodiment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141b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rface, respectively. can

상기 제1 컨택 전극(141a)과 제2 컨택 전극(141b)은 반사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컨택 전극(141a)과 제2 컨택 전극(141b) 하측으로 연장되는 컨택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이후 설명하는 제3 컨택 전극(141c)에 대응되며 제1 도전형 반도체응(111)과 접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1b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ve layer 160 .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 a contact electrode extending below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1b may be included, which corresponds to the third contact electrode 141c described later, and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one-conductivity semiconductor compound 111.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 컨택 전극(141a)과 상기 제2 컨택 전극(141b)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컨택 전극(141c)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third contact electrode 141c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1b.

상기 제3 컨택 전극(141c)은 비아 타입 컨택 전극으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접할 수 있다.The third contact electrode 141c is a via type contact electrode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

또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컨택 전극(141a) 내지 제3 컨택 전극(141c) 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전극(141d)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connection electrode 141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to the third contact electrode 141c.

상기 연결전극(141d)은 반사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electrode 141d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ve layer 160 .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105)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1 컨택 전극(141a)과 제2 컨택 전극(141b)의 수평 단면이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05)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전류가 주입되어 전류확산에 의해 광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orizontal cross sections of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1b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105 may be the same or similar. Accordingly, current is not supplied bias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105, but current is injected symmetrically to both sides, so that optical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by current diffusion.

또한 상기 제1 컨택 전극(141a)과 상기 제2 컨택 전극(141b)의 면적은 포인트 컨택 기능을 하는 제3 컨택 전극(141c)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Also, the area of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1b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ird contact electrode 141c serving as a point contact.

한편, 연결전극(141d)의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제1 컨택 전극(141a) 내지 제3 컨택 전극(141c)의 제2 방향으로의 폭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택 전극이 아닌 영역에서의 활성층의 손실 또는 제거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electrode 141d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41a to the third contact electrode 141c in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is, loss or removal of the active layer in a region other than the contact electrode can be prevented.

특히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전극(142)은 상기 제1 전극(141)을 제외한 상기 반사층(16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솔더 본딩(Solder Bonding) 시 발광소자 칩에 가해지는 스트레스(Stress)를 완충시켜 반사층(160)과 제2 전극(142) 사이의 박리현상을 방지 내지 완화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electrode 142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60 except for the first electrode 141 . Through this,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reliability by preventing or alleviating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160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by buffer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chip during solder bonding. It has a characteristic.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전극(142)과 반사층(160)의 광학적 설계로 인한 하이브리드(Hybrid) DBR 구조 설계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사도 증가로 인한 광출력 향상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hybrid DBR structure can be designed due to the optical design of the second electrode 142 and the reflective layer 160, and through this,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light output can be improved due to the increase in reflectivity. .

예를 들어, 제2 전극(142)은 Cr/Al/Ti/Ni/Ti/Ni/Cu/Au 등의 메탈 층 배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160)과의 물질 조합에 의해 반사성의 더욱 우수한 하이브리드(Hybrid) DBR 구조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include a metal layer arrangement such as Cr/Al/Ti/Ni/Ti/Ni/Cu/Au, etc. An excellent hybrid DBR structure design may be possible.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전기 전도도 및/또는 저항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에 의해 상기 발광구조물(110)로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출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광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3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1 have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or resistanc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balanced, and thus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be improved.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오믹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1)과 상기 제2 전극(142)은 ZnO, IrOx, RuOx,NiO, RuOx/ITO,Ni/IrOx/Au, 및 Ni/IrOx/Au/ITO, Ag, Ni, Cr, Ti, Al, Rh, Pd, Ir, Ru,Mg, Zn, Pt, Au,Hf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물질의 합금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formed in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ohmic electrode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may be ZnO, IrOx, RuOx, NiO, RuOx/ITO, Ni/IrOx/Au, and Ni/IrOx/Au/ITO, Ag, Ni , Cr, Ti, Al, Rh, Pd, Ir, Ru, Mg, Zn, Pt, Au, and Hf, or at least one or an alloy of two or more of these materials.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도 7 및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150 as shown in FIGS. 7 and 9E .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1 전극(141)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3 리세스(R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제2 전극(142)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4 리세스(R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recesses R3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141 . 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urth recesses R4 exposing the second electrode 142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반사층(1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반사층(1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절연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150)은 SixOy, SiOxNy, SixNy, AlxOy 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ve layer 160 .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ve layer 160 .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50 is Si x O y , SiO x N y ,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Si x N y and Al x O y .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도 7 및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50) 위에 배치된 제1 본딩패드(171)와 제2 본딩패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7 and 9F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onding pad 171 and a second bonding pad 172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150 . ) may be included.

이를 통해, 도 8 및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가 완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8 and 9G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completed.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반사층(1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ve layer 160 .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pad 171 .

상기 제1 본딩패드(171)는 상기 보호층(150)에 제공된 복수의 상기 제3 리세스(R3)를 통하여 상기 제1 전극(141)의 상부 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bonding pad 171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41 through the plurality of third recesses R3 provided in the protective layer 150 .

또한,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상기 보호층(150)에 제공된 복수의 상기 제4 리세스(R4)를 통하여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부 면에 접촉될 수 있다. Also,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42 through the plurality of fourth recesses R4 provided in the protective layer 150 .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층(160)이 상기 제1 전극(141) 및 상기 제2 전극(142)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반사층(160)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활성층(112)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시켜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2)에서 광 흡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광도(Po)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 the reflective layer 16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so that the The reflective layer 160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o minimize light absorption i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to increase the luminous intensity Po. can improve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활성층(114)에서 방출된 빛의 반사를 위하여 반사율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DBR 구조를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but a material having high reflectivity, for example, a DBR structure, may be used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4 .

상기 반사층(160)은 굴절률이 다른 물질이 서로 반복하여 배치된 DBR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160)은 TiO2, SiO2, Ta2O5, HfO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ve layer 160 may form a DBR structure in which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repeatedly disposed.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TiO 2 , SiO 2 , Ta 2 O 5 , and HfO 2 .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반사층(160)은 상기 활성층(112)에서 발광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상기 활성층(112)에서 발광하는 빛에 대한 반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selected to adjust the reflectiv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112. can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16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ODR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층(160)은 DBR층과 ODR층이 적층된 일종의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provided as an ODR lay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flective layer 160 may be provided in a kind of hybrid form in which a DBR layer and an ODR layer are stacked.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2)는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반도체 소자 패키지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제1 본딩패드(171)의 상부 면과 상기 제2 본딩패드(172)의 상부 면이 서브 마운트, 리드 프레임, 또는 회로기판 등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using a flip chip bonding method. For example, in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nding pad 172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y are attached to a sub-mount, a lead frame, or a circuit board. there is.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Au, AuTi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실장공장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는 Ti, Al, In, Ir, Ta, Pd, Co, Cr, Mg, Zn, Ni, Si, Ge, Ag, Ag alloy, Au,Hf, Pt, Ru,Rh, ZnO, IrOx, RuOx,NiO, RuOx/ITO,Ni/IrOx/Au, 및 Ni/IrOx/Au/ITO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합금을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re formed of Au, AuTi, etc., a mounting plant can be stably performed. In addition,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re Ti, Al, In, Ir, Ta, Pd, Co, Cr, Mg, Zn, Ni, Si, Ge, Ag, Ag alloy, Au, Hf, Pt, Ru, Rh, ZnO, IrOx, RuOx, NiO, RuOx/ITO, Ni/IrOx/Au, and Ni/IrOx/Au/ITO, etc. can be formed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가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실장되어 반도체 소자 패키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제공되는 빛은 상기 기판(105)을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반사층(160)에서 반사되어 상기 기판(105)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When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in a flip chip bonding method and implemented as a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emitted through the substrate 105 .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be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160 and emitted toward the substrate 105 .

또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측면 방향으로도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배치된 면 중에서,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제공되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may also be emitt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 In addi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is bonded to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1 among the surfaces on which the second bonding pad 172 is disposed. The pad 172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rea not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배치된 면 중에서, 상기 반사층(160)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passes through an area where the reflective layer 160 is not provided, among the surfaces where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are disposed.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2)는 상기 발광구조물(110)을 둘러싼 6면 방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게 되며, 광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emit light in six directions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luminous intensit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 패키지에 의하면, 넓은 면적을 갖는 상기 제1 본딩패드(171)와 상기 제2 본딩패드(172)가 전원을 제공하는 회로기판에 직접 본딩될 수 있으므로 플립칩 본딩 공정이 쉽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bonding pad 171 and the second bonding pad 172 having a large area can be directly bonded to a circuit board providing power, the flip The chip bon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easily and stably.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and effects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he embodimen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may find various things not exemplified above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ations and applications of branche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발광소자(100), 발광구조물(110), 제1 전극(141), 제2 전극(142),
제1 본딩패드(171), 제2 본딩패드(172), 오믹접촉층(130),
제1 반사층(161), 제2 반사층(162), 제3 반사층(163), 보호층(150)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10, the first electrode 141, the second electrode 142,
The first bonding pad 171, the second bonding pad 172, the ohmic contact layer 130,
The first reflective layer 161, the second reflective layer 162, the third reflective layer 163, and the protective layer 150

Claims (12)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된 전류 확산층;
상기 전류 확산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되는 오믹접촉층;
상기 발광구조물 및 상기 오믹접촉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반사층;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
상기 제1 반사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반사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오믹접촉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층은 상기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층은 상기 발광구조물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층 및 상기 제2 반사층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은 같은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을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오믹접촉층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의 저면은 상기 활성층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3 반사층은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제2 반사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제3 반사층 사이에 배치된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반사층과 상기 제3 반사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오믹접촉층과 직접 접촉하는 발광소자.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current spread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ohmic contact layer disposed on the current diffusion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first, second and third reflective layer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the ohmic contact layer;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hmic contact layer;
The first reflect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reflect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protective lay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The protective layer is spaced apart from the ohmic contact layer,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are disposed lower than the active layer and directly contact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third reflective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first prot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layer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layer and the third reflective layer,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directly contact the ohmic contact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층은 상기 보호층과 접하는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reflective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1 반사층 사이에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되며,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반사층 사이에 상기 제2 전극이 배치되는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between the passivation layer and the first reflective layer,
A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between the passivation layer and the second reflective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본딩부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본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본딩부는,
이격된 복수의 본딩영역; 및
상기 이격된 본딩영역 사이에 본딩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복수의 본딩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본딩부의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 길이의 3% 내지 12%인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ond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ond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bonding par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bonding areas; and
A connection reg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onding regions between the spaced bonding regions;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onding areas spaced apart in a first direction is 3% to 12% of a length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복수의 본딩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본딩부의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 길이의 3% 내지 12%인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4,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onding areas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is 3% to 12% of a length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접촉층은
상기 제1, 제2 반사층의 분리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의 양측에 제5 관통홀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ohmic contact layer i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through hol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layers and a fifth through hol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through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8609A 2017-09-15 2018-02-14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1025725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9052 2017-09-15
KR1020170119052 2017-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05A KR20190031105A (en) 2019-03-25
KR102572525B1 true KR102572525B1 (en) 2023-08-31

Family

ID=6590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09A KR102572525B1 (en) 2017-09-15 2018-02-14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5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91B1 (en) * 2019-08-22 2021-06-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Light-emitting di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2970A (en) * 2014-09-16 2016-04-25 豊田合成株式会社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875A (en) * 2014-08-28 2016-03-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KR102413447B1 (en) * 2016-01-08 2022-06-27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2970A (en) * 2014-09-16 2016-04-25 豊田合成株式会社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05A (en)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826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apparatus
KR102473399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KR102508745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56216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KR10253768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79733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72525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102486038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39278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42297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0906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apparatus
KR102501888B1 (en) Semiconductor device, light semiconducotr device package
KR102610607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490162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102359818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433841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7983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69245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79835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64179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85939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471692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69237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471690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249649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