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73B1 - 기지국, 단말,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기지국, 단말,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73B1
KR102572373B1 KR1020197026915A KR20197026915A KR102572373B1 KR 102572373 B1 KR102572373 B1 KR 102572373B1 KR 1020197026915 A KR1020197026915 A KR 1020197026915A KR 20197026915 A KR20197026915 A KR 20197026915A KR 102572373 B1 KR102572373 B1 KR 10257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terminal
resource
information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645A (ko
Inventor
데츠야 야마모토
히데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19012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16Time-frequency-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에 있어서, 제어부는,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한다. 송신부는, 복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통지하고, 선택된 하나의 조합을 동적 시그널링(DCI)에 의해 단말에 통지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단말,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개시는,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이용한 서비스의 보급에 따라, 모바일 통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를 계속하고 있고, 장래를 향해 데이터 전송 용량의 확대가 급선무로 되어 있다. 또한, 향후에는 모든 "물건"이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되는 IoT(Internet of Things)의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IoT에 의한 서비스의 다양화를 유지하려면, 데이터 전송 용량뿐만 아니라, 낮은 지연 및 통신 에리어(커버리지) 등의 다양한 요건에 대하여, 비약적인 고도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4G :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에 비하여 성능 및 기능이 대폭으로 향상되는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의 기술 개발ㆍ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5G의 표준화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와는 반드시 후방 호환성을 갖지 않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R : New Radio)의 기술 개발을 진행시키고 있다.
NR에서는, LTE와 마찬가지로, 단말(UE : User Equipment)이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ACK/NACK :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ment), 다운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 및 업링크의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SR : Scheduling Request)를 기지국(eNG 또는 gNB)에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3GPP에 의해 표준화된 LTE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에는, 주파수 영역 및 부호 영역의 리소스가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3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LTE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는, 시스템 대역 내의 리소스 블록(RB : Resource Block)(PRB : Physical RB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및 확산 부호(CS : Cyclic Shift 또는 직교 부호)로 정의된다. 또한, LTE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는, 주파수 영역의 1PRB와, 시간 영역의 1서브프레임(14심볼)으로 구성된다.
비특허문헌 1 : 3GPP TS 36.211 V13.4.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3)," December 2016. 비특허문헌 2 : 3GPP TS 36.213 V13.4.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3)," December 2016. 비특허문헌 3 : 3GPP TS 36.211 V13.4.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3)," December 2016. 비특허문헌 4 : R1-1701553, "Final minutes from RAN1#AH1_NR (Spokane's meeting)," ETSI, MCC, February 2017. 비특허문헌 5 : R1-1704043, "WF on PUCCH resource allocation," LG Electronics, NTT DOCOMO, ETRI, CATT, February 2017.
상술한 바와 같이, LTE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는, 1PRB와 1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PUCCH 리소스 할당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 통지해야 할 정보는, 주파수 리소스(PRB 번호) 및 확산 부호 번호(CS 번호 또는 직교 부호 번호)이다. 그렇지만, NR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의 요구 조건 또는 송수신기 성능에 대응하기 위해, LTE에 비하여 보다 유연성이 높은 PUCCH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태양은, PUCCH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는 기지국, 단말 및 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기지국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회로와, 상기 복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조합을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복수의 조합 중, 상기 동적 시그널링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PUCCH 리소스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통신 방법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조합을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통신 방법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 중, 상기 동적 시그널링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PUCCH 리소스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 이들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태양은, 시스템,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더라도 좋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더라도 좋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 PUCCH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밝혀진다. 이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몇의 실시 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각각 제공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해 반드시 모두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NR 슬롯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LTE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슬롯의 종류를 나타낸다.
도 4는 대역 내의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 및 단말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DCI 비트와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과 관련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과 관련되는 Localized 송신 때의 파라미터 X의 통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과 관련되는 Distributed 송신 때의 파라미터 X의 통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과 관련되는 파라미터 Noffset의 범위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Numerology 사이의 RB 그리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2와 관련되는 파라미터 MPRB 및 D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17a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과 관련되는 Short PUCCH에 대한 파라미터 D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17b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과 관련되는 Long PUCCH에 대한 파라미터 D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5와 관련되는 Uplink control resource se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과제를 설명한다.
도 20a는 슬롯 단위의 전송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b는 슬롯 단위의 전송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1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PUCCH 리소스의 통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PUCCH 리소스의 통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a는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b는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DCI 비트와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a는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슬롯 n의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25b는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슬롯 n+1의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25c는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슬롯 n+2의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25d는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슬롯 n+3의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6과 관련되는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LTE와 마찬가지로, 단말이 PUCCH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응답 신호), CSI 또는 SR 등의 업링크 제어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때, 단말은,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NR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하여,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준정적(Semi-static)인 PUCCH 리소스의 집합을 단말에 통지하고, 단말이 다운링크 제어 신호(DCI :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선택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4, 5를 참조). 여기서, NR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에는,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 또는 부호 영역의 리소스가 있다. 또한, 시간 영역의 리소스에는, 슬롯 및 슬롯 내의 심볼이 포함된다. 도 1은 NR에 있어서의 슬롯("NR 슬롯"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의 구성의 예이다. NR 슬롯은, 7심볼 또는 14심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3GPP에 의해 표준화된 LTE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3을 참조). LTE에서는, PUCCH 리소스에는, 주파수 영역 및 부호 영역의 리소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PUCCH 리소스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 내의 리소스 블록(PRB) 및 확산 부호(CS)로 정의된다.
LTE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PRB 및 확산 부호)는,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리소스로부터 암시적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도 2의 예에서는, PD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가 n14인 경우, RB 번호 #1의 PRB 및 CS 번호 #2의 확산 부호가 할당된다.
또한, LTE의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송신된 서브프레임보다 4서브프레임 뒤의 대상 서브프레임 내의 PUCCH 리소스로 송신된다. 또한, LTE의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송신된 서브프레임보다 4서브프레임 이상 뒤의 대상 서브프레임 내의 PUCCH 리소스로 송신된다.
즉, LTE에서는, PUCCH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업링크 서브프레임)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송신된 서브프레임에 대응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LTE에서는, 단말에 대하여 PUCCH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를 통지할 필요가 없었다. 한편, NR에서는, PUCCH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위치)를 서비스의 요구 조건 또는 단말의 처리 성능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하기 위해, 단말에 대하여 PUCCH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번호 등)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LTE의 PUCCH 리소스는, 주파수 영역의 1PRB와 시간 영역의 1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LTE에서는, PUC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특정되면, PUCCH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에 대하여, 다른 정보(예컨대, 심볼 정보)를 통지할 필요가 없었다. 한편, NR에서는, 서비스의 요구 조건 또는 단말의 처리 성능에 따라 PUCCH의 송신 시간도, 1 또는 2심볼의 PUCCH 송신 또는 3심볼 이상(예컨대, 4심볼 이상)의 PUCCH 송신 등과 같이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NR에서는, PUCCH를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에 대하여, 1슬롯 내의 PUCCH를 송신하는 심볼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도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NR에서는, PUCCH의 송신 구간 길이(심볼 길이 등)에 대해서도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LTE의 PUCCH를 송신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는 1PRB로 구성되어 있고, 단말에 대하여 그 하나의 PRB의 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NR에서는, 복수의 PRB를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때문에, NR에서는, PUCCH를 송신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에 대해서도, LTE에 비하여, 보다 많은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NR에서는, LTE에 비하여, 시간 영역 리소스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양쪽에 대하여, PUCCH 리소스 할당의 통지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하여,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준정적인 PUCCH 리소스의 집합을 통지하고, DCI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선택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LTE에 비하여, PUCCH 리소스 할당의 통지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PUCCH 리소스의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각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값을 단말에 통지하고, DCI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의 값을 선택하는 경우, DCI에 의해 통지해야 할 파라미터 수가 증가하고, DCI의 오버헤드가 증가하여 버린다.
한편, LTE에서는, CSI 또는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는,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준정적으로 명시적으로 통지된다. 또한, LTE에서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등을 이용하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신호의 송신에 대한 PUCCH 리소스 할당으로서,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복수의 PUCCH 리소스(예컨대, 4개의 PUCCH 리소스)를 준정적으로 단말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DCI)의 2비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PUCCH 리소스 중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하나 선택하는 방법도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LTE에 있어서의 SPS의 리소스 할당의 통지 방법과 같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복수의 PUCCH 리소스를 준정적으로 단말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의 비트로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하나 선택하는 방법의 경우, DCI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지만,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실현할 수 없다.
또한, NR에 있어서, LTE의 방법을 확장한 경우, PUCCH 리소스(슬롯 위치, 심볼 위치, RB 번호 등)의 특정은 할 수 있지만, PUCCH 송신 구간 길이 또는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매핑에 대하여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NR에 있어서, DCI의 오버헤드의 증대를 막으면서, PUCCH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PUCCH의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 시간 영역 리소스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모든 조합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NR에서는, PUCCH 리소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슬롯 내의 심볼 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의 종류(Downlink centric slot, Uplink centric slot, Downlink only slot 및 Uplink only slot 등)에 의존한다.
예컨대, 도 3의 예에서는, PUCCH 리소스(UL 심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슬롯 내의 심볼 수는, Downlink centric slot의 경우에는 최대 2심볼이고, Uplink centric slot의 경우에는 최대 5심볼이고, Downlink only slot의 경우에는 0심볼이고, Uplink only slot의 경우에는 최대 7심볼이다. 이와 같이, 슬롯 내의 심볼 수가 슬롯의 종류에 의존하므로, PUCCH 리소스로서, 슬롯에 관한 파라미터와, 심볼에 관한 파라미터의 모든 조합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또한, PUCCH 리소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슬롯 내의 심볼 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 내 또는 단말에 할당 가능한 대역 내의 주파수 리소스(PRB)에도 의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예에서는, RB 번호 #0~#3의 PRB에 대해서는, 2심볼(심볼 #5, #6)이 PUCCH 리소스로서 사용 가능하고, RB 번호 #N-4~#N-1의 PRB에 대해서는, 5심볼(심볼 #2~#6)이 PUCCH 리소스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슬롯 내의 심볼 수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이하므로, PUCCH 리소스로서, 주파수 리소스(RB 번호)에 관한 파라미터와 심볼에 관한 파라미터의 모든 조합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또한, PUCCH 송신 구간 길이(심볼 수)는, 슬롯 내의 심볼 위치에 의존한다. 예컨대, 2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UCCH에 대하여, 심볼 번호 #6(다시 말해, 슬롯 내의 가장 후미의 심볼)과 조합되는 일은 없다. 또한, 예컨대, 4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UCCH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Downlink centric slot(UL의 심볼 수 2) 및 Downlink only slot(UL의 심볼 수 0),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RB 번호 #0~#3(UL의 심볼 수 2)과의 조합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NR에서는, PUCCH의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 시간 영역 리소스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조합을 모두 고려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서는, 업링크 제어 신호(예컨대,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하여, 기지국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으로 정의한다)을 단말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한다.
이때,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기지국이 단말에 통지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로서는, 일례로서,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이하, X(0), X(1), …, X(Nx-1)로 나타낸다), 시간 영역 리소스(구체적으로는 슬롯)에 관한 정보(이하, A(0), A(1), …, A(NA-1)로 나타낸다), 시간 영역 리소스(구체적으로는 슬롯 내의 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이하, B(0), B(1), …, B(NB-1)로 나타낸다), 및,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이하, C(0), C(1), …, C(NC-1)로 나타낸다)가 포함된다. 또,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는 이들 정보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기지국이 단말에 통지하는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에 있어서의 파라미터(X, A, B, C)의 조합에 의해, 단말이 사용하는 PUCCH 리소스에 차이가 생긴다.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하여,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이 통지되고, DCI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는 조합이 통지됨으로써, DCI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는 복수의 파라미터 그 자체를 통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DCI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모든 조합이 아니라, PUCCH 리소스로서 설정될 수 있는 조합이 통지되고, DCI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는 조합이 통지됨으로써, 유연한 PUCCH 리소스 할당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PUCCH 리소스의 입도(단위)에 대하여, 일례로서, 주파수 영역을 PRB 단위로 하고, 시간 영역을 심볼 단위로 하여 설명한다. 다시 말해, 상이한 단말 사이의 PUCCH는, PRB 단위로 FDM 되고, 심볼 단위로 TDM 되는 것을 상정한다. 또, PUCCH 리소스의 입도(단위)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1)
[통신 시스템의 개요]
본 개시의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구비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한다. 송신부(114)는, 복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하고, 선택된 하나의 조합을 동적 시그널링(DCI)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단말(200)에 있어서, 수신부(202)는,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동적 시그널링(DCI)을 수신한다. 송신부(219)는, 복수의 조합 중, 동적 시그널링에 나타내어지는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PUCCH 리소스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의 구성]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데이터 생성부(102)와, 부호화부(103)와, 재송 제어부(104)와, 변조부(105)와, 상위 제어 신호 생성부(106)와, 부호화부(107)와, 변조부(108)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와, 부호화부(110)와, 변조부(111)와, 신호 할당부(112)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13)와, 송신부(114)와, 안테나(115)와, 수신부(116)와, FFT(Fast Fourier Transform)부(117)와, 추출부(118)와, CSI 복조부(119)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측정부(120)와, 복조ㆍ복호부(121)와, 판정부(122)를 갖는다.
제어부(101)는,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하는 업링크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결정한다. 여기서, 업링크 리소스는, 예컨대,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 Periodic CSI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 SR을 송신하는 PUCCH 리소스, Aperiodic CSI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Periodic 및 Aperiodic SRS를 송신하는 리소스 등이다. 제어부(101)는, 결정한 정보를 상위 제어 신호 생성부(106)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중에서 그 단말(200)에 대하여 실제로 할당하는 업링크 리소스(다시 말해, DCI로 통지하는 파라미터의 조합)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01)는,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에 포함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resource configuration, Aperiodic CSI 신호를 송신하는 resource configuration, Aperiodic SRS를 송신하는 resource configuration의 각각으로부터, DCI로 통지하는 실제의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제어부(101)는, 결정한 정보를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단말(200)로부터의 신호를 올바르게 수신하기 위해, 결정한 정보를 추출부(118)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단말(20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무선 리소스 할당을 결정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 및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데이터 생성부(102)는, 단말(20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3)는, 데이터 생성부(102)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 신호를 재송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재송 제어부(104)는, 처음 송신 때에는, 부호화부(10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후의 데이터 신호를 유지함과 아울러, 변조부(105)에 출력한다. 또한, 재송 제어부(104)는, 후술하는 판정부(122)로부터,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NACK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유지 데이터를 변조부(105)에 출력한다. 한편, 재송 제어부(104)는, 판정부(122)로부터,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ACK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유지 데이터를 삭제한다.
변조부(105)는, 재송 제어부(10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데이터 변조 신호를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상위 제어 신호 생성부(106)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예컨대,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비트열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 비트열을 부호화부(107)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7)는, 상위 제어 신호 생성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비트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를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변조부(108)는, 부호화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후의 제어 신호를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단말(200)이 실제로 사용하는 업링크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비트열(DCI)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 비트열을 부호화부(110)에 출력한다. 또, 제어 정보가 복수의 단말에 송신되는 일도 있기 때문에,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는, 각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에, 각 단말의 단말 ID를 포함시켜 비트열을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는, 슬롯의 종류 또는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의 양(심볼 수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에 보내지는 Group common 제어 정보 비트열을 생성하더라도 좋다.
부호화부(110)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비트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를 변조부(111)에 출력한다.
변조부(111)는, 부호화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후의 제어 신호를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112)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매핑한다. 또한, 신호 할당부(112)는, 변조부(108) 또는 변조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매핑한다. 신호 할당부(112)는, 신호가 매핑된 다운링크의 신호를 IFFT부(113)에 출력한다.
IFFT부(113)는, 신호 할당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송신 파형 생성 처리를 실시한다. IFFT부(113)는, CP(Cyclic Prefix)를 부가하는 OFDM 전송의 경우에는, CP를 부가한다(도시하지 않음). IFFT부(113)는, 생성한 송신 파형을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송신부(114)는, IFFT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D/A(Digital-to-Analog) 변환, 업 컨버트 등의 RF(Radio Frequency)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115)를 통해서 단말(2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116)는, 안테나(115)를 통해서 수신된 단말(20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 파형에 대하여, 다운 컨버트 또는 A/D(Analog-to-Digital) 변환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수신 처리 후의 업링크 신호 파형을 FFT부(117)에 출력한다.
FFT부(117)는, 수신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업링크 신호 파형에 대하여, 시간 영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FFT 처리를 실시한다. FFT부(117)는, FFT 처리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 신호를 추출부(118)에 출력한다.
추출부(118)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정보(단말(200)에 실제로 할당되는 업링크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FFT부(11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CSI 피드백 신호, SRS, 또는, ACK/NACK 신호가 송신된 무선 리소스를 추출하고, 추출한 무선 리소스의 성분(CSI 피드백 신호, SRS 신호, 또는, ACK/NACK 신호)을 CSI 복조부(119), SRS 측정부(120), 또는, 복조ㆍ복호부(121)에 각각 출력한다.
CSI 복조부(119)는, 추출부(118)로부터 입력되는 CSI 피드백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한 정보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CSI 피드백은, 예컨대, 제어부(101)에 있어서, 다운링크 할당의 제어에 사용된다.
SRS 측정부(120)는, 추출부(118)로부터 입력되는 SRS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정보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측정한 정보는, 예컨대, 제어부(101)에 있어서, 업링크 할당의 제어에 사용된다(도시하지 않음).
복조ㆍ복호부(121)는, 추출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등화, 복조 및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고, 복호 후의 비트 계열을 판정부(122)에 출력한다.
판정부(122)는, 복조ㆍ복호부(121)로부터 입력되는 비트 계열에 근거하여,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ACK/NACK 신호가,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ACK 또는 NACK 중 어느 것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22)는, 판정 결과를 재송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단말의 구성]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단말(200)은, 안테나(201)와, 수신부(202)와, FFT부(203)와, 추출부(204)와,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와, 상위 제어 신호 복조부(206)와,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와, 오류 검출부(208)와, 제어부(209)와, CSI 생성부(210)와, 부호화부(211)와, 변조부(212)와, ACK/NACK 생성부(213)와, 부호화부(214)와, 변조부(215)와, SRS 생성부(216)와, 신호 할당부(217)와, IFFT부(218)와, 송신부(219)를 갖는다.
수신부(202)는, 안테나(201)를 통해서 수신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신호 파형에 대하여, 다운 컨버트 또는 A/D(Analog-to-Digital) 변환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얻어지는 수신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를 FFT부(203)에 출력한다.
FFT부(203)는, 수신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시간 영역 신호)에 대하여, 시간 영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FFT 처리를 실시한다. FFT부(203)는, FFT 처리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 신호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추출부(204)는, 제어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FFT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신호(DCI)를 추출하고,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에 출력한다. 또한, 추출부(204)는, 제어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위 제어 신호 및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고, 상위 제어 신호를 상위 제어 신호 복조부(206)에 출력하고,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에 출력한다.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는, 추출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블라인드 복호하여, 자신에게 보내지는 제어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그 제어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상위 제어 신호 복조부(206)는, 추출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제어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상위 제어 신호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는, 추출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복조ㆍ복호하고, 복호 후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오류 검출부(208)에 출력한다.
오류 검출부(208)는,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 검출 결과를 ACK/NACK 생성부(213)에 출력한다. 또한, 오류 검출부(208)는, 오류 검출의 결과, 오류 없음으로 판정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제어부(209)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나타내어지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무선 리소스 할당을 산출하고, 산출한 무선 리소스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9)는, 상위 제어 신호 복조부(206)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제어 신호(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및,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단말(200)이 실제로 사용하는 업링크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단말(200)이 사용하는 업링크 리소스(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 Periodic CSI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 SR을 송신하는 PUCCH 리소스, Aperiodic CSI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Periodic 및 Aperiodic SRS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설정한 업링크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신호 할당부(217)에 출력한다.
CSI 생성부(210)는, 단말(200)에 있어서 측정한 다운링크 채널 품질의 측정 결과(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CSI 피드백 비트열을 생성하고, CSI 피드백 비트열을 부호화부(211)에 출력한다.
부호화부(211)는, CSI 생성부(210)로부터 입력되는 CSI 피드백 비트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후의 CSI 신호를 변조부(212)에 출력한다.
변조부(212)는, 부호화부(211)로부터 입력되는 CSI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후의 CSI 신호를 신호 할당부(217)에 출력한다.
ACK/NACK 생성부(213)는, 오류 검출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오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ACK 또는 NACK)를 생성한다. ACK/NACK 생성부(213)는, 생성한 ACK/NACK 신호(비트 계열)를 부호화부(214)에 출력한다.
부호화부(214)는, ACK/NACK 생성부(213)로부터 입력되는 비트 계열을 오류 정정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비트 계열(ACK/NACK 신호)을 변조부(215)에 출력한다.
변조부(215)는, 부호화부(214)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후의 ACK/NACK 신호를 신호 할당부(217)에 출력한다.
SRS 생성부(216)는, SRS 계열을 생성하고, 신호 할당부(217)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217)는, 변조부(212)로부터 입력되는 CSI 신호, 변조부(215)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신호, 및, SRS 생성부(216)로부터 입력되는 SRS 계열을, 제어부(209)로부터 지시되는 무선 리소스에 각각 매핑한다. 신호 할당부(217)는, 신호가 매핑된 업링크 신호를 IFFT부(218)에 출력한다.
IFFT부(218)는, 신호 할당부(21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OFDM 등의 송신 파형 생성 처리를 실시한다. IFFT부(218)는, CP(Cyclic Prefix)를 부가하는 OFDM 전송의 경우에는, CP를 부가한다(도시하지 않음). 또는, IFFT부(218)가 싱글 캐리어 파형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신호 할당부(217)의 전단에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가 추가되더라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IFFT부(218)는, 생성한 송신 파형을 송신부(219)에 출력한다.
송신부(219)는, IFFT부(2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D/A(Digital-to-Analog) 변환, 업 컨버트 등의 RF(Radio Frequency)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201)를 통해서 기지국(1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기지국(100)은, 동기 신호(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시스템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단말(200)에 통지한다(ST101). 단말(200)은, 동기 신호 또는 시스템 정보를 취득한다(ST102).
다음으로,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하여, 초기 액세스 때의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결정하고(ST103), 결정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예컨대, 셀 고유 정보 또는 그룹 고유 정보로서 단말에 송신한다(ST104).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취득한다(ST105).
그리고, 단말(200)은, 기지국(100)과의 사이에서 초기 액세스(랜덤 액세스) 수순(또는 RRC 접속 제어) 등을 실행한다(ST106).
다음으로, 기지국(100)은, 단말(200) 고유의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결정한다(ST107).
예컨대,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구성하는 파라미터에는 이하의 정보가 포함된다.
X :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A : 시간 영역 리소스(예컨대 슬롯)에 관한 정보
B : 시간 영역 리소스(예컨대 슬롯 내의 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
C :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
여기서,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예로서는, PUCCH 송신에 사용하는 PRB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에 관한 정보 A의 예로서는,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 수신으로부터의 슬롯 수에 관한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내의 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 B의 예로서는, PUCCH 송신을 개시하는 슬롯 내의 심볼 번호(예컨대, 후미(또는 선두)의 몇 번째 심볼로부터 개시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 C의 예로서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있다.
다시 말해, 파라미터 X, A, B, C의 조합에 의해, PUCCH의 주파수 영역 리소스(PRB) 및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및 심볼)가 특정된다. 또, 파라미터 X, A, B, C는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기지국(100)은, 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구성하는 복수의 파라미터 X, A, B, C, 및, 파라미터 X, A, B, C의 조합을 설정한다. 도 10에서는, 기지국(100)은, 파라미터 X, A, B, C에 대하여, (M+1)가지의 조합(M=NX=NA=NB=NC)을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결정한 단말(200) 고유의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상위 레이어 신호(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200)에 송신한다(ST108).
예컨대, 기지국(100)은, 도 10에 나타내는 (M+1)가지의 조합(후술하는 DCI 비트에 대응하는 조합)을 나타내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으로서, 주파수 영역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에 관한 정보(A(0), A(1), …, A(NA)),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내의 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B(0), B(1), …, B(NB)) 및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C(0), C(1), …, C(NC)를,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과, DCI 비트의 대응(예컨대, 도 10을 참조)을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한다.
단말(200)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포함되는 리소스 설정을 취득한다(ST109). 이와 같이,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취득하는 것에 의해, PUCCH의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시간 영역 리소스로서 설정될 수 있는 복수(M+1)의 조합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하여 실제로 할당하는 업링크 리소스 또는 다운링크 리소스에 관한 정보(DCI로 통지하는 업링크 리소스 정보)를 결정한다(ST110). 이때, 기지국(100)은, ST108에서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업링크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단말(200)에 대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하여, 결정한 업링크 리소스 정보(선택한 하나의 조합), 다운링크 데이터의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 및, 그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ST111). 다시 말해, 기지국(100)은, 도 10에 나타내는 (M+1)가지의 파라미터 X, A, B, C의 조합 중, 단말(200)에 대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리소스에 대응하는 하나의 조합을,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하는 PDCCH의 DCI 비트(동적 시그널링)로 통지한다.
단말(200)은, 업링크 리소스 정보(기지국(100)에서 선택된 파라미터의 조합)를 취득한다(ST112).
그리고, 단말(200)은, 예컨대,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행하여, CRC 연산 결과에 오류가 없으면 ACK를, CRC 연산 결과에 오류가 있으면 NACK를 ACK/NACK 신호로서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ST113). 이때, 단말(200)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통지된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과 DCI 비트의 대응(도 10을 참조) 중에서, DCI 비트에 의해 통지된 하나의 조합(X, A, B, C)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의 피드백에 사용하는 PUCCH의 리소스를 특정한다.
또, 단말(200)은, 다른 업링크 신호(CSI, SRS, SR)에 대해서도, ACK/NACK 신호와 마찬가지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과 DCI 비트의 대응(도 10을 참조) 중에서, DCI 비트에 의해 통지된 하나의 조합(X, A, B, C)에 의해 특정되는 리소스로 송신하면 된다. 이때, 각 신호(ACK/NACK 신호, CSI, SRS 및 SR)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과 DCI 비트의 대응은 각각에서 상이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PUCCH의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단말(200)에 통지할 때,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X, A, B, C)의 조합을 나타내는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하고, 단말(200)에 대한 실제의 할당에 사용하는 하나의 조합을 DCI에 의해 통지한다. 다시 말해,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과, DCI를 병용하여 PUCCH 할당의 통지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단말(200)은,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으로 통지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중에서, DCI로 통지된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PUCCH 리소스로 업링크 제어 신호(ACK/NACK 신호, CSI, SRS, SR)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100)은, PUCCH 할당 때에, DCI에 의해 하나의 조합(비트 정보)을 통지하면 되고, 실제로 사용하는 PUCCH 리소스(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시간 영역 리소스에 관한 정보 X, A, B, C)를 PUCCH 할당 때마다 통지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DCI 사이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시간 영역 리소스의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PUCCH 리소스를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으로서 통지하고, DCI에 의해, PUCCH 리소스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단말(200)이 실제로 사용하는 조합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게 PUCCH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DCI의 오버헤드의 증대를 막으면서, PUCCH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통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의 통지 방법의 하나로서, 비트맵에 의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비트맵에 의한 방법은,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실현할 수 있지만,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를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통지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예컨대, 대역폭에 대응하는 PRB 수가 NRB인 경우, 비트맵에서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를 통지하기 위해 NRB비트가 필요하게 된다.
NR에서는, PUCCH의 리소스 매핑에 관하여, Localized 송신 및 Distributed 송신을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는, 대역(시스템 대역 또는 단말(200)에 할당 가능한 대역)의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오프셋 값)(Noffset), 연속하는 PRB 수(MPRB), 클러스터 수(Ncluster),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의 4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를 상기 4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대역 내의 PRB 수 NRB=32로 하고, Nx=7로 했다.
이 경우, 만일, 비트맵으로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를 통지하기 위해서는 32비트가 필요하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Localized 송신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경우, (X(0), X(1), …, X(7))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Distributed 송신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경우, (X(0), X(1), …, X(7))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된다.
이때, 4개의 파라미터 각각에 대하여 통지에 필요한 최대의 비트 수는, log232=5비트이다. 이것으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 수는 20비트이다.
이상으로부터, 변형예 1과 같이,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를, 대역의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 연속하는 PRB 수(MPRB), 클러스터 수(Ncluster)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의 4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면, Localized 송신 및 Distributed 송신의 양쪽의 매핑 방법의 통지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 X를 구성하는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 수의 추가 삭감,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의 후보 수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대역(시스템 대역 또는 단말(200)에 할당 가능한 대역)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
NR에서는, 단말(200)이 서포트하는 대역폭과 시스템 대역이 상이하고, 단말(200)이 서포트하는 대역폭이 시스템 대역폭보다 좁은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역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는, 단말(200)이 서포트하는 대역의 끝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대역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의 값의 범위도, 단말(200)이 서포트하는 대역폭의 범위로 하면 된다.
또한, 예컨대, NR에서는, 1심볼 또는 2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Short PUCCH와, 3심볼 이상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Long PUCCH가 서포트된다. Long PUCCH에서는, 슬롯 내에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대역 또는 단말(200)이 서포트하는 대역 내의 중심 주파수에 대하여 대칭으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 대역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의 값의 범위는, 시스템 대역 또는 단말(200)이 서포트하는 대역의 대역폭의 반의 범위로 충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역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의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대역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Noffset)를 통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연속하는 PRB 수(MPRB)>
3심볼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를 적용하는 목적은 커버리지의 확장이다. 그 때문에,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 사용의 관점으로부터는, Long PUCCH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시간 영역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Long PUCCH에서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최소 단위를 1PRB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Long PUCCH에서는, 항상, 연속하는 PRB 수(MPRB)=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NR에서는, PUCCH로 송신하는 비트 수에 따라 복수의 PUCCH 포맷을 규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연속하는 PRB 수(MPRB)가 파라미터 X로서 통지되지 않더라도, 단말(200)은, 설정되는 PUCCH 포맷에 의해 연속하는 PRB 수(MPRB)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속하는 PRB 수(MPRB)=2 이상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PRB를 이용한 채널 추정에 의해 PUCCH의 전송 특성의 개선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NR에서는, 연속하는 PRB 수(MPRB)=2 이상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연속하는 PRB 수(MPRB)의 값의 범위로부터 1(1RPB)을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과 같이, 연속하는 PRB 수(MPRB)의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연속하는 PRB 수(MPRB)를 통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다.
<클러스터 수(Ncluster)>
전술한 바와 같이, Long PUCCH에 대하여,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 사용의 관점으로부터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시간 영역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최소 단위를 1PRB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클러스터 수를 증가시키면 송신 전력 대 평균 전력 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Long PUCCH에서는, 항상, 클러스터 수(Ncluster)=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hort PUCCH에서는, Distributed 송신에 의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단,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는, 클러스터 수보다, 클러스터 사이의 주파수 차이가 중요하다. 그 때문에, PUCCH 송신에 있어서 많은 클러스터 수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컨대, 클러스터 수(Ncluster)=4 정도까지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항상, 클러스터 수(Ncluster)=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클러스터 수(Ncluster)를 제한하는 값은 2 또는 4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더라도 좋다.
이들과 같이, 클러스터 수(Ncluster)의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클러스터 수(Ncluster)를 통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다.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 D는, 대역폭 및 연속하는 PRB 수(MPRB)와 관련된 값을 취하는 일이 있다. 예컨대, 대역 내의 PRB 수가 NPRB인 경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 D는, D=NPRB/MPRB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단말(200)은,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 D를 파라미터 X로서 통지하지 않더라도, 대역폭(NPRB)과 연속하는 PRB 수(MPRB)로부터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 D를 통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주파수 영역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를 구성하는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주파수 영역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 수의 추가 삭감,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 X의 후보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2)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를 구성하는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에 대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요구 조건이 상이한 서비스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서브캐리어 간격 등이 상이한 신호 파형을 동일 대역 내에 혼재시키는 Mixed numerology가 검토되고 있다.
또한, NR에서는, PRB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12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Numerology가 주파수 분할 다중(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는 경우, 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RB 그리드는, 도 15에 나타내는 Nested structure로 하는 것이 3GPP에서 합의되어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RB 그리드 번호의 할당은 일례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2에서는,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단말(200)이 혼재하는 경우,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는 2의 거듭제곱으로 설정된다.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를 2의 거듭제곱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Numerology 사이에서, 클러스터와 RB 그리드의 경계를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16에서는,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여기서는, 15㎑)의 단말(200)과, 그 2배의 서브캐리어 간격(30㎑)의 단말(200)이 다중될 때의 RB 그리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일례로서,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의 양쪽을 4PRB(=22)로 하고 있지만, 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 D는, 다른 2의 거듭제곱의 값이더라도 좋고, 각각이 상이한 값이더라도 좋다.
또한,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는, D=NPRB/MPRB로 하면, 대역 내의 PRB 수도 2의 거듭제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준이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기준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를 각각 (MPRB, 0)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 (D0)으로 하고, 단말(200)은, 그 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를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로부터 각각 특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그 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는,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PRB 수(MPRB, 0)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0)와 동일하게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는, 그 외의 서브캐리어 간격=f0×2N(여기서, f0은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는, 각각 MPRB, 0/N 및 D0/N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연속하는 PRB 수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의 주파수 대역폭을,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사이에서 동일하게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를 2의 거듭제곱으로 설정함으로써,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연속하는 PRB 수(MPRB) 및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D)를 상이한 Numerology마다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정보 X를 구성하는 파라미터(D)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1심볼 또는 2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Short PUCCH와, 3심볼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Long PUCCH가 서포트된다.
Short PUCCH에서는, Distributed 송신에 의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Long PUCCH에서는, 슬롯 내에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Long PUCCH에서는, 클러스터 송신(다시 말해, Distributed 송신)을 적용하지 않고 Localized 송신을 적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변형예 3에서는, 기지국(100)은,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사용에 관한 정보(X(0), X(1), …, X(Nx))를 구성하는 파라미터(D)로서, Short PUCCH의 경우와 Long PUCCH의 경우에 상이한 정보를 통지한다.
예컨대,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hort PUCCH에 대해서는, 기지국(100)은, 파라미터(D)에 의해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를 통지한다. 한편,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ng PUCCH에 대해서는, 기지국(100)은, 슬롯 내(또는 슬롯 사이)의 주파수 호핑 거리를 통지한다. 다시 말해, Short PUCCH의 경우에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D는, Long PUCCH의 경우에 주파수 호핑 거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PUCCH의 포맷에 따라 파라미터 D로 통지하는 값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하는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4)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 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1심볼 또는 2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Short PUCCH와, 3심볼 이상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Long PUCCH가 서포트된다.
변형예 4에서는,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B(0), B(1), …, B(NB))의 범위가, Short PUCCH와 Long PUCCH에서 상이하다. 또한,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B(0), B(1), …, B(NB))의 범위는, PUCCH 송신 구간(PUCCH 리소스의 심볼 수)에 따라 상이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7심볼(#0~#6)의 슬롯에 있어서, 1심볼의 Short PUCCH의 경우에 파라미터 B(n)의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0~6이다. 다시 말해, 1심볼의 Short PUCCH의 경우, 슬롯 내의 어느 심볼을 이용하더라도 PUCCH 송신이 가능하다.
한편, 2심볼의 Short PUCCH의 경우에 파라미터 B(n)의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1~6(후미로부터의 개시 위치) 또는 0~5(선두로부터의 개시 위치)이다. 다시 말해, 슬롯 내의 후미 또는 선두의 1심볼을 B(n)의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Long PUCCH의 경우, 최소 심볼 수를 4심볼로 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B(n)의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3~6(후미로부터의 개시 위치) 또는 0~3(선두로부터의 개시 위치)이다. 다시 말해, 슬롯 내의 후미 또는 선두의 3심볼을 B(n)의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 B(n)은, PUCCH 송신 구간(심볼)에 관한 정보(C(0), C(1), …, C(NC))와 관련하여 취할 수 있는 값이 제한되는 일도 있다. 또한, 그 반대로,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C(0), C(1), …, C(NC))가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 B(n)과 관련하여 취할 수 있는 값이 제한되는 일도 있다. 다시 말해, 파라미터 B의 범위와, 파라미터 C가 대응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변형예 4에 의하면,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에 관한 정보 B 또는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 C를 통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 또는, 후보 수를 삭감함으로써, 상위 레이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5)
이하에서는, PUCCH를 송신 가능한 리소스의 집합을 업링크 제어 리소스 세트(Uplink control resource set)로 정의한다. 도 18은 2개의 Uplink Control resource set Y1, Y2가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변형예 5에서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과, Uplink control resource set를 관련시켜, Uplink control resource set마다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상이하게 한다.
예컨대, Long PUCCH 및 Short PUCCH에 대하여, 상이한 Uplink Control resource set Y1 및 Y2가 각각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Long PUCCH의 경우에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이 Y1의 리소스 세트로 구성되고, Short PUCCH의 경우에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이 Y2의 리소스 세트로 구성된다.
또한, NR에서는, 단말 고유의 PDCCH에 더하여, 복수의 단말을 대상으로 한 그룹 공통 다운링크 제어 신호(Group common PDCCH)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Uplink Control resource set의 리소스의 양(예컨대, 심볼 수)을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Group common PDCCH의 Uplink Control resource set의 리소스의 양의 통지와,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Group common PDCCH의 Uplink Control resource set의 리소스의 양 Z1이 통지된 경우에,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이 Y1의 리소스 세트로 구성되고, Group common PDCCH의 Uplink Control resource set의 리소스의 양 Z2가 통지된 경우에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이 Y2의 리소스 세트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구성하는 리소스 세트를 상이하게 하는 요소로서는, 상술한 Long PUCCH/Short PUCCH, Group common PDCCH에 의한 Uplink Control resource set의 리소스의 양의 통지로 한정되지 않고, System Frame Number(SFN), 슬롯 번호, 또는, 업링크 리소스의 양 등이더라도 좋다.
또, control resource set는 "CORESET"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보충>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 고유의 상위 레이어 신호로 통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초기 액세스의 단계(예컨대, 도 9의 ST106 이전의 단계)에서는, PUCCH의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의 통지에 단말 고유의 상위 레이어 신호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초기 액세스의 단계의 PUCCH 리소스 할당에서는,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은, SIB 등의 셀 고유 또는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통지되더라도 좋다.
초기 액세스의 단계에서 필요하게 되는 PUCCH 리소스 할당은,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에 대한 할당이다.
기지국(100)은, SIB 등의 셀 고유 또는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신호(RMSI :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200)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Message 4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할 수 있다.
또, 이때, 복수의 단말(200) 사이에서 동일한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이 통지되기 때문에, 단말(200) 사이에서 PUCCH 리소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단말(200)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막는 구조로서는, PUCCH 리소스를 RNTI, PDCCH 리소스(예컨대, CCE) 또는 PDSCH 리소스와 관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런데, SIB 등의 셀 고유 또는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신호(RMSI)의 오버헤드는 가능한 한 적은 것이 좋다. 그래서,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의 리소스 할당에 대하여, 몇몇의 파라미터(예컨대, PUCCH 송신 구간)를 미리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PUCCH 송신 구간(Long PUCCH를 이용하는지, Short PUCCH를 이용하는지)에 대하여,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는 로버스트 전송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에 대하여 항상 Long PUCCH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의 PUCCH 송신 구간(Long PUCCH를 이용하는지, Short PUCCH를 이용하는지)에 대하여, Message 2 또는 Message 3의 전송 방법에 근거하여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Message 2 또는 Message 3이 슬롯 단위의 전송이면,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에 Long PUCCH를 이용하고, Message 2 또는 Message 3이 비 슬롯 단위의 전송이면, Message 4에 대한 ACK/NACK 신호에 Short PUCCH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운링크의 HARQ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할 때의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상술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은, 다운링크 HARQ의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Aperiodic CSI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방법은, 단말(200)이 업링크의 CSI 측정을 위해 기지국(100)에 송신하는 Aperiodic SRS에 대한 리소스 할당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7 및 도 8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다운링크 HARQ의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PUCCH 리소스 할당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Aperiodic CSI 또는 Aperiodic SRS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리소스 할당 방법이 적용 가능한 것에 대하여 언급했다.
한편, PUCCH는, CSI(periodic CSI) 또는 SR 등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또한, SRS(periodic SRS)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주기적인 송신이 있다.
이들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에 대해서는, PDCCH에 의한 동적인 단말(200)로의 통지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말(200)은,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통지하고, DCI에 의해 실제로 송신하는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특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리소스에 대해서는, 기지국(100)은, 실제로 송신하는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단말(200)에 대하여 사전에 하나 또는 복수 통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컨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의 종류 또는 슬롯 내의 업링크 심볼 수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준정적으로 통지(설정)된 리소스가 업링크 리소스가 아니게 되어 버려, 단말(200)이 업링크 제어 신호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9에서는, PRB #0 및 심볼 #5의 리소스가 업링크 리소스로서 준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은, 그 리소스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있었지만, 어느 타이밍에 PRB #0 및 심볼 #5의 리소스가 갭(gap)으로 설정되고, 준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있다.
그런데, 기지국(100)은,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슬롯의 종류 또는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의 양(심볼 수 등)을 단말(200)에 통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말(200)은, Group common PDCCH를 수신ㆍ복호하는 것에 의해,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준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던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준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던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그 리소스를 사용하여 주기적인 업링크 제어 신호(CSI, SRS, SR)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200)은, 준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던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하의 방법 1, 2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방법 1>
단말(200)은, 주기적인 신호의 송신을 드롭(비송신)한다. 여기서, 주기적인 신호는, 일부의 송신이 누락되더라도 특성에 큰 영향이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이 업링크 리소스가 아닌 심볼로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그 리소스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이 송신하는 신호로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방법 2>
단말(200)은, Group common PDCCH로부터 얻어지는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특정한다. 예컨대,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업링크의 심볼 수 NUL이 통지되고 있는 경우, 단말(200)은, 심볼 위치 B(n)을, B(n) mod NUL에 의해 특정한다. 이 방법에서는, 주기적인 신호를 드롭할 필요가 없어진다.
일례로서, 심볼 위치 B(n)으로서 슬롯의 후미로부터 3심볼이 통지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심볼 수 NUL로서 슬롯 내의 후미 2심볼이 통지될 때, 심볼 위치 B(n)은 업링크 리소스가 아니게 된다. 이 경우, 단말(200)은, B(n) mod NUL에 의해, 슬롯의 후미로부터 1심볼을 심볼 위치 B(n)으로서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슬롯 내의 업링크 심볼 수가 동적으로 변화한 경우에도, 단말(200)은, 변화 후의 업링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CSI(periodic CSI) 또는 SR 등의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에 대하여 PUCCH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7 및 도 8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에 할당되는 업링크 리소스에 대하여, 슬롯의 종류 또는 슬롯 내의 업링크 심볼 수가 동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준정적으로 통지된 리소스가 업링크 리소스가 아니게 되어 버려, 그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예컨대, 도 19를 참조)에 대하여 설명했다.
한편,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주기적인 신호(ACK/NACK 신호, Aperiodic CSI, Aperiodic SRS 등)를 송신하는 리소스에 대해서도 슬롯의 종류 또는 슬롯 내의 업링크 심볼 수가 동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준정적으로 통지된 Resource configuration의 모두가 업링크 리소스가 아니게 되어 버려, 그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단말(200)은, 실시의 형태 2의 방법 1과 같이, 비주기적인 신호(특히 ACK/NACK 등)를 드롭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이하의 방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기지국(100)은, 단말(200)에 대하여, 단말 고유의 PDCCH 등을 이용하여 Group common PDCCH를 수신ㆍ복호하는 것을 지시한다. 단, 단말(200)이 항상 Group common PDCCH를 수신ㆍ복호하는 경우에는 기지국(100)의 이 지시는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단말(200)은, Group common PDCCH를 수신ㆍ복조하고,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Group common PDCCH로부터 얻어지는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특정한다. 예컨대, 단말(200)은,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업링크의 심볼 수 NUL이 통지되고 있는 경우, 심볼 위치 B(n)을, B(n) mod NUL에 의해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비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가 슬롯의 종류 또는 슬롯 내의 업링크 심볼 수가 동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단말(200)은, 비주기적인 신호를 드롭하는 일 없이, 그 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특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7 및 도 8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업링크 제어 신호(예컨대,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하여,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및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말했다.
그런데, NR은, 슬롯 단위의 전송(Slot-based transmission 또는 PDSCH mapping type A라고도 부른다), 및, 비 슬롯 단위의 전송(Non-slot-based transmission, mini-slot-based transmission 또는 PDSCH mapping type B라고도 부른다)을 서포트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슬롯 단위의 전송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a에서는, 슬롯 n의 심볼 #0 및 #1에 매핑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의해, 슬롯 n의 심볼 #2~#13에 매핑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PDSCH)이 스케줄링되고 있다. 또한, 도 20a에 나타내는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는, 도 20b에 나타내는 슬롯 n+k의 PUCCH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여기서, k는 0 이상의 정수이다.
도 21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1에서는, 슬롯 n의 심볼 #4 및 #5에 매핑된 PDCCH에 의해, 슬롯 n의 심볼 #6 및 #7에 매핑되는 PDSCH가 스케줄링되고 있다. 또한, 도 21에서는,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는 슬롯 n의 심볼 #12 및 #13의 PUCCH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 여기서는, PDCCH를 송신 가능한 리소스의 집합을 다운링크 제어 리소스 세트(Downlink control resource set, DL CORESET)로 정의한다.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DL CORESET는 항상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된다. 한편,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DL CORESET는 슬롯 내의 어느 심볼에도 매핑될 수 있다. 예컨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있어서도,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될 수 있다.
단말은,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된 경우, 그 DL CORESET가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인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인지를 구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되는 경우는, 그 DL CORESET가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인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통지가 이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한편,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 이외에 매핑되는 경우에는, 단말은, 그 DL CORESET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라고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인 시간 영역 리소스에 대하여, 슬롯 위치의 통지가 중요하고, 슬롯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할당 가능한 것이 필요하다. 한편,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인 시간 영역 리소스에 대하여, 슬롯 위치보다, 심볼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할당 가능하여야 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롯 단위의 전송과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인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및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의 통지 방법을 상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에,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기지국(100)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200)에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한다. 이때,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에는, 예컨대,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가 포함된다. 한편, 기지국(100)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에 관한 파라미터(설정)를, 상기 리소스 설정과는 독립적으로 단말(200)에 통지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슬롯(슬롯의 위치)을 하나 선택한다.
한편,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에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및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의 양쪽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이때,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시간 영역 리소스에 관한 정보로서, 슬롯에 관한 정보가 필요 없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은, 상기 리소스 설정에 있어서, 시간 영역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심볼 단위로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되는 경우, PDCCH의 블라인드 복호의 횟수를 줄이기 위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슬롯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의 통지에 있어서,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CI의 사이즈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CI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하면 된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적어도,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되는 경우에는,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CI의 사이즈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CI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100)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비트의 DCI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통지하더라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단위의 전송(PDSCH mapping type A)에서는, X비트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다른 파라미터와는 독립적으로 단말(200)에 통지되는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고, Y비트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비 슬롯 단위의 전송(PDSCH mapping type B)에서는, X+Y비트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100)은,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슬롯 위치를 다른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와 독립하여 단말(200)에 통지함으로써, 슬롯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는, 예컨대, PUCCH 리소스를 심볼 단위로 통지함으로써, 심볼 위치를 보다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PUCCH 리소스 할당에 관하여, 슬롯 단위의 전송 및 비 슬롯 단위의 전송 각각에 적합한 유연한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또는 심볼 위치)의 할당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슬롯 단위의 전송과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 DCI 사이즈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되는 경우에도 단말(200)에 있어서의 PDCCH의 블라인드 복호의 횟수를 늘릴 필요가 없다.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
실시의 형태 4에서는,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에 매핑되는 경우에, 슬롯 단위의 전송과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서 DCI 사이즈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100)이, X+Y비트의 DCI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를 선택/통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한편, DL CORESET가 슬롯 선두의 2 또는 3심볼 이외에 매핑되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그 DL CORESET가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비 슬롯 단위의 전송은,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용도에 이용되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DCI 사이즈를 가능한 한 작게 하면 된다.
그래서,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로서, DL CORESET가 슬롯 내의 2 또는 3심볼 이외에 매핑되는 경우, 비 슬롯 단위의 전송에 대한 DL CORESET에 대해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Y비트의 DCI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통지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DCI 사이즈를 작게 하여, 부호화율을 향상시키고, PDCCH의 전송 품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7 및 도 8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PUCCH 리소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슬롯 내의 심볼 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롯의 종류(Downlink centric slot, Uplink centric slot, Downlink only slot 및 Uplink only slot 등)에 의존한다. 단말은, 슬롯의 종류(다운링크 심볼 수 또는 업링크 심볼 수 등)를 이하에 나타내는 통지의 어느 하나에 의해 알 수 있다.
1번째는 Semi-static configuration(또는 Semi-static DL/UL configuration이라고 부른다)이다. Semi-static configuration은, RRC 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2번째는, SFI(Slot Format Indicator)이다. SFI는, 그룹 공통 다운링크 제어 신호(Group common PDCCH)에 의해 통지된다. 3번째는 UE-specific assignment이다. UE-specific assignment는 단말 고유의 DCI에 의해 통지된다.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 중,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도 UE-specific assignment의 하나이다.
예컨대, 단말이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의 송신 구간 및 심볼 위치를,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로부터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RRC 신호에 의해 설정하는 PUCCH 송신 구간(심볼 수)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인 수치(예컨대 C심볼(C=1~14) 등)에 한하지 않더라도 좋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한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에 있어서, PUCCH 송신 구간 및 심볼 위치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단말(200)에 통지하지 않고, 단말(200)이,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로부터 PUCCH 송신 구간 및 심볼 위치를 암시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한다.
기지국(100)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200)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때,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중,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에 관한 파라미터 및 PUCCH 송신 구간(심볼 수)에 관한 파라미터 중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하여, 기지국(100)은, 구체적인 수치가 아닌, 예컨대, "Semi-static configuration에 따른다" 또는 "SFI에 따른다" 등의 커맨드를 통지한다.
단말(200)은, DCI에 의해 통지된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에 대하여,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에 관한 파라미터 및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파라미터의 한쪽 또는 양쪽이 "Semi-static configuration에 따른다" 또는 "SFI에 따른다"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RRC 신호에 의해 통지된 Semi-static configuration에 의해 얻어지는 업링크 심볼 또는 SFI에 의해 통지된 업링크 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에는, 슬롯 내의 심볼 위치 또는 심볼 수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수치가 포함되지 않고, 단말(200)은, PUCCH 리소스의 심볼 위치 또는 심볼 수를 나타내는 수치를, 슬롯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인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에 의해 취득한다.
또,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커맨드는, "Semi-static configuration에 따른다" 또는 "SFI에 따른다"를 나타내는 커맨드에 한하지 않고, "슬롯 내 모든 UL 심볼" 또는 "슬롯 내 모든 UL 심볼-X심볼" 등을 나타내는 커맨드이더라도 좋다. 여기서, X심볼은, 셀 고유의 준정적인 값이더라도 좋고, SFI 또는 UE-specific assignment에 의해 통지되는 값이더라도 좋다. 또한, X는, 1~6심볼의 범위로 하더라도 좋다.
도 24a는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내고, 도 24b는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DCI 비트와 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b에서는,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에 관한 파라미터 B 및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파라미터 C에 대하여, 암시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커맨드 "슬롯 내 모든 UL 심볼"이 통지된다. 또, PUCCH의 리소스 설정은, 도 24b에 나타내는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에 관한 파라미터 B 및 PUCCH 송신 구간에 관한 파라미터 C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치가 설정되는 조합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도 24b의 경우, 단말(200)은,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를,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로부터 얻어지는 슬롯 내의 선두의 UL 심볼이라고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4a에서는,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에 의해, PUCCH 리소스는 슬롯 n의 심볼 #8~#13인 것이 단말(200)에 통지되고 있다. 그래서, 단말(200)은, 슬롯 n 내의 선두의 UL 심볼인 심볼 #8을, 할당된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로서 결정한다.
또한, 도 24b의 경우, 단말(200)은, PUCCH 송신 구간도,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로부터 얻어지는 슬롯 내의 UL 심볼로부터 결정한다. 예컨대, 도 24a에서는, 단말(200)은, 슬롯 n 내의 PUCCH 리소스인 심볼 #8~#13의 6심볼을, 할당된 PUCCH 송신 구간(심볼 수)으로서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PUCCH 리소스의 일부의 파라미터(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및 PUCCH 송신 구간)에 대하여, 리소스의 명시적인 통지가 필요 없게 되기 때문에, PUCCH 리소스 통지를 위한 DCI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는, PUCCH 리소스 통지를 위한 DCI 비트 수가 동일한 경우(고정치인 경우)에는, 파라미터의 조합에 대하여,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및 PUCCH 송신 구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다른 파라미터에 대하여 DCI 비트 수의 할당이 증가하므로, 다른 파라미터를 보다 유연하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하여 암시적 통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UE-specific assignment에 의해 PUCCH의 시간 영역 리소스가 결정된다. 기지국(100)은,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와, UE-specific assignment의 양쪽을 단말(200)에 통지하고 있는 경우, 각각의 통지의 우선도를 제어할 수 없고, 항상 UE-specific assignment가 우선된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100)은,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와, UE-specific assignment의 양쪽을 단말(200)에 통지하고 있는 경우, 슬롯의 종류를 나타내는 복수의 통지(Semi-static configuration/SFI 및 UE-specific assignment)의 우선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지국(100)은,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중,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통지하는 DCI에 있어서,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또는 PUCCH 송신 구간(심볼 수)에 관한 파라미터로서, 구체적인 수치를 포함시키는 경우(다시 말해, UE-specific assignment에 의한 통지)에는, UE-specific assignment의 우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중,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통지하는 DCI에 있어서,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또는 PUCCH 송신 구간(심볼 수)에 관한 파라미터로서, Semi-static configuration/SFI를 참조시키는 상기 커맨드를 포함시키는 경우(다시 말해, 암시적 통지)에는, Semi-static configuration/SFI 통지의 우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
실시의 형태 5에서는, 단일 슬롯에서 PUCCH가 송신되는 경우(예컨대, 도 24a를 참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NR에서는, 복수 슬롯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할 수도 있다. 복수 슬롯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경우, PUCCH를 송신하는 복수의 슬롯 사이에서 슬롯의 종류(슬롯 내의 UL 심볼의 수)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에서는, 복수 슬롯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0)은,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및 PUCCH 송신 구간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 5와 마찬가지로, Semi-static configuration에 의해 얻어지는 업링크 심볼 또는 SFI에 의해 통지된 업링크 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200)은,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UE-specific assignment(다시 말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및 PUCCH 송신 구간)에 의해 통지된 업링크 심볼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한다.
또한, 이때, Semi-static configuration에 의해 얻어지는 업링크 심볼, 또는 SFI에 의해 통지된 업링크 심볼 수가 4심볼보다 적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NR에서는, 복수 슬롯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은 Long PUCCH뿐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Semi-static configuration에 의해 얻어지는 업링크 심볼, 또는 SFI에 의해 통지된 UL 심볼 수가 4심볼보다 적은 경우에는, 단말(200)은, PUCCH의 송신을 드롭 또는 연기하더라도 좋다.
도 25a~도 25d는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슬롯 n~슬롯 n+3의 PUCCH 리소스의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즉, 도 25a~도 25d는 단말(200)이 4슬롯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a~도 2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각 슬롯에 대한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에 의해 통지된 UL 심볼(심볼 위치 및 심볼 수)에 근거하여, 도 24a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슬롯에 있어서 단말(200)에 할당된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25a~도 2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UCCH를 송신하는 복수의 슬롯 사이에서 슬롯의 종류(슬롯 내의 UL 심볼의 수)가 상이한 경우에도, 단말(200)은, 슬롯마다 할당된 PUCCH 리소스를 특정할 수 있다.
복수 슬롯의 PUCCH 송신에서는, 각각의 슬롯에 대하여, PUCCH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리소스 할당의 오버헤드를 증가시켜 버린다. 이것에 비하여, 실시의 형태 5의 변형예에 따르면, 단말(200)은, Semi-static configuration 또는 SFI에 의해 각 슬롯의 PUCCH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리소스 할당의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슬롯 내의 UL 심볼의 수가 상이한 슬롯을 이용하여 PUCCH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단말(200)은 UL 심볼을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리소스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7 및 도 8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업링크 제어 신호(예컨대,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하여,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시간 영역 리소스(슬롯) 및 시간 영역 리소스(심볼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말했다.
한편, 실시의 형태 5에서 말한 바와 같이, PUCCH 리소스의 일부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리소스의 명시적인 통지를 없앰으로써, PUCCH 리소스 통지를 위한 DCI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는, DCI 비트 수가 동일한 경우(고정치인 경우)에는, 파라미터의 조합에 대하여, 일부의 파라미터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다른 파라미터를 보다 유연하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UCCH 리소스의 일부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암시적으로 통지하는 기능을 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100)은, 상위 레이어 신호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을 단말(200)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한 PDCCH의 DCI의 몇몇 비트에 의해, 실제로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파라미터의 조합을 하나 선택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때,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Semi-static resource configuration)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암시적으로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컨대, 암시적으로 통지하는 기능이 더해지는 파라미터로서는, 주파수 리소스에 관한 정보 또는 부호 리소스(사이클릭 시프트 또는 시간 영역 직교 부호(OCC))에 관한 정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암시적으로 통지하는 기능이 더해지는 파라미터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암시적으로 통지하는 기능으로서는, DCI에 의해 통지된 파라미터에 대하여 추가의 오프셋을 더하는 방법이 있다. 추가의 오프셋으로서, 예컨대, 단말(200)의 식별자(C-RNTI :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단말(200)에 대하여 사용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에 근거하여, C-RNTI mod X 또는 CCE mod X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CCE 대신에 PDSCH 리소스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X의 값은, 고정의 값, 또는 RRC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값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 26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 설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6에서는, PUCCH 리소스 #0~#7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명시적 통지만의 경우(Explicit indication)에 8개의 PUCCH 리소스 #0~#7을 3비트의 DCI로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Explicit+Implicit)에서는, 기지국(100)은, 예컨대, 8개의 PUCCH를 1비트로 통지하고, 단말(200)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암시적 통지(예컨대, 추가의 오프셋)로 피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6에서는, 기지국(100)은, 8개의 PUCCH 리소스 #0~#7(후보치)을 PUCCH 리소스 #0~#3과 PUCCH 리소스 #4~#7로 그룹화하고, 1비트의 DCI를 이용하여, 복수(2개)의 그룹 중 어느 하나(nDCI)를 단말에 명시적으로 통지한다. 그리고, 단말(200)은, 1비트의 DCI에 의해 통지되는 nDCI에 대하여 추가의 오프셋(CCE mod 4)을 더하여 PUCCH 리소스를 암시적으로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100)은, PUCCH 리소스 #0~#7에 대하여, 단말(200)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피하여, PUCCH 리소스를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그 파라미터의 복수의 후보치를 그룹화한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DCI(명시적 통지)와, 단말(200)마다 설정되는 오프셋(암시적 통지)에 의해 단말(200)에 통지된다.
이것에 의해, PUCCH 리소스의 일부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DCI에 의한 리소스의 명시적인 통지가 필요 없게 되거나, 또는 적어지기 때문에, PUCCH 리소스 통지를 위한 DCI 비트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는, DCI 비트 수가 동일한 경우(고정치의 경우)에는, 파라미터의 조합에 대하여, 일부의 파라미터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또는 통지하기 위한 비트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다른 파라미터에 대하여 DCI 비트 수의 할당이 증가하므로, 다른 파라미터를 보다 유연하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협력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해 제어되더라도 좋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더라도 좋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또한,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지국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회로와, 상기 복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조합을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슬롯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상기 슬롯 내의 심볼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심볼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는, 대역의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오프셋 값,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 수, 클러스터 수, 상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시스템 대역 중, 상기 단말이 서포트하는 상기 대역의 끝으로부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오프셋 값의 범위는, 시스템 대역 중, 상기 단말이 서포트하는 상기 대역의 대역폭의 범위이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의 범위는, 상기 대역의 반의 범위이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리소스 블록 수는 1이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 수는, 상기 PUCCH의 포맷에 대응되어 있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클러스터 수는 1이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는, 상기 대역의 대역폭과 상기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 수로부터 특정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 수 및 상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는 2의 거듭제곱이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동일 대역에 설정되는 경우, 제 1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상기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 수 및 상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는, 제 2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상기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 수 및 상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로부터 각각 특정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클러스터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주파수 호핑의 거리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의 심볼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범위는,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와,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이하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의 심볼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범위와, 상기 PUCCH 리소스의 상기 심볼 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대응되어 있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업링크의 복수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대하여, 상이한 상기 리소스 설정이 대응되어 있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설정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제어 리소스 세트 중, 상기 PUCCH의 포맷에 대응된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에 근거하여 구성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리소스 세트의 리소스의 양이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통지되고, 상기 Group common PDCCH에 의해 통지되는 상기 리소스의 양에 대하여 상기 상이한 리소스 설정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슬롯 단위의 제 1 전송 방법, 및, 비 슬롯 단위의 제 2 전송 방법 중 어느 한쪽이 설정되고, 상기 제 1 전송 방법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심볼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송신기는, 슬롯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상기 리소스 설정과는 독립하여 상기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제 2 전송 방법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상기 슬롯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상기 슬롯 내의 심볼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설정에는, 슬롯 내의 심볼 위치 또는 심볼 수를 나타내는 수치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심볼 위치 또는 상기 심볼 수를 나타내는 수치는, 상기 슬롯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그 파라미터의 복수의 후보치를 그룹화한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동적 시그널링과, 상기 단말마다 설정되는 오프셋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된다.
본 개시의 단말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복수의 조합 중, 상기 동적 시그널링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PUCCH 리소스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통신 방법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 중에서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조합을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한다.
본 개시의 통신 방법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리소스 설정을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 중, 상기 동적 시그널링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PUCCH 리소스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 기지국
101, 209 : 제어부
102 : 데이터 생성부
103, 107, 110, 211, 214 : 부호화부
104 : 재송 제어부
105, 108, 111, 212, 215 : 변조부
106 : 상위 제어 신호 생성부
109 :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
112, 217 : 신호 할당부
113, 218 : IFFT부
114, 219 : 송신부
115, 201 : 안테나
116, 202 : 수신부
117, 203 : FFT부
118, 204 : 추출부
119 : CSI 복조부
120 : SRS 측정부
121 : 복조ㆍ복호부
122 : 판정부
200 : 단말
205 :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
206 : 상위 제어 신호 복조부
207 :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
208 : 오류 검출부
210 : CSI 생성부
213 : ACK/NACK 생성부
216 : SRS 생성부

Claims (34)

  1.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개시 심볼 및 심볼 수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는, 하나 또는 2개의 심볼을 이용하는 short PUCCH와, 4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 사이에서 상이하고,
    상기 PUC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블록의 수는,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리소스 블록의 수는, 고정되어 있는,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 블록의 개시 위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블록의 개시 위치는, 대역의 끝으로부터의 오프셋 값으로서 나타내어지는,
    기지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시스템 대역폭 중, 상기 단말이 서포트하는 대역폭의 범위인,
    기지국.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와, 상기 심볼 수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대응되어 있는,
    기지국.
  8. 제 1 항에 있어서,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상기 조합을 상기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기지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합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 준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되고,
    상기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서, 상기 단말에 송신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단말 고유인,
    기지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PUCCH 리소스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이용된 리소스에 관련시킨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셀 고유 또는 단말 그룹 고유인,
    기지국.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복수의 단말에 대해서,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심볼에 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가, 상기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심볼이 아닌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는 송신되지 않는,
    기지국.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인,
    기지국.
  16.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를 구비하는 단말로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개시 심볼 및 심볼 수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는, 하나 또는 2개의 심볼을 이용하는 short PUCCH와, 4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 사이에서 상이하고,
    상기 PUC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블록의 수는,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단말은 상기 소정의 PUCCH 포맷에 의해 상기 리소스 블록의 수를 결정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 블록의 개시 위치를 포함하는,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블록의 개시 위치는, 대역의 끝으로부터의 오프셋 값으로서 나타내어지는,
    단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시스템 대역폭 중, 상기 단말이 서포트하는 대역폭의 범위인,
    단말.
  20. 삭제
  21. 삭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와, 상기 심볼 수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대응되어 있는,
    단말.
  23. 제 16 항에 있어서,
    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상기 조합이 설정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는,
    단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합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 준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되고,
    상기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서, 수신되는,
    단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단말 고유인,
    단말.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PUCCH 리소스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이용된 리소스에 관련시킨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셀 고유 또는 단말 그룹 고유인,
    단말.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심볼에 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가, 상기 업링크에 사용 가능한 심볼이 아닌 경우,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단말.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인,
    단말.
  31.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개시 심볼 및 심볼 수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는, 하나 또는 2개의 심볼을 이용하는 short PUCCH와, 4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 사이에서 상이하고,
    상기 PUC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블록의 수는,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리소스 블록의 수는, 고정되어 있는,
    통신 방법.
  32.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개시 심볼 및 심볼 수를 포함하고,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는, 하나 또는 2개의 심볼을 이용하는 short PUCCH와, 4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 사이에서 상이하며,
    상기 PUC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블록의 수는,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소정의 PUCCH 포맷에 의해 상기 리소스 블록의 수가 결정되는,
    통신 방법.
  33.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개시 심볼 및 심볼 수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는, 하나 또는 2개의 심볼을 이용하는 short PUCCH와, 4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 사이에서 상이하고,
    상기 PUC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블록의 수는,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리소스 블록의 수는, 고정되어 있는,
    집적 회로.
  34.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관한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는, PUCCH 송신에 이용하는 개시 심볼 및 심볼 수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심볼의 값의 범위는, 하나 또는 2개의 심볼을 이용하는 short PUCCH와, 4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는 long PUCCH 사이에서 상이하고,
    상기 PUCCH 송신을 위한 리소스 블록의 수는, 소정의 PUCCH 포맷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소정의 PUCCH 포맷에 의해 상기 리소스 블록의 수가 결정되는,
    집적 회로.
KR1020197026915A 2017-03-23 2018-01-29 기지국, 단말,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572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7802 2017-03-23
JP2017057802 2017-03-23
JPJP-P-2017-221981 2017-11-17
JP2017221981 2017-11-17
PCT/JP2018/002725 WO2018173483A1 (ja) 2017-03-23 2018-01-29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645A KR20190128645A (ko) 2019-11-18
KR102572373B1 true KR102572373B1 (ko) 2023-08-29

Family

ID=6358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915A KR102572373B1 (ko) 2017-03-23 2018-01-29 기지국, 단말,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1432268B2 (ko)
EP (2) EP3979740A1 (ko)
JP (2) JP7206185B2 (ko)
KR (1) KR102572373B1 (ko)
CN (2) CN110463305B (ko)
AU (1) AU2018238318B2 (ko)
BR (1) BR112019016812A2 (ko)
MX (1) MX2019009707A (ko)
RU (1) RU2757290C2 (ko)
WO (1) WO2018173483A1 (ko)
ZA (1) ZA201905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2045B2 (en) 2017-03-24 2021-08-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191923A1 (zh) * 2017-04-20 2018-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周期上行信息/信号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1212046B2 (en) * 2017-05-02 2021-12-2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8809505B (zh) * 2017-05-05 2019-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1445483B2 (en) * 2017-08-01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definition and mapping to user equipment
JP6477997B1 (ja) 2017-08-01 2019-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基地局
KR20190027705A (ko) * 2017-09-07 2019-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11252721B2 (en) * 2017-11-02 2022-02-15 Nokia Technologies Oy Slot format indication to a UE group in a cell of a base station
US10798733B2 (en) * 2018-02-15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Long PUCCH design for slots with varying duration of uplink and for dynamic time division duplexing
US11546924B2 (en) * 2018-04-27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Group physical control channel for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s
US11089555B2 (en) 2019-01-07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figuration of operation power parameters
US11844100B2 (en) * 2019-03-12 2023-12-12 Nec Corporation Virtual radio access network control
CN111818657B (zh) * 2019-07-04 2022-06-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发送丢弃方法、上行发送丢弃配置方法及相关设备
JP2022541754A (ja) * 2019-07-12 2022-09-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WO2021014713A1 (ja) * 2019-07-25 2021-01-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及び送信方法
CN115315006B (zh) * 2020-01-19 2024-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装置、终端、非易失性存储介质
CN114374485A (zh) * 2020-10-14 2022-04-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半静态调度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0021B2 (en) * 2008-07-31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reduction for terminals operating on neighboring 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84883B2 (en) * 2009-03-31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to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20115526A1 (en) 2009-08-07 2012-05-10 Panasonic Corporatio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A2786954C (en) * 2010-01-07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indexing for acknowledgement signals in response to receptions of multiple assignments
DK2849381T3 (en) 2010-08-20 2017-07-03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PUCCH format 3 resources
RU2573639C2 (ru) * 2011-01-05 2016-01-27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эйшн оф Америка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US8693420B2 (en) * 2011-08-10 2014-04-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nd transmitting uplink reference signals
RU2705224C2 (ru) * 2011-10-03 2019-11-06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Одновременное сообщение ack/nack и информации состояния кана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сурсов формата 3 pucch
KR20140090533A (ko) * 2012-12-20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장치 및 방법
KR102628142B1 (ko) * 2016-03-30 2024-01-2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Lte 네트워크의 물리 채널에서의 레이턴시 감소
JP2019125816A (ja) * 2016-05-12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10581584B2 (en) * 2016-09-30 2020-03-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R PUCCH coverage extension
US10708938B2 (en) * 2016-10-31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UL control channels with dynamic structures
DE112017004435T5 (de) 2016-11-02 2019-06-27 Intel IP Corporation Benutzerausrüstung (ue), entwickelter knoten-b (enb) und verfahren zur signalisierung von new radio- (nr) zuordnungen auf dem physischen uplink-steuerkanal (pucch)
EP3556161A4 (en) 2016-12-13 2020-06-24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S, USER DEVICES AND RELATED COMMUNICATION PROCEDURES
CN108541362B (zh) * 2017-01-05 2021-09-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无线设备和网络节点
US10841904B2 (en) * 2017-02-02 2020-11-17 Sharp Kabushiki Kaisha Shor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design for 5th generation (5G) new radio (NR)
JP7100012B2 (ja) * 2017-02-24 2022-07-1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20180107686A (ko) * 2017-03-22 201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9092823A1 (ja) * 2017-11-08 2019-05-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1394*
3GPP R1-1701956
3GPP R1-17023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5605B2 (en) 2023-10-10
JPWO2018173483A1 (ja) 2020-01-30
US20220361165A1 (en) 2022-11-10
CN110463305B (zh) 2023-05-02
WO2018173483A1 (ja) 2018-09-27
EP3606229B1 (en) 2022-03-02
MX2019009707A (es) 2019-10-02
CN110463305A (zh) 2019-11-15
RU2757290C2 (ru) 2021-10-12
JP7206185B2 (ja) 2023-01-17
US20190380125A1 (en) 2019-12-12
KR20190128645A (ko) 2019-11-18
JP2022110162A (ja) 2022-07-28
AU2018238318B2 (en) 2022-03-17
US20230413273A1 (en) 2023-12-21
EP3606229A4 (en) 2020-03-18
ZA201905625B (en) 2021-01-27
EP3606229A1 (en) 2020-02-05
JP7372393B2 (ja) 2023-10-31
CN116707737A (zh) 2023-09-05
RU2021121732A3 (ko) 2022-03-17
RU2019128193A (ru) 2021-04-23
RU2019128193A3 (ko) 2021-06-08
RU2021121732A (ru) 2021-09-23
BR112019016812A2 (pt) 2020-04-07
US11432268B2 (en) 2022-08-30
EP3979740A1 (en) 2022-04-06
AU2018238318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373B1 (ko) 기지국, 단말,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AU201821531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2625490B1 (ko) 단말, 통신 방법, 집적 회로 및 기지국
KR102473793B1 (ko) 통신 단말 및 송신 방법
US20230209558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0061900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WO2018203438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KR2008006650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JP7315771B2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RU2776435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связи
JP7285357B2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RU2773239C1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связи
JPWO2017217182A1 (j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JP2018110279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