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40B1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40B1
KR102572340B1 KR1020180097411A KR20180097411A KR102572340B1 KR 102572340 B1 KR102572340 B1 KR 102572340B1 KR 1020180097411 A KR1020180097411 A KR 1020180097411A KR 20180097411 A KR20180097411 A KR 20180097411A KR 102572340 B1 KR102572340 B1 KR 10257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rrier rib
connection
rib portion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061A (ko
Inventor
김시광
고민석
김태균
양용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340B1/ko
Priority to CN201910754648.0A priority patent/CN110854150A/zh
Priority to US16/544,044 priority patent/US11101257B2/en
Publication of KR2020002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66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를 커버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상기 제1 격벽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2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신뢰성 및 제조 수율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극 위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전극과는 별개로 형성된 발광 소자를 전극에 연결할 수도 있다. 발광 소자가 별도로 형성된 후 전극과 연결되는 경우, 발광 소자를 전극 위에 정렬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발광 소자가 전극 위에 제대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 해당 발광 소자는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뢰성 및 제조 수율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를 커버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상기 제1 격벽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2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격벽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격벽부를 커버하고,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제1 거리와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제2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1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2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돌출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돌출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돌출 전극부와 상기 제2 돌출 전극부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연장 전극부와 상기 제2 연장 전극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제2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 각각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 각각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 각각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 각각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단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단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각각의 최외곽 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베이스층 위에 화소 회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회로를 커버하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에 예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제1 격벽부, 제2 격벽부, 및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격벽부를 커버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격벽부를 커버하는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절연층 위에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 절연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차광부 및 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이 형성될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차광부, 투광부, 및 반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가 형성될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반 투광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이 형성될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2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연결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2 연결 격벽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이격 거리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격벽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와 상기 제2 연결 격벽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상기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1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2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전극부 및 상기 제2 돌출 전극부 각각은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와 상기 제2 연결 격벽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격벽부 및 제2 격벽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부들, 제1 격벽부 및 제2 격벽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또한, 제1 전극은 제1 연장 전극부 및 제1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제2 전극은 제2 연장 전극부 및 제2 돌출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 전극부들은 복수의 연결부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복수의 연결 격벽부, 제1 돌출 전극부, 및 제2 돌출 전극부에 의해 발광 소자의 배열 방향과 발광 소자의 배열 위치가 제어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 수율 및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I-I`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II-II`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III-III`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IV-IV`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II-II`을 절단한 부분과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11a는 도 8에 도시된 V-V`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11b는 도 8에 도시된 V-V`을 절단한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제1 격벽부, 제2 격벽부 및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제1 격벽부, 제2 격벽부 및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정렬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 영역(DA)이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에 제공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은 휘어진 면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 장치(DD)가 텔레비전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표시 장치(DD)는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신호 제어부(TC,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구동부(DDV), 및 스캔 구동부(GDV)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TC), 데이터 구동부(DDV) 및 스캔 구동부(GDV) 각각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초소형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초소형 발광 소자 표시 패널(DP)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 패널(DP)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SLn) 및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S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은 화소들(PX) 각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 패널(DP)의 평면 상에서 일정한 규칙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주요색(primary color) 중 하나 또는 혼합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요색은 레드, 그린, 및 블루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혼합색은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화이트 등 다양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화소들(PX)이 표시하는 색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제어부(TC)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수신한다. 신호 제어부(TC)는 영상 데이터(RGB)를 표시 패널(DP)의 동작에 부합하도록 변환하여 변환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고, 변환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DDV)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TC)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S)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CS)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메인 클럭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TC)는 제1 제어 신호(CONT1)를 데이터 구동부(DDV)로 제공하고, 제2 제어 신호(CONT2)를 스캔 구동부(GDV)로 제공한다. 제1 제어 신호(CONT1)는 데이터 구동부(DDV)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고, 제2 제어 신호(CONT2)는 스캔 구동부(GDV)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신호 제어부(TC)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해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독립된 집적 회로로 구현되어서 표시 패널(DP)의 일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DDV)는 단일 칩으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GDV)는 신호 제어부(TC)로부터 수신한 제2 제어 신호(CONT2)에 응답해서 스캔 라인들(SL1-SLn)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GDV)는 표시 패널(DP)의 소정 영역에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구동부(GDV)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캔 구동부(GDV)는 독립된 집적 회로 칩으로 구현되어 표시 패널(DP)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SLn) 중 하나의 스캔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이 인가된 동안 이에 연결된 한 행의 화소들 각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된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구동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1-DLm)로 제공한다. 데이터 라인들(DL1-DLm)로 공급된 데이터 구동 신호들은 턴-온 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해당 화소에 인가된다. 데이터 구동 신호들은 영상 데이터들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들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화소들(PX) 중 일 화소(PX, 이하 화소)의 등가 회로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PX)는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라인들 중 스캔 라인(SL), 데이터 라인(DL), 제1 전원 라인(PL1), 및 제2 전원 라인(PL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는 다양한 신호 라인들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PX)는 발광 소자(ED),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및 화소 회로(PX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PXC)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AP),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화소 회로(PXC)가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수가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소 회로(PXC)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1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화소(PX)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스캔 라인(SL)을 통해 전달된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커패시터(CAP)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와 제1 전원 라인(PL1)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AP)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와 제1 전원 라인(PL1)에 인가된 제1 전원전압(ELVDD)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하량을 충전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AP), 및 발광 소자(ED)에 연결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발광 소자(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커패시터(CAP)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라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턴-온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N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P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 중 적어도 하나는 N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다른 하나는 P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제2 전원 라인(PL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ED)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E1) 및 제2 전원 라인(PL2)에 연결된 제2 전극(E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회로(PX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E2)은 전원 전압, 예를 들어 제2 전원전압(ELVSS)을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전달된 신호와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수신된 제2 전원전압(ELVSS)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발광한다.
발광 소자(ED)는 초소형 엘이디 소자일 수 있다. 초소형 엘이디 소자는 수 나노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사이의 길이를 갖는 엘이디 소자일 수 있다. 다만, 초소형 엘이디 소자의 길이는 일 예로 기재한 것일 뿐, 초소형 엘이디 소자의 길이가 상기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제2 전원 라인(PL2) 사이에 하나의 발광 소자(ED)가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발광 소자(ED)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로 제공된 발광 소자들(ED)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발광 소자(ED)는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a는 발광 소자(ED)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ED)는 n형 반도체층(SCN), p형 반도체층(SCP), 및 활성층(AL)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AL)은 n형 반도체층(SCN)과 p형 반도체층(SC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n형 반도체층(SCN)은 반도체층에 n형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제공될 수 있고, p형 반도체층(SCP)은 반도체층에 p형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반도체 물질은 예를 들어,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또는 AlInN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형 도펀트는 규소(Si), 게르마늄(Ge), 주석(Sn), 셀레늄(Se), 텔루륨(T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형 도펀트는 마그네슘(Mg), 아연(Zn), 칼슘(Ca), 스트론튬(Sr), 또는 바륨(B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층(AL)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다중 양자 우물 구조, 양자선 구조, 또는 양자점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AL)은 n형 반도체층(SCN)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와 p형 반도체층(SCP)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이 재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활성층(AL)은 물질 고유의 에너지 밴드에 의해서 결정되는 에너지를 갖는 광을 방출하는 층이다. 활성층(AL)의 위치는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n형 반도체층(SCN)은 제1 전극(E1, 도 4b 참조) 및 제2 전극(E2, 도 4b 참조)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고, p형 반도체층(SCP)은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길이(LT)는 수 나노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ED)의 길이(LT)는 수 나노 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1 마이크로 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EDa)는 도 4a의 발광 소자(ED)와 비교하였을 때, 제1 전극층(ECL1) 및 제2 전극층(EC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층(ECL1)은 n형 반도체층(SCN)에 인접하고, 제2 전극층(ECL2)은 p형 반도체층(SCP)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ECL1), n형 반도체층(SCN), 활성층(AL), p형 반도체층(SCP), 및, 제2 전극층(ECL2)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전극층(ECL1) 및 제2 전극층(ECL2) 각각은 금속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ECL1) 및 제2 전극층(ECL2) 각각은 몰리브덴(Mo), 크롬(Cr), 니켈(Ni), 금(Au),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백금(Pt), 바나듐(V), 텅스텐(W), 납 (Pd), 구리(Cu), 로듐(Rh) 및 이리듐(I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상기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층(ECL1) 및 제2 전극층(ECL2)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EDb)는 도 4a의 발광 소자(ED)와 비교하였을 때, 절연막(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EDb)는 코어-쉘 구조일 수 있다.
절연막(IL)은 n형 반도체층(SCN), p형 반도체층(SCP), 및 활성층(AL)을 커버하며, n형 반도체층(SCN), p형 반도체층(SCP), 및 활성층(AL)의 외부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절연막(IL)은 활성층(AL)만을 커버할 수도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EDc)는 도 4b의 발광 소자(EDa)와 비교하였을 때, 절연막(IL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ILa)은 n형 반도체층(SCN), p형 반도체층(SCP), 및 활성층(AL)을 커버하고,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절연막(ILa)은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거나,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을 모두 커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5 및 도 6에는 일 화소와 대응되는 영역들을 도시하였고, 일부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되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층(BL1) 및 제2 베이스층(BL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L1) 및 제2 베이스층(BL2) 각각은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절연 필름, 또는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L1) 위에는 버퍼층(BFL)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 위에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제1 제어 전극(CE1), 제1 입력 전극(IE1), 제1 출력 전극(OE1), 및 제1 반도체 패턴(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2 제어 전극(CE2), 제2 입력 전극(IE2), 제2 출력 전극(OE2),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은 버퍼층(BF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에 개질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은 제1 베이스층(BL1) 위에 직접 형성될 때보다 버퍼층(BFL)에 대해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버퍼층(BFL)은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 각각의 하면을 보호하는 배리어층일 수 있다. 이 경우, 버퍼층(BFL)은 제1 베이스층(BL1) 자체 또는 제1 베이스층(BL1)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이나 습기 등이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L1)은 버퍼층(BFL) 위에 배치되며, 제1 반도체 패턴(SP1) 및 제2 반도체 패턴(SP2)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절연층(L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물질은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절연층(L1) 위에는 제1 제어 전극(CE1) 및 제2 제어 전극(C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L2)은 제1 절연층(L1) 위에 배치되며, 제1 제어 전극(CE1) 및 제2 제어 전극(CE2)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L2)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CAP, 도 3 참조)는 제1 캡 전극(미도시) 및 제2 캡 전극(CP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캡 전극은 제2 제어 전극(CE2)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고, 제2 캡 전극(CPa)은 제2 절연층(L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L3)은 제2 절연층(L2) 위에 배치되며, 제2 캡 전극(CPa)을 커버한다. 제1 입력 전극(IE1), 제1 출력 전극(OE1), 제2 입력 전극(IE2), 및 제2 출력 전극(OE2)은 제3 절연층(L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 전극(IE1) 및 제1 출력 전극(OE1)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들(L1, L2, L3)을 관통하는 관통홀들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SP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 전극(IE2), 및 제2 출력 전극(OE2)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들(L1, L2, L3)을 관통하는 관통홀들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SP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연층(L3) 위에는 제1 입력 전극(IE1), 제1 출력 전극(OE1), 제2 입력 전극(IE2), 및 제2 출력 전극(OE2)뿐만 아니라, 신호 배선들, 예를 들어, 스캔 라인들 또는 데이터 라인들 중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L4)은 제3 절연층(L3) 위에 배치되며, 제1 입력 전극(IE1), 제1 출력 전극(OE1), 제2 입력 전극(IE2), 및 제2 출력 전극(OE2)을 커버할 수 있다. 제4 절연층(L4)은 단일의 층 또는 복수의 층일 수 있고, 제4 절연층(L4)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L4) 위에는 연결 전극(CNE)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L4) 위에는 연결 전극(CNE)뿐만 아니라, 신호 배선들, 예를 들어, 스캔 라인들 또는 데이터 라인들 각각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제2 출력 전극(OE2)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절연층(L5)은 제4 절연층(L4) 위에 배치되며, 연결 전극(CNE)을 커버할 수 있다. 제5 절연층(L5)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절연층(L5)은 아래에 배치된 화소 회로(PXC, 도 3 참조)를 커버하며,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5 절연층(L5) 위에는 제1 격벽부(BR1), 제2 격벽부(BR2), 및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이 배치된다.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격벽부(BR2)는 제1 격벽부(BR1)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연결 격벽부들(CBR)은 제1 격벽부(BR1)와 제2 격벽부(BR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격벽부들(CBR)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격벽부(BR1), 제2 격벽부(BR2) 및 연결 격벽부들(CBR)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격벽부(BR1), 제2 격벽부(BR2) 및 연결 격벽부들(CBR)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격벽부(BR1) 위에 배치되고, 제2 전극(E2)은 제2 격벽부(BR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격벽부(BR1)를 커버하고, 제2 전극(E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격벽부(BR2)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E1)과 제5 절연층(L5) 사이에는 제1 격벽부(BR1)가 배치되고, 제2 전극(E2)과 제5 절연층(L5) 사이에는 제2 격벽부(BR2)가 배치될 수 있다.
제5 절연층(L5)에는 관통홀이 제공되고, 상기 관통홀에 의해 연결 전극(CNE)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노출된 연결 전극(CNE)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전원 라인(PL2, 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E2)에는 제2 전원전압(ELVSS, 도 3 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반사 전극(RFE1) 및 제1 캡핑 전극(CPE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E2)은 제2 반사 전극(RFE2) 및 제2 캡핑 전극(CP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전극(RFE1) 및 제2 반사 전극(RFE2) 각각은 반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전극(RFE1) 및 제2 반사 전극(RFE2) 각각은 단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복수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 전극(RFE1) 및 제2 반사 전극(RFE2) 각각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은(Ag), 및 인듐주석 산화물(ITO)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캡핑 전극(CPE1)은 제1 반사 전극(RFE1)을 캡핑하고, 제2 캡핑 전극(CPE2)은 제2 반사 전극(RFE2)을 캡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핑 전극(CPE1) 및 제2 캡핑 전극(CPE2) 각각은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갈륨 산화물(IGZO), 및 이들의 혼합물/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절연층(L5) 위에는 발광 소자(ED)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로 제공된 발광 소자들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5 절연층(L5)과 발광 소자(ED) 사이에는 절연 패턴(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발광 소자(ED)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및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발광 소자(ED)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전극(E1)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2 전극(E2) 위에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의 거리보다 발광 소자(ED)의 길이가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과 평면 상에서 비중첩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 위에는 제6 절연층(L6, 또는 절연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제6 절연층(L6)은 발광 소자(ED)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1 연결 전극(CNE1)에 의해 제1 전극(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전극(CNE2)에 의해 제2 전극(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발광 소자(ED) 및 제2 전극(E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 위에는 제7 절연층(L7)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발광 소자(ED) 및 제1 전극(E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의 길이가 수백 마이크로 미터 이하이더라도, 제2 연결 전극(CNE2)과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7 절연층(L7)에 의해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전극(CNE1)과 제2 연결 전극(CNE2)은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7 절연층(L7)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 및 제2 연결 전극(CNE2)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 물질은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갈륨 산화물(IGZO), 및 이들의 혼합물/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 물질은 금속 물질일 수 있고, 상기 금속 물질은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 및 제7 절연층(L7) 위에는 제8 절연층(L8)이 배치될 수 있다. 제8 절연층(L8)은 봉지층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L1)과 마주하는 제2 베이스층(BL2)의 일 면에는 차광층(BM)이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BM)에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파장 변환부(CL)는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영역은 화소 발광 영역(PXA)에 대응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CL)는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체는 발광 소자(ED)에서 제공되는 제1 광을 흡수하여, 제1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제1 광과 상이한 색의 제2 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예를 들어, 양자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청색 광일 수 있고, 상기 제2 색 광은 녹색 광 또는 적색 광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부(CL)는 컬러 필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하여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부(CL)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ED)는 청색 광, 녹색 광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파장 변환부(CL)와 제8 절연층(L8) 사이에는 제9 절연층(L9)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 절연층(L9)에 의해 화소 회로(PXC, 도 3 참조) 및 발광 소자(ED)가 배치된 제1 베이스층(BL1)과 파장 변환부(CL) 및 차광층(BM)이 배치된 제2 베이스층(BL2)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 절연층(L9)은 광학투명접착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수지(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9 절연층(L9)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I-I`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고,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II-II`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과 인접한 영역의 단면도일 수 있다. 즉, 도 7a는 평면 상에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 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과 비중첩하는 영역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7b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과 중첩하는 영역의 단면도일 수 있다. 즉, 도 7b는 평면 상에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이 배치된 영역의 단면도일 수 있다.
도 7a에서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의 제1 거리(LT1)가 도시되고, 도 7b에서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의 제2 거리(LT2)가 도시되었다. 제1 거리(LT1) 및 제2 거리(LT2) 각각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LT1) 및 제2 거리(LT2) 각각은 제2 방향(DR2)의 거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거리(LT1)와 제2 거리(LT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 각각은 제1 두께(TK1)를 갖고,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각각은 제2 두께(TK2)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K1)는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 각각이 갖는 최대 두께일 수 있고, 제2 두께(TK2)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각각이 갖는 최대 두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두께(TK1)와 제2 두께(TK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중 가장 인접한 제1 연결 격벽부(CBR1) 및 제2 연결 격벽부(CBR2)와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SPA)이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공간(SPA)에 발광 소자(ED)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SPA)에 의해 발광 소자(ED)의 배열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III-III`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IV-IV`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8,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전극(E1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연장 전극부(E1e) 및 제1 연장 전극부(E1e)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 전극부(E1p)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E2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2 연장 전극부(E2e) 및 제2 연장 전극부(E2e)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 전극부(E2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전극부(E1p)는 제1 연장 전극부(E1e)로부터 제2 전극(E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돌출 전극부(E2p)는 제2 연장 전극부(E2e)로부터 제1 전극(E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돌출 전극부(E1p) 및 제2 돌출 전극부(E2p) 각각은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 상에서 제1 돌출 전극부(E1p) 및 제2 돌출 전극부(E2p) 각각은 제1 연결 격벽부(CBR1) 및 제2 연결 격벽부(CBR2)와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SPA)과 중첩할 수 있다.
도 9a에서 제1 전극(E1a)과 제2 전극(E2a) 사이의 제1 거리(LT1a)가 도시되고, 도 9b에서 제1 전극(E1a)과 제2 전극(E2a) 사이의 제2 거리(LT2a)가 도시되었다. 제1 거리(LT1a) 및 제2 거리(LT2a) 각각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E1a)과 제2 전극(E2a)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LT1a) 및 제2 거리(LT2a) 각각은 제2 방향(DR2)의 거리일 수 있다.
제1 거리(LT1a)는 제1 돌출 전극부(E1p)와 제2 돌출 전극부(E2p) 사이의 최소 거리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거리(LT2a)는 제1 연장 전극부(E1e)와 제2 연장 전극부(E2e) 사이의 최소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거리(LT1a)는 제2 거리(LT2a)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ED)가 배치되는 영역의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의 제1 거리(LT1a)가 발광 소자(ED)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제2 거리(LT2a)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II-II`을 절단한 부분과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 각각은 제1 두께(TK1a)를 갖고,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a) 각각은 제2 두께(TK2a)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K1a)는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 각각이 갖는 최대 두께일 수 있고, 제2 두께(TK2a)는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a) 각각이 갖는 최소 두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두께(TK1a)는 제2 두께(TK2a)보다 클 수 있다.
도 11a는 도 8에 도시된 V-V`을 절단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8 및 11a를 참조하면,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각각의 단면(CBS1)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면은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에 나란한 평면일 수 있다.
도 11b는 도 8에 도시된 V-V`을 절단한 단면도의 다른 일 예이다.
도 8 및 11b를 참조하면,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단면 상에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각각의 최외곽 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CBR) 각각의 단면(CBS2)은 볼록한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격벽부들(CBR)이 둥근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발광 소자(ED)를 정렬하는 공정 중 연결 격벽부들(CBR) 위에 배치된 발광 소자는 연결 격벽부들(CBR)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제1 격벽부, 제2 격벽부 및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층(BL1)을 준비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 베이스층(BL1)은 작업 기판(미도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이 제조된 이후 작업 기판은 제거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L1) 위에 제1 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PXC, 도 3 참조)를 형성한다. 화소 회로(PXC)를 커버하는 제5 절연층(L5)을 형성한다. 제5 절연층(L5)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절연층(L5)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5 절연층(L5) 위에 예비 절연층(BBR)을 형성한다. 예비 절연층(BBR)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예비 절연층(BBR)을 형성한 후, 예비 절연층(BBR) 위에 마스크(MK)를 배치한다. 마스크(MK)는 투광부(TP) 및 차광부(BP)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마스크일 수 있다.
예비 절연층(BBR)은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층 또는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층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비 절연층(BBR)이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층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차광부(BP)는 제1 격벽부(BR1, 도 12c 참조), 제2 격벽부(BR2, 도 12c 참조) 및 연결 격벽부들(CBR, 도 12c 참조)이 형성될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투광부(TP)는 상기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예비 절연층(BBR) 위에 마스크(MK)를 배치한 후 광을 조사한다.
도 12c 및 도 12d를 참조하면, 예비 절연층(BBR, 도 12a 참조)을 패터닝하여, 제1 격벽부(BR1), 제2 격벽부(BR2) 및 연결 격벽부들(CBR)을 형성한다. 상기 패터닝은 노광 공정 및 현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BR1), 제2 격벽부(BR2) 및 연결 격벽부들(CBR)은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1 격벽부, 제2 격벽부 및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예비 절연층(BBR)을 형성한 후, 예비 절연층(BBR) 위에 마스크(MKa)를 배치한다. 마스크(MKa)는 투광부(TP), 반투광부(HTP), 및 차광부(BP)를 포함하는 하프톤 마스크일 수 있다.
차광부(BP)는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가 형성될 제1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반투광부(HTP)는 연결 격벽부들(CBRa)이 형성될 제2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투광부(TP)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예비 절연층(BBR)을 패터닝하여, 제1 격벽부(BR1), 제2 격벽부(BR2) 및 연결 격벽부들(CBRa)을 형성한다. 연결 격벽부들(CBRa)의 두께 방향의 일부는 제거되어, 연결 격벽부들(CBRa)의 두께는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ED, 도 5 참조)를 제공하는 공정에서, 발광 소자(ED)가 제1 격벽부(BR1)와 제2 격벽부(BR2) 사이에 모여 배치될 확률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정렬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격벽부(BR1)를 커버하는 제1 전극(E1a), 및 제2 격벽부(BR2)를 커버하는 제2 전극(E2a)을 형성한다.
발광 소자(ED)가 포함된 잉크 또는 페이스트 등의 용매를 제1 전극(E1a) 및 제2 전극(E2a) 상에 제공한다. 상기 용매는 상온 또는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연결 격벽부들(CBR), 제1 격벽부(BR1) 및 제2 격벽부(BR2) 사이에 정의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격벽부들(CBR)에 의해 발광 소자(ED)의 배열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전극(E1a) 및 제2 전극(E2a)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전극(E1a)과 제2 전극(E2a)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기장에 의해 발광 소자(ED)에 쌍 극성이 유도되고, 발광 소자(ED)는 유전 영동 힘에 의해 제1 전극(E1a) 및 제2 전극(E2a)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ED)가 배치되는 위치의 제1 전극(E1a)과 제2 전극(E2a) 사이의 거리는 발광 소자(ED)가 배치되지 않는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가깝다. 따라서, 발광 소자(ED)에 발생하는 유전 영동 힘이 더 커질 수 있고, 발광 소자(ED)의 정렬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격벽부들(CBR)에 의해 발광 소자(ED)의 배열 위치가 제어되고, 제1 돌출 전극부(E1p) 및 제2 돌출 전극부(E2p)에 의해 발광 소자(ED)의 정렬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ED)가 유효 정렬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 수율 및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ED: 발광 소자 BR1: 제1 격벽부
BR2: 제2 격벽부 CBR: 연결 격벽부
E1: 제1 전극 E2: 제2 전극
E1e: 제1 연장 전극부 E2e: 제2 연장 전극부
E1p: 제1 돌출 전극부 E2p: 제2 돌출 전극부

Claims (20)

  1.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를 커버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상기 제1 격벽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2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격벽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격벽부를 커버하고,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제1 거리와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제2 거리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1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2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돌출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돌출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돌출 전극부와 상기 제2 돌출 전극부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연장 전극부와 상기 제2 연장 전극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제2 거리보다 작은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 각각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 각각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 각각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 각각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단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인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단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 각각의 최외곽 면은 곡률을 갖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격벽부들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3. 베이스층 위에 화소 회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회로를 커버하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에 예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와 이격된 제2 연결 격벽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격벽부를 커버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격벽부를 커버하는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2 연결 격벽부 사이에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측, 상기 제1 측과 마주보고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측, 상기 제1 측과 상기 제2 측을 연결하는 제3 측, 및 상기 제3 측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측과 상기 제2 측을 연결하는 제4 측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3 측이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4 측이 상기 제2 연결 격벽부와 마주보도록 정렬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연층 위에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예비 절연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2 연결 격벽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차광부 및 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2 연결 격벽부가 형성될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차광부, 투광부, 및 반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가 형성될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반 투광부는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2 연결 격벽부가 형성될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7.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2 격벽부 위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연결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및 상기 제2 연결 격벽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의 이격 거리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연결 격벽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격벽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와 상기 제2 연결 격벽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상기 이격 거리보다 큰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1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 전극부 및 상기 제2 연장 전극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전극부 및 상기 제2 돌출 전극부 각각은 상기 제1 연결 격벽부와 상기 제2 연결 격벽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표시 장치.
KR1020180097411A 2018-08-21 2018-08-2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57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11A KR102572340B1 (ko) 2018-08-21 2018-08-2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201910754648.0A CN110854150A (zh) 2018-08-21 2019-08-15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6/544,044 US11101257B2 (en) 2018-08-21 2019-08-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11A KR102572340B1 (ko) 2018-08-21 2018-08-2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61A KR20200022061A (ko) 2020-03-03
KR102572340B1 true KR102572340B1 (ko) 2023-08-31

Family

ID=6958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11A KR102572340B1 (ko) 2018-08-21 2018-08-21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01257B2 (ko)
KR (1) KR102572340B1 (ko)
CN (1) CN1108541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630B1 (ko) 2018-11-06 2024-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10141827A (ko) * 2020-05-13 2021-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37017A (ko) * 2020-09-16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7044A (ko) * 2020-09-16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13669A (ko) * 2021-07-15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0696B1 (en) * 2000-09-12 2004-08-24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assembly of functional blocks on a substrate facilitated by electrode pairs
EP2546900A4 (en) * 2010-03-12 2016-02-17 Sharp Kk DEVICE FOR PRODUCING A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TAIL LIGHT, LIQUID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METHOD FOR PRODUCING THE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042117A (ja) * 2011-07-15 201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KR101552670B1 (ko) 2012-10-18 2015-09-11 일진엘이디(주) 발광 영역 분리 트렌치를 갖는 전류 분산 효과가 우수한 고휘도 반도체 발광소자
KR101713818B1 (ko) 2014-11-18 2017-03-10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초소형 led 소자를 포함하는 전극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817798B1 (ko) 2016-04-08 2018-02-21 광주과학기술원 나노구조체를 구비하는 초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7025A (ko) * 2016-07-11 2018-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초소형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픽셀 구조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74603B1 (ko) 2016-07-15 2023-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33079B1 (ko) * 2016-10-28 2024-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7215B1 (ko) * 2016-12-21 2023-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80079081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828214B1 (ko) 2017-07-18 2018-02-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기나노입자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박막, 광학 부재, 발광 소자 및 양자점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6699A1 (en) 2020-02-27
CN110854150A (zh) 2020-02-28
US11101257B2 (en) 2021-08-24
KR20200022061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3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05000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2451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6778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53896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49218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24297B1 (ko) 표시 장치
KR102645630B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579915B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605339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4003654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45641B1 (ko) 화소,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08819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