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20B1 -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20B1
KR102572320B1 KR1020200172515A KR20200172515A KR102572320B1 KR 102572320 B1 KR102572320 B1 KR 102572320B1 KR 1020200172515 A KR1020200172515 A KR 1020200172515A KR 20200172515 A KR20200172515 A KR 20200172515A KR 102572320 B1 KR102572320 B1 KR 10257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est instrument
test
adapt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534A (ko
Inventor
김태윤
장재웅
장경덕
이상록
민병희
이창은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3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9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ing, e.g. burn-in or validation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단 일 측에 구비된 양극 바, 상기 받침부의 하단 타 측에 구비된 음극 바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 바 및 상기 음극 바와 전기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양극 바 및 상기 음극 바는 평판 형태이고, 테스트 기구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ADAPTER FOR TEST APPARATUS}
본 발명은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에 대해 개시한다.
개발 단계 또는 생산 단계 동안 전자 산업에서 설계된 시제품(prototype) 또는 완제품의 작동을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기 통신 디바이스들의 제조의 경우, 무선 전기 통신 디바이스가 테스팅 장치에 배치되어 기계적 전기적 테스트가 요구될 수 있다. 소자나 부품 및 시스템의 저항 인던턴스 캐패시턴스 등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LCR 미터나 임피던스 분석기 등의 테스트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해당 테스트 장비가 측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장치 또는 기계의 다른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로, 테스트 기구(test fixture) 등 측정용 악세사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테스트 기구는 리드선이 나와 있는 소자나 부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테스트 기구를 고정하고 안정적인 측정을 도와주는 연결 디바이스, 즉 어댑터에 대한 개발이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541944호는 측정 시스템용 어댑터부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 발명은 도체 패턴에서 생성되는 임피던스를 측정장치에 적합하게 맞추어주는 어댑터부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정확하고 일관된 측정환경을 마련하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테스트 기구에 흔들림없이 연결되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커넥터를 활용할 수 있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단 일 측에 구비된 양극 바, 상기 받침부의 하단 타 측에 구비된 음극 바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 바 및 상기 음극 바와 전기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양극 바 및 상기 음극 바는 평판 형태이고, 테스트 기구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알에프 커넥터, 바나나 플러그용 커넥터 또는 클립형 플러그용 커넥터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양극 바 및 음극 바와 케이블 또는 전도성 스트립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는 받침부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전도성 스트립은 상기 받침부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는 테스트 기구의 상면에 놓이는 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양극 바와 음극 바가 상기 테스트 기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는 바닥 면 위에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여 상기 양극 바 및 음극 바가 상기 테스트 기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는 정확하고 일관된 측정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는 테스트 기구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는 다양한 커넥터를 활용할 수 잇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의 전방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의 후방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테스트 기구(test fixture, T)를 편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측정 아이템의 연결을 위한 어댑터(인터페이스)이다.
테스트 기구(T)는 리드선이 나와 있는 소자나 부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테스트 장비가 측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장치 또는 기계의 다른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이다.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테스트 기구(T)와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전방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후방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테스트 기구(T)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는 양극 바(110), 테스트 기구(T)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는 음극 바(120),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200), 및 받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바(110)는 받침부(300)의 하단 일 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음극 바(120)는 받침부(300)의 하단 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받침부(300)의 하단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받침부(300) 아래로 일정 영역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극 바(110) 및 음극 바(120)는 평판 형태를 구비하여 테스트 기구(T)의 컨택 부분인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에 넓은 면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양극 바(110) 및 음극 바(120)의 넓은 면적의 평판 형태를 통해, 접촉 저항이 줄어들어 연결성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테스트 기구(T)와의 연결이 보다 용이해지고 연결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받침부(30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고, 양극 바(110) 및 음극 바(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200)가 알에프 플러그용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200)는 알에프 플러그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알에프(RF) 커넥터 외에도, 바나나 플러그용 커넥터 또는 클립형 플러그용 커넥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바나나 케이블이나, 클립형 플러그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커넥터 형태도 그에 대응되게 구현될 수 있다.
커넥터(200)와 양극 바(110) 및 음극 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전도성 스트립은 받침부(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200)의 전방부는 받침부(30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200)의 후방부는 받침부(3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케이블 또는 전도성 스트립을 통해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에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유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는 정전기장을 가할 때 전기편극은 생기지만 직류전류는 생기지 않게 하는 물질이다. 받침부(300)는 전기장 속에 놓인 유전체 내부에서 무극성분자나 유극성분자 모두 전기쌍극자모멘트를 형성하여 주위의 전기장을 일정량 상쇄시킬 수 있다.
받침부(300)는 테스트 기구(T)의 상면에 놓이는 안착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재(310)는 받침부(3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안착부재(310)를 통해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가 테스트 기구(T)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안착부재(310)가 없다면,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가 테스트 기구(T) 위로 놓일 때,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가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로만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면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정확한 측정을 어렵게 하고 장치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안착부재(310)에 의해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가 테스트 기구(T)의 위 쪽 전방부에 안정적으로 놓임으로써,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지지 역할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이고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테스트 기구(T)의 형태에 따라, 안착부재(310)가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테스트 기구(T)의 상면이 평평한 경우에는 안착부재(310)의 하면도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테스트 기구(T)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받침부(300)의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다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다리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양쪽 사이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다리는 테스트 기구(T)가 놓이는 바닥 면 위에 받침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에 불필요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가 테스트 기구(T)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테스트 기구(T)에 꽂히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받침부(300) 및 받침부(300)로부터 연장된 안착부재(310)로 인해,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가 테스트 기구(T)에 안정적으로 얹힐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양극 바(110) 및 음극 바(120)는 테스트 기구(T)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기구(T)의 상면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는 슬롯의 형태일 수 있다.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이에 대응되는 형태인 평판의 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테스트 기구(T)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의 슬롯 형태에 끼워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테스트 기구(T)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의 슬롯에 각각 위치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안착부재(310)가 테스트 기구(T)의 상면에 놓이면서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테스트 기구(T)의 슬롯에 큰 하중 부담 없이 삽입될 수 있다.
테스트 기구(T)의 전면에 있는 고정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의 양극 바(110)와 음극 바(120)는 테스트 기구(T)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커넥터(200)와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가 알에프 플러그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테스트 기구(T)는 테스트 장비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안정적이고 정확한 디바이스의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기구 어댑터(10)를 통해, 소자나 리드선 등 부품 단위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10)는 양극 바 및 음극 바에 측정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음극 단자, 양극단자를 연결하고 조이는 구조에서 다양한 커넥터(200)를 활용하여 범용성이 기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기구 어댑터(10)에 의하면, 임피던스의 특성 상 접촉특성에 따라 또는 케이블의 배선이나 위치에 따라 상호 인덕턴스 캐패시턴스 등의 특성이 달라져 측정이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기구 어댑터(10)에 의하면 테스트 기구(T)와 어댑터(10) 사이에는 납땜 등이 없으므로, 납땜 부위가 떨어지는 등 연결 부위가 흔들려 임피던스 측정 값이 변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기구 어댑터(10)를 통해, 테스트 기구에 케이블 등이 쉽게 연결되어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일관되고 정확한 측정환경이 제공되어 측정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110: 양극 바
120: 음극 바
200: 커넥터
300: 받침부
310: 안착부재
T: 테스트 기구

Claims (5)

  1.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단 일 측에 구비된 양극 바;
    상기 받침부의 하단 타 측에 구비된 음극 바;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 바 및 상기 음극 바와 전기 연결된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바 및 상기 음극 바는 테스트 기구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의 슬롯 형태에 끼워지는 평판 형태이고, 테스트 기구의 음극 단자 및 양극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는 테스트 기구의 상면에 놓이는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양극 바와 음극 바가 상기 테스트 기구에 연결되도록 하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알에프 커넥터, 바나나 플러그용 커넥터 또는 클립형 플러그용 커넥터인,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양극 바 및 음극 바와 케이블 또는 전도성 스트립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받침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전도성 스트립은 상기 받침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다리는 바닥 면 위에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여 상기 양극 바 및 음극 바가 상기 테스트 기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KR1020200172515A 2020-12-10 2020-12-10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KR10257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515A KR102572320B1 (ko) 2020-12-10 2020-12-10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515A KR102572320B1 (ko) 2020-12-10 2020-12-10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34A KR20220082534A (ko) 2022-06-17
KR102572320B1 true KR102572320B1 (ko) 2023-08-29

Family

ID=8226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515A KR102572320B1 (ko) 2020-12-10 2020-12-10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3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286U (ko) * 1986-08-28 1988-03-11
KR20050075779A (ko) * 2004-01-16 200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파장애 필터용 테스트지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34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3381B (zh) 功率器件用的探针卡
RU2730412C2 (ru) Узел датчика то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шины
TW201608244A (zh) 測試插座
JP2010038767A (ja) 電気計器用自動結線装置
JPH07191080A (ja) 電気接続の完全性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JPH07239363A (ja) 集積回路の試験アセンブリ、導電性ブリッジ装置および集積回路の試験方法
US5446393A (en) Electrical measuring and testing probe having a malleable shaft facilitating positioning of a contact pin
KR20140131481A (ko) 포고 핀의 연결에 기계적 고정을 제공하는 테스트 소켓
KR102572320B1 (ko) 테스트 기구용 어댑터
JP5538107B2 (ja) 回路基板検査用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回路基板検査装置
JP2010025765A (ja) 検査用接触構造体
KR20170002895A (ko) 프로브 카드와 테스터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장치
KR20170010936A (ko) 무선 주파수 프로브 장치
CN211785828U (zh) 导电平面的设置装置
JP3225841U (ja) プローブをキャリブレーションするため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アダプタ
TW201321762A (zh) 測試治具
US6894513B2 (en) Multipoint plane measurement probe and methods of characterization and manufacturing using same
JP7248018B2 (ja) 接続治具
CN110879322A (zh) 导电平面的设置方法和装置
TW201428305A (zh) 檢測夾具之檢測方法
US3971618A (en) Hold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apacity of small electrical components
JP2002207049A (ja) 四探針測定用コンタクトピンと、コンタクト機器と、被測定物側装置と、測定回路側装置
JP2006029950A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JP5356051B2 (ja) 非接触導通試験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42669A (ko) 전기 특성 측정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