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88B1 -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 Google Patents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88B1
KR102572288B1 KR1020230021608A KR20230021608A KR102572288B1 KR 102572288 B1 KR102572288 B1 KR 102572288B1 KR 1020230021608 A KR1020230021608 A KR 1020230021608A KR 20230021608 A KR20230021608 A KR 20230021608A KR 102572288 B1 KR102572288 B1 KR 102572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ank
flame retardancy
double
in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성
권홍일
박찬국
Original Assignee
케이유피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피피(주) filed Critical 케이유피피(주)
Priority to KR102023002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8Wall construction hollow-walled, e.g. double-walled with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는 저장물을 보관하는 내부탱크와, 이중시트로 형성되는 몸통과, 복수개의 상기 몸통을 감싸는 보강띠와, 상기 몸통의 상부에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몸통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탱크의 외부를 보호하는 외부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double tank with flame retardancy}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형성된 탱크에 화재에 강한 난연성을 구비할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 또는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화학탱크는 내부에 저수실이 구비되어 저장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탱크는 금속재나 스테인레스재질로 구성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 시 부식으로 인한 버팀력이나 보강력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 광범위한 적용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의 재질을 FRP 수지 또는 LLDPE 수지로 구성하여 부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내화학성을 구비하여 화학물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내화학성 재질은 재질특성상 약하다는 점에서 외부보호대가 따로 필요하고, 내화학성이 뛰어난 재질은 불에 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내화학성 원료에 난연성 원료를 투입하여 혼합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내화학성과 난연성이 모두 기존보다 떨어지면서 기대한 효과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탱크는 장기간 사용으로 버팀력이 약해져 보강이 필요한 상태이지만, 보강을 하는 과정에서 기존 탱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숙련된 작업자의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71365호 (2020.10.22)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발생 시 탱크에 저장된 저장물질을 보호할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물질을 저장한 탱크에 보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는 저장물을 보관하는 내부탱크와, 이중시트로 형성되는 몸통과, 복수개의 상기 몸통을 감싸는 보강띠와, 상기 몸통의 상부에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몸통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탱크의 외부를 보호하는 외부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중시트는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과 맞대어지고 난연성을 구비하는 제2층과,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맞대어졌을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한 쌍의 상기 이중시트 단부에 맞이음시키는 시트접착면과, 상기 제2층 및 상기 시트접착면을 상기 제1층이 노출되도록 일부 절개하는 컷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컷팅홈은 노출된 상기 제1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1충진층과,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충진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2충진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탱크는 복수개의 상기 몸통을 상부로 쌓아 올리고, 상기 몸통과 상기 몸통이 맞닿는 외부면에 몸통접착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접착층은 상기 몸통과 상기 몸통이 맞닿는 외부면으로 상기 보강띠가 감싸져서 열융착되어 상기 외부탱크의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몸통은 내부에 상기 내부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층에 열융착으로 융착되는 융착면과, 상기 내부탱크의 일면에 맞대어지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보강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탱크와 상기 외부탱크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내부탱크에 저장된 저장물질을 보호하는 보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온부는 상기 내부탱크와 상기 외부탱크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와 함께 배치되어 겨울철 상기 내부탱크에 저장된 저장물질을 보온시키는 동파방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요철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층이 맞대어져 결합되는 삼중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에 의하면, 난연성을 갖는 이중시트에 의해 화재발생 시에도 내부에 저장된 화학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탱크와 내부탱크 사이에 구비된 지지대에 의해 내부탱크의 보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이중시트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시트접착면, 컷팅홈, 제1충진층 및 제2충진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몸통을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삼중시트로 형성된 몸통을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보온재 및 동파방지기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는 저장물을 보관하는 내부탱크(100)와, 이중시트(210)로 형성되는 몸통(220)과, 복수개의 몸통(220)을 감싸는 보강띠(230)와, 몸통(220)의 상부에 상판(241)이 결합되는 상부몸통(240)을 구비하여 내부탱크(100)의 외부를 보호하는 외부탱크(200)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탱크(100)는 내부에 저장물질을 구비하며, 저장물질이 화학적 성분으로 형성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내부식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PP(Polypropylene)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탱크(100)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탱크로 구비되거나, PP 재질로 형성된 새로운 탱크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탱크(200)는 한 쌍의 몸통(220)이 내부탱크(100)를 감싸고, 몸통(220)은 복수개의 이중시트(210)가 서로 열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통(220)과 몸통(220)이 상부로 쌓이면서 맞닿아지는 면을 융착시키고 보강시키는 보강띠(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탱크(100)의 상부를 마감하도록 몸통(220)의 상부에 상판(241)이 열융착되는 상부몸통(240)이 마지막으로 융착되어 보강띠(230)로 마감될 수 있다.
이중시트(210)는 여러개로 형성되어 열융착에 의해 연결되어 몸통(220)을 형성하게 되고, 일면에 난연성을 구비한 재질이 형성되어 화재발생 시 내부탱크(1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는 난연성을 구비하는 이중시트(210)로 형성된 외부탱크(200)가 내부탱크(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염이 내부탱크(100)로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이중시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이중시트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중시트(210)는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제1층(211)과, 제1층(211)과 맞대어지고 난연성을 구비하는 제2층(212)과, 제1층(211) 및 제2층(212)의 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맞대어졌을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면(2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층(211)은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균열 및 장기 손상의 위험성이 낮은 HD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HDPE재질은 기존 HDPE보다 SCG(Slow Crack Growth)가 월등히 높아서(기존 500hr->10,000hr)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어떠한 균열에도 장기 손상으로 확장되는 위험성이 낮아 장기 내압의 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PE RC(Resistance to Crack)원료와, 기존 HDPE보다 고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PE RT(Resistance to temperature)원료를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HDPE재질은 PERC 및 PERT 뿐만 아니라, Polypropylene(PP)로 대체될 수 있다.
제2층(212)은 화재발생 시 저장탱크의 내부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난연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중시트(2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층(212)은 FR-LSZH(Flame Retardancy-Low Smoke Zero Halogen)을 원료로 하되, 해당 원료에 HDPE를 함께 첨가하여 제1층(211)과 맞대어져 결합되도록 원료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FR-LSZH는 난연성이 뛰어나며, 난연성을 갖기 위해 기본 물성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존 난연재질보다 뛰어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무독함을 구비한 무독성을 가질 수 있다.
FR-LSZH을 가진 난연 폴리에틸렌은 화재시 강한 화염에 노출되어 연소시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FR-LSZH는 화재시 강한 화염에 노출되어도 연소시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어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요철면(213)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1층(211) 및 제2층(212)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일면에 요철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요철면(213)은 미세한 요철이 연속반복되어 형성되고, 제1층(211)의 요철면(213)과, 제2층(212)의 요철면(213)으로 인해서 맞대어지는 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이중시트 열융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에서 시트접착면, 컷팅홈, 제1충진층 및 제2충진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몸통을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한 쌍의 이중시트(210) 단부가 마주보고, (b)융착기에 의해 한 쌍의 이중시트(210) 단부가 융착되어 시트접착면(221)을 형성하고, (c)융착된 한쌍의 이중시트(210) 또는 몸통(220) 중에서 제2층(212)이 형성된 시트접착면(221)을 절개하여 컷팅홈(222)을 구비하고, (d)컷팅홈(222) 내부에 제1충진층(223)을 구비하고, (e)컷팅홈(222) 내부에 제1충진층(223)의 상부로 제2충진층(224)을 구비할 수 있다.
(a)는 한 쌍의 이중시트(210) 또는 한 쌍의 몸통(220) 단부가 마주보게 두어 융착기로 열을 가한 다음에 서로 맞대어지게 밀어서 융착시킬 수 있다.
(b)는 제1층(211)과 제2층(212)이 열융착되면서 시트접착면(221)을 형성하게 되고, 제1층(211) 및 제2층(212)의 일면으로 시트접착면(221)에 의해 밀려난 비드(bea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층(211)이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제2층(212)을 더 밀어내어 제2층(212)이 융착된 일면에 난연성이 떨어지게되고, 화재발생 시 불길이 시트접착면(221)으로 침투될 수 있다.
(c)는 시트접착면(221) 중 제2층(212)이 형성된 일면을 제1층(211)이 노출되도록 일부를 절개하는 컷팅홈(222)을 구비할 수 있다.
컷팅홈(222)은 제1층(211)에 의해 밀려난 제2층(212)을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하는 과정에서 제1층(211)이 노출되도록 절개할 수 있다.
(d)는 컷팅홈(222)에 의해 노출된 시트접착면(221)의 제1층(211)에 동일한 재질을 분사하는 제1충진층(2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충진층(223)은 제1층(211)과 동일한 내화학성 재질로 구비되어, 노출된 제1층(211)을 다시 보호해 내화학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e)는 제1층(211)의 상부로 제2층(212)과 동일한 재질을 분사하여 제2충진층(224)을 구비하고, 제2층(212)과 동일한 레벨(level)을 형성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제2충진층(224)은 제2층(212)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구비되어, 컷팅홈(222)에 의해 노출된 제1층(211)을 다시 보호해 난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컷팅홈(222)은 복수개의 이중시트(210)를 열융착으로 연결하고, 약해진 시트접착면(221)을 일부 절개해 제1층(211) 제2층(212)과 동일한 재질의 제1충진층(223) 및 제2충진층(224)을 구비해 시트접착면(221)을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
제1충진층(223)은 컷팅홈(222)에 의해 노출된 제1층(211)과 동일한 재질로 분사되어 제1층(211)의 내화학성을 다시 강화시키고, 제2충진층(224)은 컷팅홈(222)에 의해 노출된 제2층(212)과 동일한 재질로 분사되어 제2층(212)의 난연성을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이중시트(210)는 각각의 단부를 맞이음시켜서 몸통(220)을 형성하는 시트접착면(221)을 구비할 수 있다.
몸통(220)은 한 쌍의 이중시트(210) 단부가 열융착되어 시트접착면(221)을 형성하고, 후술할 컷팅홈(222)에 의해 일부가 절개된 후에 제1충진층(223) 및 제2충진층(224)을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해 복수개의 이중시트(210)로 몸통(220)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탱크(200)는 몸통(220)이 내부탱크(100)의 하부에서부터 층층이 쌓이게 되고 보강띠(230)에 의해 보강되고, 마지막으로 상부몸통(240)으로 마감되어 화재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대(250)는 몸통(220)의 일단이 안쪽에 결합되고, 타단이 내부탱크(100)의 일면에 맞대어져 보강하게 되면서 내부탱크(100)를 이전보다 더 보강력있게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250)는 제1층(211)에 열융착으로 융착되는 융착면(251)과, 내부탱크(100)의 일면에 맞대어지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보강면(252)을 구비할 수 있다.
융착면(251)은 몸통(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층(211)으로 열융착되어 외부탱크(200)와 내부탱크(100) 사이에서 보강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융착면(251)은 시트접착면(221)이 형성된 부위에는 열융착되지 않으며, 이중시트(210)의 중간 혹은 그 주위에 열융착되어 내부탱크(100)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면(252)은 내부탱크(100)의 일면에 맞대어져 보강하고, 내부탱크(100)의 외면을 보강하여 전달되는 힘을 지지대(250)를 통해 외부탱크(20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탱크(200)와 내부탱크(100)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후술할 보온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삼중시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삼중시트로 형성된 몸통을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삼중시트는
제1층(211a)의 양면에 각각 요철면(213a, 213b)이 형성되어 한 쌍의 제2층(212a, 212b)이 제1층(211a)을 샌드위치 형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삼중시트(210a)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2층(212a, 212b)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면서 화재가 발생되기 용이한 화학물질이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화염이 쉽게 번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삼중시트(210a)와 삼중시트(210a)를 열융착하는 과정에서 시트접착면(221a) 및 컷팅홈(222a, 222b)이 형성되고, 컷팅홈(222a, 222b)의 내부에 제1충진층(223a, 223b) 및 제2충진층(224a, 224b)가 충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에 잘 타지 않아 화염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난연성재질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삼중시트(210a)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기 쉬운 화학물질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b)저장물질이 저장된 내부탱크(100) 몸통(220)이 하부에서부터 배치되고, (c)하부에 배치된 몸통(220)의 상부로 다른 몸통(220)이 쌓아지고, (d)몸통(220)과 몸통(220)이 닿는 외부면이 접착되도록 몸통접착층(225)이 도포되고, (e)외부면에 도포된 몸통접착층(225)의 일면으로 보강띠(230)가 감싸지며 열융착되고, (f)몸통(220)의 상부로 내부탱크(100)의 상부를 보호하는 상부몸통(240)이 안착되면서 몸통접착층(225) 및 보강띠(230)로 마감될 수 있다.
여기서, 몸통접착층(225)은 몸통(220)과 몸통(220)이 쌓이면서 닿는 외부에 제2층(212)과 동일한 성질의 난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몸통접착층(225)이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침투하려는 화염을 차단할 수 있다.
보강띠(230)는 몸통접착층(225)이 도포된 몸통(220)과 몸통(220) 사이를 감싸고 열융착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화염이 침투되기 용이했던 몸통(220)과 몸통(220) 사이 틈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강띠(230)는 이중시트(210)로 형성되어 몸통(220)과 맞대어지는 제1층(211)과, 외부에서 화염을 차단하는 제2층(212)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띠(230)가 이중시트(210)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층(211)이 몸통(220)을 지지하기 용이할 수 있다.
상부몸통(240)은 내부탱크(100)가 몸통(220)에 의해 거의 다 마감되고 상부만 남겨둔 상태에서, 몸통(220)의 상부에 상판(241)을 열융착시킨 뒤에 마지막으로 쌓아 몸통접착층(225) 및 보강띠(230)로 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탱크(200)는 다양 크기 및 형상의 내부탱크(100)를 모두 몸통(220) 및 상부몸통(240)으로 감쌀 수 있으며, 몸통(220)과 몸통(220) 사이에 틈을 난연성을 구비한 몸통접착층(225) 및 보강띠(230)로 마감해 난연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의 보온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는 보온재 및 동파방지기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온부(300)는 내부탱크(100)와 외부탱크(20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보온재(310)와, 보온재(310)와 함께 배치되어 겨울철 내부탱크(100)에 저장된 저장물질을 보온시키는 동파방지기(320)를 구비할 수 있다.
보온부(300)는 내부식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지만, 추위에 약한 PP재질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열교현상을 차단하도록 단열성능 및 열을 발생하는 기구를 배치할 수 있다.
보온재(310)는 지지대(250)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삽입되어 외부탱크(200)에서 전달되는 온도차가 내부탱크(10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내부탱크(100)의 온도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보온재(310)는 화재발생 시 타지않도록 난연성을 구비한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동파방지기(320)는 보온재(310)의 내부에 위치되어 겨울철에 온도 조절로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동파방지기(320)는 전기를 통한 온도 조절 역할로 열선, 온수파이프 또는 동파방지열선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는 외부탱크(200)가 난연성 재질인 제2층(212)을 외면에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에도 내부에 저장된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부탱크(200)에 결합된 지지대(250)가 내부탱크(100)의 일면과 맞대어지는 보강면(252)을 구비하여, 내부탱크(100)에서 전달되는 힘을 보강면(252)을 통해 외부탱크(2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외부탱크(200) 및 내부탱크(10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보온재(310) 및 동파방지기(320)가 삽입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하고 겨울철 전기공급으로 온도를 조절해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탱크(200)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없이 내부탱크(100)를 보강하고 보온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내부탱크 200 : 외부탱크
210 : 이중시트 211 : 제1층
212 : 제2층 213 : 요철면
220 : 몸통 221 : 시트접착면
222 : 컷팅홈 223 : 제1충진층
224 : 제2충진층 225 : 몸통접착층
230 : 보강띠 240 : 상부몸통
241 : 상판 250 : 지지대
251 : 융착면 252 : 보강면
300 : 보온부 310 : 보온재
320 : 동파방지기

Claims (12)

  1. 저장물을 보관하는 내부탱크와,
    이중시트로 형성되는 몸통과, 복수개의 상기 몸통을 감싸는 보강띠와, 상기 몸통의 상부에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몸통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탱크의 외부를 보호하는 외부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시트는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과 맞대어지고 난연성을 구비하는 제2층과,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맞대어졌을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면을 구비하고,
    상기 몸통은 한 쌍의 상기 이중시트 단부에 맞이음시키는 시트접착면과, 상기 제2층 및 상기 시트접착면을 상기 제1층이 노출되도록 일부 절개하는 컷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홈은 노출된 상기 제1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1충진층과,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충진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2충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는 복수개의 상기 몸통을 상부로 쌓아 올리고 서로 맞닿는 외부면에 몸통접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접착층은 복수개의 상기 몸통이 서로 맞닿는 외부면으로 상기 보강띠가 감싸져서 열융착되어 상기 외부탱크의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내부에 상기 내부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층에 열융착으로 융착되는 융착면과,
    상기 내부탱크의 일면에 맞대어지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보강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와 상기 외부탱크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내부탱크에 저장된 저장물질을 보호하는 보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상기 내부탱크와 상기 외부탱크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하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와 함께 배치되어 겨울철 상기 내부탱크에 저장된 저장물질을 보온시키는 동파방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요철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층이 맞대어져 결합되는 삼중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화재시 강한 화염에 연소되어도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면서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FR-LSZH(Flame Retardancy-Low Smoke Zero Haloge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KR1020230021608A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KR10257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608A KR102572288B1 (ko)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608A KR102572288B1 (ko)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288B1 true KR102572288B1 (ko) 2023-08-29

Family

ID=8780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608A KR102572288B1 (ko)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211A (ko) * 2010-05-27 2011-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70552B1 (ko) * 2012-12-26 2013-06-03 케이유피피(주) 광케이블 보호튜브 및 광케이블 보호관
KR101917171B1 (ko) * 2018-04-12 2018-11-09 안필규 화재로부터 폭발 방지가 가능한 소형 lpg 저장 탱크
KR102154555B1 (ko) * 2019-03-20 2020-09-10 케이유피피(주) 로우스모크제로할로겐층을 가진 난연 폴리에틸렌 파이프
KR102171365B1 (ko) 2019-09-30 2020-10-28 주식회사 엔비전 이중탱크구조를 이용한 연속흐름의 생물학적 하·폐수 고도처리시설
KR102256874B1 (ko) * 2021-03-03 2021-05-27 케이유피피(주) 다단형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211A (ko) * 2010-05-27 2011-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70552B1 (ko) * 2012-12-26 2013-06-03 케이유피피(주) 광케이블 보호튜브 및 광케이블 보호관
KR101917171B1 (ko) * 2018-04-12 2018-11-09 안필규 화재로부터 폭발 방지가 가능한 소형 lpg 저장 탱크
KR102154555B1 (ko) * 2019-03-20 2020-09-10 케이유피피(주) 로우스모크제로할로겐층을 가진 난연 폴리에틸렌 파이프
KR102171365B1 (ko) 2019-09-30 2020-10-28 주식회사 엔비전 이중탱크구조를 이용한 연속흐름의 생물학적 하·폐수 고도처리시설
KR102256874B1 (ko) * 2021-03-03 2021-05-27 케이유피피(주) 다단형 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7839A1 (zh) 一种玻璃纤维池窑通路盖板结构
JP4748540B2 (ja) 可燃性長尺体貫通部の防火処理方法
EP1196665B1 (fr) Module elementaire pour la constitution d'un rupteur de pont thermique entre un mur et une dalle de beton et structure de batiment en comportant application
EP0153291B1 (fr) Panneau isolant en matériau composite
KR102572288B1 (ko)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CN207739887U (zh) 一种具有新型结构的防火窗
EP0262203B1 (en) Fire resistant plastic pipe
CN105937288A (zh) 具有消火功能的夹层板及利用其的建筑墙体
KR101113284B1 (ko) 화재 확산방지용 건축패널
JP2010139056A (ja)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KR102572287B1 (ko)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GB2428631A (en) Insulating foil
CA3131195A1 (en) Insulated pipe
CN209603307U (zh) 一种装配式混凝土建筑外墙挂板的横缝构造
EP1095193B1 (fr) Materiau complexe destine notamment a l'isolation thermique
KR20150144166A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CN212641923U (zh) 保温效果好的彩钢板
FR2763616A1 (fr) Isolant thermique plus particulierement adapte aux sols chauffants
CN207905135U (zh) 一种用于内墙保温隔热的泡沫板
KR20210035400A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이 있는 샌드위치 패널 벽체
JP3000459B1 (ja) 防火戸
CN214344045U (zh) 一种防火用阻火包
JP4971855B2 (ja) 防火区画用耐熱材、及び、防火区画貫通部の防火措置工法
EP2574848A1 (en) A patio heater with a layer of mineral wool insulation
KR101153203B1 (ko) 화재 전이 방지 기능을 갖는 한옥 지붕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