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87B1 -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 Google Patents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87B1
KR102572287B1 KR1020230021573A KR20230021573A KR102572287B1 KR 102572287 B1 KR102572287 B1 KR 102572287B1 KR 1020230021573 A KR1020230021573 A KR 1020230021573A KR 20230021573 A KR20230021573 A KR 20230021573A KR 102572287 B1 KR102572287 B1 KR 10257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me
flame retardancy
plastic tank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성
권홍일
박찬국
Original Assignee
케이유피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피피(주) filed Critical 케이유피피(주)
Priority to KR102023002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이중시트를 맞이음으로 열융착하여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을 다단으로 쌓아서 열융착하고, 융착부위를 감싸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화재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융착된 상기 몸통 사이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열융착보강띠;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A plastic tank with flame retardancy}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 시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보호하도록 난연성을 구비할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 또는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화학탱크는 내부에 저수실이 구비되어 저장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탱크는 금속재나 스테인레스재질로 구성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 시 부식으로 인한 버팀력이나 보강력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 광범위한 적용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의 재질을 FRP 수지 또는 LLDPE 수지로 구성하여 부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했지만, 재질특성상 약하다는 점에서 외부보호대가 따로 필요하고, 사출생산 방식으로는 대형 제작이 불가능해 한정된 크기로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화학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탱크는 화재발생 시 화학물질이 노출되면서 화재상황을 더 악화시키거나, 2차 대형사고까지 일으킬 수 있어 화재에 강한 재질을 필요로 하지만, 내화학성이 뛰어난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은 불에 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PP 또는 PE 원료에 난연성 재료를 투입하여 혼합된 재질을 사용하지만, 오히려 혼합으로 인해 내화학성과 난연성이 모두 기존보다 떨어지면서 기대한 효과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4689호 (2017.12.27)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발생 시에도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따로 외부보호대를 구비할 필요 없이 저장탱크의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이중시트를 맞이음으로 열융착하여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을 다단으로 쌓아서 열융착하고, 융착부위를 감싸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화재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융착된 상기 몸통 사이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열융착보강띠;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중시트는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과 맞대어지고 난연성을 구비하는 제2층과,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맞대어졌을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요철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층이 맞대어져 결합되는 삼중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상기 제2층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층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통을 형성하여 열융착으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한 쌍의 상기 이중시트 단부에 맞이음시키는 시트접착면과, 상기 제2층 및 상기 시트접착면을 상기 제1층이 노출되도록 일부 절개하는 컷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컷팅홈은 노출된 상기 제1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1충진층과,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충진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2충진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충진층은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보강띠는 상기 이중시트로 형성되는 보강띠와, 상기 몸통과 상기 보강띠가 맞대어지는 일면에 열융착으로 형성되는 띠접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띠접착면은 상기 보강띠의 양측면과 상기 몸통의 일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를 한번 더 마감하여 난연성을 증가시키는 난연마감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상기 몸통의 일면과 부착되는 하판부착면과, 상기 하판부착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하판 난연마감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층은 화재시 강한 화염에 연소되어도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면서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FR-LSZH(Flame Retardancy-Low Smoke Zero Haloge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에 의하면,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구비하는 이중시트로 몸통을 형성하여 내부에 화학물질을 저장시키고, 화재발생 시 몸통의 내부로 화염이 침투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이중시트를 열융착하는 시트접착면을 컷팅홈 형태로 절개시키고, 제1충진층 및 제2충진층을 분사하여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몸통을 쌓아올렸을 때에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열융착보강띠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1에서 이중시트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삼중시트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한 쌍의 이중시트가 열융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몸통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2에서 몸통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열융착보강띠가 열융착된 몸통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는 하판(100)과, 하판(100)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판(200)과, 하판(100) 및 상판(200)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이중시트(310)를 맞이음으로 열융착하여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몸통(300)과, 몸통(300)을 다단으로 쌓아서 열융착하고, 융착부위를 감싸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화재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융착된 몸통(300) 사이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열융착보강띠(400);를 구비할 수 있다.
하판(100)은 몸통(300)의 하부를 받치고 저장물을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하도록 보관할 수 있다.
상판(200)은 몸통(3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저장물이 넘치지 않도록 저장탱크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몸통(300)은 저장탱크에 저장물을 저장하도록 통형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이중시트(310)가 맞이음으로 열융착되면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몸통(300)은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질이 화학물질일 경우를 대비에 내부가 내화학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고, 외부가 화재에 강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열융착보강띠(400)는 상부로 쌓여진 몸통(300)과 몸통(300) 사이에 열융착된 부위를 감싸면서 열융착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융착보강띠(400)는 일면이 몸통(300)의 외부와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몸통(300)과 함께 저장탱크의 내부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는 몸통(300)의 내부가 화학물질을 저장하기 용이한 내화학성 재질로 형성되며, 화재발생 시 저장탱크의 내부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난연성 재질에 의해 저장물질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몸통(300)이 상부로 쌓여서 몸통(300)과 몸통(300) 사이에 열융착된 부위를 열융착보강띠(400)로 감싸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열융착보강띠(400)의 재질을 난연성 재질로 형성하여 몸통(300)과 용이하게 열융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이중시트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도 1에서 이중시트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이중시트(310)는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제1층(311)과, 제1층(311)과 맞대어지고 난연성을 구비하는 제2층(312)과, 제1층(311) 및 제2층(312)의 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맞대어졌을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면(3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층(311)은 화학물질을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내화학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중시트(3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층(311)은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균열 및 장기 손상의 위험성이 낮은 HD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HDPE재질은 기존 HDPE보다 SCG(Slow Crack Growth)가 월등히 높아서(기존 500hr->10,000hr)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어떠한 균열에도 장기 손상으로 확장되는 위험성이 낮아 장기 내압의 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PE RC(Resistance to Crack)원료와, 기존 HDPE보다 고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PE RT(Resistance to temperature)원료를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HDPE재질은 PERC 및 PERT 뿐만 아니라, Polypropylene(PP)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층(312)은 화재발생 시 저장탱크의 내부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난연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중시트(3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층(312)은 FR-LSZH(Flame Retardancy-Low Smoke Zero Halogen)을 원료로 하되, 해당 원료에 HDPE를 함께 첨가하여 제1층(311)과 맞대어져 결합되도록 원료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FR-LSZH는 난연성이 뛰어나며, 난연성을 갖기 위해 기본 물성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존 난연재질보다 뛰어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무독함을 구비한 무독성을 가질 수 있다.
FR-LSZH을 가진 난연 폴리에틸렌은 화재시 강한 화염에 노출되어 연소시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FR-LSZH는 화재시 강한 화염에 노출되어도 연소시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어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요철면(313)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1층(311) 및 제2층(312)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일면에 요철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요철면(313)은 미세한 요철이 연속반복되어 형성되고, 제1층(311)의 요철면(313)과, 제2층(312)의 요철면(313)으로 인해서 맞대어지는 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중시트(310)는 제1층(311)이 구비된 면에는 내화학성이 뛰어나 저장탱크로서의 역할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이중시트(310)는 외부를 제2층(312)로 구비하여 난연성이 뛰어나 화재발생 시에 화염이 몸통(31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삼중시트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는 삼중시트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제1층(311)의 양면에 각각 요철면(313a, 313b)이 형성되어 한 쌍의 제2층(312a, 312b)이 제1층(311)을 샌드위치 형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삼중시트(33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2층(312a, 312b)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면서 화재가 발생되기 용이한 화학물질이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화염이 쉽게 번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에 잘 타지 않아 화염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난연성재질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삼중시트(330)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기 쉬운 화학물질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컷팅홈 및 이중시트의 열융착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한 쌍의 이중시트가 열융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a)한 쌍의 이중시트(310) 단부가 마주보고, (b)융착기에 의해 한 쌍의 이중시트(310) 단부가 융착되어 시트접착면(314)을 형성하고, (c)융착된 한쌍의 이중시트(310) 중에서 제2층(312)이 형성된 시트접착면(314)을 절개하여 컷팅홈(320)을 구비하고, (d)컷팅홈(320) 내부에 제1충진층(321)을 구비하고, (e)컷팅홈(320) 내부에 제1충진층(321)의 상부로 제2충진층(322)을 구비할 수 있다.
(a)는 한 쌍의 이중시트(310) 단부가 마주보게 두어 융착기로 열을 가한 다음에 서로 맞대어지게 밀어서 융착시킬 수 있다.
(b)는 제1층(311)과 제2층(312)이 열융착되면서 시트접착면(314)을 형성하게 되고, 제1층(311) 및 제2층(312)의 일면으로 시트접착면(314)에 의해 밀려난 비드(bea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층(311)이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제2층(312)을 더 밀어내어 제2층(312)이 융착된 일면에 난연성이 떨어지게되고, 화재발생 시 불길이 시트접착면(314)으로 침투될 수 있다.
(c)는 시트접착면(314) 중 제2층(312)이 형성된 일면을 제1층(311)이 노출되도록 일부를 절개하는 컷팅홈(320)을 구비할 수 있다.
컷팅홈(320)은 제1층(311)에 의해 밀려난 제2층(312)을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하는 과정에서 제1층(311)이 노출되도록 절개할 수 있다.
(d)는 컷팅홈(320)에 의해 노출된 시트접착면(314)의 제1층(311)에 동일한 재질을 분사하는 제1충진층(3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충진층(321)은 제1층(311)과 동일한 내화학성 재질로 구비되어, 노출된 제1층(311)을 다시 보호해 내화학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e)는 제1층(311)의 상부로 제2층(312)과 동일한 재질을 분사하여 제2충진층(322)을 구비하고, 제2층(312)과 동일한 레벨(level)을 형성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제2충진층(322)은 제2층(312)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구비되어, 컷팅홈(320)에 의해 노출된 제1층(311)을 다시 보호해 난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컷팅홈(320)은 복수개의 이중시트(310)를 열융착으로 연결하고, 약해진 시트접착면(314)을 일부 절개해 제1층(311) 제2층(312)과 동일한 재질의 제1충진층(321) 및 제2충진층(322)을 구비해 시트접착면(314)을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
제1충진층(321)은 컷팅홈(320)에 의해 노출된 제1층(311)과 동일한 재질로 분사되어 제1층(311)의 내화학성을 다시 강화시키고, 제2충진층(322)은 컷팅홈(320)에 의해 노출된 제2층(312)과 동일한 재질로 분사되어 제2층(312)의 난연성을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몸통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에서 몸통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몸통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6을 참고하면, 몸통(300)은 제2층(312)이 외부로 노출되고, 제1층(311)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통을 형성하여 열융착으로 마감될 수 있다.
몸통(300)은 복수개의 이중시트(310)를 열융착 후, 컷팅홈(320), 제1충진층(321) 및 제2충진층(322)을 통한 가공으로 다양한 통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몸통(300)은 다양한 통모양으로 형성한 뒤, 상부로 쌓아올려서 몸통(300)과 몸통(300)이 맞닿는 단부를 열융착시켜 탱크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몸통(300)은 이중시트(310)를 여러개 열융착하여 도면에 도시된 몸통(300)보다 더 크게 크기를 키울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의 열융착보강띠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열융착보강띠가 열융착된 몸통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열융착보강띠(400)는 이중시트(310)로 형성되는 보강띠(410)와, 몸통(300)과 보강띠(410)가 맞대어지는 일면에 열융착으로 형성되는 띠접착면(4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띠(410)는 몸통(300)과 몸통(300) 사이에 융착된 몸통접착면(340)을 감싸게되면서 제2층(312)이 약화된 몸통접착면(340)을 이중시트(310)로 형성된 보강띠(410)가 보강되어 이전보다 보강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보강띠(410)는 제1층(311)이 몸통접착면(340)을 감싸고, 제2층(312)이 외부에 형성되어 화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해 보강띠(410)의 제1층(311)이 몸통접착면(340)에 열융착될 수 있다.
띠접착면(411)은 열융착되는 보강띠(410)와, 몸통(300)과 몸통(300) 사이에 형성된 몸통접착면(340)이 함께 열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띠접착면(411)은 제1층(311)으로 형성된 보강띠(410)의 일면과, 몸통접착면(340)이 서로 열융착되어 융착이 용이해지고, 외부는 제2층(312) 및 후술할 난연마감층(241)이 마감되어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
띠접착면(411)은 보강띠(410)와 몸통(300)이 만나서 형성된 모서리 부위를 마감하여 난연성을 증가시키는 난연마감층(420)을 구비할 수 있다.
난연마감층(420)은 보강띠(410)가 감싸진 몸통(300)의 전체둘레를 상부와 하부 모두 마감하고, 제2층(312)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난연마감층(420)은 몸통(300)과 보강띠(410) 사이에 형성된 몸통접착면(340)에 틈을 완전히 차단시켜 화재발생 시에 화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난연마감층(420)은 몸통(300)의 제2층(312) 및 보강띠(410)의 제2층(312)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열융착력이 용이해지고, 화염이 침투할 수 없게 틈을 모두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하판(100)은 몸통(300)의 일면과 부착되는 하판부착면(110)과, 하판부착면(1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제2층(312)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하판 난연마감층(120)을 구비할 수 있다.
하판(100)은 몸통(300)과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하판부착면(110)이 형성되는데, 몸통(300)의 외부에 형성된 제2층(312)이 하판부착면(110)에 의해 난연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판 난연마감층(12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하판 난연마감층(120)은 하판(100)과 몸통(300)이 만나는 모서리에 전체둘레로 마감되고, 제2층(312)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접착력 및 난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아니라, 난연마감층(420)은 상판(200)과 만나는 몸통(300)의 둘레를 마감하거나, 몸통(300)의 옆면이나 상판(200)에 천공되어 연결되는 플랜지의 둘레를 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는 외부전체가 난연성 재질을 갖는 제2층(312), 열융착보강띠(400), 난연마감층(420) 및 하판 난연마감층(120)으로 형성되어 화재발생 시에도 화염이 저장탱크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중시트(310)와 이중시트(310)를 열융착하는 과정에서 난연성능이 약화된 시트접착면(314)에 컷팅홈(320) 형태로 절개하고 제1충진층(321) 및 제2충진층(322)을 분사하여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몸통(300)과 몸통(300)을 상부로 쌓아올려 열융착시켜 몸통접착면(340)을 형성하고, 몸통접착면(340)을 감싸는 열융착보강띠(400)에 의해 몸통접착면(340)의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몸통(300)의 내부를 내화학성이 강한 제1층(311)이 구비되어 화학물질 저장이 가능하고, 몸통(300)의 외부를 난연성이 강한 제2층(312)이 구비되어 화재발생 시 내부에 저장된 물질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하판 110 : 하판부착면
120 : 하판 난연마감층 200 : 상판
300 : 몸통 310 : 이중시트
311 : 제1층 312 : 제2층
313 : 요철면 314 : 시트접착면
320 : 컷팅홈 321 : 제1충진층
322 : 제2충진층 330 : 삼중시트
340 : 몸통접착면
400 : 열융착보강띠 410 : 보강띠
411 : 띠접착면 420 : 난연마감층

Claims (11)

  1. 하판과,
    상기 하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이중시트를 맞이음으로 열융착하여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을 다단으로 쌓아서 열융착하고, 융착부위를 감싸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화재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융착된 상기 몸통 사이로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열융착보강띠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시트는 내화학성을 구비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과 맞대어지고 난연성을 구비하는 제2층과,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의 일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맞대어졌을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요철면을 구비하고,
    상기 열융착보강띠는 상기 이중시트로 형성되는 보강띠와, 상기 몸통과 상기 보강띠가 맞대어지는 일면에 열융착으로 형성되는 띠접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양면에 각각 상기 요철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층이 맞대어져 결합되는 삼중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상기 제2층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층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통을 형성하여 열융착으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한 쌍의 상기 이중시트 단부에 맞이음시키는 시트접착면과,
    상기 제2층 및 상기 시트접착면을 상기 제1층이 노출되도록 일부 절개하는 컷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홈은 노출된 상기 제1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1충진층과,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충진층의 상부로 충진되는 제2충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진층은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띠접착면은 상기 보강띠의 양측면과 상기 몸통의 일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를 한번 더 마감하여 난연성을 증가시키는 난연마감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몸통의 일면과 부착되는 하판부착면과,
    상기 하판부착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층과 동일한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화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하판 난연마감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화재시 강한 화염에 연소되어도 수산화마그네슘의 산화작용에 의하여 스모크가 최소화되면서 할로겐 족 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FR-LSZH(Flame Retardancy-Low Smoke Zero Haloge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KR1020230021573A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KR10257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573A KR102572287B1 (ko)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573A KR102572287B1 (ko)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287B1 true KR102572287B1 (ko) 2023-08-29

Family

ID=8780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573A KR102572287B1 (ko) 2023-02-17 2023-02-17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44A (ko) * 2008-04-15 2009-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pg 선박 탱크 보온재 설치용 화재 보호시트
KR101270552B1 (ko) * 2012-12-26 2013-06-03 케이유피피(주) 광케이블 보호튜브 및 광케이블 보호관
KR101814689B1 (ko) 2016-06-10 2018-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장탱크 구조체
KR102154555B1 (ko) * 2019-03-20 2020-09-10 케이유피피(주) 로우스모크제로할로겐층을 가진 난연 폴리에틸렌 파이프
KR102256874B1 (ko) * 2021-03-03 2021-05-27 케이유피피(주) 다단형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44A (ko) * 2008-04-15 2009-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pg 선박 탱크 보온재 설치용 화재 보호시트
KR101270552B1 (ko) * 2012-12-26 2013-06-03 케이유피피(주) 광케이블 보호튜브 및 광케이블 보호관
KR101814689B1 (ko) 2016-06-10 2018-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장탱크 구조체
KR102154555B1 (ko) * 2019-03-20 2020-09-10 케이유피피(주) 로우스모크제로할로겐층을 가진 난연 폴리에틸렌 파이프
KR102256874B1 (ko) * 2021-03-03 2021-05-27 케이유피피(주) 다단형 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447A (en) Flame resistant insulation blanket
US20060236903A1 (en) Thermoplastic pallet having foam-filled or foam-coated structural parts
FR2780942A1 (fr)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structure d'angle perfectionn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KR20020084138A (ko) 단열용 진공 쟈켓 및 그 제조 방법
CA2651532A1 (fr) Ecran de sous-toiture
KR102572287B1 (ko) 난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탱크
HUE027518T2 (en) Fire-protected elastomer insulation
KR102256874B1 (ko) 다단형 저장탱크
AU2019212006B2 (en)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profiles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re protection profile
EP0153291A1 (fr) Panneau isolant en matériau composite
EP0345125A1 (fr) Produit composite constitué d'un corps central enveloppé d'une gaine et ses applications
FR2721054A1 (fr) Coffrage perdu pour la réalisation de structures verticales à isolation intégrée.
US5088249A (en) Roof covering or wall covering
KR101165245B1 (ko) 고기밀성 단열문의 단열패널
KR102400873B1 (ko)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JPH0794877B2 (ja) 耐火プラスチツクパイプ
KR102572288B1 (ko) 난연성을 갖는 이중탱크
GB2428631A (en) Insulating foil
FR2512786A1 (fr) Recipient resistant a la chaleur et au feu
FR2780941A1 (fr)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barriere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CN203296211U (zh) 断缝保温剪力墙
CN210767292U (zh) 超宽幅外墙保温用憎水岩棉板
JP6873689B2 (ja) 押出成形体
KR102572291B1 (ko) 난연플랜지를 구비한 탱크
JP5597369B2 (ja) 耐火被覆木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