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977B1 - 타공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타공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977B1
KR102571977B1 KR1020180029215A KR20180029215A KR102571977B1 KR 102571977 B1 KR102571977 B1 KR 102571977B1 KR 1020180029215 A KR1020180029215 A KR 1020180029215A KR 20180029215 A KR20180029215 A KR 20180029215A KR 102571977 B1 KR102571977 B1 KR 10257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grinder
opening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904A (ko
Inventor
장동렬
장정두
조원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977B1/ko
Priority to US16/980,333 priority patent/US20210039222A1/en
Priority to PCT/KR2019/000027 priority patent/WO2019177246A1/ko
Publication of KR2019010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65Grinders for cutting-off the saw being mounted on a pivot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683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타공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타공 보조 장치는 작업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축; 및 상기 제2 축과 결합된 그라인더 장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타공 보조 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CIRCLE CUTTING}
본 개시는 경량화되어 휴대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정밀한 타공이 가능한 타공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간상 활용, 심미적인 이유로 인해, 텍스(tex) 또는 일체형 판넬로 구성되는 실내의 천장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구멍에 제품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실내의 천장에 타공을 할 때, 작업자가 타공하고자 하는 원형의 밑그림을 천장에 그리고, 작업자가 천장에 그려진 원형의 밑그림을 따라 직접 천장의 일부분을 절개하는 방식으로 타공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타공 방식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원형의 밑그림을 따라 정확하게 타공하기 어려웠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타공된 원형의 정밀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타공기인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원형의 밑그림을 따라 천장을 절개함으로써 타공을 수행하는 경우 그라인더의 직진성으로 인해 정밀한 타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통상 보급되어 사용하는 타공기인 그라인더를 활용하여, 고객의 요구품질에 적합하도록 천장에 빠르고, 정확한 원형의 타공을 할 수 있는타공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한 타공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작업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축; 및 상기 제2 축과 결합된 그라인더 장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상기 작업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며 그라인더가 삽입 가능한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상기 제2 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작업면과 맞닿는 작업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먼지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축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축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된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축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가 변화할 수 있는 다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면과 맞닿는 제1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작업면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축의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제1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축의 타단부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제2 지지면을 구비한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작업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축; 상기 제2 축과 결합된 그라인더 장착부재; 및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축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그라인더가 탈착 가능하고, 상기 작업면을 향해 개방된 개구 및 상기 작업면과 접촉 가능한 작업 지지면을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공 보조 장치의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그라인더 장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그라인더 장착부재의 분해 사시도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방향에서 바라본 그라인더 장착부재의 수용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타공 보조 장치에 그라인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축의 길이가 달라진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타공 보조 장치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타공 보조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공 보조 장치(1)의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타공 보조 장치(1)는 제1 축(100), 제2 축(200), 연결부재(300), 그라인더 장착부재(400),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를 포함한다.
제1 축(100)은 천장을 구성하는 텍스(T, 도 7 참조)의 하측면인 작업면(S, 도 7 참조)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공간 상의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축(100)은 타공하고자 하는 개구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공 보조 장치(1)는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면(S)을 원형의 개구로 타공할 수 있다.
제1 축(100)은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는 다단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축(100)은 다양한 작업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바닥과 천장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축(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축으로 구성되는 다단구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100)은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제일 큰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축(100)은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할 수 있다. 제1 축(100)의 다단 구조는 종래의 볼트 고정 구조, 나사 고정 구조 등 다양한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변화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축(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철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축(200)은 제1 축(100)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제2 축(200)은 연결부재(300)를 통해 제1 축(10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축(200)의 일단부(200a)는 연결부재(300)와 연결되고, 일단부(200a)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단부(200b)는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와 연결된다.
제2 축(200)은 타공하고자 하는 개구의 반경을 구성하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제2 축(200)의 길이는 작업면(S)에 타공하고자 하는 개구의 반지름과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된다.
아울러, 작업면(S)에 타공하고자 하는 개구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제2 축(200)을 타공 보조 장치(1)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축(200) 역시 제1 축(100)과 마찬가지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축(200)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개구를 작업면(S)에 타공할 수 있다.
제2 축(2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철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0)는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축(200)의 일단부(200a)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300)는 제1 축(100)과 제2 축(200)을 연결하며, 제2 축(200)은 제1 축(10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00)가 제1 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2 축(200)은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00)는 제1 부분(301), 제2 부분(302) 및 힌지축(303)을 포함한다.
제1 부분(301)은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301)은 제1 축(100)의 일단부(100a)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구(301a)를 포함한다.
제1 삽입구(301a)의 내경(D2)은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의 외경(D1) 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1 축(100)의 일단부(100a)가 제1 부분(301)의 제1 삽입구(30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부분(301)은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부분(302)은 제1 부분(301)에 결합된 힌지축(303)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축(200)의 일단부(200a)가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부분(302)은 힌지축(303)을 중심으로 피봇하여(도 9의 R 방향) 제2 축(200)이 제1 축(100)과 포개어 질 수 있다.
그라인더 장착부재(400)는 제2 축(200)에 연결됨으로써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인더(G, 도 7 참조)와 같은 통상의 절단장치가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라인더 장착부재(400)가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그라인더(G)를 통해 작업면(S)에 원형의 개구를 용이하게 타공할 수 있다. 그라인더(G)는 통상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에는 제1 고정부재(500)가 결합되며, 일단부(100a)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단부(100b)에는 제2 고정부재(600)가 결합된다.
제1 고정부재(500)는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에 결합되어 작업면(S)과 맞닿는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500)는 삽입부(501), 제1 지지면(502), 고정핀(503)을 포함한다.
삽입부(501)는 제1 삽입구(301a)의 내경(D2)보다 작은 외경(D4)으로 형성되어, 제1 삽입구(301a)에 삽입된다. 삽입부(501) 내부에는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의 외경(D1) 보다 큰 내경(D3)을 가지는 제2 삽입구(501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501)가 제1 삽입구(301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축(100)의 일단부(100a)가 제2 삽입구(501a) 내로 삽입된다.
또한, 삽입부(501)가 제1 삽입구(301a) 내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제1 고정부재(500) 및 연결부재(300)는 제1 축(10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의 외경(D1)은 제2 삽입구(501a)의 내경(D3) 보다 작기 때문에, 일단부(100a)의 외경(D1)과 제2 삽입구(501a)의 내경(D3) 간의 유격을 통해, 연결부재(300) 및 제 1 고정부재(500)가 고정된 제1 축(10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의 외경(D1)이 제2 삽입구(501a)의 내경(D3)과 유사하여 제1 축(100)의 일단부(100a)가 제2 삽입구(501a) 내에 끼움 결합되고, 삽입구(501)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연결부재(300)을 간섭 지지하기 위한 추가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삽입구(501)의 외경(D4)과 제1 삽입구(301a)의 내경(D2) 간의 유격을 통해, 제1 축(100)과 제1 고정부재(500)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00)가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와 제1 고정부재(500)의 제2 삽입구(501a) 사이에 베어링(미도시)를 배치하여, 연결부재(300)가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면(502)는 삽입부(50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축(100)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면(502)은 작업면(S)과 맞닿는 부분으로, 제1 축(100)의 외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면적을 통해 제1 축(100)을 작업면(S)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 지지면(502)은 제1 축(100)의 외경(D1)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고정핀(503)은 제1 지지면(50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작업면(S)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축(100)을 작업면(S)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503)은 작업면(S)에 타공하고자 하는 개구의 중심에 배치되며, 타공하고자 하는 개구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600)는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와 반대되는 타단부(100b)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600)는 제2 지지면(601), 제2 삽입부(602) 및 돌출부(603)를 포함한다.
제2 지지면(601)은 제1 축(100)의 타단부(100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면적을 통해 제1 축(100)을 작업공간의 바닥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2 지지면(601)은 제1 축(100)의 타단부(100b)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삽입부(602)는 제2 지지면(601)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축(100)의 타단부(100b) 내에 삽입되어 제1 축(100)과 제2 고정부재(600)을 연결한다.
돌출부(603)는 제2 삽입부(60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제1 축(100)의 타단부(100b)와 접촉하여 제1 축(100)을 지지한다.
도 4는 그라인더 장착부재(4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의 분해 사시도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 방향에서 바라본 그라인더 장착부재의 수용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라인더 장착부재(400)는 제2 축(200)의 타단부(200b)에 결합되어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라인더(G)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작업면(S)에 개구를 타공할 수 있다.
그라인더 장착부재(400)는 커버부(410) 및 수용공간(403)을 구비한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403)은 작업면(S)을 향해 개방된 제1 개구(401) 및 제1 개구(402)와 연통되며 그라인더(G)가 삽입 가능한 제2 개구(402)를 포함한다.
제1 개구(401)에 그라인더(G)가 결합된 경우, 제1 개구(401)를 통해 그라인더(G)의 날이 작업면(S)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개구(40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그라인더(G)의 날이 제1 개구(401)를 통해 돌출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402)는 그라인더(G)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커버부(410)는 수용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개구(402)의 일부를 커버한다. 이에 따라,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그라인더(G)가 결합하여 작업면(S)을 타공할 경우, 커버부(410)는 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물이 제2 개구(402)를 통해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버부(410)는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그라인더(G)가 결합한 경우, 비산물이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하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수용부(420)는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수용공간(403), 작업지지면(404), 먼지배출구(405), 안착면(406), 지지부(407), 결합 개구(408) 및 볼트 결합 개구(409)를 포함한다.
작업지지면(404)은 작업면(S)과 맞닿으며,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판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그라인더(G)가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장착되어 작업면(S)을 타공할 경우, 작업면(S)이 작업지지면(404) 상에 배치되어 작업면(S)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타공할 수 있다.
먼지배출구(405)는 수용부(4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용공간(403)과 연통된다. 먼지배출구(405)는 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물을 수용부(42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먼지배출구(405)는 청소기와 같은 외부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비산물들을 더욱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안착면(406)은 그라인더(G)의 외부 하우징(미도시)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라인더(G)를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면(406)의 형상은 그라인더(G)의 외부 하우징과 접촉하여 그라인더(G)의 외부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407)는 안착면(406)으로부터 수용공간(403)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07)는 그라인더(G)의 외부 하우징과 간섭되어 그라인더(G)를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407)는 안착면(406)에 안착된 그라인더(G)의 외부 하우징과 끼움 결합됨으로써, 그라인더(G)를 수용공간(403)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개구(408)는 수용부(420)의 외부에 형성되며, 제2 축(200)의 타단부(200b)가 삽입됨으로써 제2 축(200)의 타단부(200b)와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 개구(408)는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와 제2 축(2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볼트 결합 개구(409)는 수용부(4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용공간(403)과 연통된다. 볼트 결합 개구(409)는 적어도 한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볼트 결합 개구(409)에 통상의 볼트(미도시)를 결합한 경우, 볼트가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장착한 그라인더(G)의 외부 하우징과 접촉하여 그라인더(G)를 그라인더 장착부재(40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타공 보조 장치(1)에 그라인더(G)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그라인더(G)가 결합된 타공 보조 장치(1)를 통한 타공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천장을 구성하는 텍스(T)와 바닥 사이의 높이에 맞추어 제1 축(1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제1 축(100)을 텍스(T)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한다. 이 때, 제1 축(100)의 일단부(100a)에 연결된 제1 고정부재(500)의 고정핀(503)이 텍스(T)를 관통함으로써, 제1 축(100)을 텍스(T)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그라인더(G)를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장착하고, 작업지지면(404)이 작업면(S)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축(100)을 중심으로 그라인더 장착부재(400)에 결합된 그라인더(G)가 회전하며 작업면(S)을 절개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더 장착부재(400) 및 그라인더(G)가 도 7에 도시된 원형의 궤적(C)을 따라 P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축(200)의 길이와 대응하는 반경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을 구성하는 텍스(T)는 원형의 궤적(C)의 형상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타공될 수 있으며, 이후 타공된 부분에 원하는 제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타공 보조 장치(1)는 통상의 그라인더(G)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타공기를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소모되지 않는다.
도 8 은 제1 축(100)의 길이가 변형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제1 축(100)의 길이가 달라진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축(100)은 외경이 서로 다른 다단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 큰 외경을 가지는 파이프에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파이프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가 더 낮을 경우에는 Q 방향으로 제1 축(100)의 일부를 삽입하여 제1 축(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높이에서도 타공 보조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타공 보조 장치(1)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타공 보조 장치(1)가 휴대하기에 간편하도록 접히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축(10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축(100)은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로 구성되고, 제일 큰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의 상태의 타공 보조 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100)을 구성하는 파이프들은 가장 큰 외경을 가지는 파이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연결부재(300)의 힌지축(303)을 중심으로 연결부재(300)와 연결된 제2 축(200)이 R 방향을 따라 피봇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타공 보조 장치(1)는 접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공 보조 장치(1)는 부피가 최소화되어 작업자가 휴대하기에 간편하며, 보관도 용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는 참조하여, 타공 보조 장치(1')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개시된 타공 보조 장치(1')는 도 1에 개시된 타공 보조 장치(1)의 제1 축(100), 연결부재(300), 그라인더 장착부재(400),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축(2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축으로 구성되는 다단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축(200')은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제일 큰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축(200')은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축(200')의 다단 구조는 종래의 볼트 고정 구조, 나사 고정 구조 등 다양한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변화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축(200')의 길이를 최소로 할 경우에는 타공 보조 장치(1')의 부피를 줄여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축(200') 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개구를 작업면(S)에 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인더(G)가 장착된 타공 보조 장치(1')는 다양한 설치될 다양한 제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작업면(S)에 개구를 절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1': 타공 보조 장치
100: 제1 축
200, 200': 제2 축
300: 연결부재
400: 그라인더 장착부재
500: 제1 고정부재
600: 제2 고정부재

Claims (15)

  1. 작업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축;
    상기 제1 축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축;
    상기 제2 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그라인더 장착부재;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면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구비한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축의 타단부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제2 지지면을 구비한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축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작업면의 맞은 편에 위치한 바닥에 지지되는 타공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상기 작업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며 그라인더가 삽입 가능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장착부재는,
    상기 제2 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작업면과 맞닿는 작업지지면을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먼지배출구를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축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된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축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가 변화할 수 있는 다단 구조로 구성되는 타공 보조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축의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제1 지지면을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13. 삭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타공 보조 장치.
  15. 삭제
KR1020180029215A 2018-03-13 2018-03-13 타공 보조 장치 KR10257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15A KR102571977B1 (ko) 2018-03-13 2018-03-13 타공 보조 장치
US16/980,333 US20210039222A1 (en) 2018-03-13 2019-01-02 Punching assistant device
PCT/KR2019/000027 WO2019177246A1 (ko) 2018-03-13 2019-01-02 타공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15A KR102571977B1 (ko) 2018-03-13 2018-03-13 타공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04A KR20190107904A (ko) 2019-09-23
KR102571977B1 true KR102571977B1 (ko) 2023-08-30

Family

ID=6790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15A KR102571977B1 (ko) 2018-03-13 2018-03-13 타공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39222A1 (ko)
KR (1) KR102571977B1 (ko)
WO (1) WO201917724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796Y1 (ko) 2001-03-26 2002-10-25 이원태 경량 철골 2중천장의 텍스컷팅기
JP2009298018A (ja) * 2008-06-13 2009-12-24 Takashi Nagato 集塵カバー付きコンクリートハンドカッター。
KR200479485Y1 (ko) 2014-06-26 2016-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멍 가공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8363A (en) * 1919-05-05 1920-08-03 Kilts Frank Oxyacetylene cutting-machine for circular plates
US2386266A (en) * 1943-04-10 1945-10-09 Julia C Robertson Overhead tool support
US2547320A (en) * 1945-10-02 1951-04-03 Herbert S Hedley Radius guide for cutting torches
US2559295A (en) * 1947-04-03 1951-07-03 Frank E Grossenbacher Airplane washer
US3146675A (en) * 1961-02-13 1964-09-01 Snappy Inc Portable sheet metal hole cutter
US6752572B2 (en) * 2002-06-07 2004-06-22 S-B Power Tool Corporation Circle cutting accessory for a powered rotary hand tool
US7556655B2 (en) * 2003-03-14 2009-07-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producing lithium ion cathode materials
US20070048102A1 (en) * 2005-08-29 2007-03-01 Tristancho Raphael P L Arc Cutter For Stone or Ceramic Material
US7596872B2 (en) * 2006-07-27 2009-10-06 Robert Bosch Gmbh Cutting attachment with a removable cover for rotary hand tools
US9694508B2 (en) * 2011-09-30 2017-07-04 Robert Bosch Tool Corporation Base lever with release stop and lock stop
KR20130003030U (ko) * 2011-11-16 2013-05-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관통홀 형성용 절단기 지그
EP4181235A1 (en) * 2012-10-02 2023-05-1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capacity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L226994A0 (en) * 2013-06-17 2013-12-31 Emanuel Levitin cutting device
JP6316687B2 (ja) * 2014-07-09 2018-04-25 住友化学株式会社 リチウム含有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KR101703154B1 (ko) * 2014-11-27 2017-02-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60084023A (ko) * 2015-01-05 2016-07-13 최옥희 햄머드릴용 비산방지 장치
US10280092B2 (en) * 2016-07-28 2019-05-07 Wildcat Discovery Technologies, Inc Oxides for high energy cathode materi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796Y1 (ko) 2001-03-26 2002-10-25 이원태 경량 철골 2중천장의 텍스컷팅기
JP2009298018A (ja) * 2008-06-13 2009-12-24 Takashi Nagato 集塵カバー付きコンクリートハンドカッター。
KR200479485Y1 (ko) 2014-06-26 2016-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멍 가공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04A (ko) 2019-09-23
US20210039222A1 (en) 2021-02-11
WO2019177246A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863B2 (en) Dust collection box
US6053674A (en) Dust collector assembly for drilling tools
US11510534B2 (en) Docking station
JP3748073B2 (ja) 電動切断機
US20080134518A1 (en) Self-contained vacuum saw
RU2424089C2 (ru) Сверли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с пылесборником (варианты)
KR102043591B1 (ko) 파이프 천공장치
WO2018052118A1 (ja) コアドリル
KR102571977B1 (ko) 타공 보조 장치
US2006003719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pipe or tubing
US6814527B1 (en) Debris collection system for use with hole cutting devices
CN101096098B (zh) 具有用于灰尘分离装置的抽吸模块的手持式电动工具机
CA3121606C (en) Cutter head arrangement
JP6594473B2 (ja) ドリル取付治具、ドリル装置形成機構、及びドリル装置
JPS6240781Y2 (ko)
JPH04101811A (ja) 穿孔方法
JP3168863U (ja) 穿設工具用集塵器具
JP2004114233A (ja) 穿孔装置
JPH11291108A (ja) ボール盤の集塵装置
CN216575567U (zh) 一种组合式槽刀刀粒
US20050092393A1 (en) Wood waste removing device for a planer
KR102126471B1 (ko) 목재 분쇄장치
US5803195A (en) System, method and cutterhead for dry full-area drilling
JP3112669U (ja) 回転ドリル用アタッチメントドリル装置
JP2586185Y2 (ja) 切塵集塵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