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627B1 -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627B1
KR102570627B1 KR1020220059592A KR20220059592A KR102570627B1 KR 102570627 B1 KR102570627 B1 KR 102570627B1 KR 1020220059592 A KR1020220059592 A KR 1020220059592A KR 20220059592 A KR20220059592 A KR 20220059592A KR 102570627 B1 KR102570627 B1 KR 10257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oin
coins
virtu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452A (ko
Inventor
박정용
Original Assignee
박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용 filed Critical 박정용
Publication of KR2022015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매출액의 순수익의 비중에 따라 가치가 가변되는 코인을 발행 및 지급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지급하는 사업체 단말;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과 제휴된 사업체의 서비스 및/또는 상품을 결제 및/또는 상기 제휴된 사업체에서 발행된 코인을 구매하여 보유하는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사업체 단말의 재무현황을 기초로 사업체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된 사업체 가치를 기초로 발행가능한 코인 수량 및 코인 가치를 추천 및 상기 코인 발행을 지원하고, 발행된 코인이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된 코인 매도/매수 정보를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지급될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igital sharing services}
본 발명은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업체의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된 가치금액에 대해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코인을 발행하여 판매하고 상기 사업체의 서비스 이용자에게 서비스 이용금액에 따라 상기 가상코인을 지급하고, 상기 가상코인 소유자에게 상기 사업체의 순익 매출에 연동하여 상기 가상코인 소유 기간에 따른 적립금을 지급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9년 탄생한 비트코인을 필두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가상코인이 개발되는 붐이 일어나면서, 일부 기관 내지 기업들은 비트코인에 투자하거나 블록체인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변동성과 사기 등이 난무하고 있고, 실물 경제에 적용되는 비율이 적은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5118호 (2020. 12. 30.) 등록특허공보 10-2181925호(2020. 11. 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사업체의 가치를 산정하여 평가금액에 따라 코인을 발행한 후, 상기 사업체의 실적에 따라 상기 코인 보유자에게 적립금을 적립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매출액의 순수익의 비중에 따라 가치가 가변되는 코인을 발행 및 지급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지급하는 사업체 단말;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과 제휴된 사업체의 서비스 및/또는 상품을 결제 및/또는 상기 제휴된 사업체에서 발행된 코인을 구매하여 보유하는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사업체 단말의 재무현황을 기초로 사업체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된 사업체 가치를 기초로 발행가능한 코인 수량 및 코인 가치를 추천 및 상기 코인 발행을 지원하고, 발행된 코인이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된 코인 매도/매수 정보를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지급될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과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며,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적립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체 단말의 재무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체의 성장가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로부터 평가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서 제공한 성장가치에 대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당 사업체의 매출액과 비례하는 가상코인 발행수 및 가상코인 개당 금액에 대한 기준값 또는 적정값을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준값 또는 적정값의 가상코인 발행수량 및 가상코인 개당 가격이 포함된 가상코인 발행을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요청하고, 발행된 가상코인이 코인 시장에서 매도/매수되도록 가상코인 거래소 서버로 매도매수에 대한 가상코인 온라인 거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가상코인 발행서버에서 판매되는 해당 사업체의 가상코인 전체 발행량 중 20% 물량만을 코인 시장에서 매도/매수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책정한 월별 재무현황의 순수익에 따른 암호화페 당 배당금을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에서 보유한 가상코인 보유량에 따른 배당금을 산출하여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상기 배당금을 현금 또는 가상코인으로 지급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의 누적 구매액을 기초로 적립금을 산출하고, 적립금에 따른 배당금을 산출하여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방법은 사업체 단말에서 운영중인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요청하고, 평가된 사업가치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업체의 재무현황평가 및 지리적 입지현황을 전문가로부터 자문한 후 자문결과를 토대로 사업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평가된 사업가치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물량 및 가상코인 개당 적정가치를 산출한 후,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가상코인 발행 승인확인 후,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상기 사업체의 가상코인이 시중에 발행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가상코인 거래소에서 유통되는 가상코인의 물량 중 80%를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매수하도록 요청하고, 나머지 20%에 대한 매도/매수자 정보를 상기 가상코인 거래소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매월 마다 사업체의 재무현황을 수신한 후, 수익을 정산한 후, 당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의 누적 소비 지출액 또는 상기 가상코인을 보유한 보유수량에 비례하는 적립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적립금이 지급될 이용자 정보를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체 단말로부터 적립급 지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가상코인을 보유한 이용자 및 상기 당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적립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과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며,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적립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일 실시예에서, 이용자의 단말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업체와 관련된 소비지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보유한 가상코인을 전액 환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사업체의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코인을 발행하여 유통함으로써 사업을 위한 유동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체의 이용자 또는 상기 코인 구매자 및 보유자는 상기 사업체를 이용할수록 적립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홍보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홍보효과를 통해 매출 및 순익이 상승할 경우, 발행된 코인의 가치도 상승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 이용자, 보유자 모두 이익이 되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립금 및 적립률을 산출한 표의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의 장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립금 및 적립률을 산출한 표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업체 단말(200), 이용자 단말(300), 디지털 공유 플랫폼 관리서버(400) 및 가상코인 거래소(500)를 포함하고, 각 구성요소(200, 300, 400, 500) 간의 연결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 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디지털화란 사업체의 가치를 평가하여 일정 코인(가상코인)로 분할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암호화폐는 가상코인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의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업체 단말(200)은 디지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운영중인 사업체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수익 등이 기록된 재무현황평가 및 지리적 입지현황에 근거하여 사업체 가치를 평가받고, 평가된 평가금액에 비례하여 발행 가능한 코인 수 및 개당 코인 가치를 확인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업체 단말(200)은 디지털 공유 플랫폼을 통해 발행한 코인 개수 중 기 설정된 수량을 가상 코인 거래소를 통해 시중에 판매하고, 판매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비율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발생한 순수익의 일정 부분을 코인 배당금(적립금)으로 지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컨대, 사업체 단말(200)은 발행된 전체코인 중 80%를 의무적으로 보유하며, 나머지 20%에 해당하는 코인만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사업체 단말(200)은 운영중인 사업체의 서비스 또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출한 비용에 비례한 코인을 이용자에게 적립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언급한 적립금 산출 공식은 하기의 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식 1]
예컨대, 기본적인 정산 메커니즘은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으로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월 10일부터 코인을 10개 보유했다면, 상기 사업체(200)의 순익이 500만원이었을 경우, 1코인의 적립금은 500원이 되고 여기에 보유 코인 수를 곱하여 마일리지로 적립될 수 있다. 발생한 적립금은 익월 10일에 정산되어 마일리지 형태로 확인할 수 있고, 즉시 현금화가 가능하며, 카카오페이 등과 같은 핀테크 서비스와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순익 연동 적립금은 아래 표 1과 같이, 순익에 연동되어 계산된다. 여기서 순익이라고 함은 매출에서 총 지출을 제외한 비용을 말한다.
[표 1]
한편, 구매할 수 있는 코인의 가격은 사업주가 결정을 하고, 코인 반환 금지 기한을 정할 수 있으며 그 기한은 최대 3개월로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인 반환 금지 기간은 초기 사업 시작 시에 설정할 수 있고, 사업주의 선택에 따라 코인 반환 금지 기간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업체 단말(200)은 이벤트 등을 통해 추가로 마일리지를 이용자에게 적립금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사업체 단말(200)과 후술하는 코인 거래소(300)는 별개의 사업자로 구성되거나 동일 사업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인을 구매할 수 있는 사람은 상기 사업체를 이용하고 있는 회원으로 한정할 수 있다. 상기 회원 단말(100)이 상기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적립금을 마일리지 형태로 적립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원 단말(100)이 회원 탈퇴 시, 구매한 코인금액은 카드 수수료 등을 제외한 3%를 공제하고 현금으로 출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탈퇴 신청 후, 영업일 기준 3일 이내에 카카오페이 등의 형태로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업체 단말(200)이 서비스를 오픈하는 초기에는 코인의 값을 따로 받지 않고 상기 회원 단말(100)의 구매 금액에 연동하여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터디 카페의 4주권/100시간 권 구매시 1코인(시세 5만원), 8주권/200시간 권 구매시 2코인(시세 10만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업체 단말(200)은 상기 이용자 단말(300) 및 상기 코인 거래소(500)에 상기 코인의 1 코인 전월 적립금 및 적립 비율을 공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 단말(300)은 사업체 단말(200)에서 발행한 가상코인을 구매한 이용자이거나 또는 사업체 단말(200)에서 운영하는 사업체의 서비스 또는 상품을 구매하여 사업체의 매출액 발생을 기여한 이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300)은 상기 사업체 단말(200)로부터 제공받거나, 코인 거래소(300)에서 구매한 코인을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300)은 월별로 가상코인의 보유 또는 사업체의 서비스 또는 상품 구매에 따른 누적 소비금액에 비례한 적립금을 지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단말(200)은 보유중인 가상코인 전량을 판매하는 경우, 사업체의 멤버십은 자동으로 탈퇴된다.
또한, 잔량이 1개라도 남아있다면 멤버십이 유지되며, 만일 일정 기간 상기 사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이 없을 경우, 보유한 코인을 자동으로 반환하며, 적립 마일리지도 함께 반환된다. 또한 상기 가상코인을 구매한 금액은 보유한 계좌로 환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업체가 스터디 카페인 경우, 기간권 종료 시점 또는 시간권 종료 시점으로부터 90일 동안 추가 결제 내역이 없는 경우, 상기 멤버십 탈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기 사업체 단말(200)의 재무현황을 기초로 사업체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된 사업체 가치를 기초로 발행가능한 코인 수량 및 코인 가치를 추천 및 상기 코인 발행을 지원하고, 발행된 코인이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된 코인 매도/매수 정보를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지급될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사업가치 평가부(410), 가상코인 발행 및 가치 산출부(420), 적립금(배당금) 산출부(430), 이벤트 제공부(440), 가상코인 지급부(450), 회원관리부(460) 및 사업체 관리부(470)를 포함한다.
상기 사업가치 평가부(410)는 사업체 단말(200)에서 제공된 재무현황을 외부단말(전문가)로 제공한 후, 외부단말(전문가)의 평가결과를 토대로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사업가치 평가부(410)는 외부단말로 사업체가 위치한 상권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권특징, 인구특징, 개업율, 페업율에 대한 전문가 평가정보를 기초로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동종 업종에 대한 지역매출등급을 결정하고, 지역매출등급 대비 해당 사업체에 대한 매출등급을 결정하며, 매출등급을 결정시에 과 지역매출등급 대비 비중이 120%를 초 과하면 1등급으로 하고, 비중이 80% - 120% 이면 2등급으로 하며, 비중이 80% 이하이면 3 등급으로 결정하며, 1 등급이 가장 우수하다.
예컨대, 매출분석등급이 1등급(매우 우수) 이면 2점, 2등급(우수)이면 3점, 3등급(보통)이면 4점, 4등급(불량)이면 5점, 5등급(매우 불량)이면 6점을 부여 한다.
즉, 사업가치 평가부(410)는 월별 총 매출액, 순이익에 대한 재무현황평가 결과 및 인구특징, 개업율, 폐업율에 대한 지리적 입지현황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사업성 가치를 평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사업체가 위치한 지역에서 해당 사업체와 동일 업종의 폐업율에 따라 안전성 등급을 결정하고, 평가한다.
예컨대, 안정성 등급은 전체 동종 업종의 폐업율 대비 해당 상권의 폐업율 비중이 140%를 초과하면 1등급으로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하고, 120%를 초과하면 2등급으로 우수하다고 평가하며, 80%를 초과하면 3등급으로 보통으로 평가하고, 60%를 초과하면 4등급으로 불량이라고 평가하며, 60% 이하이면 5등급으로 매우 불량이라고 평가한다.
다음으로, 가상코인 발행 및 가치 산출부(420)는 상기 사업가치 평가부(410)에서 평가된 사업가치 평가결과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 수 및 암호화페 개당 가치의 적정값을 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가상코인 발행 수 * 가상코인 개당 가치의 가격은 사업체의 전체 자산 1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상코인 개당 가치는 추후 사업체 단말에서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코인 발행 및 가치 산출부(420)는 산출된 가상코인 발행 수 및 가상코인 개당 가치를 사업체 단말(200)에서 확인 후, 발행을 요청하면,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산출된 수의 가상코인 발행을 요청하고, 발행된 가상코인이 시중에 거래되도록 가상코인 거래소로 시중거래를 요청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시중에 거래되는 전체 가상코인은 전체 물량의 20%를 초과할 수 없으며, 나머지 80%는 사업체 단말에서 매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적립금(배당금) 산출부(430)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 단말(300)의 누적 소비금액에 따른 적립금(마일리지) 또는 사업체 단말에서 제공한 월별 재무현황(매출액, 순이익, 지출 등)을 기초로 사업체 단말에서 발행한 가상코인을 보유한 이용자에게 가상코인 보유량에 비례한 적립금(배당금)을 순수익에서 분할하여 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립금(배당금) 산출부(440)는 하기의 식 1을 통해 배당금을 산출한다.
[식 1]
기본적인 정산 메커니즘은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으로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월 10일부터 코인을 10개 보유했다면, 상기 사업체(200)의 순익이 500만원이었을 경우, 1코인의 적립금은 500원이 되고 여기에 보유 코인 수를 곱하여 마일리지 또는 배당금이 산출될 수 있다.
발생한 적립금은 익월 10일에 정산되어 마일리지 형태로 확인할 수 있고, 즉시 현금화가 가능하며, 카카오페이 등과 같은 핀테크 서비스와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순익 연동 적립금은 아래 표 1과 같이, 순익에 연동되어 계산된다. 여기서 순익이라고 함은 매출에서 총 지출을 제외한 비용을 말한다.
[표 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코인의 가격은 사업주가 결정할 수 있고, 가상코인 반환 금지 기한을 정할 수 있다. 그 기한은 최대 3개월로 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코인 반환 금지 기간은 초기 사업 시작 시에 설정할 수 있고, 사업주의 선택에 따라 코인 반환 금지 기간을 해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벤트 제공부(440)는 사업체 단말(200)에서 지정한 날짜, 요일, 특정 상품 구매 또는 프로모션에 참가 또는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시중 판매되는 가상코인을 할인구매하거나 또는 추가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코인 지급부(450)는 사업체 단말(200)에서 보유한 가상코인을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승인에 따라 가상코인을 이용자 단말(300)로 지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가상코인 지급부(450)는 상술한 적립금(배당금) 산출부(430)와 연동되어, 이용자별로 산출된 적립금을 가상코인으로 대체하여 지급하는 구성일 수 있고, 이때, 이용자 단말에서 적립금을 가상코인으로 지급받기를 희망할 경우에만 해당 적립금을 가상코인으로 지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회원관리부(460)는 디지털 공유 플랫폼(10)에 제휴된 사업체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470)는 사업체별로 회원가입 및 탈퇴에 필요한 절차 정보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사업체 관리부(470)는 디지털 공유 플랫폼(10)과 제휴된 사업체를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고, 디지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기 위한 필수정보(제무재표, 위치정보, 사업자 등록증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사업체 관리부(480)는 사업체 단말(200)에서 발행된 전체 가상코인 물량 중 80%를 매입하는 지 여부 등에 대한 정책을 시행하는 지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4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 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방법(S700)은 사업체 단말에서 운영중인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요청하고, 평가된 사업가치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을 요청(S710)한다.
이후, 플랫폼 관리서버(400)에서 상기 사업체의 재무현황평가 및 지리적 입지현황을 전문가로부터 자문한 후 자문결과를 토대로 사업가치를 평가(S720)한다.
상기 S720 과정은 사업가치 평가부(410)가 사업체 단말(200)에서 제공된 재무현황을 외부단말(전문가)로 제공한 후, 외부단말(전문가)의 평가결과를 토대로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단말로 사업체가 위치한 상권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권특징, 인구특징, 개업율, 페업율에 대한 전문가 평가정보를 기초로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동종 업종에 대한 지역매출등급을 결정하고, 지역매출등급 대비 해당 사업체에 대한 매출등급을 결정하며, 매출등급을 결정시에 과 지역매출등급 대비 비중이 120%를 초 과하면 1등급으로 하고, 비중이 80% - 120% 이면 2등급으로 하며, 비중이 80% 이하이면 3 등급으로 결정하며, 1 등급이 가장 우수하다. 예컨대, 매출분석등급이 1등급(매우 우수) 이면 2점, 2등급(우수)이면 3점, 3등급(보통)이면 4점, 4등급(불량)이면 5점, 5등급(매우 불량)이면 6점을 부여 한다.
즉, 월별 총 매출액, 순이익에 대한 재무현황평가 결과 및 인구특징, 개업율, 폐업율에 대한 지리적 입지현황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사업성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음으로, 평가된 사업가치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물량 및 가상코인 개당 적정가치를 산출한 후,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가상코인 발행 승인확인 후,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상기 사업체의 가상코인이 시중에 발행되도록 요청(S730)한다.
상기 S730 과정은 가상코인 발행 및 가치 산출부(420)가 평가된 사업가치 평가결과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 수 및 암호화페 개당 가치의 적정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코인 발행 수 * 가상코인 개당 가치의 가격은 사업체의 전체 자산 1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상코인 개당 가치는 추후 사업체 단말에서 가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30 과정은 산출된 가상코인 발행 수 및 가상코인 개당 가치를 사업체 단말(200)에서 확인 후, 발행을 요청하면,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산출된 수의 가상코인 발행을 요청하고, 발행된 가상코인이 시중에 거래되도록 가상코인 거래소로 시중거래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S730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400)에서 가상코인 거래소에서 유통되는 가상코인의 물량 중 80%를 사업체 단말에서 매수하도록 요청하고, 나머지 20%에 대한 매도/매수자 정보를 상기 가상코인 거래소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S740)하고,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400)에서 매월 마다 사업체의 재무현황을 수신한 후, 수익을 정산한 후, 당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의 누적 소비 지출액 또는 상기 가상코인을 보유한 보유수량에 비례하는 적립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적립금이 지급될 이용자 정보를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S750)한다.
상기 적립금을 산출 과정은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과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며,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적립금을 산출한다.
[식 1]
다음으로, 상기 사업체 단말로부터 적립급 지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가상코인을 보유한 이용자 및 상기 당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적립금을 지급하는 단계(S760)한다.
한편, 상기 S700 과정은 이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업체와 관련된 소비지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보유한 가상코인을 전액 환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상코인의 잔량이 1개라도 남아있다면 멤버십이 유지되며, 만일 일정 기간 상기 사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이 없을 경우, 보유한 코인을 자동으로 반환하며, 적립 마일리지도 함께 반환된다. 또한 상기 가상코인을 구매한 금액은 보유한 계좌로 환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업체가 스터디 카페인 경우, 기간권 종료 시점 또는 시간권 종료 시점으로부터 90일 동안 추가 결제 내역이 없는 경우, 상기 멤버십 탈퇴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사업체의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코인을 발행하여 유통함으로써 사업을 위한 유동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체의 이용자 또는 상기 코인 구매자 및 보유자는 상기 사업체를 이용할수록 적립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홍보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홍보효과를 통해 매출 및 순익이 상승할 경우, 발행된 코인의 가치도 상승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 이용자, 보유자 모두 이익이 되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200: 사업체 단말
300: 회원단말
400: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
410: 사업가치 평가부
420: 가상코인 발행 및 가치 산출부
430: 적립금(배당금) 산출부
440: 이벤트 제공부
450: 가상코인 지급부
460: 회원관리부
470: 사업체 관리부
500: 가상코인 거래소 서버

Claims (9)

  1. 디지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매출액의 순수익의 비중에 따라 가치가 가변되는 코인을 발행 및 지급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지급하는 사업체 단말;
    상기 디지털 공유 플랫폼과 제휴된 사업체의 서비스 및/또는 상품을 결제 및/또는 상기 제휴된 사업체에서 발행된 코인을 구매하여 보유하는 이용자 단말; 및
    상기 사업체 단말의 재무현황을 기초로 사업체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된 사업체 가치를 기초로 발행가능한 코인 수량 및 코인 가치를 추천 및 상기 코인 발행을 지원하고, 발행된 코인이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코인 거래소에서 거래된 코인 매도/매수 정보를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발행된 코인을 구매한 구매자 및 매출을 발생시킨 이용자에게 지급될 코인 보유량 또는 구매금액에 비례하는 월별 배당금 또는 적립금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과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며,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적립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식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체 단말의 재무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체의 성장가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로부터 평가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단말에서 제공한 성장가치에 대한 평가정보를 기초로 상기 해당 사업체의 매출액과 비례하는 가상코인 발행수 및 가상코인 개당 금액에 대한 기준값 또는 적정값을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체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준값 또는 적정값의 가상코인 발행수량 및 가상코인 개당 가격이 포함된 가상코인 발행을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요청하고, 발행된 가상코인이 코인 시장에서 매도/매수되도록 가상코인 거래소 서버로 매도매수에 대한 가상코인 온라인 거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가상코인 발행서버에서 판매되는 해당 사업체의 가상코인 전체 발행량 중 20% 물량만을 코인 시장에서 매도/매수되도록 요청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책정한 월별 재무현황의 순수익에 따른 암호화페 당 배당금을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에서 보유한 가상코인 보유량에 따른 배당금을 산출하여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 상기 배당금을 현금 또는 가상코인으로 지급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의 누적 구매액을 기초로 적립금을 산출하고, 적립금에 따른 배당금을 산출하여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7. 사업체 단말에서 운영중인 사업체의 사업가치를 평가요청하고, 평가된 사업가치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업체의 재무현황평가 및 지리적 입지현황을 전문가로부터 자문한 후 자문결과를 토대로 사업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평가된 사업가치에 따른 가상코인 발행물량 및 가상코인 개당 적정가치를 산출한 후,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가상코인 발행 승인확인 후, 가상코인 발행서버로 상기 사업체의 가상코인이 시중에 발행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가상코인 거래소에서 유통되는 가상코인의 물량 중 80%를 상기 사업체 단말에서 매수하도록 요청하고, 나머지 20%에 대한 매도/매수자 정보를 상기 가상코인 거래소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매월 마다 사업체의 재무현황을 수신한 후, 수익을 정산한 후, 당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의 누적 소비 지출액 또는 상기 가상코인을 보유한 보유수량에 비례하는 적립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적립금이 지급될 이용자 정보를 상기 사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체 단말로부터 적립급 지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공유화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가상코인을 보유한 이용자 및 상기 당월 사업체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적립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월 1일~말일까지의 순익(총매출-총비용)을 기준과 연동되어 코인 보유 시점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며,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적립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방법.
    [식 1]

  8. 제7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단말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업체와 관련된 소비지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보유한 가상코인을 전액 환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방법.
  9. 삭제
KR1020220059592A 2021-05-18 2022-05-16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70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24 2021-05-18
KR20210064324 2021-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452A KR20220156452A (ko) 2022-11-25
KR102570627B1 true KR102570627B1 (ko) 2023-08-25

Family

ID=8423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592A KR102570627B1 (ko) 2021-05-18 2022-05-16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82B1 (ko) * 2008-08-29 2011-03-16 재단법인 한국사회서비스관리원 포인트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5092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코인의 가치 평가를 이용한 코인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279731B1 (ko) 2019-06-20 2021-07-20 방소윤 디지털자산화 서비스 시스템
KR102181925B1 (ko) 2019-07-02 2020-11-23 임한철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452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8285B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US8478683B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KR10140434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책정 시스템
CN112529565A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程序及信息处理终端
JP201913929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製造方法
Hutchison et al. The calculation of investment worth–Issues of market efficiency, variable estimation and risk analysis
KR102570627B1 (ko)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00069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8932615A (zh) 一种数字资产交易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Yamasawa Statistical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
JP2001312605A (ja) 商品投資システム、商品投資処理装置、商品投資方法及び記録媒体
CN113744065A (zh) 基于多维积分的收益权发放方法及装置
KR20220131161A (ko) 가상화폐를 활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8136A (ko) 웹콘텐츠 권리의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6514A (ko) 무형 자산 또는 권리 거래 시스템 및 무형 자산 또는 권리 거래 방법
Graf Price Collection and Validation 5
KR20010074113A (ko) 전자상거래 이윤의 복리식 적립을 통한 구매자 복지 향상방법
WO2008124789A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