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838B1 - 선로 작업 방법 - Google Patents

선로 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838B1
KR102569838B1 KR1020200165961A KR20200165961A KR102569838B1 KR 102569838 B1 KR102569838 B1 KR 102569838B1 KR 1020200165961 A KR1020200165961 A KR 1020200165961A KR 20200165961 A KR20200165961 A KR 20200165961A KR 102569838 B1 KR102569838 B1 KR 10256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ire
switch
power transmission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953A (ko
Inventor
권호상
김훈
박상서
이우상
양성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6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8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953A/ko
Priority to KR1020230108132A priority patent/KR102631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송전 경로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송전 경로 중 절단에 따라 사선 구간이 되는 영역에서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절단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로 작업 방법{LIN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특)고압 전선을 잡아줄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하여 (특)고압 전선 경간중간을 절단 후 공사용 개폐기를 같이 사용하여 배전선로에서 작업하는 선로 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분야의 공사/수리/점검 등의 작업에 있어서, 사회적 정책적으로 작업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직접활선공법을 지양(폐지)하고 보다 안전한 간접활선공법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당한 비중으로 간접활선공법이 도입되어 현장 적용을 넓혀가고 있다.
한편, 전기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정전이 수반되지 않는 무정전 배전공사가 주로 시행되고 있으나,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이 불가한 개소가 발생한다. 이는 특히, 상술한 간접활선공법의 도입에 따라 간접활선적용 및 무정전 공사의 동시 적용이 곤란한 개소에 대한 해소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정전 공법의 개념 및 적용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무정전 공법은 바이패스케이블 공법과 공사용 개폐기 공법, 이동용 발전기 공법을 시행하고 있다.
작업절차는 바이패스케이블 및 케이블 접속함을 이용하여, 특고압 우회 선로를 구성하고, 공사용개폐기로 전원을 인가한 후, 활선점퍼선 분리를 시행하여, 작업구간을 사선으로 만들고, 변압기 설치전주는 이동용 변압기차를 사용하여, 저압전원을 공급하여 정전고객 없이 무정전으로 공사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 케이블 구간 내 변압기 다수 또는 고압고객이 있는 경우 적용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용 변압기차가 다수 필요하며, 분기접속함도 다수가 필요하게 되며, 이는 작업 장소가 협소하거나, 교통량이 많은 개소 등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배전공사업체 장비보유기준도 이동용 변압기차 1대, 분기접속함 1개로서, 많은 장비의 확보도 용이치 않다.
또한, 핀장주가 5 경간 이상 설치된 지역의 경우,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적용시 장주변경(핀장주 → 내장주) 작업이 수반되어 간접활선 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현재 장주변경은 직접활선 작업만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의 경우,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내장주(점퍼선이 있는 장주)에서만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선로, 도심지 등 핀장주(점퍼선이 없는 장주)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는 간접활선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10-1777080호
본 발명은 간접활선 적용 및 무정전 공사의 동시 적용이 용이한 선로 작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공사 대상 구간 내 변압기 다수 또는 고압고객이 있는 경우에도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선로 작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핀장주 구간에 대해서도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선로 작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송전 경로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송전 경로 중 절단에 따라 사선 구간이 되는 영역에서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절단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선로의 한쪽으로부터의 우회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우회 경로에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전 경로를 절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 및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지점의 선로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개폐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절단된 선로를 연결하며, 상기 개폐기를 차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폐기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의 양측 단자에 입상 케이블 클램프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 중 하나를 상기 전선 지지 공구가 설치된 선로 상 한쪽 선로에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송전 경로상 다른 접속점의 선로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접속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접속점에 다른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선로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회 경로는, 상기 전선 인장 지지부과 상기 다른 전선 인장 지지구의 각 일측 선로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접속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전 경로에 위치하는 점퍼선을 상기 다른 접속점으로 삼아서 절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퍼선을 절분하기 전에, 상기 점퍼선 양단에 다른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한 우회 경로를 형성하며, 다른 개폐기는 상기 다른 접속점에 대한 다른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지점의 선로 및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접속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개폐기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개폐기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는, 절단 대상 전선을 인장력을 확보하도록 파지하는 양단의 2개의 전선 크램프; 절단을 위해 전선을 정렬시키는 전선 집게; 및 전선 절단후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양단의 2개의 전선 크램프를 지지하는 구조용 파이프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2개의 전선 크램프를 상기 선로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파이프 형태의 압축 슬리브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절단된 선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리형으로 내축 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전 경로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전 경로상에 존재하는 점퍼선에 병렬로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점퍼선 및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절단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의 선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점퍼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실시하면, 본 발명은 간접활선 적용 및 무정전 공사의 동시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선로 작업 방법은, 공사 대상 구간 내 변압기 다수 또는 고압고객이 있는 경우에도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선로 작업 방법은, 핀장주 구간에 대해서도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선로 작업 방법은, 전주 구간 단위 사선작업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전주 단위로 기자재를 교체하는 공법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는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하여 공사용 개폐기로 우회 경로를 확보하는 방식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b은 도 3a의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의 세부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하나의 특정 전주에 대하여 기자재를 교체하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한쪽 방향 경로는 경간 중간 절단 방식으로, 다른 방향 경로는 점퍼선 절분으로 사선 구간을 확보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는 도 6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공사 대상 및 경간 중간 절단된 인근 전주를 제외하고 부하전환이 불가능하여 다른 선로에 전력 공급을 유지시키는 임시 송전을 수행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도 8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공사 대상 및 경간 중간 절단된 인근 전주를 제외하고 다른 선로에 전력 공급을 유지시키는 임시 송전을 수행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하여 공사용 개폐기로 우회 경로를 확보하지 않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에 사용되는 전선 인장 지지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에 사용되는 압축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무정전 공법으로는 간접활선 적용이 곤란한 개소에, 전주와 전주사이의 (특)고압 전선을 절단하여, 전주 단위로 사선상태를 만들어 작업을 할 수 있는 공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S10); 상기 송전 경로를 절단하는 단계(S60); 상기 송전 경로 중 절단에 따라 사선 구간이 되는 영역에서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S70); 및 절단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선로 작업 방법은, 전주와 전주사이의 (특)고압 전선을 임시로 절단하고, 사선 구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필요한 기자재를 교체하거나 수리/점검한 후, 다시 절단된 전선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사선 구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는, 전주 단위의 기자재를 교체/수리/점검, 특정 기자재 교체, 전주 이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a는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하여 공사용 개폐기로 우회 경로를 확보하는 방식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S100);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선로의 한쪽으로부터의 우회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우회 경로에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200);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S400);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회 경로에 대한 접속점의 선로 및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접속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S600); 상기 송전 경로 중 상기 선로의 절단에 따라 사선 구간이 되는 영역에서 기자재 수리(교체 포함)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S700); 상기 공사용 개폐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슬리브 압축 방식으로 절단된 선로를 연결하는 단계(전선 인장 지지구 제거)(S800);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차단시키는 단계(S900); 및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S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S10 단계가 도 3a에서는 S100 단계로 표현이 변경되었으며, 도 2의 S10 단계와 S60 단계 사이에 도 3a의 S200 단계 및 S400 단계가 추가되었으며, S80 단계 이후 S900 단계 및 S990 단계가 추가되었다.
도 2의 S60 단계는 도 3a의 S600 단계로 구체화되었으며, S70 단계는 S700 단계로, S80 단계는 S800 단계로 구체화되었다.
상기 (특)고압 전선의 절단(선로 경간 절단이라 칭할 수 있음) 및 저단된 상기 (특)고압 전선의 연결시에 서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우회 경로에 공사용 개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의 절단/연결 작업 전후에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차단한다.
한편, 상기 사선 구간 확보후, 현장 상황에 따라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경유하는 우회 경로를 차단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선로 경간 절단후 공사용 개폐기는 상황에 따라 연결상태를 유지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안전한 사선 구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접속점에서의 전선 절단에 의한 경로 차단과 함께 상기 다른 접속점에서의 경로 차단, 즉, 2 접속점에서의 전력 경로 단절을 달성한다. 또한, 전력 전송에 대한 상기 우회 경로도, 2 접속점, 즉, 상기 접속점에서 상기 다른 접속점까지 형성된다.
도 3b은 도 3a의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의 세부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는 상술한 2 지점으로서, 접속점과 다른 접속점에 대한 우회 경로 형성의 과정으로서, 세부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구현에 따라,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200)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사용 개폐기의 양측 단자에 입상 케이블 클램프를 연결하는 단계(S202);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 중 하나를 상기 전선 지지 공구가 설치된 선로 상 한쪽 선로에 접속시키는 단계(S204); 및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송전 경로상 다른 접속점의 선로에 접속시키는 단계(S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구체적인 전주 관련 공사에 적용하는 경우 구체화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실시예 1)
도 4는 하나의 특정 전주에 대하여 기자재를 교체하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은, 대상 전주(14)의 양쪽 선로(4)에 전선 인장 지지구(100)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S110); 공사용 개폐기(200)의 양측 단자에 입상 케이블 클램프(401)를 연결하는 단계(S212);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401) 중 하나를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들(100) 중 하나의 전원측 선로에 접속시키는 단계(S214);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401)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들(100) 중 나머지 하나의 부하측 선로에 접속시키는 단계(S216);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S410); 상기 각 전선 인장 지지구(100) 내부에 위치한 선로들을 절단하는 단계(S610); 상기 대상 전주(14)의 기자재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단계(S710);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가 투입된 상태에서 슬리브 압축 방식으로 절단된 선로(4)를 연결하는 단계(이때, 선로에 설치된 전선 인장 지지구들(100)이 제거된다)(S810);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를 차단시키는 단계(S900); 및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S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S100 단계가 도 5에서는 S110 단계로 구체화되었고, 마찬가지로 S400 단계는 S410 단계로, S600 단계는 S610 단계로, S700 단계는 S710 단계로, S800 단계는 S810 단계로 구체화되었으며, S900 단계 및 S990 단계는 2 도면에서 차이가 거의 없다.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S990)에서는, 먼저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401)들을 선로(4)에서 제거하고,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에서 상기 입상 케이블 클램프(401)들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의 S202 단계가 도 5에서는 S212 단계로 구체화되었고, 마찬가지로 S204 단계는 S214 단계로, S206 단계는 S216 단계로 구체화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도 4에서 “한전간 4호”로 언급된 내장주 전주(14)에 대하여 현수애자 및/또는 피뢰기의 불량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과정으로 살펴본다.
이때, 현장 여건은, 야외 선로인 점 및 인근 전주(13, 15)는 모두 핀장주인 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적용이 불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적용하려면, 주변 전주들(한전간 3호, 한전간 5호)을 모두 점퍼선 절분이 가능한 내장주로 변경할 것이 요구된다.
도 4의 상황에서 도시한 한전간 4호(14)에 현수애자 및/또는 피뢰기를 교체하는데,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적용하면, 전주 전선(4)을 잡아줄 수 있는 공구(경간절단 후 고정)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100)를 한전간 4호 내장주(14) 양쪽(전원측, 부하측)에 각 3개씩(3상 반영) 설치하고(S110), 우회 경로에 공사용 개폐기(200)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입상케이블 클램프(401)를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 양단에 연결하고(S212), 각 입상케이블 클램프(401)를 한전간 4호 전주(14)의 전선 인장 지지구(100)의 바깥쪽 (특)고압 전선(전원측, 부하측)에 각각 접속시킨다(S214, S216).
다음,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를 투입하고(S410), 상기 각 전선 인장 지지구(100) 내부 위치 선로들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전원측 및 부하측의 (특)고압 전선 경간(전주와 전주 사이)을 절단하여(S610), 교체 공사를 위한 사선 구간을 확보한다. 이때, 절단 후 각 전선 인장 지지구(100)는 연장시켜 절단된 전선이 맞닿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사선 구간이 확보되면 작업자는 안전하게 한전간 4호 내장주(14)의 불량기자재로서 현수애자 및/또는 피뢰기 등을 교체할 수 있다(S710).
복구는 역순으로 도시한 S810 단계 내지 S990 단계의 과정들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가 다른 사정으로 차단된 경우, 서지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S810 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공사용 개폐기(200)를 투입한다.
(실시예 2)
도 6은 한쪽 방향 경로는 경간 중간 절단 방식으로, 다른 방향 경로는 점퍼선 절분으로 사선 구간을 확보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는 도 6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S120);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선로에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를 우회하는 우회 경로에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220);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S420); 이설 대상 전주에 대하여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선로의 반대편 인근의 내장주 양단(보다 구체적으로는 점퍼선 양단)에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522); 상기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S524);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S622); 상기 내장주의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S624); 상기 공사용 개폐기 및 상기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차단하는 단계(S715); 상기 전주(내장주, 핀장주 모두 가능함)를 이설하는 단계(S720); 상기 공사용 개폐기 및 상기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S725); 슬리브 압축 방식으로 상기 절단된 선로를 연결하고, 상기 절분된 점퍼선을 연결하는 단계(S820); 상기 공사용 개폐기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차단시키는 단계(S900); 및 상기 공사용 개폐기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S9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220)는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같이 양단에 연결되는 각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선로 전선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522)도 마찬가지로, 연결된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해당 선로 전선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S100 단계가 도 7에서는 S120 단계로 구체화되었고, 마찬가지로 S200 단계는 S220 단계로, S400 단계는 S420 단계로, S800 단계는 S820 단계로 구체화되었으며, S900 단계 및 S990 단계는 2 도면에서 차이가 거의 없다.
한편, 도 2의 S600 단계는 S622 단계 및 S624 단계로 구체화됨과 함께, 그 이전에, 다른 공사용 개폐기(300)의 설치를 위한 S522 단계 및 S524 단계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회 경로도 차단한 상태에서 필요한 공사를 수행하는 바, 도 2의 S700 단계는, S715 단계, S720 단계 및 S725 단계로 구체화되어, 필요한 공사전에 공사용 개폐기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차단하고, 필요한 공사후 공사용 개폐기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한다. 공사시 사선 구간이 확보되면 작업자는 안전하게 해당 전주를 이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도 6에서 “한전간 3호”로 언급된 핀장주 전주(23)에 대하여 전주 이설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부하전환 가능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부하전환 가능하면 전주 간 (특)고압 전선 경간중간을 절단하고 다른 한쪽을 내장주의 점퍼선을 절분하여, 구간 단위 사선구간을 확보 후 기자재교체, 전주교체, 전주이설 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장 여건은, 이설 대상 전주(23)의 좌측에 모두 핀장주들(21, 22)이 배치되어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적용이 불가능하다.
도 6의 상황에서 도시한 한전간 3호(23)를 이설하는데, 도 7의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적용하면, 한전간 1호 전주(21)의 전선에 전선을 잡아줄수 있는 공구(경간절단 후 고정)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120)를 전원측 3상 각 전선에 설치한다(S120).
다음,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120)의 전원측 선로와 상기 한전간 1호 전주(21)의의 부하측 선로를 연결하는 우회 경로에 공사용 개폐기(220)를 설치한다(S220). 이때, 상기 공사용 개폐기(2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입상 케이블 클램프(421, 422)를 해당 선로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한전간 1호 전주(21)에 설치된 공사용 개폐기(220)를 투입하고(S420), 상기 한전간 1호 전주(21)의 (특)고압 전선 경간(전주와 전주 사이)으로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120) 내부 위치 선로를 절단한다(S622). 구현에 따라, 상술한 공사용 개폐기(220)를 투입 및 선로 절단은 상기 다른 공사용 개폐기(320)의 설치 후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도 7은 이러한 구현을 표현한 것이다.
다음, 점퍼선을 구비한 내장주인 한전간 4호 전주(24)의 양 선로에 다른 공사용 개폐기(320)를 설치한다(S522). 이때에도 다른 공사용 개폐기(3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입상 케이블 클램프(423, 424)를 해당 선로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설치된 다른 공사용 개폐기(320)를 투입하고(S524), 내장주 점퍼선을 절분한다(S624).
다음, 한전간 4호 전주(24)의 다른 공사용 개폐기(320)를 차단하는데(S715), 이때, 부하전환 후 역송공급을 시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전간 1호 전주(21)의 공사용 개폐기(220)도 차단한다(S715).
상술한 과정에 따라 한전간 1호 전주(21)에서 한전간 4호 전주(24)까지의 사선 구간이 확보되며, 작업자는 안전하게 사선 구간에서 한전간 3호 전주(23)의 이설을 수행할 수 있다(S720). 다른 구현에서는, 전주 기자재 교체, 전주교체, 전선교체, 장주변경 등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구는 실시예 1의 경우와 유사하게 역순으로 도시한 S820 단계 내지 S990 단계의 과정들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공사 대상 및 경간 중간 절단된 인근 전주를 제외하고 부하전환이 불가능하여 다른 선로에 전력 공급을 유지시키는 임시 송전을 수행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은, 작업 대상에 대한 송전 경로상 2 지점(접속점, 다른 접속점)의 선로들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S130);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의 각 일측 단자에 입상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S232);상기 입상 클램프를 상기 송전 경로상 2 지점(접속점, 다른 접속점)의 선로에 접속하는 단계(S234);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의 상기 입상 클램프가 연결되지 않은 단자를 서로 바이패스 케이블(432)로 연결하는 단계(S237);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를 투입시키는 단계(S430); 상기 각 전선 인장 지지구(100) 내부에 위치한 선로들을 절단하는 단계(S630); 상기 대상 전주(14)의 기자재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단계(S730);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가 투입된 상태에서 슬리브 압축 방식으로 절단된 선로를 연결하는 단계(이때, 선로에 설치된 전선 인장 지지구들(100)이 제거된다)(S830);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를 차단시키는 단계(S900); 및 상기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S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S100 단계가 도 9에서는 S130 단계로 구체화되었고, 마찬가지로 S200 단계는 S232 단계 내지 S237 단계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S400 단계는 S430 단계로, S600 단계는 S630 단계로, S700 단계는 S730 단계로, S800 단계는 S830 단계로 구체화되었으며, S900 단계 및 S990 단계는 2 도면에서 차이가 거의 없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도 8에서 “한전간 2호”로 언급된 내장주 전주(32)에 대하여 기자재 또는 전주 교체(또는 전주이설도 가능)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살펴본다. 도 8은 부하전환 불가능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전주들 간 (특)고압 전선 경간 중간 양쪽을 절단(양쪽 모두 핀장주)하여 사선구간 확보 후, 기자재교체, 전주교체, 전주이설 등 작업을 하고, 특고압 선로는 2개의 공사용 개폐기(230, 330)와 바이패스 케이블(432)을 사용하여 무정전으로 임시송전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장 여건은, 작업 대상 전주(32)의 좌우측에 모두 핀장주들(31, 32)이 배치되어 있어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적용이 불가능하다.
도 8의 상황에서 도시한 한전간 2호 전주(32)에 대하여 전주 또는 기자재를 교체하는데, 도 9의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적용하면, 한전간 1호 전주(31)의 전원측 선로에 전선을 잡아줄수 있는 공구(경간절단 후 고정)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130)를 설치(3상일 경우 전원측으로 3개 설치됨)하고(S130), 공사용 개폐기(230)를 설치하기 위해 입상케이블 클램프(431)를, 공사용 개폐기(230)에 연결하고(S232),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130)의 전원측 선로에 접속한다(S234).
마찬가지로, 한전간 3호 전주(33)의 부하측 선로에 전선을 잡아줄수 있는 공구(경간절단 후 고정)로서 다른 전선 인장 지지구(135)를 설치(3상일 경우 부하측으로 3개 설치됨)하고(S130),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를 설치하기 위해 입상케이블 클램프(434)를,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에 연결하고(S232), 상기 다른 전선 인장 지지구(135)의 부하측 선로에 접속한다(S234).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는 바이패스 케이블(432)로 연결한다(S237).
다음, 한전간 1호 전주(31)의 공사용 개폐기(230)를 투입하고, 한전간 3호 전주(33)의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를 투입한 상태에서(S430), 전원측 (특)고압 전선 경간(전주와 전주 사이) 절단으로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130) 내부 선로를 절단하며, 부하측 (특)고압 전선 경간(전주와 전주 사이) 절단으로서 다른 전선 인장 지지구(135) 내부 선로를 절단하여(S630), 한전간 1호 전주(31)에서 한전간 3호 전주(33) 까지의 사선 구간을 확보한다.
공사시 사선 구간이 확보되면 작업자는 안전하게 한전간 2호 전주(32)에 대하여 기자재 또는 전주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S730).
복구는 실시예 1의 경우와 유사하게 역순으로 도시한 S830 단계 내지 S990 단계의 과정들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공사 대상 및 경간 중간 절단된 인근 전주를 제외하고 다른 선로에 전력 공급을 유지시키는 임시 송전을 수행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S140); 공사용 개폐기(240)의 일측 단자에 입상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S242); 상기 입상 클램프를 상기 송전 경로상 지점(접속점)인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의 일측 선로에 접속하는 단계(S244); 송전 경로상 반대편 내장주의 일측 선로에 다른 공사용 개폐기의 입상 클램프 접속하는 단계(S246); 상기 공사용 개폐기(24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40)의 상기 입상 클램프가 연결되지 않은 단자를 바이패스 케이블(442)로 서로 연결하는 단계(S247); 상기 공사용 개폐기(230)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330)를 투입시키는 단계(S440);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를 절단하고, 상기 내장주의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S640); 상기 전주(내장주, 핀장주 모두 가능함)를 이설하는 단계(S740); 슬리브 압축 방식으로 상기 절단된 선로를 연결하고, 상기 절분된 점퍼선을 연결하는 단계(S840); 상기 공사용 개폐기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차단시키는 단계(S900); 및 상기 공사용 개폐기 및 다른 공사용 개폐기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S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S100 단계가 도 11에서는 S140 단계로 구체화되었고,마찬가지로 S200 단계는 S242 단계 내지 S247 단계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S400 단계는 S440 단계로, S600 단계는 S640 단계로, S700 단계는 S740 단계로, S800 단계는 S840 단계로 구체화되었으며, S900 단계 및 S990 단계는 2 도면에서 차이가 거의 없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도 10에서 “강남간 17호”로 언급된 핀장주 전주(47)에 대하여 전주 이설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전주 간 (특)고압 전선 경간중간 한쪽만 절단하고, 다른 한쪽은 내장주에 공사용 개폐기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한 후, 구간 단위 사선구간을 확보 후 기자재교체, 전주교체, 전주이설 등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현장 여건은 도심 지역이라서 종래기술의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의 적용이 불가능하며, 전주(47) 이설시 우측 핀장주로 장주 변경까지 요구된다.
도 10의 상황에서 도시한 강남간 17호 전주(47)를 이설하는데, 도 11의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적용하면, 먼저 강남간 15호 전주(45)의 선로 전선을 잡아줄수 있는 공구(경간절단 후 고정)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를 부하측 3상 각 전선에 설치한다(S140). 강남간 15호 전주(45)에 대해서는 공사용 개폐기(240)에 연결된 입상케이블 클램프(444)를 부하측 선로에 접속한다(S244).
한편, 경로상 반대편 강남간 18호 내장주 전주(48)에 대해서는 다른 공사용 개폐기(340)에 연결된 입상케이블 클램프(441)를 전원측 선로에 접속한다(S246). 상기 공사용 개폐기(24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40)가 바이패스 케이블(442)로 상호 연결(S247)된 상태에서, 상기 공사용 개폐기(240)와 다른 공사용 개폐기(340)를 투입하여, 강남간 18호 전주(48)에서 강남간 15호 전주(45)로의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형성한다(S440).
다음, 내장주인 강남간 18호 전주(48)의 점퍼선을 절분하고, 강남간 15호 전주(45)의 부하측에 (특)고압 전선 경간(전주와 전주 사이)으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를 절단하여(S640), 강남간 18호 전주(48)에서 강남간 15호 전주(45)까지의 사선 구간을 확보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안전하게 사선 구간에서 강남간 17호 전주(47)의 이설을 수행할 수 있다(S740).
복구는 실시예 1의 경우와 유사하게 역순으로 도시한 S840 단계 내지 S990 단계의 과정들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2는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하여 공사용 개폐기로 우회 경로를 확보하지 않는 방식의 공법으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 선로와 점퍼선을 절단하여 사선 구간을 확보하는 방식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구성에서 전선 인장 지지구를 우회하기 위한 경로가 존재하지 않음에 다른 실시예들과 차이가 명확하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도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은,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S10); 상기 송전 경로상에 존재하는 점퍼선에 병렬로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62);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S64); 상기 점퍼선 및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S66); 상기 송전 경로 중 절단에 따라 사선 구간이 되는 영역에서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차단한 상태에서(S72)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S74);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의 선로를 연결하는 단계(S82);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S84); 및 상기 점퍼선을 연결하는 단계(S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S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단에 연결되는 각 입상케이블 클램프를 선로 전선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S60 단계가 도 13에서는 S62, S64 및 S66 단계로 구체화되었고, 마찬가지로 S70 단계는 S72 및 S74 단계로, S80 단계는 S82, S84 및 S86 단계로, 구체화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 선로와 인근 내장주의 점퍼선을 절단(절분)하여 사선 구간을 확보하되,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해서는 별도의 우회 경로를 구비하지 않는다. 다만, 절단/연결 시 서지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퍼선에 대하여 병렬로 공사용 개폐기를 연결한다. 공사 기간 중 해당 지역이 정전될 수 있지만, 가장 절차가 적고 간편하여, 적용 빈도가 높은 공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도 12에서 “한전간 2호”로 언급된 핀장주 전주(52)에 대하여 전주 기자재를 교체하는 과정으로 살펴본다.
도 12의 상황에서 도시한 한전간 2호(52)의 기자재를 교체하는데, 도 13의 흐름도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을 적용하면, 한전간 1호 전주(51)와 한전간 2호(52) 전주 사이의 전선에 전선을 잡아줄수 있는 공구(경간절단 후 고정)로서 전선 인장 지지구를 전원측 3상 각 전선에 설치한다(S10).
다음, 점퍼선을 구비한 내장주인 한전간 4호 전주(54)의 양 선로에 공사용 개폐기(520)를 설치한다(S522). 이때에도 공사용 개폐기(520)의 양단에 연결되는 입상 케이블 클램프(523, 524)를 해당 선로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점퍼선에 병렬연결된 우회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설치된 공사용 개폐기(520)를 투입하고(S64), 내장주 점퍼선을 절분하고, 전선 인장 지지구의 내부에 위치한 선로를 절단한다(S66). 이때, 점퍼선을 먼저 절분하는 것이 서지 방지에 약간이나마 유리하지만, 전선 인장 지지구와 공사용 개폐기(520)가 가까운 경우 상기 선로를 먼저 절단해도 무방하다.
다음 공사용 개폐기(520)를 차단하면, 한전간 2호 전주(52)에서 한전간 4호 전주(54)까지의 사선 구간이 확보되며, 작업자는 안전하게 사선 구간에서 한전간 2호 전주(23)의 기자재를 교체할 수 있다(S74).
복구시에는, 다른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먼저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의 선로를 연결하고(S82)나서, 상기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하고(S84), 상기 점퍼선을 연결한다(S86).
도 1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에 사용되는 전선 인장 지지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한 전선 인장 지지구(1000)는, 절단 대상 전선을 인장력을 확보하도록 파지하는 양단의 전선 크램프(1002); 절단을 위해 전선을 정렬시키는 전선 집게(1004); 및 전선 절단후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양단의 2개의 전선 크램프(1002)를 지지하는 구조용 파이프 지지체(1007)를 포함한다.
한편, 전선 인장 지지구(1000)는 파지한 전선을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이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후 연결을 위한 압축 슬리브 체결 작업의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해, 절단된 전선을 파지한 상태에서 2개의 전선 크램프(1002)의 간격을 넓히고 다시 좁힐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의 상기 구조용 파이프 지지체(1007)는 나사 형태로 회전시켜 상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나사 형성 단위 봉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전선 설치전 나사 형성 단위 봉들에 의한 간격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나사 조임 등으로 고정하는 고정 레버를 구비하고, 전선을 파지한 상태에서 나사 형성 단위 봉들에 의한 간격을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감속기 수단(1006)을 구비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로 작업 방법에 사용되는 압축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압축 슬리브(800)는 절단된 전선(선로)를 통전 가능하며 전선 하중을 지지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도 2의 S800 단계 및 이를 구체화한 S810, S820, S830, S840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한 압축 슬리브(800)는 파이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 공간에 절단된 전선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임 장비(900)로 도면에서 1번부터 12번까지의 위치를 순서대로 고리형으로 내축 방향으로 압축하여(조여서), 내부에 위치한 절단된 전선(4)과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0 : 전선 인장 지지구
200 : 공사용 개폐기
300 : 다른 공사용 개폐기
800 : 압축 슬리브
900 : 조임 장비

Claims (15)

  1. 송전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선로의 한쪽으로부터의 우회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우회 경로에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를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 내부에 위치한 선로 및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지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상기 송전 경로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송전 경로 중 절단에 따라 사선 구간이 되는 영역에서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절단된 선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를 차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폐기를 상기 송전 경로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기는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에 대한 우회 경로를 형성하며,
    다른 개폐기는 상기 다른 지점에 대한 다른 우회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 작업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접속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전 경로에 위치하는 점퍼선을 상기 다른 지점으로 삼아서 절분하는 선로 작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선을 절분하기 전에,
    상기 점퍼선 양단에 다른 개폐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작업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가 설치된 지점의 선로 및 상기 송전 경로의 다른 접속점의 선로를 절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개폐기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개폐기를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작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자재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로 작업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인장 지지구는,
    절단 대상 전선을 인장력을 확보하도록 파지하는 양단의 2개의 전선 크램프;
    절단을 위해 전선을 정렬시키는 전선 집게; 및
    전선 절단후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양단의 2개의 전선 크램프를 지지하는 구조용 파이프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선로에 전선 인장 지지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2개의 전선 크램프를 상기 선로에 결합시키는 선로 작업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상기 송전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파이프 형태의 압축 슬리브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절단된 선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리형으로 내축 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선로 작업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65961A 2020-12-01 2020-12-01 선로 작업 방법 KR10256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61A KR102569838B1 (ko) 2020-12-01 2020-12-01 선로 작업 방법
KR1020230108132A KR102631021B1 (ko) 2020-12-01 2023-08-18 선로 작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61A KR102569838B1 (ko) 2020-12-01 2020-12-01 선로 작업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132A Division KR102631021B1 (ko) 2020-12-01 2023-08-18 선로 작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53A KR20220076953A (ko) 2022-06-08
KR102569838B1 true KR102569838B1 (ko) 2023-08-24

Family

ID=819818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961A KR102569838B1 (ko) 2020-12-01 2020-12-01 선로 작업 방법
KR1020230108132A KR102631021B1 (ko) 2020-12-01 2023-08-18 선로 작업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132A KR102631021B1 (ko) 2020-12-01 2023-08-18 선로 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9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4205B (zh) * 2023-12-11 2024-04-26 宁波永耀电力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抢修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75B1 (ko) 2016-10-17 2017-05-29 (주) 세양전기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1777080B1 (ko)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JP2020145818A (ja) 2019-03-05 2020-09-1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並びに電線の支持及び張緩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11A (ja) * 1990-12-14 1996-01-23 Hokkai Denki Koji Kk 架線切分け方法並びに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75B1 (ko) 2016-10-17 2017-05-29 (주) 세양전기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1777080B1 (ko)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JP2020145818A (ja) 2019-03-05 2020-09-1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並びに電線の支持及び張緩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021B1 (ko) 2024-01-31
KR20230124873A (ko) 2023-08-28
KR20220076953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US20190334328A1 (en) Method for performing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within section in de-energized line state by separating wires within pole-to-pole span by means of insulated live wire grip and bypass jumper cable
KR100926445B1 (ko)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KR20230124873A (ko) 선로 작업 방법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101122499B1 (ko)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766162B1 (ko)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20110045837A (ko) 변압기 무정전 교체 공법
KR100479320B1 (ko)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2179905B1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14708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WO2018110845A1 (ko) 개별 개폐형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200246853Y1 (ko) 전선용 간격유지구
KR930011774B1 (ko)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CN113851990A (zh) 一种低压侧完全不停电的箱式变压器更换方法
Last et al. The Underground HV DC Link for the Transmission of Bulk Power from the Thames Estuary to the Centre of London
JP2024069959A (ja) 変圧器取替工法
KR20230009741A (ko) 이동용 변압기 접속 장치
KR200239198Y1 (ko) 인입전선용 휴즈의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