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76B1 -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76B1
KR102569776B1 KR1020210069694A KR20210069694A KR102569776B1 KR 102569776 B1 KR102569776 B1 KR 102569776B1 KR 1020210069694 A KR1020210069694 A KR 1020210069694A KR 20210069694 A KR20210069694 A KR 20210069694A KR 102569776 B1 KR102569776 B1 KR 10256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loading
fram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677A (ko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형 filed Critical 박준형
Priority to KR102021006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가 투입되는 입구가 포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적재판;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의 후방에 배치되어 투입된 판재의 전단과 접촉하여 상기 적재판으로 상기 판재를 떨어뜨리는 스토퍼;및 상기 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좌우방향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판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하면에 원형 궤도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 상기 하판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중심에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롤러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이 회전하는 판재 적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Plate loading units with improved utilization of loading space}
본 발명은 판재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판코일에서 커팅된 단위강판들을 적재판에 적재하는 것으로, 적재판을 회전시켜 적재판의 적재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판재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판코일은 일정두께로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되어 제조된다. 강판코일에 감긴 강판은 풀어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절단된 강판은 판재 적재 장치들을 통해 적재판에 적재된 후 운반될 수 있다.
판재 적재 장치는 강판코일의 커팅 장치 앞에 배치되어 절단된 강판을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는다. 판재 적재 장치는 절단된 강판이 투입되는 입구가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적재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재판은 컨베이어보다 낮게 배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에서 벗어난 강판은 자중에 낙하하여 적재판에 적재된다. 컨베이어와 적재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강판이 적재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의 속도를 높여 강판의 이동속도를 일정속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판재 적재 장치는 프레임의 입구를 통해 고속으로 유입되는 강판을 막아 적재판으로 안내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된다. 스토퍼는 적재판의 상측에 배치된다.
컨베이어에 의해 프레임의 입구로 유입된 강판들은 스토퍼에 부딪혀 아래로 떨어지면서, 적재판에 적재된다.
이때, 스토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강판들이 적재판의 일부 영역에만 적재된다. 적재판이 강판보다 크기가 큰 경우, 적재판의 적재 공간이 많이 남게 되어, 강판의 적재 효율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토퍼의 크기에 따라 강판의 두께 또는 강판의 적재량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적재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두께 또는 다양한 적재량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강판을 적재할 수 있는 판재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판재가 투입되는 입구가 포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적재판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의 후방에 배치되어 투입된 판재의 전단과 접촉하여 상기 적재판으로 상기 판재를 떨어뜨리는 스토퍼 및 상기 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좌우방향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판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하면에 원형 궤도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중심에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롤러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이 회전하는 판재 적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장부와, 상기 바디와 연장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와 연장부의 오버랩 구간을 조절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배치되어 수축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의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1 파트와, 상기 제1-1 파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파트의 폭은 상기 제1-1 파트의 폭보다 크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전후좌우 평면상 오버랩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테두리 부분이 중앙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상판의 최하단이 상기 하판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적재판이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적재판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강판의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스토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두께 또는 다양한 적재량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강판을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강판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의 일부가 적재판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강판과 접촉하는 가이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강판의 정렬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적재판의 상판은 원형 궤도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적재판의 하판은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롤러부가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판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적재판의 상판의 일부와 하판의 일부가 전후좌우 평면상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적재판의 높이를 줄이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적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적재판에 강판이 적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적재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적재판의 상판의 저면을 도시한 면, 도 3의 (b)는 적재판의 하판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적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전후방향으로 절단된 강판이 투입되는 방향을 나타내며, 좌우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판재의 예시로서, 강판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적재 장치는, 프레임(100)과, 적재판(200)과, 스토퍼(300)와, 가이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바(bar)가 조립된 구조체로서, 절단된 강판이 투입되는 입구(101)를 형성한다. 도 1의 P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강판이 투입된다. 입구(101)가 코일강판의 커팅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적재판(200)은 프레임(100)에 배치된다. 적재판(200)은 절단된 강판이 적재되는 곳이다. 이러한 적재판(200)은 축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적재판(200)의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적재판(200)은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재판(200)은 프레임(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코일강판의 커팅장치와 연결되는 컨베이어 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300)는 입구(101)로 투입된 강판의 움직임을 물리적으로 막아 강판을 적재판(200)으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300)는 적재판(200)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스토퍼(300)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3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속으로 입구(101)로 투입된 강판과 부딪힌다. 스토퍼(30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배치된 레일(301)에 결합될 수 있다.
절단된 강판의 크기나 강판의 적재 위치에 따라 스토퍼(300)의 전후방향 위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스토퍼(300)는 가이드(4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400)는 입구(101)로 투입된 강판의 측면과 접촉하여, 강판을 적재판(200)에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400)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400)는 프레임(10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복수 개의 로드(401)가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로드(401)에는 이동블록(402)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400)는 로드(401)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401) 중 일부는 이동블록(402)과 회전체결되어. 로드(401)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블록(402)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가이드(4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400)는 스토퍼(30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입구(101)로 투입된 강판이 적재판(200)에 정렬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강판을 안내한다.
가이드(400)는 스토퍼(300)의 전방에 배치되며, 프레임(100)의 입구(101) 바로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적재판(200)에 강판이 적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적재판(20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적재판(200)의 상판(210)의 저면을 도시한 면이고, 도 3의 (b)는 적재판(200)의 하판(220)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적재판(200)은 상판(210)과 하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10)과 하판(220) 사이에는 실린더(230)와 롤러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210)의 상면에 강판이 적재된다. 상판(210)은 하면에 가이드 홈(211)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211)은 하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원형 궤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210)은 테두리 부분이 중앙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하판(220)은 상판(2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판(220)은 중앙부분이 테두리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실린더(23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210)의 중앙부분이 하판(220)의 테두리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판(210)의 회전을 가이드(400) 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 개의 실린더(230)는 하판(220)에 배치된다. 실린더(23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확장된다. 복수 개의 롤러부(240)는 실린더(230)의 단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홈(211)에 접촉한다. 롤러부(240)가 가이드 홈(2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판(210)이 축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230) 및 롤러부(240)는 축중심(C)으로 기준으로 회전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는 상판(2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101)를 통해 소정의 속도로 강판(10)이 투입된 경우, 먼저, 가이드(400)가 투입된 강판(10)의 양 측면과 접촉하여, 좌우방향으로 강판(10)을 정렬시킨다. 가이드(400)에 의해 안내된 강판(10)은 가이드(400)의 후방에 배치된 스토퍼(300)에 부딪혀 적재판(200)으로 낙하한다.
도 1 및 도 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강판(10)들이 낙하되면서 적재되기 시작한다. 적재판(200)의 크기가 강판(10)보다 큰 경우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적재판(200)의 앞쪽에만 강판(10)들이 적재되어, 적재판(200)의 뒤쪽 공간이 남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30)가 작동하여, 길이가 확장되면, 상판(210)이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판(210)의 중앙부의 하단보다 하판(220)의 최상단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실린더(230)는 상판(210)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도 1 및 도 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30)의 길이가 확장되어 상판(210)이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판(210)을 회전시키면, 상판(210)이 회전되면서, 비어 있는 상판(210)의 뒤쪽 공간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비어 있는 뒤쪽 공간에 강판(10)들이 낙하하여 적재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적재판(200)의 앞쪽 공간뿐만 아니라, 뒤쪽 공간에도 강판(10)들이 적재되기 때문에 적재판(200)의 적재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가이드(400)와 스토퍼(30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가이드(400)와 스토퍼(300)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토퍼(300)는 전후방향을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강판(10)의 두께 및 적재량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스토퍼(300)는 바디(310)와,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0)는 프레임(1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바디(3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바디(310)의 단면 형상은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320)는 바디(31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연장부(320)는 바디(310)에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체결부재(312)는 바디(310)와 연장부(320)를 체결한다. 바디(3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공(311)을 포함한다.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12)는 장공(311)을 관통하여 연장부(320)에 체결된다.
사용자는 바디(310)와 연장부(320)의 오버랩 구간을 조절하여, 스토퍼(300)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400)는 제1 파트(410)와 제2 파트(420)와 제3 파트(430)와 탄성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410)는 프레임(100)에 결합한다. 제1 파트(410)는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제1-1 파트(411)와, 제1-1 파트(4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2 파트(412)를 포함하고, 제1-2 파트(412)의 폭(W2)은 제1-1 파트(411)의 폭(W1)보다 크다.
제2 파트(420)는 제1 파트(410)에 결합되며 강판(10)의 측면과 접촉한다.
제3 파트(430)는 제2 파트(42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탄성부재(440)는 제2 파트(420)와 제3 파트(430) 사이에 배치되어 수축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3 파트(430)의 하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부재(440)가 수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가이드(400)가 적재판(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3 파트(430)의 하단이 적재판(200)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강판(10)과 접촉하는 가이드(4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때문에 강판(10)이 접촉하는 발생하는 충격에도 가이드(40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강판(10)의 정렬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판(200)의 상하방향 높이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적재판(200)과 접촉하는 제3 파트(430)의 하단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판재 적재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200: 적재판
210: 상판
211: 가이드 홈
220: 하판
230: 실린더
240: 롤러부
300: 스토퍼
310: 바디
311: 장공
312: 체결부재
320: 연장부
400: 가이드
410: 제1 파트
420: 제2 파트
430: 제3 파트
440: 탄성부재

Claims (3)

  1. 판재가 투입되는 입구가 포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적재판;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의 후방에 배치되어 투입된 판재의 전단과 접촉하여 상기 적재판으로 상기 판재를 떨어뜨리는 스토퍼;및
    상기 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좌우방향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판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하면에 원형 궤도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
    상기 하판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중심에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롤러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장부와, 상기 바디와 연장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와 연장부의 오버랩 구간을 조절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배치되어 수축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의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1 파트와, 상기 제1-1 파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파트의 폭은 상기 제1-1 파트의 폭보다 크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전후좌우 평면상 오버랩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테두리 부분이 중앙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상판의 최하단이 상기 하판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길이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KR1020210069694A 2021-05-31 2021-05-31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KR10256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94A KR102569776B1 (ko) 2021-05-31 2021-05-31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94A KR102569776B1 (ko) 2021-05-31 2021-05-31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77A KR20220161677A (ko) 2022-12-07
KR102569776B1 true KR102569776B1 (ko) 2023-08-22

Family

ID=8444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94A KR102569776B1 (ko) 2021-05-31 2021-05-31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81B1 (ko) 2005-08-01 2007-01-04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KR101631961B1 (ko) 2014-04-09 2016-06-20 주식회사 영진울산공장 평판 적재장치
KR102226788B1 (ko) 2020-08-14 2021-03-12 (주)윈텍퍼니처 재단 판재 자동 정렬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72A (ko) * 2000-12-20 2002-06-26 이구택 중후강판의 적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81B1 (ko) 2005-08-01 2007-01-04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KR101631961B1 (ko) 2014-04-09 2016-06-20 주식회사 영진울산공장 평판 적재장치
KR102226788B1 (ko) 2020-08-14 2021-03-12 (주)윈텍퍼니처 재단 판재 자동 정렬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77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466B1 (ko) 시트처리장치
US7354035B2 (en) Sheet post-process apparatus
US9663908B2 (en) Roadside crash cushion
US9896295B2 (en) Buffer, stacking system including the buffer, and method of buffering
US7146892B2 (en) Cutting installation with two gripper beams displaceable in opposite directions
US7300053B2 (en) Sheet storage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569776B1 (ko) 적재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된 판재 적재 장치
US3658324A (en) Sheet stack jogging mechanism
JP5927135B2 (ja) シート処理装置
US20060066034A1 (en) Sheet post-process apparatus
US20060066037A1 (en) Sheet post-process apparatus
US20060157909A1 (en) Sheet-post-process apparatus
US7306213B2 (en) Sheet post-process device with standby tray
US9738481B2 (en) Print medium finish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381760B2 (en) Sheet process device
US20060066035A1 (en) Sheet post-process apparatus
US7185884B2 (en) Standby tray with feed roller tilt
RU2405722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JP7155740B2 (ja) 移動部材支持構造、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114969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206410930U (zh) 一种适应构件滑动的试验加载装置
KR102074361B1 (ko) 안착장치
JP2020132357A (ja) 画像形成装置
JP5598299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69916B2 (ja)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