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61B1 -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61B1
KR102074361B1 KR1020180055580A KR20180055580A KR102074361B1 KR 102074361 B1 KR102074361 B1 KR 102074361B1 KR 1020180055580 A KR1020180055580 A KR 1020180055580A KR 20180055580 A KR20180055580 A KR 20180055580A KR 102074361 B1 KR102074361 B1 KR 10207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seating
contact
cran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84A (ko
Inventor
박도영
김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5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운반물을 지지하는 안착장치로서, 상기 운반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운반물이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물을 미리 정해진 안착영역 내로 안내할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하고, 운반물을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착장치{SAFE ARRIVAL APPARATUS}
본 발명은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반물을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슬라브(Slab)에는 표면 결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표면 결함을 제거하고 슬라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카핑(Scarfing) 공정을 수행한다. 스카핑 공정에서는 슬라브 표면의 스케일과 같은 결함으로 처리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제거한다.
스케일은 처리수와 함께 스케일 피트(Scale Pit)로 흘러 들어가 쌓인다. 스케일 피트 내에 쌓인 스케일은 버켓(Bucket)에 의해 인출되어, 작업장에 미리 안착된 스케일 박스(Scale Box) 내에 장입된다. 스케일 박스 내에 일정량의 스케일이 장입되면, 크레인(Crain)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장으로 운반되어 대기한다. 이후, 스케일 박스는 트럭에 적재되어 이송된다.
종래에는 스케일 박스가 크레인에 의해 작업장 바닥에 안착되었다. 그러나 크레인이 흔들리거나 크레인 작업자의 실수로, 스케일 박스가 작업장 바닥에 틀어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스케일 박스와 크레인을 분리한 후, 스케일 박스와 크레인을 다시 연결할 때, 틀어진 상태의 스케일 박스와 크레인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스케일 박스의 틀어진 위치에 맞춰 크레인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과 스케일 박스를 연결하는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스케일 박스를 트럭에 싣기 위해, 트럭을 스케일 박스에 근접시키다가 트럭과 틀어진 상태의 스케일 박스가 충돌하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스케일 박스를 운반하는 작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면서, 스카핑 공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KR 2004-0083633 A
본 발명은 운반물을 미리 정해진 영역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안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반물을 운반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운반물을 지지하는 안착장치로서, 상기 운반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상기 운반물이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물을 미리 정해진 안착영역 내로 안내할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부는, 경사를 가지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영역은 상기 접촉부재들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운반물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경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재들은 경사가 상기 안착영역의 중심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접촉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운반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몸체부재; 및 상기 운반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영역 내에서 상기 몸체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와 크레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운반물을 적재할 수 있는 이동체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지부는, 상기 이동체와 접촉할 수 있는 스토퍼;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스토퍼를 이격시키록,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물은, 내부에 스케일을 수용할 수 있는 스케일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장치는, 스케일을 상기 스케일 박스에 장입하는 작업장, 및 상기 스케일 박스를 이동체에 적재시키는 작업장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반물을 미리 정해진 영역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안착된 운반물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영역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하는 다른 장비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사고로 인한 작업 중단 및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물이 미리 정해진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크레인 또는 트럭과 같은 이동체를 운반물의 위치에 맞춰, 운반물에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운반물을 크레인 또는 이동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하거나 적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을 운반하는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지부와 안착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에 운반물이 안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에 운반물이 안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100)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운반물(50)을 지지하는 안착장치이다. 안착장치(100)는 안착부(110) 및 정렬부(120)를 포함한다.
운반물(50)은 크레인에 연결될 수 있고,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어 안착장치(100)에 안착될 수 있다. 운반물(50)이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기 때문에, 크레인이 흔들리거나 크레인 작업자의 실수로, 운반물(50)이 틀어진 상태로 안착장치(100)로 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안착장치(100)가 크레인에 의해 하강하는 운반물(50)의 위치를 정렬시켜, 미리 정해진 안착영역으로 운반물(50)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운반물(50)은 내부에 스케일을 수용할 수 있는 스케일 박스일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운반물(50) 내부로 스케일이 장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물(50)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운반물(50)의 전후방향 폭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고, 좌우방향 폭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운반물(5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안착부(110)는 운반물(50)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안착부(110)에 복수개의 운반물(50)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10)는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된다. 안착부(110)는 몸체부재(111)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1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재(111)의 하부면은 작업장 바닥과 접촉할 수 있다.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은 운반물(50)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이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몸체부재(111) 상에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111)의 상부면 면적은 운반물(5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이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크레인 운전자가 운반물(50)을 안착부(110)의 상부면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에는 운반물(50)이 안착되도록 미리 정해진 안착영역(A)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영역(A)은 몸체부재(111)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안착영역(A)은 평면 면적은 몸체부재(111)의 평면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정렬부(120)는 하강하는 운반물(50)을 안착영역(A)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하강하는 운반물(50)이 안착영역(A) 내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안착영역(A)은 하나의 몸체부재(111) 상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11) 상에 복수개의 운반물(50)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장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안착영역이 하나의 몸체부재(111) 상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재(111)의 구조와 형상 및 안착영역(A)이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의 (b)와 같이 안착부(110)는 삽입홈(11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삽입홈(112)은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파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운반물(50)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의 평면 면적은 운반물(50)의 평면 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112)에 운반물(5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12)은 안착영역(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안착영역(A)에 삽입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120)가 삽입홈(112) 내로 하강하는 운반물(50)을 안내할 수 있고, 운반물(50)이 삽입홈(112) 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12) 내에서 운반물(50)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운반물(50)이 삽입홈(112) 내로 유도되어 틀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홈(1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c)와 같이 안착장치(100)는 연결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130)는 안착부(11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연결부(130)는 안착부(110)와 크레인을 연결해줄 수 있다. 이에, 안착부(110)가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어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안착장치(100)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착장치(100)가 다른 장치들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동시키거나, 안착장치(100)를 다른 작업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돌출부재 및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는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돌출부재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몸체부재(1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각 돌출부재에 형성된 관통홀들을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고, 와이어는 크레인에 구비되는 후크에 걸릴 수 있다. 즉, 와이어와 연결부(130)에 의해 안착부(110)와 크레인이 연결될 수 있고, 크레인이 안착부(110)를 지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30)의 구조와 형상, 및 연결부(130)가 크레인과 안착부(110)를 연결해주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정렬부(120)는 운반물(50)이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안착부(110)에 설치된다. 이에, 운반물(50)이 정렬부(120)와 접촉하면, 정렬부(120)에 의해 안착영역(A)으로 안내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정렬부(120)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접촉부재(121)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재(121)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촉부재(121)는 몸체부재(111)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접촉부재(121)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접촉부재(121)의 경사면이 운반물(50)과 접촉할 수 있고, 운반물(50)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경사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안착영역(A)은 접촉부재(121)들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접촉부재(121)들은 안착영역(A)의 외측에 위치하고, 접촉부재(121)의 경사는 안착영역(A)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따라서, 안착영역(A) 외측으로 하강하는 운반물(50)이 접촉부재(121)와 접촉하면,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안착영역(A)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접촉부재(121)들은 운반물(5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121)들은 운반물(50)의 전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고, 운반물(50)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몸체부재(111) 상으로 하강하는 운반물(50)이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접촉부재(121)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고, 안착영역(A)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접촉부재(121)들은 경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안착영역(A)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접촉부재(121)가, 전후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121)들이 운반물(50)의 좌측 둘레와 우측 둘레의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강하는 접촉부재(121)가 틀어지면, 접촉부재(121) 하부의 좌측 또는 우측이 복수개의 접촉부재(121)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이 가하는 충격 또는 하중이 복수개의 접촉부재(121)로 분산되기 때문에, 접촉부재(12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접촉부재(121)들이 안정적으로 운반물(50)을 안착영역(A)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재(121)들은 경사가 안착영역(A)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접촉부재(121)들은 경사가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와 같이 3개의 접촉부재(121)가 서로 마주보지 않으면서, 운반물(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안착영역(A)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평면상으로 하강하는 운반물(50)의 위치가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지면, 3개의 접촉부재(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이 어느 위치로 틀어지더라도 접촉부재(121)에 의해 안착영역(A)의 중심부로 유도되어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접촉부재(121)들의 경사가 안착영역(A)의 중심부를 향하면서, 접촉부재(121)들의 경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c)와 같이 한 쌍의 접촉부재(121)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접촉부재(121)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모든 접촉부재(121)의 경사는 안착영역(A)의 중심부를 향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으로 하강하는 운반물(50)의 위치가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지면, 4개의 접촉부재(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이 어느 위치로 틀어지더라도 접촉부재(121)에 의해 안착영역(A)의 중심부로 유도되어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구비되는 접촉부재(121)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틀어져서 하강하는 운반물(50)을 안착영역(A) 내로 더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부재(121)들이 구비되는 개수 및 배치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촉부재(121)는 복수개의 플레이트(121a)를 포함한다. 접촉부재(121)는 연결 플레이트(121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121a)는 안착부(11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플레이트(121a)는 안착영역(A)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21a)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21a)는 안착영역(A)을 향하는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121a)는 안착영역(A)을 향하는 경사면, 안착영역의 외측을 향하는 외면, 및 경사면과 외면을 연결해주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은 운반물(50)과 접촉할 수 있고, 운반물(50)은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플레이트(121a)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플레이트(121a)들의 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플레이트(121a)들이 이격될 수 있고, 플레이트(121a)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121b)는 복수개의 플레이트(121a)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연결 플레이트(121b)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21b)의 일측은 한 쌍의 플레이트(121a) 중 일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121a)의 하부와 연결되고, 연결 플레이트(121b)의 타측은 한 쌍의 플레이트(121a) 중 타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121a)의 하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121b)의 길이만큼 복수개의 플레이트(121a)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121a)와 연결 플레이트(121b)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121a), 및 연결 플레이트(121b)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b)와 같이 접촉부재(121)는 가이드롤(121c)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가이드롤(121c)은 플레이트(121a)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롤(121c)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121a)들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롤(121c)의 일측은 한 쌍의 플레이트(121a) 중 일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121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롤(121c)의 타측은 한 쌍의 플레이트(121a) 중 타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121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롤(121c)의 적어도 일부가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보다, 안착영역(A)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접촉부재(121)를 향하는 운반물(50)이 가이드롤(121c)과 접촉할 수 있다. 하강하는 운반물(50)과 가이드롤(121c)이 접촉하면, 가이드롤(121c)이 회전하면서 운반물(50)과 접촉부재(12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반물(50)을 안착영역(A)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121c)의 회전으로 운반물(50)이 더 효과적으로 안착영역(A)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롤(121c)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롤(121c)은 플레이트(121a)의 경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과 가이드롤(121c)이 접촉하는 영역 또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이 가이드롤(121c)에 의해 더 용이하게 안착영역(A)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롤(12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와 같이 접촉부재(121)가 완충부재(121d)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121d)는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121d)는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경사면에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121d)가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어줄 수 있다. 이에, 완충부재(121d)가 플레이트(121a)의 경사면을 보호해줄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121d)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이 몸체부재(111) 상으로 하강하다가 완충부재(121d)와 충돌하면, 완충부재(121d)가 수축하면서 운반물(50)과 플레이트(121a)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 또는 플레이트(121a)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121d)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지부와 안착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지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착장치(100)는 정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지부(140)는 안착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정지부(140)는 운반물(50)을 적재할 수 있는 이동체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이동체가 이동하다가 운반물(5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지부(140)는 스토퍼(141) 및 이격부재(142)를 포함한다.
이동체는 트럭 또는 로드 러거(Load Lugger)일 수 있다. 이동체의 짐칸이 안착부(110) 상에 안착된 운반물(50)을 향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이동체를 후진시킬 수 있다. 운전자가 후방을 확인하기 어려워 후진하는 이동체가 운반물(50)과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부(140)를 구비하여, 이동체가 운반물(50)과 이격되는 적정 위치에 이동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스토퍼(141)는 안착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141)는 이동체와 접촉할 수 있고, 이동체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41)는 작업장의 바닥보다 상측을 돌출되어 형성되고, 스토퍼(141)는 이동체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 중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을 향하여 이동하는 이동체가, 턱과 같은 스토퍼(14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이동체는 스토퍼(141)가 위치한 곳까지만 이동할 수 있고, 운반물(50)에 과도하게 근접해져 운반물(5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부재(14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일 수 있다. 이격부재(142)는 일단이 안착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토퍼(141)에 연결된다. 이에, 이격부재(142)가 연장되는 길이만큼 안착부(110)와 스토퍼(141)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부재(14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토퍼(141)는 이격부재(14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격부재(142)의 전단부가 스토퍼(141)와 연결되고, 이격부재(142)의 후단부가 안착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격부재(14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141)와 이동체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 복수개의 이격부재(142)로 분산될 수 있고, 이격부재(142)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부재(142)가 스토퍼(141)와 안착부(110)를 안정적으로 이격시켜주어, 이동체와 운반물(5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41)는 이격부재(142)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격부재(14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토퍼(141)를 이동시켜, 스토퍼(141)와 안착부(1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해줄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이나 이동체의 크기에 맞추어, 스토퍼(141)와 안착부(1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이동체가 운반물(50)을 싣기 용이한 위치까지 이동체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141)와 이격부재(14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에 운반물이 안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장치에 운반물을 안착하고 운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안착장치는, 스케일을 스케일 박스에 장입하는 작업장, 및 스케일 박스를 이동체에 적재시키는 작업장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장치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작업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케일 박스가 안착장치에 안착되는 운반물일 수 있고, 스케일 박스는 크레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우선, 두 대의 안착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장치와 제2 안착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제1 안착장치는 스케일을 운반물에 장입하는 작업장에 배치하고, 제2 안착장치는 운반물을 이동체에 적재시키는 작업장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가 접근하지 않는 제1 안착장치에는 정지부가 구비되지 않고, 이동체가 접근할 수 있는 제2 안착장치에는 정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 및 도 6과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여 내부가 빈 운반물(50)을 스케일을 장입하는 작업장에 배치된 제1 안착장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운반물(50)이 제1 안착장치의 몸체부재(111) 상으로 안착될 때, 접촉부재(121)에 의해 몸체부재(111) 상의 안착영역(A)으로 유도되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과 안착영역(A)의 위치가 맞지 않더라도, 접촉부재(121)에 의해 운반물(50)이 하강하는 위치가 변경되어, 운반물(50)이 안착영역(A) 내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삽입홈(112)이 구비된 제1 안착장치의 안착부(110)에 운반물(50)을 안착시킬 수도 있다. 운반물(50)이 제1 안착장치의 몸체부재(111) 상으로 안착될 때, 접촉부재(121)에 의해 운반물(50)이 삽입홈(112) 내로 유도되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과 삽입홈()의 위치가 맞지 않더라도, 접촉부재(121)에 의해 운반물(50)이 하강하는 위치가 변경되어, 운반물(50)이 삽입홈(112) 내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이 삽입홈(112) 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홈(112) 내에서 운반물(50)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운반물(50)은 삽입홈(112) 내에 안착되기 때문에, 운반물(50)이 안착부(110) 상에서 미끄러져 안착부(11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반물(50)이 몸체부재(111) 상에 완전히 안착되면, 크레인과 운반물(50)을 분리하고, 운반물(50) 내부에 스케일을 장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스케일은 스카핑 공정 중에 발생하고, 처리수와 함께 스케일 피트로 흘러 들어가 쌓인다. 스케일 피트 내에 쌓인 스케일은 버켓에 의해 인출되어, 스케일 피트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안착장치 상의 운반물(50) 내로 장입된다.
이때, 제1 안착장치 상에 복수개의 운반물(50)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운반물(50)로 스케일을 장입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스케일 피트에 쌓인 스케일을 운반물(50)로 옮기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운반물(50) 내에 일정량의 스케일이 장입되면, 운반물(50)을 다른 작업장으로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레인과 운반물(50)을 다시 연결해줄 수 있다. 운반물(50)이 안착영역(A)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크레인이 운반물(50)에 접근할 때 운반물(5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반물(50)이 안착영역(A) 내 정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운반물(50)의 위치에 맞춰 크레인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운반물(50)과 연결할 수 있다.
그 다음, 크레인으로 운반물(50)을 들어올려, 운반물(50)을 이동체에 적재시키는 작업장으로 운반할 수 있다. 크레인은 제2 안착장치 상에 운반물(50)을 위치시키고, 운반물(5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하강하는 운반물(50)의 위치가 틀어져 몸체부재(111) 상의 안착영역(A)을 벗어난 상태로 하강하면, 운반물(50) 하부의 안착영역(A)을 벗어난 부분이 접촉부재(121)와 접촉한다. 이에, 도 6의 (b)와 같이 운반물(50)이 접촉부재(121)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안착영역(A) 내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이 안착영역(A)을 벗어난 상태로 하강되더라도, 하강되면서 접촉부재(121)에 의해 안착영역(A) 내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제2 안착장치에 운반물(50)이 완전히 안착되면, 크레인과 운반물(50)을 분리한다.
그리고 이동체에 운반물(50)을 싣기 위해, 이동체를 제2 안착장치에 접근시킬 수 있다. 이때, 운반물(50)에 접근하는 이동체가, 정지부(14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만 운반물(50)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과 이동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체에 운반물(50)을 싣기 용이한 위치에 이동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동체가 정지부(140)에 의해 완전히 정지되면, 제2 안착장치 상의 운반물(50)을 이동체로 옮겨 적재시킬 수 있다. 이동체는 운반물(50)을 적재한 상태에서 스케일을 처리하는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운반물(50)을 미리 정해진 영역 즉, 안착영역(A)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안착된 운반물(50)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영역(A)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하는 다른 장비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사고로 인한 작업 중단 및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물(50)이 미리 정해진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크레인 또는 트럭과 같은 이동체를 운반물의 위치에 맞춰, 운반물에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운반물(50)을 크레인 또는 이동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하거나 적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반물(50)을 운반하는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 안착영역 50: 운반물
100: 안착장치 110: 안착부
111: 몸체부재 112: 삽입홈
120: 정렬부 121: 접촉부재
121a: 플레이트 121b: 연결 플레이트
121c: 가이드롤 121d: 완충부재
130: 연결부 140: 정지부
141: 스토퍼 142: 이격부재

Claims (14)

  1. 크레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운반물을 지지하는 안착장치로서,
    상기 운반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운반물을 적재할 수 있는 이동체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정지부; 및
    상기 운반물이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경사를 가지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운반물을 상기 접촉부재들 사이의 미리 정해진 안착영역 내로 안내할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들 중 일부는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경사가 상기 안착영역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경사가 상기 안착영역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지부는,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는 이격부재, 및
    상기 이동체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와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부재에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안착장치.
  2. 크레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운반물을 지지하는 안착장치로서,
    상기 운반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운반물을 적재할 수 있는 이동체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정지부; 및
    상기 운반물이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경사를 가지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운반물을 상기 접촉부재들 사이의 미리 정해진 안착영역 내로 안내할 수 있는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3개가 구비되어 상기 운반물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경사가 상기 안착영역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지부는,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는 이격부재, 및
    상기 이동체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안착부와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부재에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안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운반물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안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들은 경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안착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운반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을 더 포함하는 안착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착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몸체부재; 및
    상기 운반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영역 내에서 상기 몸체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안착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크레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안착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반물은,
    내부에 스케일을 수용할 수 있는 스케일 박스를 포함하는 안착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안착장치는, 스케일을 상기 스케일 박스에 장입하는 작업장, 및 상기 스케일 박스를 이동체에 적재시키는 작업장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안착장치.
KR1020180055580A 2018-05-15 2018-05-15 안착장치 KR10207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80A KR102074361B1 (ko) 2018-05-15 2018-05-15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80A KR102074361B1 (ko) 2018-05-15 2018-05-15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84A KR20190130884A (ko) 2019-11-25
KR102074361B1 true KR102074361B1 (ko) 2020-02-06

Family

ID=6873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80A KR102074361B1 (ko) 2018-05-15 2018-05-15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4487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東芝 コイル搬送装置及びコイル据付方法
KR101841556B1 (ko) * 2017-05-19 2018-03-23 화일산기(주)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280Y1 (ko) * 1998-05-12 2001-03-02 김영환 반도체다이본딩장비의중간포켓
KR100944433B1 (ko) 2003-03-24 2010-02-25 주식회사 포스코 용삭 스케일의 분리 포집 및 배출 장치
KR101888208B1 (ko) * 2013-10-31 2018-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적층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4487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東芝 コイル搬送装置及びコイル据付方法
KR101841556B1 (ko) * 2017-05-19 2018-03-23 화일산기(주)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84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9146B (zh) 抓取设备
US20200231420A1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RU2550785C1 (ru) Демпф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груз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ана
CN104276404A (zh) 一种缓冲式输送线
KR102074361B1 (ko) 안착장치
KR101088128B1 (ko) 자재 이동 및 인양 대차
KR101256530B1 (ko) 하역기의 추돌방지장치
EP3080031B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CN113636334A (zh) 一种箱体移料装置
KR101627534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
KR100448621B1 (ko) 코일제품 적치장치
KR101785986B1 (ko) 케이블 안내장치
CN218112698U (zh) 一种机械设备的搬运装置
KR101003721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CN216685435U (zh) 一种工件收纳定位装置
CN213010797U (zh) 板材码垛升降导向机构
KR102547954B1 (ko) 브레이크 패드 자동 공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KR102185625B1 (ko)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CN215666909U (zh) 筒管提升装置
CN218950335U (zh) 一种排序装置
CN220408752U (zh) 电芯盒夹爪和机器人
KR20120058108A (ko) 운반 장비의 하중 테스트를 위한 웨이트
KR101891983B1 (ko) 로드아웃 캐리지 설치용 지그
KR20070095537A (ko) 지그 이송용 캐리어
KR20000010619U (ko) 코일소재 안착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