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72B1 - 절단 생검 기구 - Google Patents

절단 생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72B1
KR102569772B1 KR1020200172756A KR20200172756A KR102569772B1 KR 102569772 B1 KR102569772 B1 KR 102569772B1 KR 1020200172756 A KR1020200172756 A KR 1020200172756A KR 20200172756 A KR20200172756 A KR 20200172756A KR 102569772 B1 KR102569772 B1 KR 10256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needle
housing
han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661A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7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72B1/ko
Priority to PCT/KR2021/000338 priority patent/WO2022124471A1/ko
Publication of KR2022008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생검기구에 관한 것으로, 조직 채취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채취 시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조직 채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생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 생검 기구{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단 생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 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채취할 조직은, 그 주위 및/또는 생검 바늘이 침투하는 경로 상에 혈관이나 다른 조직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따라서 생검에 사용할 생검기구는, 시술자가 시술 시 최대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검기구는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고려되기 보다는 시술자가 기구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술의 안정감을 주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기구에 따라 너무 강한 발사력으로 인하여 위험 부위에는 사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8166호 일본 특허공보 제4343309호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시술자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과,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을 스위칭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및 속침부와 결합된 핸들부와, 상기 제1 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과 결합되어 제1 블록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과 결합이 해제되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구비된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절단 생검 기구는 채취할 조직 부위에 조직 채취홈을 정확히 삽입한 상태에서 가볍게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직 절단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3 블록과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핸들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제3 블록 및 제1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핸들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핸들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1)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3 블록(18)과 하우징(11)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핸들부(13)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1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는 하우징(11), 니들셋(12), 핸들부(13), 제1 블록(14), 제2 블록(15), 제3 블록(18), 스프링(17) 및 지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
니들셋(12)은 서로 중첩되는 겉침부(121) 및 속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셋(12)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들셋(12)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바깥에 배치되는 데, 예를 들면 겉침부(121)의 내경은 속침부(12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바깥에 배치된 채, 속침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컨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겉침부(121)는 속침부(122)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122)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겉침부(121)의 제2 방향(D2) 단부는 제1 블록(1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겉침부(121)는 제1 블록(14)의 운동에 연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속침부(122)는 제1 방향(D1) 단부에 위치한 제2 커팅면(1221)과 제2 커팅면(1221)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직 채취홈(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21)로 덮이거나 겉침부(1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채취홈(122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122)는 하우징(11)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속침부(122)의 제2 방향(D2) 단부는 제2 블록(15)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제1 컷팅면(1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122)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121)의 제1 컷팅면(1211)은 속침부(122)의 제2 컷팅면(1221)과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122)의 제2 컷팅면(1221)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셋(12)은 하우징(11)을 통과해 하우징(11)의 선단부의 제3 개구(112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절단 생검 기구(1)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의 내부의 공간에 니들 셋(12)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에는 지지부(16)를 갖는 제3 블록(18)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제3 블록(18)의 방향으로 돌출된 월(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월(113)에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제3 블록(18)의 결합부(182)가 서로 걸려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블록(18)은 하우징(11)과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1)과 제3 블록(18)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제2 방향(D2) 단부에는 제4 개구(1124)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2 블록(15)의 단부 및 핸들부(13)가 제2 방향(D2)으로 돌출된다.
제3 블록(18)은 하우징(11)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즉 축 방향(D)으로 연장된 몸체(181)를 포함하고, 몸체(181)의 측면에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블록(18)은 제2 블록(15)과 결합되고, 내부에 제1 블록(14) 및 스프링(17)을 수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블록(18)에는 지지부(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블록(18)의 제2 방향(D2)의 단부에는 제1 홈(183)과 제2 홈(184)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183)을 통해 도 5에서 볼 수 있는 속침(122)이 관통될 수 있고, 제 2 홈(184)을 통해 제2 블록(15)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183)과 제2 홈(184)은 핸들부(13)에 인접하고, 선택적으로 제1 홈(183)이 하부에, 제2 홈(184)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부(16)는 제4 블록(14)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지지단(161)과, 제5 블록(15)에 의해 지지단(161)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단(162)과, 상기 지지단(161) 및 해제단(162)이 설치되는 탄성부(163)와, 탄성부(163)와 몸체(18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개부(164)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63)는 제3 블록(18)의 상단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63)는 제3 블록(18)의 몸체(181)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몸체(181)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163)와 몸체(181)의 사이에는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절개부(164)이 위치하고 탄성부(163)는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 예컨대 제3 블록(18)의 너비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16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3 블록(18)의 너비 방향의 양측 벽을 이루는 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64)에 의해 상기 탄성부(163)는 제3 블록(18)의 너비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는 데,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164)은 제1 블록(14)의 가이드 핀(146)이 결합되어 제1 블록(14)의 축 방향(D) 운동에 대한 가이드 레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지지단(161)과 해제단(162)은 각각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된 한 쌍의 탄성부(163)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지지단(161)과 해제단(162)은 서로 연결된 구조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단(161)과 해제단(162)은 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단(161)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단(161)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해제단(162)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해제단(162)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지지단(161)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단(161)은 후술하는 제1 블록(14)의 스토퍼(142)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해제단(162)은 제2 블록(15)의 제2 스위칭부(158)와 대향되어 제2 스위칭부(158)에 의해 지지단(161)과 스토퍼(142)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단(161)은 탄성부(163)에 결합되기 때문에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단(162)도 탄성부(163)에 의해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단(161)과 해제단(162)은 제2 블록(15)의 제2 스위칭부(158)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4)과의 결합 및 해제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한 쌍의 해제단(162) 사이 간격이 한 쌍의 지지단(161)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될 수 있다. 즉 해제단(162)이 지지단(161)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부(158)에 의해 해제단(162)이 더 쉽게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단(161)도 양측으로 벌어져 지지단(161)의 제1 블록(14)과의 결합이 해제되기 쉽다.
한편, 하우징(11)은 도 1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적어도 일 측면에 제2 파지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지부(112)는 하우징(11) 표면으로부터 축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파지부(111)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하우징(11)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11)는 하우징(11)의 측면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1)는 하우징(11) 내부에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이 축 방향(D)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은 제3 블록(18)에 결합되어 하우징(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과 분리된 별도의 프레임 구조체인 제3 블록(18)을 하우징(11)과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구조이므로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하우징(11)의 금형으로 지지부(16)까지 모두 제조하도록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금형 설계의 자유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제1 블록(14)에는 스프링(17)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7)은 제3 블록(18) 내부에 위치하며, 제1 방향(D1)의 일단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제1 블록(14)의 돌기(144)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2 방향(D2)의 일단은 제3 블록(18)의 단부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블록(14)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17)은 압축되고, 스프링 탄성을 갖게 된다. 이처럼 스프링(17)이 제3 블록(18)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3 블록(18)을 하우징(11)에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 블록(14)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방향(D1)으로 겉침부(121)가 결합된다. 속침부(122)는 제1 블록(14)을 축 방향(D)을 따라 관통하며, 제1 블록(14)의 제2 방향(D2) 단부의 돌기(144)를 통과해 제2 방향(D2)으로 노출된다.
제1 블록(14)에는 제2 블록(15)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143)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143)는 제1 블록(14)의 제1 방향(D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블록(15)의 제2 결합부(157)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블록(15)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부(157)가 제1 결합부(143)에 걸려 제1 블록(14)도 제2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블록(14)은 표면에 구비된 스토퍼(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2)는 상기 지지부(16)의 지지단(16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블록(14)의 제2 방향(D2) 이동에 따라 지지단(16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방향(D2)으로 경사면을 갖고 제1 방향(D1)으로 단차를 갖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42)는 축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단(16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42)는 축 방향(D)으로 이격된 제1 스토퍼(1421) 및 제2 스토퍼(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421)가 제2 방향(D2)으로 제2 스토퍼(1422)가 제1 방향(D1)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제1 블록(14)은 지지단(161)에 제1 스토퍼(1421)가 먼저 결합될 수 있고, 이 때 제1 블록(14)은 스프링(17)에 의한 제1 탄성력을 갖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블록(14)이 제2 방향(D2)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스토퍼(1422)가 지지단(161)에 결합될 수 있는 데, 이 때 제1 블록(14)은 스프링(17)에 의한 제2 탄성력을 갖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탄성력은 제1 탄성력보다 큰 힘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2)는 축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스토퍼(1421) 및 제2 스토퍼(1422)를 포함함으로써 제1 블록(14)에 서로 다른 스프링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토퍼(142)가 축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2단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142)는 축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단의 구조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4)은 서로 다른 복수의 스프린 탄성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42)는 축 방향(D)에 수직한 너비 방향으로 이격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한 쌍의 스토퍼(142) 사이에는 축 방향(D)으로 연장된 홈(145)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홈(145)의 제1 방향(D1) 단부에 제1 결합부(143)가 설치될 수 있다. 홈(145)을 따라서는 제2 블록(15)의 연결 블록(153)이 배치될 수 있는 데, 상기 홈(145)은 연결 블록(153)의 축 방향(D)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블록(14)은 가이드 핀(146)이 제3 블록(18)의 절개부(16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3 블록(18) 내부에서 축 방향(D)을 따라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블록(14)은 절개부(164)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는 시술 과정에서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블록(15)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축 방향(D)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블록(15)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연결 블록(153)을 갖는 데, 상기 연결 블록(153)은 핸들부(13)와 제2 결합부(157)를 연결시켜준다.
제2 블록(15)의 제1 방향(D1) 단부에는 제2 결합부(157)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157)는 제1 블록(14)의 제1 결합부(143)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단차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 블록(153)의 제1 방향(D1) 단부에는 속침부(122)의 방향으로 돌출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는 데, 이 단차부에 의해 제2 결합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57)는 연결 블록(153)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2 결합부(157)는 제1 결합부(143)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블록(15)의 제2 방향(D2)의 단부에는 핸들부(13)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블록(153)에는 제2 스위칭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158)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축 방향(D)에 수직한 너비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스위칭부(158)는 제1 방향(D1)으로는 경사면을 갖고 제2 방향(D2)으로는 단차를 갖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158)는 도 4의 해제단(162)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블록(15)의 제1 방향(D1)으로의 운동으로 제2 스위칭부(158)의 경사면이 해제단(162)을 누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해제단(162)이 너비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단(161)의 제1 블록(14)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블록(15)의 제2 방향(D2) 단부에는 핸들부(13)가 위치할 수 있는 데, 핸들부(13)는 속침부(122) 및 제2 블록(15)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3)는 속침부(122) 및 제2 블록(15)을 동시에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부(13)는 속침부(122)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제2 블록(15) 만을 선택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13)는 제3 핸들(133) 및 제4 핸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핸들(133)과 제4 핸들(134)은 연결부(13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5)는 연성을 가질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핸들(133)과 제4 핸들(134)은 연결부(135)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핸들(133)의 제1 방향(D1)에는 속침부(122)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4 핸들(134)의 제1 방향(D1)에는 제2 블록(15)이 결합될 수 있다.
속침부(122)는 속침 코어(137)에 결합될 수 있고, 이 속침 코어(137)는 제3 핸들(133)에 형성된 결합 프레임(13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속침 코어(137)와 결합 프레임(136)이 분리됨으로써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13)를 제2 방향(D2)으로 당김에 따라 속침부(122) 및 제2 블록(15)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켜 장전시키고, 사용자가 핸들부(13)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속침부(122) 및 제2 블록(15)을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켜 발사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4 핸들(134)이 제3 핸들(133)보다 제2 방향(D2)으로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13)를 밀어 발사 동작을 수행할 때에 먼저 제3 핸들(133)을 밀어 속침부(122)를 제1 방향(D1)으로 전진시켜 조직 채취홈(1222)을 겉침부(121)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제4 핸들(134)을 제1 방향(D1)으로 추가로 밀어 제2 스위칭부(158)의 경사면이 해제단(162)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제2 스위칭부(158)에 의해 한 쌍의 해제단(162)이 너비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단(161)의 제1 블록(14)과의 결합이 해제되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제1 블록(14)은 제1 방향(D1)으로 전진하면서 겉침부(121)가 조직 채취홈(1222)을 덮어 조직을 절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들부(13)의 2단 동작에 의해 조직의 절취가 이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밀을 요구하는 시술에서 실수 없이 안정적으로 조직 채취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장전하기 전의 상태에서 스프링(17)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약간 정도 압축 및/또는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제2 블록(15)의 제2 결합부(157)는 제1 블록(14)의 제1 결합부(143)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전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에 노출되지 않고, 제1 블록(14)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지 않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핸들부(13)를 제2 방향(D2)으로 당긴다. 이에 따라 제2 블록(15)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고, 제2 결합부(157)에 결합된 제1 결합부(143)에 의해 제1 블록(14)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다. 제1 블록(14)은, 스토퍼(142)가 지지부(16)의 지지단(161)에 걸리는 위치인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 스프링(17)은 일단이 제3 블록(18)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1 블록(14)에 밀리면서 압축된다.
이 상태가 절단 생검 기구(1)의 장전 상태(제1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 즉 시술자는 하우징(11)을 파지하고 니들 셋(12)을 채취할 조직 근처로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겉침부(121)와 속침부(122) 모두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3 핸들(133) 을 제1 방향(D1)으로 서서히 민다. 이 때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 블록(14)이 지지부(1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블록(15)만 제1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가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블록(15)의 이동에 따라 속침부(122)도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고, 겉침부(121)로부터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이 노출된다. 이 때 노출된 조직 채취홈(1222)에 채취할 조직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4 핸들(134)을 제1 방향(D1)으로 조금 더 밀면, 제2 블록(15)의 제2 스위칭부(158)가 지지부(16)의 해제단(162)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163)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단(161)도 양측으로 벌어져 지지단(161)과 스토퍼(14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스프링(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블록(14)은 제1 방향(D1)으로 빠르게 운동해 제1 위치까지 이동하며 이에 따라 겉침부(121)가 이동해 제1 컷팅면(1211)이 조직 채취홈(1222)을 지나면서 조직 채취홈(122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을 절단한다.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에 의해 덮이고 조직 채취홈(1222)에는 절단된 조직이 위치하게 된다.
제1 블록(14)은 제1 위치에서 제3 블록(18) 내벽과 접촉함으로써 제1 방향(D1)으로의 운동이 멈추게 된다. 제1 블록(14)이 제1 위치로 돌아올 때에 제3 블록(18) 내벽과 타격됨에 따른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제1 블록(14)의 제1 방향(D1) 단부, 및/또는 제3 블록(18)의 내벽에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직 채취홈(1222)에 수용된 조직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핸들부(13)의 조작에 의해 전술한 장전 동작을 수행한 후, 핸들부(13)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 속침부(122)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직 채취홈(1222)을 겉침부(121)로부터 노출시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제3 블록(18) 및 제1 블록(14)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절단 생검 기구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블록(18)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데, 축 방향(D)으로 연장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몸체(181)를 갖는다. 상하부 개방된 몸체(181)의 측벽은 축 방향(D)에 수직한 너비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블록(18)은 제2 블록(15)과 결합되고, 내부에 제1 블록(14) 및 스프링(17)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블록(18)에는 지지부(16)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6)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 블록(18)의 제2 방향(D2) 단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홈(183)과 제2 홈(184)이 위치하고, 이를 통해 속침(122) 및 제2 블록(15)이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블록(18)에서 스프링(17)이 수용되는 부분, 즉 제3 블록(18)의 길이 방향 중 제2 방향(D2)의 절반 정도에는 지지 플레이트(18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85), 몸체(181)의 측벽 및 하우징(11)의 저면에 의해 폐쇄된 스프링 보관 공간(18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보관 공간(186)에 스프링(17)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프링(17)이 폐쇄된 스프링 보관 공간(186) 내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스프링 보관 공간(186)의 벽을 구성하는 부재들에 의해 스프링(17)의 측면과 상하면이 지지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틀어지는 일이 없게 되고 스프링(17)의 압축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블록(14)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레일(147)이 설치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47)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47)의 사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제3 블록(18)에도 축 방향(D)을 따라 제3 블록(18)의 제1 방향(D1)의 일부에 제2 가이드 레일(1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2 가이드 레일 (165)은 전술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47)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4)이 제3 블록(18) 내에서 축 방향(D)의 이동을 할 때에 틀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레일(147)과 제2 가이드 레일(165)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결합해서 제1 블록(14)이 제3 블록(18) 내에서 축 방향(D)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면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0은 핸들부(13)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3)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핸들(133), 제4 핸들(134) 및 연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핸들(133)과 제4 핸들(134)은 연결부(135)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속침부(122)가 결합된 속침 코어(137)는 제3 핸들(133)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된 홈(138)을 통해 제3 핸들(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속침 코어(137)와 제3 핸들(133)의 결합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핸들부(13)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3)는 제3 핸들(133) 및 제4 핸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3 핸들(133)과 제4 핸들(134)은 연결부가 아닌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4 핸들(134)이 제3 핸들(133)보다 제2 방향(D2)으로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들부(13)를 밀어 발사 동작을 수행할 때에 먼저 제3 핸들(133)에 의해 속침부(122)를 제1 방향(D1)으로 전진시켜 조직 채취홈(1222)을 겉침부(121)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동작과 제4 핸들(134)에 의해 제2 스위칭부(158)의 경사면이 해제단(162)을 눌러 지지단(161)의 제1 블록(14)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제1 블록(14)이 제1 방향(D1)으로 전진하면서 겉침부(121)가 조직 채취홈(1222)을 덮어 조직을 절취하는 동작이 사용자의 핸들부(13)를 제1 방향(D1)으로 미는 하나의 동작에 의해 순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속침부(122)가 결합된 속침 코어(137)는 제3 핸들(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속침 코어(137)와 제3 핸들(133)이 일체성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조직을 채취하는 생검 시술은 매우 위험한 시술이다. 채취할 조직은, 그 주위 및/또는 생검 바늘이 침투하는 경로 상에 혈관이나 다른 조직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생검 바늘의 침투 경로도 반드시 단일의 직선 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시술자가 바늘을 삽입하는 도중에도 수시로 포즈를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단 트리거 동작에 의해 발사가 이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채취할 조직이 있는 정확한 위치에서 조직 채취홈(1222)을 노출시키고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서 제4 핸들(134)을 조금 미는 동작만으로 겉침부(121)를 발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감 있게 생검 시술을 할 수 있다. 즉 채취할 조직 부위에 조직 채취홈(1222)을 정확히 삽입한 상태에서 가볍게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직 절단이 가능해진다.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은 독립되게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들이나, 각 실시예들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1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지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을 스위칭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 및 속침부와 결합된 핸들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과 결합되어 제1 블록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과 결합이 해제되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은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하우징의 너비 방향으로 탄성을 가져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따라 제1 블록과 상기 지지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구비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너비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구비한 제3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블록에 위치하는, 절단 생검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4.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속침부가 결합된 제1 핸들; 및
    상기 제2 블록이 결합된 제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과 제2 핸들은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절단 생검 기구.
KR1020200172756A 2020-12-10 2020-12-10 절단 생검 기구 KR10256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56A KR102569772B1 (ko) 2020-12-10 2020-12-10 절단 생검 기구
PCT/KR2021/000338 WO2022124471A1 (ko) 2020-12-10 2021-01-11 절단 생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56A KR102569772B1 (ko) 2020-12-10 2020-12-10 절단 생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61A KR20220082661A (ko) 2022-06-17
KR102569772B1 true KR102569772B1 (ko) 2023-08-25

Family

ID=8197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756A KR102569772B1 (ko) 2020-12-10 2020-12-10 절단 생검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9772B1 (ko)
WO (1) WO202212447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3309B2 (ja) * 1999-03-04 2009-10-14 株式会社プラスチック・ホンダ 生検針
KR101782765B1 (ko) 2017-02-03 2017-09-27 고형진 일회용 바늘 생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1835C (en) * 2004-01-28 2010-09-28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Biopsy needle device
JP5450359B2 (ja) * 2010-11-30 2014-03-26 株式会社タスク 生検装置
KR102179069B1 (ko) * 2018-08-02 2020-11-16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생체 검사용 니들 가이드 장치
KR102215655B1 (ko) 2018-09-06 2021-02-1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3309B2 (ja) * 1999-03-04 2009-10-14 株式会社プラスチック・ホンダ 生検針
KR101782765B1 (ko) 2017-02-03 2017-09-27 고형진 일회용 바늘 생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471A1 (ko) 2022-06-16
KR20220082661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647A (en) Automated biopsy instruments
US7329227B2 (en) Forward-fired automatic tissue sampling apparatus with safety lock
US9999384B2 (en) Sleeve for removable lancet of lancing device
KR20150087230A (ko) 코어 바늘 생검 디바이스
JPH06197898A (ja) 自動組織抽出装置
CN105377147B (zh) 真空辅助手持活检装置
US11889997B2 (en)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US20210267497A1 (en) Push-to-charge lancing device
CN113440177A (zh) 活检装置及其击发解锁机构
KR102533755B1 (ko) 절단 생검 기구
US20190321012A1 (en) Disposable needle biopsy device and needle structure of cutting biopsy apparatus
KR102569772B1 (ko) 절단 생검 기구
US20190374143A1 (en) Lancing device with side activated charge and eject mechanisms
KR102533757B1 (ko) 절단 생검 기구
CN107427293B (zh) 活检针
CN110461245B (zh) 切割活检器械
US20110313440A1 (en) Skin pricking device
KR102357411B1 (ko) 절단 생검기구
CN114305523A (zh) 经内镜用半自动活检针及穿刺系统
KR20230109474A (ko) 절단 생검 기구
US11259786B2 (en) Cutting biopsy instrument
KR102384812B1 (ko) 절단 생검기구
CN218075071U (zh) 经内镜用半自动活检针及穿刺系统
EP1096882B1 (en) Biopsy needle
CN113440173A (zh) 活检装置及其上弦击发机构和上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