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474A - 절단 생검 기구 - Google Patents

절단 생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74A
KR20230109474A KR1020220005488A KR20220005488A KR20230109474A KR 20230109474 A KR20230109474 A KR 20230109474A KR 1020220005488 A KR1020220005488 A KR 1020220005488A KR 20220005488 A KR20220005488 A KR 20220005488A KR 20230109474 A KR20230109474 A KR 2023010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needle
housing
hand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00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474A/ko
Priority to PCT/KR2023/000629 priority patent/WO2023136646A1/ko
Publication of KR2023010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으로, 조직 채취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채취 시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조직 채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 생검 기구{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 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채취할 조직은, 그 주위 및/또는 생검 바늘이 침투하는 경로 상에 혈관이나 다른 조직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따라서 생검에 사용할 생검기구는, 시술자가 시술 시 최대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검기구는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고려되기 보다는 시술자가 기구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술의 안정감을 주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기구에 따라 너무 강한 발사력으로 인하여 위험 부위에는 사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술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시술자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과,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의 운동방향과 나란하게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된 제1 핸들부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제2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부는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을 제2 위치로 이동시켜 2단의 장전 상태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핸들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걸림부는 축방향에 수직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핸들부의 구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거나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제2 블록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단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부는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부는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부는 누름 힘에 의하여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2 고정부의 결합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1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1 핸들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제3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는 간단한 동작으로 안정적인 파지 상태를 유지한 채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하우징의 파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안정감 있게 생검 시술을 할 수 있다.
또한 채취할 조직 부위에 조직 채취홈을 정확히 삽입한 상태에서 가볍게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직 절단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1)를 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제1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는 하우징(11), 니들셋(12), 제1 블록(13), 제2 블록(14), 제1 핸들부(15), 제2 핸들부(16) 및 스프링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
니들셋(12)은 서로 중첩되는 겉침부(121) 및 속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셋(12)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들셋(12)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바깥에 배치되는 데, 예를 들면 겉침부(121)의 내경은 속침부(12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바깥에 배치된 채, 속침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컨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겉침부(121)는 속침부(122)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122)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부(121)의 제2 방향(D2) 단부는 제1 블록(1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겉침부(121)는 제1 블록(13)의 운동에 연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속침부(122)는 제1 방향(D1) 단부에 위치한 커팅면(1221)과 커팅면(1221)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직 채취홈(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은 속침부(122)와 겉침부(121)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겉침부(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채취홈(1222)은 속침부(122)와 겉침부(1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21)로 덮이거나 겉침부(1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채취홈(122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122)는 하우징(11)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침부(122)의 제2 방향(D2) 단부는 제2 블록(14)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컷팅면(1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122)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121)의 컷팅면(1211)은 속침부(122)의 컷팅면(1221)과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122)의 날(1221)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셋(12)은 하우징(11)을 통과해 하우징(11)의 선단부의 제2 개구(112)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절단 생검 기구(1)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의 내부의 공간에 니들셋(12)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축 방향(D)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1)의 제2 방향(D2) 단부에 제1 핸들부(15)가 위치하고, 하우징(11)의 일 측면에 제2 핸들부(16)가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길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1)의 몸체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제1 핸들부(15)를 당겨 장전 및/또는 수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장전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하우징(11)의 몸체를 한 손으로 파지한 후 시술 과정에서 제2 핸들부(16)를 누름으로써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2 핸들부(16)가 하우징(11)의 측면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우징(11)을 연필을 잡듯이 파지하고 검지로 제2 핸들부(16)를 눌러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하우징(11)을 파지한 채 엄지로 제2 핸들부(16)를 눌러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이 편한 포즈에 맞게 하우징(11)을 파지한 후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측면 상측에 형성된 제1 개구(111), 제1 방향(D1) 단부에 형성된 제2 개구(112) 및 제2 방향(D2) 단부에 형성된 제3 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11)를 통해 제2 핸들부(16)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2 개구(112)를 통해 니들셋(12)이 노출되며, 제3 개구(113)를 통해 제1 핸들부(15)가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제1 개구(111)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고정단(1111)과 제2 고정단(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단(1111)은 제1 개구(111)의 제1 방향(D1)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고정단(1112)은 제1 개구(111)의 제2 방향(D2)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단(1111)과 제2 고정단(1112)에 의해 제2 핸들부(16)는 하우징(11)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개구(111)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된다.
하우징(11) 내에서 제1 개구(111)에 인접하게 제1 축 결합부(1141) 및 제2 축 결합부(114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 결합부(1141)는 제1 개구(111)의 중앙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고정부(16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축 결합부(1141)에는 제1 고정부(161)의 제1 회동 축(1611)이 결합되며, 제1 회동 축(1611)을 중심으로 제1 고정부(161)는 회동 가능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축 결합부(1141)에는 제1 고정부(161)에 결합된 스프링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고정부(161)는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제2 고정부(16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2 축 결합부 (1142)은 제2 고정단(1112)에 근접한 하우징(1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축 결합부 (1142)에는 제2 고정부(16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 결합부 (1142)에는 제2 고정부(162)의 제2 회동 축(1621)이 결합되며, 제2 회동 축(1621)을 중심으로 제2 고정부(162)는 회동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1 고정부(161)와 제2 고정부(162)에 의해 제2 핸들부(16)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하우징(11) 내부는 축 방향(D)을 따라 연장된 제1 격벽(115)이 위치한다. 제1 격벽(115)은 하우징(11)의 대략 중앙부를 따라 축 방향(D)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의 내부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일 영역 내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블록(13) 및 제2 블록(14)이 배열되고, 다른 일 영역에는 제2 핸들부(16)가 결합된다. 상기 제1 격벽(115)은 제1 블록(13) 및 제2 블록(14)의 축 방향(D) 운동에 대한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격벽(115)에는 제1 윈도우(1151) 및 제2 윈도우(1152)가 형성될 수 있는 데, 제1 윈도우(1151)는 제1 고정부(161)의 일부가 출입하도록 구비되고, 제2 윈도우(1152)는 제2 고정부(162)의 일부가 출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윈도우(1151) 및 제2 윈도우(1152)로 하부 가이드 레일 영역까지 들어온 제1 고정부(161) 및 제2 고정부(162)의 부분에 의해 제1 블록(13) 및 제2 블록(14)이 지지될 수 있다.
제1 격벽(115)에 의해 구획된 가이드 레일 영역 내에는 축 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격벽들이 설치되어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D1)의 일단으로부터 제2 방향(D2)의 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제1 수직 격벽(1171), 제2 수직 격벽(1172), 제3 수직 격벽(1173), 제4 수직 격벽(1174) 및 제5 수직 격벽(117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수직 격벽(1172)과 제3 수직 격벽(1173) 사이에 정의된 제1 가이드 영역(1181) 내에서 제1 블록(13)은 축 방향(D)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수직 격벽(1174)과 제5 수직 격벽(1175) 사이에 정의된 제2 가이드 영역(1182) 내에서 상기 제2 블록(14)은 축 방향(D) 운동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영역(1181) 내의 제2 방향(D2)에는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제1 수평 격벽(1161)이 배치되는 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영역(1181)은 제1 방향(D1)에서 제2 방향(D2)으로 제1 수평 격벽(1161)이 설치된 지점부터 좁아지게 된다. 제1 수평 격벽(1161)에 의해 좁아진 제1 가이드 영역(1181) 내에는 제1 블록(13)과 결합된 제1 스프링(171)이 배치되며, 제1 스프링(171)은 제1 수평 격벽(1161)에 의해 정의된 영역 내에 위치해 제1 스프링(171)이 압축되었을 때에 튕겨 나가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프링(171)은 제1 가이드 영역(1181) 내에서 제1 블록(13)과 제3 수직 격벽(1173)과 제1 수평 격벽(1161)에 의해 정의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71)은 일단이 제1 블록(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3 수직 격벽(1173)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13)은 제1 가이드 영역(1181) 내에서 제2 수직 격벽(1172)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멈출 수 있고, 제1 수평 격벽(1161)의 단부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멈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가이드 영역(1182) 내의 제2 방향(D2)에는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제2 수평 격벽(1162)이 배치되는 데,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영역(1182)은 제1 방향(D1)에서 제2 방향(D2)으로 제2 수평 격벽(1162)이 설치된 지점부터 좁아지게 된다. 제2 수평 격벽(1162)에 의해 좁아진 제2 가이드 영역(1182) 내에는 제2 블록(14)과 결합된 제2 스프링(172)이 배치되며, 제2 스프링(172)은 제2 수평 격벽(1162)에 의해 정의된 영역 내에 위치해 제2 스프링(172)이 압축되었을 때에 튕겨 나가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스프링(172)은 제2 가이드 영역(1182) 내에서 제2 블록(14)과 제5 수직 격벽(1175)과 제2 수평 격벽(1162)에 의해 정의된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프링(172)은 일단이 제2 블록(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5 수직 격벽(1175)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13)은 제2 가이드 영역(1182) 내에서 제4 수직 격벽(1174)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멈출 수 있고, 제2 수평 격벽(1162)의 단부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멈출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 격벽(1171)과 제2 수직 격벽(1172)에는 제1 가이드 홈(1176)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수직 격벽(1173)과 제4 수직 격벽(1174)에는 제2 가이드 홈(1177)이 형성되며, 제5 수직 격벽(1175)에는 제3 가이드 홈(11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176)에 의해 제1 핸들부(15)의 제1 걸림부(153)가 가이드되고, 제2 가이드 홈(1177)에 의해 제1 핸들부(15)의 제2 걸림부(154)가 가이드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1178)은 제1 핸들부(15)의 연장부(152)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 격벽(1171)과 제2 수직 격벽(1172)은 단일 수직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수직 격벽(1173)과 제4 수직 격벽(1174)도 단일 수직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직 격벽(1171)과 제2 개구(112)의 사이 영역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스프링(173)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이 제3 스프링(173)은 일단은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 핸들부(15)의 제1 걸림부(153)에 고정되어 제1 핸들부(15)가 원위치로 탄성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스프링(173)의 일단은 하우징(11)의 제2 결합부(1192)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축 방향(D)의 양단부에 제1 결합부(1191), 제2 결합부(1192) 및 제3 결합부(1193)가 각각 설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부(17)는 제1 블록(13)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171), 및 제2 블록(14)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72)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선택적으로 제1 핸들부(15)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13) 및 제2 블록(14)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1 블록(13)에는 겉침부(121)가 결합되고, 제2 블록(14)에는 속침부(1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록(13)은 하우징(11)의 제1 가이드 영역(1181) 내에 위치하고 제2 블록(14)은 하우징(11)의 제2 가이드 영역(1182) 내에 위치하므로, 속침부(122)는 제1 블록(13)을 관통하여 겉침부(121)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블록(13)은 제1 핸들부(15)의 연장부(15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채널(13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131)은 제1 블록(13)의 몸체 너비 방향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1 서포트(131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1311)의 제1 방향(D1) 단부는 제1 핸들부(15)의 제1 걸림부(153)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지지면(132)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1 핸들부(15)는 연장부(152)가 제1 채널(131)을 관통하고 제1 걸림부(153)가 제1 지지면(132)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제1 블록(13)을 선택적 구동할 수 있다.
제2 블록(14)은 제1 핸들부(15)의 연장부(15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채널(14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141)은 제2 블록(14)의 몸체 너비 방향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2 서포트(141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포트(1411)의 제1 방향(D1) 단부는 제1 핸들부(15)의 제2 걸림부(154)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지지면(142)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1 핸들부(15)는 연장부(152)가 제2 채널(141)을 관통하고 제2 걸림부(154)가 제2 지지면(142)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제2 블록(14)을 선택적 구동할 수 있다.
도 6은 제1 핸들부(15)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핸들부(15)는 상기 제1 블록(13) 또는 상기 제2 블록(14)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13)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14)을 제2 위치로 이동시켜 2단의 장전 상태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핸들부(15)는 제2 방향(D2) 단부에 사용자가 조작하여 제1 핸들부(15)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 레버(151) 및 이 레버(151)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연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52)는 제3 개구(113)를 통해 하우징(11) 내로 유입되며, 제1 방향(D1) 단부가 제1 블록(13)을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연장부(152)는 축 방향(D)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두께는 제1 블록(13)의 제1 채널(131) 및 제2 블록(14)의 제2 채널(141)을 관통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부(15)는 연장부(152)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 걸림부(153) 및 제2 걸림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53)는 연장부(152)의 제1 방향(D1) 단부에 위치하고, 제2 걸림부(154)는 제1 걸림부(153)와 레버(151)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걸림부(153)는 제1 블록(13)의 제1 채널(131)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림부(153)에 의해 사용자는 제1 블록(13)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제1 걸림부(153)는 제1 블록(13)의 제1 지지면(132)에 닿아 사용자의 힘을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걸림부(153)는 일측에 홈(1531)이 형성되며, 이 홈(1531)에 제3 스프링(173)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연장부(152)와 결합된 반대 방향의 선단(1532)은 제3 스프링(173)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54)는 연장부(152)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제1 걸림부(153)와 제2 걸림부(154) 사이의 간격은 제1 블록(13)의 축방향 길이 및 제1 스프링(171)의 길이의 합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이 때 제1 스프링(171)의 길이는 제1 스프링(171)이 변형되기 전의 길이일 수 있으나, 약간 정도 압축된 상태에서의 길이이어도 무방하다.
제2 걸림부(154)는 제2 블록(14)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151)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2 걸림부(154)는 제1 시점에서는 제2 블록(14)과 결합되지 않고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서는 제2 블록(14)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시점에서는 상기 제2 걸림부(154)는 제2 블록(14)과 결합되지 않고 제2 블록(14)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시점에서는 상기 제2 걸림부(154)는 제2 블록(14)과 결합되어 제2 블록(14)을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걸림부(154)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축 방향(D)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541)는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블록(14)의 제2 지지면(142)과 결합해 제2 블록(14)을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154)는 상기 단차부(154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슬라이딩부(15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1542)는 상기 단차부(1541)에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1542)와 단차부(1541)는 연장부(152)의 두께 방향으로 90도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52)는 제2 블록(14)의 제2 채널(141)을 관통하는 데, 상기 단차부(1541)는 상기 제2 채널(141)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부(1542)는 상기 제2 채널(14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채널(141)은 축 방향(D)에 직각 방향으로 제1 너비(W1)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딩부(1542)는 제2 너비(W2), 단차부(1541)는 제3 너비(W3)를 각각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3 너비(W3)는 제1 너비(W1)보다 클 수 있고, 제2 너비(W2)는 제1 너비(W1)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슬라이딩부(1542)가 제2 채널(141)을 통과할 때에는 슬라이딩부(1542)의 슬라이딩면(1543)은 제2 채널(141) 내면과 대면하는 데, 마찰을 피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면(1543)이 제2 채널(141) 내면과 약간 정도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핸들부(15)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레버(151)를 제2 방향(D2)으로 당기게 되면 슬라이딩면(1543)이 제2 블록(14)의 제2 채널(141)을 관통해 제1 핸들부(15)가 제2 블록(14)을 움직이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레버(151)를 연장부(152)를 중심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제2 방향(D2)으로 잡아당기면 제2 걸림부(154)가 제2 블록(14)의 제2 채널(141)을 통과하지 못하고 단차부(1541)가 제2 지지면(142)에 접촉해 제1 핸들부(15)가 제2 블록(14)을 움직이게 된다.
제1 핸들부(15)의 제1 걸림부(153)에 결합된 제3 스프링(173)은 사용자가 레버(151)를 제2 방향(D2)으로 당겼다 놓으면 제1 핸들부(15)를 제1 방향(D1)으로 다시 회복시킨다. 아울러 사용자가 레버(151)를 연장부(152)를 중심으로 90도 회전시킨 후에 놓으면, 제3 스프링(173)이 제1 핸들부(15)를 다시 원 상태로 돌려 놓을 수 있다.
도 7은 제2 핸들부(16)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핸들부(16)는 제1 고정부(161) 및 제2 고정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61)는 하우징(11)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블록(13)을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61)는 제1 회동 축(16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1-1 단부(1612)가 제1 개구(111)를 향하고, 제1-2 단부(1613)가 제1 격벽(115)의 제1 윈도우(1151)를 선택적으로 지나도록 한 상태에서 제1 회동 축(1611)이 하우징(11)의 제1 축 결합부(1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고정부(161)는 제1-1 단부(1612)가 제1 개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1 단부(1612)는 제2 고정부(162)를 지지하고 제1-2 단부(1613)는 제1 블록(13)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62)는 하우징(11)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블록(14)을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62)는 제2 회동 축(16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2-1 단부(1624)는 제1 개구(111)의 제1 고정단(1111)에 닿아 제2 고정부(162)가 제1 개구(111)의 밖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1 단부(1624)의 반대측 단부인 제2-2 단부(1625)는 제1 격벽(115)의 제2 윈도우(1152)를 관통해 제2 블록(14)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1 단부(1624)는 제1 개구(111)를 향하는 쇄기형상으로, 제2-2 단부(1625)는 제2 윈도우(1152)를 향하는 쇄기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동 축(1621)에서 제2-1 단부(1624)를 향한 부분은 제1 개구(111)를 관통하는 데, 하우징(11)의 외측을 향한 제1 면(1622)은 제2 고정단(1112)에 선택적으로 닿고 하우징(11)의 내측을 향한 제2 면(1623)은 제1 고정부(161)의 제1-1 단부(1612)에 닿게 된다.
제2 고정부(162)는 제2 회동 축(1621)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데, 제2 회동 축(1621)에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제2 고정부(162)를 제1 면(1622)이 하우징(11) 외측을 향하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회동 축(1611)에만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제1 고정부(161)가 제2 고정부(162)를 제1 면(1622)이 하우징(11) 외측을 향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면(1622)을 누름에 따라 제2 핸들부(16)를 동작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핸들부(16)의 누름 힘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제2 블록(14)과 상기 제2 고정부(162)의 결합 및 상기 제1 블록(13)과 상기 제1 고정부(16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의 작동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 단계는 준비 상태이다. 이 때,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이 겉침부(121)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가 된다.
S2 단계는 제1 장전 동작으로, 사용자가 레버(151)를 제2 방향(D2)으로 당김에 따라, 제1 상태에서 제1 걸림부(153)는 제1 블록(13)에 결합된다. 이 때 제1 블록(13)은 제2 방향(D2)으로 제1 거리(a1)만큼 이동되어 제1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171)은 압축되고, 제3 스프링(173)은 늘어나며, 제1 고정부(161)의 제1-2 단부(1613)가 제1 블록(13)을 고정 지지한다. 따라서 제1 블록(13)은 제1 스프링(171)에 의해 저장된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제2 걸림부(154)는 슬라이딩부(1542)가 제2 블록(14)의 제2 채널(141)을 관통해 제2 블록(14)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제1 블록(13)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 겉침부(121)도 이동하게 되어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이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151)를 놓으면 S3 단계에서 제3 스프링(173)의 복원력에 의해 제1 핸들부(15)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제2 걸림부(154)는 제2 블록(14)을 제1 방향(D1)으로 다시 관통한다.
S4 단계는 제2 장전 동작으로, 사용자가 레버(151)를 축 방향(D)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방향(D2)으로 당김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제2 걸림부(154)의 단차부(1541)가 제2 블록(14)의 제2 지지면(142)에 닿게 된다. 이 때 제2 블록(14)은 제2 방향(D2)으로 제2 거리(a2)만큼 이동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한다. 제2 거리(a2)는 제1 거리(a1)와 같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프링(172)은 압축되고, 제3 스프링(173)은 늘어나며, 제2 고정부(162)의 제2-2 단부(1625)가 제2 블록(14)을 고정 지지한다. 따라서 제2 블록(14)은 제2 스프링(172)에 의해 저장된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151)를 놓으면 S5 단계에서 제3 스프링(173)의 복원력에 의해 제1 핸들부(15)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이 때, 제3 스프링(173)의 축 방향(D)의 복원력 외에 축 방향(D)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의 복원력도 작동하여 제1 핸들부(15)를 사용자가 돌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레버(151)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장전이 완료된 절단 생검 기구의 발사 동작을 설명한다.
도 8b는 장전이 완료된 절단 생검 기구의 발사 동작을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S5 단계로 장전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환자의 시술 부위에 니들 조립체를 삽입한다. 이 때 사용자는 엄지가 제2 핸들부(16) 위에 놓이도록 하우징을 파지하거나, 하우징을 연필 잡듯이 잡고 검지로 제2 핸들부(16)를 누를 수 있도록 파지할 수 있다. 어떠한 자세로 하우징을 잡게 되던,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맞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시술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고정부(162)의 제1 면(1622)을 제1 압력(P1)으로 가압하면 S6 단계와 같이 제2 고정부(16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제2 고정부(162)의 제2-2 단부(1625)와 제2 블록(14)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2 스프링(172)의 응축된 힘에 의해 제2 블록(14)이 제1 방향(D1)으로 전진 발사된다. 이와 동시에 제2 블록(14)에 결합되어 있는 속침부(122)도 제1 방향(D1)으로 전진 이동해 조직 내부로 더욱 깊이 박히게 되며, 조직 채취홈(1222)이 노출된다. 노출된 조직 채취홈(1222)에는 조직이 안착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2 고정부(162)의 제1 면(1622)을 제2 압력(P2)으로 가압하면 S7 단계와 같이 제2 고정부(162)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해 제2 고정부(162)가 제1 고정부(161)를 누르게 되고, 제1 고정부(16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부(161)의 제1-2 단부(1613)와 제1 블록(13)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 스프링(171)의 응축된 힘에 의해 제1 블록(13)이 제1 방향(D1)으로 전진 발사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블록(13)에 결합되어 있는 겉침부(121)도 제1 방향(D1)으로 전진 이동해 조직 채취홈(1222)을 덮는다.
겉침부(121)는 조직 채취홈(122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을 절단해, 절단된 조직이 조직 채취홈(122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제2 핸들부(16)를 엄지나 검지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쉽게 조직을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선호하는 안정적인 자세로 시술 진행을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측부에 마련된 제2 핸들부(16)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니들 조립체(12)의 발사를 이뤄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술 도중 편안한 포스쳐를 제공할 수 있고, 심리적 안정감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발사가 완료된 후에는 다음 발사를 위해 도 8a의 S2 단계와 같이 레버(151)를 잡아 당김으로써 다시 장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S2 단계는 다음 발사를 위한 재장전의 과정이 됨과 동시에 채취한 조직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과정이 될 수 있다. 즉, S2 단계에서 사용자가 레버(151)를 당겨 제1 블록(13)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 고정시키면, 겉침부(121)가 같이 이동해 조직 채취홈(1222)이 개방된다. 사용자는 개방된 조직 채취홈(1222)에 수용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별도의 회수 과정을 진행할 필요 없이 재장전 동작에 의해 회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조직을 회수한 이후 사용자는 레버(151)를 회전해 잡아 당기는 동작만으로 장전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재장전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는 제2 핸들부(16)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3 핸들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핸들부(18)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1)의 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데, 일부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3 핸들부(18)의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제2 방향(D2) 단 부는 걸쇠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걸리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3 핸들부(18)의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된 레버 부분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 잠금을 해제할 때에 제3 핸들부(18)가 하우징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핸들부(18)의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제1 방향(D1)으로 밀기 전 상태에서 하우징(11)의 제1 고정단(1111)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3 핸들부(18)를 제1 방향(D1)으로 밀기 전 상태일 때, 제1 고정단(1111)의 부근에서 제3 핸들부(18)의 연장된 부분에 의해 제2 핸들부(16)의 제2 고정부(162) 선단이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제2 고정부(162)를 눌러도 작동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절단 생검 기구는 잠금 상태가 되므로, 설사 장전이 완료된 상태라 하더라도 안전이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핸들부(18)를 제1 방향(D1)으로 밀게 될 경우, 제3 핸들부(18)의 연장된 부분과 제2 핸들부(16)의 제2 고정부(162)와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안전 상태가 해제되고 사용자는 제2 고정부(162)를 눌러 발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핸들부(18)는 발사 버튼이 되는 제2 핸들부(16)와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다. 즉, 장전을 마친 사용자가 시술 부위에 니들 조립체를 삽입한 후 제3 핸들부(18)를 조작해 안전 상태를 해제한 직후 바로 제2 핸들부(16)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3 핸들부(18)가 제2 핸들부(16)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안전 해제를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발사를 위해 손의 위치를 달리 가져갈 필요가 없는 등, 조작 편의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동작으로 2개의 스프링 구조에 대한 장전 동작을 마칠 수 있고, 사용자의 파지에 대한 편안함과 동시에 조작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어, 안전하게 시술을 마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은 독립되게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들이나, 각 실시예들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 절단 생검 기구
11 : 하우징
12 : 니들셋
13 : 제1 블록
14 : 제2 블록
15 : 제1 핸들부
16 : 제2 핸들부
17 : 스프링부
18 : 제3 핸들부

Claims (9)

  1.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록의 운동방향과 나란하게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부;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된 제1 핸들부; 및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제2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부는 상기 제1 블록 또는 상기 제2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을 제2 위치로 이동시켜 2단의 장전 상태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생검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축방향에 수직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핸들부의 구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거나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제2 블록의 일단과 결합하는, 절단 생검 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단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절단 생검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부는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부는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부는 누름 힘에 의하여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2 고정부의 결합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1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절단 생검 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1 핸들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절단 생검 기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제3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05488A 2022-01-13 2022-01-13 절단 생검 기구 KR20230109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88A KR20230109474A (ko) 2022-01-13 2022-01-13 절단 생검 기구
PCT/KR2023/000629 WO2023136646A1 (ko) 2022-01-13 2023-01-13 절단 생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88A KR20230109474A (ko) 2022-01-13 2022-01-13 절단 생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74A true KR20230109474A (ko) 2023-07-20

Family

ID=872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488A KR20230109474A (ko) 2022-01-13 2022-01-13 절단 생검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9474A (ko)
WO (1) WO20231366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9339C (en) * 2002-03-19 2013-03-12 Bard Dublin Itc Limited Vacuum biopsy device
BRMU8600004Y1 (pt) * 2006-01-03 2014-12-09 Eugenio Machado De Andrade Disposição introduzida em coletor de amostras para biópsia e similares
WO2017209572A1 (ko) * 2016-06-03 2017-12-07 주식회사 메디아나 생체조직 검체 장치
JP3210829U (ja) * 2017-03-29 2017-06-08 株式会社タスク 生検針装置
KR102357411B1 (ko) * 2018-01-26 2022-01-28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46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2482B1 (en) Medical biopsy instrument
US6083176A (en) Automated biopsy needle handle
US4667684A (en) Biopsy device
US6626850B1 (en) Automated biopsy instruments
US5752923A (en) Biopsy instrument with handle and needle set
US6106484A (en) Reusable automated biopsy needle handle
EP3669789B1 (en) Core needle biopsy device
US8968211B2 (en) Adjustable sample size tissue sampling device
US20120209140A1 (en) Tissue Sampling Device
US20110004121A1 (en) Biopsy device handle
US5921943A (en) Controlled surgical core biopsy system
KR102533755B1 (ko) 절단 생검 기구
KR102493277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20230109474A (ko) 절단 생검 기구
KR20180088119A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US11464501B2 (en) Biopsy device
KR102569772B1 (ko) 절단 생검 기구
KR102121214B1 (ko) 내시경용 포셉장치
US11903569B2 (en) Biopsy system with a core collector that remains radially centered in an outer cannula while severing a tissue sample
EP0504276A1 (en) Biopsy instrument
CA1272928A (en) Biopsy device
EP1096882B1 (en) Biopsy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