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277B1 -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277B1
KR102493277B1 KR1020190071074A KR20190071074A KR102493277B1 KR 102493277 B1 KR102493277 B1 KR 102493277B1 KR 1020190071074 A KR1020190071074 A KR 1020190071074A KR 20190071074 A KR20190071074 A KR 20190071074A KR 102493277 B1 KR102493277 B1 KR 10249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needle
block
axi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661A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고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27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03456B1/ko
Application filed by 고형진 filed Critical 고형진
Priority to KR102019007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2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Abstract

생검기구를 파지한 한손만으로 파지 형태의 변경 없이 1회 채취와 복수회 채취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생검기구를 장전하는 것과, 채취된 조직을 쉽게 회수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제1 방향 단측 홀을 통하여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조직채취홈이 형성된 속침과, 조직채취홈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선단에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속침을 기준으로 왕복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는 니들셋; 제1 방향과 일 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겉침의 단측에 연결되고, 일 축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가 일 축과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 내부에서 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마스터 블록; 마스터 불록에 연결되며, 중공부에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1 스프링, 니들셋 관통부가 형성된 허브 블록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 및 허브 블록에 걸림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전 커넥터 및 장전 커넥터에 연결되어 장전 커넥터에 제2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장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장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One-time usable 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은 생체조직의 검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조정하여 속침 및 겉침이 결합된 검체바늘을 생체조직에 근접시킨 후, 시술자가 겉침의 이동을 조작하여 속침의 조직채취홈에 생체조직의 샘플을 수용하고, 수용된 샘플을 원 생체와 절단하면서 속침의 조직채취홈을 밀봉하여, 생체조직을 채취하도록 하는 생체조직 검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
흡인생검의 경우, 일반적 형태의 주사바늘을 조직에 삽입한 후, 병변부위의 세포를 흡인하여 세포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이며, 바늘의 구경에 따라서 세침흡인생검 및 큰바늘흡인생검으로 구분된다. 큰바늘흡인생검 방식은, 많은 양의 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반면 바늘의 구경이 큰 관계로 조직의 파괴, 환자의 공포감 조성 등 부작용이 높다. 한편 세침흡인생검의 경우 바늘은 가늘어 삽입이 간편하고 환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되는 장점은 있으나, 채취할 수 있는 조직의 크기에 한계가 있어 진단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63867 및 10-1551311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절단생검 방식의 검체 기구는, 조직채취홈이 있는 속침, 속침을 감싸는 형태로 속침에 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선단에 날이 형성되어 있어 조직을 절단하는 겉침을 포함하는 바늘셋을 구비하고, 속침이 먼저 전진발사되도록 한 뒤, 겉침이 다시 전진발사되도록 하여, 속침이 검체를 포함하도록 진입하고 겉침의 날을 통하여 검체를 절단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검체 기구는,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복수회 가하여 다수의 장전을 통해 속침과 겉침을 후진시켜 장전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조작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존의 절단생검기구의 경우, 절단메커니즘에 있어서 속침이 먼저 발사되고 겉침이 발사되어, 두께가 매우 얇은 속침이 전진하는 도중 치밀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한편 상술한 채취 대상 조직에 바늘셋이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초음파가이드 장비를 이용하는 등 정확도 향상에 대한 기술은 많이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의 경우 시술자가 일반적으로 생검기구를 파지하는 형태를 변경하거나 양손으로 장전이 이루어지며, 이 때문에 특히 여러 차례 반복채취가 필요한 경우 초음파가이드의 타겟팅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서, 초음파가이드를 시술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고, 생검기구를 나머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는 데 있어서, 생검기구를 파지한 한손만으로 파지 형태의 변경 없이 1회 채취와 복수회 채취를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생검기구를 장전하는 것과, 채취된 조직을 쉽게 회수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생검기구를 파지한 한 손만으로 파지 형태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1회 장전 또는 복수회 장전을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소량 또는 다량의 채취를 위한 장전 형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전 및 발사 구조를 갖는 생검기구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침과 겉침의 발사 시의 이동 관계를 새롭게 제시하여, 속침의 전진 발사에 의한 치밀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검기구에 의하여 채취된 조직을 쉽게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방향 단측 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조직채취홈이 형성된 속침과, 상기 조직채취홈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선단에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속침을 기준으로 왕복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겉침의 단측에 연결되고, 상기 일 축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일 축과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상기 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마스터 블록; 상기 마스터 불록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에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1 스프링, 상기 니들셋 관통부가 형성된 허브 블록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허브 블록에 걸림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전 커넥터 및 상기 장전 커넥터에 연결되어 장전 커넥터에 상기 제2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장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장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파지한 상태로 쥐는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장전 유닛을 조작하고, 이를 통해 뒤로 밀려나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에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한 장전 상태에서 속침과 겉침이 함께 신체 내부에 진입한 뒤, 겉침이 속침으로부터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는 왕복 운동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생검기구를 파지한 한 손만으로 파지 형태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1회 장전 또는 복수회 장전을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소량 또는 다량의 채취를 위한 장전 형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전 및 발사 구조를 갖는 생검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속침의 전진 발사에 의한 치밀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초음파가이드를 사용 시, 사용자가 초음파가이드를 파지한채로 한 손만으로 장전 및 발사를 수행할 수 있어, 타겟팅이 정확하게 유지되어 시술의 정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겉침이 고정되는 마스터 블록의 겉침 연결 바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조직 채취 후 겉침 연결바를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 간편하게 속침의 조직채취홈에 존재하는 조직을 회수할 수 있어, 한손으로 간편한 검체 회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마스터블록의 진행방향길이를 길게 하고 하우징의 중공부에 밀착 이동되도록 크게 하여 추가기능을 더 구현할 수 있고, 안정적인 슬라이딩동작을 함으로써 정밀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구동 유닛의 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겉침, 마스터 블록 및 구동 유닛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구동 유닛의 배치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니들셋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겉침과 마스터 블록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하우징과 발사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겉침과 마스터 블록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장전 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결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하우징을 제외한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일회 장전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이회 장전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장전 유닛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제1 발사 유닛의 구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 도 3,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일 축(D)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하우징(10)의 제1 방향(D1) 단측 홀(12)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일 단측(201)이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조직채취홈(202)이 형성된 속침(20)과, 조직채취홈(202)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선단(212)에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20)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미도시)이 형성되어 속침(20)을 기준으로 왕복운동하는 겉침(21)을 포함하는 니들셋을 포함한다.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제1 방향(D1)과 일 축(D)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의 겉침(21)의 단측(213)에 연결되고, 상기 일 축(D)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가 일 축(D)과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11) 내부에서 일 축(D)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마스터 블록(30)을 포함한다.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마스터 불록(30)에 연결되며, 중공부(11)에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1 스프링(50), 니들셋 관통부(41)가 형성된 허브 블록(40) 및 제2 스프링(60)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는 허브 블록(40)에 걸림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전 커넥터(52) 및 장전 커넥터(52)에 연결되어 장전 커넥터(52)에 제2 방향(D2)의 힘을 부여하는 장전 손잡이(51)를 포함하는 장전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도 1,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겉침(21)의 단측(211)에는 바늘관으로부터 연장된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관통홀(2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블록(30)의 제1 방향(D1) 단측 홀(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관통홀(식별번호 없음)과 연결되어, 중공부(11)와 마스터 블록(30)이 생성하는 공간의 부피 변화에 의하여 바늘관 및 조직채취홈(202) 내부에 발사 시 마스터 블록(30)의 후퇴 이동, 즉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음압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하는 도 1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속침(20)은 일 단측(201)이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으며, 겉침(21)은 마스터 블록(30)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체내에 진입 시 겉침(21)이 속침(20)의 조직채취홈(202)을 내부에 포함시킨 상태로 진입하고, 이후 발사 시 마스터 블록(30)과 구동 유닛의 운동을 통하여 겉침(21)이 제2 방향(D2)으로 후퇴한 뒤 다시 제1 방향(D1)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조직을 절단하여 조직채취홈(202)에 수용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속침(20)의 전진 발사에 의한 치밀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절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정확한 채취 대상 조직 영역에 속침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2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다음과 같은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도 2 및 도 4(a))에 있어서 제1 스프링(50)은 인장 스프링으로서 마스터 블록(30)과 허브 블록 사이(40)를 연결 결합하도록 설치되며, 제2 스프링(60)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허브 블록(40)과 중공부(11)의 제2 방향(D2) 단측을 연결 결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통하여 장전 시 허브 블록(40)만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킨 뒤 고정하게 되고, 후술할 발사 유닛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의 중공부(11) 내부에서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제1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겉침이 상술한 바와 같이 후퇴하게 된다.
이후, 마스터 블록(30)이 허브 블록(40) 이동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제2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과 허브 블록(40)이 동시에 제1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겉침(21)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전진하게 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프링(51)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중공부(11)의 제1 방향(D1) 단측과 마스터 블록(30)을 연결 결합하도록 설치되며, 제2 스프링(61)은 제1 스프링(51)보다 복원력이 더 큰 압축 스프링으로서 허브 블록(40)과 중공부(11)의 제2 방향(D2) 단측을 연결 결합하도록 설치되고, 마스터 블록(30)과 허브 블록(4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실시예를 통하여 장전 시 허브 블록(40)만을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킨 뒤 고정하게 되고, 후술할 발사 유닛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의 중공부(11) 내부에서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겉침이 상술한 바와 같이 후퇴하게 된다.
이후, 마스터 블록(30)이 허브 블록(40)을 향하여 이동한 뒤 허브 블록(40)에 힘을 가하여 허브 블록(40)의 이동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제2 스프링(61)의 제1 스프링(51)보다 큰 복원력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과 허브 블록(40)이 동시에 제1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겉침(21)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전진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중공부(11)의 일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장전 시 마스터 블록(30)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걸림부(13)를 포함한다.
한편 하우징(10)에는 중공부(11)의 다른 일 면에 형성되어 있고, 장전 시 허브 블록(40)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걸림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에는 추가적으로 상술한 제2 스프링(60)을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측 제2 스프링 결합부(15)가 리세스(Recess)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마스터 블록(30)의 상세한 구조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겉침(21)이 상술한 위치에 고정되는 마스터 블록(30)의 상술한 제1 걸림부(13)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장전 시와 발사 완료 시의 상태인 디폴트 상태가 제1 걸림부(13)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마스터 블록(30)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하우징(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상태이고, 하우징(10) 외부에서 중공부(11)에 삽입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발사 유닛(미도시)이 중공부(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누름 이동될 시, 제1 걸림부(13)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마스터 블록(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한 뒤, 발사 완료 후 디폴트 상태로 복귀되면서 발사 유닛을 하우징(10) 외부로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13)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마스터 블록(30)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하우징(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탄성체인 마스터 블록 걸림부(31)를 포함한다.
즉 마스터 블록 걸림부(31)는 상술한 일 축(D)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되어, 디폴트 상태, 즉 복원이 된 상태에서는 도 7을 기준으로 상면을 향하는 복원력을 유지하여 상술한 제1 걸림부(13)와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은 제1 스프링(50)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중공부(11)에서 이동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나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에 누름힘이 가하여 지면, 제1 걸림부(13)에 걸려진 상태가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의 하부 이동을 통하여 해제되며, 이때 마스터 블록(30)은 제1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은 상술한 허브 블록(40)과 함께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며, 이때 제1 스프링(50)과 제2 스프링(60)의 복원력을 설정하게 되면, 마스터 블록 걸림부(31)는 그 형상에 의하여 눌려진 채로 제1 걸림부(13)를 향하여 이동하다가, 마스터 블록 걸림부(31)가 눌려진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부로 탄성 이동하여 다시 제1 걸림부(13)에 걸려진 상태가 되고, 다시 제1 스프링(50)은 장전 직전의 준비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마스터 블록 걸림부(31)는, 상술한 디폴트 상태에서 제1 걸림부(13)에 걸리는 영역인 제1 걸림점(311) 및 발사 유닛이 중공부(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누름 이동될 시 누름힘을 전달하여 제1 걸림점(311)이 제1 걸림부(13)와 걸린 상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걸림점(311)에 대응하는 마스터 블록 걸림부(31)를 하부 이동시켜 해제시키는 제1 누름점(312, 313)을 포함한다.
한편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누름점(312, 313)은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의 경사 구조에 의하여 양 방향으로 두 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누름점(312, 313)이 발사 유닛의 형태 및 동작에 따라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사 유닛(181, 191)은 제1 발사 유닛(181)과 제2 발사 유닛(191)으로 두 개 존재한다. 제1 발사 유닛(181)은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중공부(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발사 유닛 삽입 가이드 홀(18)을 통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발사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사 유닛 삽입 가이드 홀(18)은 “ㄱ”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발사 유닛(181)은 제1 발사 유닛 헤드(1810), 연결 탄성체(1812) 및 제1 발사 유닛 바디(1813)으로 구성된다.
연결 탄성체(1812)는 상술한 제1 발사 유닛 삽입 가이드 홀(18)을 따라서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제1 발사 유닛 삽입 가이드 홀(18)의 제1 방향(D1) 단측의 넓은 공간에서 제1 발사 유닛 삽입 가이드홀(18)을 따라서 횡으로 이동한 뒤 누를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고 마련된 구성이다.
제1 발사 유닛 헤드(1810)은 돌출되어 시술자가 손가락 등을 통하여 누름힘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며, 제1 발사 유닛 바디(1813)은 상술한 제1 누름점(312)을 누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제2 발사 유닛(191)은 상술한 제1 누름점(313)에 누름힘을 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 8 및 도 14,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2 방향(D2) 단측에서 중공부(11)에 형성된 일 축(D) 방향의 가이드 라인(미도시)을 따라서 중공부(11)에 삽입되어 일 축(D)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의미한다. 상술한 구조를 위하여, 제2 발사 유닛 삽입 가이드 홀(19)이 중공부(11)와 연결되도록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사 유닛(19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누름점(313)을 눌러, 제1 발사 유닛(18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발사 유닛(181)과 제2 발사 유닛(191)은 시술자가 하우징(10)을 시술을 위하여 파지 시, 시술자의 파지 형태에 관계없이 파지 형태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겉침의 후퇴 전진을 개시할 수 있도록 발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도 7과 함께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마스터 블록(30)의 제2 방향(D2) 단측 영역에는, 날개 바 형상으로 마스터 블록(30)의 메인 바디 영역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허브 블록(40)이 제2 걸림부(14)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된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와 제1 걸림부(13)의 결합 상태와 마찬가지로, 도 2, 도 10 및 13을 참조하면, 허브 블록(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허브 블록 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 블록 걸림부(42)는 상술한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와 제1 걸림부(13)의 결합 상태와 같이 제2 걸림부(14)에 걸림되어, 장전 시 허브 블록(40)이 후퇴하면서 허브 블록 걸림부(42)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걸림부(14)에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장전 상태에서는 제2 걸림부(14)에 걸린 상태가 되어, 허브 블록(40)의 제1 방향(D1)으로의 전진이 억제되면서 중공부(11)와의 관계에서 상대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은, 마스터 블록(30)이 제1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하여 발사 시 상술한 프로세스에 의하여 제2 방향(D2)으로 후퇴 이동하게 되면, 허브 블록 걸림부(42)에 누름힘을 가하여, 허브 블록 걸림부(42)를 이동시켜 제2 걸림부(14)와의 걸림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 결과, 허브 블록(40)은 마스터 블록(30)을 제1 방향(D1)으로 밀면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겉침(21)이 다시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조직을 절단하여 속침(20)의 조직 채취홈(20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허브 블록(40)은, 장전 상태가 제2 걸림부(14)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허브 블록(4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이고,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이 가하는 누름힘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14)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허브 블록(40)이 제2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체인 허브 블록 걸림부(42)를 포함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허브 블록 걸림부(42)는, 장전 상태에서 제2 걸림부(14)에 걸리는 영역인 제2 걸림점(421)과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이 가하는 누름힘을 전달하여 제2 걸림점(421)이 제2 걸림부(14)와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누름점(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점(421)과 제2 누름점(422)은 서로 연결되는 지점이 가장 돌출되어 있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누름점(422)을 제외한 제2 걸림점(421)의 제1 방향(D1) 측의 공간에서 제2 걸림점(421)이 제2 걸림부(14)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경사부의 형성 구조에 의하여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이 제2 누름점(422)의 경사부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누름힘을 제공할 수 있어, 허브 블록 걸림부(42)가 눌리면서 제2 걸림부(14)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스프링(50) 및 제2 스프링(60)을 각각 마스터 블록(30)와 허브 블록(40)에 연결하기 위해, 도 10을 참조하면, 마스터 블록(30) 및 허브 블록(40)에는 인접 연결된 제1 스프링(50) 또는 제2 스프링(60)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부(341, 45)가 각각 리세스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블록(30)과 허브 블록(40)이 서로 접촉할 수 있고, 마스터 블록(30)와 허브 블록(40)이 하우징(10)에서 중공부(11)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어, 마스터 블록(30) 및 허브 블록(40)의 일 축(D) 방향의 적어도 일 단측에는 충격 흡수판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10, 도 13을 참조하면, 장전 유닛에 의하여 허브 블록(40)이 제2 방향(D2)으로 후퇴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허브 블록(40)은 장전 커넥터(52)에 걸림되는 제1 방향측 경사부(4412)와, 장전 커넥터(52)가 복원력에 의하여 원 상태로 이동 시 미끌림되는 제2 방향측 경사부(4411)를 갖는 톱니 형태의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는 본 발명에서 두 개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채취 조직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겉침이 후퇴 전진하는 구간 거리를 다르게 하여 장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442)는 상술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톱니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해당 구성의 기능 수행을 위한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참조되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방향측 경사부(4412)는 경사도가 거의 직각에 가깝고, 제2 방향측 경사부(4411)은 완만한 경사도를 갖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전 커넥터(52)의 제2 방향(D2) 이동에 따라서 가해지는 힘을 완전하게 허브 블록(40)에 전달하여 허브 블록(40)이 제1 스프링(50) 및 제2 스프링(60)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수회 장전 시 제2 방향측 경사부(4411)에 장전 커넥터(52)가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데, 이때 장전 커넥터(52)의 이동에 제약이 없도록 제2 방향측 경사부(4411)가 원만한 경사도를 갖도록 구성하게 된다.
도 5, 도 11, 도 12, 도 13, 도 17을 참조하면, 장전 유닛을 구성하는 일 구성인 장전 손잡이(51)는, 일 단측(511)이 하우징(10)의 힌지부(17)에 힌지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단측(512)은 개방, 즉 고정되지 않고, 하우징(10)에 힌지 고정된 부분, 즉 일 단측(511)에는 장전 손잡이(51)가 복원 상태에서 장전 손잡이의 다른 단측(512)이 하우징(10)과 이격되도록 벌림힘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토글잠금장치(16, 513)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지 않는 이상, 장전 손잡이(51)는 일 단측(511)을 중심으로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함으로써, 다른 단측(512)이 하우징(10)과 최대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장전 손잡이(51)의 일 단측(511)에서 하우징(10)과 연결돠는 힌지 연결부에는, 걸림부재(예를 들어 톱니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필요 이상으로 장전 손잡이(51)가 하우징(10)으로부터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전 커넥터의 단측이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정확하게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장전 유닛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인 장전 커넥터(52)는, 일 단측(521)이 장전 손잡이(51)의 양 단측 사이의 일 영역에 힌지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단측(522)은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개방, 즉 고정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장전 손잡이(51)에 힌지 고정된 부분에는 장전 커넥터(52)가 복원 상태에서 상술한 장전 손잡이(51)와 마찬가지로, 장전 커넥터(52)의 다른 단측이 장전 손잡이(51)와 이격되고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걸림되도록 벌림힘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후술하는 토글잠금장치(16, 513)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지 않는 이상, 장전 커넥터(52)는 일 단측(521)을 중심으로 장전 손잡이(51)로부터 이격되되, 다른 단측(522)이 장전 손잡이(51)과 최대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장전 커넥터(52)의 일 단측(521) 즉 장전 손잡이(51)와의 힌지 연결부에는, 상술한 장전 손잡이(51)의 일 단측(511)측의 힌지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걸림부재(예를 들어 톱니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필요 이상으로 장전 커넥터(52)가 장전 손잡이(51)으로부터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전 커넥터(52)의 단측(522)이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정확하게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12,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에는 장전 커넥터 걸림턱(101)이 형성되어 있다. 장전 커넥터 걸림턱(101)은 하우징(10)의 외부와 중공부(1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되,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와 장전 커넥터(52)가 걸림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장전 유닛 가이드부(102)의 어느 일 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로서, 장전 커넥터(52)가 장전 손잡이(51)에 가해지는 누름힘에 의하여 상술한 메커니즘의 힌지 이동으로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여 장전 상태가 되는 경우, 장전 커넥터(52)를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와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장전 커넥터 걸림턱(101)은 장전 커넥터 날개(523)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장전 손잡이(51)에 누름힘을 가하게 되면, 장전 커넥터(52)의 다른 단측(522)가 힘을 제공하여 허브 블록(40)을 제2 방향(D2)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허브 블록(40)에 형성된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의 위치 상, 허브 블록 걸림부(42)의 제2 걸림점(421)이 제2 걸림부(14)와 강하게 걸림되는 위치를 넘어서 제2 방향(D2)으로 조금 더 이동되는데, 이때 장전 커넥터 걸림턱(101)에 장전 커넥터 날개(523)가 닿기 시작하여 장전 커넥터(52)가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장전 손잡이(51)을 최대로 누르게 되면 장전 커넥터(52)의 다른 단측(522)이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이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허브 블록(40)은 다시 제1 방향(D1)으로 약간 앞으로 이동되면서 제2 걸림부(14)에 확실하게 걸려지게 된다.
이 때 도 5, 도 11, 도 12, 도 13, 도 15를 참조하면, 장전 손잡이(51)에 누름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장전 손잡이(51)의 다른 단측(512)이 하우징(10)과 접촉될 시, 가해지는 누름힘에 따라서 잠금 및 해제 상태가 토글되어, 장전 손잡이(51)와 하우징(10)의 결합을 제어하는 토글잠금장치(16, 5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토글잠금장치(16, 5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전 손잡이(51) 측의 장치(512)와 하우징(10) 측의 장치(16)가 결합된 구조로서, 장전 손잡이(51)에 누름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최대로 하우징(10)과 접촉될 시, 누름힘을 제거하면 약간의 틈이 벌어진 상태로 토글잠금되며, 다시 누름힘을 가했다가 제거하면 토글해제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장전 커넥터 걸림턱(101)에 의하여 장전 커넥터(52)가 들림에 따른 장전 커넥터(52)의 이동을 위하여 장전 손잡이(51)에는 장전 커넥터 수용 홈(514)이 리세스될 수 있다. 장전 커넥터 수용 홈(514)에 장전 커넥터(52)가 장전 커넥터 걸림턱(101)에 의하여 들리면서 수용됨에 따라서 허브 블록(40)의 이동 시 장전 커넥터(52)가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장전 손잡이와 장전 커넥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서, 장전 손잡이(51)는 일 단측(511)이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장전 커넥터(52)은 일 단측(521)이 장전 손잡이(51)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다른 단측(522)는 허브 블록(40)의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전이 수행되어 마스터 블록(30), 제1 스프링(50), 허브 블록(40) 및 제2 스프링(60)이 구동된다.
한편 도 17의 (b)를 참조하면, 도 17의 (a)와 달리, 장전 손잡이(53)의 제2 방향(D2)의 일 단측(531)이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장전 커넥터(54)은 일 단측(541)이 장전 손잡이(53)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다른 단측(542)는 허브 블록(40)의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7의 (a)와 반대 방향의 힘을 통해 장전이 수행되어 마스터 블록(30), 제1 스프링(50), 허브 블록(40) 및 제2 스프링(60)이 구동된다.
도 17의 (c)를 참조하면, 도 17의 (a) 및 (b)와 달리, 장전 손잡이(55)의 제2 방향(D2)의 일 단측(551)은 도 17의 (b)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나, 장전 커넥터(56)가 제1 서브 커넥터(561) 및 제2 서브 커넥터(56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서브 커넥터(561)의 제1 방향(D1) 단측(563)은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다른 단측(564)은 제2 서브 커넥터(562)에 연결되면서 장전 손잡이(55)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제2 서브 커넥터(562)의 다른 단측(565)는 허브 블록(40)의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에 접촉되어 있다. 물론, 도 17의 (b)와 마찬가지로 장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과 함께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와 제2 걸림부(14)는 같은 폭을 갖고 형성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5를 먼저 참조하면, 장전 손잡이(51)에 누름힘이 가하여 짐에 따라서 디폴트 상태(S7)에서 일회 장전 시, 즉 장전 손잡이(51)에 첫 번째 누름힘을 가할 시, 장전 커넥터(52)의 다른 단측이 제2 방향(D2) 순으로 첫 번째 톱니(441)에 제2 방향(D2)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허브 블록(40)이 이동되면서 상술한 이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장전 손잡이(51)를 최대한으로 쥐는 S8, S9 단계에서 힘을 풀어 토글잠금장치(16, 513)에 의하여 틈이 벌어진 상태로 토글잠금되면, 제2 방향(D2) 순으로 첫 번째 제2 걸림부(14의 제1 방향(D1) 측 걸림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S10)가 된다.
이후 도 16을 참조하면, S10 상태에서 장전 손잡이(51)를 최대로 다시 쥔 뒤 누름힘을 제거하면, 도 16의 S11과 같은 복원 상태가 되면서 장전 커넥터(52)의 다른 단측이 제2 방향(D2) 측 경사부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지면서 제2 방향(D2) 순으로 두 번째 톱니(442)의 제1 방향(D1) 측 경사부에 걸림되며, 장전 손잡이(51)에 누름힘이 재가해져 S12 및 S13 상태의 흐름에 따라서 이회 장전이 됨에 따라. 장전 커넥터(52)의 다른 단측이 제2 방향(D2) 순으로 두 번째 톱니(442)에 제2 방향(D2)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허브 블록(40)이 상기 제2 방향 순으로 두 번째 제2 걸림부(14의 제2 방향(D2) 측 걸림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S14)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장전 손잡이(51)를 반복 누르는 것을 통하여 한 손으로 쉽게 겉침(21)의 후퇴 거리를 제어하여, 소량 및 다량 채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일 영역에는 개방된 장전상태확인창(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허브 블록(40)의 외면 중 일회 장전 및 이회 장전 상태의 허브 블록의 위치에서 장전상태확인창(122)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킹되어 있어, 장전 횟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전상태마킹부(4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15를 참조하면,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장전이 반복됨에 따라서 0, 1, 2 등의 장전 상태가 장전상태 확인창(122)을 통해 노출되어, 시술자가 장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 도 9, 도 10, 도 13을 참조하면, 마스터 블록(30)은, 겉침(21)이 고정되는 겉침 연결 바(33)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겉침 연결 바(33)는 마스터 블록(30)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겉침 연결 바(33)가 이동 방향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공간(333)을 따라서 제1 또는 제2 방향(D1, D2)으로 겉침(21)과 함께 이동된다.
겉침 연결 바(33)에는 상술한 이동을 위하여, 겉침 연결 바(33)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개방되어 겉침 연결 바(3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겉침 연결 바 가이드부(121)를 통하여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어 겉침 연결 바(33)에 이동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겉침 연결 바 조작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겉침 연결 바 조작부(331)와 겉침 연결 바(33)를 연결하는 사이에는 겉침 연결 바 잠금 장치(332)가 형성되어 있다. 겉침 연결 바 잠금 장치(332)는 구체적으로, 디폴트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공간(333)의 겉침의 측면에 개방된 개방부 중 가장 좁은 개방부(334)가 겉침 연결 바(33)의 이동을 억제하고 있다가, 겉침 연결 바 조작부(331)를 누름으로써 겉침 연결 바 잠금 장치가 가장 좁은 개방부(334)에 매칭됨에 따라서 가장 좁은 개방부(334)를 통하여 겉침 연결 바(33)가 제2 방향(D2) 또는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겉침 연결 바 조작부(331)의 조작에 따라서 검침 연결 바(33)가 상기 마스터 블록(30)에 대해서 상대 이동됨이 제어된다. 겉침 연결 바 조작부(331)를 누르면서 당기면 잠금이 해제되면서 당겨지고, 다시 앞으로 밀면 전진이동하다가 자체 탄성에 의해 개방부(334)에 걸려져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를 위하여, 겉침 연결 바(33) 및 겉침 연결 바 조작부(331) 및 겉침 연결 바 잠금 장치(332) 중 적어도 일 구성은 누름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S1 단계는 준비 상태로서, S2 단계인 장전 진행 직전의 상태로서 장전 손잡이(51)가 하우징에 이격되도록 준비되고, 장전 커넥터(52)는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후 S3 상태로 진입함에 따라서 장전 손잡이(51)에 누름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른 힌지 이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장전 커넥터(52)가 허브 블록 걸림 톱니(441, 442)에 제2 방향(D2)의 힘을 가하여 허브 블록(40)이 기설정된 거리(a)만큼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장전 완료 상태가 된다. 이때 마스터 블록(30)은 발사 유닛에 의하여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마스터 블록(30)와 허브 블록(40) 사이가 상술한 기설정된 거리(a)만큼 이격되면서 제1 스프링(50)에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발사 유닛(181, 191)에 누름힘(P1, P2)이 가해지면, 제1 발사 스테이지(S4)가 진행된다. 즉 발사 유닛(181, 191)에 누름힘(P1, P2)이 가해지면 마스터 블록 걸림부(31)에 누름힘이 가해지면서 상술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제1 걸림부(13)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이 기설정된 거리(b)만큼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다.
S4 단계가 완료되면 제2 발사 스테이지(S5)가 진행된다. 즉, 마스터 블록(30)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허브 블록 걸림 해제 유닛(32)이 허브 블록 걸림부(42)에 누름힘을 가하여, 허브 블록 걸림부(42)를 이동시켜 제2 걸림부(14)와의 걸림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 결과, 허브 블록(40)은 마스터 블록(30)을 제1 방향(D1)으로 밀면서 기설정된 거리(c)만큼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겉침(21)이 다시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조직을 절단하여 속침(20)의 조직 채취홈(202)에 밀봉 수용되도록 한다.
상술한 각 기설정된 거리 a, b, c는 본 발명에서 동일함이 바람직하나, 발명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여 a, b, c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조직 회수 스테이지(S6)가 진행된다. 즉 겉침 연결 바(33)를 상술한 조작 메커니즘에 의하여 마스터 블록(30) 상에서 마스터 블록(30)과 허브 블록(40)의 이동 없이 이동되도록 하여, 겉침(21)을 후퇴 이동시킴으로써, 속침(20) 조직 채취홈(202)이 노출되도록 하여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이후 다시 S1 단계로 복귀하여 반복 채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하우징
20: 속침
21: 겉침
30: 마스터 블록
40: 허브 블록
50: 제1 스프링
60: 제2 스프링

Claims (1)

  1. 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 방향 단측 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조직채취홈이 형성된 속침과, 상기 조직채취홈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선단에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늘관이 형성되어 속침을 기준으로 왕복운동하는 겉침을 포함하는 니들셋;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일 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겉침의 단측에 연결되고, 상기 일 축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일 축과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상기 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마스터 블록;
    상기 마스터 불록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에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1 스프링, 상기 니들셋 관통부가 형성된 허브 블록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허브 블록에 걸림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전 커넥터 및 상기 장전 커넥터에 연결되어 장전 커넥터에 상기 제2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장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장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 블록은 상기 속침과 결합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속침은 이동하지 않고, 상기 겉침이 상기 속침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장전 유닛은 장전 시 상기 허브 블록만을 이동시켜 장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0190071074A 2017-01-26 2019-06-14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49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74A KR102493277B1 (ko) 2017-01-26 2019-06-14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89A KR102003456B1 (ko) 2017-01-26 2017-01-26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0190071074A KR102493277B1 (ko) 2017-01-26 2019-06-14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789A Division KR102003456B1 (ko) 2017-01-26 2017-01-26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661A KR20190071661A (ko) 2019-06-24
KR102493277B1 true KR102493277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074A KR102493277B1 (ko) 2017-01-26 2019-06-14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1213B (zh) * 2019-07-18 2023-12-22 沈敏峰 一种带锁定双套管医用安全穿刺针
KR102392692B1 (ko) * 2019-11-08 2022-05-03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200A (ja) * 2002-11-20 2006-02-2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医療用生体組織検査器具
JP2009233333A (ja) 2008-03-27 2009-10-15 Depuy Mitek Inc 組織抽出・収集装置
KR101687099B1 (ko) 2015-04-01 2016-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박형 펜타입 생체조직 검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46B1 (ko) * 2017-02-15 2019-01-11 제주대학교병원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200A (ja) * 2002-11-20 2006-02-2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医療用生体組織検査器具
JP2009233333A (ja) 2008-03-27 2009-10-15 Depuy Mitek Inc 組織抽出・収集装置
KR101687099B1 (ko) 2015-04-01 2016-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박형 펜타입 생체조직 검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661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923A (en) Biopsy instrument with handle and needle set
CN108433754B (zh) 芯针活检装置
RU2160053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биопсии и одноразовый комплект инструментов для биопсии
EP1135065B1 (en) Biopsy needle and surgical instrument
US7022085B2 (en) Medical instrument
US6083176A (en) Automated biopsy needle handle
US7309317B2 (en) Biopsy needle with integrated guide pin
KR101937946B1 (ko)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US10463350B2 (en) Biopsy device
KR102493277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WO1993000859A1 (en) Biopsy instrument
US11889997B2 (en)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KR102134469B1 (ko) 절단 생검기구
CN105377147B (zh) 真空辅助手持活检装置
US5921943A (en) Controlled surgical core biopsy system
KR102003456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US20190321012A1 (en) Disposable needle biopsy device and needle structure of cutting biopsy apparatus
KR102117014B1 (ko) 절단 생검기구
KR102533755B1 (ko) 절단 생검 기구
EP2381847B1 (en) Skin pricking device
KR102357411B1 (ko) 절단 생검기구
WO2003026509A2 (en) Tissue-sampling instrument and methods of use
US11259786B2 (en) Cutting biopsy instrument
KR102376214B1 (ko) 절단 생검기구
KR20210020051A (ko) 절단 생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