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692B1 - 절단 생검 기구 - Google Patents

절단 생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692B1
KR102392692B1 KR1020190143005A KR20190143005A KR102392692B1 KR 102392692 B1 KR102392692 B1 KR 102392692B1 KR 1020190143005 A KR1020190143005 A KR 1020190143005A KR 20190143005 A KR20190143005 A KR 20190143005A KR 102392692 B1 KR102392692 B1 KR 10239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using
coupled
coupl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186A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14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186A/ko
Priority to KR1020220051455A priority patent/KR102533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생검기구에 관한 것으로, 조직 채취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채취 시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조직 채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 생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 생검 기구{Core biops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단 생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흡인생검과 절단생검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 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흡인생검에 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다.
채취할 조직은, 그 주위 및/또는 생검 바늘이 침투하는 경로 상에 혈관이나 다른 조직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따라서 생검에 사용할 생검기구는, 시술자가 시술 시 최대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검기구는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고려되기 보다는 시술자가 기구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술의 안정감을 주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기구에 따라 너무 강한 발사력으로 인하여 위험 부위에는 사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술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시술자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과,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을 스위칭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과 결합된 핸들부와, 상기 제2 블록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과 결합되어 제1 블록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과 결합이 해제되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구비된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절단 생검 기구는 간단한 동작으로 안정적인 파지 상태를 유지한 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하우징의 파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안정감 있게 생검 시술을 할 수 있다.
또한 채취할 조직 부위에 조직 채취홈을 정확히 삽입한 상태에서 가볍게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직 절단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를 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생검 기구(1)를 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1 블록(14)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하우징(1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절단 생검 기구의 제2 블록(1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는 하우징(11), 니들셋(12), 핸들부(13), 제1 블록(14), 제2 블록(15), 스프링(17) 및 지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절단 생검 기구(1)는 생검 대상에 대하여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대상에 대하여 필요한 조직의 채취를 수행할 수 있다.
니들셋(12)은 서로 중첩되는 겉침부(121) 및 속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셋(12)은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들셋(12)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생검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바깥에 배치되는 데, 예를 들면 겉침부(121)의 내경은 속침부(12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바깥에 배치된 채, 속침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컨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겉침부(121)는 속침부(122)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파이프 상으로 형성되며, 속침부(122)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겉침부(121)의 제2 방향(D2) 단부는 제1 블록(1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겉침부(121)는 제1 블록(14)의 운동에 연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속침부(122)는 제1 방향(D1) 단부에 위치한 커팅면(1221)과 커팅면(1221)으로부터 제2 방향(D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직 채취홈(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의 이동에 따라 겉침부(121)로 덮이거나 겉침부(121)로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채취홈(1222)은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된 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속침부(122)는 하우징(11)을 축 방향(D)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속침부(122)의 제2 방향(D2) 단부는 제2 블록(15)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1)는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에 수용된 조직을 절단하도록 일단에 컷팅면(1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속침부(122)를 기준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겉침부(121)의 컷팅면(1211)은 속침부(122)의 컷팅면(1221)과 상이한 방향의 경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속침부(122)의 날(1221)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셋(12)은 하우징(11)을 통과해 하우징(11)의 선단부의 제3 개구(112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절단 생검 기구(1)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고, 내부에 배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의 내부의 공간에 니들 셋(12)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축 방향(D)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축 방향(D)으로 연장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중공부와 연통하는 제1 개구(1121)를 가지며, 이 제1 개구(1121)를 통해 제2 블록(15)의 결합 돌기(151)가 하우징(11) 외측으로 돌출된다.
하우징(11)은, 제1 개구(112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개구(1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개구(1122)의 일단에는 지지부(16)가 위치하며, 지지부(16)의 일단은 제2 개구(1122)의 가장자리에서 하우징(11)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6)는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제2 방향(D2) 단부에는 제4 개구(1124)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2 블록(15)의 단부가 제2 방향(D2)으로 돌출된다.
지지부(16)는 하우징(11)과 연결된 반대측에 위치한 지지단(161)과 해제단(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단(161)은 축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단(161)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해제단(162)은 한 쌍의 지지단(16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단(161)은 후술하는 제1 블록(14)의 스토퍼(142)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해제단(162)은 제2 블록(15)의 스위칭부(155)와 대향되어 스위칭부(155)에 의해 제1 블록(14)과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단(161)은 일단이 하우징(11)과 연결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블록(15)의 스위칭부(155)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4)과의 결합 및 해제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축방향(D)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3)은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월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월 사이에 제2 블록(15)이 위치한다. 따라서 한 쌍의 월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113)은 제2 블록(15)의 축방향(D)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13)은 축 방향(D)으로 인라인 상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레일(113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131)은 제4 개구(1124)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132)은 제1 가이드 레일(113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132)의 폭은 제1 가이드 레일(113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일 측면에 파지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11)는 표면으로부터 축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입된 오목부일 수 있으며, 파지부(111)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하우징(11)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11)는 제1 핸들(131)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1)는 하우징(11) 내부에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이 축 방향(D)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의 사이에는 스프링(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7)은 도 4에서 볼 때, 제1 가이드 레일(1131)과 제2 가이드 레일(1132)의 연결 부위에 지지될 수 있는 데, 제1 가이드 레일(1131)과 제2 가이드 레일(1132)의 폭이 다름으로 인해 스프링(17)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17)의 타단은 제1 블록(1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블록(14)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17)은 압축되고, 스프링 탄성을 갖게 된다.
제1 블록(14)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방향(D1)으로 겉침부(121)가 결합된다. 속침부(122)는 제1 블록(14)을 관통하며, 제1 블록(14)의 제2 방향(D2) 단부에 형성된 개구(141)를 통해 제2 방향(D2)으로 노출된다.
제1 블록(14)에는 제2 블록(15)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143)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143)는 제2 방향(D2)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157)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는 제1 블록(14)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블록(14)은 표면에 구비된 스토퍼(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2)는 하우징(11)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16)의 지지단(16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블록(14)의 제2 방향(D2) 이동에 따라 지지단(16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방향(D2)으로 경사면을 갖고 제1 방향(D1)으로 단차를 갖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42)는 축방향(D)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단(16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42)는 축 방향(D)으로 이격된 제1 스토퍼(1421) 및 제2 스토퍼(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제1 블록(14)은 지지단(161)에 제1 스토퍼(1421)가 먼저 결합될 수 있고, 이 때 제1 블록(14)은 스프링(17)에 의한 제1 탄성력을 갖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블록(14)이 제2 방향(D2)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스토퍼(1422)가 지지단(161)에 결합될 수 있는 데, 이 때 제1 블록(14)은 스프링(17)에 의한 제2 탄성력을 갖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탄성력은 제1 탄성력보다 큰 힘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2)는 축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스토퍼(1421) 및 제2 스토퍼(1422)를 포함함으로써 제1 블록(14)에 서로 다른 스프링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토퍼(142)가 축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2단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142)는 축 방향(D)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단의 구조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블록(14)은 서로 다른 복수의 스프린 탄성을 받을 수 있다.
제2 블록(15)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축 방향(D)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11)의 제1 개구(1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 돌기(151)가 위치하며, 결합 돌기(151)는 제1 개구(1121)를 통해 하우징(1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1)의 제2 방향(D2)의 단부에는 제2 결합부(157)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157)는 제1 블록(14)의 제1 결합부(143)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단차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연결 블록(153)이 결합 돌기(151)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됨으로써, 제2 결합부(157)는 연결 블록(153)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2 결합부(157)는 제1 결합부(143)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블록(15)의 제2 방향(D2)의 단부에는 결합 블록(152)이 위치하며, 결합 블록(152)의 제2 방향(D2) 단부에는 제2 핸들(132)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블록(152)은 하우징(11)의 제1 가이드 레일(1131)을 따라 운동하며, 제4 개구(1124)를 통해 하우징(11)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1)와 결합 블록(152)의 사이에는 연결 블록(153)이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블록(153)은 서로 연결된 제1 연결 블록(1531) 및 제2 연결 블록(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531)은 결합 블록(152)과 결합되며, 제1 가이드 레일(1131) 및 제2 가이드 레일(11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531)의 너비는 제1 가이드 레일(1131)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 연결 블록(1532)은 제1 연결 블록(1531)과 결합 돌기(15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 블록(1532)은 제2 가이드 레일(1132)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연결 블록(1532)은 제1 연결 블록(1531)보다 너비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블록(1532)은 제1 가이드 레일(1131)로의 진입이 차단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1)의 제1 방향(D1)에는 가이드 블록(154)이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블록(154)은 한 쌍의 지지단 (161) 사이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154), 결합 돌기(151), 연결 블록(153), 결합 블록(15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일 부재는 별도로 구비되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가이드 블록(154)과 결합 돌기(151)의 사이에는 스위칭부(15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15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16)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데, 제2 블록(15)의 축방향(D) 운동에 의해 지지부(16)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55)는 제2 블록(15)의 제1 방향(D1) 운동에 의해 지지부(16)의 해제단(162)을 누른다. 이에 따라 지지부(16)는 해제단(162) 부분이 하우징 외측으로 약간 정도 밀려 올라가고 지지단(161)과 스토퍼(14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블록(15)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면 스위칭부(155)는 해제단(162)에서 이격되며, 지지부(16)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1)는, 제2 블록(15)을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핸들(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13)은 제1 핸들(131) 및 제2 핸들(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131)은 제2 블록(15)의 결합 돌기(151)에 결합되고, 제2 핸들(132)은 제2 블록(15)의 결합 블록(1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핸들(131)은 하우징(11)의 제1 방향(D1) 일 측면에, 제2 핸들(132)은 하우징(11)의 제2 방향(D2) 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블록(15)의 결합 돌기(151)와 결합 블록(152)은 연결 블록(153)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핸들(131)과 제2 핸들(132)은 서로 연동하여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하우징(11)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는 제1 핸들(131)을 사용하거나 또는 하우징(11)의 후단에 노출되어 있는 제2 핸들(132)을 사용할 수 있어, 절단 생검 기구(1)의 조작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핸들(131)은 파지부(111)에 대향된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더욱 안정감 있게 하우징(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로 제1 핸들(131)을 조작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제1 핸들(131) 및 제2 핸들(132)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하우징(11)의 파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안정감 있게 생검 시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장전하기 전의 상태에서 제2 블록(15)의 결합 블록(152)은 하우징(11)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제1 핸들(131)도 제1 개구(1121)의 제1 방향(D1) 단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스프링(17)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약간 정도 압축 및/또는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제2 블록(15)의 제2 결합부(157)는 제1 블록(14)의 제1 결합부(143)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전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에 노출되지 않고, 제1 블록(14)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지 않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1 핸들(131) 또는 제2 핸들(132)을 제2 방향(D2)으로 당긴다. 이에 따라 제2 블록(15)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고, 제2 결합부(157)에 결합된 제1 결합부(143)에 의해 제1 블록(14)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다. 제1 블록(14)은, 스토퍼(142)가 지지부(16)의 지지단(161)에 걸리는 위치인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 스프링(17)은 일단이 제1 가이드 레일(1131)과 제2 가이드 레일(1132)의 사이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1 블록(14)에 밀리면서 압축된다.
이 상태가 절단 생검 기구(1)의 장전 상태(제1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 즉 시술자는 하우징(11)을 파지하고 니들 셋(12)을 채취할 조직 근처로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1 핸들(131) 또는 제2 핸들(132)을 제1 방향(D1)으로 서서히 민다. 이 때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 블록(14)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블록(15)만 제1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가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블록(15)의 이동에 따라 속침부(122)도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고, 겉침부(121)로부터 속침부(122)의 조직 채취홈(1222)이 노출된다. 이 때 조직 채취홈(1222)은 채취할 조직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1 핸들(131) 또는 제2 핸들(132)을 제1 방향(D1)으로 조금 더 밀면, 제2 블록(15)의 스위칭부(155)가 지지부(16)의 해제단(162)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16)가 들리면서 지지단(161)과 스토퍼(14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스프링(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블록(14)은 제1 방향(D1)으로 빠르게 운동해 제1 위치까지 이동하며 이에 따라 겉침부(121)가 이동해 컷팅면(1211)이 조직 채취홈(1222)을 지나면서 조직 채취홈(1222)에 안착되어 있는 조직을 절단한다. 조직 채취홈(1222)은 겉침부(121)에 의해 덮이고 조직 채취홈(1222)에는 절단된 조직이 위치하게 된다.
제1 블록(14)은 제1 위치에서 하우징(11) 내벽과 접촉함으로써 제1 방향(D1)으로의 운동이 멈추게 된다. 제1 블록(14)이 제1 위치로 돌아올 때에 하우징(11) 내벽과 타격됨에 따른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제1 블록(14)의 제1 방향(D1) 단부에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핸들(13)에서 손을 떼면, 제2 블록(15)은 약간 정도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스위칭부(155)가 해제단(162)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어 지지부(16)는 원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제4 상태).
조직 채취홈(1222)에 수용된 조직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핸들(13)의 조작에 의해 전술한 장전 동작을 수행한 후, 핸들(13)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 속침부(122)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직 채취홈(1222)을 겉침부(121)로부터 노출시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으로 안정적인 파지 상태를 유지한 체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하우징(11)의 파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안정감 있게 생검 시술을 할 수 있다.
조직을 채취하는 생검 시술은 매우 위험한 시술이다. 채취할 조직은, 그 주위 및/또는 생검 바늘이 침투하는 경로 상에 혈관이나 다른 조직이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생검 바늘의 침투 경로도 반드시 단일의 직선 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시술자가 바늘을 삽입하는 도중에도 수시로 포즈를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는 초음파 기구를 타겟 위치에 여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포즈를 바꿔가며 하우징의 측면 및/또는 단부의 핸들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정확도 및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예민한 생검 시술을 시술자의 편의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채취할 조직 부위에 조직 채취홈(1222)을 정확히 삽입한 상태에서 가볍게 발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직 절단이 가능해진다.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은 독립되게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들이나, 각 실시예들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1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조직 채취홈을 갖는 속침부와, 상기 속침부보다 짧게 구비되어 속침부를 덮고 속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조직 채취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상기 니들셋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되도록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겉침부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된 지지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속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운동을 스위칭하도록 구비된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과 결합된 핸들부; 및
    상기 제2 블록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과 결합되어 제1 블록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과 결합이 해제되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록은 제1 블록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제1 개구 및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는 제1 핸들 및 상기 결합 블록에 결합되는 제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한 제3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제3 개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폭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블록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위치하는 제1 연결 블록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위치하는 제2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구비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4.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각각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
KR1020190143005A 2019-11-08 2019-11-08 절단 생검 기구 KR10239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05A KR102392692B1 (ko) 2019-11-08 2019-11-08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51455A KR102533755B1 (ko) 2019-11-08 2022-04-26 절단 생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05A KR102392692B1 (ko) 2019-11-08 2019-11-08 절단 생검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455A Division KR102533755B1 (ko) 2019-11-08 2022-04-26 절단 생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86A KR20210056186A (ko) 2021-05-18
KR102392692B1 true KR102392692B1 (ko) 2022-05-03

Family

ID=761587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005A KR102392692B1 (ko) 2019-11-08 2019-11-08 절단 생검 기구
KR1020220051455A KR102533755B1 (ko) 2019-11-08 2022-04-26 절단 생검 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455A KR102533755B1 (ko) 2019-11-08 2022-04-26 절단 생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2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115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429A (ja) * 2010-11-30 2012-06-21 Tasuku:Kk 生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7018895B1 (pt) * 2015-03-04 2023-05-16 Merit Medical Systems, Inc Dispositivo para biópsia de tecido
KR102493277B1 (ko) * 2017-01-26 2023-01-30 고형진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134469B1 (ko) * 2018-04-03 2020-08-2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429A (ja) * 2010-11-30 2012-06-21 Tasuku:Kk 生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86A (ko) 2021-05-18
KR20220061068A (ko) 2022-05-12
KR102533755B1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2085B2 (en) Medical instrument
US8137288B2 (en) Medical instrument
US9999384B2 (en) Sleeve for removable lancet of lancing device
EP0429390A1 (en) Disposable soft tissue biopsy apparatus
US11889997B2 (en)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JP2005520617A (ja) 生検針
EP3407799B1 (en) Biopsy syringe
KR101937946B1 (ko)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KR102533755B1 (ko) 절단 생검 기구
CN105377147B (zh) 真空辅助手持活检装置
US20190321012A1 (en) Disposable needle biopsy device and needle structure of cutting biopsy apparatus
KR102493277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065068B1 (ko)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KR102533757B1 (ko) 절단 생검 기구
KR102003456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20220082661A (ko) 절단 생검 기구
KR102392693B1 (ko) 절단 생검 기구
US8657760B2 (en) Ergonomic biopsy instrument
KR102357411B1 (ko) 절단 생검기구
KR102668868B1 (ko) 절단 생검 기구
KR102416512B1 (ko)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US7530987B1 (en) Surgical tool for creating an incision in a tubular vessel
US11259786B2 (en) Cutting biopsy instrument
KR20240042891A (ko) 절단 생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