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46B1 -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 Google Patents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46B1
KR101937946B1 KR1020170020346A KR20170020346A KR101937946B1 KR 101937946 B1 KR101937946 B1 KR 101937946B1 KR 1020170020346 A KR1020170020346 A KR 1020170020346A KR 20170020346 A KR20170020346 A KR 20170020346A KR 101937946 B1 KR101937946 B1 KR 10193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plunger
gear portion
cylinde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254A (ko
Inventor
고명주
김승형
김봉수
최국명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2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 바늘의 실린더 내부의 중공부에서 이동되어 중공부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조직을 채취하는 플런저를 큰 손동작 없이 간편하게 이동시키도록 하여, 세침흡인생검에 비하여 채취수율을 높이고, 중심부 생검방식보다 안전한 조직 검사에 특화된 실린더와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는, 채취되는 조직을 바늘 구멍으로부터 흡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중공부를 갖고 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외부와 중공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실린더; 실린더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일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런저; 일 방향을 따라 플런저의 외면에 설치된 랙 기어부; 및 가이드부를 통하여 랙 기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연장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랙 기어부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여 플런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중공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주사 바늘을 통하여 실린더 내부에 검체를 흡인하도록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Syringe including plunger control unit}
본 발명은 생체조직의 검체기구로서 사용되는 조직검사에 사용되는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주사기의 플런저에 음압을 가하기 위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필요한 손동작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정확함과 정교한 조작을 요하는 조직채취에 있어서 채취수율을 높이고 안전성이 확보된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수획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사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세침흡인생검의 경우 일반 주사기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주사침은 약물을 주입하거나 체액을 흡입하는 등의 범용적 용도를 위하여 플런저의 외단측에 형성되어 시술자가 플런저를 쥔 뒤 플런저를 전후방 이동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바늘이 연결된 실린더를 시술자가 파지하여 인체 내에 삽입한 후, 파지를 해제하고 플런저의 외단측을 쥐고 흡인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목표물에 대한 타겟팅이 흐트러지게 되어 부정확하고 낮은 검체 채취율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기존 주사기의 흡인조작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1143929호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술한 기존의 기술은, 플런저의 외단측에 형성된 이동판에 연장 형성되도록 플런저 조작 가이드 바를 형성하여, 바늘 구멍 측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플런저를 뒤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역시,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를 파지한 상태에서 플런저 조작 가이드 바를 엄지로 쥐도록 그 파지한 상태를 해제할 수 밖에 없으며, 플런저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면, 파지가 해제될 수 밖에 없어 결국 기존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목표물에 대한 타겟팅이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과 낮은 검체채취율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세침흡인생검 방식을 사용하여 조직을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사기에 있어서, 세침을 위하여 주사기의 실린더를 파지하는 시술자의 손의 모양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로 플런저를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플런저 조작 방식을 제공하여, 플런저 조작을 위한 손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주사기를 이용한 세침흡인생검에 비하여 채취수율 및 조직채취의 정확성을 높이고, 중심부 생검방식보다 안정성이 담보된 조직검사에 특화된 주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는, 채취되는 조직을 바늘 구멍으로부터 흡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중공부를 갖고 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외부와 상기 중공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된(플런저가 삽입되는 구성을 의미합니다.) 가이드부가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런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런저의 외면에 설치된 랙 기어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통하여 상기 랙 기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연장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부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여 플런저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공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주사 바늘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 내부에 검체를 흡인하도록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자는 일반적으로 주사기의 실린더를 쥐는 형태에서 각 손가락에 위치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누르는 방식으로 플런저를 뒤로 이동시켜 플런저에 의하여 중공부에 음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조직이 바늘 구멍을 통해 실린더의 중공부로 흡인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플런저의 외단측을 쥐고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주사 바늘을 인체에 삽입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실린더를 파지하는 형태 그대로 쥔 뒤, 그 상태에서 손가락에 누름힘만 주면 플런저가 이동되기 때문에, 손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플런저의 이동 거리 역시 누름힘을 주는 횟수에 의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플런저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더라도 손 동작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세침흡인생검 방식을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손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채취수율 및 중심부 생검방식보다 안전한 조직검사에 특화된 주사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제2 랙기어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있어서 제1 조작 유닛과 제1 랙기어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서 플런저가 이동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A부분 및 도 3의 B부분을 공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플런저의 회동에 의한 제1 조작 유닛과 제1 랙기어부의 결합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플런저의 회동에 의한 제2 조작 유닛과 제2 랙기어부의 결합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하우징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플런저 및 고무패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크게 실린더(100), 플런저(200) 및 바늘 측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바늘 측은, 바늘 구멍의 단측과 다른 단측에 바늘과 결합된 바늘 헤드(600)와 바늘 캡(300)을 통해 실린더(100)와 밀봉된 상태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늘과 실린더(100)의 연결 구조는 일반 주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바늘 캡(300)의 내면에는 및 실린더(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선(1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취되는 조작을 바늘 구멍으로부터 흡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과 같이 일 방향(D)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외부와 중공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된 가이드부(10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런저(200)는 실린더(100)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일 방향(D)을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플런저(200)에는 고무패킹(미도시)이 바늘(600)측의 단면에 결합되어 실린더(100)의 중공부에 수용되어, 플런저(200)와 실린더(100)의 중공부 역시 밀폐되어 공기의 이동이 차단된 채로 플런저(200)가 실린더(100)의 중공부에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런저(200)는 플런저(200)의 중심을 이루는 중심 축 기둥(202)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랙 기어부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외하고 돌출된 영역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서 플런저의 단면은 클로버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저의 중공부 역시 클로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와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바늘 측과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밀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바늘 측의 단측에는 고무 패킹(209)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고무 패킹(209)의 형상 역시 도 10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런저(200)가 실린더(100)에서 바늘(600)측을 향하여 이동되면, 중공부의 부피가 감소하여 양압이 발생함으로써 중공부에 저장된 유체가 바늘(600)을 통하여 외부로 반출되며, 바늘(600)측의 반대측으로 일 방향(D)으로 이동되면, 중공부의 부피가 증가하여 음압이 발생함으로써, 바늘(600)을 통하여 중공부로 외부의 검체가 흡인된다.
한편 실린더(100)에는 실린더 손잡이(102)가 형성되어 필요 시 후술하는 플런저 헤드(204)와 실린더 손잡이(102)를 시술자가 파지하여 직접 플런저(2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100)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일 방향(D)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00)는 고무패킹(209)이 결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중심 축 기둥(202), 중심 축 기둥으로부터 일 방향(D)을 따라서 바 형상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후술하는 랙 기어부(201A, 201B)가 설치되도록 캐비티를 형성하는 돌출부재(2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플런저(200)의 외단측, 즉 바늘(600)을 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측에는, 시술자가 플런저(200)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플런저(200)를 쥘 수 있는 플런저 헤드(204)가 형성될 수 있다.
시술자는 후술하는 기능 수행을 위하여 플런저 헤드(204)를 쥐고 플런저(200)를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런저(200)의 단면과 실린더(100)의 중공부의 단면의 형상은 동일하나, 실린더(100)의 중공부의 돌출 부재(203)에 대응되는 단면의 폭은 돌출 부재(203)의 단면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중심 축 기둥(202)을 중심으로 플런저(200)가 실린더(100)의 중공부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00)의 중공부의 돌출 부재(203)에 대응되는 단면의 부채꼴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양 변을 향하는 두께가 돌출 부재(203)의 단면의 폭보다 적어도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늘(600)측의 단측에 있어서 중공부가 폐쇄됨으로써, 플런저(200)가 일 방향(D)을 따라서 바늘(600) 측으로 이동되는 깊이가 한정될 수 있다.
랙 기어부(201A, 201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D)을 따라서 플런저(200)의 외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203)에 의하여 한정되는 중심 축 기둥(202)의 외면 영역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랙 기어부(201A, 201B)는 랙 기어의 형태로서, 바 형태에 외면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랙 기어부(201A, 201B)의 톱니에 특정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톱니가 이를 전달받아 랙 기어부(201A, 201B)가 설치된 플런저(200)에도 동일한 방향의 힘을 가하여 플런저(200) 전체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플런저 조작 유닛(101A, 101B, 400)는 가이드부(103A, 101B 및 400에 대응되는 가이드부는 도면의 특성 상 생략됨)를 통해 중공부에 위치되는 랙 기어부(201A, 201B, 400에 대응되는 201C는 도 1에는 생략되어 있으며 도 3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음), 구체적으로는 랙 기어부(201A, 201B)의 톱니에 걸림(맞물림)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랙 기어부(201A, 201B)에 일 방향(D, 구체적으로는 D가 형성하는 양 방향 중 바늘(600) 측의 반대 측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다른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한, 일 방향은 상술한 바늘(600) 측의 반대 측의 방향을 의미한다.)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런저(2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중공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주사 바늘(600)을 통해서 실린더(100)의 내부, 구체적으로 중공부와 플런저(200)가 형성하는 영역에 검체를 흡인하도록 한다.
플런저 조작 유닛(101A, 101B, 400)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서 랙 기어부(201A, 201B) 역시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 기어부(201A, 201B)는 플런저(200)의 중심 축 기둥(202)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일 방향(D)을 따라서 설치되어 플런저(20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도 1에는 미도시, 도 3의 (a) 및 (b)에 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랙기어부(201A, 201B)와 제2 랙기어부가 플런저(200)에 설치된 구조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랙기어부(201A, 201B)는 후술하는 제1 조작 유닛과 걸림되며, 제2 랙기어부(201C)는 후술하는 제2 조작 유닛과 결합된다. 이때 제1 랙기어부(201A, 201B)와 제2 랙기어부(201C)의 형태 및 제1 조작 유닛과 제2 조작 유닛의 구조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플런저의 이동을 조작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의 (a) 및 (b)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랙기어부는 상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랙기어부는 측면에 톱니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기술되고 있는 각 조작 유닛과 랙 기어부 사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형태라면 어느 형태로도 톱니가 형성될 수 있고, 톱니의 크기, 구조, 형태,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는, 플런저(200)의 양 단측 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구멍을 향하는 측과 반대측 단측, 즉 상술한 플런저 헤드 측에서 플런저(200)와 고정되어 있고, 일 방향으로 중심 축 기둥(202)과 갭(G1, G2)을 가지고 떨어져 있도록, 즉 이격되면서 연장 형성된 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를 수용하여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의 일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용 공간이 중공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린더(1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200)가 이동하면서 고무 캡과 형성하는 영역에 조직이 저장되는 중공부(C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100)에는, 중공부(C1)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들 중,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가 삽입되는 영역에 일 방향으로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가 상기 중공부(C1)와 독립되어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용 공간으로서, 그 폭이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 랙 기어부 수용 공간(C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기어부 수용 공간(C2)은 플런저 조작 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랙 기어부 수용 공간(C2)의 폭이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200)의 회동에 따라서 제1 랙기어부(201A, 201B) 및 제2 랙기어부(201C)와 각 플런저 조작 유닛의 결합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플런저 조작 유닛(101A, 101B, 400)은 구동 방식 상 제1 조작 유닛(201A, 201B)와 제2 조작 유닛(4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조작 유닛(400)의 경우, 손가락이 걸림되도록 형성된 손가락 걸림부(402), 슬라이딩 바디(401) 및 복수의 톱니(403)를 포함하며, 제2 조작 유닛(4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가이드부(103A) 역시, 제1 랙기어부(201A, 201B)에 대응되어 일 방향(D)으로 기설정된 제1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1 가이드부(103A)와, 제2 랙기어부에 대응되어 일 방향(D)으로 기설정된 제2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길이는 서로 갖거나 다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 설명한 각 구성이 결합되면, 한편 일반적인 주사기와 동일하게 실린더 손잡이(102)와 플런저 헤드(204)를 통하여 양손으로 각각의 구성을 파지하고 이에 힘을 가하여 플런저(200)가 실린더(100)의 중공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서 직접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100)에는 플런저 조작 유닛(101A, 101B)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00)와 플런저 조작 유닛(101A, 101B)이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형성 방식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구성되거나 같은 재질로 구성되더라도, 접착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 조작 유닛(101A, 101B)는 가이드부(103A, 103B)를 통해 실린더(100)의 중공부에 위치되는 랙 기어부에 걸림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플런저 조작 유닛에 포함되는 제2 조작 유닛(400)의 손가락 걸림부(402)가 제1 가이드부(103A, 103B)와 동일한 형태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2 가이드부(104)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손가락 걸림부(402)에 결합된 상술한 슬라이딩 바디 및 복수의 톱니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100)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200)에 형성된 제2 랙기어부의 톱니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있어서 제1 조작 유닛과 제1 랙기어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A부분 및 도 3의 (a)의 B부분을 공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조작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서로 대향되는 경사도(a, b)를 갖는 제1부(1010)와 제2부(1011)로 구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1010)의 일 단측은 실린더(100)에 고정되며, 제2부(1011)의 제1부(1010)의 일 단측, 즉 실린더(100)에 고정된 측에 반대되는 단측은 제1 가이드부(식별번호 없음)를 통해서 진입되어 플런저(200) 측으로 삽입되어 제1 랙기어부(201A)의 톱니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부(1010)와 제2부(10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최상점을 기준으로 서로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탄성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도 4의 실시예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부(1010)와 제2부(1011)를 포함하는 제1 조작 유닛은 그 자체가 탄성체로서, 외력에 의하여 제1부(1010), 제2부(1011)가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a, b) 및 서로 연결 시 이루는 경사도가 변경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부(1010) 및 제2부(1011)는 탄성체로 구성되지 않고 서로 힌지 구조로 실린저(100), 제1부(1010) 및 제2부(1011)가 연결되어 관절적으로 연결되며, 각 관절에는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연결되어 상술한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1 조작 유닛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부(1010)와 제2부(1011)의 연결부(최상점)에 누름힘, 즉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경사를 갖는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부(1010)와 실린더(100)의 고정 결합 상태, 경사도(a, b)를 갖고 제1부(1010)과 제2부(1011)가 서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결합 상태 및 제2부(1011)와 제1 랙기어부(201A)의 걸림에 따른 힘의 지지 상태에 의하여, 누름힘이 제1부(1010)의 일 단측으로부터 제2부(1011)를 향하도록 하는 일 방향(D)의 힘, 구체적으로는 도 1의 바늘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서, 제1 랙기어부(201A)의 톱니에는 일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플런저 역시 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누름힘이 해제되는 경우, 제1부(1010)와 제2부(101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조작 유닛은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기능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1 랙기어부의 톱니의 구성상의 특징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랙기어부의 톱니는 톱니의 최상점을 기준으로 양 측의 제1 경사부(2010)와 제2 경사부(2011)로 구성되되, 제1 경사부(2010)가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c)가 제2 경사부(2011)가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d)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며, 제1 경사부(2010)는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실린더의 단측 중, 주사 바늘이 연결된 측을 향하는 방향의 경사부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바탕으로 제1 조작 유닛의 기능을 더욱 구체적으로 도 4 및 6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서 플런저가 이동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조작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부(1011)의 제1부(1010)의 일 단측, 즉 실린더와 제1부(1010)가 연결된 측과 반대되는 단측이 개방되면서 제1 경사부(2010)에 걸림되도록 구성 및 설치된다(S1). 제1 및 제2 경사부(2010, 2011)는 제1 랙기어부(201A)에 형성된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에는 중심 축 기둥(202)을 중심으로 제1 조작 유닛은 시술자가 실린더를 파지 시, 검지 또는 인지 등 다수의 손가락이 실린더에 접촉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제1 조작 유닛의 구성(201A 및 201B)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에 따라서 제1 및 제2 경사부(2010, 2011)는 상술한 다수의 제1 랙기어부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부(1010) 및 제2부(1011) 역시 본 발명에서 제1 조작 유닛으로 설명하고 있는 다수의 식별 번호(도 1의 101A, 101B)가 지시하는 구성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플런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 헤드(204)에 가해지는 일 방향의 힘에 의하여 직접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부(1010)와 제2부(1011)의 연결부(최상점)에 누름힘, 즉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경사를 갖는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부(1010)와 실린더(100)의 고정 결합 상태, 경사도(a, b)를 갖고 제1부(1010)과 제2부(1011)가 서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결합 상태 및 제2부(1011)와 제1 경사부(2010)의 걸림에 따른 힘의 지지 상태에 의하여, 누름힘은 제1부(1010)의 일 단측으로부터 제2부(1011)를 향하도록 하는 일 방향(D)의 힘, 구체적으로는 도 1의 바늘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으로 변환되며, 이는 제1 경사부(2010)의 일 방향(D)으로 맞물림 힘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맞물림 힘이 가해진 제1 경사부(2010)에 의하여 플런저는 실린더의 양 측 중 주사 바늘을 향하는 측과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D1)만큼 이동되도록 하여 플런저와 중공부가 이루는 공간에 음압이 형성됨으로써, 주사 바늘을 통하여 검체가 흡인되도록 한다(S2).
한편 누름힘이 해제되는 경우, 제1부(1010)와 실린더(100)의 고정 결합 상태, 경사도(a, b)를 갖고 제1부(1010)과 제2부(1011)가 서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결합 상태 및 제2부(1011)와 제1 경사부(2010)의 걸림에 따른 힘의 지지 상태 및 제1부(1010)와 제2부(1011)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제2부(1011)의 단측과 제1 경사부(2010) 간의 걸림이 미끄러지면서 제2 경사부(2011)를 따라서 제2부(1011)가 다시 기설정된 길이(D2)만큼 이동하여 제1 조작 유닛이 원 상태로 복귀된다(S3). 이때 기설정된 길이(D1, D2)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제1 랙기어부(201A)의 톱니에는 일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플런저 역시 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누름힘이 해제되는 경우, 제1부(1010)와 제2부(101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조작 유닛은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시술자가 누름힘을 가하는 횟수를 증가시키면, S2와 S3 상태가 반복되어, D1이 그 배수만큼 증가하여 플런저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경사부(2010)가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c)가 제2 경사부(2011)가 일 방향(D)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d)보다 더 크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제2부(1011)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제2부(1011)의 단측과 제1경사부(2010) 및 제2경사부(2011)의 결합 상태에 따라 힘이 톱니에 전해지거나 톱니를 미끄러지면서 발생되는 기능이다.
한편 도 4 내지 6에 대한 설명에서는 기술되지 않았으나, 플런저 조작 유닛에 포함된 제2 조작 유닛(도 1의 400)의 구동 방식 역시 유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유닛은 손가락 걸림부, 슬라이딩 바디, 및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조작 유닛의 복수의 톱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랙기어부의 톱니가 걸림(맞물림)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제2 랙기어부의 톱니의 최상점을 기준으로 양 측의 경사부 중, 실린더의 단측 중 주사 바늘이 연결된 측에 형성된 경사부(도 6의 제1 경사부에 해당)가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도 6의 c에 해당)가 다른 단측의 경사부(도 6의 제2 경사부에 해당)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도 6의 d에 해당)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도의 차이에 의하여, 상술한 제1 조작 유닛의 조작과 유사하게, 톱니의 걸림에 의하여 제2 랙기어부의 톱니와 복수의 톱니 사이의 걸림에 의하여, 손가락 걸림부를 통하여 일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여 플런저를 일 방향,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이 형성된 측과 반대 측으로 이동시켜 플런저와 실린더의 중공부가 형성하는 영역에 음압을 발생하여 검체를 흡인하도록 하고,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와 복수의 톱니 사이의 걸림이 미끄러지면서 플런저를 이동시키지 않고 슬라이딩 바디 만을 예를 들어 주사 바늘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유닛 역시 제1 조작 유닛의 구동과 유사하게, 일 방향, 즉 주사 바늘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플런저에 가하면 플런저가 이동되며, 주사 바늘 측의 방향으로 힘을 플런저에 가하게 되면(제1 조작 유닛의 경우 탄성력을 의미) 플런저가 이동되지 않는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랙기어부 및 제2 랙기어부의 톱니의 경사도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능이다.
또한, 제1 랙기어부를 이용하여 플런저를 후방이동시킨 후 복원 시에는 제2 랙기어부와 제2 조작 유닛의 결합에 의하여 플런저의 전방이동이 저지되며, 반대로 제2 랙기어부를 이용한 플런저 후방이동 후 제2 조작 유닛의 전방이 동 시에는 제1 랙기어부와 제1 조작 유닛의 결합에 의하여 플런저의 전방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제2 조작 유닛은 제1 조작 유닛과 다르게, 손가락 걸림부에 대해서 누름힘이 아니라 일 방향(D)과 동일한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런저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상술한 방식과 다르게, 손가락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역시 플런저 조작을 위한 손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자는 실린더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하면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주사 바늘을 진입시키고, 파지된 상태 그대로 제1 조작 유닛에 누름힘을 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플런저를 후진시켜,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검체를 흡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이동 길이는 누름힘을 가하는 횟수를 증가시킴에 따라서 간편하게 증가된다. 또한 길이를 한 번에 크게 가져가야 하는 경우, 제2 조작 유닛을 이용하여 손동작을 최소화한 상태로 플런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손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어, 기존의 세침흡인생검 방식보다 채취수율 중심부 생검방식보다는 안전한 조직검사에 특화된 주사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플런저의 회동에 의한 제1 조작 유닛과 제1 랙기어부의 결합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윗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조작 유닛(101A)과 제1 랙기어부(201A)가 서로 맞물림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는 일 방향의 축, 즉 중심 축 기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실린더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플런저의 단면과 실린더의 중공부의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되,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의 플런저의 돌출 부재에 대응되는 단면의 폭이 돌출 부재의 단면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유사하며, 상술한 랙기어부 수용 공간과 마찬가지로, 제1 가이드부의 폭은 제1 랙기어부의 폭보다 넓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폭의 차이에 의하여, 플런저가 도 7의 아래 도면과 같은 상태로 회동(P2)되면(예를 들어 약 30도), 제1 랙기어부(201A)가 제1 가이드부의 영역 중, 제1 조작 유닛의 제2부와 걸려지지 않는 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플런저의 제1 랙기어부(201A)와 제1 조작 유닛(101A)의 걸림(결합,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해제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 헤드에 외력을 가하여 자유롭게 플런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해제 상태는 신체에서 주사 바늘을 빼내고, 중공부에 저장된 조직을 주사 바늘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 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면, 상술한 제2부와 제1경사부의 결합 상태에 의한 외력에 대한 저항력에 의하여 신체에서 주사 바늘을 빼낸 상태에서 흡인 및 저장된 조직을 외부로 배출 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의 폭이 제1 랙기어부의 폭보다 넓도록 구성되고, 플런저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걸림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8은 플런저의 회동에 의한 제2 조작 유닛과 제2 랙기어부의 결합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의 아래 도면을 참조하면, 손가락 걸림부(402)로부터 연장된 제2 조작 유닛의 복수의 톱니(403)와 제2 랙기어부(201C)가 서로 맞물림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는 일 방향의 축, 즉 중심 축 기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실린더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플런저의 단면과 실린더의 중공부의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되,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의 플런저의 돌출 부재에 대응되는 단면의 폭이 돌출 부재의 단면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동일하게, 제2 가이드부의 폭은 복수의 톱니(403) 및 제2 랙기어부(201C)의 폭보다 넓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폭의 차이에 의하여, 플런저가 도 8의 윗 도면과 같은 상태로 회동(P3)되면(예를 들어 약 30도), 제2 랙기어부(201C)가 제2 가이드부의 영역 중, 제2 조작 유닛의 톱니(403)와 걸려지지 않는 공간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플런저의 제2 랙기어부(201C)와 제2 조작 유닛의 복수의 톱니(403) 걸림(결합,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해제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 헤드에 외력을 가하여 자유롭게 플런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해제 상태는 신체에서 주사 바늘을 빼내고, 중공부에 저장된 조직을 주사 바늘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 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의하면, 상술한 복수의 톱니(403)와 제2 랙기어부(201C)의 톱니의 결합 상태에 의한 외력에 대한 저항력에 의하여 신체에서 주사 바늘을 빼낸 상태에서 흡인 및 저장된 조직을 외부로 배출 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의 폭이 복수의 톱니(403) 및 제2 랙기어부(201C)의 폭보다 넓도록 구성되고, 플런저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걸림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의 실시예와 도 8의 실시예는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실린더
200: 플런저
101A, 101B: 제1 조작 유닛
400: 제2 조작 유닛
201A, 201B: 제1 랙기어부
201C: 제2 랙기어부
103A: 제1 가이드부
104: 제2 가이드부

Claims (13)

  1. 채취되는 조직을 바늘 구멍으로부터 흡인하여 저장하기 위한 중공부를 갖고 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외부와 상기 중공부를 연결하도록 관통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런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런저의 외면에 설치된 랙 기어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통하여 상기 랙 기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실린더에 연장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부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여 플런저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공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주사 바늘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 내부에 검체를 흡인하도록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랙 기어부는,
    상기 플런저의 중심 축 기둥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된 제1 랙기어부 및 제2 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랙기어부에 대응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랙기어부에 대응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조작 유닛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서로 대향되는 경사도를 갖는 제1부와 제2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의 일 단측은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제2부의 상기 제1부의 일 단측과 반대되는 단측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플런저 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랙기어부의 톱니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부와 상기 제2부가 서로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탄성체로서, 상기 제1부와 상기 제2부의 연결부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누름힘이 상기 제1부의 일 단측으로부터 상기 제2부를 향하도록 상기 일 방향의 힘으로 변환됨에 따라 상기 제1 랙기어부의 톱니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고, 상기 누름힘이 해제되는 경우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기어부 및 상기 제2 랙기어부는,
    상기 플런저의 양 단측 중 상기 바늘 구멍을 향하는 측과 반대측 단측에 상기 플런저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중심 축 기둥과 이격되면서 연장 형성된 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들 중, 상기 제1 랙기어부 및 상기 제2 랙기어부가 삽입되는 영역에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랙기어부 및 상기 제2 랙기어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랙기어부 및 상기 제2 랙기어부가 상기 중공부와 독립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용 공간으로서, 그 폭이 상기 제1 랙기어부 및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 랙 기어부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기어부의 톱니는,
    톱니의 최상점을 기준으로 양 측의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경사부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가 상기 제2 경사부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실린더의 단측 중, 주사 바늘이 연결된 측의 경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유닛은,
    상기 제2부의 상기 제1부의 일 단측과 반대되는 단측이 상기 제1 경사부에 걸림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부와 상기 제2부의 연결부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누름힘이 상기 제1부의 일 단측으로부터 상기 제2부를 향하도록 상기 일 방향의 힘으로 변환됨에 따라 상기 제1 랙기어부의 상기 제1 경사부에 일 방향의 맞물림 힘을 가하여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양 측 중 주사 바늘을 향하는 측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부의 단측과 상기 제1 경사부 간의 걸림이 미끄러지면서 상기 제2 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2부가 이동하여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유닛은,
    시술자가 실린더를 파지 시, 검지 또는 인지가 실린더에 접촉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제2부 및 상기 제1 랙기어부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일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1부와 상기 제1 랙기어부의 톱니 사이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조작 유닛은,
    손가락 걸림부, 상기 손가락 걸림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 면 중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에 접촉되는 면에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에 걸림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플런저 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에 상기 복수의 톱니가 걸림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랙기어부는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의 최상점을 기준으로 양 측의 경사부 중, 상기 실린더의 단측 중 주사 바늘이 연결된 측에 형성된 경사부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가 다른 단측의 경사부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축과 이루는 경사도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손가락 걸림부를 통해 상기 일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톱니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에 일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고,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와 상기 복수의 톱니 사이의 걸림이 미끄러지면서 플런저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슬라이딩 바디 및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일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바디와 상기 제2 랙기어부의 톱니 사이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중심 축 기둥; 및
    상기 중심 축 기둥으로부터 일 방향을 따라서 바 형상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그 사이에 랙 기어부가 설치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단면과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의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되,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의 상기 돌출 부재에 대응되는 단면의 폭이 상기 돌출 부재의 단면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중심 축 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실린더의 중공부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바늘 구멍 측 단측과 다른 단측에 상기 바늘과 결합된 바늘 헤드와 결합되는 구성인 바늘 캡의 내면과 상기 실린더의 외면이 서로 나사선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KR1020170020346A 2017-02-15 2017-02-15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KR10193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46A KR101937946B1 (ko) 2017-02-15 2017-02-15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46A KR101937946B1 (ko) 2017-02-15 2017-02-15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54A KR20180094254A (ko) 2018-08-23
KR101937946B1 true KR101937946B1 (ko) 2019-01-11

Family

ID=6345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46A KR101937946B1 (ko) 2017-02-15 2017-02-15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260A (ko) * 2021-11-01 2023-05-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밀대 이동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277B1 (ko) * 2017-01-26 2023-01-30 고형진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KR102206010B1 (ko) * 2019-02-20 2021-01-22 제주대학교병원 회전형 니들을 포함하는 생검용 주사기
KR102067941B1 (ko) * 2019-09-18 2020-01-20 송치훈 플런저의 후진을 보조하는 주사기
KR102264136B1 (ko) * 2020-01-07 2021-06-11 제주대학교병원 이중 실린더 구조의 회전형 니들을 포함하는 생검용 주사기
CN115516394A (zh) * 2020-04-28 2022-12-23 发那科株式会社 安全开关装置
KR102408930B1 (ko) * 2020-05-29 2022-06-14 임형규 주사기의 양압 및 음압 발생 보조 장치
CN115137402B (zh) * 2022-05-30 2024-08-27 烟台毓璜顶医院 一种辅助振动穿刺活检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652Y1 (ko) * 2006-09-29 2007-02-05 메디칸(주)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JP4933453B2 (ja) 2005-01-31 2012-05-16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迅速サイクル生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3453B2 (ja) 2005-01-31 2012-05-16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迅速サイクル生検システム
KR200435652Y1 (ko) * 2006-09-29 2007-02-05 메디칸(주)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260A (ko) * 2021-11-01 2023-05-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밀대 이동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KR102622734B1 (ko) 2021-11-01 2024-01-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밀대 이동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54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46B1 (ko) 플런저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KR200315777Y1 (ko) 일회용 사혈침기구
EP1415593B1 (en) Lancing device
US11832802B2 (en) Biopsy device arming mechanism
CN109069133B (zh) 活检注射器
US9125637B2 (en) Method of loading a locked tissue biopsy needle into a biopsy gun
JP2017532133A (ja) トルク装置及び固定機構
KR101754026B1 (ko)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EP3691719B1 (en) Aspiration syringe
US20090118754A1 (en) Patient's skin puncturing device
KR102493277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EP2378952B1 (en) Puncture instrument
KR102003456B1 (ko) 일회용 절단 생검기구
EP3261540B1 (en) Single-use compression lancing device
KR102206010B1 (ko) 회전형 니들을 포함하는 생검용 주사기
US11259786B2 (en) Cutting biopsy instrument
KR20220030607A (ko) 일회용 안전 채혈기
US20020082562A1 (en) Needleless fluid transf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020082561A1 (en) Needleless fluid transf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WO2012072083A1 (en) Safety nee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