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641B1 -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액체 냉각 장비 - Google Patents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액체 냉각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641B1
KR102569641B1 KR1020210138635A KR20210138635A KR102569641B1 KR 102569641 B1 KR102569641 B1 KR 102569641B1 KR 1020210138635 A KR1020210138635 A KR 1020210138635A KR 20210138635 A KR20210138635 A KR 20210138635A KR 102569641 B1 KR102569641 B1 KR 102569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
hole
terminal
liquid
liq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0823A (ko
Inventor
가오준 송
지안동 왕
지핑 저우
Original Assignee
장지아강 유천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아강 유천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장지아강 유천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방열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 장비의 액체 냉각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터미널, 와이어 테일 터미널 및 액체 냉각 파이프를 포함하고, 코어 와이어 장착 구멍들은 플러그 터미널 및 와이어 테일 터미널에 각각 배치되고, 관형 연결 부들은 플러그 터미널 및 와이어 테일 터미널 각각에 배치되고, 액체 냉각 파이프는 플러그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양 단은 각각 와이어 테일 터미널 및 플러깅 터미널의 코어 와이어 장착 구멍들에 각각 배치되고, 액체 냉각 파이프의 두 양단은 각각 와이어 테일 터미널 및 플러깅 터미널의 관형 연결 부들에 슬리브되어 있고, 플러깅 터미널은 코어 와이어 장착 구멍들과 연통하는 제1 액체 입구/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액체 입구 및 액체 출구에 제1 실링 커넥터를 통해 제1 액체 입구 및 출구 파이파가 배치되고, 와이어 테일 단부에 코어 와이어 설치 구멍에 연통되는 제2 액체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액체 입구 및 출구 파이프는 제2 실링 커넥터를 통해 제2 액체 입구 및 출구에 배치되고, 액체 냉각 장비는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케이블에 설치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액체 냉각 장비{LIQUID COOLING DEVICE OF POWER SUPPLY CORE WIRE}
본 발명은 전원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케이블중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책 및 환경 보호 요구의 영향을 받아 전기 자동차는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너무 긴 충전 시간에 대한 불안도 소비자들을 괴롭혔다. 최근 몇년동안 전기 자동차 배터리 기술의 발달로 충전 속도가 계속 증가하고 충전 전류에 대한 요구 사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전류가 증가하면, 충전 연결 장치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고, 심지어 차량을 불태우거나 사람을 다치게 하는 중대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종래 충전 커넥터는 도체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온도 상승 효과를 개선하였는데, 도체는 대부분 구리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밀도가 높고, 따라서 케이블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사용자 조작의 편안함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수약한 사람이 조작시 매우 힘이 들고 이 일을 감당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는: 전원 심선의 방열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적 해결책은: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 와이어 테일 단자 및 전원 심선을 안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 냉각 튜브를 포함하고, 플러그 단자의 후부 및 와이어 테일 단자의 전부(leading end)에는 각각 심선 장착홀이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의 심선 장착홀의 개구부에는 그 심선 장착홀과 연통되는 튜브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와이어 테일 단자의 그 심선 장착홀의 개구부에는 그 심선 장착홀과 연통되는 튜브상 연결부가 설치되며, 전원 심선의 일단은 플러그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를 관통하여 플러그 단자의 심선 장착홀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전원 심선의 타단은 와이어 테일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를 관통하여 와이어 테일 단자의 심선 장착홀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액체냉각 튜브의 양단은 각각 플러그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와 와이어 테일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에 슬리브 되어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는 그 후부에 그 심선 장착홀과 연통되는 제1액체출입구가 설치되고, 제1액체출입구에는 제1씰 커넥터를 통하여 제1액체출입튜브가 설치되고, 와이어 테일 단자는 그 전부에 그의 심선 장착홀과 연통하는 제2액체출입구가 설치되고, 제2액체출입구에는 제2씰 커넥터를 통해 제2액체출입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씰 커넥터와 제2씰 커넥터의 구조는 동일하고, 그 구조에는 장착나사, 커넥터, 및 상부 씰 링 및 하부 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축선을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로 상부 씰 홀, 나사 상부관통홀, 액체흐름 캐비티,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이 설치되고, 상부 씰 홀의 직경은 나사 상부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고, 하부 씰 홀의 직경은 나사 하부관통홀의 직경보다 크며, 액체흐름 캐비티는 장착나사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커서, 장착나사와 액체흐름 캐비티의 사이에 간극이 남기도록 하고, 상기 장착나사의 볼트 본체의 단부에서 안쪽으로 액체흐름홀이 설치되고, 장착나사의 볼트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흐름홀과 연통하는 액체 흐름관통홀이 설치되며; 커넥터에는 또한 상기 액체흐름 캐비티와 수직으로 연통하는 튜브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액체출입구 또는 제2액체출입구는 대응되는 장착나사와 배합되는 나사홀이고, 장착나사는 상부 씰 링에 슬리빙 된 후 순차로 커넥터의 상부 씰 홀, 나사 상부관통홀, 액체흐름 캐비티,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을 관통한 다음, 다시 하부 씰 링에 슬리빙 된 후 제1액체출입구 또는 제2액체출입구 안에 조임으로서 커넥터를 상기 플러그 단자 또는 와이어 테일 단자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액체출입튜브는 제1씰 커넥터의 튜브상 연결부에 슬리브되고, 상기 제2액체출입튜브는 제2씰 커넥터의 튜브상 연결부에 슬리브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심선의 대응되는 일단은 단자연결부품을 통해 플러그 단자의 심선 장착홀 안에 설치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품과 플러그 단자에는 각각 대응되는 정위홀이 설치되고, 정위홀 안에는 단자연결부품과 플러그 단자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위 핀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에는 또한 온도센서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이 설치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테일 단자의 후부에는 고정장착홀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본 발명이 액체 냉각 장치를 제공하여 전원 심선을 냉각시켜 방열효과를 크게 향상시켜, 따라서 동일한 전류가 흐르는 조건에서 전원 심선의 선 직경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과 충전건의 무게를 크게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자의 노동 집약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의 단면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충전건 및 그 충전케이블의 한 시점의 입체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충전건 및 그 충전케이블의 다른 한 시점의 입체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는 플러그 단자(2), 와이어 테일 단자(5) 및 전원 심선(4)을 안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 냉각 튜브(1)를 포함하고, 플러그 단자(2)의 후부에는 심선 장착홀(201)이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2)의 심선 장착홀(201)의 개구부에는 그 심선 장착홀(201)과 연통되는 튜브상 연결부(21)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테일 단자(5)의 전부에는 심선 장착홀(501)이 설치되고, 와이어 단자(5)의 심선 장착홀(501)의 개구부에는 그 심선 장착홀(501)과 연통하는 튜브상 연결부(51)가 설치되며, 전원 심선(4)의 일단은 단자연결부품(3)을 통과하여 플러그 단자(2)의 튜브상 연결부(21)를 관통하여 플러그 단자(2)의 심선 장착홀(201)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그 구체적인 장착방식은: 상기 단자연결부품(3)의 일단(도면의 오른쪽 끝)은 전원 심선(4)의 일단과 연결되고, 단자 연결부품(3)의 타단(도1의 왼쪽 끝) 및 플러그 단자(2)위(심선 장착홀(201)과 마주한다)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정위홀이 설치되고, 정위홀 안에는 단자연결부품(3)과 플러그 단자(2)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위 핀(6)이 삽입되어 설치되여, 단자연결부품(3)을 플러그 단자(2)의 심선 장착홀(201) 안에 고정된다; 상기 전원 심선(4)의 타단은 와이어 테일 단자(5)의 튜브상 연결부(51)를 관통하여 와이어 테일 단자(5)의 심선 장착홀 (501)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액체냉각 튜브(1)의 양단은 각각 플러그 단자(2)의 튜브상 연결부(21)와 와이어 테일 단자(5)의 튜브상 연결부(51)에 슬리브 되어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2)는 그 후부에 그 심선 장착홀(201)과 연통되는 제1액체출입구(211)가 설치되고, 제1액체출입구(211)에는 제1씰 커넥터를 통하여 제1액체출입튜브(9)가 설치되고, 상기 제1씰 커넥터의 구체적인 구조는: 장착나사(75), 제1커넥터(7), 및 상부 씰 링(71) 및 하부 씰 링(72)이 포함되고, 상기 제1커넥터(7)에는 축선을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로 상부 씰 홀(701), 나사 상부관통홀(703), 액체흐름 캐비티(705),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이 설치되고, 상부 씰 홀(701)의 직경은 하부 씰 홀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나사 상부관통홀(703)의 직경은 나사 하부관통홀의 직경과 동일하며, 상기 상부 씰 홀(701)의 직경은 나사 상부통과홀(703)의 직경보다 커서, 상부 씰 홀(71)을 놓는데 사용되는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씰 홀의 직경은 나사 하부관통홀의 직경보다 커서, 하부 씰 링(72)을 누르는데 사용하는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액체흐름 캐비티(705)는 장착나사(75)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크게하여 장착나사(75)와 액체흐름 캐비티(705)사이에 간극이 남기도록 하고; 상기 장착나사(75)는 중공구조를 가지며, 즉: 볼트 본체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액체흐름홀이 설치되고; 장착나사(75)의 볼트 본체의 원주방향에는 4개의 액체흐름홀과 연통되는 액체 흐름관통홀(751)이 설치되고, 제1커넥터(7)에는 또한 상기 액체흐름 캐비티(705)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튜브상 연결부(73)가 설치되고; 상기 제1액체출입구(211)는 장착나사(75)와 배합되는 나사홀이고, 장착나사(75)는 상부 씰 링(71)에 슬리빙 된 후 순차로 제1커넥터(7)의 상부 씰 홀(701), 나사 상부관통홀(702), 액체흐름 캐비티(705),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을 관통한 다음, 다시 하부 씰 링(72)에 슬리빙 된 후 플러그 단자(2)의 제1액체출입구(211) 안에 조임으로서 제1커넥터(7)를 플러그 단자(2)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액체출입튜브(9)는 제1씰 커넥터의 튜브상 연결부(73)에 슬리브되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테일 단자(5)는 그의 전부 그의 심선 장착홀(501)과 연통하는 제2액체출입구(511)가 설치되고, 해당 제2액체출입구(511)에는 제2씰 커넥터를 통하여 제2액체출입튜브(10)가 설치되고, 상기 제2씰 커넥터의 구체적인 구조는: 장착나사(85), 제2커넥터(8), 및 상부 씰 링(81)과 하부 씰 링(82)을 포함하고, 제2커넥터(8)에는 축선을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로 상부 씰 홀(801), 나사 상부관통홀(803), 액체흐름 캐비티(805),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이 설치되고, 상부 씰 홀(801)의 직경은 하부 씰 홀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나사 상부관통홀(803)의 직경과 나사 하부관통홀의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상부 씰 홀(801)의 직경은 나사 상부관통홀(803)의 직경보다 커서, 상부 씰 링(81)을 놓는데 사용되는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씰 홀의 직경은 나사 하부관통홀의 직경보다 커서, 하부 씰 링(82)을 누르는데 사용되는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액체흐름 캐비티(805)는 장착나사(85)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커서, 장착나사(82)와 액체흐름 캐비티(805)사이에 간극이 남기도록 하고, 상기 장착나사(85)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즉:볼트 본체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액체흐름홀이 설치되고; 장착나사(85)의 볼트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액체흐름홀과 연통되는 액체 흐름관통홀(851)이 설치되고, 제2커넥터(8)에는 또한 상기 액체흐름 캐비티(805)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튜브상 연결부(83)가 설치되고; 상기 제2액체출입구(511)는 장착나사(85)와 배합되는 나사홀이고, 장착나사(85)는 상부 씰 링(81)에 슬리빙 된 후 순차로 제2커넥터(8)의 상부 씰 홀(801), 나사 상부관통홀(802), 액체흐름 캐비티(805),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을 관통한 다음, 다시 하부 씰 링(82)에 슬리빙 된 후 와이어 테일 단자(5)의 제2액체출입구(511) 안에 조임으로서, 제2커넥터(8)를 와이어 테일 단자(5)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액체출입튜브(10)는 제2씰 커넥터의 튜브상 연결부(83)에 슬리브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2)에는 또한 온도센서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22)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테일 단자(5)의 후부에는 고정장 착홀(52)이 설치된다.
실제 적용에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충전건(100)의 충전 케이블(102)에는 일반적으로 2개의 전원 심선(4), 및 일부 기타 심선(103)(보통은 신호 케이블임)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단자(2)의 제1씰 커넥터(7)는 모두가 충전건 쉘(101) 안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액체출입튜브(9)는 충전 케이블(102)에 관통되어 설치된다.
실제 적용에서, 제1액체출입구(211)를 액체주입구로 사용할 때, 제1액체출입튜브(9)가 바로 액체주입튜브이고, 제2액체출입구(511)가 바로 액체배출구이며, 제2액체출입튜브(10)가 바로 액체배출튜브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요약하면, 이는 본 실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형상, 구조, 특성 및 정신에 따라 이루어진 모든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1. 액체 냉각튜브, 2. 플러그 단자, 201. 심선 장착홀, 21. 튜브상 연결부, 211. 제1액체출입구, 22. 온도센서 장착홀, 3. 단자연결부품, 4. 전원 심선, 5. 와이어 테일 단자, 501. 심선 장착홀, 51. 튜브상 연결부, 511. 제2액체출입구, 52. 고정 장착홀, 6. 정위 핀, 7. 제1커넥터, 701. 상부 씰 홀, 703. 나사 상부관통홀, 705. 액체흐름 캐비티, 71. 상부 씰 링, 72. 하부 씰 링, 73. 튜브상 연결부, 75. 장착나사, 751. 액체 흐름관통홀, 8. 제2커넥터, 801. 상부 씰 홀, 803 나사 상부관통홀, 805. 액체흐름 캐비티, 81. 상부 씰 링, 82. 하부 씰 링, 83. 튜브상 연결부, 85. 장착나사, 851. 액체 흐름관통홀, 9. 제1액체출입튜브, 10. 제2액체출입튜브, 100. 충전건, 101. 충전건 쉘, 102 충전 케이블, 103. 기타 심선.

Claims (7)

  1.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 및 전원 심선을 안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 냉각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에는 또한, 와이어 테일 단자, 플러그 단자의 후부 및 와이어 테일 단자의 전부는 각각 심선 장착홀이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의 심선 장착홀의 개구부에는 그 심선 장착홀과 연통되는 튜브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와이어 테일 단자의 그 심선 장착홀의 개구부에는 그 심선 장착홀과 연통되는 튜브상 연결부가 설치되며, 전원 심선의 일단은 플러그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를 관통하여 플러그 단자의 심선 장착홀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전원 심선의 타단은 와이어 테일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를 관통하여 와이어 테일 단자의 심선 장착홀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액체냉각 튜브의 양단은 각각 플러그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와 와이어 테일 단자의 튜브상 연결부에 슬리브 되어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는 그 후부에 그 심선 장착홀과 연통되는 제1액체출입구가 설치되고, 제1액체출입구에는 제1씰 커넥터를 통하여 제1액체출입튜브가 설치되고, 와이어 테일 단자는 그 전부에 그의 심선 장착홀과 연통하는 제2액체출입구가 설치되고, 제2액체출입구에는 제2씰 커넥터를 통해 제2액체출입튜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씰 커넥터와 제2씰 커넥터의 구조는 동일하고, 그 구조에는 장착나사, 커넥터, 및 상부 씰 링 및 하부 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축선을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로 상부 씰 홀, 나사 상부관통홀, 액체흐름 캐비티,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이 설치되고, 상부 씰 홀의 직경은 나사 상부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고, 하부 씰 홀의 직경은 나사 하부관통홀의 직경보다 크며, 액체흐름 캐비티는 장착나사의 대응되는 부분보다 커서, 장착나사와 액체흐름 캐비티의 사이에 간극이 남기도록 하고, 상기 장착나사의 볼트 본체의 단부에서 안쪽으로 액체흐름홀이 설치되고, 장착나사의 볼트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흐름홀과 연통하는 액체 흐름관통홀이 설치되며; 커넥터에는 또한 상기 액체흐름 캐비티와 수직으로 연통하는 튜브상 연결부가 설치 되고; 상기 제1액체출입구 및 제2액체출입구는 대응되는 장착나사와 배합되는 나사홀이고, 장착나사는 상부 씰 링에 슬리빙 된 후 순차로 커넥터의 상부 씰 홀, 나사 상부관통홀, 액체흐름 캐비티, 나사 하부관통홀, 및 하부 씰 홀을 관통한 다음, 다시 하부 씰 링에 슬리빙 된 후 제1액체출입구 또는 제2액체출입구 안에 조임으로서 커넥터를 플러그 단자 또는 와이어 테일 단자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액체출입튜브는 제1씰 커넥터의 튜브상 연결부에 슬리브되고, 상기 제2액체출입튜브는 제2씰 커넥터의 튜브상 연결부에 슬리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심선의 대응되는 일단은 단자연결부품을 통해 플러그 단자의 심선 장착홀 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품과 플러그 단자에는 각각 대응되는 정위홀이 설치되고, 정위홀 안에는 단자연결부품과 플러그 단자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위 핀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에는 또한 온도센서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테일 단자의 후부에는 고정장착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테일 단자의 후부에는 고정장착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심선의 액체 냉각 장치.
KR1020210138635A 2020-10-16 2021-10-18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액체 냉각 장비 KR102569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2318270.0 2020-10-16
CN202022318270.0U CN212991534U (zh) 2020-10-16 2020-10-16 一种电源芯线的液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823A KR20220050823A (ko) 2022-04-25
KR102569641B1 true KR102569641B1 (ko) 2023-08-23

Family

ID=7541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635A KR102569641B1 (ko) 2020-10-16 2021-10-18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액체 냉각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9641B1 (ko)
CN (1) CN21299153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9116A (zh) * 2020-10-16 2022-04-22 张家港友诚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芯线的液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7640A (ja) 2014-02-05 2017-03-16 テスラ・モータ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充電ケーブルの冷却
JP2019511093A (ja) 2016-03-22 2019-04-18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イー−モビリティ ゲーエムベーハー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冷却された接点要素を具備するプラグインコネクタ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897B1 (ko) * 2008-11-12 2011-11-10 세메스 주식회사 커넥터 보호 장치, 이를 구비하는 베이크 장치 및 그의 커넥터 보호 방법
DE102015006070B3 (de) * 2015-05-07 2016-06-23 Kathrein-Werke Kg Anschlussverbindung mit einem HF-Leiter, insbesondere für ein Koaxialka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Anschlussverbin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7640A (ja) 2014-02-05 2017-03-16 テスラ・モータ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充電ケーブルの冷却
JP2019511093A (ja) 2016-03-22 2019-04-18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イー−モビリティ ゲーエムベーハー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冷却された接点要素を具備するプラグインコネクタ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991534U (zh) 2021-04-16
KR20220050823A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99162B (zh) 液冷充电插座
CN107887731B (zh) 液冷端子和充电枪
JP7194248B2 (ja) ピン端子付き電源心線の液体冷却装置
WO2019184883A1 (zh) 一种大功率充电桩的正负极液冷电缆串联冷却结构
WO2019184882A1 (zh) 一种大功率充电桩正极和负极专用并冷液冷电缆
CN111200200B (zh) 一种新能源电动汽车液冷充电插座用液冷线缆
CN207664267U (zh) 液冷充电插座
KR102569641B1 (ko) 파워 서플라이 코어 와이어의 액체 냉각 장비
CN111129856A (zh) 一种新能源电动汽车充电插座用液冷线缆
CN109788713B (zh) 一种流体冷却充电装置
CN207082358U (zh) 一种液冷单芯电线和电缆
CN109768405B (zh) 一种大功率充电桩用液冷电缆电极的冷却液双通道结构
CN202930576U (zh) 铜铝导线压接端子
CN211126154U (zh) 一种用于大功率充电的液冷端子组件
CN108493655A (zh) 一种大功率充电桩专用液冷电缆dc+与dc-并冷液冷电极
CN106877040A (zh) 簧片管内焊式内紧固电流插座
CN207427671U (zh) 液冷式线缆插接结构和充电连接器
CN113386600B (zh) 线缆和充电桩
CN213183715U (zh) 电动车辆欧标直流充电插座用的液冷电缆
CN216133990U (zh) 一种防水可靠的铜铝线转接器
CN211427968U (zh) 一种内锥型金属铠装电压互感器
CN114389076A (zh) 一种电源芯线的液冷接线件
CN114389079A (zh) 一种电源芯线的液冷插接件
CN212991394U (zh) 一种电源芯线的针式液冷插接件
CN114389116A (zh) 一种电源芯线的液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