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855B1 -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855B1
KR102568855B1 KR1020220186494A KR20220186494A KR102568855B1 KR 102568855 B1 KR102568855 B1 KR 102568855B1 KR 1020220186494 A KR1020220186494 A KR 1020220186494A KR 20220186494 A KR20220186494 A KR 20220186494A KR 102568855 B1 KR102568855 B1 KR 10256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rotation
foreign matt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자
Original Assignee
이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자 filed Critical 이화자
Priority to KR102022018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B08B1/008
    • B08B1/0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02Details of balancing machines or devices
    • G01M1/06Adaptation of drive assemblies for receiv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02Details of balancing machines or devices
    • G01M1/08Instruments for indicating directly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imbal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펠러에 센싱수단이 각각 장착되어 팬의 회전시 밸런스 오차를 검출하여 분석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오차가 발생한 프로펠러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Fan balance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러에 센싱수단이 각각 장착되어 팬의 회전시 밸런스 오차를 검출하여 분석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오차가 발생한 프로펠러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 순환용 송풍기 또는 팬은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며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상기 공기 순환용 팬에서 회전하는 프로펠러는 중심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진동이 크면 소음이 발생하고 제품 자체의 수명도 감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펠러의 중심축 방향 진동량은 일정한 허용치 범위에 있어야하며 그 이외의 범위에 있으면 제품의 불량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펠러의 진동량이 허용치 범위인지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팬 밸런싱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4512호(2019.12.10.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펠러에 센싱수단이 각각 장착되어 팬의 회전시 밸런스 오차를 검출하여 분석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오차가 발생한 프로펠러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은,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 및 양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벽체(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고정되어 회전축(300)과 일체로 회전하는 팬(400); 상기 팬(400)의 프로펠러(410)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되면서 팬(400)의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센서유닛(500); 상기 센서유닛(500)으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밸런스가 맞지 않는 팬(400)의 오차를 디스플레이하는 오차표시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600)는, 상기 센싱수단(500)을 통해 측정된 진동 오차, 오차 발생위치, 기간별 오차발생 위치, 오차발생 빈도 등의 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610); 상기 저장매체(610)에 저장된 진동 오차, 오차 발생위치, 기간별 오차발생 위치, 오차발생 빈도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620); 상기 분석부(62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600)는, 뒷면에 청소를 위한 후면이물질제거부(90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면이물질제거부(90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제거부(940)이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부(910); 제2 이동부(930)와 대향하면서 상기 개구부(910)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이동부(920); 제1 이동부(920)와 대향하면서 상기 개구부(910)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이동부(930); 및 전단이 상기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910)에 수납되되 구동 시 상기 제1 이동부(920)와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상기 개구부(910)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9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제거부(940)는, 제2 회전부(942)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920)와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1 회전부(941); 제1 회전부(941)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920)와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2 회전부(942); 제2 지지부(944)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회전부(9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941)와 상기 제2 회전부(942)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943); 제1 지지부(943)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회전부(9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941)와 상기 제2 회전부(942)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944); 일측 내향면이 상기 제1 회전부(9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상기 제2 회전부(9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회전부(941)와 상기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기(945); 상기 제1 지지부(943)와 상기 제2 지지부(944)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제거기(945)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3 회전부(946); 상기 제1 회전부(9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부(947); 및 상기 제2 회전부(9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2 구동부(94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부(941)는, 상기 제1 지지부(943)와 상기 제2 지지부(9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이물질제거기(945)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947)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이물질제거기(945)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몸체; 상기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동부(9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92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동부(9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팬(400)의 수평밸런스에 오차가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거나 증가시키는 속도제어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팬(400)이 기준치 이하인 저속으로 회전시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저속구간 측정부(710);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팬(400)이 기준치 이상인 고속으로 회전시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고속구간 측정부(720)가 구비되며, 상기 저속구간 측정부(710)와 고속구간 측정부(7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600)에서 분석하여 수평밸런스의 오차값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펠러에 센싱수단이 각각 장착되어 팬의 회전시 밸런스 오차를 검출하여 분석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오차가 발생한 프로펠러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수단과 컴퓨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속도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이물질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은,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 및 양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벽체(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고정되어 회전축(300)과 일체로 회전하는 팬(400); 상기 팬(400)의 프로펠러(410)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되면서 팬(400)의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센싱수단(500); 상기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밸런스가 맞지 않는 팬(400)의 오차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6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본 골격에 해당하며 하부에는 사각함체상으로 형성되는 몸체가 구비된다.
상기 벽체(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 및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벽체(200)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팬(400)의 회전시 생성되는 바람에 의한 영향을 상쇄시키게 된다.
상기 벽체(200)는 팬(4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팬(400)을 보호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로 설치되어 팬(400)의 하부가 장착되는 축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몸체 내부에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400)은 중앙부에는 회전축(300)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로펠러(410)가 고정된다.
상기 프로펠러(410)가 회전축(300)에 의해 회전할 때, 중앙부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진동이 크면 팬(400)의 수명이 감축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펠러(410)의 진동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어야 팬(400)의 안정성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수단(500)은 팬(400)에 고정된 프로펠러(410)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센싱수단(500)은 운동체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싱수단(500)은 회전축(300)의 구동으로 팬(400)이 회전하게 되면 프로펠러(410)의 미세한 진동을 검출하게 되고, 검출된 데이터는 컴퓨터(600)로 전송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600)는 저장매체(610), 분석부(620), 표시부(6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저장매체(610)는 센싱수단(500) 통해 측정된 진동 오차, 오차의 발생위치, 기간별 오차발생 위치, 오차발생 빈도 등의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분석부(620)는 저장매체(610)에 저장된 진동 오차, 오차의 발생위치, 기간별 오차발생 위치, 오차의 발생빈도 등을 분석하게 된다.
즉, 진동값이 기준치에서 벗어난 수치를 분석하고, 오차가 발생한 프로펠러(410)의 위치를 파악하고, 오차가 발생하는 빈도를 분석하며, 기간별 오차가 발생한 프로펠러의 위치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630)는 상기 분석부(62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프로펠러(410)의 오차값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오차가 발생한 해당 프로펠러(410)를 작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프로펠러(410)를 팬(400)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프로펠러(410)를 재장착하거나 오차가 발생한 해당 프로펠러(410)의 휨새 및 위치 등을 재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이물질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600)는 뒷면에서 뒷면을 자동으로 클리닝하는 후면이물질제거부(900)를 포함하여 항상 업장 내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후면이물질제거부(900)는, 개구부(910), 제1 이동부(920), 제2 이동부(930) 및 이물질제거부(940)를 포함한다.
개구부(91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제거부(940)가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이동부(920)는, 제2 이동부(930)와 대향하면서 개구부(910)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이물질제거부(940)의 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제2 이동부(930)는, 제1 이동부(920)와 대향하면서 개구부(910)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며, 이물질제거부(940)의 후단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이물질제거부(940)는, 전단이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며, 개구부(910)에 수납되며, 구동 시 제1 이동부(920)와 제2 이동부(930)를 따라 개구부(910)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후면이물질제거부(900)는, 일정한 주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이물질제거부(940)가 구동되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치가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940)는, 제1 회전부(941), 제2 회전부(942), 제1 지지부(943), 제2 지지부(944), 이물질제거기(94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회전부(946), 제1 구동부(947) 및 제2 구동부(948)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941)는, 제2 회전부(942)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이동부(920)와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941)는, 회전몸체(9411), 제1 연결부(9412) 및 제2 연결부(94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몸체(9411)는, 제1 지지부(943)와 제2 지지부(9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구동부(947)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회전시켜 준다.
제1 연결부(9412)는, 회전몸체(94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이동부(9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이동부(920)를 따라 이동한다.
제2 연결부(9413)는, 회전몸체(9411)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이동부(9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한다.
제2 회전부(942)는, 제1 회전부(941)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이동부(920)와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부(942)는, 상술한 제1 회전부(94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부(941)의 회전몸체(9411), 제1 연결부(9412) 및 제2 연결부(941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지지부(943)는, 제2 지지부(944)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회전부(9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회전부(941)와 제2 회전부(942) 사이를 지지한다.
제2 지지부(944)는, 제1 지지부(943)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제1 회전부(9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회전부(941)와 제2 회전부(942) 사이를 지지한다.
이물질제거기(945)는, 일측 내향면이 제1 회전부(9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제2 회전부(9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제1 롤러 (841)와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3 회전부(946)는, 제1 지지부(943)와 제2 지지부(944)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1 회전부(941), 제2 회전부(942), 및 제3 회전부(946)는, 이물질제거기(94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름이 제1 지지부(943)와 제2 지지부(944)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구동부(947)는, 제1 회전부(9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1 회전부(94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2 구동부(948)는, 제2 회전부(9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제2 회전부(9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이때, 제1 구동부(947)와 제2 구동부(948)는, 제1 회전부(941)와 제2 회전부(94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400)의 수평밸런스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거나 증가시키는 속도제어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제어부(700)는 저속구간 측정부(710), 고속구간 측정부(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속구간 측정부(710)는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기준치 이하로 감속시켜 팬(400)을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프로펠러(410)에 장착된 센싱수단(500)은 저속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410)의 오차를 검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속구간 측정부(720)는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시켜 고속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410)의 오차를 검출하게 되며, 상기 저속구간 측정부(710)와 고속구간 측정부(7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600)에서 입력받아 수평밸런스의 오차값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벽체
300: 회전축
400: 팬
500: 센싱수단
600: 컴퓨터
610: 저장매체
620: 분석부
630: 표시부
700: 속도제어부
710: 저속구간 측정부
720: 고속구간 측정부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 및 양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벽체(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고정되어 회전축(300)과 일체로 회전하는 팬(400);
    상기 팬(400)의 프로펠러(410)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되면서 팬(400)의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센싱수단(500);
    상기 센싱수단(500)으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밸런스가 맞지 않는 팬(400)의 오차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컴퓨터(600)는,
    상기 센싱수단(500)을 통해 측정된 진동 오차, 오차 발생위치, 기간별 오차발생 위치, 오차발생 빈도 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610);
    상기 저장매체(610)에 저장된 진동 오차, 오차 발생위치, 기간별 오차발생 위치, 오차발생 빈도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620);
    상기 분석부(62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컴퓨터(600)는,
    뒷면에 청소를 위한 후면이물질제거부(90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면이물질제거부(90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 뒷판 일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제거부(940)이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시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부(910);
    제2 이동부(930)와 대향하면서 상기 개구부(910)의 일측 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이동부(920);
    제1 이동부(920)와 대향하면서 상기 개구부(910)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뒷판의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이동부(930); 및
    전단이 상기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910)에 수납되되 구동 시 상기 제1 이동부(920)와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상기 개구부(910)로부터 이동하면서 뒷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940);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940)는,
    제2 회전부(942)와 대향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920)와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일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1 회전부(941);
    제1 회전부(941)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제1 이동부(920)에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이동부(93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920)와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며, 이물질제거기(945)의 타측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제거기(9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제2 회전부(942);
    제2 지지부(944)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회전부(9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941)와 상기 제2 회전부(942)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943);
    제1 지지부(943)와 대향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회전부(9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941)와 상기 제2 회전부(942)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944);
    일측 내향면이 상기 제1 회전부(9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내향면이 상기 제2 회전부(9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이 뒷판에 밀착 안착되며, 상기 제1 회전부(941)와 상기 제2 회전부(942)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뒷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기(945);
    상기 제1 지지부(943)와 상기 제2 지지부(944)에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제거기(945)의 상측 내향면을 지지하는 제3 회전부(946);
    상기 제1 회전부(9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부(947); 및
    상기 제2 회전부(9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2 구동부(94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941)는,
    상기 제1 지지부(943)와 상기 제2 지지부(9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이물질제거기(945)의 일측 내향면을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947)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이물질제거기(945)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몸체(9411);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동부(9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92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9412); 및
    상기 회전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동부(9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이동부(930)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9413);를 포함하고,
    상기 팬(400)의 수평밸런스에 오차가 발생하면,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거나 증가시키는 속도제어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팬(400)이 기준치 이하인 저속으로 회전시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저속구간 측정부(710);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팬(400)이 기준치 이상인 고속으로 회전시 수평밸런스를 측정하는 고속구간 측정부(720)가 구비되며,
    상기 저속구간 측정부(710)와 고속구간 측정부(7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600)에서 분석하여 수평밸런스의 오차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86494A 2022-12-27 2022-12-27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KR10256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494A KR102568855B1 (ko) 2022-12-27 2022-12-27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494A KR102568855B1 (ko) 2022-12-27 2022-12-27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855B1 true KR102568855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494A KR102568855B1 (ko) 2022-12-27 2022-12-27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8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273A (ja) * 1995-01-27 1996-08-0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H11351199A (ja) * 1998-06-08 1999-12-21 Toshiba Corp ファン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ファンバランス調整方法
US20020083772A1 (en) * 2000-07-07 2002-07-04 Test Devices, Inc. Blade vibr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JP2016080401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Ihi 翼損傷判定用装置と翼損傷判定方法
KR102054512B1 (ko) 2019-10-11 2019-12-10 광동정밀 주식회사 팬 밸런스 측정 장치
CN210565266U (zh) * 2019-08-01 2020-05-19 浙江元盛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叶片平衡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273A (ja) * 1995-01-27 1996-08-0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H11351199A (ja) * 1998-06-08 1999-12-21 Toshiba Corp ファン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ファンバランス調整方法
US20020083772A1 (en) * 2000-07-07 2002-07-04 Test Devices, Inc. Blade vibr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JP2016080401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Ihi 翼損傷判定用装置と翼損傷判定方法
CN210565266U (zh) * 2019-08-01 2020-05-19 浙江元盛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叶片平衡检测装置
KR102054512B1 (ko) 2019-10-11 2019-12-10 광동정밀 주식회사 팬 밸런스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781B2 (en) Incubating orbital shaker
JP2008513916A5 (ko)
KR102568855B1 (ko) 팬 밸런스 측정 시스템
JP4352844B2 (ja) 遠心機
JP2018028512A (ja) 回転軸を有する機械
US8985852B2 (en) Monitoring device for a CT scanner gantry
WO2020209366A1 (ja) 篩い分け装置
JP5168342B2 (ja) 天井扇風機の安全装置
WO2023172552A1 (en) A cassette logistics system
CN213336377U (zh) 一种pc称一体机
KR102054512B1 (ko) 팬 밸런스 측정 장치
CN211748429U (zh) 一种机械设备销售用产品信息展示架
JP7284496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クリーナ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CN215339369U (zh) 一种快速检测刹车片的耐磨仪
JP5432829B2 (ja) ホイールバランス測定装置
CN216246408U (zh) 一种光电式转速传感器加工检测台
CN215158577U (zh) 一种皮带防撕裂激光探测报警装置
CN115371563B (zh) 一种飞轮检测装置
JP3632821B2 (ja) 塗装システム
CN108918364A (zh) 一种羽毛绒粉尘、钻绒复合性能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17626019U (zh) 电机齿轮箱自动化气密性检测设备的输送和旋转装置
CN216937467U (zh) 一种等离子自动清洗设备
CN212255383U (zh) 一种风速监测装置
CN217542830U (zh) 一种对产品的多个面进行瑕疵检查的视觉检查机
JP4190395B2 (ja) 不釣合振動検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