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256B1 -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256B1
KR102568256B1 KR1020200183708A KR20200183708A KR102568256B1 KR 102568256 B1 KR102568256 B1 KR 102568256B1 KR 1020200183708 A KR1020200183708 A KR 1020200183708A KR 20200183708 A KR20200183708 A KR 20200183708A KR 102568256 B1 KR102568256 B1 KR 10256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movement
bracket
root veget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185A (ko
Inventor
송제호
김태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진이엔지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2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근채류를 보다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근채류 중 무의 표면으로부터 탈피되는 껍질의 두께를 최대한으로 줄여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을 쉽게 건조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이 쓰레기화되었을 때 자연환경에 해가 되는 독성물질을 발생시킬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Two-way drive root vegetable stripper}
본 발명은 근채류를 보다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근채류 중 무의 표면으로부터 탈피되는 껍질의 두께를 최대한으로 줄여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을 쉽게 건조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이 쓰레기화되었을 때 자연환경에 해가 되는 독성물질을 발생시킬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라함은 샐러드나 조리용으로 재배하는 작물로서, 과채류, 협채류, 근채류, 경엽채류, 구근류 등이 있다.
이 중, 구근류는 알뿌리를 가진 식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구마, 감자, 무, 마늘, 당근 등이 있다.
특히, 구근류 중에서 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서 무수, 무시라고도 불리며, 크기는 15㎝∼30㎝ 내외이며, 무게는 300g∼1.5㎏ 정도 된다.
이러한 무를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을 닦아낸 후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고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84-1288 등으로 제안된 칼 또는 박피기, 필러, 채칼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무의 표면으로 벗겨낸 껍질이 쓰레기화 되었을 때 자연환경에 해가되는 독성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지는 껍질의 두께를 최대한 줄여 무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진 껍질을 건조상태로 쉽게 만들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무는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칼, 박피기, 필러, 채칼 등으로 무의 표면으로부터 껍질을 최대한 두께를 줄여 벗겨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84-128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근채류를 보다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근채류 중 무의 표면으로부터 탈피되는 껍질의 두께를 최대한으로 줄여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을 쉽게 건조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이 쓰레기화되었을 때 자연환경에 해가 되는 독성물질을 발생시킬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일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근채류의 일측이 고정 및 근채류와 함께 회전되는 일측회전플레이트와,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와 함께 근채류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채류 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근채류 이동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의 타측이 고정 및 근채류와 함께 회전되는 타측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채류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부 일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근채류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근채류를 탈피하는 일측탈피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부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근채류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근채류를 탈피하는 타측탈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채류 탈피부와; 상기 근채류 탈피부의 일측탈피부재와 타측탈피부재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근채류 탈피부를 통해 근채류를 보다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근채류 중 무의 표면으로부터 탈피되는 껍질의 상하두께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을 쉽게 건조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이 쓰레기화되었을 때 자연환경에 해가 되는 독성물질을 발생시킬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배면도이고,
도 4는 일측탈피부재와 타측탈피부재를 각각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일측탈피부재와 타측탈피부재를 각각 확대한 일부확대절개측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근채류의 일측이 고정된 근채류 이동부가 근채류 회전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근채류의 탈피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근채류 이동부(20), 근채류 회전부(30), 근채류 탈피부(40) 및 구동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사각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프레임(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10a)가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근채류 이동부(20)는 크게, 일측회전플레이트(210)와 좌우이동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일측 상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는 고구마, 감자, 무, 마늘, 당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근채류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의 타측에는 작업자에 의해 근채류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의 삽입핀(211)은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의 타측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220)는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와 함께 근채류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220)는 일예로, 크게, 좌우이동몸체(221), 가이드봉(222), 리드스크류(223) 및 구동모터(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221)는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일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221)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에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221)는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와 함께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222)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내측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220)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내측에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220)은 상기 좌우이동몸체(221)의 전측 하부 내측과 후측 하부 내측을 각각 수평관통하여 상기 좌우이동몸체(221)의 좌우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23)는 상기 가이드봉(2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23)는 상기 가이드봉(2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이동몸체(221)의 하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와 함께 상기 좌우이동몸체(221)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24)는 상기 리드스크류(223)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면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24)는 상기 리드스크류(223)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근채류 회전부(30)는 크게, 타측회전플레이트(310)와 회전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일측에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의 타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는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 및 근채류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일측에는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타측방향으로 이동 중인 근채류의 타측이 점차 삽입고정되는 삽입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삽입핀(311)은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일측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삽입핀(311)은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일측 중심부 주변의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의 일측 부위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20)는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20)는 일예로, 크게, 고정프레임(321)과 구동모터(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21)은 수평고정판(321a)과 수직고정판(32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판(321a)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판(321b)은 상기 수평고정판(321a)의 일측에서 상기 수평고정판(321a)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2)는 상기 고정프레임(321)의 수직고정판(312b)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2)는 상기 고정프레임(321)의 수직고정판(312b)의 상부 일측 방향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2)는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부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의 타측이 상기 타측고정플레이트(310)의 삽입핀(311)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310), 상기 근채류 및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2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근채류 탈피부(40)는 일예로, 일측지지프레임(401), 타측지지프레임(402), 가이드봉(403), 일측탈피부재(410) 및 타측탈피부재(420) 및 연결프레임(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 및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02)은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403)은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에서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0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403)은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02) 사이에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일측탈피부재와 타측탈피부재를 각각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일측탈피부재와 타측탈피부재를 각각 확대한 일부확대절개측면도이다.
상기 일측탈피부재(41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부 일측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에 의해 회전되는 근채류의 하부부위를 탈피할 수 있다.
상기 일측탈피부재(410)는 일예로, 도 4의 a) 및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좌우이동몸체(410a), 일측가이드프레임(410b),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 일측상하이동봉(410d),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 제 1일측탄성부재(410i), 제 2일측탄성부재(410j), 제 3일측탄성부재(410k) 및 일측탈피날(410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403)이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는 상기 가이드봉(403)을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은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은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하부는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전측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후측 중간부에는 복수의 체결공(410b1)이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은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내측 하부에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체결부재(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의 상부는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전측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의 하부 중간부에는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10c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의 가이드슬릿(410c1)과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복수의 체결공(410b1)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410b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은 상기 가이드슬릿(410c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밀하게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3)의 조임고정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봉(410d)은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봉(410d)은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의 상부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봉(410d)은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후측에 상기 일측상하이동봉(410d)의 상부가 나사결합 또는 용접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은 상기 일측상하이동봉(410d)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후측은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은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후측 중간부는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은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이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중간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의 일측과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상부가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하각도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은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탄성부재(410i)의 내측에 상기 일측상하이동봉(410d)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탄성부재(410i)는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의 상부와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후측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탄성부재(410i)의 상부는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후측을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탄성부재(410i)의 하부는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의 상부를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410c)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후측 내면 상부에는 제 1일측보조프레임(410e1)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보조프레임(410e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e)의 후측 내면 상부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후측과 상기 제 1일측보조프레임(410e1)의 전측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는 볼트부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축부재(7)와; 상기 축부재(7)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일측보조프레임(410e1)의 전측 상부면에 안착고정되는 너트부재(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탄성부재(410j)의 내측에 상기 축부재(7)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2일측탄성부재(410j)는 상기 제 1일측보조프레임(410e1)의 전측 하부와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후측 바닥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탄성부재(410j)의 하부는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후측을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7), 상기 너트부재(8) 및 상기 제 2일측탄성부재(410j)를 통해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전측이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410b)의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타측부 상부 전측 내면에는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일측부 상부 전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2일측보조프레임(410f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전측부 타측에는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타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410f2)이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후측부 일측의 반대측인 후측부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가이드슬릿(410f2)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전측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가이드축부재(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탄성부재(410k)는 상기 제 2일측보조프레임(410f1)의 하부면과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전측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기 가이드축부재(9)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후측부 타측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축부재(9)를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일측이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f)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탄성부재(410i), 상기 제 2일측탄성부재(410j) 및 상기 제 3일측탄성부재(410k)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탈피날(410l)은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h)의 상부와 함께 상하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탈피날(410l)의 전측부가 근채류의 하부부위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탈피날(410l)은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에 의해 회전하는 근채류의 하부부위를 탈피할 수 있다.
상기 타측탈피부재(42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부 타측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에 의해 회전되는 근채류의 상부부위를 탈피할 수 있다.
상기 타측탈피부재(420)는 상기 일측탈피부재(410)와 상하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일예로, 도 4의 b) 및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좌우이동몸체(420a), 타측가이드프레임(420b),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 타측상하이동봉(420d),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 제 1타측탄성부재(420i), 제 2타측탄성부재(420j), 제 3타측탄성부재(420k) 및 타측탈피날(420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403)이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는 상기 가이드봉(403)을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상부는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전측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후측 중간부에는 복수의 체결공(420b1)이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은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내측 상부에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체결부재(11)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의 하부는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전측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의 상부 중간부에는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20c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1)는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의 가이드슬릿(420c1)과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복수의 체결공(420b1)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420b1)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1)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은 상기 가이드슬릿(420c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밀하게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11)의 조임고정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봉(420d)은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봉(420d)은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의 하부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봉(420d)은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후측에 상기 타측상하이동봉(420d)의 하부가 나사결합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은 상기 타측상하이동봉(420d)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후측은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은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후측 중간부는 상기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이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은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이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전측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의 일측과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의 하부가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하각도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은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과 함께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탄성부재(420i)의 내측에 상기 타측상하이동봉(420ㅇ)이 수용도니 상태로 상기 제 1타측탄성부재(420i)는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c)의 하부와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후측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탄성부재(420i)의 상부는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b)의 하부를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420b)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탄성부재(420i)의 하부는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후측을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후측 내면 하부에는 제 1타측보조프레임(420e1)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보조프레임(420e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e)의 후측 내면 하부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후측과 상기 제 1타측보조프레임(420e1)의 전측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는 볼트부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축부재(12)와; 상기 축부재(1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타측보조프레임(420e1)의 전측 하부면에 밀착고정되는 너트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탄성부재(420j)의 내측에 상기 축부재(12)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2타측탄성부재(420j)는 상기 제 1타측보조프레임(420e1)의 전측 상부와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후측 상부 내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탄성부재(420j)의 상부는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후측을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후측을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12), 상기 너트부재(13) 및 상기 제 2타측탄성부재(420j)를 통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전측이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420b)의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일측부 하부 전측 내면에는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타측부 하부 전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제 2타측보조프레임(420f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전측부 일측에는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일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420f2)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후측부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가이드슬릿(420f2)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전측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가이드축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탄성부재(420k)는 상기 제 2타측보조프레임(420f1)의 상부면과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전측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기 가이드축부재(14)이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후측부 일측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축부재(14)를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이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f)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탄성부재(420i), 상기 제 2타측탄성부재(420j) 및 상기 제 3타측탄성부재(420k)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탈피날(420l)은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의 하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h)의 하부와 함께 상하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탈피날(420l)의 후측부가 근채류의 상부부위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탈피날(420l)은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에 의해 회전하는 근채류의 상부부위를 탈피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430)은 상기 연결프레임(4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430)은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02)의 상부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탈피날(410l)과 상기 타측탈피날(420l)이 근채류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의 하부부위와 상부부위를 탈피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과 타측은 근채류의 표면 굴곡에 따라 상기 제 3일측탄성부재(410k)의 탄성력 및 상기 제 3타측탄성부재(420k)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근채류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탈피날(410l)과 상기 타측탈피날(420l)이 더욱 용이하게 근채류의 하부부위와 상부부위를 탈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근채류의 표면 굴곡에 따라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근채류의 상하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탈피부재(410)는 일측가이드판(410g1)과 일측가이드반구(410g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탈피부재(420)는 타측가이드판(420g1)과 타측가이드반구(420g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판(410g1)은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410g)의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에 각각 수직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반구(410g2)는 상기 일측가이드판(410g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측가이드반구(410g2)의 상부는 근채류의 하부부위와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판(420g1)은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420g)의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에 각각 수직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반구(420g2)는 상기 타측가이드판(420g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측가이드반구(420g2)이 하부는 근채류의 상부부위와 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근채류 탈피부(50)의 일측탈피부재(410)와 타측탈피부재(420)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일예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바와 같이 크게, 종동스프로켓(510), 체인(520), 액추에이터(530), 구동스프로켓(540) 및 구동모터(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스프로켓(510)은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스프로켓(510)은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02)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기 타측지지프레임(40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링크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인(520)은 상기 종동스프로켓(510)의 외면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체인(520)을 이룰 수 있는 링크체인의 내측에는 복수의 관통구(52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관통구(522)는 상기 체인(520)을 이룰 수 있는 링크체인의 핀(521)과 핀(521)사이마다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후측과 마주보는 상기 체인(520)의 상부부위는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5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후측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고정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530)를 이룰 수 있는 전자식 솔레노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는 로드(531)는 승강운동하여 상기 체인(520)을 이룰 수 있는 링크체인의 하부의 복수의 관통구(522)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522)내로 삽입 및 삽입해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켓(540)은 상기 체인(520)의 일측 중간부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50)는 상기 구동스프로켓(540)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지지프레임(40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50)가 상기 구동스프로켓(54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인(520)과 상기 종동스프로켓(510)은 상기 구동스프로켓(540)을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 사이의 좌우이격거리가 점차 좁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50)가 상기 구동스프로켓(54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체인(520)과 상기 종동스프로켓(510)은 상기 구동스프로켓(540)을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 사이의 좌우이격거리가 점차 벌어질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검출부(60), 제 2검출부(70) 및 제어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검출부(60)는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로 이동되는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의 상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검출부(70)는 상기 연결프레임(4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부 후측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검출부(70)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상부 후측을 더욱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검출부(70)는 상기 연결프레임(43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검출부(60)와 상기 제 2검출부(70)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일예로, 상기 근채류 이동부(20), 상기 근채류 회전부(30), 상기 구동부(50)의 액추에이터(530) 및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0)의 제어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원공급부(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구동모터(224),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의 구동모터(322), 상기 구동부(50)의 액추에이터(530) 및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근채류의 일측이 고정된 근채류 이동부가 근채류 회전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컨트롤러에는 근채류 이동버튼, 근채류 탈피버튼 및 원위치 버튼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일측회전플레이트(210)에 근채류(5)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된 근채류 이동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530)를 이룰 수 있는 전자식 솔레노이드의 로드(531)가 상기 로드(53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체인(520)의 하부부위의 복수의 관통구(522)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5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른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구동모터(224)의 작동 및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좌우이동몸체(221)와 함께 상기 근채류 탈피부(40)의 일측탈피부재(41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고, 상기 근채류 탈피부(40)의 타측탈피부재(4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방향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탈피부재(410)의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와 상기 타측탈피부재(420)의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의 좌우이격거리가 점차 좁혀지면서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에 구비된 상기 제 1검출부(60)가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를 검출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체인(520)의 복수의 관통구(522)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522)에 삽입된 상기 액추에이터(530)의 로드(531)의 삽입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 중인 상기 일측탈피부재(410)의 일측좌우이동몸체(410a)가 이동정지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구동모터(224)가 작동중지되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 중인 근채류(5)의 이동 또한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탈피부재(420)의 타측좌우이동몸체(420a)가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410a)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420a)사이의 좌우이격거리가 점차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 2검출부(70)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타측탈피부재(420)의 타측좌우이동몸체(420a)를 검출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530)의 로드(531)가 상기 로드(53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체인(520)의 하부부위의 복수의 관통구(522)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522)에 다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른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구동모터(224)의 작동 및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좌우이동몸체(221) 및 근채류(5)와 함께 상기 근채류 탈피부(40)의 일측탈피부재(4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고, 상기 근채류 탈피부(40)의 타측탈피부재(420)는 다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방향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의 타측회전플레이트(310)에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5)이 타측이 고정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된 근채류 이동버튼을 OFF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근채류 탈피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근채류의 탈피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근채류 회전부(30)의 구동모터(322)의 작동 및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0)의 작동에 의해 근채류(5)가 회전됨과 더불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근채류 탈피부(40)의 일측탈피부재(410)와 상기 근채류 탈피부(40)의 타측탈피부재(420)가 일정시간동안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하면서 근채류(5)를 탈피할 수 있다.
상기 근채류(5)의 탈피가 완료된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된 근채류 탈피버튼을 OFF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원위치 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구동모터(224)의 작동에 따라 상기 근채류 이동부(20)의 좌우이동몸체(221)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체인(520)의 복수의 관통구(522) 중 어느 하나의 관통구(522)에 삽입된 상기 액추에이터(530)의 로드(531)의 삽입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10)이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 탈피부(40)의 일측탈피부재(410)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수동으로 밀어 원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근채류 탈피부(40)를 통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채류(5)를 보다 용이하게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탈피부재(410)의 일측탈피날(410l)과 상기 타측탈피부재(420)의 타측탈피날(420l)이 근채류의 상하폭에 따라 정밀하게 높낮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근채류 중 특히, 무의 표면으로부터 탈피되는 껍질의 상하두께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을 쉽게 건조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로부터 탈피된 껍질이 쓰레기화되었을 때 자연환경에 해가되는 독성물질을 발생시킬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프레임, 20; 근채류 이동부,
30; 근채류 회전부, 40; 근채류 탈피부,
50; 구동부.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일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근채류의 일측이 고정 및 근채류와 함께 회전되는 일측회전플레이트와,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와 함께 근채류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채류 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근채류 이동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의 타측이 고정 및 근채류와 함께 회전되는 타측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근채류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일측지지프레임 및 타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지지프레임에서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고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프레임의 후측부 일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근채류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근채류를 탈피하는 일측탈피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부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근채류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근채류를 탈피하는 타측탈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탈피부재는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봉이 각각 상부와 하부를 수평관통하고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일측좌우이동몸체와,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의 전측에 고정되는 일측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되는 일측상하이동프레임과, 상기 일측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수직관통하는 일측상하이동봉과, 상기 일측상하이동봉의 상부에 후측이 연결되어 상기 일측상하이동봉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일측상하이동봉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일측상하이동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 1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1일측탄성부재와, 상기 제 2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후측을 탄성지지하는 제 2일측탄성부재와,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타측을 탄성지지하는 제 3일측탄성부재와,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4일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고 상기 근채류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근채류를 탈피하는 일측탈피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측탈피부재는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봉이 각각 상부와 하부를 수평관통하고 상기 일측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타측좌우이동몸체와,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의 전측에 고정되는 타측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되는 타측상하이동프레임과, 상기 타측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의 하부를 수직관통하는 타측상하이동봉과, 상기 타측상하이동봉의 하부에 후측이 연결되어 상기 타측상하이동봉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게 상하이동하는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어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는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상기 타측상하이동봉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타측상하이동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 1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제 1타측탄성부재와, 상기 제 2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후측을 탄성지지하는 제 2타측탄성부재와,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제 3타측탄성부재와,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4타측상하이동브라켓과 함께 상하이동하고 상기 근채류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근채류를 탈피하는 타측탈피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근채류 탈피부와;
    상기 근채류 탈피부의 일측탈피부재와 타측탈피부재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 이동부의 일측회전플레이트의 타측과 상기 근채류 회전부의 타측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근채류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삽입핀이 형성되고,
    상기 근채류 이동부의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몸체와;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고, 상기 좌우이동몸체의 하부 내측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좌우이동몸체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좌우이동몸체의 하부 내측을 수평관통하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좌우연장되고, 상기 좌우이동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좌우이동몸체를 좌우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근채류 회전부의 회전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근채류 이동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타측방향으로 이동된 근채류의 타측이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회전플레이트, 상기 근채류 및 상기 일측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탈피부재는 상기 제 3일측상하이동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일측가이드판과;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측가이드반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탈피부재는 상기 제 3타측상하이동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타측가이드판과;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타측가이드반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측지지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일측지지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 및 상기 타측지지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타측지지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종동스프로켓에 감겨지고,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의 후측에 상부가 고정되는 체인과;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체인의 하부 내측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로드가 구비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체인의 일측과 치합되는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 탈피부는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지지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프레임의 상부사이에 수평구비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좌우이동몸체를 검출하기 위한 제 1검출부와;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좌우이동몸체를 검출하기 위한 제 2검출부와;
    상기 제 1검출부의 검출신호와 상기 제 2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액추에이터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6. 삭제
KR1020200183708A 2020-12-24 2020-12-24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KR10256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08A KR102568256B1 (ko) 2020-12-24 2020-12-24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08A KR102568256B1 (ko) 2020-12-24 2020-12-24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85A KR20220092185A (ko) 2022-07-01
KR102568256B1 true KR102568256B1 (ko) 2023-08-22

Family

ID=8239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08A KR102568256B1 (ko) 2020-12-24 2020-12-24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2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7005A (ja) * 2012-11-14 2014-05-29 Yoshiizumi Sangyo Kk 棒状野菜の皮むき装置
CN107456058A (zh) 2017-10-16 2017-12-12 晋江杰雄机电科技有限公司 轴对称瓜果削皮机具及其组装方法
KR101932931B1 (ko) 2017-06-19 2018-12-27 정문성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JP2020175070A (ja) * 2019-04-18 2020-10-29 東莞市図什日用品有限公司 調節できる果物皮むき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593A (ja) 1981-08-26 1983-03-03 株式会社東芝 遠心回転機用バラ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7005A (ja) * 2012-11-14 2014-05-29 Yoshiizumi Sangyo Kk 棒状野菜の皮むき装置
KR101932931B1 (ko) 2017-06-19 2018-12-27 정문성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CN107456058A (zh) 2017-10-16 2017-12-12 晋江杰雄机电科技有限公司 轴对称瓜果削皮机具及其组装方法
JP2020175070A (ja) * 2019-04-18 2020-10-29 東莞市図什日用品有限公司 調節できる果物皮む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85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7934B1 (es) Aparato para la extraccion del jugo y de la pulpa de productos vegetales con rendimiento mejorado.
US20060169152A1 (en) Reamer structure of a juicer
US5097758A (en) Fruit and vegetable peeler
HK1065278A1 (en) Cutting device for fruits and vegetables, preferably onion
KR102568256B1 (ko)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CN204969346U (zh) 一种仿形水果去皮机
CN109938307A (zh) 一种土豆干深加工设备
CN203556573U (zh) 一种坚果筛选装置
US6591742B1 (en) Plantain peeler
CN216634575U (zh) 一种切菜机多功能投料口结构
CN107495412A (zh) 一种土豆去皮机
CN210616674U (zh) 一种便于调节切片斜度的切菜装置
KR20130040113A (ko) 근채류 절단장치
US20080276389A1 (en) Citrus fruits polishing apparatus
DE7122484U (de) Kuechenreibe
RU1639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CN205083230U (zh) 双组件榨汁机
US2690197A (en) Rotary comminuting and separating device
CN219878008U (zh) 一种破壁装置
US200301385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of fruits cut in slides
CN213155335U (zh) 一种用于果汁机水果下蒂弹出装置
CN220408834U (zh) 一种食用菌加工用菇脚切断装置
CN220072504U (zh) 一种刷蛋机的排渣装置
KR102082974B1 (ko) 과실 꼭지 커팅장치
CN208725444U (zh) 水果削皮去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