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632B1 - Forks of Stacker Crane - Google Patents

Forks of Stacker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632B1
KR102566632B1 KR1020220057956A KR20220057956A KR102566632B1 KR 102566632 B1 KR102566632 B1 KR 102566632B1 KR 1020220057956 A KR1020220057956 A KR 1020220057956A KR 20220057956 A KR20220057956 A KR 20220057956A KR 102566632 B1 KR102566632 B1 KR 10256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roller
guide channel
fork
stack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완영
Original Assignee
이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영 filed Critical 이완영
Priority to KR102022005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6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포함)을 입·출고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3새들의 롤러들이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에 끼여 밀착되면서도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하고, 운반포크를 정해진 최대 위치까지 전진시켜도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고장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crane fork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cluding vehicles), and more particularly, is configured so that rolling motion is possible while the rollers of the third saddl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hannels of the second saddle, Blocks shaking during movement of saddles for shipping, minimizes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even if the transport fork is moved forward to the designated maximum position, and is stable while minimizing concerns about failure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It relates to a fork device for a stacker crane made so that it can be operated smoothly.

Description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Forks of Stacker Crane}Stacker crane fork device {Forks of Stacker Crane}

본 발명은 화물(차량포함)을 입·출고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3새들의 롤러들이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에 끼여 밀착되면서도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하고, 운반포크를 정해진 최대 위치까지 전진시켜도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고장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crane fork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cluding vehicles), and more particularly, is configured so that rolling motion is possible while the rollers of the third saddl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hannels of the second saddle, Blocks shaking during movement of saddles for shipping, minimizes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even if the transport fork is moved forward to the designated maximum position, and is stable while minimizing concerns about failure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It relates to a fork device for a stacker crane made so that it can be operated smoothly.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은 대량의 물품을 최소의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관리하기 위한 대규모 저장수단으로, 대규모 물류시스템이나 각종 산업현장의 물품창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A cargo storage warehouse system is a large-scale storage means for efficiently storing and managing large quantities of goods in a minimum space, and is widely used in large-scale logistics systems or warehouses at various industrial sites.

이러한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은 화물의 적재방식에 따라 팔레트 타입과 포크타입으로 대별되는데, 시스템의 구조적 및 운용상의 이점에 의해 포크 타입이 각광받고 있다.These cargo storage warehouse systems are roughly divided into a pallet type and a fork type according to the loading method of cargo, and the fork type is in the limelight due to the structural and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system.

한편, 근래에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차량의 주차난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장에도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많은 차량들을 작은 공간에 층상으로 주차시키는 기계식 주차시스템이 저비용 고효율의 이점을 안고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a way to effectively solve the parking problem of explosively increasing vehicles, a cargo storage system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 parking lots, and a mechanical parking system that parks many vehicles in layers in a small space has the advantage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It is getting a favorable reception.

이와 같은 포크타입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은, 통상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화물보관 랙의 적재보 위에 적재포크(F)를 매트릭스(matrix) 상으로 갖는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랙(R)들 사이의 공간에 입·출고용 운반기기로서 캐리지(C)를 갖추고 3축방향으로 구동되는 스태커크레인(S)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is fork-type cargo storage system, loading forks F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having a matrix on top of loading beams of a plurality of cargo storage racks, and each rack ( In the space between R), a stacker crane (S) is equipped with a carriage (C) as a transport device for entering and exiting, and is driven in the three-axis direction.

이에 따라 캐리지(C)에 화물(W)을 탑재한 스태커크레인(S)이 랙(R)의 빈 적재포크(F) 위치까지 이동한 뒤, 캐리지(C)에 구비된 포크장치의 운반포크가 빈 적재포크(F)를 향해 수평으로 진입하여 적재포크(F)와 교호적으로 중첩되어 하강 및 후퇴함으로써 화물(W)을 랙(R)에 적재시켜 입고시키게 되며, 출고는 입고시의 반대로 작동된다.Accordingly, after the stacker crane (S) loaded with the cargo (W) on the carriage (C)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empty loading fork (F) of the rack (R), the transport fork of the fork device provided in the carriage (C) By entering horizontally toward the empty loading fork (F) and overlapping with the loading fork (F) alternately, descending and retreating, the cargo (W) is loaded into the rack (R) and stored. do.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화물(W)의 신속 정확한 입고와 출고를 위해 각 적재포크(F)에 일정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화물운반수단인 스태커크레인(S)의 구동이 제어용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계되어 작동됨으로써 자동으로 진행된다.In this series of operations, a certain code number is given to each loading fork (F) for prompt and accurate warehousing and warehousing of cargo (W), and the driving of the stacker crane (S), which is a cargo transportation means, is controlled by a computer (not shown). It proceeds automatically by being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

스태커크레인(S)의 캐리지(C)에 구비된 포크장치는 랙(R)의 적재포크(F)에 대한 화물(W)의 로딩과 언로딩을 위해 외팔보 형태로 신축(伸縮)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85953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The fork device provided in the carriage (C) of the stacker crane (S)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argo (W) for the loading fork (F) of the rack (R). and can be found, for example, in Japanese Laid-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5-85953.

이 기술은 대차프레임 위에 피니언군(pinion群)을 갖는 1쌍의 고정빔을 나란하게 이격 설치하고, 각 고정빔내에 피니언군을 갖는 중간빔을 결합하여 롤러로 안내하고 있으며, 이들 중간빔내에 포크의 양단을 지지하는 선단빔을 결합하여 롤러로 안내하고 있다. 고정빔의 피니언군은 중간빔에 구비된 랙과 이 물림되어 모터로 구동되고, 중간빔의 피니언군은 고정빔 및 선단빔에 구비된 랙과 동시에 이 물림됨으로써 모터의 구동에 따라 중간빔과 선단빔이 동시에 신축하도록 셔틀빔(shuttle beam)이 구성되어 있다.This technology installs a pair of fixed beams with a pinion group side by side on the bogie fram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mbines intermediate beams with a pinion group in each fixed beam, guides them with rollers, and forks in these intermediate beams. The front end beam supporting both ends of is combined and guided by the roller. The pinion group of the fixed beam is engaged with the rack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beam and driven by a motor. A shuttle beam is configured so that the beams simultaneously expand and contract.

그런데, 이 기술은 셔틀빔의 신축 스트로크(stroke)를 길게 하기 위하여 중간빔과 선단빔을 그 신축방향으로 복수의 피니언들을 서로 연동하도록 배치하여 신축시키기 때문에 고중량의 화물, 특히 주차시스템에 채용되어 수 톤에 달하는 차량을 입·출고 하는 경우 차량중량에 의한 휨모멘트에 의해 신축작용이 원활하지 못할 우려가 많고 심한 경우(장기간 사용시) 선단빔과 중간빔에 휨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However, since this technology extends and contracts the middle beam and the tip beam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inions in the extension direction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in order to lengthen the extension stroke of the shuttle beam, it can be employed in heavy cargoes, especially in parking systems. In the case of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s weighing tons,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stretching action will not be smooth due to the bending moment caused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즉, 중간빔은 고정빔의 폭에 대해서, 선단빔은 중간빔의 폭에 대해서 각각 1/2이상 인출되어 양자의 결합부위보다 인출부위가 커지는 바, 신축 스트로크가 커지는 반면 신장시 외팔보 형태를 취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화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약할 뿐 아니라 휨모멘트가 커져서 롤러의 마찰력이 커지고 휨 변형이 발생되기 쉬운 것이다.That is, the middle beam is pulled out by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fixed beam and the front end beam by 1/2 or more of the width of the middle beam, so the drawing out part is larger than the joint part of the two, so the extension stroke is large, while the cantilever shape is taken during extension. 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not only is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the cargo weak, but the bending moment is large, s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oller increases and bending deformation is easy to occur.

더욱이 각 빔들이 분리 이격된 쌍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한쪽 빔만 모터에 의해 기어전동으로 구동시키고 있는 바, 신축 동작에 트러블이 발생될 우려가 많고 모터에도 필요이상의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높았다.Moreover, even though each beam consists of a pair that is separated and spaced apart, only one beam is gear-driven by a motor, so there is a high risk of trouble in the stretching operation and a higher risk of overloading the motor than necessar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726080호 "스태커크레인 캐리지"를 해결책을 제시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solution in register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6080 "Stacker Crane Carriage".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본 출원인이 제시한 기술은, 베이스프레임(10)과 수평이동하는 제1새들(20), 제2새들(30), 제3새들(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제3새들(40)의 상부에 고정되어 화물을 탑재하는 운반포크(50) 및 새들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the related art includes a base frame 10 and horizontally moving first saddles 20, second saddles 30, and third saddles 4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port fork 50 fixed to the top of the third saddle 40 to load cargo and a drive means 60 for moving the saddle.

이때, 실질적 운반포크(50)를 포함해 상부에 적재화물을 지탱하고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제3새들(40)은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41)를 포함한 구조로 롤러(41)가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에 끼워져 구름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At this time, the third saddle 40, which supports and moves while supporting the loaded cargo on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actual transport fork 50, has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ers 41 installed at a distance, and the roller 41 is the second saddle ( 30)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33 and moves by rolling.

그러나, 종래의 롤러(41)는 단순 간격을 가지고 동일축선상에 위치한 구조로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과의 위치적 간극에 의해 화물 화중에 위한 흔들림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oller 41 has a structure located on the same axis with a simple gap,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shake for loading the cargo due to the positional gap between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른 실시예로, 본원 출원인은 제3새들(40)을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구름 이동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기술을 실시예로 제시한 바 있다(도 3 참조).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applicant,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applicant is a technology provided with a roller unit that rolls the third saddle 40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elastically. has been presented as an example (see FIG. 3).

이러한 종래의 제3새들(40)은,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플런저(plunger)(84)를 수직 상방으로 가지고 양단에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바닥면에 구름 접촉하는 메인롤러(83)를 갖는 하부몸체(82)와, 이 하부몸체(82)의 플런저(84)를 삽입하는 복수의 실린더(87)를 수직 하방으로 가지고 양단에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 천정면에 구름 접촉하는 서브롤러(86)를 갖는 상부몸체(85) 및 각 실린더(87)에 수용되어 상부 및 하부몸체를 서로 벌어지도록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압축코일스프링(88)으로 구성하였다. The conventional third saddle 40 has at least two spaced apart plungers 84 vertically upward and has a main roller at both end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t has a lower body 82 having a lower body 83 and a plurality of cylinders 87 into which the plungers 84 of the lower body 82 are inserted vertically downward, and at both ends of the guide channels 33 of the second saddle, the ceiling surface. It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85 having a sub-roller 86 in rolling contact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88 accommodated in each cylinder 87 and elastically pushing the upper and lower bodies to spread apart.

이러한 구성은 제3새들(40)이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에 안정되게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어 화물(W)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하였다.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third saddle 40 to move while being stably attached to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so that the cargo W can be transported more stably.

그러나, 이러한 종래에 따른 제3새들(40)은, 상술한 하부몸체, 메인롤러, 플런저(plunger), 상부몸체, 서브롤러, 실린더, 스프링 등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져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였다. However, the third saddle 40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very complicated configura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such as the above-described lower body, main roller, plunger, upper body, sub-roller, cylinder, and spring.

이와 같이 구성요소가 많음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프링과 실린더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높았고, 제작비용 또한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다. As there are many components like this, the spring and cylinder do not play their proper role over time, and there is a high risk of fail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high.

또한, 스프링(88)을 사용하므로 작동 중 제2새들(30)에 대한 제3새들(40)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등 회전 변위를 어느 정도는 허용할 우려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pring 88 is used, there is a concern that rotational displacement may be allowed to some extent, such as distortion of the third saddle 40 relative to the second saddle 30 during operation.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85953호Japanese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8595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080호 (2007. 05. 31.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26080 (2007. 05. 31. Registr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3새들의 롤러들이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에 끼여 밀착되면서도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하고, 운반포크를 정해진 최대 위치까지 전진시켜도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고장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rollers of the third birds are configured to allow rolling motion while being stuck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hannels of the second birds, thereby blocking shaking during movement of the birds for entering and leaving, Stacker crane fork device designed to minimize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even when the transport fork is moved forward to the designated maximum position, as well as minimize the risk of failure through simplified structure and ensure stable and smooth oper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는, 스태커크레인의 캐리지에 지지되어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새들과, 제1새들 상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새들과, 제2새들의 양측에서 제2새들에 대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제3새들과, 제3새들에 고정되어 제2새들 위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운반포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rk device for a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supported by a carriage of a stacker crane and mounted to a mas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first saddle that moves horizontally and reciprocally on the base frame, The second birds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first birds, the third birds horizontally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bird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irds, and the third birds fixed to the third birds and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second birds Includes a carrying fork.

이때, 제3새들은, 제2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채널의 내측 하부면에 밀접하여 위치한 전방롤러와, 전방롤러와 동일축선상에 간격을 가지고 가이드채널의 내측 하부면에 밀접하여 위치한 후방롤러와, 전방롤러와 후방롤러 사이에 위치하되 가이드채널의 내측 상부면에 밀접하여 위치한 중간롤러를 포함하며; 전방롤러, 후방롤러 및 중간롤러는 가이드채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름운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third saddle is close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with a gap on the same axis as the front roller and the front roller located close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addle, a rear roller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and an intermediate roller positioned closely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The front roller, the rear roller and the intermediate roll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rolling motion without leaving the guide channel.

하편, 제3새들이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 제3새들 이동거리(D)에 대하여,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third saddle movement distance (D) in which the third saddle moved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제2새들의 길이(L2)는, 제3새들 이동거리(D)의 2/3에 해당하는 거리와 제3새들의 길이(L3)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져, 제3새들의 전방롤러, 후방롤러 및 중간롤러는 이동중 가이드채널을 벗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ngth L2 of the second saddle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2/3 of the moving distance D of the third saddle and the length L3 of the third saddle, so that the front roller of the third saddle, The rear roller and the intermediate roll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guide channel during movement.

일 실시예로, 제3새들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는,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 내측 하부면에서 내측 상부면까지의 높이(HG)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height (HR)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to the top of the intermediate roller is the same as the height (H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of the second saddle. to be

필요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 내측 하부면에서 내측 상부면까지의 높이(HG)는, 제3새들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보다 롤러의 탄성한계간극(d1) 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s needed, the height (H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addl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of the third sad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 low as the elastic limit gap (d1) of the roller.

필요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 제3새들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는,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 내측 하부면에서 내측 상부면까지의 높이(HG)보다 가이드채널의 탄성한계간극(d2) 만큼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s needed,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is greater than the height (H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of the second sad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 high as the elastic limit gap (d2) of the guide channel.

한편, 필요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의 내측인 웨브측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의 높이(HG1)는, 제3새들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 이상이고;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의 외측인 플랜지측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의 높이(HG2)는, 제3새들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 보다 작게 구성되는데; 이때 제3새들의 전방롤러, 후방롤러 및 중간롤러는 가이드채널에 강제조립되고, 조립 후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의 플랜지의 변위는 원형회복이 가능한 탄성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as needed, the height (HG1)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web side, which is the inside of the guide channel of the second saddle, is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roller and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to the top of the intermediate roller. (HR) or higher; The height (HG2) from the lowermost part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flange side outside the guide channel of the second saddle is smaller than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of the third saddle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At this time, the front roller, the rear roller and the intermediate roller of the third saddle are forcibly assembled to the guide channel, and after assembly, the displacement of the flange of the guide channel of the second sad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within an elastic limit capable of restoring the original shape.

필요에 따라, 제3새들의 전방롤러와 후방롤러 및 중간롤러는 각각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front roller, the rear roller, and the intermediate roller of the third saddle may be single or plural, respectively.

또한, 필요에 따라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은 단부에 제3새들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guide channels of the second birds further include a stopper at an end to prevent the third birds from escaping.

그리고, 운반포크는, 새들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와, 포크바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포크바의 하부 중앙에서 각 포크바를 동시에 접합 지지하되 제3새들의 상부에 고정된 단일 고정보로 구성하되, 고정보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래이트 하부를 제3새들 상부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ransport fork includes a plurality of fork bars dispos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addles, and a plurality of fork bar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ork bars to jointly support each fork bar at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fork bar at the same time, but at the top of the third saddle. It consists of a fixed single fixing beam,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is joined to the top of the third saddle by providing a base plate at the bottom of the fixing beam.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3새들 상부에 베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베드 플레이트 상부에 베이스 플레이트 양쪽 단부의 하부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f necessa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ed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saddle, and the lower part of both ends of the base plate is bo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d plat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는, 포크가 3단 신축구조를 가지면서 신장길이가 비신장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므로 포크타입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이나 기계식 주차시스템 등에서 화물의 운반 이재에 사용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의 신축 이동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으면서도 각 새들의 신장길이가 짧아 신장시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형 및 회전 변형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stage telescopic structure and the extension length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non-extension length, so it is used for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cargo in a fork-type cargo storage system or a mechanical parking system. While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distance of the fork of the stacker crane can be sufficiently long, the extension length of each saddle is short, so that the occurrence of bending deformation and rotational deformation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during extension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제3새들을 강제로 제2새들에 꽉끼도록 밀착되게 구성함으로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하고, 운반포크를 정해진 최대 위치까지 전진시켜도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고장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3rd saddle is forcibly fitted closely to the 2nd saddle to prevent shaking during movement of the saddle for loading and unloading, and even if the transport fork is advanced to the predetermined maximum position,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In addition to minimizing displacement,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table and smooth operation while minimizing the risk of failure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더불어, 제3새들이 강제로 제2새들에 밀착되어 제3새들의 길이가 짧아도 제2새들에 대한 제3새들의 회전 변위를 보다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even if the third saddle is forcibly adhered to the second saddle and the length of the third saddle is short, it has an effect of more reliab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third saddle relative to the second saddle.

그리고, 제3새들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면서도 제2새들의 상부로 높게 돌출되지 않게 하여, 새들이 화물보관 랙의 적재보 하부를 지나지 않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물적재 단 높이를 절약할(줄일) 수 있어 랙의 적재보 하부에 차량 보호판을 설치하는 등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nd, while the length of the third saddle is configured shor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birds not to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eam of the cargo storage rack by not protruding high to the top of the second saddle, thereby saving the height of the cargo loading stage ( can be reduced), so it has the effect of utilizing space, such as installing a vehicle protection plate under the loading beam of the rack.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포크타입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이나 주차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 경제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excellent effect that greatly contributes to the reliability, safe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a fork-type cargo storage system or a parking system.

도 1은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화물보관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3새들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를 보여주는 측면입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 적용한 제2새들의 길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의 제3새들과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과의 높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의 제3새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서 스토퍼를 포함한 가이드채널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의 운반포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의 새들들이 화물보관 랙의 적재보 하부를 지나지 않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argo storage system using a stacker crane.
2 is a view showing a stacker cran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ird bir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pplied to FIG. 2 .
Figure 4 (a) (b) is a view showing a side elevation showing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engths of second saddles applied to the fork device of a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comparing the heights of the guide channels of the third saddle and the second saddle of the fork device of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ird saddle of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uide channel including a stopper in the fork device of a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ansport fork of a fork device for a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addles of the fork device of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pass under the loading beam of the cargo storage rack.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크레인 포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acker cran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도면상 표현한 구성요소가 설치된 바닥에서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길이방향은 새들이 이동하는 이동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r upper part refers to a part or direction having a height from the floor where the components re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installed, and the lower or lower part is the opposite part or direction. do it with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pointing to the sam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birds move.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한편,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는, 포크타입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이나 주차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태커크레인(S)에서 마스트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캐리지(C)에 탑재되어 수평으로 신축이동 함으로서, 화물보관 랙의 적재보 위에 설치되는 적재포크(F)에 대하여 화물을 운반한다(도1 참조). As shown,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arriage C that is mounted on a mast and moves up and down in a stacker crane S used in a fork-type cargo storage system or a parking system, and is horizontally By moving to the extension, the cargo is transported to the loading fork (F) installed on the loading beam of the cargo storage rack (see Fig. 1).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1)는,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하고, 운반포크(50)를 정해진 최대 위치까지 전진시켜도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고장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stacker crane for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shaking during movement of birds for input and output, and even if the transport fork 50 is advanced to a predetermined maximum position,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Its biggest feature is that it can not only minimize the structure, but also minimize the risk of failure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configure it so that stable and smooth operation can be achiev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크레인 포크(1)는, 스태커크레인(S)의 캐리지(C)에 지지되어 마스트(M)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새들(20)과, 상기 제1새들(20) 상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새들(30)과, 상기 제2새들(30)의 양측에서 제2새들(30)에 대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제3새들(400)과, 상기 제3새들(400)에 고정되어 제2새들(30) 위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운반포크(50) 및 이들 새들을 왕복 이동시켜주는 구동수단(60)으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stacker crane for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 supported by a carriage C of a stacker crane S and mounted movably on a mast M, and the base frame 10 ) The first saddle 20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top, the second saddle 30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addle 30 ( 30), the third saddle 400 horizontally reciprocating, the transport fork 50 fixed to the third saddle 400 and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second saddle 30, and these birds reciprocating It consists of a driving means 60 for moving.

이때, 베이스프레임(10), 제1새들(20), 제2새들(30) 및 구동수단(60)의 구조와 작동방식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080호"를 통해 뒷받침되고 공지한 바,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방법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frame 10, the first saddle 20, the second saddle 30, and the driving means 60 ar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26080" previously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supported and known through,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for these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1)는, 상부에 운반포크(50)를 포함하여 지지하는 제3새들(400)이 최대한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더라도 포크의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보다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However, in the stacker crane for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hird saddle 400 supported by including the transport fork 50 on the upper part moves forward or backward to the maximum, the fork's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are more It has a completely controllable structur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한 제2새들(30)은 길이방향, 즉 이동방향을 따라 몸체의 양 끝에 가이드채널(33)을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To this end, the second saddle 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cluding guide channels 33 at both ends of th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그리고, 제3새들(400)은 제1새들(20) 및 제2새들(30)과 달리 제2새들(30)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내에서만 이동하는 비교적 작은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3새들(400)이 상부에 운반포크(50)를 장착하여 단순히 제2새들(30)에 대한 운반포크(50)의 상대이동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third saddle 400 does not protrude from the second saddle 30 unlike the first saddle 20 and the second saddle 30 and moves only within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t consists of a relatively small body. This is to simply function as a means for moving the transport fork 50 relative to the second saddle 30 by mounting the transport fork 50 on the third saddle 400 .

그리고, 제3새들(40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몸체가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가이드채널(33)에 끼워져 구름 이동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이격된 롤러를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third saddle 400 has an integrated or separate body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and at least two or more spaced apart that are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33 and move by rolling.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roller.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새들(400)은, 제2새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채널(33)의 내측 하부면(33b)에 밀접하여 위치한 전방롤러(410)와, 전방롤러(410)와 동일축선상에 간격을 가지고 가이드채널(33)의 내측 하부면(33b)에 밀접하여 위치한 후방롤러(420)와,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사이에 위치하되 가이드채널(33)의 내측 상부면(33a)에 밀접하여 위치한 중간롤러(430)를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As a more specific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third saddl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33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addle 30 ( 33b), a front roller 410 located close to the front roller 410, and a rear roller 420 located close to the inner lower surface 33b of the guide channel 33 with a gap on the same axis, It is located between the roller 410 and the rear roller 420, but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intermediate roller 430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ner upper surface 33a of the guide channel 33.

이러한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름운동하여 구동수단(60)의 제어동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perform rolling motion without leaving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thereby driving the driving means 60. ) mov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이때, 바람직하게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가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에 구름운동이 가능한 상태이면서도 꽉끼어 밀착되게 구비된다. At this time, preferably,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re tightly packed in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while allowing rolling motion. It is provided closely.

즉, 다시 말해,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그 최상부와 최하부가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상부면(33a)과 하부면(33b)과 틈이 없이 밀착되게 구성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In other words,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have their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33a) and the lower surface (33b) and the biggest feature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out a gap.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는,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내측 하부면(33b)에서 내측 상부면(33a)까지의 높이(HG)와 동일한 높이(간격)를 갖는다(도6 참조). In one embodiment for this,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is the inner lower surface 33b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has the same height (spacing) as the height HG from to the inner upper surface 33a (see Fig. 6).

이에 따라, 제3새들(400)의 롤러들은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에 상부와 하부가 꽉끼인 상태로 구름운동하게 되고 신장시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형 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새들(400)의 길이가 짧아도 제2새들(30)에 대한 제3새들(400)의 회전 변위를 보다 확실하게 제어하여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한다. Accordingly, the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perform rolling motion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tightly clamped in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and the bending deformation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during extension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even if the length of the third saddle 400 is short,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third saddle 4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saddle 30 is more reliably controlled to block shaking during movement of the birds for entering and leaving.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는 제3새들(400)이 신장되는 이동방향에 따른 롤러의 위치에 따라 명명한 것으로, 제3새들(400)의 이동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따라 전방롤러가 후방롤러가 되고, 후방롤러가 전방롤러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roller 410 and the rear roller 420 are na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saddle 400 is extended, and the third saddle 400 Of course, the front roller may become the rear roller and the rear roller may become the front roller according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movement.

한편,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 제1새들(20), 제2새들(30) 및 제3새들(400)의 구성으로 포크가 3단 신축구조를 가지면서 신장길이가 비신장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므로 포크타입 화물보관창고 시스템이나 기계식 주차시스템 등에서 화물의 운반 이재에 사용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의 신축 이동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으면서도 각 새들의 신장길이가 짧아 신장시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형 및 회전 변형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 a first saddle 20, a second saddle 30 and a third saddle 400 Since the fork has a three-stage telescopic structure and the extended length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non-elongated length, the telescopic movement distance of the stacker crane fork used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cargo in a fork-type cargo storage system or mechanical parking system While it can be sufficiently long, the extension length of each saddle is short, so that the occurrence of bending deformation and rotational deformation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during extension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제3새들(400)의 롤러가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2새들(30)의 길이를 설정한다.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saddle 30 is set so that the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does not deviate from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는 제3새들(400)이 베이스프레임(10)의 중심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 제3새들 이동거리(D)에 대하여, 제2새들(30)의 길이(L2)를 미리 설정한다. To this end, in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addle 400 moves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third saddle movement distance D, the second saddle The length L2 of (30) is set in advance.

바람직하게, 제2새들(30)의 길이(L2)는, 제3새들 이동거리(D)의 2/3에 해당하는 거리와 제3새들의 길이(L3)를 합한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이동 중 가이드채널(33)을 벗어나지 않는다(도 5 참조). Preferably, the length L2 of the second saddle 30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2/3 of the third saddle moving distance D and the length L3 of the third saddle. Accordingly,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middl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do not deviate from the guide channel 33 during movement (see FIG. 5).

한편, 보다 확실하게 제3새들(400)의 롤러(410,420,430)와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이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내측 하부면(33b)에서 내측 상부면(33a)까지의 높이(HG)를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보다 롤러의 탄성한계간극(d1) 만큼 낮게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a) of FIG. 7 so that the rollers 410 , 420 ,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nd the guide channels 33 of the second saddle can b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the second saddle 30 The height (H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33b) to the inner upper surface (33a) of the guide channel (33) is higher than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middle roller. It can be configured as low as the elastic limit gap (d1) of.

또한,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를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내측 하부면(33b)에서 내측 상부면(33a)까지의 높이(HG)보다 가이드채널(33)의 탄성한계간극(d2) 만큼 높게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7,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is the inner lower part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t can be configured higher than the height (HG) from the surface (33b) to the inner upper surface (33a) by the elastic limit gap (d2) of the guide channel (33).

이와 같은 실시예예서, 제3새들(400)의 롤러(410,420,430)를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상에 억지로 강제 조립하는데, 이때 도 7의 (a)에서는 롤러의 탄성한계간극(d1) 내에서 강제 조립됨에 따라 롤러들의 변위가 원형회복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도 7의 (b)에서는 가이드채널의 탄성한계간극(d2) 내에서 강제 조립됨에 따라 가이드채널의 변위가 원형회복이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In this embodiment, the rollers 410 , 420 ,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re forcibly assembled on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 At this time, in FIG. 7 (a), the elastic limit gap of the rollers As the rollers are forcibly assembled within (d1), the displacement of the rollers becomes a state in which circular recovery is possible, and in (b) of FIG. placed in a possible state.

따라서, 제3새들(400)의 롤러들은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에 상부와 하부가 완전히 꽉끼인 상태로 구름운동하게 되고 신장시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형 및 회전 변형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perform rolling mo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ompletely jammed in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and the occurrence of bending deformation and rotational deformation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during extension is prevented.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 보다 확실하게 제3새들(400)의 롤러(410,420,430)와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이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채널(33)의 플랜지 변위가 탄성한계 내에서 휘어지도록 구성하여, 제3새들(400)의 롤러가 보다 가이드채널(33)에 밀착되게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so that the rollers 410, 420,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nd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can b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uide channel 33 The displacement of the flange is bent within the elastic limit, so that the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hannel 33.

구체적으로,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내측인 웨브측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의 높이(HG1)는,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 이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외측인 플랜지측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의 높이(HG2)는,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 보다 작게 구성한다(도8의 (a)참조). Specifically, the height (HG1) from the lowermost part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web side, which is the inside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s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has a height (HR) or more of And, the height (HG2) from the lowermost part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flange side, which is the outer side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s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It is configured smaller than the height (HR) (see (a) of FIG. 8).

이때,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가이드채널(33)에 강제적으로 조립이 가능한 상태이며, 조립 후 사용 중에도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플랜지의 변위는 원형회복이 가능한 탄성한계 내에서 이루어진다(도8의 (b)참조). At this time,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can be forcibly assembled to the guide channel 33, and the second saddle 30 is in use after assembly. The displacement of the flange of the guide channel 33 of ) is made within the elastic limit capable of restoring the original shape (see (b) in FIG. 8).

이에 따라, 제3새들(400)의 롤러들이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에 끼여 밀착되면서도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입·출고를 위한 새들의 이동시 흔들림을 차단하고, 운반포크(50)를 정해진 최대 위치까지 전진시켜도 탑재화물의 하중으로 인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억제한다. Accordingly, the rollers of the third saddles 400 are configured to allow rolling motion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hannels 33 of the second saddles, block shaking during the movement of the saddles for entering and leaving, and the transport fork 50 ) is moved forward to the designated maximum position, the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due to the load of the payload are suppres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는, 제3새들(400)을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전방롤러(410),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를 각각 선택적으로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figuring the third saddle 400,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are selectively provided, respectively, as necessary. It can consist of multiple.

다시 말해, 적재화물의 중량 및 새들의 신장 이동거리에 따라 필요하게는,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각각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도 9 참조). In other words,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middl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re configured as single or plural,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loaded cargo and the extended travel distance of the saddle. can (see Fig. 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는, 제3새들(400)이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을 벗어나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채널(33)의 단부에 스토퍼(33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pper 33c at the end of the guide channel 33 so that the third saddle 400 does not escape from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 may be further included.

일예로, 상술의 스토퍼(33c)는 가이드채널(33)의 단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부(바) 형상을 가진다.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stopper 33c has a protrusion (bar)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guide channel 33 .

또한, 필요에 따라 제3새들(400)의 롤러의 단부 위치를 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설정 위치의 이탈시 가이드채널(33)에서 자동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of course, a sensor (not shown)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as needed and automatically protrudes from the guide channel 33 when it is out of the set posi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에 적용하는 운반포크(50)는, 새들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51)와, 포크바(5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포크바(51)의 하부 중앙에서 각 포크바(51)를 동시에 접합 지지하되 제3새들(400)의 상부에 고정된 단일 고정보(52)로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 fork 50 applied to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ork bars 51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irds, and a fork bar 51 ) Is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fork bar 51, and each fork bar 51 is jointly support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fork bar 51, but composed of a single fixing beam 52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third saddle 400.

그리고, 포크바(51)들은 그 중앙하단에 적정높이의 돌출탭(tab:53)을 구비하여, 돌출탭(53)을 통해 고정보(52)에 접합된다. 돌출탭(53)은 이재높이의 여유를 확보하여 포크바(51)가 랙(R)의 적재포크(F)의 고정보(B) 위를 지나 화물(W)의 이재에 필요한 승강작동을 구현할 수 있게 허용한다(도 4의 (b)참조).And, the fork bars 51 are provided with a protruding tab (tab: 53) of an appropriate height at the lower center thereof, and are joined to the fixing beam 52 through the protruding tab 53. The protruding tab 53 secures a margin of transfer height so that the fork bar 51 passes over the fixed beam B of the loading fork F of the rack R to implement the lifting operation necessary for transferring the cargo W. (see (b) in FIG. 4).

이와 같은 운반포크(50)의 구조와 실시예들은 이미 공지의 내용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tructure and embodiments of the transport fork 50 are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의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에 적용하는 운반포크(50)는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 및 중량에 따라 안정적으로 화물을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보(5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However, the transport fork 50 applied to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tably fixes the beam 52 so that it can stably accommodate and support cargo according to the shape and weight of the loaded cargo. have a supporting structure.

고정보(52)는 단일 각관 형태로 포크바(51)와 직교하면서 각 포크바(51)를 하부 중앙에서 지지하는데, 제3새들(400)의 상부에 접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 화물의 형태 및 중량에 따라 고정보(52)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The fixed beam 52 supports each fork bar 51 at the lower center while orthogonal to the fork bar 51 in the form of a single square tub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xing beam 52 may shake depending on the weight.

이에 따라, 고정보(5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Accordingly, it ha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fixing beam 52 more stably.

일 예로, 고정보(52)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55)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래이트(55) 하부를 제3새들 상부에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도11 및 도 12의 (a)참조). For example, a base plate 55 may be provided under the fixing beam 52, and 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e 55 may be bo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third saddle (Fig. 11 and Fig. 12 (a )reference).

또한, 필요에 따라, 제3새들(400) 상부에 베드 플레이트(56)를 구비하고, 상기 베드 플레이트(Bed Plate)(56) 상부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5) 양쪽 단부의 하부를 접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12의 (b) 참조). In addition, if necessary, a structure in which a bed plate 56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saddle 400 and the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ase plate 55 are bo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d plate 56 may have (see FIG. 12 (b)).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의 적용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3새들(400)의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 새들이 화물보관 랙의 적재보 하부를 지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On the other hand, FIG. 13 shows an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y configuring the length of the third saddle 400 to be short, the saddle may be configured not to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eam of the cargo storage rack. show

구체적으로, 제3새들(400)이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를 포함한 구조로 제2새들의 가이드채널(33)에 대하여 밀접 구비됨으로 휨 변위와 회전 변위를 최소화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 제3새들(400)은 그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3새들(400)은 가이드채널(33)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하고 제2새들(30)의 상부 또는 전방으로 종래보다 돌출되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ird saddle 400 is provided closely to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in a structure including a front roller 410, a rear roller 420, and an intermediate roller 430, so that bending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Whil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o a minimum, the third saddle 40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hort length. At this time, the third saddle 400 may be configured to move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guide channel 33 and not to protrude upward or forward of the second saddle 30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1)는 제3새들(400)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면서도 새들이 화물보관 랙의 적재보(B) 하부를 지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third saddle 400 may be configured to be short while the saddle does not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eam B of the cargo storage rack.

이에 따라 랙의 적재보 하부 밑으로 종래에 새들이 통과하던 공간(사공간)을 없앨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화물적재 단 높이를 절약할(줄일) 수 있어 랙의 적재보 하부에 차량 보호판을 설치하는 등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space (dead space) that birds have passed under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beam of the rack,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ave (reduce) the height of the cargo loading stage, thereby installing a vehicle protection plate under the loading beam of the rack. etc. has the effect of utilizing spa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going to be

1 :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20 : 제1새들
30 : 제2새들
33 : 가이드채널
33a : 상부면
33b : 하부면
33c : 스토퍼
400 : 제3새들
410 : 전방롤러
420 : 후방롤러
430 : 중간롤러
1: Stacker crane fork device
10: base frame
20: first birds
30: second birds
33: guide channel
33a: upper surface
33b: lower surface
33c: stopper
400: 3rd birds
410: front roller
420: rear roller
430: intermediate roller

Claims (10)

스태커크레인(S)의 캐리지(C)에 지지되어 마스트(M)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새들(20)과, 상기 제1새들(20) 상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새들(30)과, 상기 제2새들(30)의 양측에서 제2새들(30)에 대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3새들(400)과, 상기 제3새들(400)에 고정되어 제2새들(30) 위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운반포크(50)를 포함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새들(400)은,
상기 제2새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채널(33)의 내측 하부면(33b)에 밀접하여 위치한 전방롤러(410)와, 상기 전방롤러(410)와 동일축선상에 간격을 가지고 가이드채널(33)의 내측 하부면(33b)에 밀접하여 위치한 후방롤러(420)와, 상기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사이에 위치하되 가이드채널(33)의 내측 상부면(33a)에 밀접하여 위치한 중간롤러(4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내측인 웨브측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의 높이(HG1)는, 상기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 이상이고;
상기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외측인 플랜지측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의 높이(HG2)는, 상기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 보다 작게 구성되나,
상기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가이드채널(33)에 강제조립되고, 조립 후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의 플랜지의 변위는 원형회복이 가능한 탄성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롤러(410),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가이드채널(33)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름운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A base frame (10) supported by the carriage (C) of the stacker crane (S) and movably mounted on the mast (M), and first saddles (20) reciprocating horizontally on the base frame (10); The second saddle 30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first saddle 20, and the third saddle 400 horizontally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saddle 30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addle 30 And, in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including a transport fork 50 fixed to the third saddle 400 and horizontally reciprocating on the second saddle 30,
The third birds 400,
The front roller 410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ner lower surface 33b of the guide channel 33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addle 30 and the front roller 410 are spaced on the same axis. The rear roller 420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ner lower surface 33b of the guide channel 33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guide channel 33 ( an intermediate roller 430 positioned closely to 33a);
The height HG1 from the lowermost part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web side, which is the inside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s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intermediate roller. above height (HR);
The height HG2 of the second saddle 30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flange side outside the guide channel 33 is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top of the intermediate roller. It is configured smaller than the height (HR),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re forcibly assembled to the guide channel 33, and after assembly,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The displacement of the flange of is made within the elastic limit that can restore the original shape,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middle roller (430) are stacker crane fork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rolling motion without leaving the guide channel (33).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내측 하부면(33b)에서 내측 상부면(33a)까지의 높이(HG)는,
상기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보다 롤러의 탄성한계간극(d1) 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H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33b to the inner upper surface 33a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is,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wer than the height (HR)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roller and the rear roller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top of the intermediate roller by the elastic limit gap (d1) of the 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최하부에서 중간롤러 최상부까지의 높이(HR)는,
상기 제2새들(30)의 가이드채널(33) 내측 하부면(33b)에서 내측 상부면(33a)까지의 높이(HG)보다 가이드채널(33)의 탄성한계간극(d2) 만큼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HR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of the third saddle 400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middle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igher than the height (H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33b) to the inner upper surface (33a) of the guide channel (33) of the second saddle (30) by the elastic limit gap (d2) of the guide channel (33) Stacker crane fork device.
삭제delete 제 1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새들(400)의 전방롤러(410)와 후방롤러(420) 및 중간롤러(430)는 각각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or 5,
The stacker cran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roller 410, the rear roller 420 and the intermediate roller 430 of the third saddle 400 are single or plural,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포크(50)는,
새들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포크바(51)와, 포크바(5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포크바(51)의 하부 중앙에서 각 포크바(51)를 동시에 접합 지지하되 제3새들(400)의 상부에 고정된 단일 고정보(52)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보(52)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55)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5) 하부를 제3새들 상부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ort fork 50,
A plurality of fork bars 51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irds, and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fork bars 51, each fork bar 51 at the lower center of the fork bar 51 at the same time It is composed of a single fixing beam 52 fixed to the top of the third saddle 400 while supporting the joint,
A stacker cran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ase plate 55 is provided under the fixing beam 52, and 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e 55 is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third sadd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새들(400) 상부에 베드 플레이트(56)를 구비하고, 상기 베드 플레이트(56) 상부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5) 양쪽 단부의 하부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크레인 포크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stacker cran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ed plate (56)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saddle (400),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ase plate (55) are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d plate (56).
KR1020220057956A 2022-05-11 2022-05-11 Forks of Stacker Crane KR102566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956A KR102566632B1 (en) 2022-05-11 2022-05-11 Forks of Stacker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956A KR102566632B1 (en) 2022-05-11 2022-05-11 Forks of Stacker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632B1 true KR102566632B1 (en) 2023-08-21

Family

ID=8784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956A KR102566632B1 (en) 2022-05-11 2022-05-11 Forks of Stacker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6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5140A (en) * 2024-01-26 2024-03-22 江南大学 Automatic stereoscopic warehous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953A (en) 1991-09-20 1993-04-06 Nkk Corp Recovery of indene from tar
JPH09303512A (en) * 1996-05-09 1997-11-25 Takeshi Hara Slide frame
JP2000159307A (en) * 1998-11-25 2000-06-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lide fork
KR100418328B1 (en) * 2002-09-04 2004-02-14 이완영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KR20050066010A (en) * 2003-12-26 2005-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Carriage device for forklift truck
KR100726080B1 (en) 2006-04-21 2007-06-08 이완영 Carriage of stacker crane
JP2010070284A (en) * 2008-09-17 2010-04-0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Transfer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953A (en) 1991-09-20 1993-04-06 Nkk Corp Recovery of indene from tar
JPH09303512A (en) * 1996-05-09 1997-11-25 Takeshi Hara Slide frame
JP2000159307A (en) * 1998-11-25 2000-06-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lide fork
KR100418328B1 (en) * 2002-09-04 2004-02-14 이완영 Palletless loading structure for storage system
KR20050066010A (en) * 2003-12-26 2005-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Carriage device for forklift truck
KR100726080B1 (en) 2006-04-21 2007-06-08 이완영 Carriage of stacker crane
JP2010070284A (en) * 2008-09-17 2010-04-0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Transfe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5140A (en) * 2024-01-26 2024-03-22 江南大学 Automatic stereoscopic ware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080B1 (en) Carriage of stacker crane
CN110422540B (en) Automatic guide transport vechicle and storage system
CN105966822B (en) Lifting conveying device
KR100843308B1 (en) Automated warehouse
JP5110124B2 (en) Stacker crane
CN112693800B (en) Temporary storage laminate, temporary storage rack, goods shelf and storage device
KR102566632B1 (en) Forks of Stacker Crane
CN102633076A (en) Stereoscopic warehouse provided with lifting shuttle cars
CN102105385A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two load carriages
KR101697657B1 (en) Goods destination system
EP4257517A1 (en) Automated container warehouse
US7350840B2 (en) Lifting device for containers
EP3865451A1 (en) A robotic ground conveyor vehicle
JP7347109B2 (en) Automatic warehouse
JP3451031B2 (en) Automated warehouse with horizontal transfer function between connected automated warehouses
CN202508541U (en) Stereoscopic warehouse with ascending-and-descending shuttle trolleys
KR101464522B1 (en) Stacker crane
CN211664653U (en) Stacker with double stations
KR102612190B1 (en) Loading unit for robot and logistic robot system compatible with jacking type and picking type
KR102476928B1 (en) Carrier vehicle
CN219822527U (en) Warehouse system
CN220765481U (en) Warehouse system
JP7318859B2 (en) Elevating mechanism and three-dimensional automated warehouse equipped with the elevating mechanism
CN220787975U (en) Multi-layer forklift robot
JP7289209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