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855B1 -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855B1
KR102565855B1 KR1020200174430A KR20200174430A KR102565855B1 KR 102565855 B1 KR102565855 B1 KR 102565855B1 KR 1020200174430 A KR1020200174430 A KR 1020200174430A KR 20200174430 A KR20200174430 A KR 20200174430A KR 102565855 B1 KR102565855 B1 KR 10256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ixing
delete delete
ho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700A (ko
Inventor
정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7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8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은, 판형 구조의 바디; 상기 바디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배치되는 철근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를 가진 철근고정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관통배치되는 상기 철근과 상기 고정날개 사이에 끼임구조로 배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고정부는, 상기 철근이 관통배치되게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 내측면에서 돌출된 상기 고정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개는, 상기 바디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단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 또는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비첨단 구조로서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져서 이어진 형상이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철근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삽입홀이 형성된 링본체; 및 상기 링본체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부 둘레의 상기 바디의 일면에 걸리는 링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링은 일단부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무나 수지재질을 포함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철근고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철근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부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고정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날개를 날개압박장치로 압박하여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날개압박장치에 구비된 두 개의 압박부를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압박부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날개를 상기 철근 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철근의 외부표면에 밀착시킨다.

Description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METHOD FOR FIXING STELL BAR USING STELL BAR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철근을 위치고정하는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공법이라 함은 건축물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인 기둥, 보, 슬래브 등을 미리 공장에서 단위 유닛의 형태로 제작하고,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제품을 현장으로 반입하여 단순히 조립만 하거나 일 부분을 타설함으로써 건축물을 시공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물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건축물 중 사용하중이 큰 주차장과 대형 물류 구조의 골조시공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는 구조적인 안정을 위하여 바닥 등의 설치 부위와 프리캐스팅된 철근콘크리트제품의 사이, 또는 철근콘크리트제품과 철근콘크리트제품들 사이의 철근을 이어서 연결하는 기계적 이음공정을 현장에서 수행한다.
철근의 기계적 이음방법에는 슬리브에 철근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슬리브이음 방법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슬리브이음은 슬리브의 내부 공간에 철근을 삽입하고 철근 슬리브 내부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철근이 연결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슬리브 이음작업에 있어서 슬리브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철근 중 일부 철근이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아서 슬리브에 삽입되지 못함으로써,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철근을 잘라낸 후 철근콘크리트제품들을 연결함에 따라 부실시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슬리브 이음작업 뿐만 아니라 철근이 사용되는 많은 분야에서, 철근의 특성상 긴 구조로 인하여 단순히 결속선에 의해서는 수직 또는 수평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복수 개의 철근들에 대한 위치고정을 위해 용접작업 등 매우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요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03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철근을 용접작업 없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위치고정시키는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은, 판형 구조의 바디; 상기 바디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배치되는 철근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를 가진 철근고정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관통배치되는 상기 철근과 상기 고정날개 사이에 끼임구조로 배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고정부는, 상기 철근이 관통배치되게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 내측면에서 돌출된 상기 고정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개는, 상기 바디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단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 또는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비첨단 구조로서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져서 이어진 형상이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철근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삽입홀이 형성된 링본체; 및 상기 링본체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부 둘레의 상기 바디의 일면에 걸리는 링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링은 일단부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무나 수지재질을 포함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철근고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철근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부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고정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날개를 날개압박장치로 압박하여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날개압박장치에 구비된 두 개의 압박부를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압박부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날개를 상기 철근 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철근의 외부표면에 밀착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는 바디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배치되는 철근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를 가진 철근고정부가 구성되는데, 철근고정작업에 있어서 이러한 고정날개에 의한 압박고정구조는 종래의 용접결합구조보다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무엇보다도 작업시간을 확실히 단축시킴으로써 건설현장의 전체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이 구성됨으로써, 관통홀부에 관통배치되는 철근과 고정날개 사이에 고정링이 끼임 시, 고정날개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날개의 압박력을 전달받아 철근의 외주면을 더욱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고정날개를 기반으로 철근을 확실하게 조임에 따라 철근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은 모재를 커팅하여 고정날개를 형성시키고 이러한 고정날개를 절곡 또는 굴곡시켜서 관통홀부를 형성키는 고정부형성단계가 구성됨으로써, 철근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날개를 매우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방법으로 바디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PC기둥이 기초앵커에 연결되면서 세워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PC기둥이 기초앵커에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기초앵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철근고정장치에 철근이 삽입되어 관통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철근고정장치의 고정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고정링에 철근이 삽입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철근고정장치의 관통홀부에 도 9의 고정링이 삽입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고정링이 철근과 관통홀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의 고정날개를 압박장치에 의해 철근에 압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PC기둥이 기초앵커에 연결되면서 세워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PC기둥이 기초앵커에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기초앵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래브(40)에 기둥이 세워지게 설치되는데, 이때 기둥은 프리캐스팅된 PC기둥(30)으로서 슬래브(40)에 구비된 기초앵커(41)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PC기둥(30)의 내부에 배치된 철근(11)과 슬래브(40)의 기초앵커(41)를 이루는 철근(41a)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조립방식을 취하면서 PC기둥(30)이 슬래브(40)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철근(11)(41a)끼리의 연결(이음)을 위해 슬리브(12)가 활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먼저 PC기둥(30)의 제조 시 철근(11)이 슬리브(12)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PC기둥(30)이 제조되어 현장으로 이동된 후에 기초앵커(41)의 철근(41a)이 슬리브(12)의 하부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슬리브(12)의 측부홀(12a)과 연통된 그라우팅홀(30a)을 통해 슬리브(12) 내부에 콘크리트(20')가 타설되어, 슬리브(12) 내부의 철근들(11)(41a)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런데, 복수 개의 철근(11)들을 기존 방식인 결속선 등으로 엮어서 조립할 경우 긴 길이의 철근(11)은 수직 수평을 정확이 잡기 어려우며, 콘크리트 타설 등의 작업을 거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철근(11)들의 간격이 틀어질 경우 후속공정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원인으로 인한 문제는 복수 개의 철근들에 대한 간격, 즉 위치고정이 되어야 하는 건축 및 건설분야의 많은 케이스에서 발생하고 있다.
일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술된 슬리브 이음작업에 있어서 기초앵커의 철근(11)들이 정위치되지 않아서, PC기둥의 슬리브에 모두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삽입되지 않는 철근(11)들을 현장 작업자가 그냥 잘라내게 되는데, 잘라서 제거되는 철근(11)의 수가 복수 개의 철근(11)들 중 내구성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 갯수를 넘게 되는 경우 부실시공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앵커의 철근(41a)에 철근고정판(90)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 철근고정판(90)은 복수 개의 고정홀(90a)이 설정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고정홀(90a)에 삽입되는 철근(41a)들이 설정된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홀(90a)은 철근(41a)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철근(41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철근(41a)이 고정홀(90a)에 삽입된 후에는 철근고정판(90)이 철근(41a)에 고정되도록 고정홀(90a)의 테두리와 철근(41a)을 작업자가 일일히 용접하여 결합한다.
물론, 이와 같은 용접작업은 기초앵커에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철근(41a) 각각이 고정홀(90a)에 삽입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위치고정되기 위해서도 수행되는 작업이다.
특히 물류창고와 같은 건설현장에서는 수백 개의 PC기둥이 사용됨에 따라, 상기 용접작업에 걸리는 시간만큼 공기가 상당히 느려지는 한계점이 있다.
상술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는 철근과의 사이에 용접작업이 필요없도록, 즉 비용접방법으로 철근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철근고정장치에 철근이 삽입되어 관통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는 바디(100)와, 철근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판형 구조를 가지는데, 후술되는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바디(100)로부터 절곡 또는 굴곡된 고정날개(220)를 형성시키기 위해 고정날개(220)를 절곡 또는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정 두께의 판형 구조를 지닌다.
나아가 바디(100)에는 복수 개의 철근(10) 서로에 대한 설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복수 개의 철근고정부(200)가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바디(100)는 복수 개의 철근고정부(200)가 형성가능하도록 적정한 폭과 길이, 즉 적정 넓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바디(100)는 복수 개 철근(10)의 배치구조에 따라 이와 대응되게 형상이 취해짐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 철근(10)의 배치구조에 대응되는 어떠한 형상 또는 형태도 지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고정부(200)는 바디(100)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배치되는 철근(10)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22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근고정부(200)는 관통홀부(210)와 고정날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부(210)는 철근(10)이 관통배치되게 바디(100)에 형성된 홀로서, 삽입되는 철근(1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철근(10)은 관통홀부(210)의 내측면에 연결된 고정날개(22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관통홀부(210)는 실질적으로 철근(1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날개(220)는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관통홀부(210)의 테두리 내측면에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고정날개(220)는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의 측면을 압박하여 철근(10)을 위치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철근(10)의 일측부가 아닌 철근(10)의 둘레에서 철근(10)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 부분 압박함에 따라, 철근(10)을 편중압박하는 것이 아닌 균형적으로 압박하여 철근(10)에 대한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날개(220)는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로부터 관통홀부(210)의 중심 측으로 돌출배치된 구조를 지님으로써, 철근(10)이 관통홀부(210)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압박되는 것이 아닌 고정날개(220)에 접촉되어 압박된다.
이러한 고정날개(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지만, 다른 돌출된 구조로서 철근(10)의 삽입은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하는 반면에 철근(10)에 대한 압박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정날개(22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엠보싱 구조의 돌기가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관통홀부(210)의 중심 측으로 배치된 구조를 지님으로써, 관통홀부(210)에 대한 철근(10)의 삽입 시 일정 정도의 압력에 의해 철근(10)이 억지삽입됨과 동시에 철근(10)의 측면을 적정 압력으로 압박하여 철근(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철근(10)이 관통홀부(210)에 삽입 시 관통홀부(210)의 테두리에 접촉되지 않아서 삽입자체는 원활하면서도 관통홀부(21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에 의해 압박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철근고정작업에 있어서 이와 같은 고정날개(220)에 의한 압박고정구조는 종래의 용접결합구조보다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무엇보다도 작업시간을 확실히 단축시킴으로써 건설현장의 전체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여기에서 고정날개(2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날개(220)는 바디(100)와 일체형으로서 바디(100)로부터 관통홀부(210)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즉, 본 발명의 철근고정장치는 후술되는 제조방법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재(M)를 커팅함으로써, 바디(100)와 이러한 바디(100)로부터 연장되어 관통홀부(210)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날개(22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날개(220)는 어렵게 관통홀부(210)의 테두리에 체결 또는 결합되는 것이 아닌, 모재(M)가 간단히 커팅됨으로써 바디(100)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날개(220)는 단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바디(100)로부터 절곡 또는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모재(M)를 커팅 시 관통홀부(210)의 중심 측을 가로질러서 커팅하게 되면 고정날개(220)는 단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게 되며, 이러한 형상의 커팅으로 인하여 바디(100)와 연결된 부분은 넓게 형성되어 견고한 이음부위가 되며, 단부 측은 좁게 형성됨으로써 많은 수의 고정날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날개(220)는 바디(100)로부터 절곡 또는 굴곡된 구조를 지님으로써, 고정날개(220)가 절곡 또는 굴곡되어 연장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철근(10)이 삽입되는 경우 관통홀부(210)에 대한 철근(1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날개(220)가 절곡 또는 굴곡된 후 관통홀부(21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우 고정날개(220)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철근(10)을 보다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날개(220)는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형성되어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이격공간에 철근(10)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리브돌기가 배치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가 철근(10)의 측면을 리브돌기와 간섭되지 않게 압박함에 따라 철근(10)에 대한 보다 견고한 고정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날개(220)는 끝단이 철근(10)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비첨단(非尖端) 구조로서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져서 이어진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고정날개(220)의 끝단이 뾰족한 첨단(尖端) 구조인 경우, 철근(10)을 관통홀부(210)에 삽입 시 고정날개(220)의 끝단과의 마찰로 인하여 철근(10)과 고정날개(220) 모두 손상될 수 있고, 첨단 구조에 의한 압박은 다소 압박력이 떨어짐에 따라, 고정날개(220)의 끝단이 철근(10)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비첨단(非尖端) 구조로서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져서 이어진 형상을 취함으로써 철근(10)과 고정날개(2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철근(10)에 대한 고정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철근(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마디돌기(10a)를 가지는데, 고정날개(220) 끝단의 비첨단 구조는 이러한 마디돌기(10a)를 따라 일정 폭만큼 걸리는 구조임에 따라, 철근고정장치가 철근(10)에 견고하게 안착배치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위와 같은 고정날개(220) 끝단의 비첨단 구조는 후술되는 도 7의 날개형성공정(S210)에서와 같이 철근고정부(200)의 중심부가 타공되어 제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철근고정장치의 고정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고정링에 철근이 삽입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철근고정장치의 관통홀부에 도 9의 고정링이 삽입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9의 고정링이 철근과 관통홀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정링(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300)은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과 고정날개(220) 사이에 끼임구조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링(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과 고정날개(220) 사이에 끼임 시, 고정날개(22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날개(220)의 압박력을 전달받아 철근(10)의 외주면을 더욱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고정날개(220)를 기반으로 철근(10)을 확실하게 조임에 따라 철근(10)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링(300)은 링본체(310)와, 링헤드(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링본체(310)는 철근(1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삽입홀(31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링본체(310)의 삽입홀(310a)이 철근(10)과 대응되는 직경을 지님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이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기 전에 철근(10)이 삽입홀(310a)에 삽입되어 철근(10)에 고정링(300)이 조립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헤드(320)는 링본체(310)의 일단부(도면 상의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관통홀부(210) 둘레의 바디(100)의 일면에 걸리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이 링헤드(320)가 관통홀부(210)의 테두리에 걸리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이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기 전에 고정링(300)의 링본체(310)가 관통홀부(210)에 삽입되고 링헤드(320)가 관통홀부(210)의 테두리에 걸린 상태로서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후 철근(10)이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기 위해 고정링(300)의 삽입홀(310a)에 삽입 시, 링헤드(320)의 걸림구조로 인하여 고정링(300)이 관통홀부(21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300)은 일단부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링(300)은 링본체(310)의 일단부에 돌출된 링헤드(320)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링헤드(320)도 형성되고 링헤드(320) 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를 모두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링(300)의 구조는 쐐기 구조로서 고정날개(220)를 기반으로 한 철근(1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300)은 고무나 수지재질을 포함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00)이 고정날개(220)와 철근(10) 사이에 배치 시, 고정날개(220)와 철근(10) 모두 고정링(300)을 압박하여 플레서블한 고정링(300)의 표면이 일정 정도 눌러지면서 압착되면, 고정날개(220)와 철근(10)에 대한 압박표면적이 늘어남으로써, 고정날개(220)를 기반으로 한 철근(10)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는 도 13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210)에 철근(10)이 배치된 후, 날개압박장치(P)로 고정날개(220)를 철근(10) 측으로 압박하여 철근(10)의 외부표면에 대응되게 밀착시킴으로써, 고정날개(220)에 의해 철근(1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철근고정장치에 대한 제조방법을 도 7, 도 8,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은 모재마련단계(S100)와, 고정부형성단계(S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모재마련단계(S100)는 판형 구조의 모재(M)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이때, 모재(M)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으로 내부가 빈 직사각형 판재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상의 판재 형상을 취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 철근(10)의 배치상태에 대응되는 어떠한 형상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모재(M)에 형성된 점선은 추후 커팅될 절취선이고, 빗금친 부분은 커팅되어 제거될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형성단계(S200)는 모재(M)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의 철근고정부(200)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고정부형성단계(S200)에서, 철근고정부(20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220)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모재(M)에서 철근고정부(200)를 제외한 부분은 바디(100)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형성단계(S200)는 날개형성공정(S210)과 홀부형성공정(S220)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날개형성공정(S210)은 모재(M)에서 철근고정부(200)의 내측 부분을 커팅하여 바디(100)와 일체형으로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홀부형성공정(S220)은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동일방향으로 절곡 또는 굴곡시켜서 철근(10)이 관통배치되는 관통홀부(210)를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형성공정(S210)에서 고정날개(220)가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로부터 관통홀부(2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모재(M)를 커팅한다.
이러한 날개형성공정(S210)에서 고정날개(220)가 관통홀부(210)의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도록 모재(M)를 커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형성공정(S210)에서 고정날개(220)가 관통홀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모재(M)에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 사이를 커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형성공정(S210)에서 관통홀부(2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가상선을 따라 모재(M)를 커팅하여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재(M)가 커팅되어 고정날개(220)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날개(220)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방법으로 바디(100)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형성공정(S210)에서 고정날개(220)가 커팅되어 형성되기 전에 모재(M)에서 철근고정부(200)의 중심부를 타공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공으로 고정날개(220)의 끝단은 비첨단 구조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비첨단 구조는 철근(10)과 고정날개(2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철근(10)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부형성공정(S220)은 철근고정부(200)에서의 가상 중심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가압바로 밀어서 관통홀부(2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일례로서 철근고정장치로 복수 개의 철근(10)들을 고정하기 전에 가압바로 고정날개(220)를 밀어서 절곡 또는 굴곡시켜 관통홀부(2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런데,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가압바로 밀지 않고, 본 발명의 철근고정장치로 복수 개의 철근(10)에 대한 위치고정하는 과정에서, 철근(10)으로 직접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밀어서 절곡 또는 굴곡시켜서 관통홀부(210)를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링마련단계(S300)와, 링조립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링마련단계(S300)는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과 고정날개(220) 사이에 배치되기 위한 고정링(300)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링조립단계(S400)는 고정링(300)을 관통홀부(210)에 삽입배치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고정링(300)은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과 고정날개(220) 사이에 끼임 시, 고정날개(22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날개(220)의 압박력을 전달받아 철근(10)의 외주면을 더욱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고정날개(220)를 기반으로 철근(10)을 확실하게 조임에 따라 철근(10)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링(300)에 대한 구조는 이미 상술되었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고정방법은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철근고정부(200)를 포함하는 철근고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철근고정부(200)에 형성된 관통홀부(210)에 철근(1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철근고정부(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날개압박장치(도 13의 P)로 압박하여 철근(10)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철근(10)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날개압박장치(P)에서 구비된 두 개의 압박부(Pa)를 회전시켜 두 개의 압박부(Pa)로 복수 개의 고정날개(220)를 철근(10) 측으로 압박하여 철근(10)의 외부표면에 밀착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는 바디(100)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배치되는 철근(10)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220)를 가진 철근고정부(200)가 구성되는데, 철근(10)고정작업에 있어서 이러한 고정날개(220)에 의한 압박고정구조는 종래의 용접결합구조보다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무엇보다도 작업시간을 확실히 단축시킴으로써 건설현장의 전체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300)이 구성됨으로써, 관통홀부(210)에 관통배치되는 철근(10)과 고정날개(220) 사이에 고정링(300)이 끼임 시, 고정날개(22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날개(220)의 압박력을 전달받아 철근(10)의 외주면을 더욱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고정날개(220)를 기반으로 철근(10)을 확실하게 조임에 따라 철근(10)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은 모재(M)를 커팅하여 고정날개(220)를 형성시키고 이러한 고정날개(220)를 절곡 또는 굴곡시켜서 관통홀부(210)를 형성키는 고정부형성단계(S200)가 구성됨으로써, 철근(10)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날개(220)를 매우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방법으로 바디(100)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철근 M : 모재
100 : 바디 200 : 철근고정부
210 : 관통홀부 220 : 고정날개
300 : 고정링 310 : 링본체
310a : 삽입홀 320 : 링헤드
S100 : 모재마련단계 S200 : 고정부형성단계
S210 : 날개형성공정 S220 : 홀부형성공정
S310 : 링마련단계 S320 : 링조립단계

Claims (19)

  1. 판형 구조의 바디;
    상기 바디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배치되는 철근의 측면을 압박고정하는 고정날개를 가진 철근고정부; 및
    관통홀부에 관통배치되는 상기 철근과 상기 고정날개 사이에 끼임구조로 배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고정부는,
    상기 철근이 관통배치되게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 내측면에서 돌출된 상기 고정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개는,
    상기 바디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단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 또는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비첨단 구조로서 양측단으로부터 절곡져서 이어진 형상이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철근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삽입홀이 형성된 링본체; 및
    상기 링본체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부 둘레의 상기 바디의 일면에 걸리는 링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링은 일단부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무나 수지재질을 포함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철근고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철근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부에 상기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고정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날개를 날개압박장치로 압박하여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날개압박장치에 구비된 두 개의 압박부를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압박부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날개를 상기 철근 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철근의 외부표면에 밀착시키는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00174430A 2020-12-14 2020-12-14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KR10256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0A KR102565855B1 (ko) 2020-12-14 2020-12-14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0A KR102565855B1 (ko) 2020-12-14 2020-12-14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0A KR20220084700A (ko) 2022-06-21
KR102565855B1 true KR102565855B1 (ko) 2023-08-11

Family

ID=8222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430A KR102565855B1 (ko) 2020-12-14 2020-12-14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8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17B1 (ko) 2005-02-07 2007-03-09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강관말뚝기초 보강장치
KR20070084975A (ko) * 2006-02-22 2007-08-27 연재현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20090129138A (ko) * 2008-06-12 2009-12-16 하창완 지주용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 스페이서
KR20200119963A (ko) * 2019-04-11 2020-10-21 박선희 철근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0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9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809687B1 (ko) 철골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947340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3815A (ko) 향상된 시공정밀도 및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구조물의 기초보강방법
KR102072043B1 (ko)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65855B1 (ko) 철근고정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고정방법
JP20070923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柱梁の接合方法
JP6279637B2 (ja) リング体の製造方法、リング体及びリング体を用いた接合金具
KR20190057672A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CN111356810B (zh) 阳台安装
KR100865133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JP4903110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および布基礎
JP4447632B2 (ja) 梁、および梁と柱の接合構造ならびにその接合方法
JP2007255006A (ja) 鉄骨柱と既製杭との接合方法
JP2017125322A (ja) 基礎構造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2658468B1 (ko) 고정단 형성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73202A (ko) 철근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
KR102235873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695491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297110B1 (ko) 충전 강관
JP2009108501A (ja) PCa部材製造方法、PCa部材、PC梁材、及び建物
KR100877190B1 (ko) 띠장의 간격조절구
JPH0652001B2 (ja) 構造用柱および架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