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820B1 -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 Google Patents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820B1
KR102565820B1 KR1020220154461A KR20220154461A KR102565820B1 KR 102565820 B1 KR102565820 B1 KR 102565820B1 KR 1020220154461 A KR1020220154461 A KR 1020220154461A KR 20220154461 A KR20220154461 A KR 20220154461A KR 102565820 B1 KR102565820 B1 KR 10256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arts
mortar layer
weight
mix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호
정동균
Original Assignee
정성호
정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정동균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102022015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04B2111/62Self-levell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하면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으로서,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규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 형성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High Elasticity, Waterproof Self-Leveling Mortar Layer Forming Product}
본 발명은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카제인나트륨,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규산나트륨,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포함하는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수평몰탈 조성물이란, 유동성을 가진 조성물이 중력에 의해 표면에 균일하게 수평을 유지하며 평탄하게 퍼지는 기능을 갖는 몰탈 조성물을 의미한다. 자동수평몰탈의 경우, 별도의 평탄화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도 조성물 자체의 성질에 따라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우수한 사용성을 바탕으로 자동수평몰탈 조성물은 몰탈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몰탈층은 시멘트 및 무기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몰탈 형성 조성물이 코팅이 요망되는 표면 위에 도포된 후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표면의 평탄화, 크랙의 메움과 같은 보수 공사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몰탈층은 시멘트 분말 및 광물 분말, 즉 돌가루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경화 후 방수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몰탈층이 형성된 후 방수성을 갖춘 별도의 상도 마감이 필요하고, 특히 건물의 옥상과 같이 방수성이 반드시 요구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동수평몰탈을 사용하는 경우, 시공의 용이성에 초점이 맞추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상도 마감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은 전체 작업의 목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상도 마감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작업 시간이 장기간 소요된다는 점에서, 자동수평몰탈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방수성을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자동수평몰탈 조성물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몰탈층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층은 높은 하중, 예를 들면 차량과 같은 물품에 의한 하중을 겪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형성된 몰탈층이 경화된 이후에는 몰탈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또는 심지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몰탈층이 경화된 이후에도 탄성을 가지는 것을 통해, 몰탈층이 고하중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는, 자동수평몰탈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탄성을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자동수평몰탈 조성물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종래의 몰탈방수재 계열 제품들은 원액을 물과 교반한 후, 이에 레미탈을 다시 혼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레미탈에 혼합된 모래가 가라앉아 균일한 품질의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혼합물을 교반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어, 분말 형태의 제1 혼합용 조성물과 액체 형태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최종 형성되는 몰탈층의 우수한 품질을 도출할 수 있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별도의 상도 마감 없이도 충분한 방수성을 가지고 높은 탄성을 가져 우수한 내하중성을 제공하는 자동수평몰탈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형성된 몰탈층이 몰탈층을 구성하는 수용성 무기질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방수성 및 우수한 강도를 제공하는 자동수평몰탈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과 같은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간편성을 가지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성 무기질의 미세한 조직 사이로 바탕면의 습기 및 몰탈층 내부의 습기는 통과 및 증발되어 외부로 확산되지만, 몰탈층의 상부 면에 접촉되는 물은 차단하여 바탕면의 부식 내지는 노후화를 예방할 수 있고,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바탕면에도 시공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지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레탄 또는 에폭시와 같은 하도마감 없이도 바탕면에 직접 시공이 가능하고 바탕면과의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성 제품으로 친환경성을 가지고, 내후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규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 형성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카제인나트륨,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규산나트륨,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 형성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의 중량 및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5 내지 1.0:1.1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몰탈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상도 마감이 필요하지 않은 수준의 우수한 방수성을 가지고, 고탄성에 기반한 우수한 내하중성을 가져 고하중이 가해지는 장소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몰탈층을 구성하는 수용성 무기질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통해 바탕면의 습기 및 몰탈층 내부의 습기는 통과 및 증발되어 외부로 확산 제거되지만, 몰탈층의 상부 면에 접촉되는 물은 차단하는 선택적 투수성 및 투습성을 가지는 몰탈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바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당연한 효과 및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개시되지 않았더라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과제해결원리와 동일성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구성을 부가 내지는 변경함에 따른 효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로서 의도된 것이고, 통상의 기술자라면 큰 어려움 없이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들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을 사용하여 형성된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조성물의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용되는 사전적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용어 또는 단어를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가 자명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관념을 표현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의미하는 바를 전달하기 위한 범위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이 이해되고 또 이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지 예시로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을 이에 한정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각각의 구성에 관한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 양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양태에도 자명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구성과 구체적인 실시 양태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이 개시하는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항목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단수형 용어는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포함한다(comprising)'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의 용어는 언급된 항목들 외의 다른 항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용어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의 범위는, 상기 용어의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 값과 상한 값으로써 포함하는 수치의 범위를 나타낸다. 임의의 수치 범위의 상한과 하한으로서의 수치 값이 각각 복수 개로 개시된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치의 범위는 복수의 하한 값 중 임의의 하나의 값 및 복수의 상한 값 중 임의의 하나의 값을 각각 하한 값 및 상한 값으로 하는 임의의 수치의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또는 '대략'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용어의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1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인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양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고, 일 구현예에서 생략된 기재는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합용 조성물은 분체상의 조성물로서, 제1 혼합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분말로서 포함되고 이들이 혼합된 분체상의 조성물일 수 있다. 제1 혼합용 조성물을 형성하는 분말은 100 내지 700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혼합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분말로서 포함되는 경우 각 성분인 분말의 평균 입자 직경 또한 100 내지 7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혼합용 조성물은 액상의 조성물로서, 제2 혼합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용액과 같은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과 혼합되어 바탕면에 타설될 수 있다. 타설된 혼합물의 경우, 완전 경화까지는 최소 3시간 이상이 소요되므로, 상기 혼합은 복수 회에 나뉘어 수행되어도 무관하고, 혼합 시 교반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기술 및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채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수단 및 방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에 의해 형성된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의 중량 및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5 내지 1.0:1.1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몰탈층일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제1 혼합용 조성물이 18kg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8.1kg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1 혼합용 조성물이 16kg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8.7kg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에 의해 형성된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의 두께는, 1.0 내지 5.0mm, 2.0 내지 4.0mm, 또는 2.5 내지 3.5mm일 수 있다. 최종 형성되는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의 두께의 조절은, 제1 혼합용 조성물에 대한 제2 혼합용 조성물의 중량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달성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제1 혼합용 조성물에 대한 제2 혼합용 조성물의 중량비가 감소되면 혼합물의 점성 증가로 인해 몰탈층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규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 형성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규사는 20 내지 70메시(mesh)의 200 내지 90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는 규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메시의 200 내지 50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는 규사일 수 있다. 상기 규사는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내지 250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80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글래스 버블은 통상의 기술자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글래스 버블로서, 바람직하게는 3MTM사에서 입수 가능한 3MTM Glass Bubbles S4630, 3MTM Glass Bubbles iM30K, 3MTM Glass Bubbles S60HS, 3MTM Glass Bubbles S3240-VS, 및 3MTM Glass Bubbles iM16K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제품이 적합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Glass Bubbles iM30K 제품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글래스 버블이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글래스 버블이 포함됨에 따른 수용성 무기질 간의 간격 유지 효과가 미미하여 본 발명에 특유한 우수한 효과들이 미미하게 관측되므로 글래스 버블의 함량의 하한은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중량부인 것이 적당하고, 상기 글래스 버블이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80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최종 형성된 자동수평몰탈층의 강도가 불량해지므로 글래스 버블의 함량의 상한은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80중량부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글래스 버블은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80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및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통상의 기술자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아크릴 수지일 수 있고, 또는 광경화성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가 광경화성인 경우, 이러한 아크릴 수지를 경화시키는 광은 자외선 파장대에 속하는 광일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이 건물의 옥상 등에 적용되는 경우, 햇빛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아크릴 수지가 제1 혼합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아크릴 수지는 모노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함량은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250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경화제는 중합 개시제로, 상기 중합이 라디칼 중합인 경우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BPO(과산화벤조일, Benzoyl Peroxide), TBPB(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ert-butylperoxybenzoat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제1 혼합용 조성물에 포함된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중량부, 0.7 내지 1.3 중량부, 0.8 내지 1.2 중량부, 또는 0.9 내지 1.1 중량부인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규산나트륨은 액상 규산나트륨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액산 규산나트륨 조성물은 물 중 산화나트륨 및 이산화규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고, 물 중 상기 산화나트륨과 이산화규소의 중량%가 각각 14 내지 15, 및 34 내지 36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 중 상기 이산화규소의 중량%가 36을 초과하는 경우, 액상 규산나트륨 조성물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후행되는 공정 단계에서의 혼련이 용이하게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어, 상기 액상 규산나트륨 조성물의 이산화규소의 중량%의 상한은 36인 것이 적당하고, 물 중 상기 이산화규소의 중량%가 34 미만인 경우, 최종 제품을 구성하는 복합재료에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어, 상기 액상 규산나트륨 조성물의 이산화규소의 중량%의 하한은 34인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규산나트륨은 제2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8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카제인나트륨,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규산나트륨,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 형성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제인나트륨은 화학식 (C8H15NaO8)로 표시되는 단백질 성분으로,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지며 트랜스글루타미나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교차결합을 형성하여 더욱 뛰어난 열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 15 내지 25중량부, 또는 17 내지 23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합용 조성물에 카제인나트륨이 포함되는 경우, 제2 혼합용 조성물에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가 포함될 수 있고,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제1 혼합용 조성물에 포함된 카제인나트륨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8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합용 조성물에는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카제인나트륨, 및 아크릴 수지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기타 성분이 추가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상기 기타 성분으로는 유동화제, 경화지연제, 증점제, 실란 커플링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2-(3,4 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톡시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란 커플링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란 커플링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명시되지 않은 공정 조건 및 준비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공정 조건 또는 준비 단계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를 바탕으로 이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본 발명의 과제해결원리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 제품의 제조
규사(6호사) 200g, 글래스 버블(3M사로부터 입수, 상업명 Glass Bubbles iM30K) 50g, 아크릴 수지(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단량체) 150g,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5g, 및 시멘트 600g을 건조한 환경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액상 규산나트륨(KS 규격 2호, 영일화성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50g, 과산화벤조일 1.5g, 및 물 950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 혼합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의 형성
제1 혼합용 조성물 160g과 제2 혼합용 조성물 87g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200rpm으로 3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우레탄으로 표면 처리된 콘크리트의 우레탄 표면에 균일 혼합된 조성물을 적가하고 두께 3mm가 되도록 고르게 도포하였다. 직사광선에 노출시킨 후 대기 온도는 상온인 조건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완전히 경화된 자동수평몰탈층을 확인하고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카제인나트륨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제가 포함된 실시예 3 제품의 제조
제1 혼합용 조성물에 20g의 카제인나트륨을 포함시키고 시멘트를 58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제1 혼합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제2 혼합용 조성물에 13g의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포함시키고 물을 94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제2 혼합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실시예 2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완전히 경화된 자동수평몰탈층을 확인하고 물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비교 몰탈층의 제조
규사(6호사) 200g, 및 시멘트 800g을 사용하여 제1 혼합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물 1000g의 제2 혼합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실시예 2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완전히 경화된 몰탈층을 확인하고 물성을 비교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3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조성물에 대해 KS F 4041-2019에 따라 플로우값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252mm로 측정되어, 우수한 플로값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KS F 4919-2008에 따라 겉모양, 부착강도, 내잔갈림성, 흡수량, 인장강도, 습기투과성, 내균열성, 내알칼리성, 내투수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무기분체 및 폴리머 혼화액 모두 겉모양에 있어서 이상없음으로 평가되었고, 부착강도는 표준 3.0N/mm2, 침수 후 1.7/mm2로 평가되었다. 흡수량은 1.4g, 인장강도는 1.4N/mm2, 습기투과성(Sd)는 3.2m로 평가되었다. 내잔갈림성, 내균열성(-10℃ 및 20℃), 내알칼리성, 내투수성 모두 이상없음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조성물에 대해 KS F 4041-2019에 따라 플로우값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245mm로 측정되어, 실시예 1에 비하여는 낮지만 여전히 우수한 플로값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KS F 4919-2008에 따라 겉모양, 부착강도, 내잔갈림성, 흡수량, 인장강도, 습기투과성, 내균열성, 내알칼리성, 내투수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무기분체 및 폴리머 혼화액 모두 겉모양에 있어서 이상없음으로 평가되었고, 부착강도는 표준 2.8N/mm2, 침수 후 2.0/mm2로 평가되었다. 흡수량은 1.5g, 인장강도는 1.7N/mm2, 습기투과성(Sd)는 3.5m로 평가되었다. 내잔갈림성, 내균열성(-10℃ 및 20℃), 내알칼리성, 내투수성 모두 이상없음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높은 플로우값을 가져 우수한 시공성을 가지고, 상기 제품에 의해 형성된 자동수평몰탈층 조성물은 높은 습기투과성을 가지는 동시에 내투수성이 이상없음으로 평가되어 하층의 습기 배출이 원활하면서도 방수성은 뛰어난 성질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착강도가 2.8 내지 3.0N/mm2로 평가되어 기존의 몰탈층이 통상 0.8N/mm2의 부착강도를 가지는 것과 비교하여 현저히 향상된 부착성을 가짐이 확인되었으며, 내잔갈림성 및 내균열성이 저온 및 고온에서 모두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비교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3과 비교 몰탈층과의 탄성 비교 평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몰탈층의 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3에서 제조된 우레탄으로 표면 처리된 콘크리트의 우레탄 표면에 형성된 완전 경화된 몰탈층을 준비하였다. 쇠헤라를 사용하여 각 몰탈층을 분리하고, 굽힘 정도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몰탈층은 지름 5cm의 원통형을 형성할 때까지, 실시예 3에 따른 몰탈층은 지름 8cm의 원통형을 형성할 때까지 굽혀진 후 파단됨이 관측되었다. 비교예 1에 따른 몰탈층은 쇠헤라로 전부가 분리되지 않고 파손되었으며, 분리된 일부는 굽힘 평가가 불가할 정도로 외력에 의해 파손되었다. 평가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은 높은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

  1. 분체상의 제1 혼합용 조성물 및 액상의 제2 혼합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으로서,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시멘트, 규사, 글래스 버블,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분체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물, 아크릴 수지 경화제, 및 규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이고,
    상기 규사는 40 내지 70메시(mesh)의 200 내지 50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고, 상기 규사는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내지 200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글래스 버블은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70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아크릴 수지는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120 내지 180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아크릴 수지 경화제는 제1 혼합용 조성물에 포함된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7 내지 1.3 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규산나트륨은 제2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75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은 카제인나트륨을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카제인나트륨은 상기 제1 혼합용 조성물의 10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 내지 25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제2 혼합용 조성물은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상기 카제인나트륨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60 내지 70중량부로 함유되는,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KR1020220154461A 2022-11-17 2022-11-17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KR102565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461A KR102565820B1 (ko) 2022-11-17 2022-11-17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461A KR102565820B1 (ko) 2022-11-17 2022-11-17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820B1 true KR102565820B1 (ko) 2023-08-10

Family

ID=8756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461A KR102565820B1 (ko) 2022-11-17 2022-11-17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8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263A (ja) * 2001-07-09 2003-01-24 Toli Corp セルフレベリング材
JP2003267771A (ja) * 2002-03-14 2003-09-25 Taiheiyo Cement Corp セルフレベリング性組成物
KR100880587B1 (ko) * 2008-07-31 2009-02-04 (주)엘피시스 셀프 레베링 바닥몰탈재 제조방법
KR100943308B1 (ko) * 2009-08-07 2010-02-23 고광식 내구성이 우수한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69183B1 (ko) * 2011-10-17 2012-07-30 (주)노루페인트 차열 상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차열 상도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방수시공방법
JP2014073941A (ja) * 2012-10-05 2014-04-24 Houn:Kk 断熱モルタル及びその硬化体
KR102092905B1 (ko) * 2019-06-25 2020-03-24 정상영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263A (ja) * 2001-07-09 2003-01-24 Toli Corp セルフレベリング材
JP2003267771A (ja) * 2002-03-14 2003-09-25 Taiheiyo Cement Corp セルフレベリング性組成物
KR100880587B1 (ko) * 2008-07-31 2009-02-04 (주)엘피시스 셀프 레베링 바닥몰탈재 제조방법
KR100943308B1 (ko) * 2009-08-07 2010-02-23 고광식 내구성이 우수한 셀프레벨링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169183B1 (ko) * 2011-10-17 2012-07-30 (주)노루페인트 차열 상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차열 상도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방수시공방법
JP2014073941A (ja) * 2012-10-05 2014-04-24 Houn:Kk 断熱モルタル及びその硬化体
KR102092905B1 (ko) * 2019-06-25 2020-03-24 정상영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1599B (zh) 一种聚合物水泥基防水涂料
RU2570878C2 (ru) Дисперсии полиуретан-акриловых полимер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я
CN104403400B (zh) 一种抗裂腻子及其使用方法
CN102433050B (zh) 一种纳米多功能衬底涂料及其制备方法
JPH10251618A (ja) ざらつき感が付与されたシーリング材組成物
KR100478446B1 (ko) 건축용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2012092289A (ja) 水性塗料組成物
US20190270895A1 (en) Decorative colored particle dispersion for use in surfac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18025045A (ja) 防水積層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25558B1 (ko) 폴리머 시멘트 및 아크릴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KR101068958B1 (ko) 친환경 순환골재를 이용한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65820B1 (ko) 고탄성의 방수성 자동수평몰탈층 형성 제품
KR101563291B1 (ko) 에폭시수지에 고무를 혼합한 방수방식용 도료조성물
KR102241950B1 (ko) 방수·방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시공 방법
CN109836876A (zh) 一种路用水性双层硅膜嫁接改性发光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491313B2 (ja) 装飾面の塗装仕上げ方法、及び装飾積層体
CN108822609A (zh) 外墙抗裂腻子粉
EA012297B1 (ru) Смесь для облицовки
KR101690472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KR101665486B1 (ko) 콘크리트 혼화용 아크릴계 합성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의한 교면포장 및 보수공법
KR102666363B1 (ko) 친환경 수성 칼라 본타일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145086B2 (ja) 表面強化用組成物及びその表面強化方法
KR20060104461A (ko) 폐타이어고무를 함유하는 건조 폴리머 코팅재의 제조방법
KR100503493B1 (ko) 고무아스팔트 몰탈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28133B1 (ko) 단열접착제 또는 바탕바름재로 사용되는 건축용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