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787B1 -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787B1
KR102565787B1 KR1020160042420A KR20160042420A KR102565787B1 KR 102565787 B1 KR102565787 B1 KR 102565787B1 KR 1020160042420 A KR1020160042420 A KR 1020160042420A KR 20160042420 A KR20160042420 A KR 20160042420A KR 102565787 B1 KR102565787 B1 KR 10256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display unit
coupl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836A (ko
Inventor
남원석
송윤상
허동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7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은, 단자 연결부; 상기 단자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전류가 입력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단자 연결부의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단자에 입력된 전류가 출력되는 결합 단자; 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전원 연결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 with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발명이다.
대형 전광판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생산 비용이 매우 올라가게 되고, 원하는 크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작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대형 전광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제작된다.
대형 전광판에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포함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적 이슈가 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수가 늘어날수록 개별적으로 각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전원선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하면, 늘어나는 전원선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
대형 전광판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디스플레이 유닛이 슬림(slim)한 건이 요구된다. 슬림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닛의 조립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전원 연결을 위한 배선 작업 때문에, 전체적인 전광판의 두께가 늘어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대형 전광판은 설치외에 수리 용이성도 요구된다.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에서 일부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난 디스플레이 유닛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원 연결 배선을 해체해야 하고, 새로운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치한 후 다시 전원 연결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하여 전광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각 디스플레이 유닛에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하면서 슬림하게 결합할 수 있고, 고장난 디스플레이 유닛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요구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5-0006193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할 때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도 함께 연결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은, 단자 연결부; 상기 단자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전류가 입력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단자 연결부의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단자에 입력된 전류가 출력되는 결합 단자; 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전원 연결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할 때, 결합과 동시에 전원 연결이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 간의 전원 연결을 위한 외부의 전원 코드 및 전원 연결 작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에서, 고장난 디스플레이를 교체할 때 전원 연결을 위한 배선을 해체하고 재연결하는 작업 없이 새 디스플레이 유닛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전원 연결도 완료되기 때문에, 고장난 디스플레이 유닛의 교체가 좀 더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 단자 부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 단자 부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도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내부에 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의 삽입 개폐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연결된 결합 가이드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자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의 평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향의 전원 연결부가 추가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 개를 매트릭스 형태로 연결되어 대형 전광판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각 디스플레이 유닛에 AC 전원을 각각 연결하게 되면, 전원 배선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개수만큼 늘어나게 되고, 상기 대형 전광판에서 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는 전원 배선의 길이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 15)의 후면에 암단자(20, 25) 및 숫단자(30, 35)가 구비될 수 있다. 하단의 디스플레이 유닛(15)는 제1 전원 연결 코드(60)을 이용하여, AC 전원(70)에 직접 연결된다. 제1 전원 연결 코드(60)의 제1 암연결 단자(62)는 숫연결 단자(35)에 연결되고, 제2 숫연결 단자(64)는 AC 전원(70)에 연결된다. 상단의 디스플레이 유닛(10)은 하단의 디스플레이 유닛(15)에 제2 전원 연결 코드(50)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제2 전원 연결 코드(50)의 제2 암연결 단자(52)가 숫단자(30)에 결합되고, 제2 숫연결 단자(54)가 암단자(25)에 결합됨으로써, 하단의 디스플레이 유닛(15)으로부터 상단 디스플레이 유닛(10)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는 두 개의 종래의 디스플레이 유닛(10, 15)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연결되어 대형 전광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 15)은 제2 전원 연결 코드(50)을 통해서 연결된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 연결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경우에, 각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암단자와 숫단자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전원 연결 코드에 의해서 후면 방향으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경우,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 단자 부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 단자 부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복수의 전원 연결부(101, 102,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단상 3선 전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며,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단상 3선 전원의 각 전원선인 라이브(live), 그라운드(GND) 및 뉴트럴(neutral) 라인에 각각 결합하는 제1 전원 연결부(101), 제2 전원 연결부(102) 및 제3 전원 연결부(10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단상 3선 전원이 아닌 다른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전원선의 개수에 따라 전원 연결부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101), 제2 전원 연결부(102) 및 제3 전원 연결부(103)는 각각 일정한 간격(w)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w)는 3 [mm] 이상이며,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폭을 전원 연결부의 개수 보다 하나 적은 수로 나눈 값보다 작아야 한다.
전원 연결부(101, 102, 103)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어느 하나의 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원 연결부(101), 제2 전원 연결부(102) 및 제3 전원 연결부(103)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측면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연결부(101, 102, 103)는 연결 단자(110, 120, 130), 단자 연결부(115, 125, 135) 및 결합 단자(112, 122,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10, 120, 130)는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하는 숫단자일 수 있다. 결합 단자(112, 122, 132)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결합되는 암단자일 수 있다. 단자 연결부(115, 125, 135)는 연결 단자(110, 120, 130)와 결합 단자(112, 122, 132)를 연결하며 연결 단자(110, 120, 130)으로부터 결합 단자(112, 122, 132)로 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연결 단자(110, 120, 130)에는 전류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전류는 단자 연결부(115, 125, 135)를 거쳐서 결합 단자(112, 122, 132)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달된 전류는 결합 단자(112, 122, 132)에서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단자(110, 120, 13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하단면에 돌출될 수 있다. 연결 단자(110, 120, 130)은 단자 연결부(115, 125, 135)의 일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원 연결부(101)의 제1 연결 단자(110)은 제1 단자 연결부(115)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102)의 제1 연결 단자(120)은 제1 단자 연결부(125)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103)의 제3 연결 단자(130)은 제3 단자 연결부(135)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결합 단자(112, 122, 132)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로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는 소켓(socket)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소켓 단자에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단자(112, 122, 132)의 폭, 너비 및 깊이는 연결 단자(110, 120, 1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결합 단자(112, 122, 132)는 연결 단자(110, 120, 130)이 위치한 단자 연결부(115, 125, 135)의 일단과 다른 반대편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원 연결부(101)의 제1 결합 단자(112)은 제1 단자 연결부(115)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102)의 제1 결합 단자(122)은 제1 단자 연결부(125)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103)의 제3 결합 단자(132)은 제3 단자 연결부(135)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배치된 단자 연결부(115, 125, 135)는 전원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부(400)는 SMPS 방식의 전원부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부(400)은 단자 연결부(115, 125, 135)를 통해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입력 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화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각 장치에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방식의 전원부(400)는 반도체 스위치(switch) 소자의 온오프(on-off) 시간 비율을 제어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이다. SMPS 방식의 전원부(400)는 열 발생이 적고 전력 효율이 높으며 부피가 작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원부로써, 공간적 이점, 열 발생의 이점 및 전력 효율의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도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내부에 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연결 단자 부분(500)을 확대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연결 단자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연결 탄성부재(117, 127, 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탄성부재(117, 127, 137)는 연결 단자(110, 120, 130)과 단자 연결부(115, 125, 135)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탄성부재(117, 127, 137)는 탄성 재지일 수 있으며, 고무 스프링(spring), 유체 스프링, 코일(coil) 스프링 또는 금속판이 지그재그(zigzag)로 휘어서 형성된 판 스프링(spring)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연결 탄성부재(117)의 일단은 제1 단자 연결부(115)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 연결 탄성부재(117)의 타단은 제1 연결 단자(110)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결 단자(110)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되지 않은 때에는, 제1 연결 탄성부재(117)의 길이 방향의 압축에 의해서 제1 연결 단자(11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 단자(110)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머무르도록 고정하는 제1 돌출 개폐 부재(150)가 제1 연결 단자(1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단자(110)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될 때에는 제1 돌출 개폐 부재(150)은 제거되고 제1 연결 탄성부재(117)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 연결 단자(11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 탄성부재(127)의 일단은 제2 단자 연결부(125)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연결 탄성부재(127)의 타단은 제2 연결 단자(120)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연결 단자(120)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되지 않은 때에는, 제2 연결 탄성부재(127)의 길이 방향의 압축에 의해서 제2 연결 단자(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연결 단자(120)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머무르도록 고정하는 제2 돌출 개폐 부재(160)가 제2 연결 단자(1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연결 단자(120)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될 때에는 제2 돌출 개폐 부재(160)은 제거되고 제2 연결 탄성부재(127)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2 연결 단자(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연결 탄성부재(137)의 일단은 제3 단자 연결부(135)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3 연결 탄성부재(137)의 타단은 제3 연결 단자(130)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연결 단자(130)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되지 않은 때에는, 제3 연결 탄성부재(137)의 길이 방향의 압축에 의해서 제3 연결 단자(13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3 연결 단자(130)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에 머무르도록 고정하는 제3 돌출 개폐 부재(160)가 제3 연결 단자(13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3 연결 단자(130)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될 때에는 제3 돌출 개폐 부재(160)은 제거되고 제3 연결 탄성부재(137)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3 연결 단자(13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의 삽입 개폐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결합 단자 부분(600)을 확대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결합 단자(112, 122, 132)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며, 결합 단자(112, 122, 132)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표면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로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는 소켓 단자일 수 있다. 결합 단자(112, 122, 132)의 폭, 너비 및 깊이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결합 단자(112, 122, 132)에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상기 소켓 단자 상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소켓 단자의 입구를 막을 수 있는 삽입 개폐 부재(155, 165, 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개폐 부재(155, 165, 175)는 핑거 테스트(finger test) 규정을 준수하기 위하여, 결합 단자(112, 122, 132)에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때에 전기적 접촉을 막을 수 있다. 삽입 개폐 부재(155, 165, 175)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결합 단자(112, 122, 132)에 결합될 때 제거될 수 있다. 삽입 개폐 부재(155, 165, 175)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결합 단자(112, 122, 132)에서 분리될 때 결합 단자(112, 122, 132)의 상단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삽입 개폐 부재는 힌지(hinge)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 개폐 부재(157)은 제1 힌지(159)를 포함하며, 제1 결합 단자(112)의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결합 단자(122, 132)의 입구에 위치하는 힌지 구성이 포함된 삽입 개폐 부재도 제1 삽입 개폐 부재(15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삽입 개폐 부재(157)만을 설명한다.
제1 삽입 개폐 부재(157)는 제1 힌지(159)에 의해서 제1 결합 단자(112)의 상단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210)이 제1 결합 단자(112)에 결합 될 때, 제1 힌지(159)에 의해서 제1 삽입 개폐 부재(157)는 제1 결합 단자(112)의 내부로 접힐 수 있다. 연결 단자(210)이 제1 결합 단자(112)에서 분리 될 때, 제1 힌지(159)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 삽입 개폐 부재(157)는 제1 결합 단자(112)의 상단으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힌지(159)에 의해서 제1 삽입 개폐 부재(157)의 제거와 복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연결된 결합 가이드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포함된 제1 결합 단자(112)의 어느 한 방향으로 결합 가이드홈(1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결합 단자(112)에 연결된 결합 가이드홈(152)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결합 단자(122, 132)에도 결합 가이드홈(152)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개별적인 결합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가이드홈(152)의 단면은, “V”, “U” 또는 “┗┛”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할 때,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는 첫번째로 결합 가이드홈에 결합한 후에, 상기 결합 가이드홈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 되면서 결합 단자에 도달하여, 상기 결합 단자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결합 가이드홈(152)에 먼저 결합하고, 결합 가이드홈(152)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후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 결합 단자(112)에 도달하여, 제1 결합 단자(1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또는 분리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상부면에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부면이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부면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상부면을 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후면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정면을 향하게 배치한 후,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결합할 때,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연결단자(210)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결합 가이드홈(15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 단자(210)은 결합 가이드홈(15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는 연결 단자(210)의 일부가 연결 단자(210)에 연결된 탄성 부재의 압축에 의해서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연결 단자(210)이 결합 단자(112)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연결 단자(210)이 결합 단자(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될 때에도,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정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분리될 수 있다.
분리 과정에서, 연결 단자(210)은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고, 결합 가이드홈(15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 또는 분리될 때,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전원 연결의 결합 또는 분리도 함께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자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연결부는 전기 전도성 재질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는, 금속 재질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어부에 의해서 연결 단자에서 결합 단자쪽으로 전기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코어부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외부와 절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고부 또는 플라스틱 재질 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단자 연결부(115)는 코어부(180)과 절연부(1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단자 연결부(115)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단자 연결부(125, 135)도 제1 단자 연결부(115)와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700)은 2개의 전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전원 연결부는 전원부(400), 제7 전원 연결부(701) 및 제8 전원 연결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전원 연결부(701)은 연결 단자(710), 결합 단자(730), 연결 탄성부재(712), 결합 탄성부재(732) 및 단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부는, 연결단자 연결부(715) 및 결합단자 연결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전원 연결부(702)은 연결 단자(720), 결합 단자(740), 연결 탄성부재(722), 결합 탄성부재(742) 및 단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부는, 연결단자 연결부(725) 및 결합단자 연결부(7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전원 연결부(701)과 제8 전원 연결부(702)는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디스플레이 유닛(70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전원부(400)에 연결되는 부분이 다를 뿐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7 전원 연결부(701)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제8 전원 연결부(702)의 각 구성은 제7 전원 연결부(701)에 대응되는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
연결단자 연결부(715)는 일단은 연결 단자(7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다른 타단은 전원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합단자 연결부(735)는 일단은 결합 단자(73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다른 타단은 전원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단자 연결부(715)와 결합단자 연결부(735)는 하나의 단일 연결바 형태가 아니라, 서로 분리되어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단자(710)은 직육면체 형상의 바(bar)가 말단으로부터 떨어진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말단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지점에서 외부면이 곡면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일 수 있다.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단자(710)은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표면에서 내부로 함몰된 부분(714)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탄성부재(712)는 연결 단자(710)과 연결단자 연결부(715)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 단자(710)과 연결단자 연결부(715)에 양 일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탄성부재(712)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연결 탄성부재(712)는 고무 스프링(spring), 유체 스프링, 코일(coil) 스프링 또는 금속판이 지그재그(zigzag)로 휘어서 형성된 판 스프링(spring)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710)은 연결 탄성부재(712)의 길이 방향의 압축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연결 탄성부재(712)의 복원력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단자(730)은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표면에서 디스플레이 유닛(700) 내부로 함몰된 부분(734)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단자(730)은 직육면체 형상의 바(bar)가 말단으로부터 떨어진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말단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지점에서 외부면이 곡면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일 수 있다. 결합 단자(730)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 탄성부재(732)는 결합 단자(730)과 결합단자 연결부(735) 사이에 위치하며, 결합 단자(730)과 결합단자 연결부(735)에 양 일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결합 탄성부재(732)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결합 탄성부재(732)는 고무 스프링(spring), 유체 스프링, 코일(coil) 스프링 또는 금속판이 지그재그(zigzag)로 휘어서 형성된 판 스프링(spring)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의 평면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연결 단자(710, 720)은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외부로 돌출높이(h1) 만큼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단자(730, 740)은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내부로 함몰높이(h2) 만큼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할 때, 연결 단자는 결합 단자에 삽입되어 결합이 된다. 상기 결합을 위하여 돌출높이(h1)은 함몰높이(h2)보다 더 큰 값일 수 있다.
돌출높이(h1)이 함몰높이(h2)보다 더 큰 값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할 때 탄성부재(714, 724, 734, 744)의 압축에 의해서 연결 단자(710, 720)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단자가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710)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서 출력된 전류가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연결 단자(7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결합되어 전광판을 구성하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포함된 연결 단자(110, 120, 130)은 전원 소켓(300)의 전원 단자(310, 320, 330)에 각각 연결돠고, 전원 소켓(300)은 전원 코드(350)에 의해서 교류 전원(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연결 단자(210, 220, 230)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 단자(112, 122, 13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단자(210, 220, 230)와 결합 단자(112, 122, 132)가 결합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유닛(200)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향의 전원 연결부가 추가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800)은 제1 전원 연결부(101), 제2 전원 연결부(102) 및 제3 전원 연결부(103)을 포함하는 제1 전원 연결 그룹과, 추가적으로 제4 전원 연결부(901), 제5 전원 연결부(902) 및 제6 전원 연결부(903)을 포함하는 제2 전원 연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연결 그룹에 포함된 전원 연결부(101, 102, 103)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연결 그룹에 포함된 전원 연결부(901, 902, 903)은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전원 연결부(901), 제5 전원 연결부(902) 및 제6 전원 연결부(903)은 제1 전원 연결부(101), 제2 전원 연결부(102) 및 제3 전원 연결부(103)와 마찬가지로 연결 단자(910, 920, 930), 단자 연결부(916, 925, 935) 및 결합 단자(912, 922, 9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원 연결 그룹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 그룹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연결 그룹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상하 방향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연결 그룹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좌우 방향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800)이 복수 개(800, 810, 820)가 결합되어 전광판을 구성하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3 디스플레이 유닛(800)에 포함된 상기 제1 전원 연결 그룹에 의해서 상단에 결합 단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원 연결 그룹에 의해서 우측면에 연결 단자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유닛(810)은 상기 제1 전원 연결 그룹의 상기 결합 단자와 결합하면서 제3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5 디스플레이 유닛(820)은 상기 제2 전원 연결 그룹의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하면서 제3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유닛(800), 제4 디스플레이 유닛(810) 및 제5 디스플레이 유닛(820)이 결합되는 것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7과 도 19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광판을 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과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면이 맞닿아 결합되면서, 동시에 전원 연결도 형성되기 때문에, 전광판을 구성하기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전광판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700 : 디스플레이 유닛
101, 102, 103, 701, 702, 901, 902, 903 : 전원 연결부
110, 120, 130, 710, 720, 910, 920, 930 : 연결 단자
112, 122, 132, 730, 740, 912, 922, 932 : 결합 단자
115, 125, 135 : 단자 연결부
117, 127, 137, 712, 722, 732, 742 : 탄성 부재
150, 160, 170 : 돌출 개폐 부재
155, 165, 175 : 삽입 개폐 부재

Claims (24)

  1. 단자 연결부;
    상기 단자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전류가 입력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단자 연결부의 상기 일단과 다른 타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부로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단자에 입력된 전류가 출력되는 결합 단자; 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함몰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에 포함된 각 결합 단자에 연결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상기 결합 단자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홈; 및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단자 연결부에 양 일단이 각각 연결된 탄성 재질의 연결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는,
    제1 전원 연결부, 제2 전원 연결부 및 제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부, 상기 제2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3 전원 연결부는 단상 3선 전원의 라이브(live)단자, 뉴트럴(neutral) 단자 및 그라운드(GND)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결합 단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로의 함몰 깊이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의 함몰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단자 일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 단자 상부에 도달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단자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연결단자 연결부 및 결합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자 연결부는,
    일단이 연결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일단과 다른 타단은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단자 연결부는,
    일단이 결합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일단과 다른 타단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연결 단자에 입력된 전류가 상기 결합 단자로 흐르게 하는 전기 전도성 재질의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직육면체 형상의 바(bar)가 말단으로부터 떨어진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말단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지점에서 외부면이 곡면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인,
    디스플레이 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에 삽입 되지 않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단자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외부로 돌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탄성부재는,
    고무 스프링(spring), 유체 스프링, 코일(coil) 스프링 또는 금속판이 지그재그(zigzag)로 휘어서 형성된 판 스프링(spring)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연결 단자의 상단에 위치하는 돌출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개폐 부재는,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로 도출될 때에는 상기 연결 단자의 상단에서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부로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며, 직육면체 형상의 바(bar)가 말단으로부터 떨어진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말단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지점에서 외부면이 곡면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인,
    디스플레이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자와 상기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 단자와 상기 단자 연결부에 양 일단이 각각 연결된 탄성 재질의 결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1. 삭제
  12. 단자 연결부;
    상기 단자 연결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전류가 입력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단자 연결부의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부로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단자에 입력된 전류가 출력되는 결합 단자; 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함몰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에 포함된 각 결합 단자에 연결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 단자가 상기 결합 단자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홈; 및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단자 연결부에 양 일단이 각각 연결된 탄성 재질의 연결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 중에서 일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원 연결부 중에서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결합 단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로의 함몰 깊이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의 함몰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단자 일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 단자 상부에 도달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단자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원 연결부, 제2 전원 연결부 및 제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전원 연결부, 제5 전원 연결부 및 제6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60042420A 2016-04-06 2016-04-06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KR10256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20A KR102565787B1 (ko) 2016-04-06 2016-04-06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20A KR102565787B1 (ko) 2016-04-06 2016-04-06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36A KR20170114836A (ko) 2017-10-16
KR102565787B1 true KR102565787B1 (ko) 2023-08-10

Family

ID=6029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20A KR102565787B1 (ko) 2016-04-06 2016-04-06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73B1 (ko) * 2018-11-23 2020-02-04 (주)에이텐시스템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KR20210053629A (ko) 2019-11-04 202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8034A1 (en) 2004-02-17 2005-08-18 Thomas Schubert Electronic interlocking graphics panel formed of modular interconnecting parts
US20080141571A1 (en) * 2006-10-30 2008-06-19 Hi*Tech Electronic Displays, Inc. Modular interlocking graphics display panel
KR101401599B1 (ko) 2013-07-03 2014-06-03 (주)애드트로닉 전원 분산 구조의 슬림형 엘이디 전광판
US20150359113A1 (en) * 2013-12-31 2015-12-10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ata and Power Cord for use with Modular Display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91B1 (ko) 2013-07-08 2015-04-07 주식회사 코런 전원부와 컨트롤러부가 설치되는 전광판프레임 결합 박스를 갖는 분리형 칩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8034A1 (en) 2004-02-17 2005-08-18 Thomas Schubert Electronic interlocking graphics panel formed of modular interconnecting parts
US20080141571A1 (en) * 2006-10-30 2008-06-19 Hi*Tech Electronic Displays, Inc. Modular interlocking graphics display panel
KR101401599B1 (ko) 2013-07-03 2014-06-03 (주)애드트로닉 전원 분산 구조의 슬림형 엘이디 전광판
US20150359113A1 (en) * 2013-12-31 2015-12-10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ata and Power Cord for use with Modular Display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36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8316A (en) Equipment terminal plug
US8226444B2 (en) Modular power strip
CN101416354A (zh) 印刷电路板的接线柱
EP3162420B1 (en) Modular block and electronic block system
CN102668249B (zh) 用于连接具有互不相同的电位的电导体的系统以及用于此系统的插入适配器
KR102565787B1 (ko)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US9516757B2 (en) Electric connector, plug-in modul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ug-in module
US6508656B2 (en) Multiple pin contactor device for power bus bar systems
CN106684629B (zh) 一种模块化的电源分配单元
CN203839303U (zh) 便拆装式漏电断路器
CN217881993U (zh) 一种适用于低压配电柜的带试验端子的二次插件
CN206180186U (zh) 一种组合式接触端子大电流连接器
CN216529465U (zh) 弹性导体片安装结构及插座
CN210006946U (zh) 电力导轨连接块和连接组件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CN205828786U (zh) 一种连接器接触面连接结构
CN210074190U (zh) 一种打印机线路接头
CN210985131U (zh) 组合式耦合器
CN217882110U (zh) 一种适用于低压配电柜的新型二次插件
CN217009786U (zh) 变压插座
CN210296817U (zh) 电池包连接组件、电池包模组以及电池包
CN218828275U (zh) 一种插座
CN215870121U (zh) 转接装置
CN215645165U (zh) 模组化插座结构
CN113991340A (zh) 弹性导体片安装结构及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