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373B1 -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373B1
KR102073373B1 KR1020180145881A KR20180145881A KR102073373B1 KR 102073373 B1 KR102073373 B1 KR 102073373B1 KR 1020180145881 A KR1020180145881 A KR 1020180145881A KR 20180145881 A KR20180145881 A KR 20180145881A KR 102073373 B1 KR102073373 B1 KR 10207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
modular display
modular
socke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황
김민수
손석기
박성민
박은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이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4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디어 디스플레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로 조합 가능하며, 확장과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상점 매대 상에 설치되고, 직렬 방식으로 통신 및 전원이 릴레이 연결된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각각은, 제1 측부에 설치된 제1 랜 소켓; 제2 측부에 설치된 제2 랜 소켓;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제1 랜 소켓과 상기 제2 랜 소켓 간을 연결하는 이더넷 허브; 상기 제1 측부에 설치된 제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호 인접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간은,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외부에서 상기 제1 랜 소켓과 상기 제2 랜 소켓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연결되어 확장 결합되는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MODULAR MEDIA PLAYER DEVICE FOR DIGITAL SIGN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형마켓이나 상점 등에서는 구매자 또는 소비자가 여러 제품들과 개별 상품 정보에 관한 확인이 어려우며, 구매해야 하는 품목이 아닌 경우 매대를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특정 상품과 연관되는 타 상품은 별도로 구매해야 하며,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종이 전단지 등의 별도 쿠폰 등을 개인이 획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품 업체에서 별도의 광고 프로모션을 진행해야 함에 따른 인건비를 지불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품 광고 정보와 해당 상품 또는 관련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과 더불어 매출 증대를 위한 디지털화된 광고 장치가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4954호(등록일자: 2017년09월28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디어 디스플레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로 조합 가능하며, 확장과 변경이 용이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상점 매대 상에 설치되고, 직렬 방식으로 통신 및 전원이 릴레이 연결된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각각은, 제1 측부에 설치된 제1 랜 소켓; 제2 측부에 설치된 제2 랜 소켓;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제1 랜 소켓과 상기 제2 랜 소켓 간을 연결하는 이더넷 허브; 상기 제1 측부에 설치된 제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호 인접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간은,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외부에서 상기 제1 랜 소켓과 상기 제2 랜 소켓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연결되어 확장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이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우측부이며,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1 랜 소켓, 상기 제2 랜 소켓,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 각각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좌측부 및 상측부이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우측부 및 하측부이며,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조합으로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1 랜 소켓, 상기 제2 랜 소켓,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 각각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측면부이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각각은, 상기 제1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랜 수소켓; 및 상기 제1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전원 수단자; 상기 제2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는 랜 암소켓; 및 상기 제2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는 전원 암단자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는, 인출된 상기 랜 수소켓이 인입된 상기 랜 암소켓 측으로 삽입되고, 인출된 상기 전원 수단자가 인입된 상기 전원 암단자 측으로 삽입되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서로 일렬로 배열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 홈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간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 디스플레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로 조합 가능하며, 확장과 변경이 용이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대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내부 구성과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통신 및 전원 연결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와 결합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적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대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내부 구성과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통신 및 전원 연결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와 결합 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적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10)는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1000a, 1000b, 1000c, 1000d, 1000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센서 통합 및 제어 보드(2000) 및 결합 바(3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는 상점 매대(1) 상에 설치되고, 직렬 방식으로 통신 및 전원이 릴레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는 제1 랜 소켓(100), 제2 랜 소켓(200), 이더넷 허브(400) 및 제1 전원 단자(400) 및 제2 전원 단자(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불어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OS(Android) Board)(600)와 디스플레이 장치(LVDS Interface board)(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랜 소켓(1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에 설치되고, 제2 랜 소켓(2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2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우측부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좌측부가 될 수 있다. 즉, 제1 측부와 제2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측부를 의미하며, 상술한 정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 하부측을 각각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이더넷 허브(4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내부에서 제1 랜 소켓(100)과 제2 랜 소켓(200)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더넷 허브(4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내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600)에 연결되어 통신 매개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단자(4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에 설치되고, 제2 전원 단자(5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2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우측부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좌측부가 될 수 있다. 즉, 제1 측부와 제2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측면부를 의미하며, 상술한 정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 하부측을 각각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중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간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외부에서 제1 랜 소켓(100)과 제2 랜 소켓(200)이 연결되며, 제1 전원 단자(400)와 제2 전원 단자(500)가 연결되어 확장 및 변경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제1 랜 소켓(100), 제2 랜 소켓(200) 및 제1 전원 단자(400) 및 제2 전원 단자(500)의 구성과 이들을 이용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확장 및 변경 구조를 위한 연결 방식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랜 소켓(1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랜 소켓(100)은 랜 수소켓(110),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 제1 슬라이딩 레일(130) 및 제1 발광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 수소켓(11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랜 수소켓(110)은 RJ45 소켓을 적용할 수 있으며, 랜 암소켓(2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는 랜 수소켓(110)을 외측 방향으로 밀기 위한 인출 수단으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랜 수소켓(110) 또는 제1 슬라이딩 레일(130)과 연결되어, 설치자가 외측 방향으로 밀면 랜 수소켓(110)과 제1 발광소자(140)를 제1 슬라이딩 레일(130)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랜 수소켓(110)이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을 내측으로 밀면 랜 수소켓(110)이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내부로 다시 인입될 수 있다. 물론,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은 제1 슬라이딩 레일(130)의 전후 단에 마련된 위치 고정 돌기 또는 홈에 걸림으로써, 랜 수소켓(110)과 제1 발광소자(140)가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위치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130)은 랜 수소켓(110),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 및 제1 발광소자(140)와 연결되어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120)에 의해 랜 수소켓(110)과 제1 발광소자(140)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발광소자(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 수소켓(110)이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면, 랜 수소켓(1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그 위치 즉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소자(140)는 특정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랜 수소켓(110)과 인접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랜 암소켓(210)이 서로 연결되면, 턴 온되어 발광하게 되고, 이러한 발광 상태는 해당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설치자는 랜 케이블 간이 서로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랜 소켓(2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랜 소켓(200)은 랜 암소켓(210), 제2 슬라이딩 레일(220) 및 제1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 암소켓(21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2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랜 암소켓(110)의 삽입에 의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랜 암소켓(210)은 RJ45 소켓을 적용할 수 있으며, 랜 수소켓(1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220)은 랜 암소켓(210)과 연결되어 랜 수소켓(110)이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230)는 랜 수소켓(110)가 랜 암소켓(210)에 삽입 시 내측으로 수축되고, 랜 수소켓(110)의 분리 시 외측으로 팽창되어 랜 암소켓(210)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단자(4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2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원 단자(400)는 전원 수단자(410),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 제3 슬라이딩 레일(430) 및 제2 발광소자(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단자(41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1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3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수단자(410)는 인입된 전원 암단자(5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은 전원 수단자(410)를 외측 방향으로 밀기 위한 인출 수단으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전원 수단자(410) 또는 제3 슬라이딩 레일(430) 과 연결되어, 설치자가 외측 방향으로 밀면 전원 수단자(410)과 제2 발광소자(440)를 제3 슬라이딩 레일(430)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수단자(410)가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을 내측으로 밀면 전원 수단자(410)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내부로 다시 인입될 수 있다. 물론,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은 제3 슬라이딩 레일(430)의 전후 단에 마련된 위치 고정 돌기 또는 홈에 걸림으로써, 전원 수단자(410)와 제2 발광 소자(440)가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위치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슬라이딩 레일(430)은 전원 수단자(410),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 및 제2 발광소자(440)와 연결되어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420)에 의해 전원 수단자(410)와 제2 발광소자(440)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발광소자(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수단자(410)가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면, 전원 수단자(41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그 위치 즉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소자(440)는 특정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전원 수단자(410)와 인접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전원 암단자(510)가 서로 연결되면, 턴 온되어 발광하게 되고, 이러한 발광 상태는 해당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설치자는 전원이 서로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전원 단자(5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2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전원 단자(500)는 전원 암단자(510), 제4 슬라이딩 레일(520) 및 제2 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암단자(51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제2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원 수단자(410)의 삽입에 의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암단자(510)는 인출된 전원 수단자(4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슬라이딩 레일(520)은 전원 암단자(510)와 연결되어 전원 수단자(410)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530)는 전원 수단자(410)가 전원 암단자(510)에 삽입 시 내측으로 수축되고, 전원 수단자(410)의 분리 시 외측으로 팽창되어 전원 암단자(51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1000')에 대하여 제1 랜 소켓(100)과 제2 랜 소켓(200') 그리고, 제1 전원 단자(400)와 제2 전원 단자(500')가 인출, 삽입/인입 과정을 통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방식을 통하여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들이 직렬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1000)는 전원과 통신을 IP 지원 개수(192.168.1. 2~255개)만큼 확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랜 소켓(100), 제2 랜 소켓(200), 제1 전원 단자(400) 및 제2 전원 단자(500) 각각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랜 소켓(100), 제2 랜 소켓(200), 제1 전원 단자(400) 및 제2 전원 단자(5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이러한 기본 동작뿐만 아니라, 전방을 향해 대략 90도 회동되거나, 후방을 향해 대략 90도 정도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는 수평방향으로의 조립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의 조립과 그에 따른 변형이 가능해짐으로써,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ㄱ'자, 'ㄷ'자 형태)로 매대(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매대(1)를 정면에서 바라보지 않고 측면에서 바라보더라도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화면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확장 변경 가능 구조에 따라 64:9 이상의 화면 비율로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측부에 대한 정의와 달리, 제1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좌측부 및 상측부이고, 제2 측부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우측부 및 하측부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조합으로 연장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또한, 제1 랜 소켓(100), 제2 랜 소켓(200), 제1 전원 단자(400) 및 제2 전원 단자(500) 각각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통합 및 제어 보드(2000)는 확장 연결된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에 동기화된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며, 매대(1)에 설치된 각종 센서(근접인식센서, 상품픽업인식센서 등)과 연결되어 매대(1) 근처에서의 구매자 행동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에 전원 공급 제어도 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상단(또는 하단)에는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8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홈(800)은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상단(또는 하단)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하며 그 측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삽입 홈(810)의 양측면에는 측면 홈(810)이 형성되며, 삽입 홈(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3000)는 서로 일렬로 배열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 홈(800)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간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바(3000)의 측면에는 결합 바(3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 돌기(3100)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 돌기(3100)는 결합 바(3000)가 삽입 홈(2000)에 삽입될 때 측면 홈(810)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바(300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에 걸쳐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간을 더욱 견고히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의 삽입 홈(800)에 전기 또는 전자 단자를 추가하는 경우, 결합 바(3000)가 통신 또는 전력을 위한 배선 역할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어,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 간의 통신 및 전원의 추가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적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a, 1000b, 1000c, 1000d, 1000e)는 통합 허브를 통해 서버 및 운영 관리자와 연결되어, 모듈러 디스플레이(1000a, 1000b, 1000c, 1000d, 1000e)와 연동 또는 연결되는 각종 매대 센서(근접인식센서, 상품픽업인식센서 등)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케팅 및 구매자 반응 등의 다양한 정보로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1000: 모듈러 디스플레이
100: 제1 랜 소켓
110: 랜 수소켓
120: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
130: 제1 슬라이딩 레일
140: 제1 발광소자
200: 제2 랜 소켓
210: 랜 암소켓
220: 제2 슬라이딩 레일
230: 제1 탄성부재
300: 이더넷 허브
400: 제1 전원 단자
410: 전원 수단자
420: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
430: 제3 슬라이딩 레일
440: 제2 발광소자
500: 제2 전원 단자
510: 전원 암단자
520: 제4 슬라이딩 레일
530: 제2 탄성부재
600: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700: 디스플레이 장치
800: 삽입 홈
810: 측면 홈
2000: 센서 통합 및 제어 보드
3000: 결합 바
3100: 결합 돌기
1: 매대

Claims (5)

  1. 상점 매대 상에 설치되고, 직렬 방식으로 통신 및 전원이 릴레이 연결된 다수의 모듈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각각은,
    제1 측부에 설치된 제1 랜 소켓; 제2 측부에 설치된 제2 랜 소켓;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제1 랜 소켓과 상기 제2 랜 소켓 간을 연결하는 이더넷 허브; 상기 제1 측부에 설치된 제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호 인접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간은,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외부에서 상기 제1 랜 소켓과 상기 제2 랜 소켓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연결되어 확장 결합되고,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측면부이고,
    상기 제1 랜 소켓은,
    상기 제1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랜 수소켓;
    상기 랜 수소켓을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인출하거나 내측 방향으로 인입하기 위한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
    상기 랜 수소켓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에 의해 상기 랜 수소켓이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랜 수소켓이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면 상기 랜 수소켓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랜 수소켓의 전기적 연결 시 발광하는 제1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돌기 버튼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의 전후 단에 마련된 위치 고정 돌기 또는 홈에 걸려 상기 랜 수소켓과 상기 제1 발광소자에 대한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위치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 랜 소켓은,
    상기 제2 측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는 랜 암소켓;
    상기 랜 암소켓과 연결되어 상기 랜 수소켓이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랜 수소켓이 상기 랜 암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측으로 수축되고, 상기 랜 수소켓의 분리 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외측 방향을 향해 팽창되어 상기 랜 암소켓이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전원 수단자;
    상기 전원 수단자를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인출하거나 내측 방향으로 인입하기 위한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
    상기 전원 수단자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전원 수단자를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하는 제3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전원 수단자가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면 상기 전원 수단자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 수단자의 전기적 연결 시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돌기 버튼은,
    상기 제3 슬라이딩 레일의 전후 단에 마련된 위치 고정 돌기 또는 홈에 걸려 상기 전원 수단자와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한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의 위치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 전원 단자는,
    상기 제2 측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는 전원 암단자;
    상기 전원 암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수단자가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4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전원 수단자가 상기 전원 암단자에 삽입될 때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내측으로 수축되고, 상기 전원 수단자의 분리 시 외측 방향을 향해 팽창되어 상기 전원 암단자가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이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우측부이며,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1 랜 소켓, 상기 제2 랜 소켓,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 각각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좌측부 및 상측부이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우측부 및 하측부이며,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조합으로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1 랜 소켓, 상기 제2 랜 소켓,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 각각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서로 일렬로 배열된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 홈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모듈러 디스플레이 간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KR1020180145881A 2018-11-23 2018-11-23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KR10207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81A KR102073373B1 (ko) 2018-11-23 2018-11-23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81A KR102073373B1 (ko) 2018-11-23 2018-11-23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373B1 true KR102073373B1 (ko) 2020-02-04

Family

ID=6957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81A KR102073373B1 (ko) 2018-11-23 2018-11-23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80A1 (ko) * 2020-06-18 2021-12-23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US11360730B2 (en) 2020-05-29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020A (ja) * 2003-12-19 2005-07-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1488A (ko) * 2006-12-06 2008-06-11 정창주 3-스크린을 갖는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71424A (ja) * 2008-05-09 2009-11-19 Pioneer Electron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表示方法
KR20120022439A (ko) * 2010-09-02 2012-03-12 (주) 에이와케이 디스플레이 패널 수용체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023532A (ja) * 2013-07-23 2015-02-0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5200764A (ja) * 2014-04-08 2015-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646690B1 (ko) * 2016-04-07 2016-08-08 김기대 이음새 문제가 해결된 다단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954B1 (ko) 2015-12-03 2017-10-12 (주)스마트로직 조립형 led 사이니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4836A (ko) * 2016-04-06 2017-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020A (ja) * 2003-12-19 2005-07-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1488A (ko) * 2006-12-06 2008-06-11 정창주 3-스크린을 갖는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71424A (ja) * 2008-05-09 2009-11-19 Pioneer Electron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表示方法
KR20120022439A (ko) * 2010-09-02 2012-03-12 (주) 에이와케이 디스플레이 패널 수용체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023532A (ja) * 2013-07-23 2015-02-0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5200764A (ja) * 2014-04-08 2015-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784954B1 (ko) 2015-12-03 2017-10-12 (주)스마트로직 조립형 led 사이니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4836A (ko) * 2016-04-06 2017-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KR101646690B1 (ko) * 2016-04-07 2016-08-08 김기대 이음새 문제가 해결된 다단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0730B2 (en) 2020-05-29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687310B2 (en) 2020-05-29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1256680A1 (ko) * 2020-06-18 2021-12-23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KR20210156577A (ko) * 2020-06-18 2021-12-27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KR102446809B1 (ko) * 2020-06-18 2022-09-26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73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모듈러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US8939779B1 (en) Electro-mechanical connection for lighting
US9098823B2 (en) Shelf power system
CN204100028U (zh) 照明装置
CN102264260B (zh) 一种置物架系统
US10976191B2 (en) Device comprising a flat element for laying onto a shelf element of a goods rack and system and goods presentation system having such a device
CN111770708B (zh) 用于商品展示装置的低压电力系统
US20180168337A1 (en) Configurable and dismantlable display case system comprising a plastic shelving unit with trays at different levels, and method of assembly
US10646058B2 (en) Retail display system with power supply interface
KR20160062968A (ko) 전자 가격 표시기, 수용 레일 및 그를 이용한 전자 가격 표시 조립체
US11567891B2 (en) Rack controller with native support for intelligent patching equipment installed in multiple racks
US9097917B2 (en) Electronic display screen modular unit structure
JP2006247278A (ja) 陳列棚
US11600206B2 (en) System for powering multiple electronic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goods-related information, and goods presentation system
JP463997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6698691B2 (ja) モジュラ壁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ためのパネル体
KR102211101B1 (ko) 전자 가격표 거치용 가이드 레일
US20190104848A1 (en) Display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utriggers
CN209747873U (zh) 一种屏幕显示器与固定底座的快速插装固定结构
CN110382169A (zh) 用于印刷网板单元的保管箱
CN201134598Y (zh) 信号转接盒
JP4458277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リモートターミナル装置
CN105054748A (zh) 一种分体分节交错插接式窗帘轨道
JP3121946U (ja) プライスカードホルダー取付具及び商品陳列器具
WO2020128462A1 (en) A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