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217B1 -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 Google Patents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217B1
KR102565217B1 KR1020230016919A KR20230016919A KR102565217B1 KR 102565217 B1 KR102565217 B1 KR 102565217B1 KR 1020230016919 A KR1020230016919 A KR 1020230016919A KR 20230016919 A KR20230016919 A KR 20230016919A KR 102565217 B1 KR102565217 B1 KR 10256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ste
dried
transfer uni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성
김일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시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시
Priority to KR102023001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폐기물 건조시 폐기물의 배출 속도 및 배출되는 폐기물의 함수율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건조 동작 후 잔여 폐기물이 건조기 내에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건조물의 건조 공간을 마련하고,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피건조물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디스크부; 및 케이스 내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피건조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DISC DRY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OF SLUDGE AND DISCHARGING RESIDUAL SLUDGE}
본 발명은 폐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후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폐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하/폐수 슬러지 또는 산업 슬러지 등과 같은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은 처리 과정에서 많은 단점을 갖는다.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은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며, 쉽게 부패되고, 형태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 후처리가 힘들다. 또 슬러지가 자연으로 유입되는 경우 자연이 훼손된다.
이에 정부 등 여러 기관에서는 슬러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 중의 수분 비율, 즉 함수율을 기준치 이하로 낮추도록 한 이후 후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 그러하다.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대표적 형태로서 디스크 건조기가 있다. 디스크 건조기는 디스크 내에 고온의 스팀을 제공하고, 제공된 스팀의 열이 디스크 외부에 있는 폐기물에 전달되어 폐기물이 건조되는 방식을 취한다. 디스크는 복수로 구비되어 회전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투입된 폐기물은 회전축의 일 방향을 통해 밀려 이동하여 건조 및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건조기의 특징은 본 출원인의 등록 특허 제10-2470580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 건조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기물의 함수율 및 폐기물의 이동속도는 디스크의 구조 및 배치, 그리고 투입되는 폐기물의 양, 밀도, 점도 등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쉽게 결정하거나 조절하는 것이 어려움에도, 이를 조절하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디스크 건조기에 있어서 폐기물의 배출 속도 또는 배출되는 폐기물의 함수율이 조절되기 힘든 문제, 건조 동작 후 잔여 폐기물이 건조기 내에 남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건조 공간을 마련하고,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피건조물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디스크부; 및 케이스 내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피건조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피건조물을 배출 방향 또는 회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피건조물의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및 공간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폐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간부의 일 영역은 공간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인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획벽은 공간부의 일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를 통해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경우 구획벽은 공간부를 열고, 이송부를 통해 피건조물을 회수하는 경우 구획벽은 공간부의 일 영역을 닫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획벽이 공간부의 일 영역을 닫았을 때 일 영역의 길이 방향 양측에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폐기물은 입구를 통해 공간부로 유입되어 출구를 통해 공간부로부터 토출되어 건조 공간의 폐기물을 회수시키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구획벽을 개폐하는 구동 구조를 구성하는 개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간부는 케이스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함몰된 함몰 영역을 형성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획벽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의 내측면 적어도 일부와 연속면을 형성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공간부 하단면의 배출 단부에 형성된 보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건조 디스크부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송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이송부는 건조 디스크부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입구는 투입된 폐기물을 분산시킨 뒤 건조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분산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건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폐기물의 배출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크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일부 폐기물이 이동하지 못하고 정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폐기물 순환 구조를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의 함수율이 충분히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이 종료되었음에도 건조기 내에 잔여 폐기물이 남아 있는 경우 이를 남김없이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건조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벽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벽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건조기(10)의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케이스(110)는 폐기물 건조기(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폐기물이 건조되는 건조 공간(1101)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상의 케이스(110)는 회전하는 건조 디스크부(120)와 내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각 지대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는 폐기물이 케이스(110) 내에서 정체되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케이스(11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피건조물인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111) 및 배출구(112)가 구비된다. 피건조물은 투입구(111)를 통해 케이스(110) 건조 공간(1101)으로 유입되고, 건조된 뒤 배출구(112)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투입구(1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투입구(111)는 뭉쳐진 상태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장치는 절단 날(blade)와 같은 절단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단 수단은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분산장치는 슬러지가 케이스(110) 건조 공간(1101)으로 유입되지 않고 투입구(111)에서 적체되는 문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기물 건조기(10)의 고장 문제, 멈춤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산장치에 의해 폐기물이 분산된 상태로 건조 공간(1101)에 투입됨으로써 건조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는, 투입구(111)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폐기물을 투입구(111)로, 나아가 투입구(111)에서 건조 공간(1101)으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투입구(111)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폐기물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어 투입구(111)로, 나아가 투입구(111)에서 건조 공간(1101)으로 투입될 수 있다.
투입 및 배출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투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상측에,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111)는 호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폐기물의 투입구(111) 투입시 외부 이탈을 최소화한다. 배출구(112)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조 디스크부(120)는 케이스(110) 내에서 회전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건조 디스크부(120)는 고온의 스팀이 투입되는 중공축(121), 중공축(12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디스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축(121)으로 투입된 고온의 스팀은 디스크(122)로 이동하여 건조 공간(1101)의 폐기물에 열을 전달한다. 페기물에 열을 빼앗긴 스팀은 응축되어 응축수로 상변화 할 수 있으며, 상변화된 응축수는 다시 중공축(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는 보일러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스팀으로 공급될 수 있다.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은 건조 디스크부(120)로부터 받은 열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중공축(121)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크(122) 구조는 폐기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최대화 시킨다. 폐기물 건조기(10)의 측면에서 바라본 디스크(122)는 원형일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추가적인 형상이 더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122)는 다각형일 수 있다. 또는, 해바라기형상과 같은 방사형일 수 있다. 방사형 디스크(122)는 폐기물과 접하는 표면적을 극대화시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크(122)는 중공축(121)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인접한 두 디스크(122) 사이의 간격은 폐기물의 이동 방향에 대해 투입 지점에서 배출 지점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점차 넓어지는 간격의 배치는 건조 디스크(122)의 회전 시 폐기물을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공축(121)의 회전은 중공축(121) 내부 및 디스크(122) 내부의 열이 골고루 순환하는 것을 돕고 폐기물이 배출구(112)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중공축(121)의 회전은 디스크(122)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크(122) 구동부는 예를 들어 모터 및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122) 구동부는 케이스(110) 외부에 구비되어 중공축(1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130)는 건조 디스크부(120)와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피건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부(130)는 케이스(110) 내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송부(130)는 건조 디스크부(120)의 중공축(12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송부(130)는 폐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131)의 나사선(1311)은 나선형으로 구현되어 스크류(131)의 회전에 따라 폐기물 밀어 이동시킨다.
이송부(130)는 폐기물을 배출 방향(배출구측 방향) 또는 회수 방향(투입구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크류(131)는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이송부(130)의 상기 동작을 구현시킬 수 있다.
이송부(130)가 배출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이송부(130)는 건조 디스크부(120)의 이송 동작을 도울 수 있다. 폐기물 건조기(10) 내부 공간에서 건조 디스크부(120)에 인접한 폐기물은 이동이 원할한 반면, 상대적으로 건조 디스크부(120)에서 멀리 떨어진 폐기물은 건조 디스크부(120)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적게 받아 원활하게 건조되거나 이송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폐기물의 불균일한 건조 문제 및 일부 폐기물의 정체 문제를 가져온다. 이송부(130)는 건조 디스크부(120)로부터 먼 영역의 폐기물 이송을 도와 위와 같은 문제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또 이송부(130)가 배출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이송부(130)는 건조 공정 완료 후 케이스(110) 내의 잔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건조 디스크부(120)는 폐기물을 이동 시켜 배출구(112)로 토출시키지만 폐기물을 완전히 배출시키는 것은 어려워 구동이 종료된 후에도 폐기물 건조기(10) 내에는 폐기물이 남을 수 밖에 없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케이스(110) 내로 들어가 이러한 잔여 폐기물을 처리하였고, 이는 번거로우며 위험하여 작업 효율을 낮추었다. 이송부(13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대로 이송부(130)가 회수 방향으로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배출되는 폐기물은 더 낮은 함수율, 또는 전체적으로 고른 함수율을 가질 수 있다. 즉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던 폐기물의 일부가 회수되고, 회수된 일부의 폐기물은 다시 투입구(111)에 가까운 일 지점에 재투입된다. 어느 정도 건조된 폐기물이 다시 재투입되므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의 함수율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회수 작용은 폐기물의 교반 작용을 동반하여 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에는 건조 디스크부(120)와 인접한 폐기물은 충분히 건조되는 반면, 그렇지 못한 폐기물은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충분히 건조된 폐기물을 건조 디스크부(120)와 이격된 피건조물 영역에 투입시킴으로써 건조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국 이송부(130)는 폐기물의 회수 방향으로 이송을 통해 폐기물 건조기(10)의 건조 효율을 상승시킨다.
이송부(130)는 공간부(130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부(1301)는 스크류(131) 및 스크류(131)에 의해 이동될 폐기물이 위치할 공간을 마련한다. 공간부(1301)는 케이스(110)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함몰된 함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공간부(1301)는 케이스(110)의 건조 공간(1101)이 확장된 형태를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가 형성하는 건조 공간(1101)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이송부(130)의 공간부(1301)는 상기 원형의 횡단면에 기생하는 작은 원형을 포함하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한 예로, 이송부(130)의 공간부(1301)는 반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 건조 공간(1101) 내에서 바라보았을 때 공간부(1301)는 개방된 형태를 띠도록 하여 폐기물이 건조 공간(1101) 및 공간부(1301) 사이에 누적 또는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건조 디스크부(120)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폐기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에 쌓이게 되므로 공간부(1301)가 건조 디스크부(120)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면 중력에 의해 공간부(1301)로 쌓인 폐기물은 이송부(13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송부(130)는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130)가 단일로 구비되는 경우, 이송부(130)는 케이스(110) 내부 공간 중 가장 낮은 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폐기물 건조기(10)의 동작 중의 폐기물 위치 및 동작 후 잔여 폐기물의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이송부(130)는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송부(130)는 최저점에 구비되는 제1 이송부(130a) 및 건조 디스크부(120)의 중심축에 대해 제1 이송부(130a)와 특정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송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건조기(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건조 디스크부(120)에 의해 이동하는 폐기물은 중심 하단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건조 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에 근거한다. 예를 들어 건조 디스크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하는 경우 폐기물은 중심 하단에서 좌측으로 주로 치우쳐 이동되고, 반대로 건조 디스크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하는 경우 폐기물은 중심 하단에서 우측으로 주로 치우쳐 이동된다. 제2 이송부(130b)는 이러한 치우친 폐기물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이송부(130b)도 건조 디스크부(120)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폐기물이 중력의 영향으로 공간부(1301)로부터 이탈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2 이송부(130b) 각각은 제1 이송부(130a)와 60° 간격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130)는 공간부(1301)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는 구획벽(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30)가 폐기물을 회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경우, 이송부(130)에 의한 폐기물 회수 방향과 건조 디스크부(120)에 의한 폐기물 진행 방향은 반대 방향이 되는데, 이로 인해 두 방향의 진행이 모두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구획벽(140)은 이러한 양 방향으로 이동하는 폐기물의 상호 간섭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구획벽(140)은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 공간(1101)과 이송부(130)의 공간부(1301)를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벽(140)은 케이스(110)의 건조 공간(1101)과 이송부(130)의 공간부(1301)의 경계 영역 중 일 영역을 구획 또는 차폐하고, 나머지 영역이 두 공간, 즉 건조 공간(1101)과 공간부(1301)를 연통하는 이송부 입구(133) 및 이송부 출구(134)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 입구(133)는 케이스(110) 건조 공간(1101)으로부터 이송부(130) 공간부(1301)로 폐기물이 유입되는 지점이 되고, 이송부 출구(134)는 공간부(1301)로부터 폐기물이 건조 공간(1101)으로 토출되는 지점이 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벽(140)은 공간부(130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대해 구비되어 이송부 입구(133)와 이송부 출구(134)가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획벽(140)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공간부(1301)가 이송부 입구(133)와 이송부 출구(134)만 남도록 차폐하거나, 공간부(1301)를 개방할 수 있다. 구획벽(140)의 개폐 상태는 이송부(130)가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획벽(140)이 공간부(1301) 일 영역을 닫은 상태에서 스크류(131)가 역 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건조된 폐기물(또는 함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폐기물)은 이송부 입구(133)를 통해 공간부(1301)로 유입되어 이송부 출구(134)를 통해 건조 공간(1101)으로 빠져나오고, 이후 건조되지 않은 폐기물(또는 함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폐기물)과 섞이게 된다. 반대로 폐기물이 배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송부(130)가 구동되는 경우 구획벽(140)은 공간부(1301)와 내부 공간을 구획하지 않도록 개방되어 건조 디스크부(120)와 이송부(130)가 함께 폐기물을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이송부(130)만 작동하여 잔여 폐기물을 배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획벽(140)의 개폐 동작을 위해, 구획벽(140)은 슬라이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벽(140)의 구동은 횡 방향으로 구현되어 이송부 입구(133) 및 이송부 출구(134)는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획벽(140)의 개폐 구동은 개폐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개폐 구동부는 예를 들어 모터 및 기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벽(140)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110)의 내측면 적어도 일부와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획벽(140)과 케이스(110)의 내측면이 연속면을 형성하는 경우 폐기물의 이동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기존 배출구(112)와 함께 잔여 폐기물 배출을 위한 보조 배출구(135)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잔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동작의 측면에서 공간부(1301) 하면과 건조 공간(1101) 하면 사이의 단차는 잔여 폐기물이 기존 배출구(112)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부(1301) 하면에 추가로 구비된 보조 배출구(135)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송부(13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보조 배출구(135)는 각 이송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배출구(135)는 상황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배출구(135)는 폐기물의 회수 구동시에는 닫히고, 폐기물의 배출 구동시에는 열리도록 구성되어 의도치 않은 폐기물 배출을 막을 수 있다.
이송부(13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보조 배출구(135)는 최하단에 배치된 이송부(130)에만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벽(14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획벽(140)은 이송부 입구(133) 및 이송부 출구(134)의 크기 및 배치가 변경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벽(140)은 개별적으로 구동 가능한 분할된 복수의 파트(1401)로 구성될 수 있다. 분할된 복수의 파트로 구성된 구획벽(140)은 이송부 입구(133) 및 이송부 출구(134)의 크기 및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송부 입구(133) 및 이송부 출구(134)의 크기 및 배치를 가변적으로 구성하는 경우, 이송부(130)가 폐기물을 회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회수 지점 및 투입 지점, 회수되는 양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벽(14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는, 구획벽(140)은 이동 가능한 단일 부재(1402)로 구비되어 구동 구조를 단순화 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도 있다. 단일 부재(1402)의 구획벽(140)은 횡 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폐기물 건조기 110: 케이스
1101: 건조 공간 111: 투입구
112: 배출구 120: 건조 디스크부
121: 중공축 122: 디스크
130: 이송부 1301: 공간부
131: 스크류 1311: 나사선
133: 이송부 입구 134: 이송부 출구
135: 보조 배출구 140: 구획벽
1401: 구획벽 파트 1402: 단일 부재

Claims (16)

  1. 피건조물의 건조 공간을 마련하고,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피건조물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여 피건조물을 건조 및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건조 디스크부;
    상기 케이스 내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피건조물을 상기 배출 방향 또는 상기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인 회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어 피건조물을 배출시키는 보조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피건조물의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및
    상기 공간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폐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일 영역은 상기 공간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인 폐기물 건조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의 일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폐기물 건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통해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경우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를 열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피건조물을 회수하는 경우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의 일 영역을 닫는 폐기물 건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이 상기 공간부의 일 영역을 닫았을 때 상기 일 영역의 길이 방향 양측에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폐기물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후 출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폐기물이 회수되는 폐기물 건조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구획벽을 개폐하는 구동 구조를 구성하는 개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함몰된 함몰 영역을 형성하는 폐기물 건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적어도 일부와 연속면을 형성하는 폐기물 건조기.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건조 디스크부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폐기물 건조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폐기물 건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송부는 상기 건조 디스크부의 중심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폐기물 건조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투입된 폐기물을 분산시킨 뒤 상기 건조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분산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 건조기.
  16. 피건조물의 건조 공간을 마련하고,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피건조물 투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디스크부; 및
    상기 케이스 내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피건조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피건조물을 배출 방향 또는 회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건조물의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및
    상기 공간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폐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의 일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경우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를 열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피건조물을 회수하는 경우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의 일 영역을 닫는 폐기물 건조기.
KR1020230016919A 2023-02-08 2023-02-08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KR10256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919A KR102565217B1 (ko) 2023-02-08 2023-02-08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919A KR102565217B1 (ko) 2023-02-08 2023-02-08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217B1 true KR102565217B1 (ko) 2023-08-11

Family

ID=8756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919A KR102565217B1 (ko) 2023-02-08 2023-02-08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2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40B1 (ko) * 2010-02-03 2010-04-13 장우기계 주식회사 디스크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처리공정
KR20140134462A (ko) * 2013-05-14 2014-11-24 주식회사 거산 음식물 처리기
KR20210011732A (ko) * 2019-07-23 2021-02-02 김주섭 함수 파쇄물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40B1 (ko) * 2010-02-03 2010-04-13 장우기계 주식회사 디스크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처리공정
KR20140134462A (ko) * 2013-05-14 2014-11-24 주식회사 거산 음식물 처리기
KR20210011732A (ko) * 2019-07-23 2021-02-02 김주섭 함수 파쇄물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9120016A (nl) Drooginrichting en -werkwijze.
JP6260071B1 (ja) 乾燥装置及び乾燥システム
CN108483846B (zh) 一种立式污泥脱水机
US2470315A (en) Multiple stage pulverizing and dehydrating tube mill
KR101832053B1 (ko) 건조 장치
US4862601A (en) Particulate solids dryer with recycled hot-pebble heat exchange medium
US6189234B1 (en) Continuous flow fluid bed dryer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102565217B1 (ko)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잔여 슬러지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WO19980199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organic or inorganic sludge through multi-stage drying process
CN105737549A (zh) 一种动态固体真空干燥机
JP7064338B2 (ja) 間接加熱型汚泥乾燥装置
KR10086682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101132B1 (ko) 폐기물 건조장치
KR20100065656A (ko) 슬러지 건조 장치
CN115654875B (zh) 自身返料环管分体式蒸汽回转干燥机、方法及系统
KR102538607B1 (ko) 분쇄용볼을 이용한 스크류 건조기
KR102377854B1 (ko) 폐기물 건조장치
KR200489838Y1 (ko) 탈수장치
KR101717458B1 (ko) 유중증발 건조장치
CN114174749B (zh) 干燥装置
KR200204009Y1 (ko) 슬러지 원심접촉 교반형 건조장치
WO2022172513A1 (ja) 乾燥装置
JP5071975B2 (ja) 蒸発脱水装置
KR101997419B1 (ko) 디스크 회전형 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