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144B1 -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 Google Patents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144B1
KR102565144B1 KR1020210121228A KR20210121228A KR102565144B1 KR 102565144 B1 KR102565144 B1 KR 102565144B1 KR 1020210121228 A KR1020210121228 A KR 1020210121228A KR 20210121228 A KR20210121228 A KR 20210121228A KR 102565144 B1 KR102565144 B1 KR 10256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steel wire
unit
stee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8011A (en
Inventor
김우종
조경식
강신오
Original Assignee
(주)디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디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2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144B1/en
Publication of KR2023003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Abstract

강재 거더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강재 거더 구조체는, 종 방향 일측의 제1 지점부, 종 방향 타측의 제2 지점부 및 상기 제1 지점부와 상기 제2 지점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강재 거더부; 상기 강재 거더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되, 종 방향 일단 및 종 방향 타단 각각이 상기 제1 지점부 및 상기 제2 지점부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상기 중간부에 구비된 새들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강선을 포함하되, 상기 강선은, 상기 종 방향 일단, 상기 종 방향 타단 및 상기 중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강재 거더부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그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고, 상기 강재 거더부는, 상기 강선의 중간 부분이 상기 종 방향 일단 및 상기 종 방향 타단의 고정 높이 이하의 높이에 위치한 새들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A steel girder structure is disclosed, wherein the steel girder structure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iddl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wealth; A saddle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teel girder par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a middle part provided in the middle part. Including a steel wire disposed to pass through, wherein the steel wire is elastically tensioned in response to a load applied thereto in a state in which the rest except for the longitudinal e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and the middle portion are not constrained to the steel girder part Alternatively, i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steel girder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is fixed to a saddle part located at a height equal to or less than the fixed height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복원력을 갖는 강재 거더 구조체{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Steel girder structure with restoring force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본원은 복원력을 갖는 강재 거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기존의 강교량은 강재거더가 자중과 슬래브의 하중을 부담하고 슬래브가 연결되면 합성된 단면이 활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이다.In the existing steel bridge, the steel girder bears the load of the slab and the weight of the steel, and when the slabs are connected, the composite cross section resists the live load.

또한 PSC 콘크리트 교량은 강선이 콘크리트 거더와 일체로 거동하여 자중과 활하중에 저항한다.In PSC concrete bridges, the steel wire acts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girder to resist dead weight and live load.

그런데, 이와 같이 강선이 콘크리트 거더와 일체로 거동하는 기존의 구조들 대비 보다 효율적으로 시공 과정 중 또는 공용시 작용되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어 거더에 요구되는 강재의 물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거더 구조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근래 들어 높아지고 있다.However, compared to existing structures in which the steel wire acts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girder, the girder structure can more effectively resist the load appli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r during common us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required for the girder. The need for improvement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 공개특허 10-2016-0068107호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8107.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대비 효율적으로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갖는 강재 거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so as to be able to resist loads more efficiently than the prior art.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는, 종 방향 일측의 제1 지점부, 종 방향 타측의 제2 지점부 및 상기 제1 지점부와 상기 제2 지점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강재 거더부; 상기 강재 거더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되, 종 방향 일단 및 종 방향 타단 각각이 상기 제1 지점부 및 상기 제2 지점부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상기 중간부에 구비된 새들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강선을 포함하되, 상기 강선은, 상기 종 방향 일단, 상기 종 방향 타단 및 상기 중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강재 거더부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그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고, 상기 강재 거더부는, 상기 강선의 중간 부분이 상기 종 방향 일단 및 상기 종 방향 타단의 고정 높이 이하의 높이에 위치한 새들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teel girder part including an intermediate part connecting two support parts; A saddle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teel girder par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a middle part provided in the middle part. Including a steel wire disposed to pass through, wherein the steel wire is elastically tensioned in response to a load applied thereto in a state in which the rest except for the longitudinal e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and the middle portion are not constrained to the steel girder part Alternatively, i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steel girder pa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is fixed to a saddle part located at a height equal to or less than a fixed height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강선의 종 방향 일단, 종 방향 타단 및 중간 부분은 구속되고, 강선의 구속되지 않은 부분이 자유롭게 거동할 수 있어, 강선이 그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 또는 탄성 복원될 수 있어, 보강 부재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강재 물량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wire,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iddle portion are restrained, and the unconstrained part of the steel wire can move freely, so that the steel wire elastically stretches in response to the load acting thereon. Alternatively, it can be elastically restored, so it can serve as a reinforcing member, and thus, the amount of steel in the steel girder structure can be reduc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2는 슬래브가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3은 활하중이 작용되는 슬래브가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자중과 외력에 의한 정모멘트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강선에 의한 부모멘트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강선의 중간 부분이 2개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새들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a slab is formed.
3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a slab to which a live load is applied is formed.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ositive moment due to the self-weight and external force of the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egative moment by a steel wire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two middle portions of steel wires are formed.
7 is a schematic conceptual side view of a saddle unit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7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하측, 하부, 종 방향, 횡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9시-3시 방향이 횡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9시-3시 방향이 종 방향이 될 수 있다.For reference,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position (upper side, upper side, lower side, lower sid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etc.)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looking at Figure 1, the 12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the upper side, the generally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part, the 6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the lower side, the 6 o'clock direction is the lower part, and the 9 o'clock- The 3 o'clock direction can be the transverse direction, etc. Also, referring to FIG. 3 , the 9 o'clock - 3 o'clock direction may be a longitudinal direction.

본원은 복원력을 갖는 강재 거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강재 거더 구조체(이하 '본 강재 거더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el gird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강재 거더 구조체는 강재 거더부(1)를 포함한다. 강재 거더부(1)는 강재 거더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재 거더부(1)는 중공부를 갖는 박스형 거더 또는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는I형 거더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본원의 강재 거더부(1)에는 다양한 거더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includes a steel girder portion 1. The steel girder part 1 may be a steel girder type. For example, the steel girder part 1 may be a box-type girder having a hollow part or an I-shaped girder having no hollow p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girder shapes may be applied to the steel girder part 1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강재 거더부(1)는 종 방향 일측의 제1 지점부(11), 종 방향 타측의 제2 지점부(12) 및 제1 지점부와 제2 지점부를 연결하는 중간부(13)를 포함한다. 제1 지점부는 강재 거더부(1)의 종 방향 일측 부분일 수 있고, 제2 지점부(12)는 강재 거더부(2)의 종 방향 타측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지점부(11) 및 제2 지점부(12) 각각은 지점부에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점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eel girder part 1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11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support part 12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termediate part 13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 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be one side of the steel girder portion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 may be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teel girder portion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 may be a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Since the branch por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강재 거더 구조체는 강선(2)을 포함한다. 강선(2)은 강재 거더부(1)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강재 거더부(1)가 바스형 거더인 경우, 강선(2)은 강재 거더부(1)의 중공부 내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강재 거더부(1)가 I형인 경우, 강재 거더부(1)의 외부에서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includes a steel wire (2). The steel wire 2 is dispos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teel girder part 1. For example, when the steel girder part 1 is a bar-type girder, the steel wire 2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ollow of the steel girder part 1. In addition, when the steel girder part 1 is I-shaped, it may extend from the outside of the steel girder part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강선(2)은 종 방향 일단 및 종 방향 타단 각각이 제1 지점부 및 제2 지점부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중간부(13)에 구비된 새들부(3)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강재 거더부(1)는 강선(2)의 중간 부분이 종 방향 일단 및 종 방향 타단의 고정 높이 이하의 높이에 위치한 새들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강선(2)의 종 방향 일단 및 종 방향 타단 각각은 중간 부분보다 높은 높이에서 강재 거더부(2)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steel wire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ix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middle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addle portion 3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13. . In addition, the steel girder part 1 is provided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2 is fixed to the saddle part located at a height below the fixed height of one longitudinal end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In other words, each of the longitudinal end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wire 2 may be fixed to the steel girder part 2 at a height higher than the middle portion.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강선(2)은 종 방향 일단, 종 방향 타단 및 중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강재 거더부(1)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그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강선(2)은 구속되지 않은 부분의 자유로운 거동으로 하중에 저항하고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하중이 작용하기 이전 단계)로 복원될 수 있고, 이러한 강선(2)은 보강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steel wire 2 ha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st of the portion except for the middl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constrained to the steel girder portion 1, and in response to the load applied thereto, elastic tension or It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restored. In other words, the steel wire 2 resists the load with the free movement of the unconstrained part, and when the load is removed, it can be restored with elastic restoration (the stage before the load is applied), and this steel wire 2 serves as a reinforcing member. can do.

하중 작용 단계(상황)별 강선(2)의 거동을 설명하자면 이하와 같을 수 있다.The behavior of the steel wire 2 for each load application stage (circumstance) may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강재 거더 구조체의 제작시, 강선(2)이 배치되고, 강선(2)은 설계시의 구조적인 해석을 통하여 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선(2)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중이 작용하는 상황에 필요한 긴장력을 제외하고 최소한으로 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긴장에 따라, 강선(2)은 초기 인장력()을 가질 수 있다. 즉, 강선(2)의 초기 인장력은 강선(2)이 느슨해지지 않고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긴장이 가해지는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when manufacturing this steel girder structure, a steel wire 2 is arranged, and the steel wire 2 can be tension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t the time of design. For example, the steel wire 2 can be tensioned to a minimum except for the tension required for the load-bearing situation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is tension, the steel wire 2 has an initial tensile force ( ) can have. That is, the initial tensile force of the steel wire 2 may be set to a level at which tension is applied so that the steel wire 2 can maintain tension without loosening.

도 2는 슬래브가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고, 도 3은 활하중이 작용되는 슬래브가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며,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자중과 외력에 의한 정모멘트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강선에 의한 부모멘트를 설명하는 개념도이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a slab is formed, and FIG. 3 is a schematic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a slab to which a live load is applied is formed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ositive moment due to the self-weight and external force of the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negative moment due to the steel wire of the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is

도 2를 참조하면, 강선(2)은 강선(2)이 강재 거더부(1) 상에 슬래브(4)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브 합성 전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되면서 슬래브 합성전 하중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제1 탄성 복원력으로 저항하는 긴장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브(4)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강재 거더부(1)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에 의해 하중이 작용할 수 있는데, 타설된 콘크리트가 합성(양생 완료)되기 전에 작용하는 하중이 슬래브 합성 전 하중일 수 있다. 슬래브(4) 시공 과정에서 슬래브 합성 전 하중이 발생하므로, 강선(2)은 슬래브 합성 전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될 수 있고, 강선(2)의 인장력으로 인한 상향력(제1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여 휨모멘트가 줄어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teel wire 2 is elastically stretched in response to the load before slab synthes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4 on the steel girder part 1, and the load before slab synthesis Tension resisting with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possibly provided for at least a portion.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4, a load may be applied to the steel girder part 1 by concrete being poured. can be Since the load before slab synthesis occu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4, the steel wire 2 can be elastically stretched in response to the load before slab synthesis, and the upward forc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du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steel wire 2 is As a result, the bending moment may be reduced.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변위가 발생한 강재 거더부(1)를 참조하면, 강재 거더부(1)에는 휨모멘트 작용에 따라, 변위가 발생할 수 있는데, 강선(2)이 휨모멘트를 줄여주는 보강 부재 역할을 함으로써, 강재 거더부(1)의 변위가 강선(2)이 없는 경우 대비 줄어들 수 있다.Referring to the steel girder part (1) in which displacement occur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2, displacement may occur in the steel girder part (1)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bending moment. By serving as a member, the displacement of the steel girder part 1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steel wire 2.

이를 위해, 강선(2)은 슬래브 합성 전 하중이 작용되기 전부터 제1 탄성 복원력보다 작은 초기 인장력()에 의해 긴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선(2)은 본 강재 거더 구조체의 제작시, 배치된 후 긴장될 수 있는데, 이때, 강선(2)은 초기 인장력()이 제1 탄성 복원력보다 작도록 긴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teel wire 2 has an initial tensile force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before the load before the slab composition is applied) ) can be provided in a tensed state by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wire 2 may be tensioned after being placed in the manufacture of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At this time, the steel wire 2 has an initial tensile force ( ) can be tensioned so that it is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슬래브(4)가 합성되면, 강재 거더부(1)에 작용하는 하중이 슬래브(4) 시공 전 대비 크지만 슬래브(4) 합성 전 하중 대비 줄어들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강선(2)은 슬래브(4) 시공 과정 대비 탄성 복원되지만 슬래브(4) 시공 전 대비 탄성 인장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탄성 복원력 대비 작은 복원력()으로 저항할 수 있다. 즉, 슬래브 합성 후의 탄성 복원력은 전술한 제1 탄성 복원력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together, when the slab 4 is synthesized, the load acting on the steel girder portion 1 is greater tha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4, bu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load before the slab 4 is synthesized. Correspondingly, the steel wire 2 is elastically restored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lab 4, but may have a state in which it is elastically tensioned compared to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4, and accordingly, a small restoring force compared to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 ) can be resisted. That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fter synthesizing the slab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aforementioned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강선(2)은 강재 거더부(1) 상에 슬래브(4)가 합성된 다음 작용되는 활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되면서 활하중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제2 탄성 복원력()으로 저항하는 긴장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슬래브(4) 합성 후, 활하중 작용시, 강선(2)은 활하중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탄성 인장될 수 있고, 강선(2)의 인장력으로 인한 상향력()(제2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여 휨모멘트가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슬래브(4)가 합성된 다음 활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강선(2)은 전술한 초기 인장력()에 대응하는 복원력() 및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일 수 있고, 활하중이 작용하면, 강선(2)은 전술한 초기 인장력()에 대응하는 복원력() 및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에 더해 제2 탄성 복원력()으로 저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선(2)이 휨모멘트를 줄여주는 보강 부재 역할을 함으로써, 강재 거더부(1)의 변위가 강선(2)이 없는 경우 대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활하중이 제거되면, 인장력이 복원되어 강선(2)은 활하중이 제거된 상태(초기 인장력()에 대응하는 복원력() 및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으로 저항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steel wire 2 is elastically stretched in response to the live load applied after the slab 4 is synthesized on the steel girder portion 1, and the second elastic restoring force ( ), the resistive tension can possibly be provided. After the slab 4 is synthesized, when a live load is applied, the steel wire 2 can be additionally elastically stretched in response to the live load, and the upward force due to the tensile force of the steel wire 2 ( ) (second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generated to reduce the bending moment. At this time, when the live load does not act after the slab 4 is synthesized, the steel wire 2 has the aforementioned initial tensile force ( ), the resilience corresponding to ( ) and resilience after slab synthesis ( ), and when a live load acts, the steel wire 2 has the aforementioned initial tensile force ( ), the resilience corresponding to ( ) and resilience after slab synthesis ( ) In addition to the second elastic restoring force ( ) can be resisted. In this way, by the steel wire (2) serving as a reinforcing member to reduce the bending moment, the displacement of the steel girder portion (1)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he steel wire (2). In addition, when the live load is removed, the tensile force is restored and the steel wire 2 is in a state where the live load is removed (initial tensile force ( ), the resilience corresponding to ( ) and resilience after slab synthesis ( ) can have a resistive state).

정리하면, 도 4를 참조하면, 본 거더 구조체에는 자중과 외력에 의해 정모멘트가 작용될 수 있는데, 도 5를 참조하면, 강선(2)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복원력이 부모멘트를 발생시켜 본 거더 구조체의 휨모멘트를 줄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브(4) 시공 과정에서 본 거더 구조체에는 슬래브 합성전 하중이 작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강선(2)이 슬래브 합성전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되면서 제1 탄성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고, 슬래브(4)가 합성된 이후에는,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으로 합성된 슬래브(4)에 의한 하중에 대해 추가 탄성 저항함으로써 본 거더 구조체의 휨 모멘트를 줄여주고 활하중 작용시에는 제2 탄성 복원력()으로 활하중에 대해 추가 탄성 저항함으로써, 본 거더 구조체의 휨 모멘트를 각 시공과정 및 공용시의 단계마다 줄여줄 수 있다. In summary, referring to FIG. 4, a positive moment can be applied to this girder structure by its own weight and an external force. Referring to FIG. 5,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ed by the steel wire 2 generates a negative moment, The bending moment of the structure can be reduced. For example, a load before slab synthesis may act on the girder structure seen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lab (4). In contrast, the steel wire (2) may act as a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while being elastically stretched in response to the load before slab synthesis, , After the slab 4 is synthesized, the restoring force after synthesizing the slab ( ), the bending moment of the girder structure is reduced by additional elastic resistance to the load by the slab (4) synthesized, and the second elastic restoring force (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ending moment of this girder structure at each stage of construction and use by additional elastic resistance to live load.

이때, 강선(2)은 슬래브 합성 전 하중, 슬래브 합성 후 작용되는 하중(슬래브(4)의 하중, 활하중 등) 등이 작용되었을 때(즉, 시공중 또는 공용중 작용되는 최대 하중)에 대해 인장되었을 때에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 및 규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eel wire 2 is in tension with respect to the load before slab synthesis and the load applied after slab synthesis (load of slab 4, live load, etc.) are applied (that is, the maximum load applied during construction or during use).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 material and standard that can maintain elasticity even when it is worn.

종래에는 쉬스관 내에 강선을 배치하고 강선을 긴장하며 그라우팅하여 강선을 거더에 일체화시켰으나,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강재 거더 구조체에 있어서, 강선(2)은 거동하는 보강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강선(2)은 종래와 다르게 쉬스관 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외부 돌출된 강선이라 할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steel wire is integrated into the girder by arranging the steel wire in the sheath pipe and tensing and grouting the steel wire, bu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the steel wire 2 can act as a reinforcing member that behaves. At this time, since the steel wire 2 is not disposed in the sheath pipe unlike the prior art, it may be referred to as a steel wire protruding outside.

구체적으로, 본 강재 거더 구조체는 거더 내부에 설치된 외부 돌출된 강선을 강재 거더부(1)에 배치하여 강선(2)의 자유로운 거동으로 하중에 저항하고 하중이 제거되면 이전 단계로 복원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돌출된 강선(2)은 각각의 하중 재하 경우(단계)에서 강재 거더부(1)와 별개로 거동함으로써 본 강재 거더 구조체는 각각의 하중 재하 경우별로 효율성을 고려하여 본 강재 거더 구조체의 휨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externally protruding steel wires installed inside the girder are placed on the steel girder part (1) to resist the load with the free movement of the steel wire (2) and restore to the previous step when the load is removed. can do. In this way, the steel wire 2 protruding outside behaves separately from the steel girder part 1 in each load case (step), so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considers the efficiency for each load case. can reduce the bending moment of

이와 같이, 강선(2)이 보강 부재 역할을 하므로, 다른 보강 부재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되는 강선(2)의 효과로 인해 종래 대비 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강재의 물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과적 차량이 지나갈 경우 일시적인 응력 상태를 벗어나 강선(2)이 이전 상태로 복원되므로 안전성이 우수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teel wire 2 serves as a reinforcing member, other reinforcing members can be reduced. Specifically, due to the effect of the steel wire 2 being restored, the amount of steel of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safety can be excellent because the steel wire 2 is restored to a previous state out of a temporary stress state when an overloaded vehicle passes.

도 6은 강선의 중간 부분이 2개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two middle portions of steel wires are formed.

도 1을 참조하면, 새들부(3)는 하나의 새들 유닛(31)을 포함하거나, 도 6을 참조하면,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새들 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선(2)의 중간 부분은 하나의 새들 유닛(31) 또는 복수의 새들 유닛(31)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addle unit 3 may include one saddle unit 31 or, referring to FIG. 6 , may include a plurality of saddle units 31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ccordingly, one or more middle portions of the steel wire 2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one saddle unit 31 or a plurality of saddle units 31 .

예를 들어, 새들 유닛(31)은 강선(2)이 강선(2)의 종 방향 중간 지점(이를 테면, 정중앙 지점 또는 미리 설정된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연장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새들 유닛(31)이 홀수인 경우에는 하나의 새들 유닛(31)은 종 방향 중간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새들 유닛(31)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나머지가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새들 유닛(31)이 짝수인 경우에는, 짝수의 새들 유닛(31)은 종 방향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addle unit 3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teel wire 2 is extended and disposed in a symmetrical form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wire 2 (eg, a central point or a predetermined specific point). .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saddle units 31 is odd, one saddle unit 31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addle units 31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pairs based on the one saddle unit 31. can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saddle units 31 is even, the even number of saddle units 31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in pairs with respect to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새들 유닛(31)은, 이에 대응하는 강선(2)의 중간 부분의 강선(2)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정착 새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새들 유닛(31)이 강선(2) 중간 부분의 강선(2)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면, 강선(2)이 고정된 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은 자유롭게 거동을 하는 특성상, 강선(2)의 복원력이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강재 거더 구조체에 있어서, 새들 유닛(31)은 정착 새들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addle unit 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choring saddles to limit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teel wire 2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2 corresponding thereto. If the saddle unit 31 does not restrict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teel wire 2 in the middle of the steel wire 2,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eel wire 2 is due to the nature of the free movement of parts other than the fixed part of the steel wire 2 this may be smaller. Considering this point, in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the saddle unit 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choring saddles.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거더 구조체의 새들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onceptual side view of a saddle unit of a steel gir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8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새들 유닛(31)은, 정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부(311)는 중간 부분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하부 유닛(3112), 중간 부분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상부 유닛(3111) 및 하부 유닛(3112)과 상부 유닛(3111)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 유닛(3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정착부(311)는 강선(2)을 단단히 묶어 두는 구조로서, 결합 유닛(3113)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유닛(3111)과 하부 유닛(3112)은 중간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유닛(3113)은 볼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유닛(3111) 및 하부 유닛(3112) 각각은 결합 유닛(3113)과 볼트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saddle unit 31 may include a fixing unit 311 . The fixing unit 311 includes a lower unit 3112 surroundi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middle portion, an upper unit 3111 wrappi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iddle portion, and a coupling unit combining the lower unit 3112 and the upper unit 3111 ( 3113) may be included. The fixing part 311 has a structure that firmly binds the steel wires 2, and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coupled by the coupling unit 3113 can grip the middle portion. Also, the coupling unit 3113 may be a bolt. Accordingly, each of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may be bolted to the coupling unit 3113.

또한, 새들 유닛(31)은, 제1 이동제한 지지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제한 지지부재(312)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강선(2)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제1 홀이 형성되되 정착부(311)의 종 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312)는 강재 거더부(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312)는 강재 거더부(1)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ddle unit 31 may include a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 The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is provided with a first hole to allow the passage of the steel wire 2 extending from the middle portion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ixing unit 311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The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girder part 1. In addition, the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may be fixed to the steel girder part 1 by welding.

또한, 정착 새들은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제한 지지부재(312)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종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강선(2)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제2 홀이 형성되되 정착부(311)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는 강재 거더부(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는 강재 거더부(1)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Also, the settlement birds may include a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is formed with a second hole to allow the passage of the steel wire 2 extending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s provid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xing unit 311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girder part 1. In addition,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may be fixed to the steel girder part 1 by welding.

또한, 정착부(311)는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312) 및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선(2)의 중간 부분은 위치 고정될 수 있다.Also, the fixing unit 311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and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 Accordingly,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2 can be fixed in position.

또한, 상부 유닛(3111) 및 하부 유닛(3112) 각각은, 제1 홀의 둘레 및 제2 홀의 둘레에 대한 대향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둘레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 부재(31111, 31121)가 종 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유닛(3111) 및 하부 유닛(3112) 각각의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312) 및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 각각에 대한 접촉 면적이 향상될 수 있고, 상부 유닛(3111) 및 하부 유닛(3112) 각각은 강재 거더부(1)에 용접된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312) 및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 각각에 대하여 확장 부재(31111, 31121)와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312) 및 제2 이동 제한 지지부재(313)의 접촉면(지지면)으로 저항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has extension members 31111 and 31121 exten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crease the opposing area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le, respectively,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ormed in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of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and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respectively, can be improved, and the upper unit 3111 ) And the lower unit 3112, each of the extension members 31111 and 31121 and the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and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welded to the steel girder portion 1, respectively. The contact surface (support surface) of the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2 and the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may resist.

또한, 결합 유닛(3113)을 미설치한 상태에서, 중간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하부 유닛(3112)과 상부 유닛(3111)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유닛(3113)은 갭보다 좁아지는 최종 갭(s)이 형성되도록 하부 유닛(3112)과 상부 유닛(3111)을 상호 당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당김 결합에 의해 중간 부분에 가해지는 파지력에 의해 슬래브(4) 합성 전 하중 및 활하중을 고려한 작용 하중 범위 내에서 정착부(311)가 중간 부분에 정착될 수 있다. 만약, 갭이 형성되지 않게 하부 유닛(3112)과 상부 유닛(3111)이 맞붙어 결합될 경우, 강선(2)의 거동에 따라 정착부(311)의 강선(2)에 대한 파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강재 거더 구조체에 있어서, 하부 유닛(3112)과 상부 유닛(3111)은 최종 갭(s)이 형성되도록 상호 당김 결합할 수 있고, 강선(2)의 정착되지 않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거동에도 강선(2)의 중간 부분은 정착부(311)에 파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정착부(311)는 최종 갭(s)을 두어 볼트(결합 유닛(3113) 체결시 강선(2)이 정착부(311)에 확실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unit 3113 is not installe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unit 3112 and the upper unit 3111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Also, the coupling unit 3113 may mutually pull-couple the lower unit 3112 and the upper unit 3111 so that a final gap s narrower than the gap is formed. In addition, the fixing part 311 can be fixed to the middle part by the gripping force applied to the middle part by the pulling conn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applied load considering the pre-composite load and the live load of the slab 4 . If the lower unit 3112 and the upper unit 3111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forming a gap, the gripping force of the fixing unit 311 on the steel wire 2 may be weakened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steel wire 2. . Considering this point, in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the lower unit 3112 and the upper unit 3111 can be mutually pulled together so that the final gap s is formed, and the unfixed part of the steel wire 2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2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gripped by the fixing part 311 despite the behavior of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it. That is, the fixing part 311 can have a final gap s so that the steel wire 2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fixing part 311 when the bolt (coupling unit 3113) is fastened.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강선(2)의 중간 부분에는 그 외주에 대하여 상부 유닛(3111)과 하부 유닛(3112)이 직접 접촉되도록 정착부(311)와의 사이에 강선 보호 튜브(29)가 미배치되고, 중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강선 보호 튜브(29)가 강선(2)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강선 보호 튜브(29)가 중간 부분에도 배치되어 있으면, 상부 유닛(3111)과 하부 유닛(3112)이 강선(2)의 중간 부분에 직접 접촉되지 못하고 강선 보호 튜브(29)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강선(2)의 중간 부분이 강선 보호 튜브(29) 내에서 강선(2) 길이 방향으로 이동(미끄러짐 등)하게 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강재 거더 구조체는, 강선(2)의 중간 부분에는 강선 보호 튜브(29)를 미배치하여, 상부 유닛(3111)과 하부 유닛(3112)이 강선(2)의 중간 부분에 직접 접촉되어 강선(2)이 정착부(311)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2, a steel wire protection tube 29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art 311 so that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are in direct contact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Unplaced, the steel wire protection tube 29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wire 2 at least in some sections of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middle part. If the steel wire protection tube 29 is also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do not directly contact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2, but are in contact with the steel wire protection tube 29,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2 may be moved (slipping, etc.)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el wire 2 in the steel wire protection tube 29. Considering this point, in this steel girder structure, the steel wire protection tube 29 is not disposed in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2, so that the upper unit 3111 and the lower unit 3112 are in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2 The steel wire 2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fixing part 311 by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정착부(311)는 결합 유닛(3113)의 결합 해제로 해체 가능하고, 강선(2)은 종래의 강선이 그라우팅 등에 의해 쉬스관에 고정되는 형식으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외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므로, 강선(2)의 교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강재 거더 구조체에 있어서, 강선(2)은 보강 부재 역할을 하면서, 다른 보강 부재 대비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fixing unit 311 can be dismantled by disengaging the coupling unit 3113, and the steel wire 2 is not fixed in a manner in which conventional steel wires are fixed to the sheath pipe by grouting, etc. Since it is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replacement of the steel wire 2 is easily possib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the steel wire 2 may have the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compared to other reinforcing members while serving as a reinforcing member.

강선(2)이 자유롭게 거동을 하면서 새들 유닛(31)에 대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강선(2)의 복원력이 작아질 수 있다. 전술한 새들 유닛(31)에 의하면, 강선(2)의 새들 유닛(31)에 대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10%정도의 복원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새들 유닛(31)에 의하면, 강선(2)의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다.When sliding occurs with respect to the saddle unit 31 while the steel wire 2 moves freel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eel wire 2 may be reduced. According to the saddle unit 31 described above, slipping of the steel wire 2 relative to the saddle unit 31 can be prevented, and the restoring force can be increased by about 10%. That is, according to the saddle unit 31 described abov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eel wire 2 can be increased.

한편, 본원에 의하면, 본 강재 거더 구조체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 구조체 또는 교량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교량 상부 구조체 또는 교량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알려진 구성 또는 향후 개발된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는 본 강재 거더 구조체 및 상기 본 강재 거더 구조체 상에 배치되는 슬래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 상부 구조체는, 교량 상부 구조에 대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부대시설, 포장층, 신축이음구조, 배수구조 등을 필요에 따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bridge superstructure or bridge including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may be provided. Such a bridge superstructure or bridg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configuratio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configurations develop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bridge super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and a slab portion disposed on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ridge superstructure may include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required for the bridge superstructure, a pavement layer, an expansion joint structure, a drainage structure, and the like, as necessary.

또한, 본원에 의하면, 본 강재 거더 구조체를 적용(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시공 방법은, 본 강재 거더 구조체를 교량 하부 구조 상에 배치하는 제1 단계(이때, 강선(2)은 초기 인장력에 대응하여 긴장된 상태) 및 본 강재 거더 구조체 상에 슬래브를 시공하는 제2 단계(이때, 강선(2)은 슬래브 합성 전 제1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추가 긴장되고 슬래브 합성 후에는 슬래브 합성 후에 대응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추가 긴장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과정)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pper part of a bridge applying (using)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may also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bridge uppe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step of arranging the present steel girder structure on the lower bridge structure (at this time, the steel wire 2 is in a tense state in response to the initial tensile force) and the present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a slab on the steel girder structure (at this time, the steel wire 2 is additionally tensioned by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before slab synthesis, and additionally tensioned by the corresponding elastic restoring force after slab synthesis after slab synthesis). can do. Since such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process)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강재 거더부
11: 제1 지점부
12: 제2 지점부
13: 중간부
2: 강선
29: 강선 보호 튜브
3: 새들부
31: 새들 유닛
311: 정착부
3111: 상부 유닛
3112: 하부 유닛
3113: 결합 유닛
312: 제1 이동 제한 지지부재
313: 제2 이동제한 지지부재
1: steel girder
11: first support part
12: second support part
13: middle part
2: liner
29: steel wire protection tube
3: saddle part
31: saddle unit
311: fixing unit
3111: upper unit
3112: lower unit
3113: combined unit
312: first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313: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Claims (8)

강재 거더 구조체에 있어서,
종 방향 일측의 제1 지점부, 종 방향 타측의 제2 지점부 및 상기 제1 지점부와 상기 제2 지점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강재 거더부;
상기 강재 거더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되, 종 방향 일단 및 종 방향 타단 각각이 상기 제1 지점부 및 상기 제2 지점부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상기 중간부에 구비된 새들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강선을 포함하되,
상기 강선은, 상기 종 방향 일단, 상기 종 방향 타단 및 상기 중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강재 거더부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그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 인장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고,
상기 강재 거더부는, 상기 강선의 중간 부분이 상기 종 방향 일단 및 상기 종 방향 타단의 고정 높이 이하의 높이에 위치한 새들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강선은,
상기 강재 거더부 상에 슬래브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브 합성 전 하중이 작용되기 전부터 초기 인장력에 의해 긴장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슬래브 합성 전 하중이 작용되면 상기 슬래브 합성 전 하중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제1 탄성 복원력으로 저항하도록 긴장되다가, 상기 강재 거더부 상에 슬래브가 합성되어 슬래브 합성 후 하중이 작용되면 상기 슬래브 합성 후 하중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탄성 복원력 대신 상기 제1 탄성 복원력 대비 작은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으로 저항하도록 긴장되게 구비되고,
슬래브 합성 후, 활하중 작용시 상기 활하중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제2 탄성 복원력으로 저항하는 긴장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초기 인장력은 상기 제1 탄성 복원력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강선에 의해, 상기 강재 거더 구조체는, 슬래브 합성 후를 기준으로, 상기 활하중 미작용시에는 상기 초기 인장력에 대응하는 복원력 및 상기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으로 저항하고, 상기 활하중 작용시에는 상기 초기 인장력에 대응하는 복원력, 상기 슬래브 합성 후 복원력 및 상기 제2 탄성 복원력으로 저항하도록 보강되며,
상기 새들부는 하나의 새들 유닛을 포함하거나,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새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선의 중간 부분은 상기 하나의 새들 유닛 또는 상기 복수의 새들 유닛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새들 유닛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강선의 중간 부분의 강선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정착 새들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인, 강재 거더 구조체.
In the steel girder structure,
A steel girder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portion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saddle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teel girder par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a middle part provided in the middle part. Including a steel wire disposed to pass through,
In the steel wir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mainder except for the middle portion are elastically stretched or elastically restored in response to a load applied to the steel gird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constrained to the steel girder portion,
The steel girder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wire is fixed to the saddle part located at a height equal to or less than the fixed height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eel wire,
It is provided in a tense state by the initial tensile force before the load before the slab synthesi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on the steel girder is applied,
When the load before the slab synthesis is applied, it is tensed to resist at least a part of the load before the slab synthesis with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when the slab is synthesized on the steel girder part and the load is applied after the slab synthesis, the load after the slab synthesis is applied.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instead of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it is provided with tension to resist with a restoring force after synthesizing a small slab compared to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After the slab is synthesized, when a live load is applied, tension resisting with a second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at least a part of the live load,
The initial tensile force is set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restoring force,
With the steel wire, the steel girder structure resists with a restor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nsile force and a restoring force after the slab composite when the live load is not acting, based on after the slab synthesis, and the initial tensile force when the live load is applied. It is reinforced to resist the corresponding restoring force, the restoring force after the slab synthesis and the second elastic restoring force,
The saddle part includes one saddle unit or a plurality of saddle unit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or more middle portions of the steel wire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ne saddle unit or the plurality of saddle units,
The steel girder structure, wherein the saddle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choring saddles to limit movement of the steel wi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corresponding theret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유닛은,
상기 중간 부분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하부 유닛, 상기 중간 부분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정착부;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강선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제1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정착부의 종 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제1 이동제한 지지부재; 및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종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강선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제2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정착부의 종 방향 타측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제2 이동제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강재 거더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addle unit,
a fixing unit including a lower unit surroundi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middle portion, an upper unit surroundi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iddle portion,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lower unit and the upper unit to each other;
a first movement-restricting support member having a first hole formed to allow passage of a steel wire extending from the middle portion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and limiting movement of the fixing unit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hole is formed to allow passage of the steel wire extending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second movement limiting support member provid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xing unit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tru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각각은,
상기 제1 홀의 둘레 및 상기 제2 홀의 둘레에 대한 대향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둘레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 부재가 종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것인, 강재 거더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6,
Each of the upper unit and the lower unit,
The steel girder structure, wherein expansion members extending outward to the circumference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opposing area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을 미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갭보다 좁아지는 최종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을 상호 당김 결합하고,
상기 당김 결합에 의해 상기 중간 부분에 가해지는 파지력에 의해, 슬래브 합성 전 하중 및 활하중을 고려한 작용 하중 범위 내에서, 상기 정착부가 상기 중간 부분에 정착되는 것인, 강재 거더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6,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unit is not installe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unit and the upper unit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The coupling unit mutually pulls the lower unit and the upper unit so that a final gap narrower than the gap is formed,
The steel girder structure, wherein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middle part by the gripping force applied to the middle part by the pulling coupling within the applied load range considering the slab composite pre-load and live load.
KR1020210121228A 2021-09-10 2021-09-10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KR102565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28A KR102565144B1 (en) 2021-09-10 2021-09-10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28A KR102565144B1 (en) 2021-09-10 2021-09-10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11A KR20230038011A (en) 2023-03-17
KR102565144B1 true KR102565144B1 (en) 2023-08-11

Family

ID=8587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28A KR102565144B1 (en) 2021-09-10 2021-09-10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14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81Y1 (en) * 2002-01-30 2002-05-11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Reinforced steel girder by prestressed steel
JP2007313692A (en) * 2006-05-24 2007-12-06 Kawada Constructi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intermediate part of pc tendon
KR101986819B1 (en) * 2016-11-11 2019-06-07 (주)지아이건설 Reinforcement assembly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88716B1 (en) * 2017-03-30 2019-06-13 주식회사 포스코 Prestressing app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4A (en) * 1984-06-14 1986-01-07 Q P Corp Processed garlic
KR20140028835A (en) * 2012-08-31 2014-03-10 명보산공 주식회사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of beam using j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81Y1 (en) * 2002-01-30 2002-05-11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Reinforced steel girder by prestressed steel
JP2007313692A (en) * 2006-05-24 2007-12-06 Kawada Constructi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intermediate part of pc tendon
KR101986819B1 (en) * 2016-11-11 2019-06-07 (주)지아이건설 Reinforcement assembly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88716B1 (en) * 2017-03-30 2019-06-13 주식회사 포스코 Prestressing app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11A (en)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408A (en) Frame structured bridge
KR101383208B1 (en) Bridge for pedestrian and bicycle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JP5539554B1 (en) Girder bridge connection structure and girder bridge structure
CN108691266B (en) Multidirectional damping device for bridge pier
KR10118465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KR10109617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109617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216784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girder for improvement of lateral curva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bridge using same
KR100912584B1 (en) Method for preventing lateral buckling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in prestress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2565144B1 (en) Steel girder structure having restoring force
KR102194380B1 (en) Continuous arch bridge interacted with tension as major member force and continuous arch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120013740A (en) Partia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 using hinge connection part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100062895A (en) Jointless bridge equipped with multi-piles
KR100931318B1 (en) Temporary bridges with branches of trus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JP3847604B2 (en) Floor slab replacement method
KR101103556B1 (en) Composite beam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don for tensile force to steel beam
KR101688517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KR10115622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WO2006065085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thereby
CN112853934A (en) Novel energy-consuming and shock-absorbing type inter-tower linkage structure of framing tower-connected cable-stayed bridge
KR10055453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type hybrid bridge using the post rigid system
KR101144238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egment block and pretension and release
KR200300023Y1 (en) multi-span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structure rigidly joined to pier
KR200278091Y1 (en) Devices to shrengthen a bridge by exfermal presfressing cable
JP2003293323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tinuous girde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